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선거 포스터 비교 연구

        정동환(Jung, Dong Hwa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2

        대통령 후보 선거 포스터는 대통령 후보와 소속정당을 대표하는 상징과 유권자들에게 전달하려는 핵심 메시지가 혼합되어 대통령 후보 일인에 집약되는 정치적 과정이다. 대통령 후보 선거 포스터를 시대적 상황과 선거방식에 따른 분류로 비교분석한다. 초대에서 제12대 대통령 후보의 선거벽보(공보)는 한국근현대정치사와 관련하여 포괄적으로 연구한다. 제13대에서 제19대 대통령후보 선거 포스터는 득표율 1위 후보와 득표율 2위 후보를 중심으로 시각적 표상과 유권자 설득 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하였다. 첫 번째,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제도와 역대 대통령후보 선거 포스터에 나타나는 각 후보자의 시대적 상황인식을 역대 대통령 선거사와 대통령 후보 선거 포스터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권위주의 시대와 민주화 이후의 대통령 선거 포스터 표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두 번째,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후보 선거 포스터의 시각적 표상과 각 후보의 선거 포스터에 나타나는 설득적 표현을 기호학의 기준 준거인 도상적, 지표적, 상징성으로 선거 포스터에 표현된 초상사진, 도상, 상징, 슬로건 등을 비교 분석 하였다. 세 번째,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선거 포스터의 시각적 표상을 기반으로 대한민국 선거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역대 대통령 후보 선거 포스터의 후보자 사진은 폐쇄형에서 개방형으로 변화하는 양상이고 얼굴 표정은 미소 짓는 모습으로 친근한 이미지를 연출한다. 의상 아이템과 지배적 컬러, 몸동작은 편안함을 지향하고 글씨체는 가독성이 높은 고딕체를 많이 사용 하였다.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선거 포스터 분석을 통해 정치, 사회, 문화, 역사 등을 접하고 한국의 근현대정치사를 감상, 비평하는 일련의 과정은 표현의 주체인 대중(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문법으로 시각문화콘텐츠를 반영하고 전달하여 유지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감상과 비평(비판)을 통해 새로운 시각문화를 창조하는 시각적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데 도움을 주는 선행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 사료된다. The presidential election poster is the political process which combines the symbol of party and the key messages the candidate is trying to appeal. The presidential election poster has been the method to promote pledge, policy and Governmental Management Philosophy of candidates towards citizens. It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and the way the elections are conducted. The one in the 12 candidate for president campaign poster with regard to modern political history, comprehensive research. 19th nomination for president in their posters in the 13th largest visual representation around the candidates and in first place vote and voter persuasion communications research. First of all, I analysed the periodic situational awareness of parties and candidates which can be found on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systems and posters. Moreover I focu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ter after democratization and authoritarianism times. Secondly, I compared the icon, symbol and slogans found on election posters based on three standards of symbolism, iconicity and indicators which are the three categories of semiology. Third, I compared the Korean election and party histories based on the visual representations of past Korean election posters. Moreover,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candidates’ photographs of past presidential election posters change from closed type to open type, and smiling facial expressions produce intimate image. Costume items, dominant color, and gestures were oriented towards comfort, and the fonts used a lot of Gothic materials which are highly readable. This study is a serial process of appreciation and criticisms on Korean political history through presidential election posters. It is not only the process to show the visual culture toward the youth, but also to help them to develop communication abilities such as criticism. This research has the significance as advanced research on comprehensive education of Korean history, culture, contemporary and modern political history, election and party history.

      • KCI등재

        제19대 대통령 선거포스터에 나타난 시각표현 요소 연구

        이영화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6

        본 연구에서는 제19대 대통령 선거 주요 대선주자 후보인 5인을 분석 대상으로 선거포스터에 나타난 시각표현 요소인 레이아웃, 색채, 사진, 타이포그래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후보자의 선거포스터 이미지를 분석하고, 연령대별 시각표현 요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문재인 후보는 산뜻한 느낌이 나타났으며, 유승민 후보는 깨끗한 이미지를 부각하며 문재인 후보와 동일하게 레이아웃과 색상에서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다. 홍준표 후보는 연령별 선호도가 가장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가장 파격적인 포스터를 선보인 안철수 후보 또한 연령별 선도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친근한 이미지를 부각한 심상정 후보는 모든 연령대별 시각표현 요소의 선호도가 레이아웃, 색상, 사진, 타이포그래피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선거포스터에 나타난 시각표현 요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후보자들이 주장하고자하는 메시지를 정확하게 내세워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주관적인 표현보다는 유권자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분석으로 예술적, 학문적으로 더욱 발전 할 수 있도록 객관적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This study would analyze the visual expression elements, including layout, color, picture and typography in the election posters with the five main candidates of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as the targe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candidates’ images in the election posters and conducted a survey of the visual expression elements survey by the age of the vot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residential Candidate Moon Jae-in felt fresh, and Yoo Seung-min like Moon had high percentages in layout and color, highlighting his clean image. Hong Jun-pyo had the most diverse preferences by age, and Ahn Cheol-soo, who showed the most unprecedented poster, too, had diverse preferences by age. Shim Sang-jung, who emphasized her familiar image, had preferences for her visual expression elements by all age groups in the following order: layout, color, picture and typography. Therefore, in order to utilize the visual expressions of the election posters,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messages that the candidates would claim. For this purpose, objective research should continue so that they can be further developed artistically and academically through broad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the voters rather than subjective expressions.

      • KCI등재

        선거홍보 수단으로서 후보자포스터와 현수막에 나타난 시각적 표현 요소 분석-2016년 강릉시 4・13 국회위원 선거를 중심으로

        홍창의,정현주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47

        With the end of understanding the present design trend of campaign posters for election and coming up with message strategies in the aspect of development for the advanced election campaign posters,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analyze election campaign posters and placards candidates utilized in the 20th election of members for the national assembly in April.13. 2016. In particular, this study investigated visual expression components such as layout, color, picture, typography for election campaign posters, whereas analyzed placards based on the Aristotle’s rhetorical analysis frame, attempting to examine under what kinds of connection these two media platforms delivered messages. As a result, even though the conspicuous difference of election campaign posters between each candidate, the common feature and a little of difference have been shown. In other words, layout exhibited a stable composition through bilateral symmetry, each candidate utilized colors peculiar to the political party that they are belonging to. In pictures, all of three candidates looked at the front with the smile, but the difference was the degree of brightness in the facial expression. As for typography, a candidate mostly utilized the gothic characters, indicating the image of integrity and straightforwardness, while another candidate employed tilted characters, referring to the dynamic image. More, the finding from the analysis of placards showed that a candidate belonging to the government party have used credible and rational rhetoric rather than emotional rhetoric, whereas other candidate from the opposition party employed emotional rhetoric a lot. As a study as to campaign posters and placards in the regional election, not big citi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help the work of design and slogan for the campaign posters and placards in regional election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현재의 선거포스터 디자인 트렌드를 이해하고, 향후 보다 향상된 선거포스터의 개발이라는 차원에서 메시지 전략 수립에 대한 아이디어 도출을 목적으로 강릉에서 2016년 4월 13일에 치러진 제20대 국회의원선거에서 후보자들이 활용했던 선거포스터와 현수막을 분석하였다. 특히 선거포스터에 대해서는 레이아웃, 색상, 사진, 타이포그래피 등 시각적 표현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현수막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적 분석틀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이들 두 매체의 활용이 어떠한 연결성 속에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지 등에 대해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각 후보자들의 선거 포스터 간 차이는 크지는 않았으나, 공통점은 물론 약간 식의 차별성을 보였다. 즉 레이아웃에서는 좌우대칭구도를 통한 안정적인 구도를 유지하고 있었고, 색상에서는 대체로 소속당의 고유색상을 활용하여 표현하였다. 사진에서는 세 후보 모두 정면을 향하고 미소를 짓는 모습을 보였으나 차이가 있다면 표정의 밝기 정도였다. 타이포그래피에 있어서 모든 글자에 대해 고딕체를 활용하여 좀 더 강직하고 곧은 이미지를 보여주는 후보자가 있는가 하면 슬로건에 기울임체를 활용하여 역동적이고 움직임이 있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또한 현수막 분석결과에서는 한 후보는 감성적 수사보다는 논리적이고 이성적 수사를 많이 사용한 반면, 또 다른 후보는 감성적 수사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도시가 아닌 지역 선거에서 포스터와 현수막에 대한 연구로서 향후 지역 선거에서의 포스터 및 현수막의 디자인 및 슬로건 작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선거포스터에 나타난 시각적 크리에이티브표현의 자아방어기제에 의한 분석 : 18대 대통령후보 선거포스터를 중심으로

        유인하 한국광고PR실학회 2014 광고PR실학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기호학적인 분석이다. 선거포스터에 나타난 시각적 크리에이티브 표현을 분석해 보고, 프로이드의 심리적인 자아방어기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박근혜 후보포스터는 당색인 빨간색을 사용하여 열정적이고 혁신적인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으며, 인물표정은 안정감과 포근한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자기방어기제는 합리화, 동일시, 억압, 억제, 부정이 나타났다. 둘째, 문재인 후보포스터는 당색인 녹색을 사용하여순수한 이미지와 건강한 정치실현이라는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으며, 인물표정은 정치에대한 굳은 의지에 대한 신념을 보여주고 있다. 자기방어기제는 동일시, 억압, 부정이 나타났다. 셋째, 이정희 후보포스터는 당색인 보라색을 사용하여 독특함과 신비로운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으며, 인물표정은 젊고 패기 있는 모습과 친근한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지만, 선거 기간에 보여주었던 강한 이미지와는 반대로 가볍게 느껴진다. 자기방어기제는 합리화, 해리, 억압, 투사가 나타나고 있다. 이 연구결과는 향후 선거포스터 제작에 있어서 효과적인 시각적 크리에이티브 전략 방안에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선거포스터가 제 19대 대선후보의 리더십 이미지 및 리더 신뢰, 그리고 리더 선택에 미치는 영향 : 20대 대학생들의 대선 포스터 평가를 중심으로

        김주호,손주영 한국광고학회 2019 광고학연구 Vol.30 No.5

        본 연구는 19대 대선이 60일이라는 짧은 시간 안에 치뤄짐에 따라 후보 개개인의 자질이나정책에 대한 철저한 검증보다는 선거포스터 등과 같은 정치광고를 통해 형성된 각 후보들의 리더십 이미지가 리더 신뢰와 리더 선택에 보다 많은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는 가정에서 시작되었다. 2017년 5월10일부터 5월21일까지 서울 소재 K대학 19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실시된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각 후보의 선거포스터는 모든 후보의 리더십 이미지 제고에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홍준표후보를 제외한 4명 후보의 리더 신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반면 선거포스터가 리더 선택에 미치는 영향력은 문재인후보의 경우에 한하여 그 영향력이 검증되었다. 또한 각 대선후보의 리더십 이미지는 응답자의 지지 성향에 따라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예상대로 각 후보의 리더십 이미지에 대한긍정적 평가는 각 후보 선택그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응답자들이 지각하는 각 대선후보의 리더십 이미지는 리더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리더 신뢰는 리더 선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선거포스터는 대선 후보의 리더십 이미지와 리더 신뢰, 그리고 리더 선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중요 영향요인 중 하나이며 대선후보의 리더십 이미지는 특정 후보에 대한 유권자들의 신뢰와 선택에 있어서 의미 있는 영향을미치는 주요 선행요인이다. 하지만 특정 후보의 리더십 이미지에 대한 유권자들의 지각은 그들의 지지 성향에 따라서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정치광고의 효과적인 전략수립을 위해서는 유권자를 하나의 집단으로 인식하지 말고 다양한 사회적 특성에 따라 이들을 재분류하고, 각각의 특성에 적합한 차별화된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수립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가 향후 효과적인 유권자 맞춤형 선거 전략의 수립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선거포스터에 나타난 인물 샷의 크기와 위치에 대한 감상자의 태도 분석

        김재형 ( Kim Jae-hyung ),김종무 ( Kim Jong-mo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5 No.-

        본 연구는 선거포스터에 나타난 인물 샷의 크기와 위치가 감상자의 태도인 호감도와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총 222명의 설문을 분석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설문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 및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선거포스터에 나타난 인물 샷의 크기와 위치가 호감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바스트오른쪽이 가장 높은 호감도를 보였고, 웨이스트오른쪽이 가장 낮은 호감도를 보였다. 그러나 둘째, 선거포스터에 나타난 인물 샷의 크기와 위치가 신뢰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후속 연구에서는 선거포스터의 다양한 시각표현 요소인 후보자 얼굴표정, 의상, 시선, 슬로건, 로고타입, 색체, 타이포그래피 등에 대한 감상자의 태도가 어떠한지를 세분화 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This study analyzed 222 persons’ question to investigate influence over likability and preference, the appreciator’s attitude to portrait shot size and location shown on election poster.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question used for analysis was verified and One-way ANOVA was carried on to check whethe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xist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analysis, first, likability of portrait shot size and location shown on election poste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bust right showed the highest likability, waist right showed the lowest likability. However, seco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een in the preference of portrait shot size and location shown on election poster. Appreciator’s attitude to facial expression, costume, eyes, slogan, logotype, color, typography, etc of diverse candidates on election poster will be analyzed in segmentation in the subsequent study.

      • KCI등재

        선거패러디 포스터에 나타난 자아방어기제 분석

        유인하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3 No.-

        본 연구는 흥행한 영화 및 드라마 등을 패러디한 선거포스터를 통해 표현된 후보자의 자아방어기제가 어떠한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했다. 분석방법으로는 형태적 방아기제와 내용적 방어기제를 중심으로 기호학적 분석했다. 분석결과, 첫째, 민현주 후보에 나타난 자기방어기제는 굳센 의지를 가지고 송도 국제도시를 만들겠다는 영화 주인공이 살아온 환경과 ‘동일시’했으며, 부드러운 이미지를 주고자하는 ‘합리화’를 보이고, 본질의 내면적인 것을 보이지 않는 ‘억압’을 보였다. 둘째, 김광진 예비후보는 히말라야 등정과 같이 험하고 어려운 환경에도 굳건하게 가겠다는 의지를 담고자 영화 주인공과 ‘동일시’했으며, 내면적 동기와 생각을 드러내지 않는 ‘합리화’와 ‘억압’을 보이고 있다. 셋째, 권은희 후보는 드라마 ‘태양의 후예’ 등장인물과 ‘동일시’했으며, 군인의 강한 이미지를 ‘합리화’ 및 ‘투사’, ‘억압’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서울시장 후보인 정몽준 후보와 박원순 후보는 같은 영화포스터를 패러디하였다. 정몽준 후보는 영화의 코믹적인 스토리에 맞는 표정을 숨기고 책임공약을 실천하고자 하는 ‘억압’이 보이고, 주인공과 ‘동일시’하고 있으며, 굳은 의지의 표정을 통해 ‘합리화’를 보이고 있다. 또한 상대 후보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이고자 ‘투사’를 보이고 있다. 박원순 후보도 영화의 주인공과 ‘동일시’했으며, 여유와 편안한 표정을 통해 ‘합리화’ 및 ‘유머’와 그 속에서 자신의 감정을 숨기는 ‘억압’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거패러디 포스터에서 보이고 있는 후보자의 자아방어기제 유형을 살펴봄으로서, 향후 후보자의 전달하고자하는 신념과 의지를 유권자에게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포스터에 미묘한 감정적 심리를 잘 담아낼 수 있도록 제작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연구가 크리에이티브 전략적 방안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study wanted to find out about the types of self-defense mechanisms that manifest in election candidates' posters that parody hit films and TV dramas. As for the analysis method, semiotics were analyzed centering on the formative defense mechanism and the content defense mechanism.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elf-defense mechanism shown by candidate Min Hyun-joo was manifest in his 'identification' with the environment in which a main character of a movie, who had a strong will to create an international city in Songdo; and in his 'rationalization' to give a soft image; and in his 'suppression' of the inner side of the essence. Second, Kim Kwang-jin, a potential candidate, showed his self-defense mechanism in 'identifying' himself with a main character who showed determination to take on a tough and difficult Himalayan climb; and in 'rationalizing' and 'suppressing' his inner motives and thoughts. Third, candidate Kwon Eun-hee identified herself with a character from "Descendants of the Sun," and made her strong image as a soldier subject to 'rationalization', 'projection', and 'suppression'. Lastly, Seoul mayoral candidates Chung Mong-joon and Park Won-soon parodied the same movie for their posters. Chung showed 'suppression' in hiding his expression that fits the comic story of the movie to look serious about his pledges; and in 'identifying' with the main character and 'rationalizing' through keeping a stern face. Also, to show off his fighting spirit to his opponent, Chung relied on 'projection'. Candidate Park also identified with the main character of the movie, and through his leisurely and relaxed look, demonstrated 'rationalization', 'humor' and 'suppression' in hiding his feelings. This study came to the conclusion that by examining the self-defense mechanisms manifest in parodied election posters, they can be made to be more detailed and effective in communicating candidate's political views, ideas, campaign pledges, so on, to the voters. It is also hoped that this occasion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for this research to be utilized as a strategy in creating election campaign materials.

      • KCI등재

        선거 포스터의 시각정치적 언어에 대한 비판적 연구: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대통령을 중심으로

        박상희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2 문화와 정치 Vol.9 No.2

        This study studies a visual and political language shown in the election posters of President Park Chung-hee, Chun Doo-hwan, and Roh Tae-woo. It is to attempt a political semantic interpretation of the political propaganda of Korean politics by analyzing the election posters that are the specific case of visual and politics. In addition, in Korean politics, Park Jung-hee, Chun Doo-hwan, and Roh Tae-woo have something in common: they are presidents from the military, and it studies how each characteristic is expressed in the visual and political language. To this end, the visual and political language is analyzed in dimensions of the political face, political subject, and political legitimacy. The political face shows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political body of the political leader, and the political subject can look into the sett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tical leader and the people. And political legitimacy can be seen in how the born soldier attemp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legitimacy. These presidents have the authoritarian characteristics of military backgrounds in common, but according to visual political language, they show differentiation and change. 본 연구는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대통령의 선거 포스터에 나타난 시각정치적 언어를 연구한다. 이는 선거 포스터라는 구체적인 시각정치 사례를 분석하여 한국 정치의 정치선전에 대해 정치의미론적인 해석을 시도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한국정치에서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는 군부 출신 대통령이라는 공통점이 있는데, 각각의 특성이 시각정치적 언어로 어떻게 표출되었는지를 조망한다. 이를 위해 정치적 얼굴, 정치적 주체, 정치적 정당성의 차원에서 시각정치적 언어를 분석한다. 정치적 얼굴은 정치지도자의 정치적 신체의 시각적 재현을 보여주며, 정치적 주체는 정치지도자와 국민의 관계 설정을 가시화한다. 그리고 정치적 정당성은 군부 출신이 가지고 있는 정당성의 한계를 시각적으로 어떻게 극복하고자 시도했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들 대통령은 군부 출신의 권위주의적 특성을 공통점으로 가지고 있지만, 시각정치적 언어에 의하면 각기 차별성과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Study on the Visual Design Elements of Election Posters -Focused on a Specific Candidate’s Poster from the Mayor of Seoul Election 2018-

        문다영,시모네 카레나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3

        This study analyzes the visual design elements in election posters and the influence they have. Focused on the Mayor of Seoul election in 2018, this research aim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visual elements on the possible cause of vandalisms of election posters. As a research method, the researcher analyzed the role of election posters and investigated examples of election poster vandalisms in Korea. In addi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eight in-depth interviews about the positive and negative opinions about the visual elements of a specific candidate’s election poster from the Mayor of Seoul election. As a result, there are two findings. First, the visual design elements did not influence the provocation of vandalism. Second, the content of the political slogan had the most negative influ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examines the influence of visual design elements on the election campaign posters. This study is hoped to help future research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re influential delivery of visual political mess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