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금관에 관한 연구

        조원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2 문화와예술연구 Vol.20 No.-

        This study argues that the Silla gold crown is an expression of energy ‘gi(氣, vitality, power)’, and growth[生長] through its shape and pattern. The iconography of the vitality and growth encompasses vividness, birth, growth, diffusion, and development, as well as something spiritual and marvelous[神異] and hwasaeng(化生, purified energy and expression of life). The typical shape of the Silla gold crown, which represent the vitality and growth, is an outstretched ornament of a mountain. This is a pattern that combines the design of trees growing upward with the expression of the vitality and growth. Analyzing, first is the four-direction pattern  that expresses stems and branches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and second is the pattern growing upward rather than downward, which is why the left and right branches of the gold crown suddenly bend 90 degrees and soar upward. The third is a three-pronged pattern, which means the beginning appearance of the vitality and growth. It is the first shape to show the center, its left and right together, which contains the meaning of balance, simplicity, and connotation, and is related to the Samjae(三才: Heaven, Earth and Man)  thought. The shapes and patterns on gold crowns and caps are the very special expressions accompanied by the vitality and growth and were universal to Korean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at that time, which did not exist in the neighboring ancient Chinese historical and cultural sites. In other words, the iconography of Silla’s gold crowns or gilt bronze crowns is a unique heritage of the world and its vitality and growth expressions were especially spread and influenced to ancient Japan. 신라 금관(특히 경주 출토 5점)은 신라 최고위층이 사용한 최고 품격의 모자이다. 이들은 원형 관테의 위로 세운 장식인 입식(立飾)과 아래로 드리운 장식인 수식(垂飾)이 중심이 되는 형태이고 그 표면에는 다수의 곡옥(曲玉)과 영락(瓔珞)을 매달고 점선문・점열문・원문・삼각문・덩굴문 등의 문양들을 점으로 표현하였다. 이 중에서 입식은 나무 모양을 도안한 세 산자 모양<山字形. 또는 출자 모양出字形>과 두 사슴뿔 모양이다. , 필자는 이 논문에서 신라 금관의 형태(나무・사슴뿔・연꽃・곡옥・영락・수식)과 문양(삼각문・덩굴문・원문) 모두가 기(氣・기운・기력)와 생장(生長) 표현이라는 주장을 거듭 주장, 강조하였다. 금관의 기와 생장 표현은 생동감・생명력・힘・성장・발전 나아가 신이와 화생(化生)까지도 아우른다. 신라 금관의 기와 생장 표현을 분석하면 첫째 입식(나무와 사슴뿔) 등의 형태를 기와 생장의 대표 주자인 연꽃 모양으로 변형한 것, 둘째 금관 표면에 우리 겨레 역사문화강역 안 신석기・청동기시대부터 기와 생장을 대표하는 삼각문・덩굴문・원문을 표현한 것 셋째 기와 생장 표현 모두를 연꽃으로 인식하고 상호 동격・교호(交互)・호환 관계로 표현한 점이다. 신라 금관의 대표적인 모습은 ‘산(山’)자 모양 입식이다. 이는 위로 자라는 나무의 도안에 기와 생장 표현 등을 결합한 도안인데 이를 분석하면 첫째 기와 생장이 중앙에서 외곽으로 전개되는 모습 중 네 방향 표현(줄기와 가지이기에 네 방향이 됨), 둘째 중앙에서 외곽으로 확산되면서 동시에 아래보다 위쪽으로 향하는 생장하는 표현(금관의 좌우 가지가 갑자기 90도(度) 꺾여 위로 솟구친 이유) 셋째 기와 생장 표현의 초기 모습인 세 갈래 표현(중앙과 그 좌측과 우측을 함께 보여 주는 첫 모양. 좌우 균형과 안정, 간결・함축을 담고, 삼재三才 사상과도 관련된다. 금관의 형태와 문양 특히 기(기운)와 생장을 동반한 표현들은 금관 외에도 당시 우리 겨레의 역사문화유산에 보편적으로 존재하였다. 이웃한 원(原) 중국 역사문화강역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우리 겨레의 세계적・독보적・독창적 역사문화유산인 신라 금관・금동관의 형태와 문양 특히 기(기운)와 생장을 동반한 표현은 고대 일본에도 전파되고 영향을 끼쳤다.

      • KCI등재

        방울토마토 생장부 추종 국소난방이 군락 온도분포 및 연료소비에 미치는 영향

        권진경(Jin Kyung Kwon),강금춘(Geum Chun Kang),문종필(Jong Pil Moon),이태석(Tae Seok Lee),이수장(Su Jang Le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5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동절기 시설원예 난방에너지 절감을 위해 방울토마토의 온도민감부인 생장부를 추종하면서 난방을 수행할 수 있는 국소난방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울토마토 생장부 추종형 국소난방시스템은 온실하류로의 균일한 열분배를 위해 내/외부 덕트와 온풍난방기를 연결하는 이중덕트 분배장치, 정식 후 작물 유인에 따라 덕트를 토마토 줄기끝 생장점과 개화화방을 추종하여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권취장치 등으로 구성되었다. 국소난방 시스템의 운용은 토마토 정식 직후에는 덕트를 작물 상부에 위치시키며 작물 생장에 따라 생장부 국소난방과 차광 회피를 위해 덕트를 상하로 이동시켰다. 방울토마토 수경재배 온실을 대상으로 생장부 국소난방구와 관행의 바닥덕트 난방구에 대해 난방성능과 작물생육 비교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생장부 국소난방구는 야간 난방시간에 작물 군락내 상부 기온이 하부에 비해 0.9~2.0℃ 높으며, 바닥덕트 난방구에 비해 군락상부 기온은 0.3~1.8℃ 높고, 하부 기온은 1.4~1.8℃ 낮게 나타나 온도에 민감한 상부 생장부를 상대적 고온으로 관리하고, 군락하부는 상대적 저온으로 관리 가능하며, 관행 바닥덕트 난방구의 높이별 온도분포를 역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토마토 군락에 대한 적외선 열화상 측정을 통해 정식 직후부터 줄기내림 유인재배기간에 걸쳐 생장부 국소난방구는 군락내에 높이별 엽온의 온도성층화를 형성하여 생장부 추종 국소난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난방방식별 작물생육 분석결과 초장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수확량에서도 생장부 국소난방구가 초기 수량이 약간 우세하였으나 총 수확량은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온풍난방비 경유소비량은 생장부 국소난방구가 군락의 높이별 최적 온도관리로 관행 바닥덕트 난방구에 비해 약 23.7%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시스템은 길이 90m 온실에 대한 적용시험에서 열분배 성능의 한계로 온실 상/하류간 온도편차가 발생하였으며, 시스템 개선을 위해 내부덕트의 직경 또는 두께 상향, 열복사 억제 재질의 덕트 사용 등 열분배 성능 최적화를 위한 추가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Local heating system providing hot air locally to growing parts including shoot apex and flower cluster which were temperature-sensitive organs of cherry tomato was developed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for greenhouse heating without decline of crop growth. Growing part following local heating system was composed of double duct distributer which connected inner and outer ducts with hot air heater and winder which moved ducts up and down following growing parts with plant growth. Growing part local heating system w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bottom duct heating system with respect to distributions of air and leaf surface temperatures according to height, growth characteristics and energy consumption. By growing part local heating, air temperature around growing part was maintained 0.9~2.0℃ higher than that of lower part of crop and leaf surface temperature was also stratified according to height. Investigations on crop growth characteristics and crop yield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for plant height between bottom duct heating and growing part local heating. As a result, the growing part local heating system consumed 23.7% less heating energy than the bottom duct heating system without decrease of crop yield.

      • KCI등재

        조림 묘령에 따른 고로쇠나무 조림목의 생장 및 수관경쟁 특성

        윤준혁,진언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5 No.2

        본 연구는 고로쇠나무 조림 시 묘령이 수목의 생장과 수관경쟁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수행되었다. 3년생 조림지에서 1년생 조림지 보다 수고, 흉고직경, 수관면적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H/D율은 3년생 조림지에서 낮게 나타나 수고생장 대비 직경생장이 유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림지별 수목의 총연륜생장은 조림 묘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직경생장에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조림지 임분의 수관경쟁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수관경쟁지수(CCF)와 수관경쟁률(CCR) 또한 수목의 수고, 흉고직경, 연륜생장 특성 등과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고로쇠나무 생장의 측면에서 3년생 묘목 식재의 장점이 기대되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조림 후 수액채취 시기 및 채취량 등 경영의사결정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 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 ffect o f the seedling ag e of Acer pictum subsp. mono on the growth and crown competition in plantation. The tree height, diameter at breast height and crown area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3-year-old plantation than in the 1-year-old plantation. The H/D ratio decreased as the planting seedling age increased, and it was found that diameter growth was induced compared to height growth. It was interpreted that the total annual growth of trees by plantation sit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lanting seedling age, which influenced the diameter growth. The Crown Competition Index (CCF) and the Crown Competition Rate (CCR), which can evaluate the degree of crown competition in the plantation stand, also showed the same tendency such as tree height, diameter at breast height, and annual ring growth. In conclusion, planting of 3-year-old seedling is expected to b e advantag eous in terms of the g rowth of A. pictum subsp. mono,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in management decisions such as the timing and amount of sap collection in plantation.

      • KCI등재

        스탠다드 절화국화 ‘백마’의 다이내믹 초장 비선형 회귀 모델 분석

        이정현,박규현,김민수 한국원예학회 2022 원예과학기술지 Vol.40 No.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the best model (in term of goodness of fit) among Gompertz, Logistic and Richards growth models for the variation in plant height of standard cut chrysanthemum plants at different planting dates with different long-day periods. The measured plant height with time was well described by a simple sigmoidal model with a higher R 2(>0.97) than that of non-linear regression models. The estimated parameters of the simple sigmoidal model were easier to interpret; they were relative growth rate, maximum plant height, and the number of days after planting to reach the maximum stem elongation rate. The derivative of these models could be used to calculate the absolute stem elongation rate with time, which tended to follow a bell-shaped curve for Gompertz, Logistic, and Richards growth functions. However, the function without an intercept showed large variations in standardized residuals and bias against the predicted value even though it had a high R2 value. The model with an intercept showed highly stable standardized residuals and normality with the three growth functions. Based on the homogeneity of standardized tests and the values of Skewness and Kurtosis as well as the non-significance probability of Kolmogorov-Smirnov and Shapiro-Wilk, the Gompertz growth model with an intercept was a highly suitable function for the estimation of measured plant height of standard cut chrysanthemum ‘Baekma’. This model summarized biological parameters well, such as the dynamics of stem elongation rate and days after planting to reach the maximum growth rate with different planting dates, compared with the other sigmoidal growth models. 본 연구는 정식 시기와 장일처리 기간이 다른 스탠다드 절화국화 초장의 변화를 묘사하는 방법으로 Gompertz, Logistic 및 Richards 생장모형 중 가장 적합한 모형을 선택하고자 하였다. S자형 생장곡선을 묘사할 수 있는 세 모델을 이용하여 시계열에 따른 초장의 생장량을 평균 97%이상 높은 결정계수로 설명하였고, 추정된 매개변수인 곡선의 변화율, 점근선의 최대값, 최대 생장율에 도달하는 정식 후 일수를 통해 측정된 초장의 신장량을 잘 묘사할 수 있었다. Gompertz, Logistic, 그리고 Richards 생장모형의 도함수는 정식 후 일수에 따른 절대생장율을 계산할 수 있었으며, 세 모델의 절대생장율은 종모양의(bell-shaped) 형태를 나타냈다. 절편이 없는 생장모델은 높은 결정계수에도 불구하고, 추정값의 표준화된 잔차들은 편의한 분포를 나타냈 다. 절편을 추가한 Gompertz, Logistic 및 Richards 생장함수는 매우 안정적으로 표준화된 잔차들의 정규성이 높게 나타났다. 세 개의 시그모이드 생장모델 중 절편이 있는 Gompertz 생장모형은 Skewness와 Kurtosis는 표준화된 잔차의 정규성이 인정 되었고, Kolmogorov-Smirnov와 Shapro-Wilk 검정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정식 일수와 장일처리 기간이 상이한 스탠 다드 절화국화 ‘백마’의 측정된 초장을 분석하기 위한 매우 적합한 모델로 판단되며, 다이내믹한 초장의 생장율, 최대생장율에 필요한 정식 일 수와 같은 생물학적 매개변수들을 이용하여 측정값을 정량적으로 잘 요약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녹조 원인 남세균 Microcystis aeruginosa의 생장을 억제하는 세균균주의 분리 및 남세균 생장 억제능 검정

        정선용,고준일,권범근,Umme Salma 한국습지학회 2017 한국습지학회지 Vol.19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유해한 남세균인 Microcystis aeruginosa를 생물학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남세균생장 억제미생물을 분리하고 그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다양한 남세균생장 억제미생물이 분리되었고, 이중에서 M. aeruginosa의 생장을 효과적으 로 억제하는 M1, M2, M3, M4로 명명된 4종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16S rRNA을 통해 동정된 M1~M4 균주는 모두 간균이고 그램 음성으로 나타났다. 분리된 단일종 뿐만 아니라, 혼합된 M1~M4 균주 4종의 공동배양이 M. aeruginosa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였다. 혼합 균주의 접종 2일 후에 약 50%의 클로로필 a가 감소되었고, 4일 후에 약 70%, 7일 후에 약 80%의 클로로필 a가 감소되었다. 이들 결과는 M1~M4 남세균생장 억제 균주가 유해한 M. aeruginosa를 제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algae growth inhibiting microorganism to biologically control Microcystis aeruginosa, which is a harmful cyanobacterium. Various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in this study, and four bacterial strains of M1~M4 exhibited remarkable growth inhibiting activity against M. aeruginosa. Based on the 16S rRNA analysis, the isolated M1~M4 strains were identified, and isolated four strains were rod-type and gram-negative. In particular, as well as respective single strain, co-culture of the isolated M1~M4 strains showed obvious algicidal activity against M. aeruginosa. When mixed four strains were inoculated, about 50% of the chlorophyll a was reduced after two days, about 70% after four days, and about 80% after seven days. From these results mentioned above, the four bacterial strains may contribute to the control of harmful M. aeruginosa.

      • 구상나무 種子의 충실도가 發芽 및 幼苗생장에 미치는 영향

        정윤수 건국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8 建國自然科學硏究誌 Vol.9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가 원산지로 되어있는 구상나무의 종자 중량이 발아력과 유묘의 수고 및 비대생장에 어떠한 수준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파악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공시 종자는 한라산의 표고 1,350m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수령 약 50년생으로 추정되는 구상나무 15주에서 채취한 것이었다. 이들 종자를 중량별로 5개 계급으로 분리해서 1995년 12월 10일부터 50일간 냉습층 처리하였다가 1996년 2월 1일에 파종하여 607일간 발아와 생장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종자 중량에 따른 발아율의 성적은 종자의 중량이 중간계급인 실험구가 기타 실험구에 비해서 다소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인정되고 있지 않다. 종자의 발아 소요일수 측정결과 또한 각 실험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파종한지 70일 후에 측정한 유묘의 생중량에 있어서 실험구간에는 1%의 유의성이 인정되고 있다. 종자의 중량이 가벼운 실험구의 유묘는 실험기간동안 중량이 무거운 다른 실험구에 비하여 신장생장과 비대생장의 수준이 저조한 현상을 나타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파종 후 모든 실험구의 초기 생장곡선은 완만한 상태이었으나 파종 후 450일이 경과한 이후부터는 신장생장량 및 비대생장량 모두가 급속히 증가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구상나무는 5~6월간에 제 1차 생장을 하고 7~8월간에 제 2차 생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젓나무류가 생육특성상 유묘의 생장률이 매우 낮은 편인데 구상나무도 예외는 아니었다. 따라서 구상나무 유묘의 생장량을 촉진시킬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연구과제로 남게된다. This study is about Abies Koreana which is one of the most unique species of trees in Korea. The study was conducted to discover how much the seed weight effects the growth of germination and seedlings. The seed was taken from natural trees distributed at the height of 1,350m above the altitude as Mt. Halla. The seeds were cleansed and segregat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weight and storaged at how temperature of 4~5℃ for 50 days in advance of sowing. Germination and growth are observed and experimented for 607 days after sowing on Feb. 1, 1996. The results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 Viewed from statistical point, the significance was unrecognizable of the rate of germination between experimenting plots according to the seed's weight. It was however significant in between the plots in raw weight of seedlings at 70 days after sowing. The more seed weights, the higher seeding growth and the larger root-collar diameter is, The initial incremental curve of seedlings in all experimenting plots showed slow and moderate growth in the height of seeding and root-collar diameter, but began to grow rapidly after passage of 450 days from the sowing.

      • KCI등재

        생태복원지에 식재된 낙엽활엽수종의 이식 후 생장량 분석을 통한 관리기간 설정 연구

        이수동,배순형 한국환경생태학회 202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6 No.5

        The growth of trees planted through transplantation rapidly decreases immediately after planting due to extreme disturbances such as root cutting and crown damage. Although the growth rate is recovered as time elapses, the time required to restore the original growth varies by spec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t an appropriate tree management period for survival after transplantation by analyzing each species' annual growth chang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growth amount of deciduous broad-leaf species planted in the area where the riparian ecological belt was formed and proposed the management period based on the results. Slowed growth immediately after planting is a common phenomenon due to root cutting and pruning, the pre-works performed to increase tree survival rate during the transplantation process. Afterward, the original growth rate is recovered as time passes, but the time required may vary depending on the species and planting environment. Most of the trees showed a rapid decrease in growth immediately after transplantation. After that, although it is different for each species, most of them showed a gradual recovery from 2 years onwards. The analysis of the growth rate by tree species confirmed that it took 2 to 4 years, depending on the tree species, to recover the growth level before transplantation after a rapid decrease in growth immediately after transplant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improving the defect rate of planted trees is necessary to meet the project objectives: ecological restoration and pollutant reduction. It requires setting a tree management period of at least two years and creating an appropriate base environment. 이식 과정을 통해 식재된 수목은 뿌리 절단, 수관 훼손과 같은 극단적인 교란으로 인해 식재 직후 생장량은 급격히 감소한다. 이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원래의 생장량을 회복하는데 이때 소요되는 시간은 수종별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식 후 활착을 위한 수목관리를 위해 수종별 연간생장량의 변화를 분석하여 적정 관리 기간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변생태벨트 조성 지역에 식재된 낙엽활엽수를 대상으로 생장량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적정 관리 기간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식과정에서 수목 활착율을 높이기 위해 시행하는 사전 작업인 뿌리돌림, 단근, 가지치기 등으로 인해 식재 직후의 생장량 둔화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이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원래의 생장량을 회복하게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수종별, 식재 환경 등에 따라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수목은 이식 직후 급격한 생장량 감소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후 수종별로 상이하긴 하나 대부분 2년 이후부터 서서히 생장량을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별 생장량을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이식 직후 급격한 생장량 감소를 보인 후, 이식전의 생장 수준을 회복하기 까지는 수종에 따라 2~4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 로, 생태복원 및 오염물질 저감이라는 본 사업의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식재한 수목의 하자율 개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적정한 기반환경을 조성하는 것 외에 최소 2년간의 수목 관리기간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참나무류 묘목의 단근 및 이식밀도가 생장특성에 미치는 영향

        나성준,김장수,우관수,이재천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6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조림수종인 참나무류의 건전하고 효율적인 묘목생산을 위한 적정 단근길이와 이식밀도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상수리나무와 졸참나무의 단근길이별 묘목생장에서 5 cm로 단근된 묘목은 10 cm 및 15 cm로 단근된 묘목보다 저조한 지상부 및 뿌리생장을 나타내었고, 10 cm로 단근된 묘목은 15 cm로 단근된 묘목과 유사한 생장을 나타내었다. 이식밀도별 묘목생장에서는 64본/m2 이하의 이식밀도 처리구가 81본/m2 이상의 이식밀도 처리구보다 우수한 생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묘목의 우수한 생장과 이식작업의 효율성 등을 고려할 때, 상수리나무와 졸참나무 1-0묘의 이식은 주근을 10 cm로 단근하여 64본/m2의 밀도로 이식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상수리나무와 졸참나무의 양묘 시 우수한 생장을 나타내는 묘목을 생산하고, 두 수종의 초기 이식생장을 이해하는 기초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reasonable root pruning and transplanting density for efficient production of seedlings of Quercus species, which is a representative planting species in Korea. Seedlings of Q. acutissima and Q. serrata, which were pruned roots by 5 cm, showed poorer above-ground and root growth compared to those pruned by 10 cm and 15 cm, and growth performance of seedlings pruned by 10 cm was shown similarly those pruned by 15 cm. The growth performance of seedlings transplanted in the density of below 64 seedlings per m2 was greater than those transplanted in the density of over 81 seedlings per m2. Therefore, one-year-old seedlings of Q. acutissima and Q. serrata should be transplanted in the density of 64 seedlings per m2 after pruning their roots by 10 cm to obtain excellent growth performance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plan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eline for producing superior seedlings of Q. acutissima and Q. serrata at nursery and understanding early transplanting performance of the species.

      • KCI등재

        용기종류에 따른 자작나무 용기묘의 생장 및 생리적 특성 변화

        이하나,최규성,송기선,성환인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5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조림수종이자 북한 산림 복구에 활용이 예상되는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Hara)의 용기묘 생산에 필요한 적정 용기 개발에 관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고자 수행되었다. 상기 목적에 따라 실시된 실험에서 자작나무를 용적과 생육밀도가 다른 용기에서 생육시켜 생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용기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임업시설양묘용 플라스틱 용기 6종(KK-SI 500, SI 350, KK-SI 350, KK-SI 320, KCNR-SI 300, KCNR-SI 250)을 사용하였으며, 생장이 활발한 8월과 생장이 끝난 10월 총 2회에 걸쳐 생장을 측정하였다. 수고, 근원경 생장과 묘목 전체 건물생산량은 1차와 2차 측정 모두 SI 350 용기에서 각각 32.0 ㎝, 2.81 ㎜, 1.04 g과 38.6 ㎝, 3.89 ㎜, 2.52 g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이에 따른 묘목품질지수 또한 SI 350에서 0.184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WinRHIZO 프로그램을 이용한 뿌리형태 특성 분석에서도 전체뿌리길이는 SI 350에서 3345.6 ㎝로 가장 길었고, 뿌리 투영단면적과 및 표면적, 뿌리부피 또한 전체뿌리길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종합적으로, KK-SI 500보다 구 용적이 더 작은 SI 350에서 생장이 우수했다는 점에서 용기의 형태 또한 자작나무 용기묘 생장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an appropriate container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container seedlings of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Hara, which is one of major tree species in country and is expected to be used for restoring forest in North Korea. An experiment was implemented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B. platyphylla var. japonica by making them grow in containers that were different in volume and growth density. As for the containers used in this study, six kinds of domestic plastic containers for container nursery were used: KK-SI 500, SI 350, KK-SI 350, KK-SI 320, KCNR-SI 300 and KCNR-SI 250. The growth of the trees were measured twice, each in August when active growth took place, and in October when their growth was finished. Both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measurements, the container SI 350 was the highest in terms of height growth, root-collar diameter growth and the dry mass production at 32.0 ㎝, 2.81 ㎜, 1.04 g and 38.6 ㎝, 3.89 ㎜ and 2.52 g, respectively. Quality index(QI) also was the highest value in the container SI 350 at 0.184. When a WinRHIZO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oot forms, the total length was the highest value in the container SI 350 at 3345.6 cm and the projected cross sectional area, surface area and volume of the root also showed a similar tendency to the total root length. Overall, the form of the containers also exerted a big influence on the growth of the seedlings of B. platyphylla because the seedling in the container SI 350 that was smaller than the container KK-SI 500 in cavity volume attained better growth.

      • KCI등재

        종가시나무 임분의 솎아베기에 따른 흉고직경 및 재적생장 모니터링

        윤준혁,배은지,손영모,전형국,이광수,정수영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5 No.4

        본 연구는 종가시나무의 솎아베기에 따른 흉고직경 및 재적생장 변화를 위해 수행되었다. 솎아베기 시험구는 재적을 기준으로 약도 및 강도의 처리를 하였고, 생장변화는 솎아베기를 실시하지 않은 대조구와 상대적인 비교를 실시하였다. 솎아베기 실시 7년 후 결과는, 흉고직경의 경우 강도의 솎아베기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뚜렷한 생장차이가 나타났다. 7년간의 정기평균생장량 역시 강도의 솎아베기 처리구가 대조구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약도의 처리구 흉고직경생장 변화는 대조구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7년 후의 재적생장 변화는 처리구별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정기평균생장량 역시 강도의 처리구가 수치적으로 간벌 후 재적생장량이 높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적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종가시나무 임분의 솎아베기 처리에 따른 생장변화는 입목들의 공간 확장에 따라 강도의 처리구에서 흉고직경생장 변화가 나타났다. 그러나 입목본수 감소에 따라 재적생장은 처리구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diameter and volume increment according to thinning treatments of the Quercus glauca stands. The thinning treatments were treated with light and heavy based on volume. Increment chang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hinning treatments and control group. Seven years later, the diameter of breast height in heavy thinning treat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DBH incre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periodic annual increment of the heavy treatment was also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change of diameter increment of the light thinning treat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volume increment change after 7 yea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treatment groups. And the periodic annual increment of the heavy thinning treatment was numerically high,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conclusion, the increment change by the thinning treatments of the Quercus glauca stands was changed in the diameter of the heavy thinning treatment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growth space of the standing trees. However, volume incremen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y thinning treatments according to the decrease of number of standing tre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