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더니즘의 결절과 계기

        이영미(Lee, Young Mi) 구보학회 2006 구보학보 Vol.1 No.-

        한국의 근대문학사를 인지하는 데 있어 ‘리얼리즘/모더니즘, 내용/형식’ 중심의 대립 관계를 벗어나기란 어렵다. 남한에서는 모더니즘이 근대적 리얼리즘을 벗어나는 새로운 기법으로 문학의 현대성을 실현하였다는, 단절적 인식을 보인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현대성 문제보다 정치성에 기준을 두면서 리얼리즘을 사회주의 리얼리즘으로 숭배하고, 모더니즘은 부르조아 리얼리즘으로 규정하여 공격의 대상으로 삼는다. 문학적 계보의 연속성 속에서 남한의 퇴폐적 산물로 대립하여 적대적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어쨌든 이것은 모두 분단논리의 이분법적 자장에서 머무르는 정태적 분석 동향을 보이고 있었다. 그래서 본고는 문학사의 동태적 해석을 지향하여, 일제 강점기 타자로서 한층 필연적일 수밖에 없는 ‘문학의 저항적 속성’이라는 운동성 속에 모더니즘 역시 놓이고, 리얼리즘에서 모더니즘으로의 운동성 이행(패러다임) 관계에서 그 이행의 주체를 비평과 창작의 헤게모니 변동과 그 전환(에피스테메)으로 추정하는 가설을 제안하였다. 한국문학사에서 모더니즘에 관한 기존 해석의 반복 재생산은 매듭을 짓고 새로운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는 문제 제기에서 시작되었다. 근대문학사에서 모더니즘이 서구문화의 이식에 불과한 퇴폐론 이라거나 카프의 내용 위주 리얼리즘에 대한 반동의 소산-결국 이식문화론의 연장-이라는 결론에 그치지 않고, 문학사적 맥락을 통해, 서구에서 모더니즘이 오랫동안 생성되어온 사유체계로 구조의 급진적 변동을 야기하듯, 문학(지식, 지성) 권력 투쟁 양상의 ‘깊게 구조화된 변동(에피스테메)’일 수 있다고 상상했다. 통사적으로 문학의 ‘자발적 힘’에 의한 지식의 재생산 혹은 지식구조의 변동 원리(문학사상적 전환)를 통해, 고전문학사와 현대문학사의 연속성을 구축하려는 시고(試考)이다. 사실 ‘박태원과 그 시대 모더니즘 작가’들의 역사적 행보는 매우 중요한 자산이다. 긍정적 혹은 부정적 해석 여부를 떠나, 그들의 내적 변동에 관한 다각적 구명은 오히려 한국문학사의 자생력-문학의 자발적 시대구분을 위한 힘-을 입증할 수 있는 기반으로서 충분히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본고의 가설이, 1930년대 모더니즘은 내부적 저항성의 강화, 서구 현대성의 기반인 ‘계몽주의’를 ‘이용’하여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려는 지식인-특히 작가-해방 운동의 일환이라는 논의로까지 확대되어, 근대문학사의 모더니티가 결코 완전한 ‘이식’-수동적 타자성, 열등한 민족성으로 고정시키는-의 역사가 아니었다는, 문학의 본질적 저항 정신-내재적 발전론의 확언일 수도 있을 자생적 틀로서, 문학이 사회를 결정하는-을 한층 드러내길 바란다. 나아가 향후의 담론적 전환, 그 역사적 구조 변동-빛을 잃어가는 창작을 대신할 그 무엇-에 추진력이 생기길 기대하였다. It’s hardly possible to escape from the confronting relations between ‘realism and modernism or contents and formats’ in understanding the modern literary history of Korea. In South Korea, modernism demon- strates some discontinuous perception that it has implemented the moder- nity of literature with a new technique escaping from modern realism. But things are different in North Korea, where the focus is placed on political matters rather than modernity, realism is worshiped as socialist realism, and modernism is under attack being regarded as bourgeois real- ism. In other words, they are confronting and showing hostile attitudes towards modernism as the degenerative product of South Korea in the continuity of literary lineage. No matter the differences, however, they share a common feature that they are adopting a stationary analysis ten- dency staying in the dichotomous field of separation.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put modernism in the movement of ‘the resistant attribute of literature’ that is absolutely inevitable as a typewriter during the Japanese rule, pursuing the dynamic interpretations of literary history. It also hy- pothesized that the subjects of the kinetic execution(paradigm) from real- ism to modernism would be the changes to the criticism and creation hegemony and the transition(episteme). The repetitions and reproductions of the old interpretations about modernism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 ature derived from the act of voicing the need for tying a knot and creating a new opportunity. In the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modernism didn’t remain at the conclusion that it’s nothing but a degenerative theory from the western culture or that it’s mere a product of reaction to the content-oriented realism by KAPF(in the end, it’s an extension of the transplantation culture theory). It rather caused radical changes to the structure via the thinking systems that have been created for long in the western world in the context of literary history. Such facts were reflected in the imagination that modernism could be ‘deep, structured changes (episteme)’ to the power struggle patterns of literature(knowledge or in- tellect). From a syntactic perspective, the imagination is a trial thinking to establish continuity between the old and modern literary history through the reproduction of knowledge by the ‘voluntary power’ of literature or the changing principles of knowledge structure(conversion of literary ide- ology). As a matter of fact, the historical steps that ‘Park Tae-won and his contemporary modernism writers’ took make very precious assets. It doesn’t matter their interpretations were positive or negative. Their multi- lateral investigations into the internal changes have enough significance as the foundation to prove the autogenous power of Korea’s literary his- tory(or the power to divide the voluntary periods of literature). It’s also hoped that the hypothesis would be expanded to discuss that modernism in the 1930s was part of the movement to liberate those intellectuals(or writers) trying to enter a new world by ‘using’ the ‘Enlightenment’ that worked to reinforce the internal resistance and paved the way to western modernity. It will be able to demonstrate that modernity in the modern literary history was not a history of complete ‘transplantation’(fixing the Koreans onto passive alterity and inferior character as a people) but re- flected the essential spirit of resistance of literature(literature can decide a society as an autogenous frameworks to confirm the intrinsic development theory). The results will hopefully offer some driving force to the dis- course conversion and the changes to its historical structure(something to replace the fading creations).

      • KCI등재

        한국 모더니즘 시의 전통 인식 양상

        이혜원(Lee, Hye-w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50 No.-

        본고에서는 한국 모더니즘 시에 나타나는 전통에 대한 인식을 통해 한국적 모더니즘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본다. 모더니즘의 대립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전통에 대한 반응을 검토하여 모더니즘이 당대의 현실과 어떻게 충돌, 또는 조응하며 한국문학에 내재화되었는지를 추적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 모더니즘 시를 대표하는 시인들이자 전통에 대한 예리한 자각을 보여주는 이상과 김수영의 시를 대상으로 1930년대와 1950-60년대 모더니즘 시에 나타나는 전통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본다. 이상이 활동했던 1930년대는 서구 모더니즘이 수용된 지 얼마 되지 않은 데다 식민지의 특수성으로 인해 모더니즘의 외양을 모방하기에 급급했던 시기이다. 이상의 시는 현실과 유리된 미적 자율성의 극한을 추구하며 서구 모더니즘을 흉내 내는 데 그쳤던 식민지 모더니즘의 한계를 보여준다. 김수영은 1950년대 전후 모더니스트로서 출발하며 현실에 대한 투철한 인식에 기반을 둔 모더니즘을 추구한다. 그는 소외된 기층민중의 역사를 살아있는 전통으로 재발견하고 거기에서 후진국의 모더니티가 존립할 수 있는 생명력을 찾아낸다. 두 시인은 모두 당대의 선구적인 모더니스트들이었지만 시대적 차이로 의해 전통에 대해 인식하는 데 있어 뚜렷한 차별성을 보인다. 이상은 자신이 추구하는 모더니티에 끊임없이 침투하는 전통을 의식하면서 착종된 모더니즘에 봉착할 수밖에 없는 식민지 현실에 대한 뚜렷한 자각을 드러낸다. 김수영에게 전통은 파기해야할 과거의 시간이 아니라 자기 혁신과 새로운 발견의 가능성을 가져오는 카이로스적 시간이다. 모더니즘과 전통에 대한 두 시인의 인식 차이는 그들의 미학적 특성과도 밀접하게 관련된다. 이상은 모더니티의 극단적 표현으로 수학이나 과학적 용어와 같은 인공어를 과감하게 사용하여 미적 자율성을 극대화한다. 이상의 인공적인 언어에 비해 김수영은 일상어와 거침없는 구어체로 현실에 밀착된 시를 쓴다. 일상어의 질감과 역동성을 새로운 미학적 차원으로 끌어들인 그의 시에서 전통의 재발견은 미적 모더니티의 새로운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In this paper, I studied on the specific aspects of Korean modernism through the awareness of tradition appeared in Korean modernism poetry. Yi Sang and Kim Soo-young were not only representative poets of Korean modernism but also showed keen self-awareness about tradition, so I looked deep into aspects of awareness about tradition of the 1930s’ and 1950-60s’ modernism poetry by their poems. Yi Sang was active in 1930s when most of Korean poets were busy imitating Western modernism because of the uniqueness of the colony. His poetry showed the limits of colonial modernism that pursued the ultimate aesthetic autonomy and imitated western modernism. Kim Soo-Young came forward as a postwar modernist of 1950s, and pursued modernism which based on clear perception of reality. He rediscovered the history of the people as a living tradition, and rooted out the vital power in it. Both of the poets were the leading modernist of their age, but showed the clear differentiation in their awareness of tradition. Yi Sang was conscious of tradition that constantly permeated into modernity, and revealed clear awareness of the reality of the colony that could not help meeting the self-contradictory modernism. Kim Soo-young realized the fact that tradition is not merely past time, but time of Kairos that brings possibility of selfreform and new discover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oets about modernism and awareness of tradition were also closely related their aesthetic properties. Yi Sang expressed extreme modernity by the artificial language, such as mathematic or scientific terms, and drastically maximized the aesthetic autonomy. Unlike Yi Sang, Kim Soo-young wrote poetry closer to reality with everyday language and inexorable spoken language. In his poetry, everyday language was inspired new aesthetic dimension, also rediscovery of tradition was militating as a new power of aesthetic modernity.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과 디지털 영화 미학의 상관관계 연구

        정헌(Jeong, He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 Vol.0 No.48

        이 글은 포스트모더니즘과의 연관성 속에서 디지털 영화 미학의 주요한 특징과 가능성을 탐구한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합성 이미지에 근거한 디지털 영화들은 포스트모더니즘의 문제를 새로운 차원에서 제기한다. 이미지 구성 방법론의 측면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뮬레이션 이미지, 패러디, 꼴라쥬, 혼성모방 등은 이후 등장하는 디지털 영화 미학의 주요 방법론으로 작동한다. 또한, 이미지 존재론의 측면에서, 디지털 영화는 필름의 복제 이미지를 넘어 컴퓨터 합성의 기술적 기반 위에서 실현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은 현실의 사진적 재현을 넘어 이미지 합성과 변형의 차원을 전면화한다. 디지털 테크놀러지의 발전은 실제의 현실보다 더욱 현실적인 하이퍼리얼 이미지를 창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영화 미학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한계를 넘어서 간다. 포스트모더니즘과 디지털 미학 사이의 역사적 겹쳐짐과 미학적 유사성이 여전히 존재하긴 하지만, 디지털 합성 이미지의 적극적 주체 개입과 상호작용성의 미학은 포스트모던의 탈역사성과 하이퍼리얼리티로부터 분리된다. 디지털 기술의 도움으로 영화의 현실 지표성과 리얼리즘의 재현 미학은 오히려 더욱 강화된다. 이 글은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양 방향에서 디지털 가상성의 새로운 미학을 검토한다. 한편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미지 편향성을 넘어서는 새로운 리얼리즘의 의미를 모색한다. 다른 한편으로 모더니즘 작가주의의 측면에서 포스트모던 비관주의를 넘어서고자 한다. 디지털 가상성 미학은 물질 현실과 가상 이미지, 지표성과 조작성, 복제와 혼성모방, 결국 리얼리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사이의 이분법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시도이다.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디지털 상호작용성에 기초한 디지털 가상성의 미학은 현실의 지표성과 함께 영화의 상상적 표현력을 동시에 확장한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main trait and potential of digital cinema aesthetics in relation to the postmodernism. Firstly, I examine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postmodernism and digital aesthetics in the information society and digital revolution. Postmodernism is focused on the de-historicalization and hyper-reality against the authenticity of reality. In particular, it suggests the cinematic aesthetics of simulated images beyond the representative aesthetics of realism and the rational skepticism of modernism. Postmodernism is associated with the commercial mass culture and the cultural products of capitalism. The digital cinema based on computer simulations and synthetic images since the 1990s takes new issues with the postmodernism. In terms of the methodology of image composition, postmodern techniques like simulation, parody, collage, and pastiche function as a main methodology of digital cinema aesthetics. In addition, digital cinema is based on computer-simulated images beyond filmic reproduced images, in terms of the ontology of cinematic images. The computer-simulated images suggest the new stage of synthesis and transformation of cinematic images beyond filmic representation and reproduction. The evolution of digital technology opens a new age of hyper-real images that the simulated images are more real than the reality. Here the digital synthesis of cinematic images is related with the hyperreal aesthetic of postmodernism. Nevertheless, the aesthetics of digital cinema goes beyond the postmodernism. Historically, the end of postmodernism is associated with the beginning of digital aesthetics. The advent of digital network society provides the technological foundation beyond the postmodern passivity and recession. Although the historical imbrications and aesthetic similarity between postmodernism and digital aesthetics still remain, the digital aesthetics of activity and interactivity is distinguished with the postmodern aesthetics of dehistoricity and hyperreality. The cinematic aesthetics of indexical and representative realism is reinforced with the help of digital technology. Therefore, the cinematic aesthetics in digital era should search for the new relationship between reality and hyperreality, representation and simulation, indexicality and symbolicity, and actuality and the virtuality. This article examines the new aesthetics of digital virtuality in the direction of realism and modernism. On one hand, I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new realism beyond postmodern hyperreality. On the other hand, I try to go beyond postmodern pessimism in terms of modern auteurism. The cinematic aesthetics of digital virtuality departs from the dichotomy between material reality and virtual images, indexicality and manipulation, reproduction and pastiche, and realism and postmodernism. It is an historical hybridity and ontological complexity of traditional cinema aesthetics. The aesthetics of digital images reinforces the contradiction of cinematic indexicality and expressive imagination.

      • KCI등재후보

        알렉산더 맥퀸 패션쇼의 헤어스타일에 나타난포스트모더니즘

        유은성 대한미용학회 2013 대한미용학회지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on the hair styles of Alexander McQueen’s collections from S/S 1995 to F/W 2010.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hair styles in Alexander McQueen’s collections are related to romantic emotion, they represent the pursuit of primitive substance, the transcendence of time, multi-factorial eclecticism, and uncertainty. The historic transcendence of time was shown in the various post-modern hair styles borrowing and changing the image of past hair styles from the Primitive era to today, which aimed at expanding the range of expression by searching for the origins of beauty in opposition to the values of modern beauty. The folk multi-factorial eclecticism was inspired by ethnic hair styles from many countries and re-created by mixing the West and the East, and alteration. The key value of post-modernism is uncertainty, which means defective human beings’ aesthetic taste such as the nature of the grotesque showing something disgusting and horrible. This shows the power of expression by hair styles and how they convey sarcasm and warning against the actual. This study predicts the expansion of hair design elements and the developmental possibility of new hair design. 본 연구는 1995년 S/S부터 2010년 F/W까지 알렉산더 맥퀸의 패션쇼에 나타난 헤어스타일의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알렉산더 맥퀸의 포스트모더니즘의 배경은 낭만주의적 감정과 연결된 고리를 가지며, 인간의 감정을 중시하는 낭만주의는 예술의 패러다임을 바꾼 아방가르드에 영향을 주었다. 낭만주의에 반하여 인간의 감정보다는 미학적 현대성을 추구한 모더니즘은 포스트모더니즘에 영향을 주었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은 새로운 실험의 성격을 띤 또 하나의 아방가르드이며, 이는 예술사조간의 경계와 예술과 삶의 경계를 허물어뜨리며 종합예술을 지향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맥퀸의 작품세계는 낭만주의적 감정에서 시작된 모든 예술의 장르를 뛰어넘는 다원주의적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알렉산더 맥퀸의 헤어스타일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은 역사의 시간적 초월성, 민족의 다원적 절충성, 미의 의미적 불확정성으로 나타났다. 역사의 시간적 초월성은 아프리카 원주민과 인디언들의 원시시대의 헤어스타일로, 가공되고 인위적인 현대의 헤어스타일의 미적 가치에 대한 도전으로 원초의 아름다움을 탐색하여 표현의 영역을 확대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낭만주의 시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헤어스타일을 이미지를 차용하여 새롭게 변형하거나 과거의 스타일을 그대로 재현시켜 포스트모더니즘의 폭넓은 헤어스타일에 기여하였다. 민족의 다원적 절충성은 세계 여러 나라의 민속적인 헤어스타일에서 영감을 받아 이미지를 혼합, 변조하여 새로운 형태를 시도하였으며, 금발머리의 서양 모델이 동양적인 헤어스타일을 선보임으로써 서양과 동양의 상호텍스트성, 전통스타일의 변조를 통한 포스트모더니즘의 다원적 절충주의를 표현하였다. 미의 의미적 불확정성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적인 가치로 이해되며, 인간의 불완전한 미적 취향을 악마성과 혐오성이라는 그로테스크적인 특성을 도입하여 패션에서 헤어스타일이 전달할 수 있는 상징적인 표현의 힘을 보여주었다. 또한 헤어스타일을 통해 현실에 대한 풍자와 경고등의 메시지를 전달하였으며, 이는 전혀 예상할 수 없었던 버려진 음료수캔 등과 같은 오브제를 사용하거나, 새로운 형태의 헤어스타일을 선보임으로써 기존의 미의 질서를 파괴하여 표현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20세기 후기의 대표 사조인 포스트모더니즘은 우리의 시대정신이며 포괄적인 사회 현상으로 문화, 예술에 영향을 끼치며 ‘천재 디자이너’로 불렸던 알렉산더 맥퀸의 헤어스타일에도 나타남을 확인함으로써 헤어스타일이 패션이미지 연출의 완성도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알렉산더 맥퀸의 헤어스타일에 내재된 현대의 포괄적인 사회현상인 포스트모더니즘 미적 철학과 표현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헤어디자인 표현 요소의 확대와 무한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범위 및 표현 영역이 방대하여 헤어스타일에 국한하여 연구되었으며, 향후 알렉산더 맥퀸의 의복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러시아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비교연구

        정보라(Bora Ch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13 노어노문학 Vol.25 No.3

        러시아 문학에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은 소비에트 시기라는 역사적 특이성 때문에 서구에서 논의하는 문예사조의 흐름과는 다른 양상을 나타낸다. 모더니즘의 특징이 하나의 통합적인 이상을 정립하려는 유토피아적 시도였다면 포스트모더니즘은 이러한 이상이 해체되는 양상을 보인다는 측면에서는 서구의 포스트모더니즘 담론과 공통점을 가진다. 그러나 러시아의 경우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변화 발전해야 할 기간의 중간 시기를 사회주의 리얼리즘이라는 정치성 강한 문예사조가 지배했으며,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그 자체로 또한 일률적인 이상향을 소비에트 국가체제 전체에 주입하려는 시도이기도 했다. 그러므로 소비에트 말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현대 러시아의 포스트모더니즘은 억압적이고 기만적인 사회에 대한 조롱과 함께 모더니즘과 그 이전 시기의 역사적, 문학적 전통을 재발견하여 계승하는 것은 물론 모방하고 변형하여 재창조 한다. 문학적 기법은 물론 주제와 소재에서도 이러한 연결점을 발견할 수 있으며, 그리하여 러시아의 포스트모더니즘은 여러 측면에서 모더니즘의 직접적인 패러디로 나타난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시기를 대칭점으로 설정하고 그 이전 이 모더니즘의 시기이며 이후가 포스트모더니즘의 시기라면 러시아에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은 동전의 양면이며 러시아 현대문학이라는 하나의 전체를 이루는 두 축이다. 본고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여러 성격 중에서도 모더니즘적 지향성의 패러디이자 현실의 패러디로서의 측면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여 러시아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역사적 흐름이라는 하나의 큰 틀 안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In Russian literature, Modernism and Postmodernism present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Western counterparts because of one major historica uniqueness: the Soviet period. The common feature that Russian literary trends share with their Wester counterparts is that Modernism was a rather utopian attempt to find and confirm a synthetic, unilateral ideal, while Postmodernism shows the deconstruction of such an ideal. However, in the case of Russia, the period in which Modernism should have changed and developed freely into Postmodernism was ruled by the very political and ideological Socialist Realism, which was itself an attempt to impost a unilateral utopian ideal upon the entire Soviet Union and its system. Therefore Russian Postmodernism, which began to manifest itself in the late Soviet period, shows the tendency to ridicule the oppressive and deceptive society and attempts to re-discover the previous literary and cultural traditions, succeed them, mimic, modify and re-create them. One can find these links between Postmodernism and its predecessors not only in terms of literary techniques but also in themes and subjects. In general Russian Postmodernism appears as a parody of Modernism in many respects. One may posit that Russia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are mirror images of each other, on either side of the same coin, composing a whole that is modern Russian literature, with Socialist Realist period in the middle.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reexamine Postmodernism as a parody of the Modernist tendencies and a parody of reality and history, and ultimately to consider Russia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as one entirety under the greater rubric of modern Russian history.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과 한국의 문학

        김상태(Kim, Sang Tae) 구보학회 2006 구보학보 Vol.1 No.-

        포스터모더니즘의 발흥시기를 1940~50년대로 보지만 전 세계적으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된 것은 1970~80년대로 보고 있다. 모더니즘을 이어받은 징후로 보기도 하고 그것과 구별되는 경향으로 보기도 한다. 따라서 모더니즘을 논한 다음에 포스터모더니즘을 살펴볼 수밖에 없다. 모더니즘의 근원을 계몽주의에 두는 것은 사물을 합리성에서만 보는 세계관에 반발해서 나타난 경향이기 때문이다. 모더니즘은 도시성과 산업사회와 근친 관계를 갖고 있다면, 포스트모더니즘은 그에 더해서 미래에 대한 비전과 아방가드 정신에 더 투철한 것 같다. 모더니즘도 과감한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 비평의 눈은 텍스트적이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은 공 텍스트적이다.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은 인터넷 문화와 보다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작가들은 언어적 실험을 과감하게 수행하고 있다. 그런 관점에서 말한다면 포스트모더니즘은 제임스 조이스에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고, 그 이후 과감한 언어적 실험을 한 작가들도 포스트모더니즘의 계열의 작가로 취급할 수 있다. 한국에서도 이인성이나 최수철 같은 작가를 포스터모더니즘의 경향을 갖고 있는 작가라고 할 수 있다. 한국문학에서는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문학의 대중화 경향을 포스터모더니즘의 한 특성으로 지적할 수 있다. 수많은 시인이나 수필가들이 문단에 데뷔해서 문학 활동을 하고 있지만 이들은 서로 아는 사람의 작품을 읽으면서 문학 행위를 즐기는 것이다. 이것은 1960~70년대 스타 문인 시대와는 판이하게 다른 양상이다. 포스트모던 시대에는 소설 대신에 수필이 문학 장르의 왕자로서 군림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 인터넷 매체를 통하여 인기 있는 작가로 부각되고 있지만 기성의 문단에서는 이들에 대해 전혀 주목하지 않는다. 하지만 젊은 세대들에게는 열광적인 환영을 받고 있다. 인터넷 문학의 시대에는 활자 문학의 시대와는 다른 양상으로 문학 활동이 전개될 것이다. It seems to me that the word of Postmodernism was appeared through 1940~50, but practically was discussed and popularized through 1970~80 over the world. Some scholar argues that it follows Modernism, other denied it, rather it opposes the main trend. Therefore Postmodernism should be examined after Modernism. Modernism originated from Ratio- nalism of Renaissance period. It was widely recognized that Modernism was related with urbanity and industrialism. Postmodernism is viewed more closely related with vision future and avant_garde spirit. Modernism avows the change is needed in its intention and examined according the text, however Post- modernism viewed every work from point of inter_text. Especially Post- modernism is closely related with the internet culture. The writers of Postmodernism often practice a radical linguistic exper- iment. James Joyce was one of frontier in the practice. Lee In-seong and Choi Su-cheol could be chosen in this line of writers in Korea. The recent trend of mass literary inclination could be pointed as one of Postmodernism phenomena. A great deal of poets and essayist are debuted in the various literary magazine and they incline to read their close friends works each other and enjoy their way of literary act. This kind of trend is different from former period 1960~70 which a few star writers were popularly read and noticed. In the Postmodern period essays of non_star writers are anticipated to permeate in the popular readership. The recent appeared popular writers as such Giyuni and etc are almost disregarded by established literary circle, but they are enthusiastically welcomed by some of young generations. It is anticipated that literary act using internet media instead of print develops quite a different aspect in the coming 21 century.

      • KCI등재

        모더니즘 이후의 모더니즘들: 신(新)모더니즘 연구의 가능성과 당면 과제

        송정경(Song Jung-gy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7 영미연구 Vol.39 No.-

        모더니즘 담론에서 일반적인 연구 대상은 20세기 초반에 유럽과 미국에서 나타난 실험적 문화 예술 운동이다. 그러나 현대화로 인한 변화를 모더니즘의 주요 원인으로 보는 만큼, 현대화가 일찍 진행된 서구 국가들과 달리 시기적으로 뒤늦게 등장한 국가들의 모더니즘은 연구에서 제외되거나 타자의 형태로 작품 속에 존재하였다. 이후 일부 모더니즘 작품에 나타나는 제국주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서구 이외의 국가들의 현대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20세기 후반부터 세계화로 인한 범세계적 연구가 가능해지면서 새로운 모더니티와 모더니즘 연구의 판이 짜지는 계기가 마련됐다. 새로운 모더니즘의 경향을 통합적으로 살펴 보는 데는 여러 난제가 있으나, 1999년에 설립된 ‘모더니즘연구 학회’가 이러한 방향을 설정하는 기준을 구축하는 노력을 하고 있는 중이다. 이 학회는 1994년 Modernism/Modernity라는 학술지 창간에 이어서 설립된 학술단체로, 시들해져 가던 모더니즘 연구를 부활시킨 계기를 마련했다. 서구 중심을 탈피한 모더니즘 연구는 아직 상대적으로 부족하지만, 이 학회에서 주요 행사 중 하나인 모더니 즘연구 학회 학술상의 최근 수상작은 주로 새로운 관념의 모더니즘들과 관련된 저서들이 강세를 이루었다. 2015년 수상작은 자넷 풀(Janet Poole)의 『미래가 사라진 때』로, 한국의 모더니즘에 관한 연구서이다. 외국 작가에 의한 일본 식민지 상황의 한국 모더니즘 작가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이러한 새로운 모더니즘 연구가 비단 기존 모더니즘 연구의 지형도를 바꿀 뿐 아니라 한국 문학 연구의 판을 새로이 짜기도 한다는 사실이다. 새로운 모더니즘 연구로 인한 변화가 긍정적인지의 여부, 그리고 새로운 모더니즘이 공통된 특징을 명시 가능한 새로운 문예사조로서 기능하는지의 여부는 조금 더 시간이 지나야 알 수 있겠으나 서구 중심을 탈피하여 아직 ‘모던’이라고 불리는 시기에 세계 각국의 모더니즘을 발굴하고 재조명 한다는 데에서 유의미하다고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new modernist studies and investigate its significances and contradictions. In the 1990s, the genealogy of modernism and modernity reached an entirely new phase under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and postcolonial studies. Scholars began to expand the study of modernism and modernity in terms of space and time, modifying the scope of their research from a Western-centric modernism/modernity to that of other regions and periods. The new modernist studies enlarges the field without restricting its object to high culture, and thus achieved temporal and spatial diversity in its discourse. The movement was accelera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ist Studies Association (MSA) in 1999 and the ensuing publication of its journal, Modernism/Modernity. However, such approaches have the potential to distort domestic scholarship, for which Janet Poole serves as a good example when she wrote When the Future Disappears: The Modernist Imagination in Late Colonial Korea (2014), awarded in the following year by MSA. For she is quite different from Korean scholars in terms of the object of study. The new modernist studies are still important as they build the foundation for the expansion and diversification of modernism, but their follow-up studies will also be significant.

      • KCI등재

        식민지 근대성을 통해 본 한국 모더니즘에 대한 비교 연구: 모더니즘 변형에 대한 문학사적 접근

        최성우 ( Seong Woo Choi ) 한국비교문학회 2015 比較文學 Vol.0 No.65

        본 연구는 1930년대 식민지 상황에서 태어난 한국 모더니즘의 특징들을 호미 바바의 탈식민주의 이론을 빌려 다루고자 한다. 한국의 근대 문학을 알고자 하는 독자들, 특히 영어권 독자들을 위해 한국 모더니즘을 유럽 모더니즘들, 그리고 이들을 한국에 전달하는 중간 역할을 했던 일본의 모더니즘과 비교하는 방법은 유용하고 적합할 것이다. 원래 모더니즘은 19세기 말, 20세기 초 유럽에서 태동한 예술운동을 의미하며 여러 모더니즘들의 공통된 특징은 반전통주의라 볼 수 있다. 이 반전통주의를 기반으로 한 유럽 모더니즘들과 일본 모더니즘에 영향을 받아 한국 모더니즘도 자신만의 반전통적이고 새로운 독특한 문학을 만들어 냈는데 이는 식민지라는 그들과 다른 역사적 문화적 배경이 큰 영향을 준 것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모더니즘 문학을 제대로 알고 즐기기 위해서는 식민지 한국이라는 역사적 문화적 배경의 이해가 우선해야 함을 강조한다. 모더니즘 연구뿐 아니라 한국 문학 연구를 위해 탈식민주의적 접근법은 큰 역할을 담당할 것이며 본 연구가 이에 작은 기여를 할 수 있기를 바란다. Influenced by the ideas of postcolonialist Homi Bhabha, this study attempts to show the features of Korean modernism based on colonial modernity, to the readers, particularly to the English-speaking readers, who want to understand Korean modern literature. For this, it will be relevant and useful to compare Korean modernism with other European and Japanese ones. Modernism is an aesthetic movement rooted in the changes in European society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Its most remarkable common feature is anti-traditionalism. Based on the influences of European and Japanese modernisms, Korean modernists formed their own unique style which is pervaded by the features of Korean modernism. Thus, this study emphasizes the role and importance of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to understand Korean modernism which began in colonial Korea in the 1930s. Ultimately,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how to approach Korean literary studies with post-colonialism that will unveil the unique features of Korean modernism.

      • KCI등재

        모더니즘론의 탈식민주의적 전환과 그 가능성 : 최근 한국 현대문학 연구에 있어 모더니즘의 역사화 경향 과 식민지 모더니즘

        최현희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24 탈경계인문학 Vol.17 No.1

        이 글은 2015년을 전후하여 한국 현대문학 연구 분야에 나타난 모더니즘론의 역사화 경향을 셋으로 정리하고 이 중 모더니즘 자체의 식민성을 탈식민주의적으로 읽어내는 경향을 집중적으로 고찰한다. 이 경향은 한국적 맥락에서 모더니즘이 세계성, 보편성, 서양중심성과 친연성이 높은 개념이었다는 점에 주목하는 데서 출발한다. 이러한 모더니즘의 식민지성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가 모더니즘의 탈식민적 가능성을 발견하는 데로 이어지는 통로를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모더니즘 문학론을 탈식민주의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 구체적 방법으로 이상, 최재서, 임화에 대한 식민지 모더니즘적 해석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Since around 2015, there has been a remarkable shift in modern Korean literary studies toward reinterpreting modernism. Traditionally viewed as opposing the ideologically engaged and realistic tendencies in literature, modernism is being reevaluated through three new lenses. Firstly, the realism versus modernism dichotomy is increasingly seen as a construct emerging from the narrative act of literary historiography, rather than an objective historical fact. Secondly, this period challenges the perceived autonomy of modernist literature from reality by highlighting its direct links to the socio-political and material conditions of its time. Thirdly, within the Korean context, attention is drawn to modernism’s affinity with globality, universality, and Western centrism, advocating for a post-colonial interpretation of modernism’s colonial aspects. Building on this framework, this article delves deeper into the post-colonial critique of modernism’s colonial dimensions, starting with an examination of the New Modernist Studies as a theoretical backdrop. It further investigates the notion of colonial modernism through Choe Hyonhui’s recent work, aiming to highlight the decolonial potential within modernism. By proposing interpretative methods for the colonial modernist readings of Yi Sang, Ch’oe Chaesŏ, and Im Hwa, this article explores new possibilities for the historicization of modernism in modern Korean literary studies.

      • KCI등재

        미국의 법모더니즘

        한상수 한국법철학회 2013 법철학연구 Vol.16 No.2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American Legal Modernism. Legal Modernism is the projection of general modernism into the area of law. Modernism is a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ponse to modernity in the modern society. Therefore, modernism reflects modernity and attempts to solve the problems involved in modernity. Modernity is characterized by trust in reason, demystification of nature, belief in progress, the rise of nation state, and free market economy. These characteristics of modernity are reflected in Legal Modernism. Legal Modernism is a legal-philosophical position of legal scholars who believe that humans can discover objective and universal truths about the world and find right answers to the all the legal problems by applying the truths. Legal Modernism contributes the rule of law by establishing the legal constraint of state power. Legal Modernism in general is based o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such as logocentrism, anthropocentrism, Eurocentricism, foundationalism, and representationalism. American Legal Modernism is divided into two mainstreams. One is legal formalism which was derived from Langdellian Legal Science and the other is legal instrumentalism which evolved from Holmes's legal theory. American Legal Modernism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merican legal thought by attempting to locate the foundations of law not in traditional authority and religion but in human reason and experience. However, American Legal Modernism is faced with the task of solving the problem of legal indeterminacy raised by legal postmodernism. 이 논문은 미국의 법모더니즘의 본질과 특징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모더니즘은 근대사회에서 나타나는 모더니티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대응으로서, 모더니티를 반영하면서도 모더니티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다. 모더니티는 이성에 대한 신뢰, 자연에 대한 탈신비화, 진보에 대한 신념, 국민국가의 등장과 자유로운 시장경제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모더니티의 특징을 반영한 모더니즘이 법의 영역으로 확산된 것이 법모더니즘이다. 법모더니즘이란 인간은 이성을 통해서 세계에 대한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진리를 발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진리를 바탕으로 모든 법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정답을 찾아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국가권력의 자의적인 행사를 통제하는 법의 지배가 가능하다는 법철학적 관점이다. 법모더니즘은 이성중심주의, 인간중심주의, 서양중심주의, 기초주의, 재현주의 등을 철학적 기초로 한다. 미국의 법모더니즘은 랭델의 법과학에서 비롯되는 법형식주의와 홈즈의 법이론에 기반을 둔 법도구주의라는 두 가지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법모더니즘은 전통적인 권위나 관습이 아닌 인간의 이성이나 경험에서 법의 기초를 확립하려고 하였다는 점에서 미국법철학의 발전에 중대한 기여를 하였다. 하지만 포스트모더니즘에 의해 법모더니즘의 철학적 전제인 기초주의와 재현주의가 도전을 받으면서 법모더니즘은 법적 불확정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