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경제위기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정기선(Chung Ki-Seon) 한국사회학회 2000 韓國社會學 Vol.34 No.SM

        본 연구에서는 경제위기하에서 사람들이 겪게 되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그들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현재 취업중이거나 실직중인 남편 또는 부인들중 699명을 설문조사하였다. 경제위기하 실직 또는 재취업의 경험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현재 실직중인 집단, 실직했다가 재취업한 집단, 그리고 실직을 한 적이 없는 집단을 모두 분석대상에 포함시켰다. 실직 또는 재취업과 같은 취업상태의 변화 뿐 만 아니라 경제위기 동안 조사대상 가족이 겪고 있는 경제적 궁핍, 부정적 가족생활사건, 부부관계의 변화와 같은 스트레스원도 부부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각 개인이 가지고 있는 심리적 자원과 사회적 자원은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완화시켜줄 수 있는 요인으로 분석에 포함되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실직의 경험은 실직자 자신은 물론 배우자에게도 심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직자 남편과 취업중인 부인으로 구성된 가족의 경우, 남편과 부인 모두가 다른 집단에 비해 더 높은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겪는다. 실직이외에도 경제위기중 가족이 좋은 않은 생활사건을 많이 경험할수록 심리적 디스트레스는 높아졌다. 경제적 궁핍정도는 실직자와 재취업자들에게서만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력을 갖는다. 심리적 자원중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원중 부부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은 실직여부에 상관없이 그리고 남편과 부인 모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낮추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various hard experiences during the recent Korean economic crisis on psychological distress were investigated. The 699 husbands and wives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This study included three groups of people according to their employment status during economic crisis: those who have no experience of job interruption, those who are reemployed after job loss because of layoffs, and those who are currently unemployed. Economic crisis related stressors were measured by unemployment or reemployment, length of unemployment, financial hardship, undesirable family life events, and changes in conjugal power relationship. Especially, such variable as changes of wife’s employment status during economic crisis was also considered to see effects of gender role stereotype on husband and wife’s psychological distress. Direct and buffer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from spouse and psychological resources such as self-esteem and mastery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unemployment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not only on the male workers’ mental health but also their spouse’. The families of unemployed husband and working wife showed the highest level of psychological distress for both husband and wife. On the other hand, the lowest level of psychological distress was found among the couples of working husband and full-time housewife. Regardless of employment statu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from spouse had direct positive effects husband and wife’s mental health. Mastery had positive effect on mental health only for husbands. The more undesirable family life events during economic crisis the family had, the higher level of psychological distress the husband and wife suffered. Financial hardship increased the level of psychological distress of husband and wife only among the families of unemployed or reemployed.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저숙련 이주노동자의 가족생활

        정기선(Chung Ki Seon),변주수(Byun Joo soo) 한국가족학회 2015 가족과 문화 Vol.27 No.1

        본 연구는 가족동반을 허용하지 않는 고용허가제의 비전문취업(E-9)비자와 방문취업(H-2)비자로 들어오는 이주노동자의 배우자 한국거주 현황과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부부가 함께 한국이주를 하는 집단을 미혼 또는 배우자가 본국에 있는 이주노동자의 집단과 비교하여 한국생활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0년 및 2013년 저숙련 외국인 이주노동자 대상 실태조사를 활용하였으며, 고용허가제 이주노동자(2010년 976명, 2013년 1,370명)와 방문취업제 중국동포(2010년 1,000명, 2013년 1,064명)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저숙련 이주노동자의 한국생활은 경제생활(생활비지출, 송금, 저축), 주거생활(주거형태 및 주거비부담), 그리고 사회생활(한국생활고충, 한국어능력 및 생활만족도, 친구관계 등)을 통해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용허가제 이주노동자의 6~7%, 방문취업제 동포의 50% 이상이 배우자와 함께 한국이주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우자가 한국에 있는 이주노동자가 미혼이나 본국에 배우자가 있는 이주노동자보다 한국체류기간이 길고, 다른 가족이나 친척도 한국에 들어와 있는 비율이 높다. 배우자가 한국에 있는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생활비를 조금 더 쓰고, 송금은 약간 적게 하고, 저축은 좀 더 하는 경향이 있지만 그 차이가 크지 않았다. 부부가 함께 한국에 거주하는 이주노동자들이라도 주거비용을 최대한 적게 들이는 방법으로 생활하였다. 배우자가 한국에 거주하는 이주노동자들이 다른 집단에 비해 외로움은 덜 느끼나 기혼자들의 경우 가족문제에서는 비슷하게 어렵게 느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저숙련 이주노동자가 가족전략으로서 국제이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many low-skilled labor migrants have their spouse who also migrates to South Korea although their visa don’t allow to accompany their family, what are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igration experience and their life in South Korea, compared to the single migrants or married migrants whose spouse is in the country of origin. The data for this study comes from the sample surveys conducted in 2010 and 2013 with low-skilled labor migrants under Employment Permit System. The data include the questionnaire responses from the E-9 visa migrant workers of 976 in 2010 and 1,370 in 2013 and the Visit Work (H-2) visa Korean Chinese of 1,000 in 2010 and 1,064 in 2013. The low-skilled labor migrants’ life in South Korea is measured by the dimensions such as the economic life (living expenses, remittance, saving), the housing life (forms of housing, rate of living in company-sponsored housing), and the social life (difficulties of Korean life, Korean language skill, life satisfaction, social relations with native or Korea friends, etc.). This study tests whether there is any significant differences of low-skilled labor migrants’ life in South Korea depending on their marital status and their spouse’s migration status. The findings revealed that, 6-7% of the EPS(Employment Permit System) migrant workers and more than 50% of the Working Visit Korean Chinese are living with their spouse in South Korea. Migrant workers with their spouse in South Korea not only are staying longer in Korea but also have a higher proportion of their family members or relatives living in Korea than the other groups. In addition, this migrant workers with their spouse living in South Korea spend a little more to the cost of living, remitting slightly less, and saving a little more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but it was not much of difference. Even couples of migrant workers living in Korea choose their housing in a way of minimizing the costs as possible. The migrant workers with their spouse living in South Korea feel less loneliness, but they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migrant workers with their spouse living in country of origin in experiencing difficulty in family issu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eem important in showing one good example of how actively low-skilled migrant workers make use of international migration as a family strategy.

      • KCI등재

        한국인의 국민정체성 국제비교연구자격요건 평가를 중심으로

        정기선 ( Ki Seon Chung ),이선미 ( Seon Mi Lee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1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19 No.1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identity of Koreans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The data for this study comes from National Identity modules of 1995 and 2003 ISSP surveys. The requirements of ``to be a real Korean`` (nationhood of Koreans) were measured using 8 items which contain two factors - civic and ethnic. The four models of national identity wer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combination of two factors in terms of its importance as a requirement of nationhood: Civil Model, Ethnic Model, Mixed Model, and Plural Model. The results show that Korea can be placed in between the Civic Model and the Ethnic Model. Compared to Japan, Korea is closer to the Civic Model. And Koreans are less exclusive in the sense that they suggest more definite requirements for immigrants to be a Korean However, comparing those 33 countries joining in 2003 ISSP survey, Korea is still relatively closer to the Ethnic Model. Based on the Four Models of National Identity,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national identity of Koreans is still strong in maintaining the ethnic elements, despite the counter arguments of the previous studies.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이주특성과 이민생활적응 : 출신국가별 차이를 중심으로

        정기선(Chung, Ki-seon)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0 No.-

        본 연구는 국내 결혼이주여성들이 출신국적에 따라 한국인과 국제결혼하는 과정부터 결혼유형 및 한국이주과정, 그리고 이주 후 한국생활 적응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고, 이를 밝힘으로써 그들의 이질성과 다양성을 보여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가별 국제결혼추이와 지역별 거주현황을 살펴보았으며, 2006년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810명의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국제결혼과정과 한국생활적응에서의 출신국적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한국으로 혼인이주역사는 1990년대 초반부터 들어오기 시작한 일본과 중국 조선족 여성들이 가장 길며,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필리핀, 태국, 몽골, 베트남, 캄보디아 여성 순으로 국내에 혼인이주해오기 시작했다. 결혼이주여성의 60%가 중국출신이며, 70%이상이 도시지역에 살고 있다. 일본여성의 경우, 혼인유형이 일반적인 한국인끼리의 혼인형태와 거의 유사한 모습을 보이며, 중국 조선족은 결혼연령이 높고 재혼율도 높은 편이다. 반면에 베트남 여성은 한국인 남편과 나이차이가 크고 부인은 초혼이고 남편이 재혼인 경우가 다른 국가 출신들보다 많은 편이다. 부부관계 만족도는 일본 부인과 필리핀 부인이 가장 낮고 중국 한족 부인이 가장 높은 편이며, 친구 및 이웃관계는 일본 부인이 가장 좋은 편이다. 한국생활에서 가장 큰 어려움으로 베트남, 필리핀, 중국 한족 부인은 언어문제를, 일본 부인은 자녀양육문제와 경제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이처럼 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적에 따른 한국생활적응에 상당한 차이가 나타나므로, 이를 반영한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heterogeneity and diversity of marriage migrant women by showing the difference in their Korean migration process, motives of getting married to Korean men, adjustment of life in Korea, etc in term of their country of origin. The trend of international marriage since 1990 and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marriage migrants were reviewed. The survey data of 810 marriage migrant women in Gyeonggi province was analyzed. The Japanese and Chinese women are the first marriage migrants who have immigrated to Korea since the early 1990, followed by Filipina, Thai, Mongolian, Vietnamese, and Cambodian women in order, who began to come to Korea since 2000. The 60 percent of marriage migrant women are from China and the 70 percent of them are living in urban areas. The marriage pattern of Japanese women and Korean men is similar to that of Korean couples. On the other hand, Korean-chinese brides tend to be older than other groups and their marriage to Korean men is more likely to be remarriage. Vietnamese brides showed the largest age gap with their Korean husbands. The marital satisfaction is the highest among Chinese wives and the lowest among Japanese and Filipina wives. However, Japanese wives tend to keep the best relationship with Korean friends and neighbors. The migrant women from Vietnam, Philippines, and China (Han-chinese) have suffered most due to language, whereas Japanese ones due to child education and economic hardship.

      • KCI등재

        국제결혼이민자의 적응과 정신건강

        정기선(Ki Seon Chung),한지은(Ji Eun Han) 한국인구학회 2009 한국인구학 Vol.32 No.2

        본 연구는 한국인과 결혼하여 국내에 살고 있는 남녀 국제결혼이민자들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정신건강(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자들의 문화적응 괴정을 스트레스유발 생애사건으로 간주함에 따라 이 과정에서 겪게 되는 다양한 스트레스(원)들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 810명과 남성결혼이민자 20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 분석결과, 여성결혼이민자와 남성결혼이민자 모두가 결혼이주를 하면서 기대했던 생활수준 향상의 욕구가 충족될수록, 경제적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를 덜 받을수록, 부부관계가 긍정적일수록, 또한 신체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 사람들일수록 심리적 적응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결혼이민자는 특히 가족생활적응과 관련한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심리적 적응수준이 높은 것에 비해, 남성결혼이민자의 심리적 적응수준은 직장과 관련한 스트레스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was purpo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acculturative stress and mental health(psychological well-being) of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Given that acculturation process of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is considered as a stressful life event, special focus was put on 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factors of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including individual level, family level and social level, on mental health. The data come from the sample of 810 female immigrants and 203 male immigrants married to Koreans, residing in Gyeonggi province. The result showed that in both the female and the male immigrants, psychological adaptation level which is measured by the depression symptoms is increased by the better improvement in a living standard after immigration, the less economical stress, the more satisfaction with martial relationship, and the better physical health they have; however, the female immigrants in particular tend to have the better psychological adaptation level when they feel less stress in relationship with her husband; of male immigrants, the more stress they feel in work-related life, the poorer psychological adaptation level they appeal.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가족관계만족도를 통해서 본 한국가족의 변화

        정기선(Ki-Seon Chung),김혜영(Hyeyoung Kim) 한국인구학회 2013 한국인구학 Vol.36 No.1

        이 연구는 통계청의 사회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991년부터 2008년 동안의 가족생활 전반에 관한 만족도와 유형별 가족관계만족도를 시점별로, 그리고 응답자의 성과 연령, 혼인지위에 따라 비교분석하고 있다. 그 결과, 시간흐름에 따른 가족생활 전반은 물론 부부 및 부모자녀관계, 그리고 형제ㆍ자매 및 배우자부모와의 관계만족도가 높아지는 시간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대체로 개인의 성별이나 연령, 미ㆍ기혼이나 이혼 및 사별 등 결혼지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가치 및 형태가 과거에 비해 유연해지고, 가족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견지한 개인들은 결혼관계의 회피 및 해체를 선택함으로써 한편에서는 가족형태 및 구성의 변동을 다른 한편에서는 가족관계의 질을 중시하는 가족문화가 확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가족생활 전반에 관한 만족도와 부부관계 및 배우자부모와의 관계만족도는 남성이 더욱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이러한 성별효과는 결혼지위 및 연령효과와 연동되어 다양한 양상으로 분화되고 있다. 하지만, 가족생활 전반에 관한 만족도와 유형별 가족관계만족도는 모든 시점에서 성별차이 없이 연령대가 높을수록 낮아지고 있음이 확인된다. Based on Statistics Korea’s periodical social surveys between 1991 and 2008, this study provides a comparative analysis on satisfaction of various family relationships depending on gender, age and marital status. As a result, satisfaction not only in overall family life, but also in relationships between married couples, parents-children, siblings, and parents-in-law tend to increase with time. This tendency remains the same despite differences in gender, age and marital status. It can be understood due to more flexibility of family value and family types as well as the individuals who have negative attitude toward family choose not to be married and rather to divorce if they have problems in keeping family. It implies that the family culture emphasizing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becomes more intensified. In addition, males find greater satisfaction in their overall family life and relationships with spouse or parents-in-law than females do. Such gender effect varies depending on experiences of family life events, such as divorce and bereavement, and age effects. Furthermor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including overall family life decreases with age regardless of gender differences.

      • KCI등재

        세대간 차별의식의 사회화

        정기선(Ki-Seon Chung),박수미(Soo-Mi Park) 한국가족학회 2007 가족과 문화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권위주의 성향과 차별의식이 자녀의 차별의식 형성에 어떤 영항을 미치는 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20세 이상 성인 남녀 2,000명을 성, 연령, 지역비율에 따른 비례할당표집방법으로 표본 추출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개별 면접 조사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전반적인 차별의식은 성, 장애, 연령, 학벌, 동남아 외국인 노동자, 기타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적 태도를 반영하는 편견지수를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며, 그 밖에도 여성에 대한 편견과 특정 지역민에 대한 편견을 구체적인 영역에서의 차별의식으로 구분하여 별도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연구결과로, 부의 직업보다는 교육수준이 권위주의 성항에 더 큰 영향을 주며, 교육수준이 낮은 부모일수록 자녀양육방식이 권위주의적이다, 둘째, 연령대가 높은 응답자들일수록 그들 부모가 권위주의적이고 지역차별적이었다고 평가하며, 중산층부모가 다른 계층 부모보다 덜 권위주의적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부모의 권위주의적 성향은 자녀의 성, 연령, 교육수준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자녀의 편견에 정적인 영항을 미친다. 넷째, 부모의 지역차별적 성향도 특정집단에 대한 호감이나 신뢰 및 사회적 거리감 형성에 영향을 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가 국민들의 차별의식 개선을 위한 노력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논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parents" authoritarian disposition and regional prejudice in child rearing practice on their children"s prejudice against a social minority. The study used the data of 2,000 nationwide samples aged 20 or above, who were interviewed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indicators of discriminant disposition consist of the prejudicial attitudes against women, disabled, aged, East-asian migrant workers, as well as regional prejudice. As a result,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rather than occupation, the level of education of father has more important effect on authoritarian disposition in child socialization and the less educated father tends to be the more authoritarian in child rearing, 2) the children of less than 40 years old and from the middle class family tend to think their parents of less authoritarian and less regional discriminant than their counterparts. 3) Parents" authoritarian disposition has positive effect on their children"s prejudice against a social minority, even after being controlled children"s gender, age, and level of education. 4) Parents" regional prejudice has influence on their children"s preference, trust and social distance towards people from a particular region.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reducing people"s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various social minorities.

      • KCI등재

        일반 고용허가제 저숙련 외국인 근로자의 직장 만족과 이직의도

        진현 ( Hyun Chin ),장은미 ( Eunmi Chang ),정기선 ( Ki-seon Chung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6 中小企業硏究 Vol.38 No.3

        1990년대 초반부터 실시된 산업 연수생제에서 2004년 고용허가제로 전환한 이래로 저숙련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은 지속적으로 증가해왔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외국인 근로자 관련 연구들이 대부분 거시 경제적인 측면, 노동 시장에 대한 분석 또는 외국인의 사회적 적응에 대한 측면에서 이루어졌으며, 기업 입장에서 분석한 이들의 효과적인 관리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고용허가제 하에서 유입되는 외국인 근로자는 국내 인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중소기업에서 활용하기 때문에, 이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중소기업의 경쟁력 확보나 기회비용의 절감을 위해서도 중요한 이슈이다. 본 연구는 법무부의 의뢰를 받아 IOM 이민정책연구원에서 2013년에 수행한 고용허가제 하에서의 외국인 근로자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기업 정책 관리 측면에서 외국인 근로자들의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점검하였다. 고용허가제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국인 근로자들은 이직에 있어서 제한을 받고 실제 새로운 직장을 구하기 쉽지 않는 노동여건에 놓여 있다. 따라서 이직과 구직이 탄력적인 국내 인력에 비하여 고용허가제하에 있는 외국인 근로자들은 이직이 불법체류나 강제출국과 같은 심각한 결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기업 관리를 통하여 외국인 근로자들의 이직을 방지하는 것은 해당 기업에게 의미가 있을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진다. 기업 관리의 다각적인 면, 즉 사전 고용계약에 대한 인지 정도(계약 측면), 총 임금수준과 초과근로 수당 지급여부(보상 측면), 한국인 동료대비 업무의 강도와 시간에서의 공정성(업무 공정성 측면), 상사 및 동료와의 갈등 여부(관계 측면)를 총 674명의 일반 고용허가제 외국인 근로자들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AMOS 19.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 임금 수준과 한국인 동료 대비 직무 시간에서의 공정성을 제외한 모든 요인들이 외국인 근로자들의 직장 만족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직장 만족도는 이들의 이직의도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저숙련 외국인 근로자들의 효과적인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실무적 시사점과 더불어 인력 관리에 있어서의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Kore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an employment permit system in 2004, transforming the existing Industrial Trainee System. The new system allows foreign workers to have jobs in Korea for a short period of time. To implement the system, Korean government has made MOUs with 15 countries, and accordingly, an increasing number of foreign employees are entering the Korean labor market. Despite the notable increase of foreign employees with the Permit system, the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the legal, social or adaptation issues, while ignoring the unique issues in managing foreign workers. All the foreign workers are hired by small-sized companies that could not hire Korean workers, and moreover foreign workers frequently leave companies after they enter Korea. The behaviors of the foreign workers often incur illegal stay, forced exit or commitment to crimes. In addition, the small-sized companies that hired but lost foreign workers should also undertake severe costs and difficulties in labor management. Thus, effective management of foreign workers emerges as a very important issue not only for the small-sized companies but also for the society. Relying upon data collected in 2013 by the IOM Migration Research and Training Centre, and using AMOS 19.0 as the statistical tool. the present research explored the determinants of foreign workers` satisfactions at the workplace and intentions to leave companies. The present research examined diverse facets of management, including contract cognition prior to entry (contract facet), total and overtime pay (compensation facet), comparisons with Korean workers regarding intensity and time of job (job equity facet), and conflicts with peers and supervisors (relation facet). Path analysis reported that all the variables except total pay level and equity perception of job time compared to Korean peers, triggered significant impacts on the level of workplace satisfaction of foreign workers. Satisfaction at the workplace, in turn, significantly reduced their turnover inten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he present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