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지리지에 나타난 기자조선 인식

        조원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4 東洋學 Vol.- No.96

        조선시 지리지는 역 왕조의 영역에 해 서술했고 구체적인 영역 비정은 주로 기자조선 시부터 이루 어졌다. 지리지에서 기자조선은 三朝鮮 중의 하나로 평양의 기자 유적과 기자조선의 영역을 중심으로 서술되 었다. 조선전기에 편찬된 지리지는 관찬 지리지로 기자조선의 영역을 한반도로 국한하며 자세한 영역 비정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조선중기 이후에는 개인이 편찬한 지리지와 지방에서 편찬된 읍지가 나오게 되었다. 平壤志 등의 읍지에 서는 평양을 단군 및 기자의 도읍지로 강조하고 기자 유적 등 기자에 한 내용이 풍부하게 실려있다. 조선시 에 평양의 기자 유적에 해서는 이를 기자와 연관시켜 중요시하는 입장과 합리적으로 비판하는 시각이 공 존하였다. 조선후기에는 만주에 한 지식이 증되면서 만주지역을 한국 고국가의 중심지로 보는 인식이 나타났다. 이 시기 지리지에서는 주로 기자가 봉해진 지역과 기자조선의 중심을 여전히 평양으로 보았다. 그러면서 기자 조선의 영역은 만주로 확장해 보면서 영역 변천을 상세히 고증하였다. 하지만 일부 지리지에서는 기자조선의 도읍을 만주로 비정하는 인식이 나타나는데 김정호의 大東地志 가 표적이다. 김정호의 기자조선 지리 연구 는 기자의 도읍이 평양이라는 기존 역사서의 한계를 극복한 연구로 주목할 수 있다. 조선시 학자들의 기자조선 영역 변동과 지명 이동을 통한 중심지 이동 연구는 기자조선설을 극복한 근 시기에 토착세력인 고조선의 영역 연구로 계승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topographies of the Joseon dynasty described the areas of successive dynasties and the positioning of specific areas often began since the Kija Joseon Dynasty. Topographjes describes Kija Joseon(箕子朝鮮) as one of three Joseons(三朝鮮) around the Kija relics in Pyongyang and the area of Kija Joseon. The topographies published in the early Joseon, official ones, could not position detailed areas, because they limited the area of Kija Joseon to the Korean peninsula. In the mid Joseon, the topographies privately published and Eupjis published from provinces appeared. The Eupjis including Pyongyangji stressed Pyongyang as the capital of Old Joseon and Kija, and contains a lot of contents about Kija including Kija relics. In the Joseon dynasty, a perspective which stressed the Kija relics in Pyongyang by connecting it with Kija coexisted with the other one which rationally criticized the form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 new perspective that recognized the Manchuria area as the center of the Korean ancient nation appeared, as the knowledge of it was increased. In that period, Topographjes still regarded Pyongyang as the area in which Kija was crowned king and the center of Kija Joseon. It also specificall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area, extending the area of Kija Joseon to Manchuria. Some topographies, however, began to position the capital of Kija Joseon as Manchuria and critically perceive the Kija relics located at the Pyongyang area. The representative one of them was Kim Jeongho’s Daedongjiji . It is important to focus on Kim Jseongho’s study on the geography of Kija Joseon, in that it overcomes the existing topographies describing that the capital of Kija was Pyongyang. Joseon scholars’ study on the movement of centers through the changing of Kija Joseon areas and the movement of place names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was inherited to the study on the area of Old Joseon, local powers, in the modern age when the Kija Joseon theory was overcome.

      • KCI등재

        기자(箕子) 전승의 확대 과정과 그 역사적 맥락 ―중국 고대 문헌을 중심으로

        오현수 ( Hyun Su Oh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大東文化硏究 Vol.79 No.-

        ``朝鮮``을 기재한 고대 문헌에서 殷·周 교체기에 箕子朝鮮 조문은 14회라는 많은 회수가 기재되어 있지만, 西周代에는 단 1회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箕子와 朝鮮을 연계시키고 있는 기사들이 역사적 사실을 보여주고 있는지에 대한 문헌 고증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우선 箕子朝鮮說 등장 이전의 기자 전승을 분석해 보았는데, 기자 전승의 원형은 기자와 紂王의 대립이었다. 이것이 ``囚箕子說`` → ``釋箕子說`` → ``箕子來朝說`` → ``洪範敎授說``의 순으로 확대되었다. 그리고 이로부터 기자와 조선을 연계시킨 전승이 새로이 추가되어 간다. 『尙書大傳』은 기자를 조선과 연계한 최초의 문헌으로, 前漢 武帝代 伏生의 문도가 스승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저술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후 기자 전승은 『史記』 단계에 ‘麥秀之詩作者說’이, 『漢書』에서는 ‘箕子敎化說’과 ``犯禁八條`` 항목이, 또 『魏略』에서는 ``朝鮮侯=箕子之後孫說``이, 『三國志』와 『後漢書』에서는 ``犯禁八條制定說``이, 마지막으로 『隋書』와 『太平환宇記』에서는 ``箕子朝鮮⇒高句麗說``이 새로 등장한다. 이러한 기자 전승이 확대된 역사적 배경은 前漢 武帝의 조선 정벌과 樂浪郡의 효율적 통치, 그리고 隋·唐代 고구려 침략시에 침공의 명분을 얻기 위해 필요했던 사상과 역사 방면에서의 조치로 보인다. 따라서 箕子朝鮮說은 해당 전승이 필요했던 시대의 역사적 산물로서 실제 역사를 반영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 할 수 있다. Among the ancient documents which record ``Joseon``, the Kija Joseon article appears as many as 14 times during the Yin-Zhou transition. However it does not appear even once during the following Western Zhou.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verify whether the passages linking Kija and Joseon reflect historical fact. Firstly, the Kija legend before the appearance of the Kija Joseon theory was analyzed, the original form of the Kija legend was that of antagonism between Kija and King Zhou. This was expanded in the following sequence: ``Kija being imprisoned by King Zhou`` → ``King wu freeing Kija`` → ``Kija visiting King wu`` → ``Kija explaining the Hongfan to King wu``. From this, a legend linking Kija and Joseon was newly added. The first document to link Kija with Joseon was the Sangseodaejeon, which was written during the period of Emperor Wu of the Former Han Dynasty by a disciple of Fu Sheng, who recorded his master`s teachings. Afterwards, new elements were added to the legend of Kija in the following sequence: the Shiji records that ``Kija composed a poem called ``maixiu`` `` → the Hanshu records that ``Kija civilized the people of Joseon`` → the Weilue records that ``Joseonhu was a descendant of Kija`` → the Sanguozhi and Houhanshu records that ``Kija enacted the eight forbidden behaviors`` → the Suishu and Taipinghuanyuji records that ``the ancestors of Goguryeo was Kija Joseon``. The historical background to the expansion of the Kija legend was ideological and historical measures taken to grant moral justification to Emperor Wu of the Former Han Dynasty`s invasion of Joseon and the need for efficient rule of Lo-lang Commandery and the Sui-Tang Dynasty`s invasion of the Goguryeo Dynasty. Therefore, the Kija Joseon theory was a result of the historical needs of the time and does not reflect historical fact.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백의풍습 인식과 기자조선의 상관성 연구

        최지희,홍나영 한복문화학회 2019 韓服文化 Vol.22 No.2

        White clothes are a representative element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are considered a longstanding custom. However, in tracing the historical cause of this custom, many researchers focused on opinions of individuals of the more recent 20th century, after the white clothing culture had weakened. In this research, we focus on the perspective of people of the 17th-19th centuries(late Joseon dynasty), which is considered the peak of the white clothes phenomenon in Korea.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we confirmed that the country of Gija Joseon(箕子朝鮮), an unfamiliar country in modern Korea, had a significant role in establishing the positive recognition of white clothing. In this research, we focused on the cause and influenc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hite clothes phenomenon and Gija Joseon. The literature consists of Confucian texts which had cultural significance in the Joseon era. In the religious texts, the color white is mentioned as the color of the ancient Chinese Shang(商) dynasty, and Joseon connected this notion to Gija(箕子), which they considered the descendant of Shang, worshipping it as their cultural root. It was believed that the customs of Shang, which took white as its national color, were passed down to Gija Joseon, and were preserved through the years to the present Joseon. In the Joseon era, Han Chinese culture was considered advanced, and Gija brought this advanced culture to Joseon, establishing Joseon’s position as its successor in history. The logic that white clothing, typically associated with funerals, was a custom from Gija Joseon allowed its everyday use. In observ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hite clothes phenomenon and Gija Joseon, it should be noted that costume is an important medium reflecting the culture of an era. Having received a positive interpretation from the leading culture, these clothing customs gained support, and as the leading culture changed following the Japanese rule, a different interpretation was applied to the same clothing customs. Even longstanding customs that have been continued by the same ethnic group of people can be subject to different perspectives, and the white clothing phenomenon is a representative example in Korean costume history. 백의(白衣)는 한국인에게 한민족을 상징하는 전통문화이며, 한민족이 매우 오랫동안 지속한 풍습으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역사적 원인에 대해서는 긴 역사에서 비교적 최근이고 백의풍습이 약화되는 시기인 20세기 이후 인물의 의견을 중심으로 살펴본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백의풍습 성행 시기로 지목되는 조선후기(17~19세기)에 당시 사람들이 백의를 어떻게 생각했는지 주목하였다. 연구과정에서 현재 한국에서는 매우 낯선 국가인 기자조선이 백의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는 기록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자조선과 백의풍습의 연관성 생성의 원인과 영향에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았다. 문헌 기록은 조선시대에 중시한 유교경전에 있다. 경전에는 백색은 중국 고대 국가인 상나라의 국가 상징색이라는 기록이 있고, 조선시대 사람들은 이 내용을 당시에 문화 시조로 숭상하였던 상나라 후손 기자와 연결하였다. 백색을 국색으로 한 상나라의 풍습이 기자가 건국한 나라인 기자조선에 전래되고, 매우 오랜 시간이 지난 현재의 조선에도 지속된다고 생각하였다. 조선시대에 중국 한족의 고대문화는 선진문명으로 인식되었다. 기자는 선진문명의 전달자였고, 조선을 선진문화의 계승자로 증명해주는 역사적 근거였다. 기자조선의 풍습이라는 논리는 상복색이 분명한 백색이 평상복색으로 허용되는 큰 기반이 되었다. 조선후기 백의풍습 인식과 기자조선의 상관성 고찰에서 주목할 사항은 복식이 당시 문화를 반영하는 주요 매체라는 특징이다. 주도 문화에서 긍정적인 해석을 부여받았기에 해당 복식풍습이 지지를 받았으며, 일제강점기 이후에 주도 문화가 변화하면서 같은 풍습에도 다른 해석이 적용되었다. 동일한 민족이 오랜 기간 동안 지속한 동일한 풍습이라도 다른 인식이 가능하며, 한국복식문화에서는 백의풍습이 대표 사례로 의미가 크다.

      • KCI등재

        箕子朝鮮과 小中華

        박대재(Park, Dae-Jae)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5

        기자조선 전승이 중국 전한~삼국 시기에 성립되는 과정은, 漢의 朝鮮4郡설치 및 낙랑지역 호족들의 기자 선조의식을 계기로 전개되었다. 고구려는 낙랑군을 점령한 이후 그 지역의 箕子神을 제사하였다. 이것은 기자조선 전승이 고구려에 수용된 것을 의미하며, 이를 계기로 고구려는 箕子國(朝鮮)의 후신으로 인식되었다. 8세기에 들어 唐은 신라를 동방의 君子國으로 인식하였는데, 9세기 이후 崔致遠등의 신라 지식인들은 신라를 군자국으로 자부하였다. 이러한 신라의 군자국 의식은 기자 전승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현실적 소중화 의식이라기보다는 발해에 대한 경계심‧적대감과 함께 신라의 말세적 현실에 대한 좌절감의 역설적・복고적 표출에 가깝다고 이해된다. 11세기 고려에서 나타난 기자 계승 의식과 소중화 의식이 12세기 초 箕子祠제사를 통해 제도화되고, 『三國史記』를 통해 기자조선이 삼국시대 이전의 중심 시대로 설정되었다. 기자조선이 국사에서 고조선사의 중간 단계로 체계화된 것은, 13세기 후반 李承休의 『帝王韻紀』에 이르러서였다. 『제왕운기』에서는 前朝鮮(단군)과 後朝鮮(기자)의 체계를 세우면서, 기자조선을 소중화의 표상으로 제시하였다. 고려 중~후기에 기자조선이 국사화되는 과정은 고려와 宋・거란(遼)・여진(金)・몽골(元) 사이의 다원적 국제관계 속에서 등장한 소중화 의식의 성장과 궤를 같이 하는 것이었다. The process that the legend of Kija-Chosŏn(箕子朝鮮) came into existence during the Former Han dynasty to Three Kingdoms periods was related to the Han dynasty"s establishment of the Lelang Commandery and the awareness of ancestors from the local groups such as Han(韓) or Wang(王) families. After occupying the Lelang Commandery, Koguryŏ(高句麗) began to perform ancestral rites for Kija(箕子, Qizi), a god of the region at that time. This signifies that the legend of Kija was accepted by Koguryŏ"s society, which was connected to the fact that Koguryŏ was considered to be Kijaguk(箕子國; Kija State, refers to Old Chosŏn)"s later self. In the eighth century, the Tang dynasty recognized Silla as a ‘state of Junzi(君子; noble man)", and Silla"s intellects such as Ch"oe Ch"wŏn (崔致遠) were proud of Silla being a ‘state of Junzi(君子國)" after the ninth century. The perception of the ‘state of Junzi" was originated in the legend of Kija, a phenomenon which could be understood as a paradoxical and retro expression of the consciousness of ‘little China(小中華)". During the 11th century, the perception of the succession and worship for Kija appeared in the Koryŏ dynasty, which was institutionalized through the rite of Kijasa(箕子祠; a shrine for Kija) in the early 12th century. In the end, Samguk Sagi(三國史記) defined Kija-Chosŏn as the central historical stage in the pre-ancient period. Then, in the end of the 13th century, the Kija-Chosŏn period was systemized as an intermediate stage of Old Chosŏn’s history by the time when Yi Sŭnghyu(李承休)’s Chewang-un"gi(帝王韻紀) was published. In this book, which has the chronological system of the Former Chosŏn(前朝鮮; refers to Tangun-Chosŏn) and the Later Chosŏn(後朝鮮; refers to Kija-Chosŏn), suggested Kija as an emblem of little sinocentrism. The courses that the national history includes Kija-Chosŏn in the middle of the Koryŏ dynasty period was link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perception of the little sinocentrism; that is, little sinocentrism reappeared and grew in the dynamic international relationship among Koryŏ, the Song dynasty, the Kitan(Liao), and Jurchen(Jin) in this period.

      • 논문(論文) : 기자조선에 대한 문헌적 분석

        홍을표 ( Eul Pyo Hong ) 강원대학교 사학회 2011 江原史學 Vol.0 No.25

        기자조선의 실존여부는 시대의 필요에 따라 상반된 주장과 인식이 있어왔다. 이러한 현상은 오늘날에도 달라지지 않고 동북공정(東北工程)을 진행중인 중국에서는 ``한민족(韓民族)은 기자조선과 고구려를 도용해 갔다``는 논리까지 전개시키고 있다. 그 주장대로 과연 우리가 기자조선을 도용해 갔는지, 그리고 기자조선은 실존했는지를 확인해 보기 위하여 먼저 중국 측 문헌에 있는 기자와 관련된 내용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해 봤다. 첫째, 중국 25사(史) 중에서 기자조선과 가장 근접한 시기에 저술된 『사기(史記)』는 어느 곳에도 ``기자조선(箕子朝鮮)``이란 문구를 찾아 볼 수 없었다. 다만 <세가(世家)>38권, <송미자세가(宋微子世家)>제8에 "기자를 조정에서 봉하였으나 고결하여 신하가 되지 않았다(乃封箕子於朝鮮而不臣也)"라는 구절이 있다. 기자조선 설은 이것을 ``기자를 조선에 봉하고 신하로 삼지 않았다(乃封, 箕子於朝鮮, 而不臣也)``로 해석하여 발생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기자를 조정에서 봉하였으나 고결하여 신하가 되지 않았다(乃封, 箕子於朝, 鮮而不臣也)``라고 표점하여 해석하면 기자와 조선은 상관없는 기록이 된다. 뿐만 아니라 ``기자를 조선에 봉하였으나 신하가 되지 않았다(乃封, 箕子於朝鮮, 而不臣也)``로 해석하더라도 기자는 무왕(武王)의 신하가 되는 것을 거부했기에 조선에 봉해지지 않았다는 뜻이 된다. 이것을 입증할 수 있는 기록이 다음과 같은 『사기』의 글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① 기자가 폐허가 된은의 옛 도읍지를 지나가며 보리의 시(麥秀之詩)를 읊었다는 기록. ② 주무왕(周武王)이 재위 2년 되는 해에 기자를 만나 얘기한 일. ③ 주공(周公)이 당숙우(唐叔虞)를 진(晉)에 책봉한 것을 기자가 논평한 기록 등으로, 이때 기자는 조선이 아닌 중국에 거주하고 있었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둘째, 『한서(漢書)』등을 비롯한 이후의 중국 사서들은 대부분 기자조선을 기정사실로 기록하고 있지만 『한서』를 주석한 안사고(顔師古)는 기자조선설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고 있었다. 셋째, 『역경(易經)』은 기자의 정명(貞明)이니 명이(明夷)니 하며 기자(箕子)에 대하여 적지 않은 논의를 하고 있지만 기자가 조선에 갔다는 내용은 단한 구절도 없다. 단지 후세에 이것을 주석한 인물들이 기자동래설을 주장하고 있었다. 공자가 동이 땅에 가서 살고 싶어 했다는 설도 있지만 『논어(論語)』의 본문에는 동이(東夷)가 아닌 구이(九夷)라 되어 있다. 동이(東夷)란 한반도를 가리킬 수 있지만 구이(九夷)는 여러 오랑캐를 총칭한 대명사로 한반도와는 관련이 적다. 그래서 공자가 동이 땅에 살고 싶어 했다는 말은 잘못지어진 설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箕子의 姓은 ``子``씨이고, 조선 왕들의 성은 ``箕``씨였으니, 기자와 조선은 서로 연계될 수가 없었다. 기자조선을 부정하는 견해는 송(宋)의 소식(蘇軾)과 조여모(趙汝謀), 명(明)의 마명형(馬明衡), 청(淸)의 호위(胡渭)와 계방(桂芳) 등이 쓴 글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다. 기자로부터 3000여년이 흘러 내려온 지금 그의 정확한 행적을 파악하기는 불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중국문헌들을 검토해 본 결과 기자동래설이 사실이 아니었다는 기록을 여러 곳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There have been conflicting argument and awareness whether Gija Josun(箕子 朝鮮) existed or not according to the requirement of the times. This phenomenon has not changed up to date and China carrying on a five-year research program on Northeast Asia(東北工程) is even setting out a logical argument, "The Korea people stole Gija Josun and Goguryeo." To ascertain whether we really stole Gija Josun as they alleged and Gija Josun existed or not, I firstly analysed the related contents to Gija in Chinese literatures as follows. First, I couldn``t find out any phrase of ``Gija Josun(箕子朝鮮)`` in "Shi ji(史記)" written at the nearest time to the Gija Josun period in the Chinese 25 histories. But there is a sentence, "Appointing Gija in government, but he didn``t become a retainer for his nobility(乃封箕子於朝鮮而不臣也)." at chapter 8 of Song wei zi shi jia(宋微子世家) in the 38th volume of Shi jia(世家). This view about Gija Josun seems to come from construing that sentence as the meaning, "Appointing Gija to Josun and not making him a retainer(乃封, 箕子於朝鮮, 而不臣也)." But if we add some commas and interpret it as the meaning, "Appointing Gija in government, but he didt``t become a retainer for his nobility(乃封, 箕子於朝, 鮮而 不臣也)." Gija and Josun become completely unconnected records. In addition, even construing it as the meaning, "Appointing Gija to Josun, but not being a retainer(乃封, 箕子於朝鮮, 而不臣也)", it means that Gija refused to be a Wu wang(武王)``s retainer, so he wasn``t appointed to Josun. The records to prove this view could be found from the contents of "Shi ji(史記)" as follows. Through ① the records that Gija recited a poem of Mai xiu(麥秀之詩) as passing the old capital of Yin(殷) in ruins, ②the matter that Zhou wu wang(周武王) met Gija to go over something after a reign of 2 years and ③the records for Gija to make a comment on the thing that Zhou gong(周公) installed Tang shu yi(唐叔虞) in Jin(晉), it is possible to prove that Gija lived not in Josun, but in China at that time. Second, Gija Josun was written as an established fact in most Chinese history books including "Han shu(漢書)" and others after that time, but Yan shi gu(顔師 古) annotating "Han shi(漢書)" was defining his negative position on the Gija Josun view. Third, there are not a few discussions on Gija in "The Book of Changes(易經)" such as referring to Gija``s Zhen ming(貞明) or Ming yi(明夷), but there isn``t any phrase that Gija went to Josun. Only people commenting on it on posterity assert the view that Gija went east and became a king of Josun(箕子東來說). There is a saying that Confucius wanted to go to the Dong yi(東夷) territory and live there, but the recorded is not Dong yi(東夷) but Jiu yi(九夷) on the text of "The Analects of Confucious(論語)". Dong yi(東夷) refers to the Korean Peninsula, but Jiu yi(九夷) is little related to it as the general byword for the various barbarians . Therefore, I could check the fact that the saying, "Confucius wanted to live in the territory of Dong yi(東夷)" was a view made by mistake. Fourth, the family name of Gija is "Zi(子)" but the one of Josun royalties is "Ji(箕)", so Gija is nothing to do with Josun. The opinions denying Gija Josun could be found in writings Song``s Su shi(蘇 軾) and Zhao ru mo(趙汝謀), Ming``s Ma mang heng(馬明衡) and Qing``s Hu wei (胡渭) and Gu1 fang(桂芳) wrote. It would be impossible to search out Gija``s exact past when 3,000 years went by after his life. But I could check that the view for Gija to go east and be a king of Josun(箕子東來說) was not true on investigation into Chinese documents.

      • KCI등재

        조선시대 기자조선에 대한 비판적 인식

        조원진 동북아역사재단 202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81

        이 글은 조선시대 기자조선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살펴본 것이다. 성리학을 건국 이념으로 성립된 조선은 기자 동래를 인정하고 기자조선을 한국사 체계에 받아들였다. 그럼에도 비교적 객관적인 시각으로 기자조선을 부정하거나 관련 기록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인식들이 있었다. 기자 전승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는 주로 주나라 무왕이 기자를 조선에 봉했던 기록의 모순점을 지적하거나, 기자가 도읍한 곳이 지금의 평양이 아니라고 보는 견해 등이 있다. 대표적으로 정사신은 『매창문집』에서 기자가 주나라에 조회하고 무왕이 기자를 조선에 봉한 이야기는 진나라 이후 야인이 만든 이야기를 사마천의 『사기』에서 답습한 오류라고 보았다. 그는 한대(漢代)가 되어야 비로소 중국에서 조선이 있음을 듣게 되었다고 이해했다. 조선 후기 기자가 조선에 봉해졌다는 『사기』의 기사나 『동국통감』에 인용된 출처가 불확실한 함허자의 글을 비판하는 견해가 꾸준히 나왔다. 박지원의 『열하일기』 등은 기자의 도읍지를 지금의 평양으로 보는 것을 부정적으로 파악하기도 했다. 조선시대 기자조선에 대한 비판적 인식은 일부 학자들의 견해에 그쳤으며 기자조선을 완전히 부정하는 단계로 나아가지는 못한 한계가 있다. 하지만 시대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객관적 시각에서 기자조선 관련 기록을 검토한 이러한 인식은 근대 시기 기자조선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amined critical awareness on Kija Joseon(箕子朝鮮) in the Joseon(朝鮮) Dynasty. Joseon, which established Sung Confucianism as its foundational principle, recognized the theory that Kija(箕子) came to Korea and incorporated Kija Joseon into the Korean history system, though it was somewhat recognized that the Kija Joseon was rejected from a relatively objective viewpoint or that related records had to be critically reviewed. The Kija tradition has been criticized by two views: it contradicts with the record showing that King Wu enthroned Kija as the king of Joseon; and the capital determined by Kija was not Pyongyang. For example, Jeong Sasin noted in Maechangmunjip(『梅窓文集』) that the story in which Kija paid a visit to the Zhou dynasty and King Wu enthroned him as the king of Joseon, which was created by an unrefined man after Qin, was wrongly repeated in Sagi(『史記』) of Samacheon. He understood that Chine had not heard about Joseon until the Han dynasty. There has been continuous criticism against the article of Sagi, which argues that Kija was enthroned as the king of Joseon, or Ham Heoja’s unauthentic writing quoted in Dongguktonggam(『東國通鑑』). Park jiwon’s Yulha Journal(『熱河日記』) and others negatively recognized the viewpoint that Kija’s capital was Pyongyang. The critical awareness on the Kija Joseon was limited to some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re was a limit in completely rejecting it. Such an awareness, which make records about the Kija Joseon from a relatively objective viewpoint, in spite of the historical limit,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led to a full-fledged reconsideration on the Kija Joseon in the modern times.

      • KCI등재

        고려시대의 기자 인식

        조원진(CHO, Won-Chin) 한국사학사학회 2015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2

        이 글은 고려시대의 기자 인식을 살펴보며 帝王韻紀와 같은 후조선=기자조선 인식이 어떻게 나타나게 되었는지의 과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한시대에 기자동래설이 처음 등장한 이후 고구려가 평양지역을 차지하며 기자에 대한 신앙이 있었음이 확인된다. 이것은 고구려가 기자를 선조로 생각한 낙랑유민들의 신앙을 흡수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기록에는 없으나 평양지역을 중심으로 기자에 대한 민간신앙이 제한적으로 내려왔던 것으로 추정된다. 주변국가들은 고려를 기자와 고구려의 뒤를 이은 국가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고려는 외교적으로 기자를 강조하기도 했으나 이러한 표현은 외교적 수식에 그쳤고 실제 고려 내부에서도 기자가 조선의 왕이 되었거나 ‘기자조선’이란 인식이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단군에 대한 기록들이 다양한 문헌에 전하고 있었고 단군의 정통이 고구려로 이어졌다는 인식이 있음을 보면 고려는 국초에 ‘단군(조선)-부여-고구려’로 이어지는 우리 역사의 체계가 있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체계에서 기자의 존재는 들어갈 여지가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기자에 대한 국가 제사는 숙종대부터 있어왔으나 고려시대에 그것은 雜祠에 속했고 제대로 시행된 것 같지 않아 箕子는 막연한 ‘敎化之主’로 인식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고려 중기에 김부식이 묘청의 난을 진압하고 신라 중심의 새로운 역사서를 만들면서 구체적으로 고조선사를 다루지는 않았으나 단군보다 기자를 강조한 듯한 인식을 보여주었다. 이후 三國遺事는 기자를 인정하지 않고 왕검조선이 1,908년 동안 계속 내려왔다고 인식했으나 帝王韻紀는 기자 동래 이전에 이미 단군의 통치가 끝났고 이후 기자가 세운 후조선이 이어져 왔다고 보았다. 고조선의 역사를 단군과 기자 약 1,000년씩으로 나누어 양자를 동시에 인정한 일종의 타협적인 인식이 등장한 것이다. 이후 성리학이 도입된 원간섭기에 기자는 더욱 강조되면서 명실상부한 후조선의 시조로 한국사에 자리잡게 된다. 이러한 기자조선설은 실제 역사와는 거리가 있는 것이지만 사상적으로 큰 영향을 주게 된 점은 부인할 수 없다. This paper looks at the Kija recognition of the Goryeo Dynasty. Kija Joseon notion will reveal the process of the emergence. Kijadongnaeseol this first appeared in the Han era. Nakrang had the one thought Kija self ancestors. Since, Pyungyang area has been limited Kija faith traditions. The neighboring countries are related Goryeo and Kia. However Kija were highlighted only in diplomatic relations. Goryeo people when referring to Joseon, thought Dangun. Dangun believed that this succession in Koguryo laying Joseon. Gusamguksa is contained is this idea of the early Goryeo days. However, the in the middle of the Goryeo Dynasty Samguksagi is a cash Dangun said Kija the first time in history. Then Samgukyusa did not recognize Kija Joseon. Dangun ruled the country will continue during 1908. On the other hand Jewang Ungi saw Dangun short reign of about 1,000 years. And Kija the founding of Joseon is the kingdom, and he thinks that after over 928 years. Neo-Confucianism has been introduced Kija was further emphasized. Kija was assumed that the founder of Hu Joseon (Kija Joseon) in Joseon Dynasty. It is possible Kija came to Joseon area. However, there may be the ruler of Joseon. Kija Joseon did not exist historically. Nevertheless, as it was the great ideological influence.

      • KCI등재

        조선 시대 기자(箕子)에 대한 인식과 기자(箕子) 유상(遺像)

        유미나 ( Mi Na Yu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5 강좌미술사 Vol.44 No.-

        箕子는 중국 上古時代 商나라의 賢人으로서 商이 周에게 멸망하자 유민을 이끌고 동쪽으로 이주하여 箕子朝鮮을 세웠다고 알려진 인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고구려에서 기자를 始祖神으로 숭배하였고, 고려·조선시대에는 유교적 敎化君主로 인식하고 국가적 치제의 대상으로 하였다. 16 세기 후반 성리학의 심화와 함께 기자에 대한 이해와 관심은 더욱 깊어져서 기자는 조선에 와서洪範九疇의 구체적 실천을 이룬 왕도정치의 구현자로서 孔·孟·程·朱에 비견되는 조선의 성현으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조선에 기자상이 처음 전래된 것은 1600 년(선조 33) 徐省이 중국에서 元代의 趙孟咐가 그렸다고하는 <기자진홍범도>를 구득해 오면서였다. 이는 商·周 교체기 周武王이 商을 멸망시킨 후 紂王에 의해 옥에 갇혀 있던 기자를 석방시켜주고 무왕이 직접 찾아가 天道의 彛倫을 물었더니 기자가 왕에게 洪範九疇를 설명해주었다는 기자 행적 중의 한 장면을 그린 것이다. <기자진홍범도>는 평양의 仁賢書院에 보관되었으며, 기존에 기자의 畵像이 全無했기 때문에 조선에 알려진 최초의 기자 유상으로서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1626 년(인조 4) 예조판서 李廷龜가 화사 李信欽을 평양으로 파견하여 임모하도록 한 일을 비롯하여 수많은 모사본이 제작되었고, 이후 수백 년간 문사들의 글 속에 인현서원의 기자화상을 배알한 감회를 읽을 수 있다. 서성이 구입해 온 <기자진홍범도>가 현재 전해지지는 않지만 19 세기의 모사본이 오늘날 전해지고 있어 귀중한 자료가 된다. 조선말기 선전관을 지낸 韓應儉은 1807 년 평양 인현서원에서 이 그림을 손수 모사하였다. 한응검의 <진홍범도>에는 초옥이 크게 배치되었고 담장이 둘러져 있으며, 초옥안에 기자와 무왕이 마주 앉았고, 마루 아래에 史官이 홍범의 내용을 받아 적고 있다. 마당에는 召公과 太公이 공수 자세로 서 있다. 기자는 상나라 冠制인 帿冠에 백색 深衣를 걸친 모습으로 그려졌다. 그림의 도상은 조선시대 문사들의 기록에 묘사된 그림의 도상 특징과 일치하고 있어, 畵者가 충실히원래의 그림을 모사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흥미로운 것은 이 그림 중의 箕子像이 『箕子志』卷首에 수록된 <箕子像> 판화의 저본이 되었다고 여겨진다는 점이다. 『기자지』는 윤두수가 1580 년 편찬한 책이지만 이후 李珥의 「箕子實記」와 韓百謙, 柳根, 許筬 등의 관련 글을 함께 엮어 재편되었고, 이 재편본 .기자지.가 조선시대 기자와 관련된 자료집 및 해설서로서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현재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윤두수 편 『箕子志』(奎4929)가 가장 오랜 현존본으로 광해군 연간의 판본으로 추정되고 있다. <기자상> 판화는 『기자지』가 새롭게 재편될 때 포함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기자상> 판화와 함께 수록된 기자 행적도 판화는 『抗議新編』수록 판화(1613-1615 년 제작)와 『東國新續三綱行實圖』판화(1612-1616 제작)등과 양식적 유사성을 보이고 있어 17 세기 초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기자지』의 <기자상>은 이후 공인된 기자상으로서 조선에서 판각되거나 육필로 그려진 수많은 기자 유상의 저본이 되었다. 기자의 초상은 중국 元·明시대에 간행된 聖賢·君臣의 초상화집 판본에는 포함된 예가 없어기자유상의 도상은 오히려 조선에서 먼저 정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청대의 『古聖賢像傳略』(1830년 刊)에서 비로소 <기자상>이 등장하지만 이는 조선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후기 기자 숭봉은 확대 일로였고, 아울러 기자유상의 제작도 매우 활발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기자진홍범도> 모본을 봉안한 箕子影殿이 인현서원 외에 두 곳에 더 건립되었고, 이 외에도 새로운 기자영전의 건립을 희망하는 유생들의 상소가 이어졌다. 평양의 인현서원에는 <기자진홍범도> 외에 당내 벽에 걸린 기자 영정도 있었음을 기록으로 확인할 수 있다. 현존하는 기자화상으로는 윤두서가 1706 년에 그린 《五聖圖》 중의 <기자상>과 윤두서 필 성현·군신도상 화첩인《照史》중의 <기자상>이 있다. 이 밖에 성현·군신도상 또한 윤완식 소장 《역대군신도상첩》은 수묵으로 그린 중국과 조선의 역대 성현·군신도상 화첩으로 <기자상>을 포함시켰다. 대한제국 성립 전후시기에 기자숭배가 절정에 달하였는데, 조선말기의 유학자 鄭胤永은 일찍이箕子의 ‘眞像’을 배알하고 감회가 일어 1874 년에 기자상을 손수 베꼈으며, 이를 《箕子畵象帖》으로 꾸몄다. 또다른 군신도상첩으로 중국과 조선의 성현·군신 222 인의 초상화를 엮은 개인소장의 《역대군신도상첩》에는 기자의 반신상과 전신상 두 폭이나 포함되어 있어 기자에 대한 존숭의 뜻을 담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채용신은 1908-1909 년에 정읍 영양사에 봉안할 열두성현의 화상을 그리면서 <기자상>을 제작하였다. 충북 증평에 소재한 箕子影殿인 箕聖殿에는 1914 년 함흥의 지방화사인 金貳參이 모사한 <기자상>이 봉안되어 있다. 이들 기자 유상은 모두 동일한 도상으로 한결같이 『箕子志』의 <기자상> 판화를 저본으로 제작한 작품들이다. 중국 청대에 간행된 『古聖賢像傳略』과 같은 판본에 판이한 도상의 기자상이 등장하였음에도 영향 받지 않고 조선의 기자 유상은 동일한 도상을 독자적으로 꾸준히 계승·전승해 왔음을 볼 수 있었다. Jizi was a sage at the end of Shang Dynasty, China, With the fall of Shang and the rise of Zhou, he is known to have led thousands of migrants and fled to Joseon and started there a new dynasty, Jizi Joseon.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of Korea, the people of Goguryeo worshipped Jizi as the founding god.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Jizi was recognized as the confucian monarch who enlightened the people and turned them into civilized people. In late 16th century when the study of neo-confucianism intensified, and the scholarly understanding of Jizi deepened, Jizi began to be accepted as the king who practiced Hong-fan[洪 範], the most ideal statesmanship, and was equaled as the confucian sages, Kong-zi[孔子], Meng-zi[孟子], Cheng-zi[程子], and Zhu-zi[朱子]. It was in such a circumstance that the first ever Jizi portrait was introduced in Joseon. Seo Seong[徐省], governor of Pyeong-an Province, bought and brought from China in 1600 a painting of Jizi explaining Hong-fan[洪範] known to have been painted by Zhao Meng-fu[趙孟咐]. He had it kept in Inhyeon Seowon[仁賢書院] in Pyeongyang. Since there had been no Jizi portrait in Joseon until then, it was regarded as an important portrait. In 1626, Yi Jeong-gu[李廷龜], minister of Ritual, dispatched painter Yi Shin-heum[李信欽] to Pyeongyang to have the painting duplicated. Over the course of time, the painting was copied numerous times, and many literati visited the site and wrote about the painting. The painting, Jizi explaining Hong-fan[洪範] is not extant, but its replication done in 1807 by Han Eung-geom[韓應儉], a high-ranking military official, is still kept by his offspring. In the painting is a house with straw-thatched-roof, and four figures; Jizi, Wuwang of Zhou[周武王], Shaogong[召公]. and Taigong[太公]. Jizi wears a unique looking hat, which is known as xuguan [帿冠], and white outfit called shenyi[深衣]. Xuguan is known to be the official hat worn during the Shang dynasty. The painting corresponds to the explanations made by the literati in their writings during the Joseon period, and thus, can be presumed that Han Eung-geom copied the painting faithfully. The interesting part about this painting is that it became model for the woodblock print Jizi Portrait included in the book, Jizizhi[箕子志]. The book was first published in 1580 by Yoon Du-su[尹斗壽] and was enlarged in the early 17th century by adding Yi Yi[李珥]``s Jizishiji[箕子實記] and other works by a number of scholars. This enlarged version of Jizizhi[箕子志] served as the basic material for the study of Jizi. Accordingly the Jizi Portrait included in this enlarged version became model for all the Jizi portraits printed or painted in Joseon therafter. Jizi portrait had never been included in the book of the portraits of sages, kings, and ministers published in China until then, so Jizi iconography was established in Joseon independently. It was not until 1830 that the Jizi portrait was at last included in the Chinese book of portraits(古聖賢像傳略), but the features were defined quite differently. However, the Chinese version of Jizi was never accepted in the portrait of Jizi in Joseon. Quite a number of Jizi portraits painted during the Joseon period are extant today. There are a couple of Jizi portraits painted by Yoon Du-seo[尹斗緖] in the 18th century, and a couple of Jizi portraits included in the album of portraits(歷代君臣圖像) by unknown painters one from the end of the 18th century or later, another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or later. Jeong Yoon-yeong [鄭胤永], scholar from the end of Joseon dynasty also painted Jizi portrait in 1874 and made it into an album(箕子畵象帖). Chae Yong-shin[蔡龍臣], one of the most famous portrait painters at the end of the Joseon period painted Jizi portrait in 1908-1909 to be enshrined in the shrine for the sages. Kim Yi-sam[金貳參] also painted Jizi portrait to be enshrined in the Jizi Shrine in Jeungpyeong[증평]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All these Jizi portraits were painted based on the Jizi portrait from the Jizizhi[箕子志].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conography of Jizi portrait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17th century in Joseon in the book Jizizhi[箕子志], while it was not until the 19th century that a Jizi portrait was presented in publication in China. This authorized Jizi portrait was presumably taken from the painting Jizi explaining Hong-fan[洪範] which Seo Seong brought from China in 1600. Unlike other portraits of sages, kings, and ministers, Jizi portrait was, thus, established independently and was faithfully followed by painters in Joseon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 KCI등재

        중국학계의 고조선연구 검토 : 동북공정 전후시기 연구를 중심으로

        조법종(Cho Bup-jong) 고려사학회 2006 한국사학보 Vol.- No.25

        중국학계의 고조선연구는 고구려의 중국사귀속과 연동하여 고조선사도 중국사에 속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내용이 중심이 되어 진행되었다. 그 근거로서 기자가 조선지역에 가 왕 노릇하였다는 이른 바 '기자동래설' 및 ‘기자조선’의 역사성을 입증하는 내용이 중국학계 연구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기자동래를 전하는 기록이 기자가 존재했다는 기원전 11세기 및 춘추전국시기에는 존재하지 않다가 기원전 1세기경 한나라시기부터 등장하고 있는 문제가 발생하자 이를 해결하는 것이 이들 연구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즉, 朝鮮 명칭을 "해 뜨는 곳"이란 의미의 日出과 관련된 漢字 용어로만 국한하여 이를 中國의 暘谷, 扶桑十日神話, 『周易』의 明夷 표현 등과 연결된 개념으로 해석해 이것이 중국적 표현이고, 箕子가 조선으로 갔다는 것을 입증하고자 했고 箕子東來에 의해 고조선의 역사가 시작되었다는 내용을 부각하였다. 그러나 이 같은 인식 내에서도 학자들 간에는 기자조선의 위치 문제에 대해 平壤說과 遼西說(移動說)로 나뉘어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明夷를 비롯한 관련 용어 및 사료에 대한 해석 또한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런데 문제는 2000년대부터 중국학계의 고조선 연구가 '漢族 中心主義'와 극단적인 ‘中華民族主義’로 고착되는 상황이 전개되었다. 또한 2002년 중국사회과학원 변강사지연구중심에서 ‘동북공정’이 공식적으로 시작되면서 이같은 입장만이 강조된 연구 결과가 양산되고 있음이 문제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중국학계의 고조선연구는 자체 연구의 문제가 유지된 채 중국적 역사 법주에 고조선을 편입코자 하는 입장만이 부각되어 최근 연구 결과가 반복되어 양산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향후 한국학계에서는 이 같은 문제점들을 제기하고 체계적인 대응논리 마련 및 연구의 심화가 시급히 요청된다. Recently, China’s studies on the Gochosun(古朝鮮) is connected to the China Nationalism. So many articles emphasis that Gochoson(古朝鮮) and Koguryo(高句麗) are belong to China History. Their contentions are consist four parts. The First part is that beginning of Gochosun is started from KijaDongrae(箕子東來). Second part is that the name of Choson(朝鮮) is derived from MeongI(明夷) and WooI(?夷), they are another part of China's old tribes. Third part is that refugees of Eun(殷) dynasty have been moved to Korean peninsula. Four part is that the founder' myth, Tangun myth is influenced by China’s old myths. Therefor, Korean old historical boundary is belong to China. But, China’s assertion is an unwarranted. Firstly, KijaDongrae(箕子東來) is not historical fact. It was a mere fabrication. Because the accident happened the age of B.C.11C, but the historical records were described B.C.1C, which is the pick age of china’s nationalism. China’s Second point at issue is arbitrary interpretation. The meninning of Chosun(朝鮮) have so many parts. In 4th century, the first interpretation is the origin of Chosun is connected to geographical aspect. And the base that MyeongI(明夷) is same word of Chosun(朝鮮) is based Juyek(周易), but it’s historically unsupported. Of course Thirdly part have not archaeological support. Lastly, The Myth of Tangun(檀君) is connected to the north-east asian shamanim, not to China.

      • KCI등재

        高句麗와 唐의 箕子朝鮮 認識 檢討

        송영대(Song, Young-Dae) 부산경남사학회 2016 역사와 경계 Vol.100 No.-

        『尙書大傳』의 箕子東來說성립 직후 箕子朝鮮은 서서히 역사적 사실로 수용되었다. 『三國志』단계에서 箕子朝鮮은 濊條와 韓條에 수록되었으며, ‘箕子朝鮮-衛滿朝鮮-漢四郡’의 변천 인식이 처음으로 정립되었다. 『三國志』와 『後漢書』 이래로 중국에서는 箕子朝鮮에 대한 관념이 강화되었고, 魏晉南北朝時代의 ‘朝鮮’은 東夷에 대한 廣義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隋唐시대에는 조선이 고구려를 의미하는 것으로 변모하였다. 隋代이래로 裴矩와 唐太宗등은 고구려 정벌의 명분으로 郡縣回復論을 제기하였다. 唐代墓誌銘에서도 조선의 존재가 모두 고구려와의 전쟁에 관련된 인물들에게서 확인된다. 결국 ‘高句麗-朝鮮’ 연계인식은 고구려 정벌의 주요 명분이자, 기자조선시대로의 회귀 의식으로 귀결되었다. 그 결과 唐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寶藏王을 朝鮮王으로 封하였다. 고구려에서는 고조선을 계승하였다는 인식이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는다. 고구려 건국신화나 고분벽화를 단군신화와 연계시켜 보는 견해들이 있긴 하지만, 모두 역사적 사실로 납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고구려에서는 箕子神의 존재가 확인되는데, 이는 고구려가 조선을 자국과 연관시켜 이해하였고 기자신 존재의 필요성을 긍정하였기 때문이다. 고구려 유민 중에서 朝鮮人을 일컫는 사례가 확인된다. 이는 寶藏王이 朝鮮王으로 임명되었고, 중국 내에서 고구려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 대안으로 조선을 활용하였기 때문이다. 더욱이 고구려 유민들은 중국 내에서 삶을 영위하면서 중국인들의 인식, 즉 ‘고구려-조선’ 연계인식을 수용하여 자신들을 조선으로 일컫는 것을 인정하게 되었다. Gija-Joseon(箕子朝鮮) was gradually accepted as a historical fact after 《Shangshu-Dazhuan(尙書大傳)》 had covered the migration of Gija(箕子) to Korean peninsula. Similarly, 《Sanguozhi(三國志)》 presented Gija-Joseon in the section of the Biography of Ye(濊) and this record firstly established a chain of perception which is ‘Gija-Joseon → Wiman Joseon (衛滿朝鮮) → Four Commanderies of Han’. The concept had been reinforced since publication of 《Sanguozhi》 and 《Houhanshu(後漢書)》. Joseon(朝鮮) became a general term of Dong-Yi(東夷) and represented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Six dynasties period while the perception of Joseon was changed to represent it as Goguryeo (高句麗) during Sui-Tang period. Peiju(裴矩) and the emperor Taizong(唐太宗) of Tang insisted recovery of four commanderies. It is observed that all records of Joseon in the epitaph inscriptions made in Tang dynasties are attached to the figures related to Goguryeo war. A connection between Goguryeo and Go-Joseon (古朝鮮) played a major basis for conquest of Goguyeo. After attacking and destroying Goguryeo, Tang designated king Bojang(寶藏王) who was the 28<SUP>th</SUP> king of Goguryeo as the king of Joseon. However, a sense of succession is not clearly identified in Goguryeo side. Although there is an opinion focusing on the connection between Goguryeo’s birth myth or its tomb paintings and Dangun(檀君) myth, it seems difficult to consider these all as historical facts. Goguryeo accepted history of Joseon making connections with their own history that resulted in cult of Gija. After the fall, drifting people of Goguryeo in China were sometimes called as Joseon people. It is because that King Bojang had become King of Jo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