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DS-CDMA 셀룰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적응변조방식을 이용한 Truncated Type-II Hybrid ARQ 방식과 최대비 합성 다이버시티 기법에 의한 성능 개선
양재훈,김지웅,강희조 한국정보통신학회 200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5 No.4
본 논문에서는 DS-CDMA 셀룰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고속의 전송데이터를 전송할 시스템을 이루기 위해 적응변조 방식을 적용한 Truncated Type-II Hybrid ARQ 방식을 제안했다. 여기서, 나카가미 페이딩 채널 환경으로 적응변조 방식을 해석하였다. 적응변조 시스템은 나카가미 페이딩 지수에 따라서 변조 레벨과 심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Eb/No가 높거나 나카가미 페이딩 지수 m이 높을 경우 이 시스템은 높은 변조 레벨과 높은 심볼율을 선택하여 전송 효율을 증가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반대로, $E_b/N_0$가 낮을 경우, 전송 성능 감소를 막기 위해 낮은 변조 레벨과 낮은 심볼율을 선택한다. 변조 방법으로는 QPSK 16QAM, 64QAM, 256QAM을 채용하였다. Truncated Type-II Hybrid ARQ 기법에 의한 적응변조 방식은 실시간 (delay-limited)처리 및 고신뢰도가 요구되는 이동 통신 및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This paper proposes a Truncated Type-II Hybrid ARQ scheme using an adaptive modulation system to achieve high throughput data transmission systems for DS-CDM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In this paper, the adaptive modulation system analyzed in Nakagami (m-distribution) fading channel environment. The adaptive modulation system controls the modulation level and symbol rate according to the Nakagami fading parameter( m). When the received Eb/No is high or the Nakagami fading parameter m is high, the propose system selects higher modulation level and higher symbol rate to increase throughput. On the other hand, this system selects lower modulation level and lower symbol rate to prevent throughput performance degradation when the received Eb/No is low. The modulation method have been adopted QPSK 16QAM, 64QAM, 256QAM. Therefore, adaptive modulation systems with Truncated Type II Hybrid ARQ Scheme is proper for mobile and radio data communication system that require high reliability and delay-limited applications.
나카가미 페이딩 환경에서 Truncated Type-II Hybrid ARQ 방식과 최대비 합성 다이버시티 기법에 의한 적응변조방식의 성능 분석
양재훈,강희조 한국전자파학회 2001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2 No.5
본 논문에서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의 전송데이터를 전송할 시스템을 이루기 위해 적응변조 방식을 적용한 Truncated Type-II Hybrid ARQ 방식을 제안했다. 여기서, 나카가미 페이딩 채널 환경으로 적응변조 방식을 해석하였다. 적응변조 시스템은 나카가미 페이딩 지수에 따라서 변조 레벨과 심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E$_{b}$ /N$_{0}$가 높거나 나카가미 페이딩 지수 m이 높을 경우 이 시스템은 높은 변조 레벨과 높은 심볼율을 선택하여 전송 효율을 증가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반대로, E$_{b}$ /N$_{0}$rk 낮을 경우, 전송 성능 감소를 막기 위해 낮은 변조 레벨과 낮은 심볼율을 선택한다. 변조 방법으로는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 QAM, 256 QAM을 채용하였다. Trucated Type-II Hybrid ARQ 기법에 의한 적응변조 방식은 실시간(delay-limited)처리 및 고신뢰도가 요구되는 이동 통신 및 무선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단된다.
양재훈,임경원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4 기독교교육정보 Vol.- No.8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교회에서 발달장애인에게 신앙교육을 할 때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어려움을 극복하고 발달장애인 부서를 올바로 운영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살펴보고자 한 연구이다. 연구 방법: 이 질문에 관한 답변을 도출하기 위해 발달장애인 부서를 운영하는 수도권의 세 교회를 표집하고, 각 교회의 발달장애인 부서에서 발달장애인을 지도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개인 심층 면접과 FGI를 실시하고 3단계 코딩 과정으로 자료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문제점은 네 개의 상위범주와 여덟 개의 하위범주로, 제안 사항은 두 개의 상위범주와 여섯 개의 하위범주로 도출되었다. 문제점으로는 교사 영역, 목회자 영역, 교회 공동체 영역, 시스템의 영역 등으로 분류되었고, 제안 사항은 교회 내적 차원과 외적 차원 등으로 분류되었다. 문제점으로 제시된 항목으로는 교사의 노령화와 이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 교사를 둘러싼 관계에서 오는 갈등, 교사의 전문성 문제, 목회자와 교회 공동체의 낮은 장애 인식 수준으로 인한 문제, 그리고 부서 운영 시스템의 역량 부족과 일부 교회에 편중된 과도한 부담 등이 제시되었다. 교회 내 발달장애인 부서의 발전을 위한 제안 사항으로 교회 내 장애인식 개선과 통합교육, 교회 간 협력 네트워크 구성이 도출되었다. 또한, 교단이 발달장애인 사역의 중심점에서 체계적으로 역할을 감당해 줄 것, 신학교육 기관에서 목회자를 양성할 때 장애인 사역 교육을 할 것 등이 제안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회 내 발달장애인 부서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 이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안을 제시했다. Purpose: This research investigates difficulties and needs in spiritual education for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Christian church. Method: 10 teachers of‘Sarangbu’(class for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church) from three churches in Seoul, Incheon, and Suwon were selected for the in-depth interviews and FGI. The data were analyzed following three-step coding process. Result: Four categories of difficulties and two categories of suggestions were deducted with eight and six subcategories respectively. Firstly, for the problems aging of teachers and the subsequent problems, conflicts in relationship surrounding teachers, educational professionality, low awareness of disability of pastoral leadership group and the church community, and lack of capacity were pointed out. Secondly, suggestions such as improvement of disability awareness, promotion of inclusive education, inter-church cooperative network construction, fostering the role of Church headquarters, and the disability education in seminaries were made. Conclusion: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the development of ‘Sarangbu’as well as some ideas for the future study.
양재훈,조보람 동학학회 2024 동학학보 Vol.0 No.70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진행되는 온라인 수업의 학습자 경험을 분석하여 최근의 가상환경 시대에 적합한 학습자 중심의 수업 설계 및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에 있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K대학교에서 진행된 메타버스 활용 수업의 수강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수업만족도, 메타버스 플랫폼의 사용 경험,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 기타의견에 대한 학습자 경험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버스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의 흥미도가 높게 나타났고 학습자는 메타버스 활용 수업이 매우 유용하다고 느꼈다. 둘째, 메타버스 플랫폼사용 경험에서 참신성과 현실감은 높게 나타났고 현실감과 안정성은 다소 낮게 나타났다. 셋째, 메타버스 활용 수업은 강의식 수업에 비해 교수-학생간 상호작용과 흥미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서술형 설문의 주요 키워드는 흥미, 유익, 만족스러움, 나중에, 참신함, 어려움, 오류 등으로 나타났다. 메타버스 활용 수업을 통해 학습자는 새로운 학습을 경험하였고 아바타 활용으로 인해 수업 참여도와 흥미도가 높아졌다고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의 메타버스 활용 수업에 대한 학습자 경험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메타버스 활용 수업을 만들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ought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classes using the Metaverse by analyzing learners’ experiences in classes using the Metaverse at University K. The survey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online over three days from June 20, 2023 to June 23, 2023, and was analyzed using SPSS. First, learners’ interest in the metaverse utilization class was high, and the learners felt that the metaverse utilization class was very useful. Second, in the experience of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novelty and realism were found to be high, while realism and stability were somewhat low. Third, classes using the metaverse showed higher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interest scores compared to lecture-style classes. Fourth, the main keywords of the descriptive survey were interest, benefit, satisfaction, later, novelty, difficulty, and error. Through classes using the metaverse, learners experienced new learning, and the use of avatars increased class participation and interest. This study confirmed learners’ experiences in classes using the University metaverse. Based on this,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a direction for creating effective metaverse utilization classes.
양재훈,김진회 大田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21 社會科學論文集 Vol.- No.-
The development of the weapon system embedded software is requiringmuch more cost and complex procedures, cause it must be obtained in anintegrated form while optimized for the specific hardware platformof the weapon, and it`s survivability and reliability must be considered veryimportantly, as a slight errors could lead to a fatal problems. But, there were very little data sets available to estimate the evelopment scale andcost of weapon system embedded software in Korea, till now.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d some methods to estimate the development scale of weaponsystem embedded software through a rational estimation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functional point method to estimate the development cost of weapons systems embedded software, and non-functional factors should be used for weight evaluation to smoothly apply functional point metho
산상수훈과 한국적 재구현 -개신교 가사『연경좌담』(1923) 중 “산샹보훈가” 연구-
양재훈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9 Canon&Culture Vol.13 No.1
This article deals with J.S. Gale and Yi Chang-Chik’s Protestant Gasa collection, The Gospel as Sung (1923), especially 9 pieces of “San-Sang-Bo-Hun-Ga” (The Sermon on the Mount). Gale and Yi, who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person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Protestant mission, wrote 149 pieces of Protestant Gasa in order to help Koreans understand the gospel more easily and be meaningful in their life and faith as the Word of God. This article firstly provides basic information of this collection, and analyses its structure and contents. It also examines the literary and theological aspects of “San-Sang-Bo-Hun-Ga.” It especially compares them with the Sermon on the Mount passages in Shin-Yuck Shin-Gu-Yack-Jeon-Seo (New Korean Bible Translation) which Gale translated into Korean in 1925. This article serves as a stepping stone for further research on The Gospel as Sung as well as on many other works of Korean biblical interpretation and its representation. It suggests that Korean biblical studies need to search for various ways to contribute to the Koran Church with its own colour. 이 논문은 게일(J.S. Gale)과 이창직이 쓴 149편의 개신교 가사집 『연경좌담』(1923), 이 가운데서 특히 산상수훈 부분을 다룬 “산샹보훈가” 9편을 연구한 논문이다. 한국의 초기 개신교 선교에 있어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 게일과 그의 동역자 이창직은 사복음서가 한국인들에게 가장 쉽고 편안하게 다가오고, 성경 말씀이 한국적 맥락 안에서 그들의 삶과 신앙에 의미 있는 것이 되도록 개신교 가사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풀어내었다. 이 논문은 먼저 『연경좌담』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그 내용과 구조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가운데서 “산샹보훈가” 9편을 살폈다. 이 9개의 가사를 분석함에 있어서 그 구조와 문예적 특징을 분석하고, 이어서 이 가사에 담긴 신학적인 관점을 연구했다. 특히 게일이 1925년에 개인적으로 번역한 『신역 신구약전서』와 본문을 서로 비교해가면서 “산샹보훈가”가 어떤 신학적 색채와 해석적 관점을 갖고 있는지 분석했다. 『연경좌담』에 대한 연구가 전무하다시피 한 현실 속에서 이 논문은 후속 연구를 위한 디딤돌 역할을 할 것이다. 이 논문은 한국의 성서신학이 한국적인 색채를 가지고 한국 교회에 기여하는 방안을 모색할 것을 제안한다.
경남지방의 도태우에 불임과 관련된 난소의 형태학적 관찰 1. 난포와 황체의 출현에 대하여
양재훈,표병민,서득록,고필옥,강정부,곽수동,김종섭 한국임상수의학회 2002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19 No.2
Ovaries from total 192 slaughtered cows, 154 Korean native cows and 38 dairy cows were collected during the slaughtering process in Kimhae, Changyoung and Yangsan abattoirs in Kyungnam province from January 2001 to January 2002. Rates of pregnant and non-pregnant and ovarian findings were invested. Rates of pregnant cows in 192 slaughtered cows were 12.5% (24 cows) and in difference of cow breeds, 11.0% (17 cows) in 154 Korean native cows and 18.4% (7 cows) in 38 dairy cows from total 192 cows, respectively. Ages of fetuses in pregnant Korean native cows were mostly less than 4 months and ages of fetuses in dairy cows were mostly about 7-8 months. Cows which each diameter of follicles and corpus luteums in same cow was more than 5-6 mm in diameter were 69.8% (134 cows) in total 192 slaughtered cows and in difference of cow breeds, 64.7% (11 cows) in 17 Korean native cows and 57.1% (4 cows) in 7 dairy cows. Mean diameter of foliicles and corpus luteums in Korean native cows are 13.7±5.6×11.2±4.6mm and 17.5±4.6×14.6 ±4.0 mm in non-pregnat cows, and are 11.0±4.8×9.1±2.6mm and 21.2±2.9×18.3±2.7mm in pregnant cows, respectively. Mean diameter of follicles and corpus luteums in dairy cows are 15.8±7.1×14.3±6.0 mm and 20.3±5.9× 16.9±5.8mm in non-pregnant cows, and are 10.1±3.0×9.2±2.3mm and 23.0±1.7×20.1±1.3mm in pregnant cows, respectivley. The above findings indicate that the co-appearance rate of follicles and corpus luteums in same cows are higher in both pregnant and non-pregnant cows. Compared in pregnant and non-pregnant cow ovaries, mean size of follicles are smaller in pregnant cows but size of corpus luteums are more larger in pregnant cows than in non-pregnant cows. Correlation of the follicle size (Y) and corpus luteum size (X) in same cows developed each other in inversive size. Those correlative formulas appeared to be Y=-0.2022X+17.175 in Korean native cows and Y=-0.5754 X+24.153 in dairy co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