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맞벌이 확대기 부부의 가족관계만족도 변화와 심리적 관련 요인의 영향

        민진아 한국가족관계학회 2024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9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맞벌이 확대기 부부의 가족관계만족도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심리적 관련 요인의 가족관계만족도 변화에 대한 영향력과 부부 공통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의 10차(2015년)부터 16차(2021년)까지 7년간 조사된 자료 중 맞벌이 확대기부부(부부 252쌍)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아내·남편의 가족관계만족도의 변화(초기치와 변화율)에 있어서 개인 차이를 분석하고, 심리적(자아존중감, 우울) 요인이 가족관계만족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해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족관계만족도의 전반적인 변화양상은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선형변화모델의 유의미성을 통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아내·남편의 가족관계만족도 변화율의 분산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족관계만족도 증가 정도는 개인 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아내·남편 가족관계만족도는 초기값의 수준에 따라 변화 정도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의 자아존중감은 아내·남편 가족관계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부간 차이를 보였다. 반면, 배우자의 자아존중감은 아내·남편의 가족관계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개인의 우울은 아내·남편 가족관계만족도 초기값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편의 우울은 아내의 초기 가족관계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 정책의 방향이 ‘가족과 개인의 삶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전환됨에 따라 정책 마련 시 맞벌이 확대기 가족뿐 아니라 아내·남편에 따른 가족관계만족도 수준과 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아내·남편 가족관계만족도의 공통요인인 남편의 우울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직장 환경 자원인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등을 활용하여 부부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개입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couples in the expanded workforce, and examined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factors on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common factors of couples. Method: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10th (2015) to 16th (2021) waves of the Korea Welfare Panel, which were collected over a seven-year period. The latent growth model was used to analyze individual differences in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initial value and change rate) of wives and husbands, and to test whether psychological (self-esteem, depression) factors affect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Results: First, the overall change pattern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 but it was confirmed to increase continuously through the significance of the linear change model, and the variance of the change rate of wife-husb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firming that the degree of increase i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varies between individuals. Second, the degree of change in wife-husb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initial value. Third, individual self-esteem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wife-husb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bu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couples. On the other hand, spousal self-esteem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wife-husb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Fourth, individual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wife-husb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husband's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ife's initial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Conclusions: As the direction of policy has shifted to 'supporting families and individual liv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level and change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not only for working families but also for wives and husbands when preparing polic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husband's depression, which is a common factor in wife-husb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establish intervention strategies to increase the self-esteem and depression levels of couples by utilizing workplace resources such as EAPs.

      • KCI등재

        가족 구성원의 의사소통 능력, 내외 통제성, 충동성, 낙관성이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주리(Julie Han),허경호(Gyeong-Ho Hur)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8 No.-

        이 연구는 최근 이혼이나 청소년 가출 등 가족해체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행복한 가정생활의 지표라 볼 수 있는 가족관계 만족도를 언론학적 시각으로 접근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부모와 자녀의 의사소통 능력 및 내외 통제성, 충동성, 낙관성과 같은 성격변인이 가족관계 만족도와 갖는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이들 중 어떤 변인이 가족관계 만족도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지를 고찰해 보고 이를 통해 가족관계 만족도를 설명해 보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가족 성원들 간의 대화시간 등 가족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통제 변인들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의사소통 능력, 내적 통제성, 낙관성이 높을수록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충동성이 높을수록 가족관계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어떠한 변인이 가족관계 만족도와 가장 깊은 관련성을 갖는지 살펴본 결과 자녀의 경우는 본인의 의사소통 능력 및 충동성, 아버지와의 대화시간, 부모의 충동성 순으로, 아버지의 경우는 본인의 의사소통 능력, 아내의 충동성 및 낙관성, 자녀와의 대화시간 순으로, 어머니의 경우는 본인의사소통 능력 및 교육 수준 순으로 본인의 가족관계 만족도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하여 기족관계 만족도를 설명하는 데 있어 성격뿐만 아니라 의사소통 능력 및 대화시간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explain how family member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ersonality such as locus of control, impulsivity, and optimism influenced their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addition, we examined which variables among these would predict highly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by conducting the regression analyses. We also included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of offsprings, age and education level, and conversation time among family members as the control variables thar may have influenced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nalness, and optimism were, the higher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whereas the higher the impulsivity was the lower the relationship was. For offspring, her/his ow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mpulsivity, the conversation time with her/his father, and the impulsivity of the parents in order were the best predictors of the their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For father, his own communication competence, wife's impulsivity and optimism, and the conversation time with his offsprings in order predicted his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For mother, her ow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ducation level were the strongest predictors of her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results clearly demonstrated that the family member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onversation time among themselves as well as their personality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the their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Lastly,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가족관계 친밀성이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 : 봉사활동 만족도의 매개효과와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허영주 ( Hur Young-j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KCYPS) 중1에서 고3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여 가족관계의 친밀성이 봉사활동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영향 관계가 남녀학생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통계적 방법으로 잠재성장모형과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관계의 친밀성, 봉사활동 만족도, 공동체의식은 학년이 올라가면서 선형적으로 증가하며, 초기치와 변화율에 개인차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남녀학생을 구분하지 않았을 경우, 봉사활동 만족도 초기값과 변화율은 각각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가족관계 친밀성 초기값은 봉사활동 만족도의 변화율이나 공동체의식의 변화율에 직ㆍ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남녀학생을 구분하여 모형을 검증한 결과, 중학교 1학년 남학생의 경우는 부분매개모형이고 중학교 1학년 여학생은 완전매개모형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1 이후부터 고3까지 남녀학생 모두 봉사활동 만족도 변화율이 가족관계 친밀성의 변화율과 공동체의식의 변화율을 매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중1 남학생의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해서는 가족관계 친밀성과 봉사활동 만족도를 모두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여학생의 경우에는 가족관계 친밀성 향상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둘째, 중2부터 고3학년까지 매년 남학생은 가족관계 친밀성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여학생은 가족관계친밀성과 별도로 봉사활동 만족도도 함께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the mediating effects satisfaction with volunteer activities between family intimacy and sense of community of adolescents, and to test difference of this effect relation between gender. Longitudinal data set using six years data from 2010(1st) to 2015(6th) among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As a statistical method,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was emplo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three variables this study was to rise linearly as school year, and had personal differences in initial status and change rate. Second, if not distinguish between male and female, the initial status and change rate of satisfaction with volunteer activities was the partially mediated effect between two variables. But initial status of family intimacy was not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change rate of satisfaction with volunteer activities and change rate of sense of community. Third, if distinguish between male and female, boys of first-year grade in middle school has the partially mediated effect model and girls has the perfectly mediated effect model. Also, change rate of family intimacy and sense of community of both boys and girls from 1st grade in middle school to 3 grade high school were no mediated by change rate of satisfaction with volunteer activities. This study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o build sense of community of boys of first-year grade in middle school need to increase both family intimacy and satisfaction with volunteer activities. And to build sense of community of girls of first-year grade in middle school need to increase only family intimacy. Second, to build sense of community of boys from 1st grade in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3 grade need to increase family intimacy every year. To build sense of community of girls during this period need to increase not only family intimacy but also satisfaction with volunteer activities every year.

      • KCI등재

        가족관계만족도를 통해서 본 한국가족의 변화

        정기선(Ki-Seon Chung),김혜영(Hyeyoung Kim) 한국인구학회 2013 한국인구학 Vol.36 No.1

        이 연구는 통계청의 사회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991년부터 2008년 동안의 가족생활 전반에 관한 만족도와 유형별 가족관계만족도를 시점별로, 그리고 응답자의 성과 연령, 혼인지위에 따라 비교분석하고 있다. 그 결과, 시간흐름에 따른 가족생활 전반은 물론 부부 및 부모자녀관계, 그리고 형제ㆍ자매 및 배우자부모와의 관계만족도가 높아지는 시간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대체로 개인의 성별이나 연령, 미ㆍ기혼이나 이혼 및 사별 등 결혼지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가치 및 형태가 과거에 비해 유연해지고, 가족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견지한 개인들은 결혼관계의 회피 및 해체를 선택함으로써 한편에서는 가족형태 및 구성의 변동을 다른 한편에서는 가족관계의 질을 중시하는 가족문화가 확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가족생활 전반에 관한 만족도와 부부관계 및 배우자부모와의 관계만족도는 남성이 더욱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이러한 성별효과는 결혼지위 및 연령효과와 연동되어 다양한 양상으로 분화되고 있다. 하지만, 가족생활 전반에 관한 만족도와 유형별 가족관계만족도는 모든 시점에서 성별차이 없이 연령대가 높을수록 낮아지고 있음이 확인된다. Based on Statistics Korea’s periodical social surveys between 1991 and 2008, this study provides a comparative analysis on satisfaction of various family relationships depending on gender, age and marital status. As a result, satisfaction not only in overall family life, but also in relationships between married couples, parents-children, siblings, and parents-in-law tend to increase with time. This tendency remains the same despite differences in gender, age and marital status. It can be understood due to more flexibility of family value and family types as well as the individuals who have negative attitude toward family choose not to be married and rather to divorce if they have problems in keeping family. It implies that the family culture emphasizing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becomes more intensified. In addition, males find greater satisfaction in their overall family life and relationships with spouse or parents-in-law than females do. Such gender effect varies depending on experiences of family life events, such as divorce and bereavement, and age effects. Furthermor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including overall family life decreases with age regardless of gender differences.

      • KCI등재

        한국노인의 가족관계망과 삶의 만족도

        김영범(Young-Bum Kim),박준식(Joon-Shik Park) 한국노년학회 2004 한국노년학 Vol.24 No.1

        본 연구는 본 연구는 한국 노인들의 가족관계망 유형을 분석하고, 이것이 노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가족관계망을 관계망의 형태, 상호작용 빈도, 그리고 내용으로 구분한 후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서울 지역 거주 노인들의 인구학적ㆍ경제적 상황과 더불어 가족관계망의 특성에 대한 기술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K-평균집락분석을 통해 노인들의 가족관계망 유형을 분석하였다. 셋째, 가족관계망 유형에 따른 삶의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분산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2003년 한림대학교 소속 고령사회연구소는 한국 노인의 삶의 질을 조사하기 위해 서울 및 춘천 지역노인들 2529명에게 설문을 실시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 중 서울지역 거주 65세 이상 노인 760명으로 자료를 구성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의 가족관계망의 특성은 매우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즉 배우자와 자녀가 있는 경우도 있었지만 반대로 자녀 및 배우자가 없거나 또는 있어도 거의 접촉하지 않는 노인들 역시 다수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가족관계망 유형은 세 가지로 구분되었는데, 자녀와 긴밀한 관계를 보이는 자녀중심형 외에 자녀보다는 배우자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배우자중심형, 그리고 자녀/배우자 모두와 긴밀한 관계를 맺지 못하는 무관계형 등 세 가지로 구분되었다. 셋째 이들 유형에 따라 삶의 만족도도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만족도는 배우자중심형에서 가장 높은 반면, 무관계형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사회관계망은 가족 및 친구 공동체 등 다양한 구성요소를 갖는다. 본 연구는 배우자 및 자녀에 대해서만 분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족을 넘어서서 다양한 구성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포함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family network of elderly and its effects on the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in South Korea. In order to classify the family network, the authors used the variables of three categories (morphology, interaction frequency, and interaction content). In addition, the authors described the demographic and economic situations of samples and basic characteristics of family network, and classified three types of family network by K-means cluster analysis method. The data based on survey for quality of life of elderly in South Korea, conducted by Center for Aging Study in Hallym university in 2003. The original data contained 2529 cases. However because the study focused on the elderly who was the over 65 years old and live in Seoul, the cases for analysis were 760. The results were in following.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network of elderly were very diverse. Some had traditional family network consisting of wife and children, but others only have either of them. In addition, Even though they had children, some elderly did not contact his/her children often. Second, the family network of Korean elderly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independent type, spouse-centered type, and children-centered type. This result implied that traditional children-centered family network was not dominant in South Korea anymore. Third, the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was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family network type. In the spouse-centered type, the satisfaction was highest; on the contrary, in the independent type it was lowest. The social network of elderly consists of diverse element like family, kinship, friend and community. In this respect, the study focusing on only family had the limitation to analyze the one aspect of broad social network. Thus, broad scope of study would be necessary in order to supplement the narrow scope of this study.

      • KCI등재

        연령대에 따른 여성의 결혼만족도 차이 및 영향요인 비교

        김미령 ( Meer Young Kim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가족복지학 Vol.26 No.-

        본 연구는 여성정책연구원의 제1차 여성가족패널자료를 사용한 연구로 30, 40, 50, 60대의 연령대 별 여성의 결혼만족도와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 및 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크게 부부관계 외적 요소와 부부관계 요소의 둘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대상자는 30대여성 1200명, 40대 989명, 50대 368명, 60대 64명이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30대 여성의 경우 다른 연령대보다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40대도 50대나 60대보다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연령대 별로 남편과의 관계 및 인식은 모두 결혼만족도에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나지만 그 외의 영향요인은 연령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30대의 경우 부부관계요소인 활동공유, 가사분담만족, 남편의 육아 및 가사시간 등이 모두 결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40대의 경우 가사부담만족과 영화관람 등의 활동공유는 결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본인의 직장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있었다. 남편의 가사분담 만족은 30대와 40대 여성들에게는 중요한 결혼만족도의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50대 여성들에게는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나고 있지 않다. 50대의 경우 시부모와의 갈등은 결혼 만족도를 낮추었으며 시댁가족과의 만남은 결혼만족도를 높였다. 50대의 경우 남편과의 관계 및 인식을 제외하고는 부부관계요소는 결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시부모갈등이나 시댁가족만남 등의 부부관계 외적요인들은 결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본 연구의 60대 이상 연구대상이 많지 않아 60대 이상의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uses the first year women`s panel data of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This study compares the marital satisfaction, the factors of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by age cohort such as 30s, 40s, 50s and 60s. As two subsets of marital satisfaction, the outer factors and factors of couple relations are used.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30s(1,200), 40s(989), 50s(368) and 60s(64).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the marital satisfaction of 30s is the highest. Also, the marital satisfaction of 40s is higher than those of 50s and 60s. The relation and recognition about a husband is a significant factor of affecting on marital satisfaction for all ages. However, factors affecting the marital satisfaction vary by age cohort. For 30s and 40s, the satisfaction of the division of labor is an important factor but for 50s it is not. For 50s, the conflict with the parent-in-law reduces the marital satisfaction but getting together with the in-laws increases the marital satisfac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도서지역 결혼이민자여성의 가족이해도와 가족관계 만족도에 관한 연구

        양성은 ( Sung Eun Yang ),이미영 ( Mi Young 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문화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가족이해도와 가족관계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강화도, 대부도, 영흥도, 영종도 총 4곳의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121명을 대상으로 결혼이주여성의 개인특성, 가족특성, 사회문화적 특성에 따른 가족이해도와 가족관계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도서지역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이해도와 가족관계 만족도의 일반적 경향은 시부모와의 관계에서 배우자나 자녀보다시부모에 대한 이해도와 만족도가 낮았다. 둘째, 도서지역 결혼이주여성들은 배우자의 직업이 안정적이고, 소득이 높을수록 배우자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으며, 차별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결혼이주여성들이 시부모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서지역 결혼이주여성은 연령이 낮고, 친정과 자주연락하며, 생활비를 송금하는 경우 배우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이주여성 본인연령이 낮고, 학력이 낮으며,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시부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반면, 배우자의 연령이 낮고, 친정에 자주 연락할수록 시부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에 대한 만족도는 배우자의 학력이 낮고, 생활비송금을 하고 있는 경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차별을 받은 경험이 없거나, 상담기관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결혼이주여성들이 자녀에 대한 만족도와 시부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그동안 다문화가족 연구에서 소외되었던 도서다문화가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상호공존문화에 대한 사회통합의 근간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ir understanding of family and satisfaction in family relationship, among marriage migrant women residing in islands regions of Korea. For this, 121 marriage migrant women residing in 4 regions, including Ganghwa Island, Daeboo Island, Yeongheung Island, Yeongjong Island, were selected to analyze their understanding of family and satisfaction in family relationship regarding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characteristics,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arriage migrant women showed lower understanding of family and satisfaction with their parents-in law than of their spouse or children, concerning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characteristics,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Second, as for marriage migrant women living in islands regions, the more stable their spouse`s occupation is and the higher their spouse`s income is, the better their understanding of parents-in law is. On the contrary the discriminated marriage migrant women showed lower understanding of their parents-in law. Third, as for the marriage migrant women residing in islands regions, the younger age they are at and the shorter their residence period is, the better their understanding of souse is. Additionally, those who send living expenses to their parents and who contact them frequently showed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parents-in law. Bedsides it, they showed higher understanding of their parents-in law as they have less education background; as their residence period is shorter; as their spouse is younger; and as they contact parents more frequently. Also, they showed higher understanding of their parents-in law if they send living expenses to their parents. As for marriage migrant women residing in islands regions, those who have not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who used to visit counselling institutions showed higher understanding of their children and parents-in law.

      • KCI등재

        농촌 다문화가족 아동의 가족생활만족도와 자아정체성에 따른 또래관계에 관한 연구

        박명순(Park, Myoung-Schun),이로미(Lee, Ro-mee),김현경(Kim, Hyun-Kyo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3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농촌 다문화가족 자녀들의 자아정체성과 가족생활만족도 및 또래관계에 관해 살펴보고자 다문화가족 자녀 171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다문화가족자녀의 가족생활만족도는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및 어머니 문화에 대한 호감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농촌 다문화가족 자녀의 자아정체성은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및 어머니 문화에 대한 호감도에 따라서 차이를 나타냈는데, 그 중에서도 어머니 문화의 호감도 차이가 자녀의 자아정체성에 큰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다문화가족 자녀의 또래관계는 학교성적과 따돌림경험 유무, 어머니 나라 문화에 대한 호감도에 따라서 또래 관계에 차이가 있었다. 넷째, 아동의 가족생활만족도, 자아정체성, 또래관계 간의 상호관련성에 있어서는 상호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다섯째, 다문화가족 자녀의 또래관계에는 자아정체성과 어머니나라 문화호감도, 가족생활만족도가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가족 자녀의 자아정체성 수준이 높을수록, 어머니나라문화에 호감도가 높을수록, 가족생활에 대한 만족수준이 높을수록 원만한 또래관계를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농촌다문화가족 자녀의 자아정체성과 어머니 나라 문화에 대한 호감도 및 가족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또래관계를 포함한 사회적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다뤄져야 함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authors investigated factors which affect ego-identity,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rural South Korea. Surveys on peer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life satisfaction and the ego-identity were conducted on 171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life satisfaction varied with Korean fluency of their mothers and the degree of likability of their mothers' cultures. Second, ego-identity of the children varied with Korean fluency of their migrant mothers and the degree of likability of their mothers' cultures, particularly, the more they accepted their mothers' cultures favorably, the more solid ego-identity formation were shown. Third, peer relationships of multicultural children varied with academic achievement, experience of being bullied and the degree of likability of their mothers' cultures. Forth,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among life satisfaction, ego-ident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inally, life satisfaction, ego-identity and likability of mothers' cultures were significant factor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micable peer relationships of multicultrual children were closely related to the high level of ego-identity, likability of mothers' cultures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authors suggested that educational considerations for the children should be discussed to promote their capability in manag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establishment the ego-identity, which include opportunities for these children to be exposed to their mothers' cultures and program interventions for all the family members to find ways for successful functioning.

      • KCI등재

        노인운전자의 안전운전이 가족관계 만족도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성은(Lee Sunge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9

        본 연구는 노인운전자의 안전운전이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안전운전과 삶의 만족도의관계에서 가족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통계청의 2020 년 사회조사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노인 운전자 2,352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다중회귀분석을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미성을 확인하였다(Baron & Kenny 1986: 1176, Hayes 2009: 411-413). 분석결과 노인운전자의 안전운전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즉 안전운전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안전운전은 삶의 만족도에 직접효과를 가짐이 확인되었다. 또한 안전운전은 가족관계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안전운전 수준이 높을수록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전운전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관계 만족도는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 운전자의 삶의 만족에 있어 안전운전과 가족관계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afe driving on life satisfaction and to identify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 driving and life satisfaction of older drive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2020 Social Survey data were utilized and 2,352 older drivers were analyzed. As analyses method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and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 was identified using bootstrapping method(Baron & Kenny 1986: 1176, Hayes 2009: 411-413). Results of the analyses showed that safe driv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of older drivers. Since a higher level of safe driving increase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safe driving had a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lso safe driv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a higher level of safe driving increase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In addition,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 driving and life satisfaction.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importance of safe driving and family relationship in life satisfaction of older drivers.

      • KCI등재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우울, 가족관계, 자아존중감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 : 소득수준에 따른 차이 중심으로

        이동욱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4 한국과 국제사회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우울, 가족관계, 자아존중감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및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에서 추진한 「한국복지패널조사」의 2022년 17차 조사에서 65세 이상의 노인 6,717명을 연구대상자로 지정하였으며, SPSS 26.0, JASP 0.18.0 및 Stata 16을 사용하여 빈도 및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델 경로분석을 행하였다. 첫째, 노인의 우울은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가족관계는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우울은 자아존중감을 부분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가족관계는 자아존중감을 부분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노인의 소득수준에 따른 저소득층 가구 집단와 일반가구 집단에서 동일하게 노인의 우울은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가족관계는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또한 노인의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은 독립변인인 우울, 가족관계와 종속변인 삶의 만족도 간에서 전부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 개선을 위해 사회복지정책 수립, 행정 개선, 관련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 ship between depression, family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the 2022 17th survey of the Korea Welfare Panel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the Social Welfare Research Institut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6,717 seniors aged 65 years or older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First, depression in the elderl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family relationship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Third, self-esteem was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Fourth, depres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ith self-esteem as a partial mediator, and family relationships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ith self-esteem as a partial mediator. Fifth, in both the low-income household group and the general household group, depres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nd family relationship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The elderly's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showed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depression and family relationships, and the dependent variable,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ocial welfare policies, improving administration, and operating related program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