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세기 5장 1-3절의 한글 번역과 기능에 관한 고찰

        하계상 한국구약학회 2015 구약논단 Vol.21 No.4

        창세기 5:1-3은 대부분, 본질적으로 창세기 1:26-28의 반향(反響, echo)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그 사실을 전혀 파악하지 못한 것처럼, 한글 성경 역본들은 창세기 5:1-3을 미흡하게 번역해 놓았거나 그 번역에 일관성이 없다. 따라서 한글 성경 역본들에서 창세기 5:1-3의 번역을 바람직하게 고치고 그 번역에 일관성을 부여하며, 그 과정에서 창세기 1:26상, 27에 대한 한글 성경 역본들의 번역에도 부분적인 수정을 가하는 것이 본 논문의 첫째 목표이다. 따라서 논자는 BHS의 히브리 본문에 비추어 특히 히브리어 명사 첼렘(~l,c,., “형상, image”)과 더무트(tWmדְּ, “모양, likeness”), 히브리어 전치사 버(בְּ, “in”)와 커(כְּ, “after, according to”), 그리고 히브리어 동사 아싸(hf'[', “만들다, make”)와 바라(ar'B', “창조하다, create”)에 대한 번역과 그 번역의 일관성 여부에 주목하면서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그리고 창세기 1:26상, 27과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고려하면서 창세기 5:1-3의 기능을 파악하는 것이 본 논문의 둘째 목표이다. 본 연구는 이 두 목표를 염두에 두고 공시적/문학적 관점에서 창세기 1:26상, 27과 5:1-3의 최종 형태의 본문을 가지고 진행하며, 그 본문들에 대한 상세한 주석은 그 대상에서 제외했다. 이 연구의 결과로 ~l,c,.과 tWmדְּ, בְּ와 כְּ, 그리고 hf'['와 ar'B'의 번역들 및 그 번역들의 일관성, 그리고 그것들이 이루고 있는 평행대구 및 교차대구의 문학적인 관점을 고찰함으로써 여섯 한글 성경 역본들의 창세기 1:26상, 27과 5:1-3에 있는 여덟 종류의 미흡한 번역들이 지적되었다. 창세기 5:1-3의 기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 본문이 창세기 1:26상, 27과 갖는 밀접한 관련성 및 그 관련성의 본질을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그것들은 ~l,c,.과 tWmדְּ, 그 단어들과 결합되어 있는 בְּ와 כְּ, 그리고 hf'['와 ar'B'가 이루고 있는 절묘한 구조들에 확연히 나타나 있다. 그런데 창세기 1:26상, 27과 5:1, 3에서 ~l,c,.과 tWmדְּ이 만드는 교차대구는, 창세기 5:1, 3이 창세기 1:26상, 27과 연속성 및 불연속성이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불연속성은 아담의 범죄로 말미암아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을 거의 잃어버렸다는 것이고, 연속성은 하나님의 형상이 인간에게 여전히 남아있다는 것이다. 그 불연속성의 근거는 무엇보다도 창세기 5:3과 그 후에 이어서 전개되는 창세기 5장의 내용 자체이다. 하나님이 사람을 남자와 여자로 창조하신 것뿐만 아니라 그들을 축복하신 것은 창세기 5장의 주제가 근본적으로 생식/번식을 지향하고 있음을 지적하는데, “그들의 이름”을 아담이라고 부른 것(5:2)은 “자기 모양 곧 자기 형상과 같은 아들을 낳아 이름을 셋이라고 하”는 아담의 역할을 함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담의 바로 이 생식과 작명의 행위는 하나님이 사람을 창조하실 때 그분 자신의 모양으로 사람을 만드시고 그들의 이름을 아담이라고 부르셨던 것과 같은 맥락인 것이다(5:1b-2). 그러나 이 연속성에도 불구하고 불연속성도 나타나는 곳이 바로 여기 창세기 5:3인데, 그것은 창세기 5:1중-2이 교차대구적 상응을 그 시작과 끝에서 함으로써 독립적인 단락의 경계를 정하는 듯이 보이는 것에 이미 암시된 사실이다. 그 불연속성은, 창세기 5:3에서 언급되는 “셋”이라는 이름이 가인에 의한 아벨의 죽음과 관련하여 작명되었기에(4:25) 죽음을 암시하는 바, 아담의 범죄의 결과로 초래된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인... Genesis 5:1-3 is, for the most part, essentially an echo of Genesis 1:26-28. As if never percieving it, however, the Korean versions of the Bible undesirably render Genesis 5:1-3, and there is no consistency in the translations. So this paper first aims to correct the undesirable renderings in the Korean versions, to give consistency to the translations, and also to correct the renderings of Genesis 1:26a, 27 in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In light of the Hebrew text in the BHS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 I proceeded with this study specifically by paying attention to the translation of ~l,c,. (“image”) and tWmדְּ (“likeness”), בְּ (“in”) and כְּ (“after, according to”), and hf'[' (“make”) and ar'B' (“create”), and also to the consistency of their respective translations. The second goal of this study is to perceive the function of Genesis 5:1-3 in consideration of its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with Genesis 1:26a, 27. I proceeded with this research from a synchronic/literary perspective, with Genesis 1:26a, 27 and 5:1-3 as the texts in their final form, and a detailed exegesis of the texts was excluded.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 pointed out up to eight kinds of unsatisfactory renderings in Genesis 1:26a, 27 and 5:1-3 occurring in six Korean versions of the Bible, which are related to the translation of ~l,c,. and tWmדְּ, בְּ and כְּ, and hf'[' and ar'B', to the consistency in translations, and to the literary aspects of parallelism and chiasm. As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 of Genesis 5:1-3, both perceiving its close relationship with Genesis 1:26a, 27 and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are needed, as is clearly shown in the exquisite structures made by ~l,c,. and tWmדְּ, by בְּ and כְּ coupled with ~l,c,. and tWmדְּ, and by hf'[' and ar'B'. The chiastic structure that ~l,c,. and tWmדְּ in Genesis 1:26a, 27 and 5:1, 3 make, however, hints at the latter’s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with the former. The discontinuity is that the image of God is almost lost through the Fall, and the continuity is that the trace of the image still remains in humans, and the basis for the discontinuity lies in Genesis 5:3 and the following verses of Genesis 5. Not only God’s creating mankind male and female, but also His blessing them, points to the basic theme of Genesis 5 as procreation, because the calling of Adam as “their name” (5:2) connotes the role of Adam to beget “in his likeness, according to his image” and to call “his name Seth” (5:3). Adam’s activities of procreation and naming are in the same vein with God’s activities of making mankind “in the likeness of God” when He created them (5:1b-2). In spite of this continuity, discontinuity also appears in Genesis 5:3, which is already hinted at in that Genesis 5:1b-2 seems to delimit itself as an independent pericope by the chiastic correspondence of its beginning to its end. As the name “Seth” itself in Genesis 5:3 hints at death because of his being named in relation to Abel’s death by Cain, the discontinuity is the ‘death of mankind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s the consequence of Adam’s Fall. The discontinuity begins to be made clear in the record of Genesis 5 that “Adam ... died” (5:4-5) and is made very clear in the death of his son Seth (5:8) and of all his succeeding descendants. Last but not least is the significance of Genesis 5, which is revealed in the following broader context of Genesis—more specifically in the structural and thematic correspondence of the Genesis record of Noah with that of Abraham, and the similarity of Genesis 5:32 to 11:26. Just as Noah is the remnant (7:23b) who opens the history of the ‘New World,’ having come from the corrupt ‘Old World,’ so Abraham is the remnant who opens the history of the new people Israel (cf. 12:1-5), having come from the rebellious nations. Especially Genesis 5:32 which ...

      • KCI우수등재

        인도불교에서 중도 개념의 불연속성과 연속성 * -불타, 부파불교 , 용수의 중도설을 중심으로

        남수영(Nam, Sooyoung) 불교학연구회 2017 불교학연구 Vol.50 No.-

        논자는 본 연구에서 불타, 부파불교, 그리고 용수의 중도설을 비교하여 중도 개념의 불연속성과 연속성을 파악함으로써, 중관사상의 발생 동기 및 용수의 부파불교 법유론 비판 동기를 중도 개념의 불연속성과 연속성이라는 측면에서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본연구에서 살펴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불타는 중도를 고락중도, 유무중도, 일이중도, 단상중도 등의 의미로 사용하였지만, 부파불교의 논사들은 불타의 중도설을 고락중도와 단상중도를 중심으로 이해하였다. 불타, 부파불교, 그리고 용수의 중도설을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부파불교의 법유론은 불타가 설했던 유무중도와 단상중도의 단절과 불연속성을 함축한 다. 그러나 용수의 중관사상은 불타가 설했던 유무중도 및 일이중도와 단상중도의 복원과 연속성을 함축한다. 용수는 그 밖에도 부파불교의 법유론이 불타의 중도설만이 아니라, 사성제, 연기, 삼법인 등과 같은 불타의 근본 가르침과 세간의 도덕 관습들을 모두 올바르게 설명할 수 없으며, 오직 일체법이 연기이고, 무자성, 공, 가명, 중도임을 승인할 때에만 비로소 불타의 근본 가르침과 세간의 도덕 관습이 모두 올바르게 성립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이와 같은 고찰로부터 중관사상의 발생 동기 및 용수의 부파불교 법유론 비판 동기를 새로운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요컨대 중관사상의 발생 동기 및 부파불교 법유론에 대한 용수의 비판 동기는 불타의 중도설 복원을 통한 불타의 근본 가르침 및 세간적 도덕 관습의 복원이었던 것이다. This article tried to understand both the motive of occurrence of Madhyamika Philosophy and the motive of Nagarjuna’s critique on the Realism of Schola Buddhism, from standpoint of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Middle Way conception. In order to catch out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the conception of Middle Way, this study compared the conception of Middle Way in Early Buddhism with that of Schola Buddhism and of Nagarjuna. In Early Buddhism, the Middle Way was generally used in four conceptions; the Pain-Pleasure Middle Way, the Being-Non-being Middle Way, the Sameness-Difference Middle Way, and the Eternity-Extinction Middle Way. But the scholars of Schola Buddhism understood the Middle Way of the Buddha through two conceptions of the Pain-Pleasure Middle Way and the Eternity- Extinction Middle Way. When we compared the conception of Middle Way in Early Buddhism with that of Schola Buddhism and of Nagarjuna, we can know that the Realism of Schola Buddhism implies the cutting and discontinuity of the Being-Non-being Middle Way and the Eternity-Extinction Middle Way of the Early Buddhism, but Nagarjuna’s Madhyamika Philosophy implies the restoration and continuity of the BeingNon-being Middle Way, the Sameness-Difference Middle Way, and the EternityExtinction Middle Way of Early Buddhism. Nagarjuna proved that only when we admit that all things are the Middle Way,the basic teachings of the Buddha and the moral customs of people can be correctly established. From this, we can understand the motive of occurrence of Madhyamika Philosophy and the motive of Nagarjuna’s critique on the Realism of Schola Buddhism from a new perspective. In short, the motive of occurrence of Madhyamika Philosophy and the motive of Nagarjuna’s critique on the Realism of Schola Buddhism were the restoration of basic teachings of the Buddha and moral customs of people through the restoration of Middle Way theory.

      • KCI등재

        칼뱅, 축자영감설의 창시자인가?

        양신혜(Shinhye Yang)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9 현상과 인식 Vol.33 No.3

        칼뱅과 칼뱅주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문제는 칼뱅주의자들의 정체성에 관한 것으로 여전히 큰 의미가 있다. 한국의 칼뱅주의는 칼뱅과 17세기 후기개혁정통주의를 계승한 것으로 정의되며, 이러한 신학은 축자영감설에 근거한 성서 이해를 그 특징으로 삼고 있다. 또한 성서 이해는 장로교단의 분열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축자영감설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칼뱅과 칼뱅주의의 연속성이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최근 칼뱅의 성서 영감 연구를 세 부류, ‘축자영감설’, ‘사상영감설’그리고‘인격적영감설’로 나누어 각각의 이론적 토대를 살펴봄으로써 해석학적 거리를 통해 나타나는 다양성을 드러내고 그 다양성이 지닌 시대의 물음에 대한 대답으로써, 신학의 의미를 생각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칼뱅의 영감 이해에 관한 논쟁에서 제기된 다음의 쟁점들을 중심으로 칼뱅과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추적하였다. 칼뱅의 영감을 축자영감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학자들이 내세운 논증들로 (1) 특별계시이자 성서의 신적 본질로서‘독트리나’(doctrina)에 대한 이해 (2) 성서의 신적 본질을 담보하기 위한 논증의 근거로‘받아쓰기’(dictare)와 (3) 하나님의‘전능성’, 마지막으로 (4) 하나님의 말씀과 성서의 본질적인 일치를 찾아냄으로써, 하나님 이해를 칼뱅의 원본을 통해서 그 불연속성관계를 분명하게 드러내어 칼뱅 이후에 형성된 축자영감을 새롭게 이해하는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This subject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Calvin and Calvinists”is related to the identity of the Calvinist. It is defined that the Calvinists in Korea have followed Calvin and post-reformedorthodoxy of the 17th century and their theology is characterized by the verbal inspiration regard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ible. Because this had the large effect on the separa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this study aims to give the investigation into what way different Calvinists’ understanding of the inspiration is related to that of Calvin’s. I classified the various interpretations in recent research into three groups, the verbal inspiration, the understanding of the inspiration that is how only the Holy Spirit inspires the content of the Bible related to the salvation of Jesus Christ and personal inspiration. Then, I examined the theological basis of the verbal inspiration and showed, how Calvinists got into the following argument: (1) the term of doctrina as divine essence of the scripture and as specific revelation, (2) arguments over the verb dictare and (3) the omnipotence of God for the basis of inerrancy of the scripture, (4) correspondence between the term the ‘Word of God’and the ‘scripture’. Finally, I showed distinctively discontinuity between Calvin and Calvinist by Calvin’s text and I tried to understand again the meaning of verbal inspiration.

      • KCI등재

        성경의 권위에 대한 베자의 이해 -칼빈과 베자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관계에서-

        양신혜 ( Shinhe Yang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57 No.-

        17세기에 등장한 회의주의는 종교개혁의 논제인 성경의 권위에 대한 의심을 낳았다. 이로써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성경의 신적 권위에 대한 논증이 이 시기에 논의의 주제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는 베자의 인식론 이해의 주요 주제로서 칼빈과 그 이후의 정통주의자들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판단하는 주요 기제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베자의 성경의 신적 권위에 대한 논증을 주제로 삼아, 칼빈과 그 뒤를 잇는 정통주의자들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첫째, 칼빈의 초안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프랑스 개혁교회의 『프랑스신앙고백서』(1559)를 비교 분석하였다. 『프랑스 신앙고백서』는 베자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이루어진 신앙고백서로서 칼빈과 베자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판단하는 주요 문서이기 때문이다 둘째, 베자의 교리문답서인 『기독교교리에 대한 질문과 답변』(1570)에서 그가 어떻게 성경의 신적 권위를 논증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베자는 정경으로서의 성경의 권위, 기록된 말씀으로서의 권위 그리고 성경의 신적 권위를 나타내는 객관적 표식을 강조하여 성경의 신적 권위를 나타내고 있음을 밝혔다. 베자는 성경의 신적 권위를 담보하기 위하여, 하나님과 필경사로서 선지자와의 인격적 관계를 강조하는 칼빈의 방법을 넘어서, 성경의 신적 본질을 증명하는 객관적 증거와 정경으로서의 권위를 강조하는 방식으로 발전시켰다. 하지만, 이는 칼빈과 베자의 불연속성을 논증하는 근거가 아니라 오히려 당시의 이성과 믿음을 분리하려는 시대적 정황에 대한 교회의 답변으로, 성경의 권위를 의심하는 시대에 대항하여 성경의 신적 권위를 논증한 것이다. 그러므로 베자는 칼빈과의 동일한 논지에서 성경의 권위를 유지하여 칼빈과 연속성을 담보하고 있다고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The skepticism in the 17<sup>th</sup> century gave birth to doubts about the authority of the Bible which was the foundation of the Reformation. Thus, the divine authority of the Bible as the Word of God became the subject matter for discussion in the 17<sup>th</sup> century. How to prove the divine authority of the Bible was a main theme of Beza’s epistemology and, at the same time, a litmus test to determine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Calvin and his later orthodox followers.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the question of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Calvin and those orthodox theologians who owed debts to him, centering on Beza’s argument for biblical divine authority. To solve this question, I firstly looked into the French Reformed Church’s “The French Confession(1559)” which originated from Calvin’s preliminary theological draft. “The French Confession(1559)” was a revision of Calvin’s first draft by Beza and his co-workers. Some scholars even claim that Beza was its main revisionist. Since “the Confession (1559)” is closely related to Calvin and Beza, it is appropriate to investigate it to judge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Calvin and Beza. Secondly, I examined how Beza demonstrated the divine authority of the Bible in his “A Little Book of Christian Questions and Responses(1570).” I have found out that in that book Beza defended the divine authority of the Bible by means of highlighting three points, that is, the authority of Scripture as a canon, its authority as a written Word, and the objective signs that support the divine authority of Scripture. I also pointed out that while Calvin elevated the divine authority of Scripture by emphasizing God’s personal,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prophets as a secretary, in addition to that argument, Beza highlighted all the more Scripture’s divine nature and its authority as a canon. However, such additions on the part of Beza is not an evidence for the discontinuity between Calvin and Beza, rather a response of the Church to the contemporary context where reason and faith are drifting apart. I argue that Beza’s theological shift was an desperate attempt to demonstrate the divine authority in times when the authority of the Bible was being challenged and doubted. Therefore, I conclude that Beza maintained the authority of the Bible as much as Calvin did on the same theological ground and Beza has continuity with Calvin on this matter.

      • KCI등재

        칼뱅, 축자영감설의 창시자인가?: 칼뱅과 칼뱅주의자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양신혜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9 현상과 인식 Vol.33 No.1·2

        This subject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Calvin and Calvinists”is related to the identity of the Calvinist. It is defined that the Calvinists in Korea have followed Calvin and post-reformedorthodoxy of the 17th century and their theology is characterized by the verbal inspiration regard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ible. Because this had the large effect on the separa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this study aims to give the investigation into what way different Calvinists’ understanding of the inspiration is related to that of Calvin’s. I classified the various interpretations in recent research into three groups, the verbal inspiration, the understanding of the inspiration that is how only the Holy Spirit inspires the content of the Bible related to the salvation of Jesus Christ and personal inspiration. Then, I examined the theological basis of the verbal inspiration and showed, how Calvinists got into the following argument: (1) the term of doctrina as divine essence of the scripture and as specific revelation, (2) arguments over the verb dictare and (3) the omnipotence of God for the basis of inerrancy of the scripture, (4) correspondence between the term the‘ Word of God’and the ‘scripture’. Finally, I showed distinctively discontinuity between Calvin and Calvinist by Calvin’s text and I tried to understand again the meaning of verbal inspiration. 칼뱅과 칼뱅주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문제는 칼뱅주의자들의 정체성에 관한 것으로 여전히 큰 의미가 있다. 한국의 칼뱅주의는 칼뱅과 17세기 후기개혁정통주의를 계승한 것으로 정의되며, 이러한 신학은 축자영감설에 근거한 성서 이해를 그 특징으로 삼고 있다. 또한 성서 이해는 장로교단의 분열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축자영감설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칼뱅과 칼뱅주의의 연속성이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최근 칼뱅의 성서 영감 연구를 세 부류,‘ 축자영감설’,‘ 사상영감설’그리고‘인격적영감설’로 나누어 각각의 이론적 토대를 살펴봄으로써 해석학적 거리를 통해 나타나는 다양성을 드러내고 그 다양성이 지닌 시대의 물음에 대한 대답으로써, 신학의 의미를 생각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칼뱅의 영감 이해에 관한 논쟁에서 제기된 다음의 쟁점들을 중심으로 칼뱅과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추적하였다. 칼뱅의 영감을 축자영감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학자들이 내세운 논증들로 (1) 특별계시이자 성서의 신적 본질로서‘독트리나’(doctrina)에 대한 이해 (2) 성서의 신적 본질을 담보하기 위한 논증의 근거로‘받아쓰기’(dictare)와 (3) 하나님의‘전능성’, 마지막으로 (4) 하나님의 말씀과 성서의 본질적인 일치를 찾아냄으로써, 하나님 이해를 칼뱅의 원본을 통해서 그 불연속성 관계를 분명하게 드러내어 칼뱅 이후에 형성된 축자영감을 새롭게 이해하는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카오스모스 시학과 김지하 담시의 구조형성방식 -「비어(蜚語)」와 「똥바다」를 중심으로

        김란희 ( Kim Ran-hee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9 국제어문 Vol.45 No.-

        본고는 김지하 담시의 구조형성 방식을 카오스모스 시학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 언급하는 카오스모스 시학이란 현대시학이 추구하는 다의성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서 현대 과학이 다루고 있는 우연성, 불확정성, 개연성, 애매모호함, 다가치성 등을 예술에 접목시켜 시학적 지평을 학제간의 영역으로 넓혀보고자 하는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카오스와 복잡성에 대한 현대 과학의 발전은 하나의 시학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것은 불연속성, 복잡성, 자기 조직화 이론으로 대변되는 카오스모스 시학으로 문학 텍스트의 복잡성과 밀도, 결 등을 은유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하나의 도구가 될 수 있다. 이는 김지하 시인 스스로가 담시 발표 이후 꾸준히 카오스모스와 자기조직화의 시론을 내세우며 민중의 노래(민요와 판소리, 각설이 타령, 배뱅이 굿 등)가 대표적인 카오스모스와 자기 조직화의 사상을 보여주는 예술장르라고 밝힌 점과도 일치 한다. 본고에서 민중 문학이 현실을 반영하는 지시적 코드로만 평가받았던 연장선에서 벗어나 김지하 텍스트에 대한 시학적 접근의 도구로 카오스모스 시학을 택했던 것은 김지하의 담시 텍스트가 지니고 있는 지시성과 애매성, 복잡성, 다층성 등을 동시에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이는 김지하 담시에서 감지되는 혼돈과 질서, 질서와 혼돈이라는 역설적 정합의 미학을 시학적 차원에서 규명해보고자 하는 작은 시도라 할 수 있다. <불연속성과 복잡성>, <자기 방해의 패턴>, <자기조직화의 원리>로 대표되는 카오스모스 시학을 통해 살펴본 김지하 담시는 불연속성과 복잡성의 조우를 통해 선형적이고 직선적인 줄거리로부터 벗어난 것처럼 보이지만 나름대로의 질서를 형성하면서 전체성에 복무하고 있는 다층성을 지니고 있다. 이는 `혼돈 속의 질서`라는 역설적 정합 과정을 통한 담론의 조직화로, 기왕의 민중 문학이 지녀왔던 단성성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시적 창조를 보여줌과 동시에 오히려 메시지를 한층 더 강화해내는 효과를 낳고 있다. 또한 모순 어법을 통해 모순적인 의미의 충돌과 혼합을 통한 언어의 테크닉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풍자의 결을 다층적으로 보여주는 효과를 낳고 있다. 이는 서로 다른 언어의 이질성이 융합되어 제 3의 의미를 생성해내는 시 담론의 조직화 방식으로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텍스트의 다의미성은 형성되며 독자들은 당시의 시대 상황을 다층적으로 지각하게 된다. 아울러 담시를 이루고 있는 각각의 분리된 이야기는 스스로 자기 조직화를 꾀하면서 더 넓은 영역 안에서 통합되고 있는데, 그것은 마치 단순한 것들이 에너지를 이용해 결합하면서 복잡한 것으로 변해가는 자기 조직화 논리와 맞닿은 것으로, 우연적 요소가 필연적 기제로 작동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 안에서 각각의 요소는 불연속성과 복잡성이라는 상호 교호 작용을 통해 자기 조직화를 이루어내고 있다. 이에 따라서 김지하 담시 텍스트에서 그동안 읽혀왔던 지배/ 피지배, 억압/피억압, 권력층/민중의 이분법적 대립 구도는 이러한 분리와 결합의 간섭과 충돌 과정을 통한 열림과 닫힘의 끊임없는 언어적 실험으로 다시 읽을 수 있는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into the Kim Ji-ha`s lay structure-forming method in terms of "chaosmos poetics". The chaosmos poetics refers to a method that integrates the accidentality, indeterminacy, probability, ambiguity and muti-valuableness which modern poetics addresses with art and attempts to expand the poetics horizon to the interdisciplinary sphe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the equivocality which modern poetics seeks.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science on chaos and complexity made one poetics possible, which could be a tool which would metaphorically look to the complexity, density and texture of literary texts with a chaosmos poetics represented by discontinuity, complexity and self-organization theories. This coincides with an assertion that poet Kim Ji-ha has claimed that popular songs("minyo", or folk song, "pansori", or traditional Korean narrative song, "gakseolitaryeong" or singing beggar`s ballards and "Baebaengi gut", or Baebangi`s shaman ritual, etc) are the art genre showing the thought of the representative chaosmos and self-organization while steadily promoting the poetics of chaosmos and self-organization since the release of the selfproclaimed narrative poetry. In this study, the reason why I chose the chaosmos poetics as a tool for the poetic approach to Kim Ji-ha texts, deviating from the prolongation that has been only evaluated as a reference code which popular literature reflects reality is because I looked to a point that I could simultaneously examine the reference, ambiguity, complexity and multi-layeredness which his lay texts carry. This could be a little attempt that tries to explore into the paradoxically thesis-antithesis aesthetics of chaosmos vs order and order vs. order which is sensed in Kim Ji-ha lay from the perspective of poetics. The Kim Ji-ha lay which were investigated via chaosmos poetics represented by "discontinuity and complexity", "self-obstructive pattern", and "self-organization principle", seem to be deviated from a curved and linear storyline via an encounter of discontinuity and complexity but have their-own multi-layeredness that both shapes order and serves to wholeness. This is both an organization of the lay via a paradoxical thesis-antithesis process of the so-called "order in chaos" and a mani -festation of the new poetic creation beyond the limit of the unisexuality which the past popular literature held, simultaneously giving rise to an effect that enforces a message much more. And Kim Ji-ha lay show a language technique through the conflict and mix of contradictory meanings via a oxymoron, which brings about an effect that demonstrates the texture of satires in a layeredness way. It would be a poetic lay-forming way which generates the third meanings as a result of the heterogeneity of different languages being converged each other. Thus, the multi-meaningfulness of the text is formed and readers perceive their contemporary multi-layered circumstances. Further, the differently separate stories which consist of a lay seeks a self- organ -ization on their own and are integrated into a wider sphere, which is connected to the logic of the self-organization of as if simple objects are combined each other by using an energy and transformed into a complex thing, accidental elements functioning as a necessary mechanism. As it were, each element seeks a self-organization via an interaction of discon -tinuity and complexity in the mechanism. Hence, the dichotomical confrontation scheme of the ruling/the ruled, the suppressing/the suppressed and power class/the populace that have been read in the Kim Ji-ha lay texts thus far would be newly read with a ceaseless language experiment of opening and closing via the inter -ference and conflict of such separation and combination.

      • KCI등재

        Continuity, Innovation and Discontinuity in the Second Vatican Council

        클라우스 샤츠(Klaus Schatz)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신학과 철학 Vol.- No.28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연속성 그리고/혹은 불연속성의 문제는 그것의 해석의 정통성과 그 의도들의 충실성에 관한 다른 문제들과 연결되어 있다. 연속성 최종점으로서 텍스트로서의 공의회 불연속성 여정으로서 사건으로서의 공의회 불연속성의 요소들: 일반적으로 이전 시대에 우세하였던 경향들 (트리엔트 이후, 반자유주의와 반근대주의) 과의 관계에 있어서 어떤 방향의 변화보다 특별한 것; 1)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고유의 특징; 공의회의 책무를 부정적이고 부분적인 길로서(‘이단’에 대한 문책과 ‘남용’과의 싸움)가 아니라, 시대의 소명에 대하여 하느님의 말씀으로부터 신학적이고 영성적인 응답을 하는 것으로 이해 2) ‘교회 현대화’로서의 개혁 (주로 임시적인 ‘폐습’을 철폐하여 이상적 상태로 되돌려 놓는 것이 아니라, 시대의 요구에 개방하는 것) 3) 교회 교리의 ‘배타주의적’ 요소의 변형과 차별화 4) 이전에 다소 ‘비정통적’이라고 거부되었던 (가톨릭 계몽주의, 자유주의 기톨릭사즘, ‘근대주의’), 가톨릭시즘의 과거 쇄신운동의 재건, 5) 몇몇 공의회의 확인사항들이 단지 보조적인 것일 뿐만 아니라, 실제로 즉각적으로 진행 중에 있는 시대의 교도권적 주장과도 맞아들어갔다. - 특별히 종교 자유의 문제에 있어서 ‘연속성으로서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이전의 균일한 전통과의 ‘단절’은 없었다. 문제: 실제의 단절, 불연속성과 인식의 전환들에 직면하여 보다 높은 연속성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몇 가지 검토한 점들이 있다. 1)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공의회 반세기 이전부터 다소간 시작된 장기적인 교회 발전에 뿌리를 두고 있다. 2) 교회의 전통은 정적이거나, 항상 일정하거나 균일한 실재가 아니다. 그것은 신념과, 선택과 실천의 살아있는 역동적인 네트워크이다. 이곳에도 역시 ‘르네상스’의 지역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직전 과거의 교의와 전통이 사라지고 옛날의 전통을 회복하는 것이다. 낭만주의시대 이래 채택되어온 살아있는 유기체의 생물학적 모텔은 인간 역사에 충분히 적용될 수 없다. 르네상스에 속했던 인류 역사에서는 과거의 시대로 되돌아갔고 전통은 잊혀졌다. 3) 그러나 제2차 바티칸의 많은 새로운 관점들에 대하여, 『사목 헌장』 에서의 세상 현실과의 새로운 관계에 관한 것처럼, 종교의 자유에 관하여, 비그리스도교 종교에 대한 존중에 관하여, 비그리스도교인과 무신론자의 구원 가능성에 관한 낙관에 관하여, 유다이즘에 대한 새로운 평가와 교회의 반유대주의 전통의 거부에 관하여, 이 답이 충분할 수는 없다. 이러한 입장은 역사적으로 새로운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하느님과 인간 개인에 대한 그리스도인으로서의 개념에 뿌리를 두지 않고 근대성을 순수하게 적용한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종교 자유의 문제에 있어서 어느 순간 인간 존엄성의 근본적 가지가 ‘가톨릭 국가’에 대한 이상 같은 교리의 껍질을 깰 것이다. 혹은 신학적으로 말해서 교회 전통은 죽음과 부활을 통하여 나가야만 한다. 그리고 성령의 연속성은 순간적이며 역사적으로 상대적인 죽음의 불연속성을 통하여 나아간다. The problem of continuity and/or discontinuity of Vatican II is linked with other problems regarding the authenticity of its interpretation and the fidelity to its intentions: Continuity Council as text as final point Discontinuity Council as event as way Elements of discontinuity: Generally a certain change of direction in relation to the prevalent tendencies of the preceding (post-Tridentine, anti-liberal and anti-modernistic) times. More especial: 1) The peculiar character of Vatican II: understanding the task of the Council not in a negative and partial way (as condemnation of ‘heresies’ and fighting against ‘abuses’), but rather as a theological and spiritual response from the word of God to the call of the times. 2) Reform as ‘aggiornamento’ (not primarily as abolition of temporary ‘abuses’ returning to an ideal state, but opening to the needs of time). 3) Differenciation or modification of the ‘exclusivistic’ elements of ecclesiatical doctrine. 4) Rehabilitation of previous reform movements in the catholicism, which formerly had been rejected as more or less ‘unorthodox’ (Catholic Enlightenment, Liberal Catholicism, ‘Modernism’). 5) Some conciliar affirmations do not only complement, but really correct the magisterial assertions of the immediate preceding time. - Especially in the question of religious liberty no ‘hermeneutic of continuity’ is possible. But: there was not a ‘rupture’ with a preceding homogeneous tradition! The problem: How can be described an higher continuity faced with real ruptures, discontinuities and paradigm-shifts? Here some reflections: 1) Vatican II is rooted in long-term ecclesiastical developments, which began more ore less a half century before the Council. 2) Ecclesiastical Tradition is not a static, uniform and homogeneous reality, but a dynamic and living network of convictions, options and practices. Here is also the place for ‘Renaissances’, that is recovery of former traditions connected with the dismissal of traditions and doctrines of the immediate past. The biologic model of a living organism, adopted to the Church since the time of romanticism, cannot be applied fully to human history. To human history belong Renaissances, returns to former times and to forgotten traditions. 3) But for many new perspectives of Vatican II, as for the new relation to the worldly realities in Gaudium et Spes, for religious liberty, for the esteem of the non-Christian religions, for the optimism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salvation of Non-Christians and even atheists, for the new valuation of judaism and the rejection of the Church’s own anti-Jewish traditions, this answer cannot be sufficient. These positions are historically new. But that does not mean that they have no roots in the Christian conception of God and the human person and that they would pure adaptation to the modernity. E.g. in the issue of religious freedom: In a certain moment the fundamental value of personal dignity will break the shell of a doctrine like that of the ideal of ‘Catholic State’. Or, theologically speaking: ecclesiastical tradition must go through death and resurrection; the continuity of the Spirit proceeds through the discontinuity of the death which is temporary and historically relative.

      • 바울의 종말 신학과 부활 신앙 : 고린도전서 15:35-50에서 σῶμα의 의미

        김의창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2021 Torch Trinity Journal Vol.24 No.1

        The intention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Pauline Eschatology and resurrection faith based on his argument in 1 Cor 15:35-50. Especially this article focuses on Paul’s use of σῶμα in the passage and how it is related to his other expressions related to the resurrection, such as “natural body” and “spiritual body.” This article also examines Paul’s understanding of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the resurrection. Thus this article suggests a new understanding of σῶμα, contrast to the current Korean translations. Lastly, this article will briefly deal the significance of Pauline Eschatology and his resurrection faith. Paul explains the discontinuity of the resurrection through many contrasts, but at the same time, he highlights that the transformation of the resurrection is continuously related to the body. This is due to the present significance that the future resurrection has in the lives of believers. Thus Paul exhorts the Corinthian believers to live the present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resurrection. 본 논문은 고전 15:35-50의 논의를 바탕으로 바울의 종말 신학과 부활 신앙을 고찰한다. 특별히 본문에서 바울이 사용하는 σῶμα(몸)에 대한 논의에 주목하며 그것이 바울의 다른 표현들(육신적인 몸, 신령한 몸 등)의 의미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부활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에 대한 바울의 이해를 살펴본다. 본 논문은 35-50절에 대한 석의와 분석을 바탕으로 바울의 논의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σῶμα을 ‘형체’로 이해한 기존의 번역 대신 ‘몸’으로 대체할 것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바울의 종말신학과 부활신앙에 대한 이해가 현재 우리에게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 살펴본다. 바울은 자신의 설명 가운데에서 여러 대조의 표현을 통하여서 부활의 불연속성을 강조하지만, 그와 동시에 그는 부활의 변화가 동일하게 ‘몸’과 관련 있다는 것을 함께 강조하였다. 그것은 바울이 미래에 있을 부활의 사건의 중요성이 현재 믿는 자들의 삶 가운데 가지고 있는 현재적 의미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바울은 부활에 이해를 바탕으로 고린도 성도들에게 현재를 바르게 살아갈 것을 권고한다.

      • KCI등재

        애딘버러 선교대회와 애니미즘 선교 ―애니미즘과 복음 사이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중심으로

        장남혁 한국선교신학회 2010 선교신학 Vol.24 No.-

        1910년 에딘버러 선교대회는 8개 분과로 나뉘어서 진행되었다. 그 가운데 제4분과는 “비기독교 종교에 대한 선교 메시지” (The Missionary Message in Relation to Non-Christian Religions)를 다루었다(Stanley 2009: 33). 4분과는 20명으로 구성되는데, 그들은 각기 애니미즘, 중국 종교, 일본 종교, 이슬람교, 힌두교를 다루는 다섯 개의 하위 위원회 (sub-committee)로 나뉘어졌다 (Stanley 2009: 209-11). 각 하위 위원회의 의장이 자기 그룹에 해당되는 분야에 대해서 논의한 후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Stanley 2009: 211). 그리고 전체 의장인 케언즈 (Cairns)는 설문지 문항과 더불어 각 장의 결론과 전체 보고서에 대한 결론을 작성하였다 (Stanley 2009: 211-2). 4분과 위원회는 대회를 앞두고 선교단체 스태프들과 선교사들에게 설문지를 보내고 그 결과를 취합하였다. 185편의 응답서신을 받았는데 65편이 힌두교에 대한 보고서였고, 38편은 중국 종교, 29편이 이슬람, 28편이 일본 종교, 그리고 25편이 애니미즘적 전통 종교에 대한 응답서신이었다. 애니미즘적 전통 종교에 대한 답신들 가운데 14편이 아프리카로부터 온 것이고 5편이 네덜란드령 인도에서, 네 편이 인도와 미얀마에서, 그리고 라오스와 파라과이에서 각각 한 통이 왔다 (Friesen 1996: 8-9). 4분과에서 이슈가 된 것은 다른 종교를 신봉하는 자들을 어떠한 태도로 접근하느냐 하는 것이었다. 4분과 보고서는 전반적으로 많은 선교사들이 타종교에 대해서 발전시켜 온 공감적이고 우호적인 태도를 보여주지만 (Cracknell 1995: 197-8), 그와 더불어 적대적이고 전투적이며 승리주의적인 태도 또한 찾아볼 수 있다. 4분과에 대한 현대 학자들의 관심은 다른 일곱 분과들에 대한 일반적인 무관심과 두드러지게 대조된다. 4분과의 주제를 다루는 관점에 따라서 그 당시뿐만 아니라 오늘날까지 극명하게 대조되는 진영들이 형성된다. 그러한 사실은 오늘날까지 그 주제가 얼마나 주요한 핵심 쟁점인지를 잘 말해준다 (Stanley 2009: 245). 아프리카 교회 출신의 일부 신학자들은 4분과 보고서가 전통 종교들에 대해서 매우 부정적인 견해를 드러낸 것으로 보고 매우 비판적으로 평가하지만, 대다수 학자들은 그 보고서가 타종교에 대한 이해와 공감적 관계 (sympathetic rapprochement)를 촉진시키는 종교 신학을 태동시켰다고 본다 (Friesen 1996: 5). 4분과 보고서 가운데 특히 애니미즘을 다루는 부분은 애니미즘과 복음 사이의 연속성을 강조하고 접촉점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시킨 점에서 종교신학적으로 크게 기여하였다. 하지만 애니미즘 선교가 애니미즘과 성경적 관점 양쪽 모두에 대해서 충실한 것이 되려면, 연속성과 아울러서 불연속성을 분별적으로 바라보고 접근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필자는 복음과 애니미즘 사이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올바른 조합을 이루는 접근법을 4분과 보고서의 소수 견해 가운데 찾아볼 수 있었다. 상기 보고서의 애니미즘 부분은 애니미즘을 “영들에 대한 신앙”으로 규정하는 타일러(E. B. Tylor)의 정의로 시작된다 (RC IV 1910: 6; Friesen 1996: 33). 타일러는 애니미즘 이론을 크게 두 영역으로 나누었다. 첫째는 죽음 혹은 몸의 파멸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생존할 수 있는 개별적 피조물의 영혼에 관한 것이고, 둘째는, 능력 있는 신들의 계급을 형성하는 다른 영들에 관한 것이다 (RC IV 1910: 6). 요하네스 워넥(Johannes Warneck) 또한 애니미즘에 대해서 타일러와 유사한 정의를 내린다. “애니미즘은 영혼 숭 ... The Edinburgh 1910 Missionary Conference marked the beginning of a new approach regarding other religions for the Protestant Church. Before the conference, the traditional Protestant theologians and missionaries tended to take the negative attitudes toward other religions. Most of them had emphasized onl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ospel and other religions. But coming out of the conference,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took the positive attitudes towards other religions. The fulfillment theory, which became the dominant theory related to other religions at that time period, has been given great credit for bringing about such change. According to the fulfillment theory, God's revelations are left in fragments within other religions. And those fragmentary yearnings of other religions can be completed or fulfilled only by abiding to the Christian faith. Through the influence of the fulfillment perspective, missionaries tried to find similar phenomena between animism and the Gospel. They tried to find points of contact in order to evangelize the peoples of other religions. According to the report of Commission IV, “The Missionary Message in Relation to Non-Christian Religions,” the points of contact are the following; the Supreme Deity, the immortality of the souls and the life after death, sacrifice, rudimentary consciousness of morality and the dim consciousness of sin, prayer to the chief Spirit, and finally respect for human beings and their community. However emphasizing only the similarities between animism and the Gospel is not enough, as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remain vivid. Even though the fulfillment theory greatly contributed to establishing points of contact for evangelistic purpose, it was also proved to have weak points. As the fulfillment theory tended to overemphasize the continuity between animism and the Gospel, it was sometimes unable to clarify the differences. The spirit world of animism is very similar to the biblical perspective. However appropriating the similar aspects between them is not enough in propagating the Gospel. In proclaiming the Gospel, one has to emphasize the different aspects between them. If differences are not discerned or clarified in the process of evangelizing the animists, the new believers might be lured into the syncretism, or fall prey to heretical movements. Usually in converting to Christian faith, the new believers with animistic backgrounds tended to come in groups. In the process the confrontations between the sources of power of former belief and the new one is inevitable. Without such a confrontation, the newly converted usually tend to backslide into their former beliefs. And that is why in evangelizing the animists, the preachers need to discern the continuity as well as the discontinuity between the animism and the Gospel. In the report of commission IV, the dominant view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fulfillment theory. It tended to emphasize the continuities between animism and the Gospel, while it failed to accentuate the differences or the discontinuities between them. However, the minor view in the report submitted by Johannes Warneck and the Lutheran pietistic missionaries maintained a good balance between the continuities and the discontinuities. According to Warneck, the point of contact is like a nail in the wall. The nail itself is useful to hang a picture, yet the picture is quite different from the nail. According to him, the points of contact are convenient tools for propagating the Gospel. They do not have to be similar phenomena to other religions which has to be completed in the Christian faith. Furthermore, the minor view emphasizes that missionaries should be prepared to nurture the new converts with the Word of God, without which the changes in the perspectives from animism to the biblical ones would not occur. In that case, the new religion will only degenerate into another form of animism. Nowadays, animistic religions reappear with ne...

      • KCI등재

        불연속성과 분열의 민족 담론

        양재훈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4 인문학연구 Vol.36 No.-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of the Korean Writers Alliance claimed a national literature but it opposed the nationalism which claim the primordial or perennial nation. Contrariwise, it focused on the inflection point which a nationality recognize itself as a nation. In this sense, nation is not a specific community which gain its identity by differentiate itself from the others, but the signifiant represent the universal experience it gets when it pass a specific historical stage. The nation in this meaning, was a community which unify itself by an immanent division. 해방 직후 문학 장에서는 민족에 대한 전혀 다른 사고를 가진 담론들이 경합하고 있었 다. 이러한 경합 가운데 분단 이후 남과 북에서 제각각 고착화된 민족 개념과는 다른 담론 이 존재했다. 그중에서도 조선문학가동맹의 민족문학론은 민족 이데올로기에 곧잘 따라붙 곤 하는 공동체의 역사적 연속성과 동일성 대신에 불연속성과 분열을 근거로 민족을 사유 한다. 그들은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민족체가 스스로를 민족으로 인식하고 내세우게 되는 계기로서의 역사적 변곡점에 관심을 기울였다. 이들이 주목하는 민족은 타자로부터 자신 을 구별하며 단일한 정체성을 확보하는 특수한 공동체가 아니라, 그러한 공동체가 근대의 충격에 의해 겪게 되는 보편적인 역사적 경험을 대표하는 기표로서의 민족이었다. 그것은 타자와의 구분을 통해 자신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자체의 내적 분할을 통해서만 스스로 를 통합하는 집단으로서의 민족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