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0~2015년 한복 구성요소 변화연구 - 인터넷신문에 나타난 여자한복 이미지 중심으로 -

        이춘희 ( Lee Choon-hee ),한정민 ( Han Jung-min ),강혜승 ( Kang Hae-se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0 No.-

        2000년 이후 정부의 한복진흥정책과 맞물려 여자한복은 발전 및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한복산업 활성화, 세계화 도약을 위해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여자 저고리와 치마 중심으로 구성요소 변화를 연구하고자 16년간 인터넷 신문에 나타난 한복 이미지를 파악하여 분석대상 이미지 660점을 추출하였다. 전통한복 중 저고리를 구성하는 길, 깃, 동정, 소매 등과 치마를 구성하는 말기, 폭, 끈 등의 구성요소가 제거되거나 축소 또는 확대되어 변화된 한복을 모던한복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모던한복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한복 유형을 구분하고, 구성요소의 변화와 유형 경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위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질적 조사를 하였으며, 유형을 보수적 모던형과 진보적 모던형 두 가지로 구분하였고, 시기를 3기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미지 분석결과 구성요소 크기변화와 제거는 다른 요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요소를 대체하는 경우와 전통한복을 재해석한 사례가 나타났다. 저고리의 세부적 변화는 길이와 깃, 소매길이와 치마는 주름이 보수적 구성요소의 활용이 강화되었고, 저고리의 패턴 및 암홀과 치마의 길이 및 폭은 진보적 구성요소 활용이 강화되었다. 유형 경향 분석결과 저고리와 치마의 유형은 진보형와 보수형이 서로 교차되어 변화 되었고, 상호 연관성이 있게 조화를 이루며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모던한복 저고리와 치마 구성요소 세부항목별 빈도를 분석하고, 구성요소 변화 특징을 밝혔다. 저고리와 치마의 유형 경향을 시기별로 분석하여 상호연관성을 조명하였다. 2000년 이후 연구 자료가 부족한 시기를 선택하여 시기별 유형 경향을 분석하여 저고리와 치마 유형의 상호 연관성을 조명 한 것에 의의를 둔다. Along with Korean government`s Han-bok Promotion Policy, women`s han-bok developed and changed after year 2000. For han-bok industry`s vitalization and leap to global industry, this study analyzed and extracted 660 images of han-bok to study the changes of components of women`s jeogori and skirt from 2000 to 2015 of Internet newspapers For han-bok industry`s vitalization and leap to global industry, this study analyzed and extracted 660 images of han-bok to study the changes of components of women`s jeogori and skirt from 2000 to 2015 of Internet newspapers. The han-bok which has changes in length of jeogori, collar of jeogori, dongjeong, sleeves that comprise jeogori and malgi that comprise skits was classified as modern han-bo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types of han-bok and discover the changes and trend of component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above, the qualitative survey was conducted by a group of experts. The survey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 conservative modern type and progressive modern type. The research was divided into three phases. The result of image analysis shows that the component size variation of han-bok influences on other components, and substitution and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han-bok was shown. The changes of jeogori are length and collar, length of the sleeves and the crease of the skirts showed increase in conservative use of the component. And, pattern of jeogori, armhole, and the length of the skirt showed increase in progressive use of the components. As the result of the trend analysis, it was shown that the changes of conservative type and progressive type of jeogori and skirts intersect with each other. This study analyzed frequency of modern han-bok`s jeogori and skirt components and This study analyzed trends of jeogori and skirt and traced the correlation between trends of them. This study gives significance in showing correlation of jeogori and skirt after 2000, which is the period that lacks data.

      • KCI등재

        현대에 착용되는 여성한복의 색채 특성에 관한 연구

        정상은(Sang-Eun Jung),이소영(So-Young Lee) 한복문화학회 2018 韓服文化 Vol.21 No.3

        This study identified the color application trend of the modern Hanbok and analyzed the features of the color application trend for clarifying the color features of female Hanbok. For the color analysis, the photos uploaded on 6 homepages of Hanbok shops and Hanbok rental shops in Seoul were analyzed. Collected photos have a total of 1,195 colors, 510 women’s skirts, 482 women’s jeogori, 203 women’s vest and dang-ui. The subjects were the photos of female adults who were due for marriage from 2010 to 2016. The photos selected were classified per year and item and analyzed using the Hue & Tone 120 System of IRI Design Institute Inc. In accordance with the color analysis results, the color and hue of Korean traditional hanbok are changing to adapt to modern sensibility according to the times. The traditional five colors(Obangsac; The colors of the five orientations) representing five cardinal directions and the modern ones were used by reflecting the features of the times. From 2010 to 2012, there were many vivid five-color hues. However, from 2013 to 2016, the pastel hue of medium saturation showed a lot of five-colors. While black traditionally represented darkness in accordance with Taoistic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of Korea, black was used in the modern Hanbok as the representative color of modernity and elegance in the modern times. In the same way as Joseon period preferring white, white was used at high ratio also in the modern Hanbok. However, it is preferred because of the lack of past dyeing techniques and the possibility of clean images and various color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whiteness thought.

      • KCI등재

        여자 전통 한복과 현대 한복에 표현된 조형 요소의 기호학적 분석-조선시대와 현대의 한복을 중심으로-

        배리듬 한국동양예술학회 2023 동양예술 Vol.61 No.-

        한복(韓服)은 서양에서 들어온 복식을 의미하는 양복(洋服)과 구분되는 단어로 사용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우리 민족의 전통복식을 의미하는 단어로 쓰이고 있다. 한국 전통복식은 본래의 의미 이외에 한복의 형태에 변화를 주어 기능적인 측면을 강조한 생활한복, 서양복식의 조형적 요소와 혼합된 형태의 퓨전한복 등 다양한 형태와 의미가 추가되면서 지속적으로 변화와 발전을 겪어왔다. 그리고 최근에는 한국 전통복식이 가진 본래의 의미에 현대인들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가치관이 반영된 새로운 형태의 신(新)한복이 등장하였다. 신한복은 정부의 제도적인 변화와 일반인들의 자체적인 인식 변화를 포함한 수많은 노력에 의해 정의될 수 있었고, 많은 이들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전통적인 형태의 한복에서 많은 부분이 변화한 현대 한복에 대해 부정적인 시선을 갖는 이들이 생겨나기도 하였다. 한편, 인간이 의식을 갖고 의사소통을 시작하면서 ‘기호’는 가장 필수적인 표현 및 전달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오늘날 기호학이라는 학문이 유행하고 있다. 우리 주변 모든 것은 기호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식 또한 수많은 기호들의 조합을 통해 현 세대의 다양한 의사를 전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조형적, 상징적 측면에서 많은 논란이 되고 있는 현대 한복을 기호학적 접근 방법을 기준으로 적용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현대 한복의 조형적 요소 분석에 기호학을 적용시키는 것은 디자인 분석 시 직관과 체험, 선입견 등의 주관적인 기준에 의해 분석의 한계에 부딪히거나 편견과 오류에 치우칠 수 있다는 우려에 의한 것으로, 이를 의도적으로 검토하고 인공적으로 조작하는 과정을 통해 기호의 의미작용과 의미의 창출과정을 객관적으로 고찰할 수 있게 해줄 기준이 될 것이라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기호학의 의미와 개념, 한국 전통복식에 표현된 상징성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였으며, 사례분석을 통해 여자 전통 한복과 현대 한복에 표현된 기호화 사례를 분석하였다. 한국 전통 한복과 현대 한복에 나타난 기호의 비교분석은 기호학의 직접적인 기원을 이루고 있는 소쉬르(F.Saussure)의 기호학 이론 개념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전통 한복과 현대 한복에 표현된 조형 요소에 기호학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 함으로서 현대 한복의 조형과 상징 분석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전통복식의 색상은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을 기본으로 한 개념이다. 한국 전통복식의 문양은 조선시대의 기본 사상인 유교사상을 토대로 한 것이다. 한국 전통복식의 형태는 복식 착용자의 사상, 철학, 인생관, 우주관 등을 복식에 표현한 것이다. 둘째, 여자 전통 한복에 표현된 형태의 기호화 사례에는 단속곳, 허리 치마, 당코깃 당의, 쓰개용 장옷이 있다. 소재의 기호화 사례에는 십장색문, 도류불수문, 석류문, 봉황문 등의 무늬가 있다. 색채의 기호화 사례에는 색동 저고리, 원삼이 있다. 셋째, 여자 현대 한복에 표현된 형태의 기호화 사례에는 남녀공용복식 형태 혼합, 철릭 원피스, 복식 착용 방법과 위치의 다양화 등이 있다. 소재의 기호화 사례에는 신소재 활용디자인, 레이스 활용 디자인, 단청문, 쌍학문 등을 활용한 디자인 등이...

      • KCI등재

        전통과 현대 한복의 공착화(共着化) 현상 분석

        배리듬,배수정 한국동양예술학회 2024 동양예술 Vol.63 No.-

        한국 전통복식에는 오랫동안 성별의 구분이 없는 복식이 존재하였다. 한복은 상고시대부터 현대를 아우르는 한국 전 시기의 관습, 가치관, 생활양식의 특성이 반영된 의복으로 각 시대에 나타난 여러 요인에 의해 변화를 겪어왔다. 각 시대의 복식은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혼합적인 특성으로 나타났다. 한국 전통복식의 혼합적 특성 중 젠더의 혼합에 의한 공착화(共着化) 현상은 전통과 현대 한복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특성이다. 일반적으로 한국사회의 성 관념에 대한 인식은 유교사상과 음양오행의 원리에 따른 내외법이 바탕이 되어 남녀의 관계가 불평등 하다는 것 이지만, 고대를 시작으로 한국사회 전 시대에 걸쳐 살펴본 바에 따르면 남녀의 사회적인 관계가 다양하게 존재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한국의 전통적인 젠더 가치관에 따라 전통 한복을 남녀공용으로 착용하는 현상을 공착화(共着化)의 개념으로 정의하여 유형화하고, 한국의 전통적인 젠더 가치관이 내재되어있는 전통과 현대 한복에 나타난 공착화 현상 분석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전통과 현대 남녀한복 공착화 현상을 비교‧분석하고, 변화된 공착화 현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전통복식 중 남녀 공용복식에는 남녀의 위치가 대등함을 기본으로 하는 젠더 가치관이 내재되어 있으며, 복식의 착용 유형에 따라 나눌 수 있다. 둘째, 한복의 공착화 현상에는 공통점과 차이점이 동시에 나타났으며, 공통점으로는 남녀 공용복식의 개념이 존재한 점, 착용 방법에 따라 복식의 유형이 분류된 점,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착용된 복식의 명칭이 동일한 점 등이 있다. 차이점으로는 남녀 공용복식으로 착용되는 복식의 범위가 확장되는 것, 남녀 공용복식의 형태가 남녀 성별에 따라 변화되는 것, 복식을 착용하는 형태와 방법이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되는 것 등이 있다. 셋째, 한복 공착화 현상의 변화는 현대사회의 다양한 가치관과 사회 환경이 복식에 영향을 미친 결과로, 개인의 인식 변화나 사회 규범에 의해 공용으로 착용되었던 전통 한복이 현대에 접어들면서 패션의 유행, 가치관 등에 따라 더 큰 변화를 겪은 것이라 할 수 있다. In Korean traditional costume, there have long been clothes without gender distinction. Hanbok in each era was found to be mixed characteristics due to a combination of various factors. Among the mixed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s, the phenomenon of co-wearing caused by the mixing of gender is a characteristic commonly confirmed in traditional and modern hanbok. In this study, the phenomenon of wearing traditional hanbok for both men and women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gender values of Korea is defined and categorized as the concept of ‘co-wearing’,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henomenon of co-wearing in traditional and modern hanbok in which traditional Korean gender values are embedded. Through this, I compare the traditional and modern Korean men and women’s co-wearing hanbok, and analyze the changed co-wearing phenomen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traditional Korean costumes, men and women's common clothes have inherent gender values based on the gender equality, which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clothing. Second, the same points of the hanbok co-wearing phenomenon is that the general acceptance of men's and women's common clothing, the types of costum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wearing method, and the names of costumes that have been worn continuously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e differences are the expansion of the range of costumes worn by men and women, the change in the form of men's and women's costumes according to the gender, and the form and method of wearing costumes in various ways. Third, the change in the phenomenon of hanbok co-wearing is the result of various values and social environments in modern society affecting costumes,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result of more changes in fashion trends and values as traditional hanbok, which were commonly worn by individual perceptions or social norms, in the modern era.

      • KCI등재

        디자이너 이리자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한복디자인의 변화에 대한 연구

        황의숙(Hwang Eui-Sook) 한복문화학회 2009 韓服文化 Vol.12 No.2

        In this study, influences, achievements, and art works of a traditional Hanbok designer, Lee Rheeza, who established the modern traditional Hanbok style,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her designs in accordance with periodic changes. Her major achievements on the traditional Hanbok design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s: (1)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Lee Rhee za type Hanbok patterns by creating silhouettes like western dresses, (2) development of displaying techniques by using Hanbok mannequins, (3) first holding of Hanbok fashion shows, and (4) leading of the modern Hanbok fashion. According to the periodical Hanbok design analysis, in 1970's, Lee Rheeza type Hanbok patterns were initially developed, and modern Hanbok fashions were popularized by the overall change in Hanbok style, while the A-line silhouette combined with ornaments was adapted to Hanbok in order to express women's beauty in 1980's. After 1990's, traditional women's beauty with slow and soft flowing was more emphasized by the simplification of the skirt style. Modern Hanbok has been well established by the design change based on efforts of a Hanbok designer, Lee Rheeza, and its position can be achieved as our traditional folkdress by offering standard patterns adapted to the modern Korean society.

      • KCI등재

        2010년 이후 한복의 새 패러다임 사례

        정혜란,이은진 한복문화학회 2018 韓服文化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henomenon related to Hanbok in play culture, which is at the center of the current renaissance of the Hanbok, driven by an influx of younger people, and to analyze changes in the Hanbok industry, to identify cases of using Hanbok as a Culture and Arts item,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anbok in the early 21st century. First, the phenomenon of using Hanbok in play culture is centered around the younger generation, rather than the older generation, who used Hanbok as formal wear. The ‘Hanbok Experience’ has developed around locations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It is a common bucket list item of the young generation and has spread abroad. In addition, a variety of Hanbok communities have been formed voluntarily to develop activities related to Hanbok. Second, there is a change in the Hanbok industry. Existing Hanbok brands have launched secondary of ready-to-wear lines targeting young generations, or children and infants. In addition, brands inspired by Hanbok began to appear.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channels for Hanbok have started to diversify. Hanbok select shops which collect Hanbok brands, and Hanbok distribution platforms which provide Hanbok-related information have appeared. Pop-up stores or formal locations in department stores have also been attempted. Third, Hanbok in Culture and Arts have been used in various fields. Hanbok is used in stage costumes for K-pop, opera and as a medium of artistic expression in the areas of illustration, painting, and photography. Hanbok is not fixated in its form of the past, but it is constantly changing according to the new trends.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modern Hanbok since 2010, which attracted attention following the inflow of the younger generation, and is naturally becoming fashionable.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of Hanbok in the future so that we can continue the renaissance of Hanbok.

      • KCI등재

        여자한복 변화에 따른 현대 수의디자인 개발-여자 수의 저고리, 치마, 속옷 연구를 중심으로-

        이춘희,강혜승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6

        한복은 한반도의 역사와 문화, 민족성, 한 민족 고유의 얼이 담긴 전통 의복이다. 한복은 평면적인 재단으로 구성되었고, 저고리에는 섶, 깃, 고름을 달고, 치마에는 주름을 잡고, 속옷을 받쳐 입음으로 입체적인 옷이 된다. 이러한 한복에 기초하여 전통적인 수의가 만들어 졌다. 현대인들은 수의를 선택할 때 전통적인 옛것을 고수하고, 수의 재질도 삼베를 선호 한다. 그러나 국내에서 재배되는 삼베는 드물고 고가이며,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는 수의도 전통 수의형태가 변형된 실정이다. 대부분 사람들이 이러한 수의를 선택하는 이유는 수의 디자인의 개발의 부족과 수의에 대한 바른 인식의 부재에 있음으로, 연구자는 여자 옷을 중심으로 한복의 변화에 따른 수의 디자인 개발을 주제로 연구 목적을 설정했다. 첫째,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 여자 한복의 변화를 분석하여 현대 한복의 착용이 간소화 된 것과 같이 수의 품목을 간소화하는 것이다. 둘째, 생활한복 디자인을 분석하여 기존 수의보다 제작 방법이 용이하고 입히기 쉬운 수의디자인을 개발하고 실제 완성된 수의 작품을 제시하는 것이다. 수의는 염과 습에 사용되는 물품을 포함하나 본 연구는 저고리와 치마, 속옷으로 한정시켜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수의 재질은 거친 삼베가 아닌 구하기 쉬운 천연소재의 원단을 사용하였고, 여자 현대수의를 상의, 하의, 속옷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으며, 작게는 25벌에서 많게는 100벌까지 착장을 제안하여, 현대 수의가 장례의식에서 고인을 보다 편안하고, 고인의 모습이 가족들에게 아름답게 기억될 수 있도록 다양하고 체계적인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향후 연구의 과제는 본 연구에서 검토하지 못한 여자수의겉옷 디자인의 개발이다. 소재, 색상 등 보다 현실적인 패턴으로 다양화한 디자인의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Korean traditional dress, Han-Bok, contains history of Korea along with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soul of Korean people. The composition of Han-Bok is two-dimensional with its straight cuts but as a gusset and a collar are added to Jeogori (the upper garment of Korean traditional dress) and by wearing underclothes to plaited skirt, Han-Bok becomes three-dimensional.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Han-Bok, traditional shrouds are made. Nowadays, when people are choosing shrouds, they try to maintain traditional shrouds and they prefer hemp cloth for shrouds. However, hemp cloths are rare and expensive, and the shrouds that are manufactured and sold are modified from the traditional designs. The reason most of the people choose those shrouds is in lack of effort to disseminate shroud designs and lack of correct understanding of shrouds. Therefore, researcher set the purpose of the study to develop shroud designs that is appropriate and that suits for modern days. First, by analyzing the changes of the design of women’s Han-Bok from Joseon Dynasty to modern days, simplify the items of shrouds as reformed Han-Bok were simplified. Second, by analyzing designs of reformed Han-Bok, develop simple shroud designs and actually present complete form of those shrouds. Shrouds include all the items that are needed for cleaning and shrouding corpses, but this study puts its boundaries to Jeogori, skirt, and underskirt in development the shroud designs. This study suggests that instead of using hemp cloth, which is ruff to wear, use cloths that are made of natural materials, simplify the items for shrouds so it would be easier to make and wear the shrouds. This study develops women’s modern shrouds by developing Jeogori’s, skirts, underskirts, and underpants separately, which makes 25 to 100 possible designs of shrouds. In suggesting various and systematic modern shroud designs, the ones who are departed would be comfortable and beautifully remembered by their families

      • KCI등재

        조선시대 포를 응용한 현대한복의 표현적 특성

        김현주(Kim Hyun-Ju),장민정(Chang Min-Jung) 한복문화학회 2016 韓服文化 Vol.19 No.2

        The Korean Hanbok designers could get great opportunities and position in the international fashion industry as adapting our traditional elements to the modern design. Also, As investigate to application of modern fashion design, it is significant to recognize about our tradition and let them understand Korean beauty in the world fashion market. In order to study this subject,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used to analyse the design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used in the designer"s works found from the collections and fashion magazin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hanbok designers" works applying the Po in Joseon Dynasty. As a result, we need effort to fashion design completely modern with insight meaning of Korean characteristics about silhouette, color, and fabric of tradition. This study could be a great help to analysis the specific characters in modern Hanbok designers applying the our own costumes and tradition.

      • KCI등재

        현대한복과 바디아트에 표현된 캘리그라피(Calligraphy)의 조형성

        정연자(Jung Yeon-Ja) 한복문화학회 2011 韓服文化 Vol.14 No.3

        The research is to find an opportunity to express hanbok and body art with calligraphy and is also to expand the expressional area of body art. The research method is comparative esthetics, which extracts similarity and difference in sty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s attractiveness. Attractiveness is expressed not with specific shapes or descriptive figures but with letters or picture-like characters. Second is diversity. Various expressive materials and styles, shapes and thicknesses of brushes, and thicknesses of water present different expressions. Calligraphy is expressed differently according to expression tools, material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rtists. Third is time. Calligraphy in modern hanbok &body art expresses time with lines, which is expressed by artists' subjective emotions and IS largely influenced by the individual artist's psychological status. In addition, the artwork has another time line when the audience observes the work. Fourth is emotion. modern modern hanbok &Body art is a sensible design which is based on the human body. It contains the function of emotional communication.

      • KCI등재

        현대한복에 사용된 손 그림 장식에 관한 연구

        정혜경(Chung Hye-Gyung) 한복문화학회 2009 韓服文化 Vol.12 No.1

        This study is intended to research the historical process and examined the pattern kinds, and arrangement of hand-drawing ornaments had been used in Hanbok from 1977 to 2008. Results were as follows : 1. Drawings on Hanbok had spread since late 1970s to early 1990s; however, after 1995, it had decreased radically. 2. Most of hand-drawings were plants pattern(59.2%) of the nature types. And realistic drawings had become the major part of ornaments in the first period(1977~1988). This popularity started to decrease when stylistic drawing showed up in the second period(1989~1998). Nowadays, the third period(1999~2008), realistic drawing had been popular again. 3. Arrangements of ornaments were four kinds of traditional types and six kinds of modern types. But the traditional type was popular, and the modern type was rare. All types of the traditional arrangement had used in the first period. However, the traditional and modern type had got many different styles in the second period, and some of that had showed us the character of directions. In the third period, hand-drawing ornaments had been decreased, and the styles of the traditional and modern type had been de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