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전기 묘지명 연구 -지제고(知制誥) 찬 묘지명을 중심으로-

        김보경 ( Bo Kyeong Kim ) 한국한문학회 2013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1

        본고는 高麗前期 知制誥 찬 묘지명을 대상으로 찬자별로 서술방식과 특성을 분석하고 그 시대적 추이를 살핌으로써 고려전기 지제고 찬 묘지명의 문학사적 의의를 구명 하였다. 고려전기 묘지명은 무신집권기나 고려후기처럼 소수 인물이 찬술을 분점하는 양상은 보이지 않는다. 대신 특징적인 것은 지제고 찬 묘지명이 40% 가까이 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王命으로 佛家의 碑銘을 지었던 전통과 관련이 있으며, 한편으로는 분화된 전문작가가 아직 충분히 형성되지 않은 고려전기 문단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지제고 찬 묘지명을 통해 찬자별 특성과 함께 시대적 추이를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예종대 韓沖은 崔思諏·崔繼芳이라는 당대 최대 문벌가문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여 격례를 잘 갖춘, 그러면서도 대상에 알맞춘 구성법을 활용하고 작자 의식을 투입함으로써 문벌사회에 대응하는 글쓰기 방식을 보여 주었다. 인종대에는 金精이 福寧宮主를 유교의 모범적 여성상으로 닦아 세우고, 또 許載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스토리를 만들어 이미지를 덧댐으로써 강직하고 품위 있는 관료상을 구성하였다. 의종대 초반 金子儀는 權適·尹彦이를 위한 묘지명에서 경전 등 典故를 활용하거나 비유교적 행적을 의도적으로 배제하면서 전략적으로 유교적 군자의 전형을 수립하였다. 의종대 중·후반에 金于蕃은 閔瑛과 같은 이채로운 인물형을 받아들이고 崔允儀를 社稷의 元臣으로 특성화함으로써 묘지명의 대상 확장 및 개성화 양상을 확인케 해 준다. 한편, 문체의 방면에서는 간결하고 조리 있고 세련된 古文의 실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런 데는 예·인종~의종대까지 이어지는 유교 정치이념, 고문에 대한 인식, 蘇軾 묘지명의 학습, 그리고 찬자들의 강한 유학적 성향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 묘지명에는, 시기별 차이는 있으나, 국가적 정책 방향, 유교이념, 공공윤리 등이 여느 묘지명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반영되어 있다. 이것은 묘주들의 공공지수가 대체로 높고 찬자들이 지제고라는 사실과 관련될 것이다. 그로 인해 묘지명에 그려진 인물의 생동감이 다소간 결여되고 이상화된 방향으로 기울어 있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한계이다. 그러나 비지류 전통에서 묘지명이 양식적으로 안정되고 유가의 문학으로 자리잡는 데는 이들의 기여가 적지 않았다. 한편, 찬자들은 묘지명이라는 양식적 제약과 지제고라는 위치가 의식되는 상황에서도 자신의 문학적 역량을 발휘하면서 자신(또는 찬자가 속한 집단)의 상황인식, 주제의식, 희망, 의지, 지향 따위를 투사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작품을 만들어냈다. 고려전기 지제고 찬 묘지명이 문예적인 개인적 산문으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고려전기 묘지명의 전개는 비명의 전통에 힘입는 동시에 그것을 밀쳐내면서, 또 외부적 요인을 의식하고 그것을 소화하면서 자기의 양식과 수준을 마련하는 과정이었다. 지제고 찬 묘지명은 그 역할을 선두에서 수행하였다. 고려전기 묘지명은 그 스스로 의미 있는 역사이며, 동시에 후대 묘지명의 前史로서도 의의를 갖는다. 무신집권기와 고려후기의 묘지명은 고려전기의 시도와 성과가 계승 그리고 극복·지양되는 과정이 있고서야 나올 수 있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memorial inscription in the first term of Koryo by analyzing descriptive methods, features, and the periodical transition of epitaphs. The memorial inscription in the first term of Koryo does not demonstrate the people themselves, as the next generation of inscription does. Surprisingly enough, Ji-Jae-Go(知制誥)`s epitaphs nearly occupy forty percent of all inscriptions. The truth is that these distinctive circumstance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inscription on a monument of Buddhist priests. On the other hand, it also seemed that the first term of Koryo was not ready to produce professional letters in literary circles while it reflected the periodical aspects. Ji-Jae-Go`s epitaphs are evenly spread around the period of the first term of Koryo. Through these memorial inscriptions, we can witness the features and the state of society in that time. In the time of Yejong(睿宗), Han Chung(韓沖) demonstrated peculiar writing styles based on those protagonists of renowned lineages such as Choi Sa Choo(崔思諏) and Choi Gye Bang(崔繼芳). He also invigorated writers` consciousness making the most of appropriate syntax, which was equivalent to the well-noted as in upper class which was familiar to the noble, upper class in society. In the time of Injong(仁宗), Kim Jung(金精) exalted the royal mistress, Bok Nyong(福寧), as the shining example of womanhood and showed Heo Jae(許載) as a influential and decent bureaucratic shape. In the early time of Uijong(毅宗), Kim Ja Ui(金子儀) strategically utilized the classical canon on epitaphs for Kwon Jeok(權適) and Yun Eon yi(尹彦이). He also intentionally defended Confucius` achievements and established stereotypical examples of a noble man. In the middle and later years of Uijong(毅宗), Kim Woo Beon(金于蕃) welcomed a distinctive figure like Min Young(閔瑛) and characterized Choi Yun Ui(崔允儀) as a leading statesman and a trustworthy servant, which confirms the extension of epitaphs and his marked individuality. On the other hand, when it comes to writing style, They preferred concise and sophisticated Gomoon(古文). It seems that their Confucian ideology, recognition of Gomoon, learning of So Sik(蘇軾)`s epitaph and trend of Confucianism played remarkable roles in the shape of their personality. On these inscriptions, although there exist periodical differences, national position papers, Confucian ideology, and public morality are distinctively reflected. It can be seen that he was closely involved in political situations at that time. There is no denying that the portrayal of a man of worth on epitaph lacks vitality and figures are also somewhat idealized. It is a deniable limitation for him. Despite that, he contributed to boost Confucian literature and settle it down in a stable manner. Meanwhile, regardless of the restriction and limitation of epitaph locations, they demonstrated their literary achievements and traced situational recognition, subjective consciousness, hope, willingness, and future-oriented inclination. That`s why epitaphs of the first term of Koryo have been recognized as a distinctive style of prose in literature. The development of the epitaph in the first term of Koryo not only intentionally resorts to the power of the traditional inscriptions but simultaneously excludes it, welcoming it as its own and preparing for a different standard. Ji-Jae-Go`s inscription was the forerunner in terms of this. Epitaphs in the first term of Koryo are meaningful history themselves. The period of power in arms and memorial inscriptions of the second term of Koryo could have entered the stage by overcoming its boundary and taking over it.

      • KCI등재

        高麗前期 漢文散文 作品의 現存 狀況과 그 意味에 關한 硏究

        이종문(Lee, Jong-moon) 대동한문학회 2009 大東漢文學 Vol.30 No.-

        高麗前期에는 문헌 자료의 전승이 너무나도 엉성하여 연구의 직접적인 대상인 文學作品 이 대부분 湮沒되어버린 데다가, 남아있는 것마저 수많은 문헌에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어서 본격적인 연구에 일차적인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필자는 그간 고려전기 한문학 작품의 현존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노력해 왔으며, 이제 작가별 작품 목록을 완성하고 입력 작업을 서두르고 있다. 이 논문은 바로 이러한 과정에서 정리된 작품의 작가별, 장르별, 창작 시기별 현황과, 그와 같은 현황이 지닌 의미와 동인을 모색해본 것인데, 그 중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東人之文』이 崔致遠으로부터 고려 工烈王때까지의 詩文選集이라고 하나, 그 가운데 하나인 『同人之文四六』은 고려전기 작품이 압도적 다수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초래하게 된 중요한 원인 가운데 하나는 편찬자인 최해가 접할 수 있었던 자료적 상황에 있다고 생각되지만, 고려전기 작품수가 고려후기 작품수를 완전히 압도하게 된 원인까지를 자료적 상황만으로 설명하기는 대단히 어렵다. 말하자면 여기에는 정치적, 문화적 상황으로 인하여 고려후기 문학보다도 고려전기 문학이 훨씬 더 뛰어나다는 편찬자의 문학적 인식, 騈儷文 시대에서 古文 시대로 넘어가던 고려후기의 문학사적 推移, 고려후기에 야기된 騈儷文의 형식적 弛緩 등 여러 가지 이유가 도사리고 있으며, 『동인지문사륙』에 수록된 작품의 시대적 하한선이 편찬자 자신이 명시한 것보다 무려 50년이나 앞서고 있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동인지문사륙』에는 13개 장르에 걸쳐 347편의 고려전기 산문이 수록되어 있으며, 『동인지문사륙』에 수록되지 않고 『東門選』에는 수록되어 있는 고려전기 산문은 14개 장르 53편에 불과하다. 이것은 결국 『동문선』에 수록된 작품의 거의 대부분이 『동문선』이 편찬되기 오래 전에 편찬되었던 『동인지문사륙』에 이미 수록되어 있었음을 뜻한다. 더구나 『동문선』에 수록된 작품들 가운데 많은 부분이 『동인지문사륙』에서 옮겨온 것이 분명하다. 이렇게 볼 때, 『東人之文四六』의 진정한 가치는 학계에서 흔히 말하는 것처럼 이 책에 『東門選』에 수록되지 않은 작품이 적지 않게 수록되어 있다는 데 있는 것이 아니다. 요컨대 그것은 『東門選』에 수록되지 않은 작품을 포함하여 이 책이 아니었다면 전해지기 어려웠을 작품 , 즉 『同人之文四六』에 수록된 작품 전체와 작품에 대한 다양한 주석까지를 후대에 고스란히 전한 데 있다고 해야할 것이다. 고려전기의 묘지명으로 현존하고 있는 것은 모두 113편인데, 그 가운데 애초부터 작가의 이름을 명시하지 않고 있는 작품이 절반을 넘는다. 그리고 이름이 알려진 작가 44명 가운데 거의 절반이 『고려사』에 등장하지 않는 인물이며, 44명 가운데 34명은 묘지명을 제외한 다른 작품이 전혀 전하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초래한 것은 묘지명이 무덤 속에 묻히는 글이므로 독자가 극히 제한적이고, 사실을 사실대로, 기록하는 실용문이므로 구태여 저명 문인의 글이 필요하지 않다고 인식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작가도 역시 본격적인 문학 작품을 창작한다는 인식이 다른 장르에 비해 희박한 경우가 많았을 터다. 한편 36편이 전해지고 있는 高僧들의 碑銘은 비석의 마멸로 인하여 작자를 알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작자 미상 작품이 거의 없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대부분 국왕의 명령을 받은 당대 최고의 문인들이 지은 데서 오는 당연한 결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름이 알려진 작가 19명 가운데 3명은 다른 문헌에 전혀 등장하지 않는 인물로 파악되며, 19명 가운데 9명은 고승의 비명을 제외한 다른 작품이 전혀 전하지 않고 있다. 이것은 고려전기 문헌전승 상황이 얼마나 엉성한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으며, 건국초기 10편의 비명을 도맡아 지었던 저명 문인인 崔彦撝, 4편의 비명을 지은 金廷彦의 여타 작품이 전혀 없다는 것은 특히 그러하다. The Chino-korean literature of the early Goryeo dynasty has been grossly neglected by the academic world, and the early Goryeo era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has been carelessly laid aside. Considerable time has elapsed since researches on Chino-Korean literature became an important matter of interest in the academic world, and accordingly, many research outcomes have been accumulated, but the researches on the Chino-Korean literature of the early Goryeo era are scant, and with good reason. The literature data of the early Goryeo era have been so carelessly handed down that most of the literary works from which researches should be done have disappeared, and the remaining literary works are scattered in numerous literature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conduct full-scale reserches on them. Under these circumstances, efforts have been made to grasp the literary works of the early Goryeo era that exist to this day, but those efforts have had fundamental limitations in that they have been partial, that is, focusing only on particular genres and domains. Accordingly, although the need to organize the existing data has been acutely felt, no researchers have grasped the overall status of the data related to the Chino-Korean literature in the early Goryeo era. As such, what is urgently required at this time is not to work only on particular genres and literatures but to identify the overall status of the Chino-Korean literary works of the early Goryeo era that exist to this day through extensive data investigation on diverse literatures. The data thus collected should, of course, be compiled into an anthology to e tentatively entitled "The Collection of the Posthumous Works of the Literary Men in the Early Goryeo Era." This researcher has been exerting efforts to accurately grasp the current status of the Chino-Korean literary works of he early Goryeo era. He has completed the catalogue of literary works by author and has been preparing for input work. This study is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literary works of prose of the early Goryeo era by author, by genre, and by the time of creative writing, and explores the meaning of their current status and motives.

      • KCI등재

        고려전기 분묘 출토 도자의 편년과 변화 양상

        남진주(Nam jin-ju) 한국중세고고학회 2017 한국중세고고학 Vol.- No.2

        이 글은 고려전기 분묘 출토 도자를 중심으로 고려전기 도자의 편년과 양상의 변화상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은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등 41개 유적의 분묘 166기에서 출토된 청자와 백자 등 자기 274점, 도기 118점이다. 분묘의 형태는 석실묘 2기, 석곽묘 126기, 토광묘 38기로 석곽묘가 80% 정도를 차지하나 석곽묘는 충청권에 집중되는 등 지역적인 편차가 존재한다. 유물은 기종과 특징에 따라 형식 분류를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순서배열법을 적용하여 편년과 특징을 좀 더 구체화 하였다. 그 결과 고려전기 분묘 출토 도자는 두 시기로 구분되었다. 먼저 1기는 고려 건국에서 전축요가 소멸되는 11세기 초로 편년하였고, 석실을 비롯한 석곽묘와 토광묘 등 다양한 형태의 묘제가 공존한다. 1기 분묘 출토 유물은 선해무리굽완과 과도기식 해무리굽완을 포함한 전축요 단계에서 제작된 접시, 잔, 유병 등 한정적이고 제한된 형태의 초보적인 청자류가 중심이 된다. 도기는 통일신라시대 토기와 금속기의 영향을 받은 병과 발 등 비교적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즉 1기의 도자는 통일신라시대 영향을 받은 도기와 중국 월주요의 영향으로 제작되기 시작한 자기가 완전한 기능 분화가 되지 않은 채 서로 공존하였고, 비교적 많은 양의 중국 청자류가 수입되어 사용되었다. 2기는 11세기 전반에서 후반까지로 한국식 해무리굽완과 변형 해무리굽완을 중심으로 좀 더 다양한 형태의 완, 접시, 잔이 제작되었고, 잔탁이나 주자 등 茶具의 생산량도 증가한다. 반면 도기류는 병과 같이 단순한 기종에 제한된다. 이것으로 보아 2기는 도기와 자기의 기능분화가 어느 정도 정립되었고, 자기의 생산량이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문양이 시문되는 예가 증가하는데 예를 들면 상단에 음각의 반원문을 돌린 후 하단을 깎은 연판문과 단순한 형태의 당초문이나 연판문이 음각되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는 제도의 정비, 수공업의 안정과 함께 다양한 도자의 소비층이 형성된 것에서 기인하였으며, 차문화의 확대 또한 다구의 소비를 촉진시키며 청자 생산의 원동력을 제공하였다. 국산 도자의 생산 증가는 자연스럽게 중국 도자의 수입을 줄어들게 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고려전기 분묘 출토 도자를 통해 고려전기 도자의 변화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trend of the ceramic in the early Goryeo based on the ceramics excavated from the tombs of the early Goryeo Dynasty. The subjects are 274 pieces of porcelain and 118 pieces of pottery such as celadon and white porcelain excavated from the 166th tomb of 41 ruins in Gyeongi-do, Chungcheong-do, Jeolla-do and Gyeongsang-do. There are 2 stone chamber tombs, 126 stone outer coffin tombs, 126 pit tombs. The stone outer coffin tombs showed the local standard deviation, accounting for approx. 80% in Chungcheong area. The artifacts were classified by type and feature, based on which, the sequence revealed by seriation method was applied more specifically to chronological forms and features. As a result, it was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first period is chronologically estimated between the foundation of Goryeo and the early 11th century, and various types of tombs coexist, including a stone outer coffin tomb and pit tomb along with the stone chamber.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tombs in the first period are limited to a certain type of basic celadons such as plate, cup, and Yu-byeong(oil bottle), all of which were produced at the stage of brick-built kiln including the pre Haemuri-gup and transitional Haemuri-gup. Pottery shows a variety of forms such as bottle and feet affected by the earthenware and metalware of the Unified Shilla era. In other words, the porcelain of the first period coexisted with the pottery influenced by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porcelain by Yuezhouyao in China, not fully divided. Also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Chinese celadon were imported and used in such period. In the second period from the early 11th century to late Goryeo, a more variety of ceramics such as bowl, plate and cup were produced in form of Korean style Haemuri-gup and modified Haemuri-gup while the production of tea utensil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pottery is limited to a simple model like bottle. Referring to this trend, during the second period it is found that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pottery and porcelain was established to some extent and the production of porcelain increased. In addition, various patterns increasingly were engraved on the porcelain, e.g., the semicircle pattern engraved on the upper part, and lotus carved on the bottom, simple form of vine pattern or engraved lotus petal pattern. These changes stemmed from establishment of the new manufacturing system and a broad range of consumers, promoting the expansion of the tea culture as well as the consumption of tea utensils, and providing the driving force for celadon production. The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domestic ceramics has naturally reduced the import of Chinese ceramics. It was an opportunity to observe the changes of ceramics in the early Goryeo through the ceramics excavated from the tombs of the early Goryeo.

      • KCI등재

        고려전기(高麗前期)의 북방인식(北方認識) -발해ㆍ거란ㆍ여진 인식 비교-

        李孝珩 부경역사연구소 2006 지역과 역사 Vol.- No.19

        本文欲考察高麗在其前期對北方的認識。具體內容是高麗國的渤海、契丹、女眞觀的比較。只是沒有更深入地論述了各時期高麗內部政治勢力的變化和對外政策上的變化。其中的原因, 一方面是因爲筆者的能力有限, 另一方面是論文的敍述範圍比 較廣。本文沒能全面比較了各時期高麗的北方認識, 現把論文的內容整理如下; 第一, 高麗的渤海觀。有人認爲渤海在高麗初期只不過是與高麗接境的鄰國。但是依據高麗與渤海是“婚姻、親戚之國”等言詞和高麗包容渤海遺民的態度來看, 高麗對渤海具有相當的認同感(同質感)。由此可以認爲, 高麗在太祖時期對渤海具有較强的同族意識。只是更多的利用高麗當時的用語―同類意識表現了上述的同族意識。同時, 崔承老也高度評價太祖的政策, 因此可以認爲這時期的渤海觀也類似于太祖時期對渤海及其遺民的認識。渤海遺民建立的興遼國多達5次救援于高麗, 但高麗都沒支援。筆者認爲, 這幷不能說明二者之間的同類意識已消失, 而是高麗以實利爲重的外交政策之産物。到了12世紀高麗在渤海及其遺民的認識上, 與前時期相比有所變化。『三國史記』沒有把渤海史認爲是韓國史, 但是幾乎與金富軾同時代的尹彦頤則把渤海認爲是韓國史的一部分, 兩者在認識上明顯不同。 第二, 高麗的契丹觀。高麗的契丹觀與渤海不同, 視之爲異類, 具有異類意識。契丹與高麗不僅民族不, 而且風俗、語言、文化等方面多有差異。特別是高麗建國以後不斷地推行了北進政策, 不可避免地引起兩國的衝突, 結果導致了戰爭。兩國間的外交與宋朝密切相關, 但是値得注意的是;影響高麗的契丹觀中, 渤海的因素是極大的。高麗對契丹的外交政策中擧論渤海是有其深計遠策的內在目的, 但是首要的原因是出于高麗和渤海的同質性。高麗對契丹的認識比女眞更爲敵對, 認爲契丹是“人面獸心”、“禽獸之國”, 高麗的這種認識是和當時東亞細亞國際形勢有着密切的聯係。 第三, 高麗的女眞觀。高麗對女眞的認識與契丹一樣, 歸爲異類意識。高麗建國以來, 女眞不斷侵掠其北邊, 而高麗的的政策是懷柔和强硬幷施。初期女眞奉高麗爲上國, 但是建立金國後, 二者的關係發生了逆轉變化。高麗對女眞的認識也和契丹一樣, 持有否定的認識, 甚至認爲是夷狄中最貪醜。盡管如此, 高麗對女眞的認識需要今後更深入的硏究。因爲有史記載; 函普出身爲高麗(新羅)系、“父母之邦”、“女眞渤海本同一家”等等, 這些問題有待于探討。

      • 高麗前期 石造觀音菩薩像 圖像硏究

        曺宰榮 위덕대학교 박물관 2005 佛敎考古學 Vol.- No.5

        관음보살은 자비의 화신으로 삼국시대 이래 조각이나 회화의 소재로 널리 애용되었으며 고려시대에도 아미타불과 함께 모든 계층에게 열렬한 신앙의 대상이었다. 관음보살상은 보관에 아미타불의 화불이 새겨져 있고 손에는 연화나 정병을 지물로 삼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 논문은 여러 가지 도상으로 형상화된 관음보살상 가운데 고려 전기에 집중적으로 제작되었던 연꽃을 들고 있는 관음보살상에 대한 것이다. 먼저 통일신라시대 연꽃을 든 보살상의 도상을 분석하여 고려 전기 관음보살상 도상의 연원을 추론하였고 지금까지 미륵보살로 전칭되어왔던 관촉사·대조사보살상들의 존명문제를 다시 한 번 검토한 후 고려 전기에 제작된 연꽃을 들고 있는 보살상들이 관음보살상임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고려 후기의 불화가운데 수월관음도에서 연꽃을 들고 있는 관음보살상은 고려 전기 관음보살장의 도상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결국 고려 전기에 제작된 연꽃가지를 든 보살상은 모두 관음보살상으로 보아도 좋을 것이며 이러한 도상은 신라 중대 이후 양식적 혼란기를 거쳐 오면서 고려전기에 새롭게 정립된 관음보살상의 도상이라 생각된다. Avalokitesvara had been used as a subject of sculptures and paintings since Three Kingdom Peoriod, and was believed in eagerly by people of every class. Avalokitesvara has Amitabha in the crown and holds lotus and vase as a symbol in hand. This study is about statues of Avalokitesvara, which have lotus and were made in Early Koryo Dynasty, among the statues of Avalokitesvara embodied in various icons. First of all, the origin of the statues of Avalokitesvara was suggested, on the base of analysis of icons of Bodhisattva, which hold lotus, of Unified Silla period. And the granite standings of Gwanchoksa and Daejosa known as Maitreya were researched and found that those standings were Avalokitesvara with lotus in the hands, made in Early Koryo Daysnasty. Avalokitesvara with lotus in Water-moon Avalokitesvara of late Koryo Dynaty is important material to understand icon of Avalokitesvara of early Koryo Dynasty. It suggest that all statues of bodhisattva which hold lotus and were made in early Koryo Dynasty are Avalokitesvara and these icons of Avalokitesvara had been set through transitional period in style since Unified Shilla.

      • KCI등재

        『元史』 高麗傳의 史源

        정동훈(Jung, Donghun)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97 No.-

        『원사(元史)』 고려전(高麗傳)은 1216년 몽골과 고려의 첫 만남부터 1322년 전후의 이른바 심왕 옹립 운동까지를 다루고 있다. 편년 기사는 세조 쿠빌라이의 재위 기간에 대해 대부분의 지면을 할애하였는데, 그 가운데서도 1278년까지가 상세하다. 이는 『원사』 고려전이 1331년 완성된 『경세대전(經世大典)』 정전(政典) 정벌류(征伐類)의 고려문(高麗門)을 토대로 작성되었고, 다시 그 자료는 1276년에 황제가 편찬을 명령한 『제국신복전기(諸國臣服傳記)』의 고려 부분을 주로 참고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 『경세대전』의 고려문을 토대로 20세기 초에 간행된 『원고려기사(元高麗紀事)』의 내용을 『원사』 고려전의 편년 기사를 대조해본 결과, 『원사』 고려전의 1276년 이전 기사는 99% 이상 『경세대전』 고려문의 내용을 생략하거나 요약하는 정도로 작성되었음을 확인했다. 1277년 이후 기사의 사원(史源)은 둘로 나뉘는데, 하나는 전과 마찬가지로 『경세대전』의 고려문이고, 다른 하나는 『세조실록』과 『성종실록』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원고려기사』에는 실려 있는 내용은 『원사』 본기에 보이지 않고, 『원고려기사』에서 확인되지 않는 정보는 『원사』 본기의 그것과 일치한다는 점이 이 추측의 타당성을 높인다. 몽골 제국은 여러 종족, 국가, 정치체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자신의 판도 내에 포함되었는지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이를 밝히기 위해 여러 차례 역사서를 편찬했는데, 『제국신복전기』 역시 그 일환이었다. 이 과정에서 몽골 조정은 여러 차례 고려에 양국 관계의 역사를 정리해서 제출할 것을 요구하였다. 고려 측도 이 요구에 응하여, 자신이 몽골 황실과 오랜 인연을 맺어왔으며 양국 관계는 항상 우호적이었다고 적극적으로 선전하였다. 명 건국 직후 『원사』를 편찬할 때, 명의 사관(史館)에서는 고려 측에 관련 기록을 보내달라고 하지 않았다. 그러나 고려의 주장이 반영되어 만들어진 원 대에 기록물들이 명 초 사관(史官)들의 손에 입수되었고, 그 덕택에 『원사』 고려전은 양국 관계를 갈등과 대립이 아닌 우호와 협력의 서사 구도로 묘사하였다. The Goryeo Section of the History of Yuan is an official history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ngol Empire and Goryeo. However, the time range covered here is only from 1216 to 1322. This is because this part was written based on the Goryeo section of the Administrative Codes for Ruling the World (Jingshi Dadian, 經世大典), which was completed in 1331. The Goryeo part of the Biography of Many Countries’ Surrendering (Zhugou Chenfu Chuanji, 諸國臣服傳記) compiled shortly after 1276 is the main historical source for this section. More than 99% of the contents of the articles covering the period before 1276 in the Goryeo Section were written by omitting or summarizing the Dadian, while the contents covering the period after that were based on the Annals (Shilu, 實錄) of the Yuan Dynasty. The Mongol Empire paid much attention to the ways various tribes, countries, and polities surrendered to them. Therefore, the Mongol government demanded the Goryeo court to submit a summary of the history of their relations. Using this opportunity, Goryeo actively advertised his loyalty to imperial family. Immediately after the founding of the Ming Dynasty, historians were able to refer to the records made by accepting Goryeo s arguments. Thanks to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described not as conflictual and confrontational, but as friendly and cooperaitve in the Goryeo Section.

      • KCI등재

        『고려사절요』卒記의 기재방식과 성격

        김난옥 고려사학회 2012 한국사학보 Vol.- No.48

        The description methods used in obituaries (jalgi) during the Goryeo era generally consisted of a mention of government office and peerage followed by praise or censure of tbe deceased. However. while 30% of obituaries consisted of simple descriptions of the office and peerage of the deceased 20% involved lengthy obituaries that included the office and peerage. praise and censure. family pedigree, background, related episodes, and follow up measures. The individuals found in the obituaries (jolgi) were mainly high ranking ministers. 85% of the obituaries involved officials of 2 pum or higher. Over 50% were officials from the Jungseo Munhaseong (Chancellery for State Affairs). By the time late Goryeo rolled around, the number of cases that included descriptions of the status of the deceased based on investitures rather than official titles had increased. 93% of obituaries appeared in both the <Goryeosa (高麗史, History of Goryeo)> and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Moreover, there were only a few cases in which, although an obituary was prepared, such information was not also reproduced in the sega (世家, noble family history) of the deceased. The majority of the sega included only the offices and peerage of the deceased. However, the obituaries found in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included biographical information and episodes pertaining to the person, such as the family pedigree and background, and therefore exhibited a wider range of information about the deceased than the sega.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role played by biographies (yeoljeon) in the <Goryeosa (高麗史, History of Goryeo)> was in many ways replicated by the obituaries (jolgi) in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oryeo History)>. A look at the compilation process of the <Goryeo Guksa (高麗國史, History of the Garyeo State)>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 obituaries (joigi) found in the <Goryeosa Jeolyo (高麗史節要, Essentials of Garyeo History)> were more in keeping with the original form of the <Goryeo Sillok (高麗實錄, Annals of Garyeo Dynasty)> than the biographies (yeoljeon) fOood in the <Goryeosa (高麗史, History of Garyeo)>. While access to various materials from not only the <Goryeo Sillok (高麗實錄, Annals of Garyeo Dynasty)> but also the epitaphs and works of the deceased ensured a quantitative increase in biographies (yeoljeon), there remained some leeway to include contradictory contents from the original records or to embellish the original contents. Furthermore, the omission of the biographies of Confucian scholarship (yurimjeon) from the biographies (yeoljeon) found in the <Goryeosa (高麗史, History of Garyeo)>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obituaries (jolgi) found in the (Goryeo Sillok (高麗實錄, Annals of Goryeo Dynasty)> mostly involved high ranking officials. To this end, it was difficult to include Confucian scholars, which maintained a certain dislance from the government bureaucracy, in the biographies (yeolieon) found in the (Goryeosa (高麗史, History of Goryeo)>.

      • KCI등재

        고려와 조선전기 중풍의 사회사

        이경록(Lee Kyung-lock)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3 泰東古典硏究 Vol.30 No.-

        이 글에서는 고려와 조선전기 중풍 관념의 전개 과정과 그 영향을 살펴보 았다. 고려전기에 문종을 비롯한 지배층은 중풍을 치료받았으며, 신집어의촬 요방에서는 중풍 처방을 수록하였다.하지만 중풍 지식이 대중화되는 것은 고려후기에 들어서였다. 향약구급방 에는 일반 백성들의 중풍을 치료하는 처방 9가지가 들어 있다. 여말선초의 향약의서들에서는 민간의 경험방들이 쏟아졌다. 질병으로부터 자유롭고자 하는 욕망의 소산였다. 고려 이래로 중풍이론이 심화되면서 중풍의 증상, 처방, 약재는 점차 확대 되었다. 그 결과 조선전기에 중풍은 가장 중요한 질병이자 일상적인 질병으로 정착되었다. 하지만 보편적인 질병이 된 중풍의 치료는 지배층들에 의해 주도 되었다. 중풍의 보편화가 중풍의 권력화를 가져오기도 한 것이다. 이처럼 중풍의 확대 과정에서 고려와 조선 사회의 의료화를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article, I explored the history and the influence of the stroke during the Goryeo(高麗) and the early days of the Joseon(朝鮮). In the early days of the Goryeo, the ruling class including the king Munjong (文宗) accepted the stroke concept of the Chinese medicine. The stroke of the king Munjong was treated by the Chinese traditional doctors. And the Sinjibeouichwaryobang(新集御醫撮要方), published in 1226, included quite a little prescriptions of the stroke. However, knowledge of the stroke was popularized until the the later days of the Goryeo. The Hyangyakgugeupbang(鄕藥救急方), which was edited for the people, included 9 kinds of the stroke prescription. And so many private prescriptions of the people were poured during the end of the Goryeo and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It was the result of a desire to free from the stroke. As the stroke theory was intensified since the Goryeo, the symptoms, the prescriptions, and medicine had been expanded gradually.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the stroke became the most important disease and the popular disease. However, the treatment of the stroke was led by the ruling class. It means that treatment of the stroke was useful for the maintenance of power. Therefore, based on the history of the stroke we make certain of the medicalization of the Goryeo and the Joseon society.

      • KCI등재후보

        고려 전기 분묘 출토 청동용기의 등장과 전개

        허선영(Hur Sun-young) 한국중세고고학회 2019 한국중세고고학 Vol.- No.5

        이번 연구는 고려전기에 해당하는 분묘에서 출토되는 청동용기의 종류와 세부편년을 설정하고 그 변화의 의미와 고려전기 분묘의 유물 부장양상을 통해 청동용기의 사용계층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진행결과, 고려시대 전기 분묘에서 출토된 청동용기의 기종은 대부발, 발, 접시, 완등으로 일상생활기명을 중심으로 제작되었다. 동반유물은 도기와 자기가 대부분이며 이외 청동숟가락과 장신구인 가랑비녀, 과대 등이 확인되었다. 이 과정에서 진안 수천리 5호에서는 기존에 완으로 분류되던 유물이 불교용구 중 하나인 경자일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청동용기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기종과 형식의 분류를 진행하였고 이후, 함께 동반되는 유물과의 비교를 통해 시기구분과 편년을 설정하였는데, 1기는 918년~11세기 초로, 청동용기는 통일신라시대의 영향을 받은 기형이 주로 출토되었고 동반유물 중 가장 많은 수량으로 확인된 도기는 4면편명이 다수이고 그 외 편구병, 주름무늬병도 확인되었다. 청동숟가락은 부여 부소산과 황해도 평산에서 출토된 숟가락과 유사성을 보였다. 2기는 11세기 초~11세기 후반으로 편년되며 청동용기는 리벳을 이용한 그릇의 제작이 두드러지고 1기에 비해 다양한 기종과 기형이 등장하게 된다. 동반되는 유물은 청자와 숟가락이 다수를 구성하는데 특히, 청자는 내저원각식 해무리굽과 광구병을 중심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 양상을 통해 1기는 고려라는 새로운 왕조가 성립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그릇과 관련된 문화는 여전히 통일신라시대의 영향이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실질적’ 청동용기의 상한 연대를 통일신라 말기인 9세기 말에서 고려가 건국되는 10세기로 편년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11세기를 기점으로 고려왕조의 새로운 문화가 만들어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청동용기의 변화는 수공업의 발전을 의미하는데 그 변화의 배경은 국내의 제도 정비, 특히 장야서 등의 설치와 큰 관련이 있으며, 또한, 금속공예가 발달하였던 요와의 교류가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몇몇 사료를 통해 고려 전기에 동기가 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고려전기에 나타나는 청동용기의 매납 현황과 분포양상, 제작의 연건 등을 살펴보았을 때 청동용기는 일부 계층이 향유하던 물품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kinds and chronology of bronze container unearthed in tombs during early Goryeo Dynasty and clarify user classes of bronze container by examining the meaning of a change and burial of remains in tombs. This study found that most bronze container unearthed in tombs during early Goryeo Dynasty are household containers such as Daebubal, Bal, plate and Wan. Accompanied remains are mostly earthenware and porcelain and include bronze spoon and Garangbinyeo which is accessories and Gwadae. Remains which were classified as Wan unearthed in No. 5 Sucheonri, Jinan are likely to be Gyeongja, one of Buddhist utensils. Meanwhile, this study classified types and form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bronze container and set term and chronology by comparing accompanied remains. First term ranges from 918 to early 11<SUP>th</SUP> century. When it comes to first term, bronze containers affected by unified Silla were mostly unearthed and earthenware which account for greatest part of accompanied remains was Samyeonpyeonmyeong followed by Pyeongubyeong and Jureummunibyeong. Bronze spoon unearthed in tombs during early Goryeo Dynasty are similar to that unearthed in Busosan, Buyeo and Pyeongsan, Hwanghaedo. Second term ranges from early 11th century to late 11<SUP>th</SUP> century. As far as bronze container is concerned, bronze container using rivet is remarkable and compared with first term, more various kinds and forms appear. Celadon and spoon account for a great part of accompanied remains and especially for celadon Naejeowongaksikhaemurigup and Gwangkubyeong dominate. When it comes to first term, even though new dynasty called Goryeo was established, container related culture is stilled under influence of unified Silla. This means that upper limit period of ‘actual’ bronze container can be estimated at the end of 9<SUP>th</SUP> century, the last period of unified Shilla through 10<SUP>th</SUP> century when Goryeo Dynasty was founded and new culture of Goryeo Dynasty began to be established from 11<SUP>th</SUP> century. Such change in bronze container means development in handcraft manufacturing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improvement in domestic system especially installation of Jangyaseo and so on and cultural exchange with Liao Dynasty that metal work developed.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some studies suggest that copper container was mostly used during early Goryeo Dynasty but it seems that bronze containers were used by some classes considering burial status, distribution and production condition of bronze container.

      • KCI등재

        고려 후기 숟가락의 변화

        정의도(Jung Euido) 한국중세고고학회 2017 한국중세고고학 Vol.- No.1

        고려 전기 북방에서 전래되어 11세기경부터 무덤에 부장되기 시작한 숟가락은 전반적으로 0.2㎝ 내외의 두께로 제작되었으나 고려 후기 들어 전반적으로 두꺼워지며 특히 술자루의 두께는 0.4㎝ 이상으로 제작되며 0.7㎝를 상회하는 것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고려 후기 숟가락의 변화는 단순히 고려가 원 간섭기에 원의 영향으로 빚어진 결과로 보기는 어렵다. 숟가락을 부장하는 전통은 왕의 무덤이나 관료의 무덤에서도 출토되고 있고 성리학이 전래되어 새로운 장례풍습이 나타나는 고려 후기 사회에도 변함없이 이어진다. 고려 후기 들어 오히려 숟가락의 부장되는 예가 증가하는 것은 설렁탕이나 곰탕과 같은 국을 위주로 하는 식단의 발전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고 하여도 숟가락 자루 두께의 변화는 음식의 변화와 같이 하는 것으로 볼 수는 없고 오히려 연봉형 숟가락의 등장과 함께 고려식 숟가락이 완성되어 가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지금까지 숟가락의 변화가 음식의 변화와 수반되어 이루어진다는 관점은 고려 후기 들어보이는 음식물의 변화를 숟가락의 변화와 관련지어 설명하기 어렵고 또한 고려 후기의 음식이 거의 그대로 이어지는 조선전기에 들어서서 일어나는 숟가락의 변화를 음식의 변화와 관련지어 설명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재고를 요한다고 하겠다. 아울러 고려 후기 사회에 대부분의 계층에서 광범위하게 수용되었던 전기 이래의 장례습속이 고려 후기 들어 일부 계층에서 그 습속이 변화하고 있는 것이 감지되었으나 이것이 고려사회의 전반적인 변화로 이어지지는 못하였고 분묘에 숟가락과 생활 도구를 부장하는 행위는 조선시대로 이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Introduced from the Northern area in the early Goryeo in 11th century, the spoon which was 0.2㎝ in its thick had been buried in the tombs. The spoon had become thicker than before during late Goryeo period with particularly the head part of more than 0.4㎝ up to 0.7㎝. This kind of change has not been reached to the conclusion of Won’s influence. The tradition of burying th spoon can usually be found from the royal tombs as much as bureaucrat’s and it had not been changed until the late Goryeo society when Neo-confucianism had commenced. To a certain extent, the increase of burying spoon can be the clue for the novel introduction of the meals such as several types of soups. Even though, it is highly unrelated to the fact of thickened spoon head and so the emerging of lotus-peak type spoon can be the completion of Goryeo-type spoon. Even so far, it cannot be concluded that the change of the meal types during late Goryeo are influential to the changes of the spoons. Also the meals of late Goryeo seemed to be continued until early Joseon which could not find the clear evidence of transition of the spoon types. In the mean time, most classes in the society held similar funeral traditions in the early Goryeo period which had been changed afterwards within few classes in the late Goryeo society. However, this kind of changes of funeral customs could not affect overall Goryeo community which had been resulted burying tradition of spoons and life commodities in the Jose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