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자원봉사 활동과 지역사회 역량에 관한 지역사회 소속감 매개효과 연구: 보건복지부 노인전문자원봉사 지원사업 참여노인들을 대상으로

        이금룡,김진원 한국노년학회 2019 한국노년학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volunteering on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community capaci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nse of commun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ing variables(the period and satisfaction of volunteering) and the community capacity as well. Study population is 1,416 elderly volunteers who participated in the government-sponsored elderly volunteer program for prevention of depression and suicide in 2016. The results show that the experience of volunteer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community capacity among the older participants. As for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the sense of community has a perfect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period of volunteering and the community capacity,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volunteering satisfaction and the community capac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자원봉사활동이 노인의 지역사회 소속감과 지역사회 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이 관계에서 지역사회 소속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에서 활용된 자료는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에서 2016년 보건복지부의 노인자원봉사 활성화 지원사업으로 수행하고 있는 우울․자살예방 노인전문자원봉사 지원 사업에 참가한 2,544명 중 사전․사후에 모두 응답한 1,416명이 분석 대상이다. 연구방법은 빈도분석, 기술분석을 통해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주요변수의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다중회귀분석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고, Sobel test를 통해 지역사회 소속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자원봉사활동 기간 동안 노인들의 지역사회 소속감과 지역사회 역량이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자원봉사활동 관련 변인과 지역사회 역량과의 관계에서 지역사회 소속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본 사업 이전의 봉사활동 기간에서 완전 매개, 본 사업에 대한 봉사활동 전반적 만족도에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소속감이 봉사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역량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파악하고 노인자원봉사활동이 지역사회를 통하여 소속감과 지역사회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는 이론적 함의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교회사회봉사 역량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이광수(Jin Hee Seomun),서문진희(Kwangsu Lee) 한국기독교학회 2015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95 No.-

        본 연구는 교회사회봉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대전 지역에 위치한 열방침례교회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교회사회봉사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은 첫째, 사회봉사역량 강화 필요성 조사, 둘째, 교회구성원들의 사회봉사역량 진단, 셋째, 사회봉사훈련 프로그램 기획, 넷째, 사회봉사훈련 프로그램 실행, 다섯째, 사회봉사훈련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실시 사전과 사후에 사회봉사인식도를 측정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봉사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training program to empower the church social service and the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program in the case of Daejeon Yeolbang church where the social welfare ministry is very required. The procedure of program development consists of 5 steps: 1) examination of ministry empowerment necessity, 2) diagnosis of church families` social welfare ministry empowerment, 3) program development of social service training, 4) program execution of social service training and 5) effectiveness analysis of social service training. The results of paired samples t?test which was applied to compare the degree of social service recognition before/after the church social service training program showed that the program improved church families` degree of social service recognition in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was effective to empower the church social welfare.

      • KCI등재

        자원봉사 인정과 보상이 청소년의 지역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자원봉사 만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우정자 ( Woo Jung-ja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保健社會硏究 Vol.32 No.2

        이 연구는 자원봉사 인정 및 보상과 청소년의 지역 사회자본과의 관계를 밝히고, 이 관계에서 자원봉사 만족이 조절의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조사대상자는 자원 봉사 인정과 보상이 진행되고 있는 유스센터와 종합사회복지관의 청소년 자원봉사자 156명이었고, 기술통계, 위계적 회귀분석, 일반선형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자원봉사 만족이 청소년의 지역 사회자본 요소 중에서 규범과 사회적 연계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원봉사 인정과 보상이 지역 사회자본 요소 중 에서 사회적 연계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원봉사 인정보상과 사회적 연계망과의 관계에서 청소년 자원봉사자가 느끼는 만족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이 낮은 집단 보다는 높은 집단에서 인정과 보상이 사회적 연계망에 미 치는 영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자원봉사 만족이 높지 않으면, 인정 및 보상이 청소년의 지역 사회자본에 미치는 효과가 극대화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원봉사 만족을 낮게 느끼는 청소년 자원봉사자에게 인정과 보상을 주어야 하며, 자원 봉사 만족을 높게 느끼는 청소년 자원봉사자에게는 더욱 격려하고 그 활동과 정신을 높이 인정 보상해주어 지역 사회자본을 확대하는 전략을 고려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the recognition and reward for youth volunteers relates to the norm, trust, and network of community, and whether or not the volunteer satisfaction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56 youth volunteers belonging to youth centers and social welfare agencies with a system of recognition and reward for their services. This research utilizes descriptiv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general linear modeling. The results show that the recognition and reward for youth volunteer affects the norm and the network. It is found that the volunteer satisfaction plays a moderating fun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and reward for volunteer and the norm and the network. In volunteers with a high level of volunteer satisfaction, the recognition and reward for volunteer affects relatively greater the social capital of community when compared to volunteers with a low level of volunteer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recognition and reward of youth volunteer to make the social capital maximum, if the volunteer satisfaction of youth is not high.

      • KCI등재

        대학 및 지역사회 특성에 부합한 대학 사회봉사센터 운영전략에 관한 연구

        박창우(Park, Chang-Woo)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8

        본 연구의 목적은 우수한 사회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는 대학들의 사례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대학 사회봉사활동 운영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였고, 대학사회봉사 전문가로부터 추천받은 5개 대학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자가 제안한 사회봉사활동 운영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봉사는 대학의 의무이고 사회봉사가 학생들을 성장시킨다는 사실들을 대학구성원에게 주지시켜, 사회봉사에 대한 대학구성원들의 인식을 변화시켜야 한다. 둘째, 실적위주의 형식적인 봉사교육보다는 학생들이 봉사활동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여건(사회봉사 전담교수 확보, 사회봉사 1강좌 당 수강인원 제한, 봉사활동 후 적절한 피드백)을 우선 마련해야 한다. 셋째, 대학 및 지역사회의 특성에 따른 맞춤형 봉사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지역사회 욕구조사 및 지역사회 복지기관과의 네트워크 형성이 필요하다. 넷째, 충분한 예산 확보, 안정적 조직 구축, 봉사규정 제정 및 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육부 차원에서 사회봉사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고, 사회봉사평가는 특성화 프로그램 개발노력, 지역사회 특성에 맞는 독창적인 프로그램 수행여부, 프로그램의 성과 확인 등 정성적 평가 위주로 실시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s of universities that carried out excellent social service activities, and to establish strategy to operate social service activities in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nd examined five universities as recommended from experts of university social service. Strategies to operate social service activity as this study proposes are as below. First, the fact that social service is the obligation of a university and helps students grow must be known to the members in the universities and their perception on social service must be changed accordingly. Second, environments in which students can grow through service activity (securing of professors exclusively for social service, limit of attending students per the lecture for social service, appropriate feedback following the social service) must be prepared above all, rather than service education for the formality"s sake just based on the records. Third, service programs tailored to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ies and communities must be developed. This requires survey on needs/desires of communities as well as formation of networks with welfare institutions in communities. Fourth, securing a sufficient budget, establishing a stable organization, legislation of service regulations and development of manuals are needed. Lastly, assessment of social service from the level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needed and assessment of social service must be conducted focused on qualitative outcome assessment such as effort to develop specialized programs, whether or not creative programs match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ies were carried out and confirmation of outcomes of the programs.

      • 대학 및 지역사회 특성에 부합한 대학 사회봉사센터 운영전략에 관한 연구

        박창우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05

        본 연구의 목적은 우수한 사회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는 대학들의 사례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대학 사회봉사활동 운영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였고, 대학사회봉사 전문가로부터 추천받은 5개 대학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자가 제안한 사회봉사활동 운영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봉사는 대학의 의무이고 사회봉사가 학생들을 성장시킨다는 사실들을 대학구성원에게 주지시켜, 사회봉사에 대한 대학구성원들의 인식을 변화시켜야 한다. 둘째, 실적위주의 형식적인 봉사교육보다는 학생들이 봉사활동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여건(사회봉사 전담교수확보, 사회봉사 1강좌 당 수강인원 제한, 봉사활동 후 적절한 피드백)을 우선 마련해야 한다. 셋째, 대학 및 지역사회의 특성에 따른 맞춤형 봉사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지역사회 욕구조사 및 지역사회 복지기관과의 네트워크 형성이 필요하다. 넷째, 충분한 예산 확보, 안정적 조직 구축, 봉사규정 제정 및 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육부 차원에서 사회봉사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고, 사회봉사평가는 특성화 프로그램 개발노력, 지역사회 특성에 맞는 독창적인 프로그램 수행여부, 프로그램의 성과 확인 등 정성적 평가위주로 실시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대학 사회봉사센터의 운영에 관한 사례 연구

        김안나,박창우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14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13 No.-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사회봉사센터 기능을 정립시킴으로써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사회봉사 활동을진행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였고, 현재 활발하게 사회봉사활동을 실천하고 있는 강원 소재 A대학을 사례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A대학은 사회봉사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사회봉사 전담조직, 인력, 예산을 확보하였고, 학생들의 전공역량 및 잠재력을 강화시키는 전략을 사용하였으며, 학점․장학금 등 인센티브 제공, 재미있는 봉사활동 기획 등으로 봉사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였다. 또한 A대학 사회봉사센터는 지역의 유명관광지 혹은 지역축제를 활용한 봉사활동을 기획․실천하고 있으며, 지역사회 복지기관과의 연계를 통하여 봉사학생들이 봉사를 할 수 있는 수요처를 개발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각 대학에서 사회봉사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사회봉사 전담조직 및 인력 확보, 학생 및 지역사회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봉사프로그램 개발, 지역사회 복지기관과의 체계적인 연계활동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et up functions of a university’s social service center, laying afoundation for well-arranged and effective social volunteer activities. For this study, the methodof case study is applied, with a university ‘A’ located in Gangwon-Do, which is currentlypracticing active social works, being selected as a target.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university has secured a responsible organization, staff and budget in order to promote socialvolunteer works, and used a strategy of enhancing students' capabilities in their major fields andtheir potential. In addition, the university attracted students' participation by offering incentivessuch as benefits of grades or scholarship or planning interesting activities. The university'ssocial service center has planned and is actually practicing social works using materialsincluding famous tourist attractions or local festivals. ‘A’ University is making a lot of effortsto explore source of demand where students can contribute to, being linked to local socialwelfare centers. Based on the study result, it is suggested that individual universities secure aresponsible organization with staff, develope volunteer service programs tailored to the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a local community, and be linked to local community welfarecenters.

      • KCI등재후보

        대학 사회봉사활동 발전 전략 연구 : S대를 중심으로

        오봉욱(Oh, Bong-Yook),이윤정(Lee, Yun-Jeong) K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학리뷰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사회적 책임과 대학생의 인성 증진을 위해 진행되는 사회봉사 수업에 대해 조사하고, 사회봉사 1수업을 이수 중인 대학생 855명을 대상으로 대학 사회봉사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발전 전략이 무엇인지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C도 S대는 대학 사회봉사 활성화를 위해 사회봉사 관련 전문가를 중심으로 사회봉사 전담기구를 운영하고, 봉사학습의 의미를 위해 사회봉사 담당 교수제를 통해 전문성 강화에 관심이 높다. 이와 관련하여 사회봉사 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은 사회봉사 담당교수와 봉사활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봉사활동 수요처의 개발과 봉사활동 시간, 경제적 지원에 대한 건의사항이 제시되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봉사학습의 교육과 전공연계 및 봉사활동처의 지속적인 개발, 봉사활동 시간 조정과 경제적 지원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ocial service classes conducted to enhance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universities and the personality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find out what development strategies are needed to revitalize university social service for 855 college students who are completing the social service 1 class. To this end,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order to promote community service at universities, C-do S University operates a dedicated organization for social service agency, focusing on experts related to community service, and is interested in strengthening its expertise through a system of professors in charge of community service for the meaning of service learning. In this regard,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community service classes positively evaluate the social service professor and volunteer work. However, suggestions were made on the development of service demand sources, service hours, and economic suppor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education of volunteer learning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major-associated and service offices, the adjustment of volunteer time and economic support.

      • 자원봉사자의 사회적·경제적 가치분석 - 사회서비스 산업을 중심으로

        이철선,이연희,남상호,김진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본고에서는 소득 양극화와 고령화 및 저출산 현상으로 가중되고 있는 복지예산 절감과 재정지원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사회서비스 인력의 보완 요인으로서 자원봉사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우선, 개인과 기업으로 나누어 한국의 자원봉사 연혁과 현황, 그리고 특징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자원봉사활동이 가지는 막연한 의미를 산업연관분석과 인터넷 설문조사를 통해 사회적·경제적 가치를 산정하였다. 세 번째로 자원봉사의 재확산을 위한 선결과제인 7가지 주요 이슈를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자원봉사활동이 성장기로 재진입하는 데 필요한 정책적 방향과 세부 과제를 제시하였다. 그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 주요 연구 결과 우선, 한국의 자원봉사 역사를 살펴보면 현재 도입기를 거쳐 재정립기에 도달한 것으로 파악된다. 한국의 자원봉사 역사는 지역 주민들이 관혼상제 의식을 상부상조로 해결했던 삼한시대의 `계`와 `두레`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후 일제 강점기 시절 YMCA와 YWCA 등 서양의 기독교 기반관련 단체 주도로 민족계몽운동으로 이어지다가 광복 후 1960~70년대에 들어서는 자원봉사가 적십자운동 및 새마을운동과 연결되면서 조직적으로 이루어지는 확립기를 맞이한다. 이후 1978년부터 1990년까지는 사회복지협의회·자원봉사센터와 같은 자원봉사활동 관련 조직이 설립되고, 올림픽 등 정부 행사에 자원봉사자로 일반인이 참여하면서 확대기를 맞이한다. 1990년 후반부터는 지방자치단체의 출범에 따른 정부 참여와 자원봉사활동 기본법 등 제도적 장치, 그리고 관련 부처의 자원봉사 전담부서 설립 등으로 정부 주도의 재정립기를 지나고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한국의 자원봉사 현황을 살펴보면 우선 질적으로 4가지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첫째는 자원봉사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는 것으로 과거의 단순 노동력 제공에서 전문기술이 적용된 재능기부·전문봉사, 그리고 근래에는 금품 등 물적나눔과 생명나눔(헌혈, 장기기증)으로 확대되고 있다. 둘째는 자원봉사 제공 형식이 변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기존의 자원봉사는 활동처 방문이 필수적이나 최근에는 인터넷, 모바일폰, 태블릿PC 등을 이용한 온라인 자원봉사가 등장하고 있다. 셋째는 자원봉사 주체 측면에서 영리법인인 기업과 정부가 자원봉사 정책에 관여하면서 협회나 정부 산하 기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넷째는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관리가 정부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으로 대표적인 것이 자원봉사시간 인증제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질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양적인 측면에서 한국의 자원봉사는 다소 침체기에 직면한 것으로 판단된다. 우선, 개인의 경우 자원봉사 참여율이 2009년 19.3%에서 2015년 16.3%로 감소하고 있다. 또한 1인당 자원봉사 횟수와 자원봉사 시간도 과거에 비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자원봉사의 감소 추세는 기업의 경우에서도 동일한 것으로 파악된다. 매출액 기준 1~500위 대기업들의 자원봉사 참여율은 2012년 77.8%에서 2014년 55.8%, 매출액 501~1000위인 중소·중견기업들은 2012년 48.5%에서 2015년 41.4%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감소 추세는 평균 자원봉사 비용과 사회공헌 전담 부서 존재율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셋째, 자원봉사의 감소 추세에도 불구하고 수요처는 양극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사회복지시설 중심의 보건복지부 자원봉사 수요처는 2010년 7,391개였으나 2015년 총 12,142개로 연평균 10.4%씩 증가한 반면, 기타 공공부문 자원봉사 수요처가 많은 행정자치부 수요처는 2010년 69,681개에서 2015년 41,173개로 감소하였다. 한편 개인과 기업 모두 자원봉사활동이 감소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첫째, 자원봉사활동이 전 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는 최소 1조 9,641억 원에서 최대 3조 2,924억 원으로 추정된다. 이 중 생산유발액은 최소 1조 1,008억 원에서 최대 1조 8,447억 원이고, 부가가치 유발액은 최소 863.3억 원에서 최대 1조 4,477억 원으로 추정된다. 또한 재정지원사회서비스 사업에 대한 자원봉사활동의 재정 파급효과는 최소 3조 4,007억 원에서 최대 5조 6,989억 원으로 추정되며, 이 중 생산유발액은 최소 1조 8,447억 원에서 최대 3조 1,983억 원, 부가가치 유발액은 최소 1조 4,921억 원에서 최대 2조 55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자원봉사활동이 재정지원 사회서비스 사업을 보완하는 인력은 54,021명~90,528명으로 추정되었다. 결국 정부는 최소 1조 1,359억 원에서 최대 1조 9,035억 원의 인건비 예산을 절감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자원봉사를 통해 얻게 되는 사회적 이해도 등 사회적 편익은 자원봉사자 717만명을 기준으로 할 때, 1년간 최소 4,189억 원에서 최대 1조 3,644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원봉사자 1인당 사회적 편익 8,854~28,814원에 1년간 평균 자원봉사 횟수를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즉 자원봉사를 통해 사회적 갈등 해소를 위한 사회적 이해도가 증가된다는 것이다. 또한 한국의 자원봉사활동이 재확산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7가지 이슈에 대한 선행 해결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 첫째는 입시·취업·기업 업무 차원에서 실시되는 비자발적 자원봉사를 계속 자원봉사에 포함해야 하는가에 관한 문제이다. 둘째는 일부 지자체에서 자원봉사를 활성화하기 위해 도입하고 있는 할인카드, 마일리지 제도, 경비 제공, 기업의 인사고과 적용 등 대가성의 문제를 어느 정도까지 인정해야 하는가와 관련된 문제이다. 셋째는 자원봉사 인증제와 관리시스템의 비효율성에 관한 문제로 현재, 인증관리시스템들이 범부처와 관련 기관별로 산재해 있고, 시스템 간 연동도 완벽하지 않으며, 연동이 된다 하더라도 측정변수가 시스템 간 상이해 통계 작성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넷째는 자원봉사 수요처와 자원봉사자 간의 욕구 미스매치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수요처는 평일 중심의 자원봉사자가 필요하지만 자원봉사자는 주말 봉사를 선호하고, 기업 등 자원봉사자는 개별·전문화된 자원봉사를 선호하지만 수요처는 봉사자의 질 관리에 대한 어려움으로 단순 봉사를 원하는 경우가 많다. 다섯째는 기부가 함께 이루어지는 패키지형, 자원봉사 미경험자의 유인, 그리고 업종별 특화 형태의 자원봉사가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기업 자원봉사의 사회적 자본 축적 가능성이 큼에도 불구하고 자원봉사 수요처에 대한 정확한 정보 부족 등으로 수요처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발생하는 등 기업 자원봉사에 비효율성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여섯째는 최근의 자원봉사 감소가 정부의 재정지원 사회서비스 사업의 확대 때문이라는 논쟁이다. 장기요양보험 등 일부 경력단절 여성을 고용하는 재정지원 사회서비스 사업이 확대되면서 독거노인 대상의 돌봄 자원봉사가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일곱째는 복지부가 국회에 새롭게 발의한 나눔기본법안과 자원봉사활동 기본법의 상충 가능성이다. 나눔기본법안에 자원봉사활동이 포함되어 있어 법체계상 나눔기본법안의 국회 통과와 상위법 여부, 그리고 주무부처의 상이성으로 인해 부처 간 시너지효과 발생이 의문시되기 때문이다. 3. 결론 및 시사점 우선, 정책 방향에서 정부는 한국의 자원봉사활동이 성장기에 재진입 할 수 있도록 기업 등 초기 다수자들이 자원봉사에 대해 가지고 있는 정보 리스크를 감소시키고, 자원봉사 시장 규모 확대를 위하여 나눔문화와 사회적 경제조직 등을 수요처로 포괄하는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세부적으로는 촉진제도 도입과 시스템 및 제도의 정비,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세부 과제 추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첫째, 촉진제도에서는 기업과 개인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나눔기본법에서 추진하고 있는 세제 혜택과 더불어 자원봉사 대가를 할인 등 금전적 보상이 아닌 헌혈과 같은 재정지원 사회서비스로 보상하는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마을기업, 사회적 기업 등 사회적 경제조직을 자원봉사 활동처로 등록시켜 현재 감소하는 수요처를 보완하는 과제도 요구된다. 둘째, 자원봉사활동의 시스템 정비 차원에서는 우선 기업 자원봉사활동 관련 포털 시스템을 구축하고, 기업이 원하는 자원봉사 활동처의 투명성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해 회계 등 자원봉사 활동처에 대한 정보 정비와 범부처 인증관리시스템 간의 지표 통일 및 연계 등이 필요하다. 셋째, 제도 정비 차원에서는 입시제도 내 자원봉사 시간의 축소와 기업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시간등록제 허용, 그리고 기업 대상 자원봉사교육 파견제도입과 자원봉사 활동처의 회계자료 공시 등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구축 차원에서는 정책의 실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행자부의 자원봉사진흥위원회 내 사무국 설치와 자원봉사 관련 정부 산하 기관 및 자원봉사센터들로 구성된 범부처 자원봉사 네트워크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volunteering as a potential source for reducing the financial burden of welfare spending that has been growing with increasing income disparities and advancing population aging. Volunteering is considered in this study also as a supplement to the social service workforce employed in government-subsidized work programs. This study first briefs the history and features of volunteering in Korea on the individual and corporate levels. Secondly, we estimate the socioeconomic value of volunteering based on our internet survey and our analysis of the potential of volunteering in the industrial context. Thirdly, we identify priority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in the effort to promote volunteering. Lastly, this study presents policy recommendations, and further discusses what should be done, to promote the voluntary sector. Our conclusion points to the need to reduce the risk of information on volunteering that the early majority (including enterprise entities) encounters. Increased policy attention is needed to foster a culture of sharing. Some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including social enterprises) need to be recognized as “organizations in need of volunteers.” In addition, policy measures should be redesigned to better incentivize volunteering.

      • 한국 기독교 성육신의 영성과 사회봉사

        이강학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2010 교회와 사회복지 Vol.13 No.-

        본 논문은 한국 기독교의 영성운동과 사회봉사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먼저, 기독교 영성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기독교 영성학자 샌드라 쉬나이더스(Sandra Schneiders)의 영성의 정의를 바탕으로 기독교 영성이 무엇인가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위에서 살펴본 정의를 바탕으로 기독교 영성이 사회봉사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기독교 영성과 사회봉사의 관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두 가지 운동 즉, 귀일원과 다일공동체를, 그 출발점과 사회봉사의 관계, 영성훈련의 특징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두 운동 모두 예수를 사랑하고 예수를 따르려는 것이 모든 활동의 동기였으며, 특히 사회봉사활동은 그 동기에서 나오는 자연스러운 영성훈련이었다.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Christian spirituality and social service. First, it deals with the definit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Using the definition of spirituality by Sandra Schneiders, this paper explores various aspects of Christian spirituality. Second, based on the definition, it develops how Christian spirituality relates to social service. Finally, this paper explores two representative Christian spiritual movements, Guiilwon and Dail Community, focusing on its beginning, its perspective on social service, and spiritual practices. In sum, for both movements, the motivations are to love and follow Jesus Christ and all their activities including social service have been naturally flowed from those motivations.

      • KCI등재

        대학생의 비대면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손지유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대학생의 비대면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손 지 유*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비대면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이 연구는 비대면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한 대학생 4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t-test, χ2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비대면 사회봉사 필요성에 대해 상당수 대학생들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비대면 사회봉사에 대해 상당수 대학생들이 만족하고 있으며, 자기 계발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라 비대면 사회봉사의 필요성 및 만족도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비대면 사회봉사에 참여하게 된 동기에 따라 봉사활동의 지속의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이 연구는 대학생의 비대면 사회봉사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연구로 대학의 비대면 사회봉사가 활성화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핵심어: 대학생, 비대면 사회봉사, 사회봉사인식, 사회봉사만족도, 사회봉사 □ 접수일: 2022년 7월 7일, 수정일: 2022년 7월 26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인천대학교 기초교육원 객원교수(Professor, Incheon National Univ., Email: jiyu0413@inu.ac.kr)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Non-face-to-faceVolunteer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Jiyu S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non-face-to-face volunteer activities. This study targeted 422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non-face-to-face volunteer activities. and for th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Chi square test were conducted. First, a considerable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d the need for non-face-to-face volunteer activities. Second, many university students are satisfied with non-face-to-face volunteer activities, and it was helpful for self-development.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ecessity and satisfaction of volunteer activities according to gender. Four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illingness to continue volunteer work according to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non-face-to-face volunteer activities. This study is thought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activating non-face-to-face volunteer activities at universities. Key Words: University Students, Non-face-to-face Volunteer Activities, Perception of Volunteer Activities, Satisfaction with Volunteer Activities, Volunteer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