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 선재구법도의 설화적 표현과 도상해석

        김윤미(Kim, youn-mi) 동서미술문화학회 2021 미술문화연구 Vol.21 No.21

        선재구법도(善財求法圖)는 『화엄경』 「입법계품」의 설화적인 내용을 기・승・전・결로 나누어 표현한 불교설화도(화엄변상도)로 선재동자와 오십삼 선지식의 신분과 장소를 화면의 모티브로 전개한다. 선재구법도는 동아시아에서 화엄사상을 기반으로 여러 유형이 조성되며 한・중・일의 대표적인 작품사례로 중국은 선재동자와 오십삼 선지식을 1구도1정경(情景)으로 인물과 배경이 유기적이며 역동적인 이미지의 절첩식 책자인 도찬(圖讚)과 화첩(畫帖), 판화가 주를 이룬다. 일본은 설화적인 긴 내용을 담기에 가장 효과적인 두루마리그림으로 만들어지는데 인물과 배경이 서정적이며 파노라마식으로 전개된다. 한국은 오십삼 선지식 중에 불·보살 1위(位)를 한 폭으로 압축하여 선재동자와 함께 구성한 걸개 그림, 사경화가 조성된다. 이러한 동아시아 선재구법도를 화면배치방식에 따라 연속적인 배치방식과 독립적인 배치방식으로 구분하여 도상을 해석하였다. 연속적인 배치방식은 선재동자와 오십삼 선지식이 순차적으로 연이어 화면에 등장하는 구도라면, 독립적인 배치방식은 오십삼 선지식 중에 불·보살 1위와 선재동자가 단 폭에 1:1로 구성된다. 이러한 화면분류를 근거로 특징을 살펴보면 연속적인 배치방식은 선재동자와 오십삼 선지식의 무게중심이 균일하며 극적(劇的)인 이야기 중심으로 전개되고, 인물의 움직임, 역동성, 리듬감을 포착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에 독립적인 배치방식은 한 폭의 화면에 비로자나불이나 관음보살, 보현보살 중 1위가 중심이 되고 선재동자는 부가적인 인물로 화면에서 섬세한 묘선과 밀도 있는 짜임새가 돋보이는 특징을 갖는다. 본 연구는 화엄경변상도중에 「입법계품」을 도상으로 한 동아시아 선재구법도에 대한 독창적인 표현방식과 특징을 유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라마다 작품유형에 차이를 보이는 것은 대승불교인 화엄종을 수용하면서 자국의 고유한 불교문화에 예술성, 독창성, 불신관이 반영되어 전개됨을 알 수 있다. “Pilgrimage of Sudhana”depicts the long myth of Avatamsaka-Sutra and Gandavyuha-Sutra, and it is the“Pilgrimage of Sudhana”that narratively expresses the main characters Sudhana(善財童子)and the fifty three Dharma. The composition content divides the fifty three Dharma into 52 levels of Bodhisattva and the status, location are dramatically developed as the motif of the buddhist painting. Accordingly, I analyzed and compared the icon images of Korea, China, and Japan, which are Buddhist spheres in East Asia, by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the expression method. In China and Japan, a single picture in which the pictures are arranged in succession is made in the form of the scroll picture, the picture book etc. In Korea,“Water-MoonAvalokitesvara Paintings” and “The frontispieces of Avatamska sutra in 40volumes” which were made in the form of a single picture, emphasizing only the one Bodhisattva among the fifty three Dharma are produced. Divided into two cases, one is a continuous arrangement method and if the center of gravity of Sudhanakumara and the fifty three Dharma expressed in a scroll or books are uniformly arranged, suitable for propaganda, the other is a one-width “Water-Moon Avalokitesvara paintings”. It can be seen that plays a central role in the overall composition and has the character of respectability. By examining the“Pilgrimage of Sudhana” broadly through this classification, it was shown that the Avatamsaka-Sutra and Gandavyuha-Sutra, was handed down in correlation with each country"s unique artistic characteristics, Buddhism, and iconography. Korea, China, and Japan has creativity and originality and is made by type, and it is meaningful to classify these Buddhist myth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pictures and to understand the expressed characteristics.

      • KCI등재

        선재동자의 구법 행위에 나타난 역량 탐색

        나정,이영림 한국종교교육학회 2018 宗敎敎育學硏究 Vol.58 No.-

        본 연구의 목적은 2500년이 넘도록 인간의 삶의 등불이 되고 있는 불교가 소위 다음 세대라고 할 수 있는 동자를 통해 어떤 능력을 지향하고 있으며, 시대 변화의 흐름과 교육적 대응 속에서 그 능력이 미래사회의 역량에 시사하는 바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하여 먼저 동자의 의미와 『화엄경』「입법계품」에 나타난 선재동자의 구도행을 알아보고,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교육과 관련하여 제시한 UNESCO, OECD, 미국심리학회, 우리나라의 관점을 살펴보았다. 선재동자의 구법 행위에 나타난 역량은 초발심, 일상에서의 실천, 집착 없는 회향, 그리고 선업 정진이었다. 이를 토대로 선재동자의 구도 행위와 여타의 역량 개념이 지식, 특히 실천적 지식 역량과 자신에 대한 성찰 즉 메타 인지 역량을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미래사회에서는 선재동자가 보여주는 초발심과 같은 목표 설정, 회향과 같은 공동체와 함께 나누는 삶, 꾸준한 정진, 평등한 인식과 같은 역량이 포함되어야 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불교의 가르침이 예측하기 어려운 불확실한 미래사회에서도 인간의 삶에 의미 있는 종교로서의 지속성을 가질 수 있느냐를 가늠해 보는 작은 시도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돈황(敦煌) 막고굴(莫高窟)의 『화엄경(華嚴經)』 칠처구회도(七處九會圖)에 대한 고찰(考察)

        김선희 ( Seonhee Kim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5 강좌미술사 Vol.45 No.-

        본고는 敦煌 千佛洞인 莫高窟 『화엄경』 칠처구회도의 29 개 窟 중 펠리오의 도록(M. Pelliot:Les Grottes de Touen-Houang)에 제시한 화엄경변상 칠처구회도 제 8 굴·제 102 굴·제 117 굴·제118F 굴·168 굴 등을 대상으로 『화엄경』의 성행과 함께 칠처구회도가 어떻게 형상화되어 표현되었는가를 살피고, 그 도상특징에 대하여 고찰한 글이다. 막고굴 칠처구회도는 唐代에 성행하였고, 五代를 거쳐 宋代에 이르기 까지 變相圖가 계속 그려졌으며, 당시 80 권『화엄경』(695-699 번역)의 流布와 더불어 활발하게 조현됨에 60 권『화엄경』(418-420 번역)의 변상도는 전혀 보이지 않고 80『화엄경』 변상도만 그려졌다는 것을 재확인 하였다. 이 화엄경변상도는 주로 굴의 주실과 전실(7 개 굴)에 그려졌고, 석굴 주실 내에는 거의 북벽(18 개 굴)에 그려졌으며, 그 위치가 빈번하게 법화경변상도와 마주보게 관계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조사 지의(智의)(538~597 년)가 설파한 화엄, 법화 양 교의 친근성이 이 돈황에서 화엄학파의 전성기라고 생각되는 五代까지 잔존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宋代에 속하는 제118F 굴의 천정면 그림은 사다리꼴 모양의 화면에 9 회 전부를 함께 그리기도 하였다는 점에서 전대와 차이가 있다. 막고굴 칠처구회도는 80 권『화엄경』 중 39 품에 걸쳐 풀이된 교설에 따라 지상과 천상에서 설법한 내용 즉, 부처의 신통과 보살의 공덕을 서술한 경전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화면의 중단을 기준으로 7 처 9 회를 좌우대칭으로 배치하였다. 7 처 9 회도의 배열은 굴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보이고 있으나 대체로 ‘毘盧遮那佛과 善財求法圖’, 그리고 須彌山, 香水海의 ‘蓮華藏刹海圖’가 한화면에 충실히 묘사되었다. 이와 다르게 선재구법도만 따로 그려지기도 하였는데, 이는 ‘십지’ 또는 「십지품」의 회화화로 이해될 수 있으며, 왜 「입법계품」(정신세계로 입도)을 변상도로 나타내려 했는지 그 요점을 파악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비로자나불 연화장세계’가 각 시대에 따라 어떻게 가시화되고 이상화되었는가를 파악하는데 일조하리라 생각된다. This essay considers how the Chilcheoguhoedo (七處九會圖; the painting depicting 9 Buddhist congregations in 7 venues), the Byeonsang (變相; marks of transformation) of the Flower Adornment Sutra (the Avatamsaka Sutra) was created and illustrated as this Sutra became widesprea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conography are discussed, focusing specifically on caves No.8, No.102, No.117, No.118F and No.168 as defined in Pelliot’s book (M. Pelliot: Les Grottes de Touen-Houang) which are among 29 caves which have the Chilcheoguhoedo of the Flower Adornment Sutra in Mogao Caves (莫高窟), the Thousand Buddha Caves (千佛洞) in Dunhuang (敦煌). The Chilcheoguhoedo in Mogao Caves came into vogue in the period of Tang Dynasty and the Byeonsangdo (變相圖; the painting of marks of transformation) painted between the Five Dynasties to the Song Dynasty. It is confirmed that only the Byeonsangdo of the Flower Adornment Sutra in 80 fascicles (translated in 695-699) was painted due to being widely circulated at the time and had replaced the earlier, the Sutra in 60 fascicles (translated in 418-420). It was mostly painted in the main room and the front room (7 caves) and chiefly on the northern wall in the main room. It is usually located opposite to the Byeonsangdo of the Lotus Sutra (SaddharmapundarikaSutra). This is presumably because the affinity between the Flower Adornment (Avatamsaka) and the Lotus Flower (SaddharmaPundarika) taught by the Patriarch, Zhiyi (智의, 538-597) was still in favor until theFive Dynasties when the Huayan school (華嚴宗; the Flower Adornment school) is thought to have been in its golden days in Dunhuang. But the painting on the ceiling of the cave No.118F was painted containing all of 9 Buddhist congregations in a trapezium screen,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earlier period. The Chilcheoguhoedo in Mogao Caves has bilateral symmetry of 9 Buddhist congregations in 7 venues from the middle part of the picture screen, which was intended to show the meaning of the Sutra. It effectively describes the supernatural power of Buddha and the merits of Bodhisattva, the contents preached in both the earth and the heaven in accordance to the teachings explained through 39 chapters in the Sutra in 80 fascicles. We can see many variations of the arrangement of 9 Buddhist congregations in 7 venues from cave to cave but in general, there are described ‘Vairocana Buddha (毘盧遮那佛) and Sunjaegubeopdo (善財求法圖; the painting of Sudhana’s journey pursuing Dharma)’ and ‘Yeonhwajangchalhaedo’ (蓮華藏刹 海圖; the painting of the Land and the Sea of Lotus Flower of Vairocana Buddha) of Mt. Sumeru and Hyangsuhae (香水海; the Perfume Sea) in a picture. On the other hand, Sunjaegubeopdo is separately painted in some cases, which is understood as picturalizing‘the Ten Stages’ or ‘the chapter of the Ten Stages’ and shows the main points of the reason why the chapter of ‘Entering the Dharma Realm’ (入法界品) was painted into the Byeonsangdo. This study will help understanding how ‘the World of Lotus Flower (Padmagarbhalokadhatu) of Vairocana Buddha’ was visualized and idealized with the times.

      • KCI등재

        敦煌 莫高窟의 華嚴經變相圖에 대한 考察

        전호련 한국불교학회 2014 韓國佛敎學 Vol.69 No.-

        This paper examines popularity,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he illustrated Avataṃsakasūtra paintings in the twenty nine caves among the Magao caves, Dunhuang. The Avataṃsakasūtra paintings in the Magao caves had been prospered in Tang(唐) dynasty(15 caves) and been still painted in the Five dynasties(五代)(8 caves) and until the Song dynasty(6 caves). Most of these paintings are located on the north wall(18 caves) and the cave ceiling(7 caves) but sometimes shown on the south wall(1 cave) and the anteroom(2 caves). These paintings in the twenty nine caves are all based on the 80-volume Avataṃsakasūtra(tr. 695-699) and there is no painting based on the 60-volume Avataṃsakasūtra(tr. 418-420). This seems to be because the 80-volume Avataṃsakasūtra were prosperous in Tang dynasty when many illustrated sūtras paintings including Avataṃsakasūtra paintings being drawn in Dunhuang. Considering that the date when the first Avataṃsakasūtra painting(Cave No. 44) was drawn is during High Tang(盛唐), it is possible that the “Illustration of the 7 locations” drawn by Fa-tsang(法藏) in 708 had an influence on these Avataṃsakasūtra paintings. Although the Avataṃsakasūtra paintings in the Magao caves reveal various changes in terms of detail, they are comprised of mainly the “Illustration of the 7 locations and 9 assemblies” and the "“Illustrations of Sudhana's pilgrimage for the dharma teacher.” The arrangements of the 7 locations 9 assemblies in the paintings are diverse in various caves. The “Illustrations of Sudhana's pilgrimage for the dharma teacher” are also shown within the “Illustrations of the 7 locations and 9 assemblies” or it is separately drawn or sometimes it is not shown. It can be said that these Avataṃsakasūtra paintings had considerable influence on China after Song dynasty, Korea and Japan. Specifically, the Avataṃsakasūtra portraits of Buddha for altar in the later Chosun dynasty, Korea show creative variations on the “Illustrations of the 7 locations and 9 assemblies.” They are, however, originated from the Avataṃsakasūtra paintings in the Magao caves, Dunhuang. 본고는 敦煌 莫高窟의 29개 窟內에 그려져 있는 華嚴經變相圖의 유통과 구도 및 내용 등을 살펴 본 것이다. 막고굴의 화엄경변상도는 唐代(15굴)에 성행하였고, 五代(8굴)를 거쳐 宋代(6굴)에 이르기까지 그려졌다. 그리고 화엄경변상도는 주로 굴의 북벽(18굴)과 천정(7굴)에 그려졌으며, 남벽(1굴)과 前室(3굴)에 그려지기도 하였다. 이러한 29개굴의 변상도는 모두 80권 『화엄경』(695-699번역) 七處九會의 변상도이다. 60권 『화엄경』(418-420번역)의 변상도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 그것은 돈황 천불동에 화엄경변상도와 아울러 經變이 그려지던 唐대에 80권 『화엄경』이 크게 유통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막고굴의 화엄경변상도는 세부적으로는 비록 다양한 변화가 보이나 전체적으로는 7처9회도와 善財求法圖로 되어 있다. 7처9회의 배열은 굴에 따라 다르지만 제1회는 언제나 하단의 중앙에 자리하고 있다. 9회의 자리를 알 수 있게 하는 도상의 문자 중에 아직 판독되지 못한 글자를 많이 밝혀봄으로써 9회의 해당처소를 재확인하였다. 그리고 비록 9회의 배열과 문자의 분량은 달라도 경문에서 서술한 회처의 세계를 어떻게 이해하여 변상도로 나타내려 했는지 그 요점을 파악하게 되었다. 善財求法圖 또한 다양하게 펼쳐져 있다. 7처9회도 內에 선재구법의 여정이 함께 그려져 있기도 하고 따로 그려져 있기도 하다. 그리고 선재와 선지식의 만남이 비교적 단순하게 묘사되어 있기는 하나, 각 선지식의 특징과 아울러 선재가 주인공임을 분명히 드러내고 있음이 돋보인다. 이러한 화엄경변상도는 宋代 이후 중국 뿐만 아니라 한국과 일본 등에 미친 영향도 적지 않다고 하겠다. 특히 조선후기의 7처9회도인 華嚴經變相圖 탱화는 독특한 형태를 보이고는 있으나, 그 始原은 막고굴의 화엄경변상도의 영향을 간과할 수 없다고 하겠다.

      • 안정사 땅설법의 전승과 가치

        이창식(Lee Chang-Sik)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22 아시아강원민속 Vol.37 No.-

        안정사 다여 스님이 시연하는 땅설법 원형 판본 확보와 그 사설이 모두 기록되어야 할 것이다. 신라 때부터 붐을 이룬 화엄사상이 홍법화 민중화됐는지 보여주는 판소리의 원형유산이 ‘고대의 학습지도법’으로서 땅설법이다. 법사 도창승이 가창과 강설 연기로 대중과 함께 연출하는 포교적 공연예술인데 가창과 연기 중심의 강창극이다. 땅설법의 연행방법은 논리를 설명하는 강, 소리를 엮어가는 창, 이해를 돕기 위한 연기의 방법으로 진행한다. 땅설법 전승물은 석가모니일대기, 목련존자일대기, 성주신일대기, 신중신일대기, 선재동자구법기가 그것이다. 그 외에 만석중득도기와 심청효행록라든가 사찰 전각을 설명하는 것 경전이나 부처님을 설명하는 내용도 있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적 가치가 있다. 화엄경 등 불법을 보다 쉽게 전달하기 위한 민중 포교의 방편이다. 중생들을 교화〮접인하기 위해 베푸는 재미있는 설법 형태라는 점이다. 주요 서사에 민속소가 수용되었으나 반드시 법문을 빠뜨리지 않고 있는 점이다. 땅설법은 교화의 구비성을 잘 보여준 것이었다. 이것은 땅설법의 근본 목적이 대중포교를 위한 것이므로 다양한 민속을 받아들여 일반 대중이 흥미있게 다가갈 수 있는 국면인 것이다. 구비연행의 화쟁성(和諍性)을 살린 독립된 양식이다. 판소리의 고형임을 확인하였다 과제는 땅설법의 땅설법 연구와 함께 전승기반의 확장이다. 땅설법이 새로운 대중교화의 포교성, 불교공연 문화의 소통성 불교축제의 효용성으로까지 지평을 넓혀야 할 것이다. 보존회의 전승력 강화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Both the securing of the original version of Dangseolbeop and the editorials should be recorded. The original legacy of pansori, which shows whether the the Avatamska Stura ideology, which has been booming since the Silla Dynasty, has been popularized and Hongbeophwa, is the Dang-sulbup as an ‘ancient learning teaching method’. It us a propaganda performance art directed by a Buddhist priest, Do-Changseung together with the public through singing, lectures. And acting. The method of performing the Dangsulbup is carried out with a river to explain logic, a window to weave sounds, and an acting method to help understanding. The landslide traditions are: the biography of Sakyamuni, the biography of the Venerable Magnolia, the biography of Seongsin, the biography of the new Shinjin, and the biography of the seonjaedongjagubeopgi. In addition, there are contents that explain Manseokjungdeuk pottery, temple halls, scriptures, and Buddhas. It has a UNESCO Intnagible Cultural Heritage value. It is means of propaganda among the people to more easily convey the Buddhist scriptures such as the Sutra of Avatamska. The point is that it is an interesting form of sermon given to edify and contact sentient beings. Folklore is accepted in the main narrative, but the law is not necessarily omitted. The dangseolbeop was a good demonstration of the perfection of edification. This is a phase where the general public can take an interesting approach by accepting various folklore because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dangseolbeop is to spread the word. Measures are needed to strengthen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Conservation Society. It is an independent style that takes advantage of the harmony of oral performance.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 solid pansori. The task is to expand the foundation of the tradition along with the study of Dangsulbup. It is necessary to broaden the horizon to the propagation of new popular education, the communication of Buddhist performance culture, and the effectiveness of Buddhist festivals.

      • KCI등재

        동북아시아 화엄경변상도의 도상 연구

        김선희 ( Kim Seon-hee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0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6 No.1

        이 글은 <화엄경변상도(華嚴經變相圖)>의 형성 및 동북아시아에서의 수용과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나아가 도상형식의 변화에 대한 이해와 그 해석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동북아시아 <화엄경변상도>는 80『화엄경』(이하 80『화엄』) 칠처구회 39품과 제작 당시 유행하던 화엄사상 그리고 불신관과 화엄 세계관을 반영하여 조성된 도상이다. 이 글에서는 설법회의 기본 도상인 노사나불의 연원과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한·중·일 3국의 도상적인 문제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법계인중상의 노사나불 설법회는 송대 이후 법계 도상이 사라지고 당~원대와 조선시대, 가마쿠라시대에 화엄법회를 상징하는 도상으로 정착되었다. 동북아시아 <화엄경변상도>의 시원인 막고굴 변상도는 성당 대(盛唐 代, 705-780)에 이루어진 제44굴을 비롯하여 오대(五代)를 거쳐 송대(宋代)에 이루어진 것까지 총 29굴과 파리 기메 박물관 소장(五代, 10세기 초) <화엄경변상도>가 있다. 여기에는 이전 시대나 중앙아시아의 오랜 표현 수단인 음영법, 요철법(凹凸法)이 그대로 남아있다. 특히 본존불의 신체에는 중점적으로 선염을 짙게 사용한 점과 낮은 육계와 반달형 중앙 계주가 그러하다. 이러한 영향은 <신라화엄경변상도>(754∼755), 용인 호암미술관장의 보살상에서까지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동북아시아 <화엄경변상도>는 저 멀리 인도 및 중앙 아시아에 기인하지만 그것을 각 민족(지역)이 수용하면서도 기본 유형을 잃지 않고 각자 고유의 문화와 종교 사상을 반영하여 각 시대 및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화엄경변상도>의 도상을 출현시켰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development and acceptance of Illustration of the Avatamsaka Sutra (華嚴經變相圖) in the East Asian region and the understanding and importance of the iconography during the period of the formation of the Avatamsaka Sutra. The Illustration of the Avatamsaka Sutra in East Asia have been developed in India through the Silk Road and in Western China (西域), namely Central Asia and Dunhuang China (中國 敦煌), etc., and in this process, according to each era and region, it has developed and declined along with the matrix, the Avatamsaka Sutra (華嚴經) Faith, among them, there be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illustrations of the Avatamsaka Sutra from China(中國), Korea (韓國), and Japan(日本). Notheast Asia of the Avatamsaka Sutra is an iconography created with the composite reflection of 80 “the Avatamska Sutra” (herein after as “80 of the Avatamska”), 39 pum Chilcheoguhoe, Huayan Thought rampant at the time, the View of Buddha-kaya, and Avatamsaka world view.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origin and change process of Locana Buddha, the basic iconography of Buddhist sermon to clarify the iconographical problems of three countries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As a result, Locana Buddha Buddhist sermon gathering of fajie jenchung image was settled as an iconography symbolizing Avatamsaka sermon gathering in the Tang Dynasty ~ Yuan Dynasty of China, the Joseon era of Korea and the Kamakura era of Japan, and Beopgye iconography disappeared after Song Dynasty. The Byeonsangdo in Mogao Caves, the origin of < Illustrations of the Avatamsaka Sutra > of East Asia appears in a total of 29 caves through the Five Dynasties (五代) to the Song Dynasty (宋代) including the 44th cave prepared in the Thriving age of Tang Dynasty (盛唐代; 705-780), and there are the Illustrations of the Avatamsaka Sutra housed at the Museum of Paris Guimet (Five Dynasties 五代, early 10th century). Here, the shade and shadow technique, the old expression method of previous era or Central Asia, that is, the shading technique (凹凸法) remain unchanged. Especially, the main Buddha's body using shading heavily, with the low Yukgye and the half-moon central Gyeju are as such. This influence occurs in the Bodhisattva, the Illustrations of the Avatamsaka Sutra in the Shilla Dynasty (754∼ 755), housed by Hoam Museum in Yongin. As such, Asian “Illustrations of the Avatamsaka Sutra” originated from far away India and Central Asia, but each nation (region) accepted it and did not lose its basic type, and exhibited each of their own iconography of Illustrations of the Avatamsaka Sutra differently according to each era and region reflecting their own culture and religious thou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