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중 언어 학습자의 한국어 작문에 나타난 오류 특성 분석

        홍주은,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12 다문화의사소통 Vol.1 No.1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 는 이중 언어 학습자들의 쓰기 자료에 나타난 문법 오류와 어휘 오류를 분 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중 언어 학습자의 문법 오류와 어휘 오류의 유 형과 빈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 능력이 중급 단계인 이중 언어 학습자들의 쓰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한국어로 작문이 가능한 36명의 외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단편 애니메이션을 보여준 뒤 이에 대한 감상을 주제로 한국어 작 문을 만들게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크게 문법 오류와 어휘 오류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쓰기 자료를 분 석한 결과에 따르면 총 16795개의 음절 중 총 1133개의 오류가 수집되었다. 이들 중 총 430개가 문법 오류, 총 703개가 어휘 오류로 나타났다. 문법 오 류 중에 조사 오류는 383개로 전체 문법 오류의 89.07%를 차지하였다. 그리 고 형태 오류, 사동·피동형 오류, 시제 오류의 순으로 나타났다. 어휘 오류 중에 맞춤법 오류는 591개로 전체 어휘 오류의 84.07%를 차지하였다. 그리 고 부적절한 어휘의 사용, 부적절한 음절의 생략, 부적절한 음절의 첨가 순 으로 나타났다. 문법 오류의 수와 어휘 오류의 수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나타났고, 총 음절수는 문법 오류의 수나 어휘 오류의 수와 유의미 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문법 및 어휘 오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를 배우는 이중 언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쓰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외국어와 달리 한국어 문법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조사와 관련된 부분과 음운 및 철자의 혼동으 로 인한 맞춤법 오류에 대한 활발한 학습 기회를 교수과정에 반영하여 효과 적인 한국어 쓰기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어휘와 각 어휘에 대한 정확한 뜻과 표기에 대한 충분한 지식의 확 보는 이중 언어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의사소통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고 올 것이다.

      • 이중 언어 사용자의 한국어 쓰기에 나타난 오류 특성 분석

        홍주은,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12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1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는 이중 언어 학습자들의 쓰기 자료에 나타난 문법 오류와 어휘 오류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중 언어 학습자의 문법 오류와 어휘 오류의 유형과 빈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 능력이 중급 단계인 이중 언어 학습자들의 쓰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한국어로 작 문이 가능한 36명의 외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단편 애니메이션을 보여준 뒤 이에 대한 감상을 주제로 한국어 작문을 만들게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크게 문법 오류와 어휘 오류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쓰기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총 16795개의 음절 중 총 1133개의 오류가 수집되었다. 이들 중 총 430개가 문법 오류, 총 703개가 어휘 오류로 나타났다. 문법 오류 중에 조사 오류는 383개로 전체 문법 오류의 89.07%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형태 오류, 사동·피동형 오류, 시 제 오류의 순으로 나타났다. 어휘 오류 중에 맞춤법 오류는 591개로 전체 어휘 오류의 84.07%를 차지하였다. 그 리고 부적절한 어휘의 사용, 부적절한 음절의 생략, 부적절한 음절의 첨가 순으로 나타났다. 문법 오류의 수와 어 휘 오류의 수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총 음절수는 문법 오류의 수나 어휘 오류의 수와 유의미 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문법 및 어휘 오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를 배우는 이중 언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쓰기능력을 향 상시키기 위해서는 외국어와 달리 한국어 문법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조사와 관련된 부분과 음운 및 철자의 혼 동으로 인한 맞춤법 오류에 대한 활발한 학습 기회를 교수과정에 반영하여 효과적인 한국어 쓰기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어휘와 각 어휘에 대한 정확한 뜻과 표기에 대한 충분한 지식의 확보는 이중 언어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의사소통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고 올 것이다.

      • KCI등재

        오류의 유형학 수립을 위하여: 프랑스어 오류의 새로운 이해와 교육적 활용방안

        최이정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0 프랑스어문교육 Vol.35 No.-

        Le présent article a pour but d'éclairer la nature de quelques erreurs de français sous un angle diachronique et de proposer des cadres de base à prendre en compte afin d'établir la typologie des erreurs éventuelles pour les apprenants coréens. Cette étude s'appuie sur deux études importantes de Luzzati et al. et Manesse et al. menées auprès de locuteurs natifs de français et de locuteurs étrangers. Tout d'abord, la connaissance de l'histoire du français, comme nous le constatons, par exemple dans le passage de "il est un avocat" à "il est avocat" nous permet de comprendre les relations entre l'erreur et la norme selon les époques et ainsi de mieux conceptualiser et expliquer ce point de grammaire dans un cours de langue. Ensuite, l'examen des études citées précédemment sur les typologies des erreurs nous amène à développer la nécessité d'établir une typologie des erreurs des Coréens en fonction des différentes conditions d'évaluation dans lesquelles les erreurs apparaissent. L'étude de Luzzati et al. sur la catégorisation des erreurs chez les germanophones et les hispanophones nous sert de référence pour décrire les erreurs de français et les raisons pour lesquelles les erreurs spécifiques se produisent. D'autre part, la hiérarchisation des erreurs proposée par Manesse et al. et la théorie du concept de l'accord en français de Melcuk nous fournissent les bases que devrait avoir une typologie des erreurs d'un point de vue à la fois pédagogique et linguistique. Enfin, notre tâche ultérieure - l'établissement d'une typologie des erreurs typiques commises par les apprenants coréens - nous permettra de mieux percevoir les erreurs les plus fréquentes en relation avec les caractéristiques typiques de la grammaire du français telles que l'accord. Cette étude sur la typologie des erreurs nous amène finalement à réviser en tant qu'enseignants les objectifs du cours de langue et à repenser les méthodes d'enseignement de façon qu'elles s'y adaptent. Pour que l'enseignement de la grammaire soit plus efficace, les enseignants devront intégrer les concepts de base importants de la phonétique dans les cours de langue et également proposer aux étudiants des techniques d'auto-correction telles que la relecture et la lecture à voix haute. Ceci permettra de sensibiliser les apprenants à l'importance des relations entre le son et l'orthographe dans la grammaire du français. 프랑스어 오류에 대해서는 국내 학자들의 연구가 활발한데, 이 논문들은 주로 한국 학습자들의 오류 성향 혹은 오류의 원인을 분석한 논문으로, 작문에 나타난 한국인 학습자들의 전형적인 오류의 유형을 분석한 한정길(2008)과 이경수(2008), 초급 프랑스어 학습자에게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한 정일영(2010)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장한업(2008)은 프랑스어 문장의 다시쓰기를 통해 한국인 프랑스어 학습자와 프랑스어 원어민의 문장 사용 유형을 비교함으로써, 한국인 학습자가 소홀히 하기 쉬운 문법사항들과 그 문법사항들이 적용될 수 있는 문형들을 고려한 지도방안을 권장하였다. 한편, 김혜란(2009)은 언어 오류를 해석하는 매우 다양하고 서로 상반된 이론들을 보임으로써 언어 오류를 연구할 때 주의해야 할 점들을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본 논문은 특히 한정길(2008)과 이경수(2008)에서 제시된 언어 오류의 의미를 새로운 관점-통시적인 관점-에서 조명하고 프랑스어권의 언어학자들과 언어교육학자들이 분석한 프랑스어 오류의 유형들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인 학습자에게 적합한 오류의 유형학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기반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필자는 “규칙의 성격으로 학습시킬 수 있는 구문적 특성을 교수자가 잘 파악하고 이를 교수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잘 전달하여야 한다.”는 한정길(2008:151)의 주장에 동의하면서 문법 수업에서 교수자가 직접적으로 학생들에게 가르치지 않더라도 알고 있으면 유용할 프랑스어 문법의 성립 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보다 프랑스어다운 표현을 가르치기 위해 언어의 화계(niveaux de langue)에 따라 언어 오류의 개념을 확장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 이경수(2008)에 덧붙여, 의사소통접근법을 지향하는 오늘날의 외국어 교육 현실에 비추어 우선시해야 할 교육 내용을 정하고 이에 따라 오류 간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설정하는 작업이 오류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필수적이라는 점을 주장하고자 한다. 또한 이와 함께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문법교육의 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겠다. 먼저 통시적으로 살펴볼 문법 구조는 프랑스어 어학수업에서 특히, 초급 단계의 어학 수업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다음의 문법사항들이다. 첫 번째는 <주어 + être 동사 + 직업을 나타내는 속사>, 두 번째는 <beaucoup de + 복수 명사>, 세 번째는, <부분관사 du + 단수 형용사 + 단수 물질명사>, 네 번째는 전치사를 포함한 구문으로 <en + 국가명사/대륙명/장소>, <à + 도시명>, <dans + 정관사 + 명사>, <sur + 정관사 + 명사> 구문이다. 다음으로 살펴볼 프랑스어권 학자들의 언어 오류 유형에 대한 연구는 프랑스인의 언어 오류를 분야별로 제시한 Capelovici, 스페인어를 모국어로 하는 프랑스어 학습자와 독일어를 모국어로 하는 프랑스어 학습자들의 언어 오류를 분석한 Luzzati, Lehuen, Lemeunier의 연구와 프랑스 초등학교 학습자들의 언어 오류를 분석한 Manesse, Cogis, Dorgans, Tallet의 연구이다.

      • KCI등재

        베트남인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문법적 말하기 오류 분석 연구

        김현우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베트남인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문법적 말하기 오류 분석 연구김 현 우* 요약: 이 연구는 효과적인 한국어 말하기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로 베트남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문법적 말하기 오류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교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 18명의 말하기 평가 자료를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문법적 내용을 비교하여 베트남 학습자에게 나타날 문법적 말하기 오류를 예측하였고 실제 말하기 평가를 통해 이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나타난 문법적 말하기 오류는 조사 오류, 어미 오류, 시제 오류가 있었고 대치, 첨가, 생략 오류와 시제 불일치 오류가 유형별로 나타났다. 나타난 오류를 분석한 결과 베트남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는 베트남어에서 나타나지 않는 조사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교육과 어미의 의미와 사용을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고 문법적인 내용이 익숙해질 수 있도록 실생활에서의 사용 연습을 해나가야 오류를 줄일 수 있다. 핵심어: 베트남인 학습자, 문법적 오류, 조사 오류, 어미 오류, 시제 불일치 □ 접수일: 2022년 6월 7일, 수정일: 2022년 6월 20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송원대학교 국제교육원 전임강사(Lecturer, Songwon Univ., Email: khw1903@naver.com) The Study of the Analysis of Grammatical Speaking Errors ofBeginners in Korean of VietnameseHyunwoo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grammatical speaking errors in Korean as the subject of beginners in Korean of Vietnamese as an effective study of the basics of speaking education in Korean. To this e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the transcription of the evaluation of the speech of 18 Vietnamese Korean learners learning Korean at domestic universities. It made a prediction of speaking errors that would occur to Vietnamese learners by comparing the grammatical content of Vietnamese with Korean, and this was confirmed through the actual speaking evalu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hown errors in postposition, errors in ending, errors in tense, errors in addition, errors in replacement, errors in omission and types of discrepancy errors in tens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errors, beginners in Korean of Vietnamese can reduce errors in the practice of use in real life to ensure the quality of familiarity with the grammatical content of the need for education with the meaning and use of ending with education on the meaning and function of postposition that does not appear in Vietnamese. Key Words: Vietnamese Learner, Grammatical Error, Errors in Postposition, Errors in Ending, Discrepancy in Tense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및 화용오류에 대한 인식

        김아름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100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오류 및 화용오류에 대한 인식 차이와 그에 따른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한국어 모어 화자 12명과 중국배경 한국어 학습자 35명을 대상으로 총 25문항의 오디오 테스트를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두 집단 모두 문법오류보다 화용오류를 더 민감하게 인지하였는데, 이는 한국어 학습자는 문법오류를, 한국어 모어 화자는 화용오류를 더 민감하게 받아들인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차이가 있었다. 독립검정 t-test를 실시한 결과, 문법오류 인지에 대해서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화용오류 인지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거절상황에서의 화용오류에 대해서 한국어 학습자 집단과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이 동일한 수준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 변인에 따른 관계도 살펴보았는데, 학습자 집단을 중급과 고급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문법오류와 화용오류 모두에서 중급과 고급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한국어 학습기간과 한국 거주기간과의 상관성에서는 문법오류 인지 정도와 한국 거주기간 간에 뚜렷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434*). This study investigated awareness difference of grammatical errors and pragmatic violations of Korean learners with Chinese background, and learner variabl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 performed an audio test and collected the answers from 12 Korean native speakers and 35 learners of Korean with Chinese background. In contrast to the preceding research discussed,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native speakers and learners of Korean ranked pragmatic errors as more serious than grammatical errors. Especiall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wareness of grammatical errors, but was not found in awareness of pragmatic errors. Accept this result at face value, Korean native speakers and learners of Korean ranked pragmatic errors the same level. As regards leaner variables such as proficiency, learning period of Korean and residence period of Korea, proficiency have relevance to awareness difference of grammatical errors and pragmatic error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of grammatical error and residence period of Korea(r=.434*)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수준별 영어 글쓰기 오류 분석

        손희정 ( Son Hee-jung ),장우혁 ( Chang Woohyeo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60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생들이 영어 글쓰기에서 범하게 되는 오류를 문법 범주에 따라 분석하고 이러한 오류의 유형이 학생들의 영어 능숙도에 따라 수준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실험 대상자인 80명의 학생들은 사진 묘사와 질문에 답하기로 구성된 쓰기 과제를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 오류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먼저 오류가 발견된 자료를 6개의 문법 범주로 나누어 정리한 다음 각각의 문법 범주에 대한 세부 항목으로 45개의 하위 범주를 설정하여 오류 수와 오류율을 산출하였다. 학생들의 수준별 오류 양상에 대해서는 오류 발생률이 가장 높은 10개의 세부 문법 범주들에 관한 자료를 중심으로 수준별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한국 대학생들은 전반적으로 6개의 문법 범주 중에서 명사구와 동사구에서 가장 높은 오류 발생률을 보였다. 수준별로는 초급 학습자들이 중급 학습자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더 많은 문법적 오류를 범하였는데 세부적으로 하위 범주 중에서 어색한 표현의 경우에는 초급보다 중급 학습자들이 오히려 더 많은 오류를 범하였다. 오류의 원인에 있어서도 수준별로 차이를 보였는데, 초급은 언어 간 전이에 따른 오류가 언어 내 전이에 의한 오류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았고 중급은 그 반대의 양상을 보였다. This paper investigated English grammatical writing errors made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80 students answered one free response and one picture description assignment. The errors were analyzed and organized into six main grammatical categories and 45 subcategories. Next, the amount of errors and the error percentages were tabulated. This analysis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ten subcategories that recorded the most errors. These subcategories were compared by level (basic vs. intermediate), and then the sources of errors were determined. Most errors appeared in the noun phrase group and verb phrase group. Basic level students made more errors than intermediate level students in most subcategories. Also, basic students had more transfer errors while intermediate students had more intralingual errors.

      • KCI등재후보

        한국어 연결어미 ‘-아/어서’의 오류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 오류 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

        장명비(ZHANG MINGFEI)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1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4

        이 연구는 한국어 연결어미 ‘-아/어서’에 대해 등급별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분석과 문법서를 참고하여 ‘-아/어서’의 [원인]과 [시간 순서]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국립국어원의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오류 데이터를 대상으로 등급별 오류 유형과 빈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들을 넘어 유사 문법뿐만 아니라 의미적인 관계가 먼 문법의 오류 양상까지 살펴보고 초·중·고급 학습자가 연결어미 ‘-아/어서’를 사용할 때의 오류 유형과 빈도를 살펴보았다. 본고의 분석 결과를 보면 한국어 문법 교육은 해당 등급 단계에서 독립 문법을 제대로 교수·학습해야 할 뿐만 아니라 뒤에도 오류가 나타나지 않도록 적당한 시기에 다시 문법을 비교해서 가르쳐야 한다. 그리고 유사 문법 비교 연구는 물론이고 학습자의 오류 양상을 꾸준히 분석하면서 비교가 필요한 비유사 문법도 재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고에서 오류 분석만 하고 교육 방안에 대해 다루지 못한 것은 한계이다. 앞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 수업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교수법은 추후 연구 과제로 남긴다. 본 논문이 향후 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면 좋겠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rror phenomena of Korean learners by grade for the Korean connective ending -아/서 . The characteristics of [reason] and [chronological order] of -아/서 were summarized by referring to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grammar book. Furthermore, the error types and frequencies by grade were analyzed for corpus error data of Korean learner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Moreover, beyond previous studies, we examined not only the similar grammar but also the error phenomena of grammar with a distant semantic relationship, as well as the error types and frequencies when elementary, middle, and advanced learners use the connective ending -아/서 .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paper, Korean grammar education should not only appropriately teach and learn independent grammar at the corresponding level, but also need to compare and teach grammar again at a suitable time so that errors do not appear afterwards. Besides,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not only to research the similar grammar comparison but also to re-educate the non-similar grammar that requires comparison while constantly analyzing the learners’ error phenomena. In the future, teaching methods on how to apply them to classes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are left as future research tasks, and I hope this paper will be of any help in future research on Korean grammar education.

      • KCI등재

        Effects of Corrective Feedback on Grammatical Accuracy of EFL Writing

        이수진(Lee Su Jin),이다미(Lee Da 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1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의 영작문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문법 오류 수정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31명의 학생들이 12주간의 영작문수업에 참여하여, 영어 에세이 쓰기에 대한 이론 수업과 4번의 실제 쓰기 활동 및 외국인 교수자의 문법 교정이 병행되었다. 먼저, 사전 에세이 테스트의 문법 오류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가장 흔히 범하는 오류를 분류하고, 영작문 수업 참여 후 앞서 분류된 문법오류에 대해 그 정확성이 얼마나 향상 되었는지 통계 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한국 대학생들의 영작문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문법 오류는 관사, 전치사, 구두점, 동사형태, 단수·복수 오류였고, 이 오류에 대한 4번에 걸친 문법 오류 수정은 영작문 정확성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 명의 참여 학생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러한 결과에 대한 이유를 다음과 확인하였다. 첫째,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참여자는 영작문에서의 문법적 오류를 당연한 결과로 받아들였고, 문법적으로 보다 정확한 글을 쓰고자 하는 의지가 부족했다. 둘째, 외국인 교수자의 문법교정이 명확하지 않아 오히려 학생들에게 혼란을 가져왔다. 셋째, 이미 습관으로 굳어진 오류는 학생들이 고치기 매우 힘들어 했다. 마지막으로, 외국인 교수자가 붉은색 펜으로 문법 교정을 해 주었는데, 그 자체가 다시 읽고 싶지 않을 만큼 거슬려 크게 효과가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written corrective feedback (WCF) on grammatical errors as a method for improv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writing. The research questions we asked were what the most commonly occurring errors are in Korean students’ English writing and whether WCF leads to the improvement of grammatical accuracy. Thirty-one Korea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an experiment which lasted for 12 weeks from March 30 until June 19 in 2015. In the experiment each participant took two-hour long writing classes and received WCF on grammatical errors in four essay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most common errors were in the use of articles, prepositions, punctuation, verb-formation, and singular for plural, which is consistent with earlier studies (Cha, 1990; Han, 2014). It was found, however, that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ests in terms of accuracy, suggesting that WCF is not helpful for improving grammatical accuracy of L2 writing. Informal interviews with seven participants revealed four possible reasons as to the ineffectiveness of WCF as a method of improving EFL writing: ① students’ beliefs that grammatical errors are inherent and consequently inevitable parts of L2 writing; ② instructors’ unclear feedback; ③ habit-formed errors; and ④ intimidating red-pen based correction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WCF is effective for grammatical accuracy of L2 writing. An empirical study involving 31 Korean college students was carried out to see what the most common error types are and whether teacher WCF leads to grammatical accuracy. Teacher WCF was provided on the five most common errors participants made in their pre-test writing. The results demonstrated, however, that teacher WCF on four essays was not effective to improve participants’ grammatical accuracy.

      • KCI등재

        한국인 대학생들의 영어 말하기에 나타난 문법 오류 분석

        손희정,장우혁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0 외국어교육연구 Vol.34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English grammatical errors made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speaking. Data was collected from 80 students who completed two speaking assignments consisting of free response and picture description question types. The error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into one of six major grammatical categories and one of 45 subcategories. Then, the number of errors and the error percentages were calculated. This study focused on the ten subcategories with the most errors. These ten subcategories were compared by level (basic vs. intermediate), and then, the sources of errors within these ten subcategories were determined. Overall,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errors were found in the noun phrase and verb phrase groups. In regards to the level of fluency, basic level students generally made more errors than intermediate level students in a majority of the subcategories. This study also showed that basic students made more transfer errors while intermediate students made more intralingual errors. 본 연구는 한국인 대학생들의 영어 말하기에 나타난 문법적 오류를 분석하고 수준별 차이점을 고찰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실험 참가자 80명의 학생들은 두 가지 유형인 사진 묘사와 질문에 답하기로 구성된 말하기 과제를 각각 수행하였고, 수집된 자료에서 산출된 오류는 6개의 문법 범주와 45개의 하위 문법 범주들로 분류되어 오류 수와 오류 비율이 산출되었다. 오류 발생률이 가장 높은 10개의 문법 범주들에 대해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에 따라 수준별로 오류 양상을 비교하였고, 모국어인 한국어의 영향을 고려한 오류의 원인도 함께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전반적으로 명사구와 동사구에서 가장 높은 오류 발생률을 보였다. 수준별 오류 분석에서는 초급 학습자들이 중급 학습자들보다 전반적으로 더 많은 문법적 오류를 발생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급 학습자들은 언어 간 전이 현상이 많이 나타난 반면에 중급 학습자들의 오류 유형은 언어 내 전이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 KCI등재

        자폐범주성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문법형태소 산출 비교 연구

        김지혜(Ji-Hye Kim),황상심(Sang-Shim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3

        배경 및 목적: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의 언어발달 연구는 사회적 의사소통능력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문법형태소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자폐범주성장애아동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조사, 연결어미, 사동ㆍ피동접사의 문법형태소의 산출 및 오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수용ㆍ표현어휘력검사(REVT)』(이하 REVT)(김영태 외, 2009) 수용어휘능력으로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자폐범주성장애아동 18명과 일반아동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황민아(2003)의 평가문항을 근거로 그림자료를 제작하여 문법형태소 산출을 유도하고 대상아동들의 문법형태소 정반응 산출 빈도와 오류 빈도 및 오류유형의 차이를 MANOVA로 비교하였다. 결과: 격조사, 연결어미, 피동ㆍ사동접사의 전체적인 문법형태소 정반응 산출 빈도는 일반아동이 높았으나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문법형태소 하위범주에서 여격, 연결어미 중 목적, 사동접사의 ‘이’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주격조사 ‘가’와 ‘이’, 목적격조사에서는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의 정반응율이 더 높았다. 문법형태소 오류율은 전체적으로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이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주격과 목적격의 생략오류는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이 더 낮았으며, 부사격, 연결어미, 접사에서는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이 생략, 대치 등의 오류율이 더 높았다. 논의 및 결론: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은 전체적인 정반응빈도와 오류에서 일반아동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문법형태소 각 하위 범주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하여 볼 때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의 문법형태소 산출이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과 유사하다고 해도 각각의 문법형태소 사용이 일반아동과 동일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duction of grammatical morphemes of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8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18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ho were matched on receptive vocabulary level by REVT. To elicit grammatical morphemes, 60 pairs of pictures were used. Performances were analyzed by MANOVA. Results: The production of grammatical morpholog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bu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sub-type of grammatical morphemes. Th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made more errors than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Discussion &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production of grammatical morphemes by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was similar to that of children without language development impairment except for some specific grammatical morphemes, but analysis of the results also requires various language aspects to be considered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