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치즘 영화와 테크놀로지의 유토피아

        피종호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8 현대영화연구 Vol.14 No.3

        In general, Nazism art strongly against modernism which as an artistic avant-garde. The slogan “entartete Kunst” shows this perspective. However, the utopian perspective of technology is highlighted in the Nazism art that claims anti-modernism, which is mostly influenced by Neue Sachlichkeit. Arnold Fanck’s film brought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ilm art of the Nazi era with his Mountain film, ‘der Topos des Verkehrs (the topos of Traffic) in Rennsportfilme (motor race film), and ‘Fliegertopos (the topos of a pilot)’ on the new technology of the airplanes, etc. This phenomenon would be called as modernization of technology or reactionary modernism in the sense of an extension of the modernism. Modernization of Nazism technology that follows the traditional technology materialism after Neue Sachlichkeit is related with not only the discourse of ‘solid steel romanticism’ which claims to be romantic and steel-like, but also a biological aesthetic theory based on the racism that predicates upon the utopian horizon. This correlation can contemplate with Ernst Jünger, who was inter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r and new technology based on the political romanticism foundation. In the perspective of Neue Sachlichkeit, he suggests this correlation with fascism aesthetics by developing positive opinions about the war; the body as a machine and steel-like form in the war created the new human being and races, the technology of the war has maintained human life and civilization on the anthropological horizon. This point of view is an aesthetic phenomenon that generally appears in Nazi art, which prominent in cultural films and war films. Especially, as Avant-garde artistic films influenced by Neue Sachlichkeit, cultural films can be considered by Walter Ruttmann and Willy Zielke. Furthermore, among the cultural films, not only the air force films that emphasize Fliegertopos, but also the air force film as dramatic war films are highlighting the Utopia of war technology. In this process, aesthetic features such as the convergence of human and technology, the accuracy and speed of technology, and the reporting of mythical heroes are emphasized. Fliegertopos aestheticizes fascism and war by highlighting the hero of neoteny in the motif of eternal youth. Rennsportfilme as a fascinating film also presents a similar utopia of technology. 나치즘 영화와 테크놀로지의 유토피아에 대한 이 글은 나치즘과 테크놀로지의 모더니즘화, 신즉물주의의 전통과 파시즘 아방가르드, 아방가르드 예술로서의 문화영화와 전쟁 테크놀로지 유토피아의 표상, 전쟁영화와 테크놀로지의 유토피아를 고찰한다. 역사적 아방가르드예술을 ‘변종예술’로서 폄훼한 나치즘 영화와 예술은 신즉물주의의 테크놀로지 숭배의 전통을 받아들이면서 테크놀로지의 모더니즘화 내지는 반작용의 모더니즘을 보여준다. 자동차경주영화의 ‘교통의 토포스’와 ‘비행사의 토포스’는 이런 관점을 제시한다. 테크놀로지의 모더니즘 대표자인 에른스트 융어는 신즉물주의의 관점에서 테크놀로지 유토피아를 내세우면서 파시즘 아방가르드의 이론적 단초를 선취하고 있다. 부르주아의 데카당스를 거부하는 그의 전쟁미학은 강철형상으로서의 군인과 새로운 인간으로서 비행사를 부각시킨다. 이는 세계를 형성하는 새로운 주체로서 기계인간의 유형이다. 파시즘의 전체주의 국가이념에 부합하는 이러한 관점은 나치즘 영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나치즘 영화의 전쟁 테크놀로지의 유토피아는 아방가르드 예술로서의 문화영화에서 잘 나타난다. 발터 루트만과 빌리 칠케의 산업영화와 군사 및 전쟁영화뿐만 아니라 공군영화는 이에 해당한다. 마틴 리클리의 공군영화 <비행사, 무선통신사, 포병>과 <바다로 향한 비행사>는 그러한 예이다. 그리고 나치즘 영화에서 테크놀로지의 유토피아는 비행사 토포스를 제시하는 새로운 영화로서의 극영화인 전쟁영화에서 잘 나타난다. 하인츠 파울의 공군영화 <비행의 경이로움>에서 시작되면서 영원한 젊음과 유형성숙의 모티브를 강하게 부각시키는 전쟁영화는 칼 리터의 <급강하 전투기>, 알프레드 바이드만의 <젊은 독수리> 등에서 잘 고찰할 수 있다. 시대영화인 이러한 전쟁영화는 영웅적 보도영화로서 신화적 층위에서 영웅숭배를 부각시킨다.

      • KCI우수등재

        폭력사회학 이론과 나치 폭력 연구

        김학이 ( Kim Hak-ie ) 한국서양사학회 2017 西洋史論 Vol.0 No.134

        본고는 “신폭력사회학” 이론을 정리하는 동시에 나치즘 연구에 이용할 방법을 모색했다. 신폭력사회학은 폭력을 사회적 행위로 정의하면서, ‘폭력이 왜 발생하는가’가 아니라 ‘폭력이 무엇을 행하는가’ 질문했다. 답은 세 가지였다. 폭력은 신체적 상해를 가하고, 공동체를 구축하며, 자가동력을 발휘한다. 이를 나치즘에 적용하면 다음의 면모가 부각된다. 첫째, 바이마르공화국에서 주로 상징적이었던 폭력이 나치 집권 이후 본격적인 신체적 폭력으로 실천되었다. 나치즘은 진정한 역사적 단절이었고, ‘타자’의 신체적 고통에 대한 공감을 삭제하였다는 점에서 나치즘은 ‘시민사회’를 금지한 체제였다. 둘째, 폭력에 내장된 위계적 성격으로 인하여 나치즘에서 폭력은 사회적 상승의 통로인 동시에 폭력을 외면하는 제3자 독일인들에게 독재체제의 파괴적인 억압 장치였다. 제3자 ‘구경꾼’은 그 때 이미 미끄러지는 범주였으며, 이는 특히 2차전 후반의 동유럽에서 두드러지게 될 터였다. 셋째, 나치의 전쟁 폭력은 동유럽을 “폭력 공간”으로 구성한 면이 있다. ‘공간으로의 전환’은 홀로코스트를 해명할 주목할 만한 새로운 접근법이다. 다만 적절한 이론적 성찰과 연구 현실에서의 유연성이 요구된다. The sociology of violence dose not ask why violence happens, but instead focuses on what the violence is doing. The answer is threefold. Violence creates physical injuries, builds the community, and sets the self-dynamics of violence in motion. Applying these theoretical insights into the study of the national socialism, we can capture three aspects of the national socialism. First, Nazis destroyed the civil society in Germany by advancing a culture of violence so that it became reality, wheres previously it remained mainly symbolic in the Weimar Republic. Second, the Nazis integrated non-Nazi bystanders into regime and made them complicit by committing violence openly on the streets and the markets. The regime acted as a system of repressing for the bystanders who turned their faces away from the violent scenes, as it is theoretically deduced from the micro-sociological theory of Randal Collins. Third, the violence worked as a pathway for upward social mobility in the Nazi hierarchical system, producing the self-accelerating dynamics of the violence and widening the categories of the victims.

      • KCI등재

        나치스문학과 친일전쟁시(親日戰爭詩)의 논리

        허혜정(Huh, Hye Jung) 동악어문학회 2015 동악어문학 Vol.65 No.-

        이 논문은 일제 강점기의 국가총동원시기 조선문학의 전쟁협력이 독일의 나치즘과 일본의 군국주의와 연동되었던 양상을 검출해보기 위해 독일 파시즘과 나치스시 소개글 등 다양한 자료를 검토하였다. 1930년대에는 대체로 조선문인들이 히틀러라는 인물에 대해서는 매혹을 느꼈지만 파시즘의 득세를 경계감을 가지고 주시하고 있는데 반해 40년대 신체제논리 성립 이후는 일제의 파시즘을 찬양하고 독일의 나치스 전쟁문학을 애국문학으로 여과없이 받아들였다. 이는 전쟁수행을 위해 문화전반에 파괴적인 변혁을 시도했던 나치스의 문예정책이 신체제의 문학지침에 중요한 기반을 제공했다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 문인마다 각기 다른 방식으로 나타나는 문학적 친일이 적어도 전쟁시에 있어서는 대단히 유사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친일전쟁시들은 파시즘의 동반자로서 황민이라는 실천적 정체성들을 구성했고 대동아공영권을 위한 사상전을 수행했다. 이광수를 비롯한 적지 않은 문인들이 일제의 침략전쟁을 정당화하고 조선인의 종군과 희생을 찬양했다는 점에서 지극히 반민족적인 파시즘을 애국주의로 전도시키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다. 신체제 논리에 본질적으로 나치즘이 내장되어 있고, 일제의 문화훈령을 충실히 따른 문인들이 직접 히틀러의 저작을 번역하거나 나치스시를 번역했다는 사실 등도 친일전쟁시를 둘러싼 이념적 맥락을 형성하고 있다. 나치스 문학과 친일전쟁시는 민족과 국가라는 이념을 내세워 전쟁을 미화하고 지도자에 대한 맹목적 충성과 피의 희생을 선동한 선전문학이라는 점에서 커다란 공통점이 존재한다. 특히 신체제기에 대거 쏟아져나온 나치스 전쟁시는 친일전쟁시에 막대한 문학적 주제와 수사를 제공해준 것으로 보인다. 나치즘 문학은 전쟁에 대한 주제와 감각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던 요소이며 나아가, 일제파시즘과도 이념적 지반을 공유하기 때문에 세계관적 측면에서도 세밀한 검토가 수행되어야 할 담론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xamined a variety of data including introductory writings about the Fascism and German Nazi poems in order to discover the Nazi"s influence on the war poetry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the 1930"s during Choson Dynasty, writers in general were alert to an expansion of Fascism while they were attracted by Adolf Hitler. However,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System in 1940 they praised the Japanese Fascism and adopted the war literature of German Nazis without filtering, as a patriotic literature. Thi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Nazi"s literacy policy, which attempted a disruptive reform across the overall culture for the war execution, provided a critical base to the literature guideline under the new system. Nazi literature and pro-Japan war poetry have a big thing in common given that both is propaganda literature, which beautifies the war in the name of one nation and country and demands blind loyalty to a leader and bloody sacrifice. In particular, Nazi war poems published during the period of the New System seem to have provided a great volume of literature themes and rhetorics to the pro-Japan war poetry. The future subject for the study is identifying the relation between Nazi literature and pro-Japan literature and drawing up the structure, on the assumption that the relevant data continue to be discovered and added to this study.

      • KCI등재

        인종, 피, 공간의 종교사: 나치즘 시기 종교연구가 야콥 빌헬름 하우어 (Jakob Wilhelm Hauer, 1881~1962)의 사례

        최정화 ( Choi Jeong Hwa ) 종교문화비평학회 2024 종교문화비평 Vol.45 No.45

        1933년~1945년 사이의 독일에서는 독일인종에 적합한(arteigen) 종교에 대한 논의가 펼쳐졌다. 본 연구는 독일 제3제국 시기 ‘민속·민족 종교학(Völkische Religionswissenschaft)’을 대표하는 야콥 빌헬름 하우어(Jakob Wilhelm Hauer 1881~1962)를 중심에 두고 나치즘 시기 인종과 종교 논의를 조명한다. 야콥 빌헬름 하우어는 독일신앙운동(Deutsche Glaubensbewegung)의 창시자로 당대 영향력을 지닌 인도학자이자 종교사가로 알려졌다. 독일신앙운동의 전개와 주요 저작들을 통하여 당대 독일의 종교연구에서 인종주의와 극우 민족주의가 파급된 양상을 연구한다. 하우어의 사상에 따르면 한 민족은 공간을 토대로 생명력을 얻고 문화를 발전시켜왔다. 독일인의 생명과 피는 그들이 거주하는 땅에서 기인한다. 공간과 언어처럼 ‘종에 적합한 신앙(arteigener Glaube)’이 따로 있으며, 독일인은 유대기독교의 유산에서 해방되어 인도아리안의 종교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우어의 종교사 서적에는 그 시기 유행했던 뵐키쉬(völkisch)와 나치즘적 용어와 개념들이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 하우어는 인도게르만과 근동-셈족의 ‘투쟁’으로 인류의 종교사를 서술한다. 인도게르만에게 이슬람과 유대교, 그리고 기독교 신앙은 ‘종에 부적합(artfremd)’하다. 인종의 영혼과 공간의 영혼은 상응하기 때문에 어떤 인종이 타 인종이 속한 공간에 오래 거주하거나 정복하려는 시도는 실패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유일한 예외는 유대인들로, 그들은 인도게르만의 영역에 침투해서 살아가고 있다고 비판한다. 인도게르만 종교는 수용적이고 창조적인 데 반해서 근동-셈족의 종교는 폭력적이고 배타적이기에 필연적으로 상충한다. 이러한 생각은 1961년의 마지막 저서까지 ‘관용’과 ‘무관용’이라는 용어로 바꾸어서 유지되고 있다. 이렇듯 그의 종교사 서술은 자신의 반유대기독교주의, 자유사상적 경향과 시대의 이데올로기를 뒷받침하는 보조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Between 1933 and 1945, there were ongoing discussions in Germany about a religion appropriate for the German race, that is, its ‘arteigen’ religion. This study sheds light on such discussions about race and religion during the years of the Nazi regime, focusing on Jakob Wilhelm Hauer (1881~1962), who represented the ‘völkische Religionswissenschaft’ during the German Third Reich. Hauer was the founder of the German Faith Movement (Deutsche Glaubensbewegung) and was known as an influential Indologist and historian of religion in Germany at the time.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is German Faith Movement and its major works, this article aims at tracing the spread of racism and far-right nationalism in German religious studies during the era of Nazism. According to Hauer’s ideas, a people gained vitality and developed its culture based on a particular territory. The life and blood of the German people would therefore originate from the land which they inhabit. He argued that, like space and language, there is a separate ‘race-appropriate faith (arteigener Glaube)’ and that Germans must be liberated from the Judeo-Christian legacy and restore Indo-Aryan religiosity. Hauer actively utilized völkisch and Nazi terms and concepts that were popular at the time in his descriptions of religious history. He describes the religious history of mankind through a ‘struggle’ between Indo-Germanic and Near Eastern-Semitic peoples. To the Indo-Germanic peoples, Islam, Judaism, and the Christian faith were deemed to be ‘foreign to and unsuitable for their race’ (artfremd) by Hauer. His conviction was that, because the soul of a race and the soul of its original territory correspond, any attempt by one race to reside in or conquer a territory belonging to another race for a long time is bound to fail. However, the Jews would be treated as a special case, being criticized for infiltrating and inhabiting Indo-Germanic territory. Indo-Germanic religions, Hauer claimed, are receptive and creative, while Near Eastern-Semitic religions are violent and exclusive, so they would inevitably come into conflict. He maintained this idea largely unaltered up until his last book published in 1961, changing his terminology to distinguish between ‘tolerant’ and ‘intolerant’ religious cultures. Eventually, Hauer’s works in the field of religious studies were used as an auxiliary means to support his anti-Judeo-Christian and liberalist tendencies as well as the dominant ideology of the times.

      • KCI등재

        영화《쉰들러 리스트(Schindler`s List)》에 나타난 `문명`의 의미 재고―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중심으로―

        강효정 ( Kang Hyo-jung )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7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13 No.-

        본고에서는 프로이트의 문화이론을 바탕으로 영화《쉰들러 리스트》에서 나타난 제2차 세계대전 당시의 병리적인 현상에 관하여 분석해보고자 한다. 영화《쉰들러 리스트》는 홀로코스트라는 주제를 다룬 대표적인 작품으로서 유대인에 대한 나치 전범들의 반인륜적인 죄악을 사실적으로 담아내고 있다. 주지하듯 나치 전범들은 인종차별적인 민족 공동체를 희망하며 유대인에 대한 비정상적인 광기와 증오심을 드러냈다. 프로이트는 이러한 현상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으로 인간의 본능을 제시하였고, 이를 크게 공격성의 본능과 에로스적 본능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나치 전범들은 반유대주의라는 이데올로기 속에서 나치즘이라는 하나의 문명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나치즘을 하나의 완벽한 문명으로 만들기 위해서 유대인에 대한 생물학적이고 문화적인 기준들을 인위적으로 조작하였다. 이는 자신들이 이룩한 문명에 대한 자기애적(自己愛) 성격을 표출하는 행위로서 유대인 학살에 대한 타당성을 부여한다. 때문에 나치즘이라는 문명은 유대인에 대한 학살을 용인했다는 점에서 문명의 발달을 경험하지 못한 원시인의 상태로 퇴행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나치 전범들이 유대인을 학살하는 과정에서도 그 어떠한 죄책감을 느끼지 못했던 까닭은, 반유대주의로 형성된 공동체에 완전히 동화되어 자신의 내적 자아를 상실했기 때문이다. This paper will analyze the pathological phenomenon which has appeared in the movie `Schindler`s List` since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basis of analysis will be the cultural theory of Sigmund Freud. As everyone knows, during the Second World War, Nazi war criminals hoped to create an ethnic community based on racism, by revealing abnormal hatred, madness, indiscriminately towards the Jewish. Freud suggests that the fundamental reason of this phenomenon is caused by the human instinct, which is explained in two ways; the instinct of aggression and the instinct of Eros. During the World War Ⅱ, the Nazi war criminals created a civilization which is Nazism under the Anti-Jewish ideology. To create the Nazism as a perfect civilization, they have artificially manipulated to view the cultural standards and eugenic facts of Jewish as inferior. By expressing their Narcissistic attitude towards their civilization, it has granted validity of slaughtering the Jews. Therefore, it could be explained that as Nazism has tolerated the slaughter of Jews and this has degenerated the civilization into the stage of primitive men which has not experienced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Nazi war criminals had not felt any guilt during the holocaust is because they have been totally assimilated with the Anti-Jewish based community and have lost their inner self.

      • KCI등재

        『국가와 종교』를 통해 본 난바라 시게루의 전체주의 비판

        박은영(Park, Eun-young) 동아시아일본학회 2021 일본문화연구 Vol.- No.78

        난바라 시게루는 1930년대 이래 독일 나치즘의 영향을 받은 일본 파시즘이 맹위를 떨친 시대 속에서 개인과 공동체, 곧 국가와의 관계를 학문적으로 고민했다. 1942년 발간된 『국가와 종교-유럽정신사의 연구』는 당시 전 세계적인 위기 상황을 응시하고, 철저한 학문적 방법으로서 이상적인 국가관과 정치사상을 표명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난바라 정치철학의 기초가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국가와 종교』는 ‘유럽정신사의 연구’라는 부제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유럽 정치사상의 역사를 국가와 종교라는 축을 통해 분석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유럽정신사의 검토를 통해 ‘바람직한 국가상’을 추구하려는 난바라에게 나치 독일의 상황과 국가적 신앙이라고 할 수 있을 천황제 파시즘이 구가되던 일본은 별개의 문제가 아니었다. 본고는 『국가와 종교』 텍스트의 면밀한 독해를 바탕으로 전시기 난바라의 사상을 파악하고. 그의 정치철학적 방법론으로서 가치병행론의 내용과 나치즘 비판의 의미를 확인하였다. Nanbara Shigeru was the first president of the University of Tokyo in postwar Japan. His thought was characterized by his knowledge of European political philosophy. In his first major scholarly book The State and Religion, published in 1942 during the Asia-pacific War period. The State and Religion is a careful, scholarly tracing of European intellectual history. Nanbara criticized Nazism, inspired by Hegel, as he saw that it amounted to a new justification of “State Religion.” Instead of this, he supported the Kantian idea and “Value Paralledlism” as his political philosophical methodology. Nanbara, especially highly estimated the Kantian philosophy that attaches much importance to the autonomy of each individual as a moral agenc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asp Nanbara’s peace thought of the war period based on the reading of The State and Religion.

      • KCI등재

        영화《쉰들러 리스트(Schindler’s List)》에 나타난 ‘문명’의 의미 재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중심으로-

        강효정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7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13 No.-

        본고에서는 프로이트의 문화이론을 바탕으로 영화《쉰들러 리스트》에서 나타난 제2차 세계대전 당시의 병리적인 현상에 관하여 분석해보고자 한다. 영화《쉰들러 리스트》는 홀로코스트라는 주제를 다룬 대표적인 작품으로서 유대인에 대한 나치 전범들의 반인륜적인 죄악을 사실적으로 담아내고 있다. 주지하듯 나치 전범들은 인종차별적인 민족 공동체를 희망하며 유대인에 대한 비정상적인 광기와 증오심을 드러냈다. 프로이트는 이러한 현상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으로 인간의 본능을 제시하였고, 이를 크게 공격성의 본능과 에로스적 본능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나치 전범들은 반유대주의라는 이데올로기 속에서 나치즘이라는 하나의 문명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나치즘을 하나의 완벽한 문명으로 만들기 위해서 유대인에 대한 생물학적이고 문화적인 기준들을 인위적으로 조작하였다. 이는 자신들이 이룩한 문명에 대한 자기애적(自己愛) 성격을 표출하는 행위로서 유대인 학살에 대한 타당성을 부여한다. 때문에 나치즘이라는 문명은 유대인에 대한 학살을 용인했다는 점에서 문명의 발달을 경험하지 못한 원시인의 상태로 퇴행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나치 전범들이 유대인을 학살하는 과정에서도 그 어떠한 죄책감을 느끼지 못했던 까닭은, 반유대주의로 형성된 공동체에 완전히 동화되어 자신의 내적 자아를 상실했기 때문이다. This paper will analyze the pathological phenomenon which has appeared in the movie ‘Schindler’s List’ since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basis of analysis will be the cultural theory of Sigmund Freud. As everyone knows, during the Second World War, Nazi war criminals hoped to create an ethnic community based on racism, by revealing abnormal hatred, madness, indiscriminately towards the Jewish. Freud suggests that the fundamental reason of this phenomenon is caused by the human instinct, which is explained in two ways; the instinct of aggression and the instinct of Eros. During the World War Ⅱ, the Nazi war criminals created a civilization which is Nazism under the Anti-Jewish ideology. To create the Nazism as a perfect civilization, they have artificially manipulated to view the cultural standards and eugenic facts of Jewish as inferior. By expressing their Narcissistic attitude towards their civilization, it has granted validity of slaughtering the Jews. Therefore, it could be explained that as Nazism has tolerated the slaughter of Jews and this has degenerated the civilization into the stage of primitive men which has not experienced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Nazi war criminals had not felt any guilt during the holocaust is because they have been totally assimilated with the Anti-Jewish based community and have lost their inner self.

      • KCI등재

        마셜플랜과 독일연방공화국의 사회.경제 체제의 정립

        노명환(Meung-Hoan Noh)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5 역사문화연구 Vol.23 No.-

        제 2차 세계대전 후 서방점령국, 즉 서독 지역에서는 자본주의가 나치즘의 구조적 원인이었다는 인식과 함께 나치즘 체제의 유산을 근본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자본주의 체제를 거부하는 정서가 폭넓게 확산되어 있었다. 이 지역의 다수가 대안으로서 사회민주주의 체제를 선호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은 세계 다자간 자유무역 제도 정착과 공산주의 팽창을 저지하는 봉쇄정책 실시를 위한 근간으로서 독일청책을 추진하는데 커다란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 독일이 직면하고 있는 사회·경제적 역경은 미국에게 매우 유익한 지렛대로 작용할 수 있었다. 마셜플랜의 실시와 더불어 기독민주연합당 (CDU) 내의 온건 보수 세력인 사회시장경제 체제를 옹호하는 전문가 그룹이 큰 힘을 얻게 되고 사회민주주의 대의를 이끌던 세력이, 예를 들어 사민당 (SPD)이 풀어내기 힘든 딜레마에 빠져 든 사실이 이를 웅변해 주었다. 사회시장경제 체제란 공정한 경쟁을 실현해 주는 시장경제에 기반한 자본주의를 말하며 조세정책과 공공 사회정책을 통하여 사회복지정책을 구현하기 위한 국가의 보완적 개입을 허용하는 제도적 질서를 의미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사회시장경제가 마셜플랜을 계기로 미국의 독일정책과 타협을 이루고 국내의 반자본주의적 정서를 달랠 수 있었다. 이는 사회시장경제 제도가 서독의 사회·경제 체제의 근간으로 뿌리를 내릴 수 있는 근원이기도 했다. After the World War II the anti-capitalistic sentiments and discussions predominated in the western Germany, namely in the occupied regions by Western Allies. Because the people in these areas saw the origins of the Nazism and its real power base in the capitalism. They thought they should develop a new social and economic system to overcome the ‘evil aspects’ of capitalism as roots of Fascism and Nazism. However, they could not realize their pursuits for themselves. They had to arrange them with the frameworks of USA foreign and German policies. The US proclamation of Marshall Plan turned out the turning point in West Germany in terms of discussions of social and economic system.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experts of Social Market Economic System began to predominate in the relevant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positions. Because the Social Market Economic System emphasized the fundamental advantages of capitalism for the natural ways of life and the necessity to supplement the capitalistic system in the direction of fair competition and social welfare system. The could reach a compromise with the German policies of the USA and provide at least an alternative to the anti-capitalistic discussions. In this sense the Marshall Plan played an decisive rol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al Market Economic System.

      • KCI등재

        “파우스트의 계약” : 나치즘과 환경주의의 위험한 결합

        고유경(Ko You-Kyung) 부산경남사학회 2008 역사와 경계 Vol.67 No.-

        In recent years, historians have become increasingly concerned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zi regime and the contemporary conservation movement in Germany. They have found that it is quite difficult to generalize on the environmental history of the Nazi era. There were not just similarities but also signifiant divergences between the Nazism and the conservationism in their conceptions of nature and their political styles. The two ideologies are overlapped in their cult of nature, anti-capitalism and longing for national regeneration. However the regionalism of the conservation movement was in itself hardly reconcilable with the Fuhrer Principles, male chauvinism and militarism of the Nazism. The passage of the Reich Nature Protection Law in 1935 became the crucial turning point in terms that it was the most comprehensive and progressive environmental legislation of the day. The law was enthusiastically welcomed by conservationists who had disappointed with the meager accomplishments of the Weimar period. It enhanced a general boom of administrative conservation work that some conservationists called the period a "high time" for conservation. But the environmental discourses of the so-called "green wing" of the Nazis represented racist and antisemitic elements to a considerable extent. Moreover, the causes of conservation were immediately subordinated to aims of the war effort. In this context, it can be compared to a "Faustian bargain" that conservationists entered in their rapprochement to the regime during the Third Reich.

      • KCI등재

        독일 제3제국 시기 주거구조의 근대성에 대한 고찰

        이병철(Lee, Byong-chol)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4 역사문화연구 Vol.51 No.-

        The Third Reich's housing policy shifted its focus from small housing estate in town and farming villages to large-scale social housing in metropolis. The social housing in final phase of the Third Reich was the testbed in which the rationalization, such as typication, standardization, etc., was attempted radically based on modern industrial construction techniques. Does that constitute abandonment of anti-liberalistic and anti-Marxist Nazi ideology? Can we say that Nazi spurred modernization by shifting from the conservative housing policy to progressive housing policy? This study evaluated the Third Reich's housing policy in connection with the Nazi modernization thesis. If we understand the modernization of Nazi as continuity with the West Germany(Federal Republic of Germany), the housing policy of Nazi which laid groundwork for the housing policy of 1950s can be said to have modernity, whether it is small housing estate or social housing. From the standpoint of postmodernism, Nazism represents modernity as it constitutes pathological manifestation of the Western modern civilization per se, not the uncivilized deviation from Western modern civilization. However, it is an extremely simple evaluation to define the Third Reich's housing policy as modernity or non-modernity from such standpoint. From the spatial-sociological perspective, the low-income housing in the Nazi period represented the dwelling space controlled by modern viewpoint of surveillance and control, considering that such housing was not the physical spatial arrangement that allowed the house to be viewed from the outside, but provided view line for the residents to watch and control themselves. What is the new view line arranged by Nazi? That was the "uniformity"(Gleichschaltung) strategy subjugating all things to the Nazi ideology for the establishment of ethnic community(Volksgemeinschaft). That became the view line for self-surveillance even without surveillant and became a system operating even without the monitoring device. The modernity is clearly manifested in the Third Reich's housing policy. However, the core of Nazi modernity is the technique to infuse the Nazi ideology into the public regardless of the pattern of architectural style. The political dynamics of Nazi was underpinned by programmatic eclecticism, and in the process, the housing served as very crucial tool. 독일 제3제국의 주택정책은 소도시 및 농촌에서의 소주택단지로부터 대도시에서의 대규모 사회적 주택으로 선회하였다. 제3제국 마지막 국면의 사회적 주택은 현대 산업적 건축기법에 의한 유형화, 규격화, 표준화 등의 합리화가 극단적으로 시도된 실험장이었다. 이것은 반(反)자유주의적 반(反)마르크스주의적 나치 이념의 포기라고 볼 수 있을까? 나치가 보수적 주택정책에서 진보적 주택정책으로 전환함으로써 근대화를 진척시켰다고 할 수 있을까? 이 논문은 "나치 근대화론"과 관련하여 제3제국의 주택정책을 평가하는 작업이다. 나치의 근대화를 서독과의 연속성으로 이해한다면 소주택단지든, 사회적 주택이든 나치의 주택정책은 1950년대의 주택정책에 기반이 되었다는 점에서 근대적이다. 반면에 탈근대적 관점에서 볼 때도 나치즘은 서양 근대 문명으로부터의 야만적 이탈이 아니라 그것 자체의 병리적 표현이라는 점에서 근대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으로 제3제국의 주택정책을 근대적이냐 아니냐로 구분하는 것은 너무 단순한 평가이다. 공간사회학적으로 볼 때 나치 시대의 서민주택은 감시와 관리라는 차원에서 근대적 시선에 의해 통제되는 주거공간이었다. 그것은 외부에서 내부를 주시할 수 있는 물리적 공간배치라는 뜻이 아니라 주민 자신이 스스로 자신을 바라보고 통제하는 시선이 되게 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나치가 배치한 새로운 시선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민족공동체"의 수립을 위해 모든 것을 나치 이데올로기에 종속시키는 "획일화" 전략이었다. 그것은 감시하는 자 없이도 자신이 감시하는 시선이 되고 감시하는 장치 없이도 작동하는 장치가 되었다. 제3제국의 주택정책에서 근대성은 분명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나치 근대성의 핵심은 건축양식의 유형에 관계없이 나치 이데올로기를 국민들에게 주입하는 기술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나치의 정치적 역학은 계획적 절충주의에 의해 작동되었고, 그 과정에서 주택은 매우 중요한 도구 역할을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