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급성 뇌졸중 환자의 중증도 수준에 따른 노인 배우자의 우울 및 부담감 분석을 위한 미국 국립보건원 뇌졸중척도의 유용성과 관련성

        배영현,강승탁,이종훈,장원혁,김양구,김연희,하현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3 재활복지 Vol.17 No.3

        본 연구는 급성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노인 배우자가 가장 의미 있는 돌봄의 제공자임을 인식하고 불안의 발생이 높은 뇌졸중 초기 단계에서 노인 배우자가 인지하는 우울 및 부담감을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증상을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미국 국립보건원 뇌졸중척도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급성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노인 배우자 50명에게 일반적 특성, 우울과 부담감에 대한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노인 배우자의 우울 및 부담감은 급성 뇌졸중 환자의 중증도 수준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급성 뇌졸중 환자의 중증도가 증가할수록 노인 배우자의 우울 및 부담감이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노인 배우자의 우울 및 부담감 간에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노인 배우자의 우울 및 부담감에 가장 영향을 주는 예측 변수로는 환자의 증증도였다. 따라서 급성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노인 배우자는 환자를 돌보는 과정에서 환자의 중증도 수준에 따른 우울 및 부담감을 다르게 경험하게 되고 서로 간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고 뇌졸중 척도가 평가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급성 뇌졸중 환자에게 뇌졸중 척도로 중증도 수준을 평가하고 그에 따른 노인 배우자의 특성을 이해하여 초기부터 노인 배우자의 부담감과 우울을 관리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nd usefulness for the analysis of the severity of stroke patients and depression and caregiver burden of elderly spouses in early stage of strok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50 elderly spouses of stroke patients. Variables examined included the stroke patient's severity measured by NIH stroke scale(NIHSS), elderly spouse's depression and caregiver burden, financial status, recognition level of disease, hospital costs, etc. Elderly spouse's depression and caregiver burden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severity stroke patients(p <0.05). Severity of stroke patien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lderly spouse's depression and caregiver burden(p <0.01).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elderly spouses of stroke patients are suffered from proportionally increasing caregiver burden and depression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stroke. Therefore, rehabilitation team need to manage the caregiver burden and depression of elderly spouses of stroke patients according to severity of patients.

      • KCI등재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 보호자의 뇌졸중 관련 지식에 따른 병원도착 시간에 미치는 영향

        최성수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9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oke-related Knowledge of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Protector and Hospital Admission Delay. Data collection was five months from January 2016, subjects were 152 protectors of patient who diagnosed with acute ischemic stroke of 2 hospitals in J-Do(Province). After the study, the higher stroke knowledge score makes less admission time. and the factors that affect stroke knowledge to subject were Relationship with patients, Consciousness, Transfer method, Stroke scale LAPSS, etc. After expressing symptoms of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they should arrive to treatable hospitals within 3 hours the reasonable time, and then reperfusion therapy can be applied. Also can reduce the impairment caused by a stroke. As a result of this study, to protector who first found the stroke patients or first responders, the training on the knowledge, signs and symptoms about stroke should be done. And also through the treatable hospitals and 119 emergency services the quick transfer are needed. 이 연구는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 보호자의 뇌졸중 관련 지식에 따른 병원도착 지연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자료수집은 2016년 1월부터 5개월이었으며, 대상자는 J도의 2개 의료기관의 급성 허혈성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보호자 152명이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뇌졸중 지식점수가 높을수록 내원시간은 줄어드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0.369, p=<0.001), 뇌졸중 치료 적정시간인 3시간에도 영향을 미쳤다. 대상자의 뇌졸중 지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환자와의 관계, 환자의 의식상태, 증상 발현시 이송수단, 뇌졸중 척도인 LAPSS 척도이었다.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는 증상 발현 후 치료 가능한 병원으로 적정시간 3시간이내에 도착을 해야만 재관류 요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뇌졸중으로 인한 장애를 줄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향후 뇌졸중 환자를 처음 발견하는 보호자 또는 최초반응자에게 뇌졸중에 관련 증상과 징후에 대한 교육과 치료 가능한 병원, 119 구급대를 이용한 빠른 이송을 해야 할 것이다.

      • SCIESCOPUSKCI등재
      •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윤인진 ( In Jin Yoon ),김두리 ( Du Ri Kim ),이영은 ( Young Eun Lee ),박미정 ( Mi Jung Park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3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2 No.2

        목적: 본 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해 봄으로써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 목표 설정 시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2년 12월부터 2013년 9월까지 서울 소재의 A 병원에 입원한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 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 열람과 인터뷰를 통해 대상자들의 성별, 발병 당시의 연령, 진단, 발병 기간, 손상 원인, 우세 손, 교육 기간, 배우자 유무, 직업 유무를 조사하였다. 또한 인지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K-MMSE, 일상생활의 독립성을 평가하기 위해 K-MBI,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SS-QOL을 시행하였다. 결과: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은 환자의 성별(p=.399), 연령(p=.105), 손상 측(p=.061), 우세 손 손상 여부(p=.168), 교육 기간 정도(p=.918), 배우자의 유무(p=.934)와 직업의 유무(p=.698), 인지기능 수준(p=.510)에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지기능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에서 사고력을 제외한 요소는 상관관계가 없고,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에서 대부분의 요소가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5, **p<.01). 결론: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은 일상생활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을 고려한 재활치료 계획을 수립할 때 일상생활활동의 수행 여부를 참고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investigation of effect factors on quality of life in acute stroke patients. And made the evidence based data for use goal setting on acute stroke rehabilitation. Methods: The study was performed using 80 acute stroke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in A Medical Center from December 2012 to September 2013 for rehabilitation. We invested subject`s sex, age, diagnosis, onset, subtype, dominant hand,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and job through medical chart and interview. We assessed the cognitive function through K-MMSE, activity of daily living through MBI, and quality of life through SS-QOL. Result: The quality of life of acute stroke patients was not influenced by sex(p=.399), age(p=.105), subtype(p=.061), dominant hand(p=.168), education level(p=.918), marital status(p=.934), job(p=.698), and cognitive function(p=.510). The quality of lif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cognitive function except “thinking”,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activity of daily living(p<.05, p<.01).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quality of life of acute stroke patients is affected by activity of daily living. Therefor, we should consider the acute stroke patient`s activity of daily living when plan the rehabilitation that reflects the quality of life.

      • KCI등재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에 대한 상지 및 하지 순환식 과제-지향 훈련의 효과 비교

        강태우,오덕원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0 No.3

        본 연구는 급성기 상지 위주의 순환식 과제-지향 훈련과 하지 위주의 순환식 과제-지향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기능, 균형 그리고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함으로서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효율적인 중재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급성기 뇌졸중 환자 20명을 무작위로 상지 위주의 순환식 과제-지향 훈련군과 하지 위주의 순환식 과제-지향 훈련군으로 각각 10명씩 배정하였다. 퓨글마이어 평가(Fugl-Meyer Assessment, FMA)를 통해 상지, 하지 및 균형 기능을 평가하였고, 버그 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 BBS)와 Timed-up-and-go(TUG) 검사를 통해 환자의 균형 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수정된 바델지 수(Modified Bartel Index, MBI)를 통하여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평가하였다. 연구의 결과, FMA의 하지 및 균형 항목, TUG 검사, MBI의 향상율은 하지 위주 훈련군이 상지 위주 훈련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 < 0.05), 치료시기와 치료 군간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이러한 결과는 하지 위주의 순환식 과제-지향 훈련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신체기능을 회복하는데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킬 수 있는 연구들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upper limb and lower limb task-oriented circuit trainings on functional ability, balance, and daily activities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Twenty subjec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either the upper extremity task-oriented circuit training group or the lower extremity task-oriented circuit training group, with 10 subjects in each group. The outcomes were assessed by the Fugl-Meyer assessment (FMA), the timed up and go (TUG) test, the Berg balance scale (BBS), and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Comparison of the results for both groups demonstrated that the lower extremity task-oriented circuit training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rates in the lower extremity and balance sub-items of the FMA, the TUG test, and the MBI.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time-by-group interactions in the same parameters (p < .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ower limb taskoriented circuit training may be more beneficial than upper extremity taskoriented circuit training for improving the physical functions of patients with acute stroke. Further studies need to generalize these findings.

      •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가 급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윤인진 ( In Jin Yoon ),김두리 ( Du Ri Kim ),박미정 ( Mi Jung Park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4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3 No.2

        목적: 본 연구는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가 급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 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서울 소재 A 병원에서 2013년 3월부터 동년 12월까지 뇌졸중으로 진단 받아 재활치료가 의뢰된 입원 환자들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을 무작위로 선별하여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군과 전통적 작업치료군으로 나누었다. 중재 전후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을 평가하기 위해 MFT, FMA, BBT, K-MBI를 시행하였다. 중재는 3주간 주 5회 60분 동안 진행되었다. 결과: 중재 전 두 군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의 변화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군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은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전통적 작업치료군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도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오직 치료 시간에만 비마비측을 제한한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가 급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통적 작업치료도 급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임상에서 작업치료를 진행할 때, 치료 환경, 환자의 특성과 기능, 동기 등을 고려하여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적용한다면 급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mCIMT)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in acute stroke patients. Methods: 32 stroke patients who hospitalized in Seoul A Medical Center from March to December, 2013 were randomly divided into mCIMT group and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OT) group. The MFT, FMA, BBT and K-MBI were used to evaluat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DL. The intervention were applied 5 times a week for 60 minutes during 3 weeks. The mCIMT group was only limited on their unaffected side during treatment. Result: Before intervention, both group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intervention, both group’s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DL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intervention were positive effect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DL in acute stroke patients not only mCIMT but also traditional OT. So, when applied the intervention to acute stroke patients, we could be considered mCIMT.

      • 급성 뇌졸중 환자의 우세손 손상 여부에 따른 삶의 질 비교

        윤인진 ( In Jin Yoon ),이지웅 ( Ji Woong Lee ),유선영 ( Seon Young Yu ),이규철 ( Kyu Chul Lee ),정진원 ( Jin Won Jeong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5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4 No.1

        목적: 우세손이 손상된 급성 뇌졸중 환자와 비우세손이 손상된 급성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2년 12월부터 2015년 1월까지 서울 소재 A 병원에 입원한 급성 뇌졸중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 열람과 인터뷰를 통해 대상자들의 성별, 연령, 진단, 발병 기간, 손상 원인, 마비측과 우세손을 조사하였다. 대상자 선별 과정에서 대상자들의 인지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K-MMSE를 시행하였고, 상지 기능 평가를 위해 MFT, 삶의 질 평가를 위해 SS-QOL을 시행하였다. 결과: 우세손 손상 환자 45명, 비우세손 손상 환자 55명의 인지 기능과 우세손과 비우세손의 상지 기능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군의 삶의 질을 비교한 결과, 개인적 성격과 상지 기능에서는 우세손이 손상된 급성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이 유의하게 낮았으나 그밖에 모든 삶의 질의 요소에서는 우세손 손상 환자와 비우세손 손상 환자의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임상에서 급성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을 고려한 작업치료 목표 설정 및 치료중재 시, 우세손 손상 여부가 전반적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는 아니지만 우세손이 손상될 경우 개인적 성격과 상지 기능으로 인해 삶의 질이 낮아질 수 있음을 고려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Compared of the quality of life(QoL) according to the affected on dominant hand in acute stroke patients. Methods: 100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who were hospitalized in Seoul A Medical Center. We invested subject’s characteristics through medical charts and interviews. We used K-MMSE, MFT, and SS-QOL for assessing the cognitive functi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QoL. Result: The subjects who affected on dominant hand were 45, and affected on nondominant hand were 55. In the cognitive function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Qo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items and SS-QOL total score except personality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The personality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were significantly below in affected on dominant hand. Conclusion: As this study result, we concluded that occupational therapists may consider that patients who affected on dominant hand have lower QoL following each personality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verall QoL score with both group whether got affected on dominant hand or not.

      • KCI등재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영향요인 : 산화스트레스 지표를 중심으로

        김상희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4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8 No.3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저하는 최대 80%까지 발생하는 빈번한 장애로 뇌졸중 후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종합적인 사고능력이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영향요인으로 산화스트레스 지표인 소변내 8-OHdG와 혈중 MDA 농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최초 증상 발현 3일 이내의 급성기 뇌졸중 대상자의 40.1%(274명)이 인지기능 저하로 나타났고 소변내 8-OHdG와 혈중 MDA 농도가 인지기능 정상 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산화스트레스 상태의 소변내 8-OHdG와 혈중 MDA 농도는 인지기능 저하를 유 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저하는 질병의 장단기 예후와 주요하게 연관되어 조기에 중재되어야 하므로 인체내 산화스트레스 관련된 객관적인 생체지표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Cognitive impairment occurs frequently up to 80% in the patients with stroke and that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prognosis after stroke. In this study, 8-OHdG in urine and MDA concentration in blood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factors influencing cognitive function in acute stroke patients. 274 (40.1%) of all subjects of acute stroke showed cognitive decline, and 8-OHdG in urine and MDA concentration in bloo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normal cognitive function group. In addition, 8-OHdG and blood MDA concentrations in urine in oxidative stres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crease cognitive impairments (p<.005). Cognitive impairment in acute stroke patients is mainly related to the short- and long-term prognosis of the disease and must be intervention early,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objective biomarkers related to oxidative stress in the patients

      • 거울치료가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

        윤인진 ( In Jin Yoon ),정지인 ( Ji In Jung ),김두리 ( Du Ri Kim ),박미정 ( Mi Jung Park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4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3 No.1

        목적: 거울치료가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3개월 미만의 급성기 뇌졸중 환자 3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대 상자들은 3주간 30분씩 주 5회 고식적 작업치료를 받았고, 거울치료 적용군은 추가 적으로 20분씩 주 5회 거울치료를 받았다. 치료 시작 전 대상자들의 인지 기능 수준 을 알아보기 위해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K-MMSE)을 시행 하였고, 치료 전후 상지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Fugl-Meyer Assessment(FMA), Manual Function Test(MFT)와 Box & Block Test(BBT)를 시행하였다. 결과: 거울치료 적용군의 중재 전후 상지 기능을 비교해 본 결과, MFT의 상지의 운 동 항목, 파악 항목과 총점, FMA의 어깨/팔꿈치/아래팔 항목, 손목 항목, 손(손가락) 항목과 총점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비적용군의 중재 전후 상지 기능에서 는 MFT의 상지의 운동 항목과 총점, FMA의 어깨/팔꿈치/아래팔 항목, 손(손가락) 항목과 총점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거울치료 적용군과 비적용군의 상지 기 능 변화 정도를 비교해 본 결과, MFT의 상지의 운동 항목과 총점, FMA의 어깨/팔 꿈치/아래팔 항목과 총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 고식적 작업치료만 적용해도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이 향상되지 만, 거울치료를 함께 적용할 경우 상지 기능 향상 정도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임상에서 작업치료를 진행할 때, 치료 환경, 시간, 환자의 특성과 기능, 동기 등을 고려하여 거울치료를 적용한다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한다. Objective: To evaluate of the effects of mirror therapy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in acute stroke patients. Method: 30 acute strok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n=15) or control group(n=15). Both groups participated in a standard occupational therapy for 30 minutes/day, 5 times/week, for 3 weeks. But only experimental group additionally participated in mirror therapy for 20 minutes/day. The K-MMSE FMA, MFT, and BBT were used to assess the cognitive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Res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houlder items, grasp items and total score of MFT, the shoulder/elbow/forearm items, wrist items, hand(finger) items and total score of FMA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control group, the shoulder items, total score of MFT, and the shoulder/elbow/forearm items, hand(finger) items, total score of FMA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e shoulder items, total score of MFT, and the shoulder/elbow/forearm items, total score of FMA were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more than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 standard occupational therapy and mirror therapy are effective intervention for upper extremity function in acute stroke patients. Especially, additional mirror therapy is more effect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 KCI등재

        반복 경두개 자기 자극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단일대상연구

        임상우,이혜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 있어 반복 경두개 자기 자극이 상지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영남권 소재의 종합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 중 반복 경두개 자기 자극 치료 선정 및 제외기준에 적합한 자를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총 4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여 20회기의 연구 기간 중 3회기는 기초선 수립, 17회기는 반복 경두개 자기 자극 치료와 교육 위주의 작업치료를 적용하였다. 중재는 주 5회, 각 30분씩 총 17회기를 진행하였고 반복 경두개 자기 자극은 20분간 적용하고 10분간 작업치료를 제공하였다. 관절가동범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매회기마다 DrGoniometer를 이용하여 어깨관절 굽힘, 폄, 벌림, 팔꿈치 관절 굽힘을 측정하였고 관절가동범위 변화에 따른 상지기능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중재 적용 전 후에 푸글 마이어 평가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 있어 반복 경두개 자기 자극은 상지 관절가동범위의 향상을 보였다. 둘째,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 있어 반복 경두개 자기 자극은 상지 기능에 있어 개선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반복 경두개 자기 자극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게 상지 관절가동범위 향상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게 재활을 위한 중재 계획을 수립할 때 반복 경두개 자기 자극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