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어와 한국어의 공간관계성분 사용경향에 대한 고찰 ―코퍼스 분석 및 언어유형학 이론을 중심으로

        유수경 ( Yu Sukyong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文學 Vol.96 No.-

        本稿的目的在于對漢語與韓語里表示空間關系的語言成分(簡稱爲空間關系成分)的使用現況進行傾向性分析幷對中韓空間關系成分(漢語爲"里"、"中"、"內", 韓語爲"안"、"속"、"중"、"내")的功能進行比較。之前, 有不少有關相關硏究不僅只關注空間關系成分的功能分類與各功能間"一對一"的對應關系, 而且對于發展机制都千篇一律地采用認知語言學理論。爲了充分理解幷應用實際語言情況, 本稿以語料庫分析爲基礎, 對中韓空間關系成分的使用現況進行分析, 由此歸納出各形式的使用傾向。 通過語料庫分析, 我們發現漢語的空間成分(通稱爲方位詞)"里"、"中"、"內"根据[±具體], [±動態], [±容器], [±復數]的語義特征顯示不同的使用傾向, 而韓語的"안"、"속"、"중"、"내"根据[+邊界], [+深度], [+中心]的語義特征表示不同的傾向性。這將爲理解中韓空間關系成分的使用條件發揮重要作用。 此外, 我們主張應該對漢語、韓語及跨語言的空間關系成分進行類型學的考察, 以此應用于中韓空間關系成分的硏究。据類型學硏究, 世界不少語言的空間關系成分位于一條"從名詞到介詞"的語法化連接線上, 因語法化程度不同而其功能相異。至于如何選定何種空間關系成分, 每個語言都有不同的標准。總而言之, 爲正確了解中韓空間關系成分的使用規律幷實現有效應用, 我們不僅應該了解各形式的功能分類, 還要采取新的硏究方法, 卽實際語料庫分析與語言類型學理論。

      • KCI등재

        표상물과 참조공간의 공간관계에 따른 3, 4세 유아의 공간표상

        민미희 ( Mi Hee Min ),이순형 ( Soob Hyung Y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6

        이 연구는 공간관계에 따른 유아의 공간표상을 살펴보기 위해 유아기에 위상적, 사영적, 유클리드 공간관계에 대한 이해가 동시에 발달하는지에 대한 이론적 논쟁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유아의 공간표상이 표상물의 종류, 즉 모형과 지도에 따라 다른 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3세 유아 40명, 4세 유아 40명, 총 80명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공간관계에 대한 이해는 위상적, 사영적, 유클리드 공간관계의 순서로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유아기에 동시에 나타나서 점차 심화되고 발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표상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위상적 공간관계, 사영적 공간관계(방위, 각도), 유클리드 공간관계(축척)에 대해 3세 유아도 기초적인 이해가 가능하였다. 4세 유아는 더욱 더 향상된 능력을 보여주었다. 둘째, 유아의 공간관계에 대한 이해는 공간관계의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는 위상적 공간관계를 포함할 때가 위상적 공간관계를 포함하지 않을 때에 비해 공간표상이 더 낮았고, 표상물과 참조공간이 0도, 90도, 180도 방위로 회전되어 배치될수록 공간관계 이해에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1:7 축척의 표상물보다 참조공간을 더 작게 축소한 1:16 축척의 표상물 이해가 더 어려웠다. 셋째, 공간관계에 따른 유아의 공간표상은 표상물 종류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유아의 공간표상 발달에 있어 3세와 4세가 중요한 시기임을 밝혔고, 3세에 위상적 공간관계, 사영적 공간관계, 유클리드 공간관계에 대한 이해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4세경에 보다 안정적으로 발달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공간관계에 대한 이해가 유아기에 동시에 나타나서 점차 통합되어지고 발달되어진다는 사실을 밝혔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ildren`s spatial re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of spatial relations between the spatial product and the reference space, and to examine whether these effects differ in accordance to both types of spatial product (scale model, map). Participants were 40 three-year-olds and 40 four-year-olds. Study results reveal that both three-year-olds and four-year-olds can understand the spatial relations between the spatial product and the reference space (topological, projective, Euclidean). Even three-year-olds can identify various analogous locations (topological spatial relations) and understand viewing azimuth when the scale model (or map) and the referent space are misaligned by 90° or 180°; they can also understand viewing angle, that is, the vantage point along the vertical dimension, as in viewing a space from directly overhead as well as oblique viewing angles. They also understand scale, that is, the ratio between the size of the referent space and scale model (or map) from 1:7 scale to 1:16 sca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ildren`s spatial representa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spatial product (scale model, map). Most importantly, the results reveal that the children`s spatial re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of spatial relations between the spatial product and the reference space is developmental and that spatial re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of spatial relations between spatial product and reference space develop gradually from when they are three to when they turn four.

      • KCI등재

        페터 춤토르 건축의 공간적 분위기를 통한 표리적 공간인식 연구

        진제스민 ( Jin Jasmine ),김주연 ( Kim Jooyun ),이종세 ( Yi Jongs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분위기는 현상학적 배경에서 형성된 미학적 탐구 대상으로 선반성적(先反省的)으로 다가오는 종합적인 배경적 인상이다. 분위기 개념을 건축공간과 조우시킨 건축가는 페터 춤토르이다. 국내의 분위기 개념에 관한 연구는 국외 연구에 의존하고 있어 독창적인 접근과 해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분위기가 동서양 문화권의 이데올로기 속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가정하에 동양적 공간인식론 관점으로 표리적 공간인식을 정립하고 관계성을 파악하여 실증적 공간인 페터 춤토르 건축의 공간적 분위기를 통해 검증함으로써 표리적 공간인식의 관계적 이해를 돕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및 범위) 이론적 범위는 서양의 미학 연구와 동양적 사상의 존재 및 관계에 대한 인식론에 근거하며, 물리적 범위는 페터 춤토르의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표리와 분위기를 고찰하고, 양자 간의 속성적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표리적 공간인식 해석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다. 둘째, 표리적 공간인식을 해석하고 관계적 요소와 특성을 제시한다. 셋째, 표리적 공간인식의 관계적 요소와 특성 들이 페터 춤토르의 작품 공간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파악하여 공간적 분위기를 표리적 공간인식의 관계성으로 이해하고 가정을 검증한다. (결과) 첫째, 분위기는 주체와 객체들의 관계에서 드러나는 현상의 속성 그 자체이다. 둘째,‘표리적(表裏的)’이란 ‘음·양의 상호 관계 속에 어떤 성격을 띠거나 어떤 상태로 되어있는’또는‘주체(體)의 움직임과 객체의 현상(相)의 관계적 작용(用) 속에 어떤 성격을 띠거나 어떤 상태로 되어있는’을 의미한다. 셋째, 표리적 공간인식은 언어적 측면에서 ‘주체와 객체의 표리적 관계들의 공간적 현상을 감지(感知)하는 것’이며, 현상적 측면에서 ‘표리적 공간들의 드러남 들이 중첩된 그 자체 또는 주체와 객체 사이 관계를 매개하면서 주체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 그 자체, 즉 기운(氣雲)을 감지(感知)하는 것’이다. 넷째, 표리적 공간인식의 관계적 요소는 관, 첩, 역이고, 특징은 대대적 관계에 의한 교호성, 부분과 전체의 합일 관계에 의한 일체성, 인과적 관계에 의한 연속성이다. 다섯째, 공간적 분위기 산출은 표리적 공간인식의 관계성으로 이해된다. (결론) 최종적으로 공간적 분위기는 동양사상에서 표리적 공간인식을 통한 감(感)으로 이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공간적 분위기를 동양사상에 근거한 공간 인식론적 관점으로 해석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 연구가 이후 다양한 관점을 가진 공간인식 연구의 활성화에 일조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atmosphere, as the subject of aesthetic inquiry formed from a phenomenological background, is the comprehensive background impression approaching pre-reflexively. Peter Zumtor encountered the concept of atmosphere with the architectural space. Researches on the concept of atmosphere in Korea rely on foreign researches and require an original approach and interpretation. Under the assumption that it can be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in the ideology of oriental and western cultures, this study aims to help the relational understanding of the 'Out & In-side' spatial perception by establishing the 'Out & In-side' spatial perception from the perspective of oriental spatial perception theory, grasping the relationship, thereby verifying it through the spatial atmosphere of Peter Zumtor's architecture. (Method) First, by understanding the 'Out & In-side' and atmosphere and gras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ereby laying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Out & In-side' spatial perception. Second, it presents relational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Out & In-side' spatial perception. Third, the spatial atmosphere is understood by the relationship of the 'Out & In-side' spatial perception, and the assumption is verified by grasping how the relational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in Peter Zumtor's architectures. (Results) First, the atmosphere is the property itself of the phenomenon reveal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s. Second, 'Out & In-side' means 'having certain character or being in a certain st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in and yang or in the relational functioning of the movement of the subject and the phenomena of the object.' Third, the 'Out & In-side' spatial perception in terms of language is to sense the spatial phenomenon of the 'Out & In-side' relations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and, in terms of phenomena, is the superposition of the emergence of 'Out & In-side' spaces, or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subject while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s, that is, the sensing of energy. Forth, the relational elements of the 'Out & In-side' spatial perception are Intuition, Layering, and Changes, and the characteristics are the reciprocity by the equivalent relationship, the unity by the relational cohesion of part and whole, and the continuity by the causal relationship. Fifth, the production of spatial atmosphere can be understood as the relationship and sensed through the 'Out & In-side' spatial perception. (Conclusions) Finally, the spatial atmosphere can be understood as 'SENSE' through the 'Out & In-side' spatial perception in oriental thought.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interpret the perspective of the spatial recognition based on oriental thought as an atmosphere. It hopes to be contributed to revitalization of spatial perception research with various perspectives in the future.

      • KCI우수등재

        고유벡터공간필터링 접근법에 기반한 피어슨 상관계수의 요소분해

        이상일(Sang-Il Lee) 대한지리학회 2019 대한지리학회지 Vol.54 No.5

        본 논문의 주된 연구 목적은 고유벡터공간필터링 접근법에 기반한 피어슨 상관계수 요소분해 기법을 정련화하고, 이 기법이 공간적 자기상관이 전제된 상태에서의 이변량 상관관계 분석에 어떠한 공헌을 할 수 있을지를 실험 연구를 통해 검토하는 것이다. 피어슨 상관계수 요소분해 기법은 공간적 패턴 요소분해, 하위 상관계수의 산출, 결정계수의 요소분해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며, 최종적으로 피어슨 상관계수를 네 가지 상관관계 요소, 즉 ‘잔차-잔차 상관관계 요소(EE)’, ‘공통-공통 상관관계 요소(CC)’, ‘특수-잔차 상관관계 요소(UE)’, ‘잔차-특수 상관관계 요소(EU)’로 분해한다. 피어슨 상관계수 요소분해 기법의 유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동일한 피어슨 상관계수 값을 갖지만 서로 다른 수준의 이변량 공간적 자기상관을 보이는 가상의 8개 패턴쌍에 적용하였다. 실험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적 패턴 요소분해 결과, 공통 패턴 요소와 특수 패턴 요소의 존재/부존재의 양상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둘째, 공간적 패턴 요소의 존재/부존재의 양상과 개별 변수의 일변량 공간적 자기상관의 정도에 따라, 하위 상관계수의 상대적 크기, 그리고 공통 결정계수와 특수 결정계수의 상대적 크기가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셋째, 전체적인 이변량 공간적 자기상관의 수준뿐만 아니라 일변량 공간적 자기상관의 조합 양상에 따라 상관관계 요소분해의 결과는 달라진다. 본 연구는 공간데이터분석의 연구 관행에 새로운 제안을 하고자 하는데, 이변량 혹은 다변량 공간통계분석의 경우, 피어슨상관계수와 그것의 유의성 검정 결과뿐만 아니라 피어슨 상관계수 요소분해 결과도 함께 병기한다면 공간적 자기상관이 상관계수의 팽창/위축에 어떠한 방식과 강도로 작동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refined version of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decomposition technique and to examine how much contribution the technique can make to our understanding about what happens to the bivariate correlation when spatial autocorrelation is present. The technique employs sequential steps which are the spatial pattern decomposition, the sub-correlation coefficients calculation, and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s decomposition, and it finally divides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into four correlation components, the residual-residual correlation, the common-common correlation, the unique-residual correlation, and the residual-unique correlation components. The applicability and practicality of the technique is assessed on a hypothetical data set composed of 8 pairs which are identical in terms of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ut are different in terms of the level of bivariate spatial autocorrelation. Main findings from the experimental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 variables involved in the 8 pairs are diverse in terms of presence/absence of particular spatial pattern components. Second, the relative size and proportion of the sub-correlation coefficients and the sub-determination coefficients turn out to be substantially influenced by the presence/absence of particular spatial pattern components and the relative strength of spatial autocorrelation of two variables. Third, the correlation decomposition results are significantly subject to the relative strength of univariate spatial autocorrelation of each variable as well as the overall level of bivariate spatial autocorrelation. In conclusion, this paper proposes a new research practice that encourages researchers conducting a bivariate or multivariate spatial statistical analysis to report some of the results from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decomposition analysis in addition to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their associated p-values, which may lead to a new insight into our understanding about how spatial autocorrelation is involved in the process of inflating/deflating correlation coefficients.

      • KCI등재

        니콜라 부리오의 확장된 관계미학적 관점으로 본 현대전시 공간특성

        김햇빛 ( Kim Haetbit ),김지은 ( Kim Jieun ),김개천 ( Kim Kaich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배경 및 목적) 프랑스 출신의 전시기획자이자 비평가인 니콜라 부리오는 이전의 이론으로 설명될 수 없는 과정적이고 참여적인 1990년대의 새로운 예술 경향을 ‘관계미학’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여 설명하였다. 고도의 자본주의 사회를 배경으로 인간 상호작용을 중요시하던 이론은 30년이 지난 현재에서 기술의 발달과 인간에 의해 영향을 받는 생태환경을 배경으로 그 의미가 확장되었다. 인간 간의 관계를 비인간을 포함한 관계로 확장한 관계미학의 상생적 성격은 예술 실천의 장소로 공동체를 형성하는 현대전시 공간에서의 상호작용성과 공통된 맥락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연구는 예술이 사회적 문제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탐구를 통해 확장된 관계미학의 관점으로 현대 전시공간을 바라보고 그 특성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를 통하여 확장된 관계미학의 성격을 도출하였고, 현대전시의 다양한 흐름이 반영된 사례를 통해 현대전시 공간에서 나타나는 내재적 특성을 도출한다. 각각 도출된 특성 언어의 의미를 연계하여 종합된 의미의 최종 언어를 도출하고 확장된 관계미학적 관점으로 본 현대전시 공간의 특성으로 추출한다. 추출된 특성을 선정된 사례분석에 대입하여 적합성을 검증하고 변화하는 사회에서 전시공간이 매개하는 상생의 방향을 제안한다. (결과) 이 연구의 결과, 확장된 관계미학적 관점으로 본 현대전시 공간의 특성은 ‘자유로운 교환’,‘불안정한 연결’,‘필연적 공존’으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특성은 상생을 목적으로 현대전시 공간이 상호작용성을 어떠한 방식으로 생산하는지 분석되었다. 초월성, 혼합성, 추상성, 독자성, 수행성, 잠재성의 6가지의 관계 생산 특성과 이것을 대입한 사례분석을 통해 ‘상호작용성’이 대상 간의 관계를 확장 시켰지만, 공간 특정성에서는 비교적 자유롭지 못하다는 한계를 발견하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전시공간의 특권적 지위는 예술의 특수성에 의해 부여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예술 현장을 기획하는 작가의 의도와도 무관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결론) 이러한 관점으로 바라본 전시공간은 확장된 관계미학의 배경이 되는 사변적 실재론에서 이야기하는 ‘모든 존재의 동등한 지위’와 는 완전히 부합되지 않는 특권적 지위를 갖게 되지만 궁극적으로 상생을 목적으로 하는 지위와 의도는 예술의 예외적 특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술 실천의 장소인 전시공간이 변화하는 환경과 인간이 공존하는 연결점이 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 French exhibition planner and critic Nicolas Bourriaud suggested the concept of Relational Aesthetics to explain a new intermediate and participatory art tendency in the 1990s which can’t be explained with old theories. Theories that have focused on human interactions in the advanced capitalist world 30 years ago have expanded their meaning to the ecological environment that is affected b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human beings in modern days. The coexisting characteristics of Relational Aesthetics that expands the relation between human beings into the relation including non-human objects have common context in the mutual interaction of contemporary exhibition space that forms communities as an art practice place.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seeing the modern exhibition space with the expanded viewpoint of Relational Aesthetics and understanding its characteristics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 role of arts in social problems. (Method) It extracted the Implicit characteristics of expanded Relational Aesthetic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preceding research. It also extracts the specialties that appear in contemporary exhibition space through examples that reflect various trends of contemporary exhibitions. Then it extracts the final language of integrated meaning in connection with the meaning of each extracted characteristic language. Then it understands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exhibition space with the viewpoint of expanded Relational Aesthetics. It proves the adequacy by introducing the extracted characteristics into the selected example analysis and suggests the method of coexisting that connects the changing society into an exhibition space.(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exhibition space viewed by the perspective of expanded Relational Aesthetics are free exchange, unstable connection and essential coexistence. The extracte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o see how the contemporary exhibition space produces the interaction for the purpose of coexistence. It applied transcendence, mixture, abstractness, uniqueness, practice and potentiality and example analysis after using the six relational production characteristics and found that relational interaction expanded the object relation but they were not relatively free in space specifics. It was understood that the privileged status of exhibition space is endowed by the specialty of art and not related to the intention of an artist who plans an art area.(Conclusions) From this viewpoin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exhibition space has privileged status even if it isn’t completely equal to all things that are discussed in speculative realism which is the background of expanded Relational Aesthetics. But the status and intention targeting ultimate coexistence is an exceptional privilege of art. It is expected the exhibition space for the practice of art becomes a connection point of coexistence of the environment and human beings.

      • KCI등재

        Container 성질과 중력을 고려한 공간과 객체의 통합적 공간관계 표현 모델

        박종희(Jong-Hee Park),임영재(Young-Jae Lim)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7 No.3

        실세계의 공간이나 이에 대응되는 가상세계의 공간은 공간의 일부인 지역(region)들과 그것들을 차지하고 있는 물리적 객체(physical object)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 구성요소들간의 공간관계의 표현의 실제와의 부합성과 다양성은 이러한 공간에서 활동하는 에이전트의 공간관계 추론이나 이벤트(event)의 전개의 사실성과 정교함의 바탕이 된다. GIS나 AI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는 기존의 공간관계 모델들은 객체의 규모에 따라 이원화된 영역에 적절한 모델들이거나 제한된 위상관계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지역과 객체를 가진 일반적 공간의 통합적 표현에는 부적합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될 공간표현 모델은, 첫째 대규모 공간과 소규모 공간 관계에 통합적으로 적용가능한 계층구조를 바탕으로 구성한다. 둘째, 소규모 객체들간에도 disjoint나 touch와 같이 제한된 위상 공간관계(topological relations)만이 아닌 접촉관계와 구성요소객체들의 조합을 바탕으로 하여 충분히 다양한 공간관계를 표현할 수 있도록 세분화한다. 셋째, solid object에 대비되는 container성질을 추가하고 중력 방향을 고려하여 공간관계를 추가로 다양화한다. 본 연구의 결과인 중력의 영향을 고려한 통합적 공간관계 모델은 컴퓨터상에서 실세계와 유사한 복잡한 가상공간을 공간적 사건들과 연관지어 정밀하게 시뮬레이션할 수 있게 하고 가상공간에서 에이전트들이 행동을 할 때 공간적 측면의 상황판단을 할 수 있도록 가상공간에 대한 에이전트들의 공간적 지식을 표현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A space, real or virtual, comprises regions as its parts and physical objects residing in them. A coherent and sophisticated representaion scheme for their spatial relations premises the precision and plausibility in its associated agents’ inferencing on the spatial relations and the development of events occurring in such a space. The existing spatial models are not suitable for a comprehensive representation of the general spatial relations in that they have limited expressive powers based on the dichotomy between the large and small scales, or support only a small set of topological relations. The representaion model we propose has the following distinctive chracteristics: firstly, our model provides a comprehensive representation scheme to accommodate large and small scale spaces in an integrated fashion; secondly, our model greatly elaborated the spatial relations among the small-scale objects based on their contact relations and the compositional relations among their respective components objects beyond the basic topological relations like disjoint and touch; thirdly, our model further diversifies the types of supported relations by adding the container property besides the soildness together with considering the gravity direction. The resulting integrated spatial knowledge representation scheme considering the gravity allows the diverse spatial relations in the real world to be simulated in a precise manner in relation to the associated spatial events and provides an expression measure for the agents in such a cyber-world to capture the spatial knowledge to be used for recognizing the situations in the spatial aspects.

      • KCI등재

        봉산탈춤 미얄과장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신체표현과 공간관계

        신상미 한국무용기록학회 2003 무용역사기록학 Vol.5 No.-

        이 연구의 목적은 LMA(라반 움직임 분석법)를 통해서 봉산탈춤의 미얄과장의 인물성격과 공간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는 봉산탈춤의 신체표현과 공간적 상호관계가 한국인의 문화에서 형성되는 기본적인 삶의 표현이라는 전제하에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봉산탈춤의 미얄과장에서 세 인물이 움직일 때 각기 개별적으로 특징이 있는 움직임을 수행하고 있다. 미얄은 탄력적이고/빠르고/강한(Bound/Quick/Strong) 엉덩이 움직임과 앞뒤로 두 팔을 흩뿌리고 모으는 동작 그리고 부채를 든 손의 가볍게 튀기기(Flicking)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 움직임들은 미얄의 열정적이고 활동적인 성격을 보여준다. 영감은 어깨와 가슴을 꼬면서 빠르고/탄력적(Quick/Bound)으로 움직이는 것과 유동적 상태(Mobile State)로 자유롭고/지속적(Free/Sustain)으로 팔을 움직이는 것이 두드러진다. 이것은 활동적이고 여유 있는 영감의 성격을 보여준다. 첩의 두드러진 움직임은 팔을 양쪽으로 넓게 펴고 어깨를 들썩이며 상체를 꼬면서 빠르고/자유롭게(Quick/Free) 흔든다. 이것은 자신을 드러내고 뻔뻔스러운 인물 성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움직임 특성은 한국의 유교사회에서 나타나는 남성과 여성들의 삶에서 표현되는 상황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미얄과장의 세 인물 사이의 운동공간분석은 서로간의 관계를 알려주는 실마리를 제공해 준다. 영감과 미얄 간 관계에서 나타나는 운동공간은 서로 얘기할 때 양 옆으로 나란히 앉아 수평적(Horizontal)으로 이야기 할 때를 제외하고는 주로 시상적 차원(Sagittal Dimension)으로 나타난다. 그들이 처음으로 만날 때, 서로 팔을 붙잡고 춤을 출 때 그리고 서로 쳐다보고 싸울 때 등 모두 언제나 시상적 차원(Sagittal Dimension)으로 서있다. 이 시상적 차원이 장애를 표현함에도 불구하고 시상적 차원에서 그들이 싸우는 것 그리고 가까운 거리에서 서로를 밀고 당길 때 나타나는 공간감은 그들이 갈등하고 서로를 증오하는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때로는 영감과 미얄이 아주 가까운 관계로 보이기도 한다. 이때는 원그리기로 양팔을 시상적 차원(Sagittal Dimension)으로 돌며 걸을 때, 옆으로 나란히 앉아 수평적으로 서로 얘기할 때 그리고 상대방이나 청중을 향해 부채를 든 손으로 지시할 때 등 서로 간의 기쁨을 나타내고 밀접한 관계임을 나타내기도 한다. 일반공간 안의 운동공간기록을 통해서 보이는 것과 같이 미얄과장 전체에서 이 두 인물은 상대방과 청중과의 대화하는 상황과 다른 극한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무대 공간 전체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이 둘 사이의 관계는 서로에게 거리낌 없이 대할 수 있는 노골적인 관계로 볼 수 있다. 영감과 첩 사이의 공간 관계는 미얄과 영감의 관계와는 사뭇 다르게 나타난다. 첩이 들어오자마자 영감이 발견하고 바로 첩에게 걸어간다. 그리고 오른팔로 첩의 어깨를 부드럽게 감싸 안고 수평면(Horizontal Plane)으로 옆으로 나란히 서서 원그리기로 돌면서 걷는다. 영감과 첩 사이의 가까운 거리 운동공간(Near-Reach Kinesphere)은 서로 일치하는 리듬뿐 아니라 영감이 첩을 보호하는 애정 넘치는 관계로 보인다. 영감이 미얄의 죽음에 애통해하는 장면에서까지 첩은 영감과의 사이에 시선을 마주침에도 불구하고 시상적 차원(Sagittal Dimension) 보다는 영감과 수평적으로 서서 몸을 꼬면서 교태를 부린다. 그들이 미얄을 떠날 때에도 옆으로 나란히 서서 퇴장한다. 하지만 그들은 항상 먼 거리(Far-Reach)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첩은 영감에게 다가가지 않고 영감이 자신에게 올 때까지 기다린다. 이러한 공간관계에서 볼 수 있는 것은 그들이 적절한 관계가 아님을 보여준다. 더욱이 미얄과장에서 보이는 공간 관계의 중요한 관점은 등장인물과 청중간의 상호작용이다. 인물들이 상체의 움직임을 통해서 앞으로 그리고 앞 옆 사선으로 청중에게 보내는 메시지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있어서 서술적 구조의 극단적인 예이다. 직접적이고/탄력적인(Direct/Bound) 손 제스처와 가슴을 낮추고 머리를 끄덕이는 시상적(Sagittal) 그리고 수평적 차원(Horizontal Dimension) 강조는 모두 청중에게 자연스럽게 현재의 상황을 설명하는 움직임 들이다. 이러한 서술적 구조(Narrative Structure)를 통해서 공연자가 청중에게 방해 받지 않고 쉽게 이야기를 전달하도록 허용한다. 등장인물들의 신체움직임의 에포트와 쉐입 그리고 인물 간 공간적 상호관계는 미얄과장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성격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즉 삶 속에서의 문제 상황을 적나라하게 표현한다. 이 연구에서 나타나는 움직임 특성들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으로서 그리고 문화적으로 습득된 행동으로서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무엇이 표현되고 있는지를 쉽게 이해하도록 만든다. 결론적으로, 봉산탈춤의 신체표현과 공간관계는 한국인의 일상적 삶과 문화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습득되는 것으로서 한국인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에게 쉽게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 표현체계라고 생각된다. 이 분석을 통해 나타난 특성은 한국 탈춤의 정체성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문화적 유산으로 보존할 가치가 있는 특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ovement of the Pongsan mask dance drama, a representative folk dance of Korea, through LMA. I hoped to find an answer to why the audience specifically enjoyed this dance. This question was approached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Pongsan mask dance drama conveys body expression of the basic life formed inside Korean cultur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When the three people move in the seventh scene of the Pongsan mask dance drama, there is a unique individual distinction. The characteristics of Miyal's dance most identifiable to Miyal are the Bound/Quick/Strong hip movement and Scattering and Gathering arms to front and back with fanned hand Flicking movement. These seem to show Miyal's character as passionate and active. Younggam distinguishes himself through the Quick/Bound shoulders and chest twist movements, and the Free/Sustain arm movement in Mobile State. These movements seem to show his active and indulgent character. The Concubine's movement of distinction is her winding body pulsating with arms wide open to the side movements and the Free/Quick vibrating twist of her upper body. These movements seem to express a showing off and impudent self. The Kinesphere of Younggam and Miyal's relationship is in Sagittal Dimension except when they sit side by side Horizontally as to talk. Even though this Sagittal Dimension expresses their obstacles, the kinesphere happens in their fighting, and the pushing and pulling each other in a Near-Reach Sagittal Dimension show their conflict and hatred, the kinesphere between Younggam and Miyal seems much more intimate. The Relationship Kinesphere between Younggam and the Concubine is quite different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Miyal and Younggam. Right after the Concubine enters, Younggam finds her. He immediately walks to the Concubine. Then, he walks in a circle with her side by side on a Horizontal Plane with his right arm tenderly wrapped around her shoulders. This Near-Reach Kinesphere of the Concubine and Younggam seems to not only show synchronized rhythm but also an affectionate relationship in which he takes care of her. Even in the scene of Younggam lamenting over Miyal's death, the Concubine behaves coquettishly in a Horizontal line of the Kinesphere rather than in Sagittal Dimensions with the Younggam, even though there is eye contact between the two. When they leave Miyal, they walk side by side, but they always stand far from each other. The Concubine does not go to Younggam until he comes. In a relationship of this Kinesphere, it seems to show that she does not have a proper relationship with Younggam. Moreover, an important aspect of the Kinesphere of the characters is their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The delivery of their message to the audience through their upper body and the forward arm and forward-side diagonal movements is a supreme example of the narrative structure in nonverbal communication. The emphasis of Sagittal and Vertical Dimension with Direct/Bound hand gestures, and the chest lowering and the nodding of the head are all narrative movements that deliver the current situation effortlessly to the audience. Through this narrative structure, the interaction allows for an uninterrupted delivery of the storyline from the performer to the audience. The effort and shape of the body movements of the three charact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clearly show the personality of each character in the seventh scene. It provides an illustration of their troubled situation in life. It enables the viewer to understand what is being expressed with ease. Hence, I believe it easily grabs the attention and interest of students. In conclusion, the body expressions of the Pongsan mask dance drama are naturally acquired through everyday Korean life and culture and are therefore easily understood and appreciated by Koreans. These body expressions identify Korean dance and are valuable cultural inheritance worthy of preservation.

      • KCI등재

        패션브랜드 공간의 물성 발현 관계 연구-플래그십 스토어를 중심으로-

        김문주 ( Moonju Kim ),이재규 ( Jaeg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5

        (연구배경 및 목적)최근 브랜드 사이에서 플래그십 스토어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고, 공간을 매개체로서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고 있다.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전달할 때 공간에 사용된 재료의 물성의 발현으로 인해 다양한 이미지나 메시지가 전달되며, 이러한 다양한 의미들은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 치부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 브랜드 공간에 대한 물성 발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재료에 따른 물성 발현에 대한 구조화이다. 이에 대한 기대효과는 공간을 매개체로서 패션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공감각적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것이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질적 연구를 바탕으로, 패션 플래그십 스토어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물성 발현에 대한 개념적인 이해를 통해 이론적 배경을 구성하였다. 물성 표현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추출된 키워드로 물성발현의 특성을 크게 7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고, 이는 재료적 잠재성, 구축적 형태성, 시간성, 지역적 장소성, 공감각적 지각성, 상호관계성, 비물질성이다. 추출된 특성들을 물질적 분석, 환경적 분석, 동시적 분석으로 분류하여 상위 항목을 설정하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세부항목으로 분류하여 세분화된 분석을 하였다. 사례 분석 대상은 국내 패션 플래그십 스토어가 밀집된 청담동, 신사동 일대를 기준으로, 최근 5년 이내 신축 또는 리뉴얼한 9개의 사례를 선정하여 이를 대상으로 사례 분석을 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한 종합 분석을 토대로 패션 브랜드 공간의 물성 발현 관계에 대한 구조화를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본 연구의 사례 분석을 한 결과 물질적 분석에서는 재료적 잠재성이 가장 높은 빈도수와 중요한 물성으로 분석된다. 이에 비해 구축적 형태성은 다소 약하거나 전혀 발현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환경적 분석에서는 자연적인 시간성이 강하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역적 장소성의 지역성과 역사성은 사례마다 격차가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동시적 분석에서는 공감각적 지각성은 세 번째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물성으로 확장성이 강하게 발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호관계성은 구조적인 요소를 통한 내ㆍ외부의 관계성이 주로 나타났다. 비물질성은 매개체의 속성 중 투명성과 반사성을 이용해 발현되었다. (결론)본 연구의 종합 분석 결과를 토대로 패션 브랜드 공간의 재료에 따른 물성 발현의 관계성을 코드 다이어그램으로 분석한다. 패션 브랜드 공간의 물성 발현의 결론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패션 브랜드 공간의 물질적 물성은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이를 시각적 지각성으로 강하게 인지시키고 있다. 콘크리트와 철재, 목재와 관계가 깊은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환경적 물성은 자연적 시간성으로 강하게 나타난다. 자연광이나 자연적인 재료를 이용하여 재료 자체의 자연적인 시간 흐름을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로 동시적 물성은 공감각적 지각성과 비물질성은 주로 투명성과 반사의 성질을 가진 재료와 관계가 깊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호관계성은 특정 재료에 따른 물성 발현보다 구조, 시각적 대비, 패턴 등 그 외의 요소와 관련성이 깊은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재료가 갖는 다양한 특성을 이용하여 수많은 의미를 내포할 수 있으며, 물성의 지각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패션 브랜드 공간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부분이며, 물성을 하나의 조형언어로서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상호 소통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나 이미지 전달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Background and Purpose)Recently, brand flagship stores have become prevalent and brands attempt to communicate with customers using the store space as the medium. When brands convey their own identity, various images and messages can be discounted as unilateral communication. Specifically, revealing product properties is a significant factor of communicatio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express these properties to vitalize multisensory communication between fashion brands and consumers with flagship stores as the medium. (Method)This study is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fashion flagship stores. After analyzing previous studies on store physical properties, seven keyword categories were determined. Specifically, material potential, constructive configuration, temporality, regional placeness, multisensory perception, interrelationship, and immateriality. The important items are established through material, environment, and simultaneous analysis, and segmented analysis is also conducted by assigning subsection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case study targets are based in the Cheongdam-dong and Sinsa-dong districts in Seoul, Korea where there are many fashion flagship stores. Additionally, this study analyzes nine cases of new or renovated construction within the last five years. This study draws conclusions about the structure based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ashion brand``s store space. (Results)As a result of the material analysis, material potential has high frequency and is an important material property. By comparison, constructive configuration is weak or not apparent. In the environmental analysis, natural temporality is strong and regionality and the history of regional placeness reveal some significant gaps. Moreover, in the simultaneous analysis, expandability is a common manifestation of property within multisensory perception. Finally, immateriality is revealed based on continuity. Interelationship shows a relationship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through structural elements. Additionally, immateriality is revealed by transparency and reflection in the properties of the medium. (Conclusions)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fashion brand space as a chord diagram through overall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this study reaches three conclusions. First, fashion space implies a variety of meanings in the physical aspect, and this recognizes visual consciousness intensively. Concrete, steel, and wood have deep relevance. Second, environmental properties strongly represent natural temporality, as shown by using natural material and sunlight. Third, simultaneous property is deeply related with multisensory perception, and immateriality is related with the transparency and reflectivity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terrelationship is deeply related to other elements, such as structure, visual contrast, and pattern, more than any material property by specific elements. As a result, using diverse material, brands can invoke various meanings and convey product identity to consumers through the perception of physical properties. This finding is not limited to fashion brands, and property can be commonly utilized as a formative language to enable mutual communication to convey brand identity and image.

      • KCI등재

        유아-공간 관계적 관점에서의 바라본 유아교육기관 실외공간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강지애,백은주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2

        This study examines the outdoor spa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rom the relational point of view, where space is defined as ‘a fluid state’ emerging throughout a continual interaction between the human and non human actor. For this purpose, relevant studies recently published in Korea, Japan, and Europe were searched and review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two different aspects of the young children interacting with outdoor space: giving meaning to the outdoor space and experiencing it with their body(corps parlant). Second, the outdoor space affects young children’s behavior and play in two ways: outdoor space plays a role in promoting the child-child-teacher relationship and leading children’s creative play. Third, the teacher has two conflicting perceptions of outdoor space: some recognized the outdoor space as an ‘open space’ where the young children are subjectively involved, whereas others saw it as a ‘contained place’ where the children's behavior is forced by the given space. Last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rections for the composition of the outdoor spac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본 연구는 공간을 사회적 상호관계물로 바라보는 관계적 공간 담론을 토대로 유아-공간의관계적 관점에서 유아교육기관의 실외공간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와실외공간과의 상호관계성에 기초하여 최근 국내·외 선행 연구물을 검색‧검토하여 다음과 같은내용을 도출하였다. 먼저 유아가 공간에 관계하는 측면에서의 양상은 유아에 의해 의미가 부여되는 실외공간, 유아의 ‘몸’으로 체험되는 실외공간이다. 다음으로 실외공간이 유아 행위에 작용하는 양상은 다양한 상호적 관계 생성을 촉진하는 실외공간, 유아의 창발적 놀이를 이끌어내는 실외공간이다. 마지막으로 유아-공간의 상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인식은 유아가주체적으로 실외공간과 관계 맺도록 지원하는 열린 공간 인식과 주어진 공간에 의해 유아 행위가 강요되는 절대적 공간 인식으로 드러났다. 이같이 정리된 내용을 토대로 유아-공간의 관계적 관점에서 유아교육기관 실외공간의 구성 방향과 추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공간 사유(思惟)를 통한 관계맺음

        박성연 ( Sung Yeon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5

        본 논문은 일상생활공간이 관계를 만드는 공간이라는 맥락 안에서 공간 개념의 이론적 접근과 공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관계맺음을 관계 미학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 공간 경험은 거주공간의 장소적 개념, 사회적 산물로의 사회적 공간, 그리고 이러한 고정된 실체에서 확장된 잠재적 공간의 개념을 포괄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다양한 공간 경험에 의해 오히려 공간의 경계는 무의미해졌음을 살펴봄과 동시에, 우리가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집이나 도시의 장소를 예로 들어 혼종적 공간에 내재된 잠재성, 유동성, 움직이고 살아있는 신체로서의 공간 개념을 설명한다. 이것은 건축 공간을 개방적인 대상으로 인식하고 제3의 공간이라는 개방성을 유도한다는 특징을 지니며, 내부와 외부 또한 그 사이 경계의 공간도 아니다. 완벽히 개방적이지만 무한대로 확장되지 않는, 예측할 수 없는 살아있는 공간 개념이다. 본인은 이 담론을 설명하기 위해 들뢰즈와 베르그송의 개념을 포괄하는 엘리자베스 그로스의 공간 개념을 주로 언급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공간 개념에서 확장하여 다양한 문맥으로 읽힐 수 있는 관계의 형성을 강조함과 동시에, 상호교류하고 있음을 서술한다. 상호인간적인 관계들로 파악되는 관계의 미학은 유연한 사유와 예술의 사회적 수용을 가능하게 해주어, 관계의 형성이 보여주는 과정과 사회적 문맥을 강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한 관계에서 삶의 공간과 일상생활이 형성이 만들어내는 관계를 미학적으로 재조명하고, 주변의 이웃과 타인의 삶에 대한 본질적 탐구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representation of the everyday, particularly the way in which we form relationships within the spaces of our daily lives. In illuminating theoretical studies and the aesthetics of relationship on the spaces, this dissertation seeks to elicit a new understanding of the space. Beginning with the spaces that we are most familiar with (e.g. a family house or a hometown), I examine the virtuality and fluidity that is inherent to hybrid spaces, evoking the concept of space as a living, moving body. I consider architectural spaces to be implicitly open, and they evoke that openness as a third space. My theoretical basis primarily draws upon Elizabeth Grosz`s concept of space, which encompasses the ideas of Gilles Deleuze and Henri Bergson. According to Grosz, space is neither interior, nor exterior, nor in-between; instead, space is absolutely open, though it does not expand absolutely. It is also alive and impossible to predict. Building upon her ideas of space, my dissertation highlights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in different contexts and conditions, thus utilizing the aesthetics of relationships to call for a more flexible social consideration and reception of art. In examining how my study represents our modes of co-existence, this dissertation fundamentally seeks a higher understanding of our neighboring communities and people. Based on people`s trust in the aesthetics of relationship, my concern is with analyzing spaces and establishing a subject (often absent) to represent our so-existence in the spaces where we form relationships in our daily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