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石川文康의 ‘양심중립설’에 관한 비판적 고찰

        권이선(Kwon, Ee-Sun)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7 No.1

        한자어 ‘良心’을 뜻으로 풀어쓰면, 좋을 양(良)과 마음 심(心), 즉 ‘좋은 마음’이다. 따라서 이것은 그 의미상 분명히 긍정의 형태를 지니고 있다. 동양사상에서 ‘良心’이라는 단어가 이런 의미를 지니고 있다면, 이 용어가 가령 독일어 게비쎈(Gewissen)의 번역어로서 적절한지가 의구심이 들 수밖에 없다. 게비쎈은 라틴어의 콘시엔치아(conscientia)와 그리스어의 쉰에이데시스(συνείδησις)를 번역한 것이다. 이 단어들은 ‘(~와) 함께’라는 ‘con-’, ‘συν-’어미와 ‘안다(知)’라는 뜻을 가진 단어와 결합한 형태이다. 따라서 이 단어들을 축자적(逐字的)으로 번역하면 ‘(~와) 함께 안다=공지(共知)’가 된다. 그런데 우리가 이들 단어들을 번역할 때 이들 단어들에게 일정 가치를 부여하여, 예를 들어 ‘선한 良心’, ‘좋은 良心’ 등과 같이 사용할 경우에는 동어반복이 된다. 또한 반대로 ‘악한 良心(=악한 좋은 마음)’, ‘더러운 良心(=더러운 좋은 마음)’ 등과 같이 사용하면 모순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의구심 풀고자 이시까와는 "양심중립설"을 주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이시까와의 "양심중립설"을 논해보려고 한다.(II). 다음으로 이시까와의 "양심중립설"의 전거는 무엇인지를 고찰한 후에(III), 마지막으로 "양심중립설"에 관해 비판적으로 고찰해보려고 한다(IV). 그리하여 인간 내부법정의 의식으로서 양심, 특히 재판관은 중립이 아니라, ‘선’의 입장에 분명히 위치하고, 따라서 동양사상의 ‘良心’을 서구언어의 번역어로 사용하는 것이 동어반복이나 모순이 아님을 입증하려고 한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일단 양심의 특수성(예를 들어, ‘이중의 자기’, ‘자기 내 타자’)보다는 양심의 중립성에 대해서 집중하려고 한다. The literal translation of the Chinese term, ‘良心’ is ‘good’ and ‘heart’, which ultimately translates into a good heart. Therefore, the term portrays a positive notion. If the word ‘良心’ contains a positive notion in the Eastern Philosophy, we must question if the Eastern translation of the Germanic origin, ‘Gewissen’, is appropriately done. ‘Gewissen’ is originated from Latin word ‘conscientia’ and from Greek word ‘συνείδησις’. These words are formed by combining ‘con-’, ‘συν-’, which means ‘-with,’ and ‘知=know’. Therefore, a literal translation of this term is ‘To know (-with) = know together with~ ’. But when we translate these words, for instance, good conscience(=good good heart) becomes tautology. On the other hand, ‘a bad conscience(= bad a good heart)’, results in an oxymoron. In attempt to resolve this doubt, Ishikawa claims ‘neutral theory of conscience’. In this paper, I will first discuss about Ishikawa’s neutral theory of conscience(II). Next I will characterize the basis of Ishikawa’s neutral theory of conscience(III). And lastly I will provide a critical point of view on his neutral theory of conscience(IV). In summary, I will argue that human conscience serving as an internal court is not neutral, but rather stands in favor of the ‘good’. In the end, I will prove that the Eastern translation of conscience based on the Eastern philosophy from the Western language is not tautology nor oxymoron. In this paper, I will concentrate on the neutrality of conscience rather than (ie, ‘double-self’, ‘other in ownself’) the uniqueness of conscience.

      • KCI등재

        맹자 윤리사상의 특징 - 良心을 중심으로

        김상래 동양고전학회 2013 東洋古典硏究 Vol.0 No.52

        인간은 사회를 구성하여 자신의 삶을 영위해 가는 존재이다. 그리고 그 사회 속에서 윤리 도덕적으로 올바른 행위를 추구하고자 한다. 이때 어떤 행위가 올바른지에 대해 윤리도덕적 판단이 수반하게 된다. 동양의 유가사상은 이런 문제들에 대해 오래 동안 많은 논의를 전개 해 온 학문적 전통을 지니고 있다. 공자의 학설을 정통으로 계승하였다고 인정받고 있는 맹자의 윤리사상은 인간을 윤리적 존재로 파악하는 것에서 논의가 전개된다. 맹자의 사유의 근저에는 인간은 선천적으로 도덕적 마음(良心)을 지니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인간과 다른 동물을 구별하는 본질적 특징이며, 윤리도덕을 실현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동기라는 생각이 자리하고 있다. 맹자가 설명하는 윤리도덕의 학설과 이론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맹자가 인간의 윤리도덕을 설명하는 방법에 ‘良心’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도입하였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에 의하면, 이 良心은 인간의 마음에서 나오는 것으로 생득적으로 善한 것으로 규정된다. 이런 사유방식을 토대로 그는 性善說로 자신의 윤리적 논의를 확대시킨다. 맹자의 윤리사상의 구조 속에서 良心과 性善說은 仁義禮智라는 도덕적 가치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맹자의 윤리설은 良心에 대한 존재를 확인시키는 것에서 시작하여, 인간의 본질적 성품은 착하다는 것으로 전개되며, 仁義禮智라는 인간의 대표적인 도덕적 덕목들을 실현하는 것이 삶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This paper is focus on reading the characteristic and structure of the Mencius' moral theory. Mencius had taken a step to analysis on the innate emotional mind at first. That mind have a moral characteristic of human given by the heaven, with connected with the goodness. Mencius had thought that human nature is intrinsically good, the moral doing is the ability to do get the four moral value like the inherent morality of human being which driven by the moral mind. In this paper, I have presented Mencius' moral theory firstly based on the the universe is a moral universe is a given. Humans are situated in this moral universe, from which we derive our own morality. Mencius like Confucius talk about ‘Heaven’s Mandate’—the moral commandment from Heaven. Mencius said that Nature does not have moral attributes; rather, Nature is rendered moral by humans’ moralistic interpretation. Mencius insisted that morality is merely determined by human conventions and that there are no moral truths independent of human judgments and beliefs. And in the Mencius' moral theory our human society is a combined intellectual quest. The understanding of one’s moral essence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moral essence of the universe can complement each other.

      • KCI등재

        일반논문 : 맹자(孟子) 성선설(性善說)의 근거-량심(良心)

        김상래 ( Sangrae Kim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5

        공맹이후 유학사상에서 인간은 배우는 존재이며, 도덕적인 존재로 정의된다. 공자의 사상이 집약된 <「논어(論語)」>가 학습의 문제에 대한 언급으로 시작되며, 인간의 윤리적 행위의 올바름에 대한 내용들이 주로 포함되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면, 인간을 배움의 존재와 윤리도덕의 실천자로 규정하는 것은 공자 이래 유학사상의 주요한 학문적 전통이라고 할 수 있다. 공자는 인간의 어떤 행위가 최고의 도덕적 규범인 <인(仁)>에 해당하며, 인간의 이상적 윤리적 목표를 현실사회에서 실현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에 관한 다양한 담론들을 우리들에게 제공하였다. <맹자(孟子)>는 윤리 도덕적 행위의 심리학적이고 철학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공자 이래의 유가사상의 학문적 깊이를 보완한 사상가이다. 그는 성품(性)과 마음(心)의 문제에 대한 해명으로부터 인간의 도덕적 문제를 해결하고 윤리적인 사회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깊이 있는 논의 를 전개하였다. <성선설(性善說)>의 확립과 마음에 대한 깊이 있는 해명들이 이에 속한다. 맹자가 인간의 윤리도덕적 문제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인성론의 구조에는 마음과 성품의 관계에 대한 문제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유학의 인간 이해에 대한 정통적 이론으로 평가되는 맹자성선설의 근거에는 마음에 대한 다양한 분석, 특히 ‘<양심(良心)>’이라는 개념을 창출하여 인간의 윤리 도덕적 행위를 설명하는 방식이 엄존해 있음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위한 방법론으로 맹자의 인간이해와 윤리이론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인성론과 심성론의 주요 문제들을 ‘양심’과의 연계라는 관점에서 해명하였다. 논자는 이미 이 주제와 관련있는 선행연구(「맹자 윤리사상의 특징」- 良心을 중심으로(「동양고전연구」(제52집), 2013)를 발표하였다. 이 논문은 이 연구성과를 원용하면서 성선설로 대표되는 맹자 윤리학설을 이해하는 핵심적 개념으로 ‘양심’을 제시하고, ‘양심’이 맹자 윤리사상의 핵심인 성선설의 철학적 근거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방법 및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전국시대의 사상가인 맹자(372∼ 289B.C.)가 ‘양심’이라는 개념을 최초로 유학사상에 등록시켰으며, 이후 ‘양심’이라는 용어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철학과 심리학, 그리고 윤리학의 주요 학술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둘째, 맹자의 사상체계 속에서 ‘양심’은 유가사상의 대표적인 도덕적 덕목인 <인의예지(仁義禮智)>와 깊은 연계를 이루고 있음을 해명하고자 한다. 셋째, 성선설을 주창하는 맹자의 사유구조에서 도덕적 마음의 의미를 <사단(四端)>과 <사덕(四德)>으로 분배하여 설명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성선설의 이론적 해명을 위해 ‘양심’과 ‘성선’의 윤리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This paper is focused on reading the conscience of the system in Mencius`` moral theory. In confucian tradition Mencius had shown to us the innate emotional good mind for developing moral act of human at first. That proper and good mind(良心) by Legge``s translation is connected with the human good nature. Mencius had thought that human nature is intrinsically good, the moral doing is the ability to do get the four moral value like the inherent morality of human being which driven by the moral mind. In this paper, I have presented Mencius`` moral theory which based on the proper and good mind(良心). Mencius had firstly originated the concept, the proper and good mind(良心) in his writing. This concept is mainly used to elaborate the basis of human moral act in nowadays. Mencius said that Nature (性) is rendered moral by humans’ moralistic interpretation. Mencius insisted that morality is merely determined by human mind and that there are no moral truths which is independent of human judgments and beliefs. In this point, in the Mencius`` moral theory the moral mind had the essential status for understanding the moral issues of human acts.

      • KCI등재

        이홍주(李泓周)의 ‘도덕관’ 분석 - 그의 “良心의 威力”(1922)을 중심으로

        안수강(Su-Kang Ahn) 한국기독교학회 2020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이홍주의 저작 “良心의 威力”(1922)을 통해 그의 도덕관에 대한 논점을 분석하려는 데 있다. 그는 고린도후서 1장 12절을 성경 본문으로 정하여 이 글을 작성했다. “우리가 세상에서 특별히 너희에 대하여 하나님의 거룩함과 진실함으로 행하되 육체의 지혜로 하지 아니하고 하나님의 은혜로 행함은 우리 양심이 증언하는 바니 이것이 우리의 자랑이라.” 이홍주의 도덕성에 대한 핵심적인 관점은 단지 “良心의 威力”에서 발견할 수 있고, 이 글은 일제강점기인 1922년 7월에 발행된 『宗敎界諸名士講演集』에 수록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 이홍주의 ‘도덕관’에 나타난 의미심장한 담론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편적 사고에 근거한 도덕성의 전환적 속성(轉換的 屬性)과 도덕성의 반동적 속성(反動的 屬性, 抵抗的 屬性) 등에 대해 고찰했다. 둘째, <인간 마음의 타락-하나님의 신성한 의지-인간 마음의 전환>의 상호 유기적인 서정, 인간의 타락한 지혜와 하나님의 의지 그리고 이홍주의 한국 그리스도인들을 향한 간절한 호소 등을 다루었다. 부연하여, 본 연구자는 향후 이홍주와 관련된 담론이 더욱 확장되어 ‘그의 생애와 사상’, ‘그의 대영성서공회에서의 사역’, ‘그의 기독교 윤리관’ 등 다양한 연구주제로 연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Hong-Ju Lee’s view of morality in his “The Power of Conscience”(1922). This text is based on 2Corinthians 1:12. “For our proud confidence is this, the testimony of our conscience, that in holiness and godly sincerity, not in fleshly wisdom but in the grace of God, we have conducted ourselves in the world, and especially toward you.” Lee’s fundamental view of morality is based solely on his work “The Power of Conscience” published in Jonggyogyeoi Jemyeongsa Gangyeonjip published in July 1922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discourses of Hong-Ju Lee’s view of morality a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 attempted to study the transitional attribute of morality and the reactionary attribute of morality (the resistant attribute of morality) on the basis of his universal idea. Second, I treated the mutual organic order of ‘depravity of human heart-God’s will-change of human heart,’ the corrupted wisdom of humanity and the will of God, and Lee’s ardent appeal to Korean Christians, and so on. In addition, I suggest future extensions of this study into other discourses on him such as ‘his life and thoughts’, ‘his works for Korean Bible Society’, ‘his view of Christian ethics’, and so forth.

      • KCI등재후보

        사상 : 試論從孟子到王陽明一脈相承的儒家 良心理論的優點和不足

        서령 ( Ling Xu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2 동양문화연구 Vol.11 No.-

        從孟子到王陽明壹脈相承的心學理論體系博大精深, 對後世産生了深遠的影響。他們把良心看成是“人之爲人”的根據、人之遵守道德規範的主體意識;良心內化爲主體善的德性, 外化爲主體善的德行, 具有重要的進步意義。同時這些理論也存在幾點不足之處:一是認爲良心與生俱來, 忽視了社會基本規範等外在因素在個體良心形成過程的作用;二是把良心置於壹種玄妙的頓悟境界, 導致對其內容的分析不?具體, 忽視了社會歷史條件對良心標準的影響;三是誇大了心的抽象思維能力在認識中的作用, 割裂了感官認識和思維認識的對立統壹關系;四是忽視了良心本心的個體性和主觀性, 誇大了良心對人生道德的作用, 强調了個體良心自反的功能, 但對良心 發生作用的具體機制缺少深入地分析。 Chinese Confucian theories of conscience think the conscience highlights human`s “class nature” and “human awareness of their subjectivity. They take the conscience as the basis for a person as a person, which is also one kind of subjective awareness for persons to comply with the social ethics. This system was discussed in the Mencius. He takes the conscience as the primary and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human and animal, which is the way of existence for human beings. The later Confucianism inherited this idea and made Construction of ontology. Above is summary of the advantages of Chinese Confucian theories of conscience on studying the conscience mechanism. The deficiencies Chinese Confucian theories of conscience on studying the conscience mechanism is that from Mencius to Wang Yangming in the heart-mind theory system which can be traced to the same origin all theories emphasize the function and target of conscience but lack the analysis of the source and composition and other aspects of conscience. The deficiencies are mainly manifested in the following four aspects: First, they emphasize the congenital features of conscience, ignoring the role of social norms. The conscience is as the result of acquired learning, but the theories of conscience exaggerate transcendentalism of conscience, and they think the conscience as connatural qualities, ignoring the roles of basic social norms and other external factors i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individual conscience. Second, traditional Chinese Confucian thinkers always emphasized the comprehensiveness, intuition and self-sufficiency of the conscience which place the conscience in a mysterious realm, resulting in short of concrete analysis on its content; they always take the sense of right and wrong of saint as the sense of right and wrong, and regard the saints` classic text as the standard, ignoring the impacts of the era changes on the standard of conscience. Third, they emphasize the speculation of the conscience, but exaggerate the role of abstract thinking in cognition. The theories of conscience emphasize the roles of abstract thinking in cognition highlighting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which is the contribution of the Confucian theory of conscience; but they also greatly exaggerate the roles of abstract thinking in cognition one-sidedly, which will separate the unity of opposite relation between the cognition of sense and the cognition of thinking. Fourth, they emphasize the universality of the conscience, ignoring the subjectivity of the individual of the conscience, and exaggerate the role of conscience for individuals in moral life; they have not made a deeper analysis of the conscience mechanism.

      • KCI등재

        철학 : 맹자와 순자의 인간이해, 그 윤리적 변별성

        김상래 ( Sang Rae Kim ) 온지학회 2013 溫知論叢 Vol.0 No.37

        인간은 다른 생물과 달리, 사회를 구성하여 삶을 영위해 간다. 사회 속에서 인간은 윤리 도덕적으로 올바른 행위를 추구하고자 한다. 동양의 유가사상은 다른 어떤 철학체계보다 이런 문제들에 대해 오래 동안 깊이 있고 수준 높은 논의를 전개 해 온 학문적 전통을 지니고 있다. 유학사의 관점에서 볼 때, 맹자와 순자는 둘 다 자신이 윤리도덕에 관한 학설에 있어서 공자 학문의 정통을 계승했다고 자임하고 있다. 하지만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로 대표되는 이들의 철학적 사유방법론, 특히 인간에 대한 이해방식은 공자와 유학의 정통을 이어받은 사상가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극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이들이 서로 다른 철학체계를 보여주는 근본적 이유는 인간에 대한 이해방식의 차이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이해의 이러한 차이는 인간의 윤리적 행위에 대한 그들의 견해 차이와 연계되어 있다. 이 논문은 인간의 본성이 본질적으로 착한 것인가 악한 것인가에 대한 맹자와 순자의 견해 차이를 해명한 것이다. 맹자는 기본적으로 덕윤리의 입장에서 도덕성의 근거로서의 인성의 문제에 접근하고 있고, 순자는 규칙윤리의 입장에서의 도덕성 개념에 주목하여 성악설을 전개하고 있다. 이를 다른 말로 맹자-순자의 학문적 경향성을 각각 덕윤리-법윤리, 향내적-향외적 경향의 윤리설로 대별할 수 있다. 이러한 도덕성의 개념에 대한 이해방식의 차이와 학문적 경향성이 그들의 인간에 대한 시각을 달리하는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Mencius had taken a step to analysis on the innate emotional mind(良心) for understanding human nature at first. That mind have a moral characteristic of human connected with the goodness. Mencius had thought that human nature is intrinsically good, the moral doing is the ability to do get the four moral value like the inherent morality of human being which driven by the moral mind. In this paper, I have presented Mencius` moral theory firstly based on the moral universe. Humans are situated in this moral universe, from which we drive our own morality. Mencius insisted that morality is merely determined by human conventions and that there are no moral truths independent of human judgments and beliefs. And in the Mencius` moral theory our human society is a combined intellectual quest. The understanding of one`s moral essence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moral essence of the universe can complement each other. Xunzi develops this point when he questions Mencius` assumption that the moral resources are ready-made or inborn. First, he adopts a deflationary strategy by saying that birth is in itself a process of moving away from any original, simple organic state. In other words, there is no such state. He also reminds us of certain ugly aspects of human nature such as self-interested tendencies and feelings of envy and hatred. Second, Xunzi goes on to expand on the rationale of morality in terms of the necessary regulation of people`s desires so as to bring about social order and the effective allocation of scarce resources. Xunzi argues that both the original raw material of nature (xing) and human artifice (wei) are mutually necessary to bring about morality. As we shall see, this passage fits very nicely into a certain section of the "Xing e pian," where Xunzi goes on to argue that ritual is required to curb certain desires. At the same time, however, such rituals give rise to the expression of, say, acts of deference. Xunzi describes the rationale of morality in terms of constitutive processes that give rise to ritual behavior. In spelling out these processes, Xunzi in effect denies that the development of morality is an organic process of nurturing certain original sprouts, even though he may admit that people have feelings of love and righteousness. Constitutive processes are not just regulatory; they transform raw capacities into refined sensibilities, feelings, and emotions. Mencius` underlying belief in a simple organic state is therefore insufficient to account for the nature of morality, described in terms of the constitutive rationale of the rites.

      • KCI등재

        순자(荀子)의 맹자비판(孟子批判), 그 윤리적 의의

        김상래 ( Sang Rae Kim ) 동양철학연구회 2015 東洋哲學硏究 Vol.84 No.-

        Xunzi develops the several ethical theories as next when he questions Mencius``s assumption that the moral resources are ready-made or inborn. Mencius had taken a step to analysis on the innate moral mind(良心) for understanding human nature at first. with this concept, Mencius had thought that human nature is intrinsically good. Xunzi adopts a deflationary strategy by saying that birth is in itself a process of moving away from any original organic state of mind. He strongly expressed that human nature is originated from some feelings of envy and hatred. Xunzi shows me that people``s desires will bring about the social order and the effective allocation of scarce resources. In many passages as the Li lun pian(禮論篇) and Xing e pian(性惡篇), Xunzi argues that both the original raw material of nature(性, xing) and human artifice(僞, wei) are mutually necessary to bring about morality. From the Xunzi, Xunzi describes the rationale of morality in terms of constitutive processes that give rise to ritual behavior. Xunzi in effect denies that the development of morality is an organic process of nurturing certain original sprouts, even though he may admit that people have feelings of love and righteousness. The difference understanding for human nature of Xunzi and Mencius can be concluded as follows ; Mencius``s moral theory for human morality is based on identifying the purity of the ethical motives, based on the virtue of the morality(道德). But Xunzi critizes for Mencius thinking on the inner moral purity, He gives me the re-formation model by based on the rule of human society.

      • KCI등재

        조선후기 천주교 서적에 나타난 ‘良知說’에 대하여

        원재연(Won Jae-yeon) 한국양명학회 2008 陽明學 Vol.0 No.20

        16세기부터 대서양 유럽에서 중국으로 진출한 예수회 선교사들은 『天主實義』, 『萬物眞源』, 『眞道自證』, 『盛世芻?』 등 漢文으로 天主敎理書를 저술하면서, 당대 중국 사회에서 유행하던 陽明學의 용어를 補儒論的 입장에서 적절히 활용하였다. 이러한 교리서들은 조선에 전래되어 18세기 후반부터 조선의 천주교 지식인들도 『聖敎要旨』, 『쥬교요지』, 「上宰相書」 등 저술과 『성경광익직?』 등의 한글 번역서를 통하여, 良心, 良知 등의 양명학 용어나 ‘致良知’설을 활용하여 天主의 存在와 萬物을 主宰하는 천주의 屬性을 증명하고자 했다. 이러한 시도는 宣敎的 차원에서 천주교 교리에 대한 儒學者들의 친근감과 이해력을 높여주기 위한 목적도 있었으나, 한편으로는 性理學은 물론이고 陽明學의 논리를 超越하는 천주교의 우수성을 은근히 과시하려는 의도가 내재되어 있었다. 이러한 천주교 교리서의 흐름은 1831년 敎皇에 의해서 朝鮮代牧區가 설정되고 파리외방전교회가 조선에 진출하여 司牧을 담당한 이후의 교리서들이나 천주교회의 서적에서는 좀처럼 양명학의 용어가 발견되지 않는데, 이는 七聖事(천주교회의 7가지 중요한 典禮儀式)의 집행에 치중하면서 補儒論과 같은 適應主義的 傳敎方式을 달갑지 않게 여겼던 파리외방전교회의 선교방침과 일정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조선시대 思想史硏究의 活性化를 위해서는 향후 江華學派露(霞谷學派) 陽明學者들의 천주교에 대한 반응을 체계적으로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From 16th centuries European missionaries in Chinese Catholic church have been making use of the word or the fashionable theory of Wang Yang-ming’s school(陽明學派) properly in their writings on Catholicism such as Ti?nzh?shiyi(天主實義), Wanwuzh?nyuan(萬物眞源), Zh?ndaozizheng(眞道自證), Chengshichurao(盛世芻?) from the Catholic viewpoint of B?rulun(補儒論) the adaptable theory for Confucianism These Catholic writtings were rapidly spreaded in Choseon dynasty right after there publication in China. Therefore from me 18th centuries me Korean Catholics had been trying to prove the existence of the God(天主) and the God’s governing the world by using the Wang’s word such as liangx?n(良心, innate good mind), liangzh?(良知, innate good knowledge) or the theory Zh?liangzh?(致良知, expanding and deepening of the innate good knowledge), and their tryings appeared such Catholic documents as Shengjiaoyaozh?(聖敎要旨), zh?jiaoyaozh?(주교요지), Shangz?ixi?ngsh?(上宰相書), Shengj?nggu?ngyizhiji?(성경광익직?). In Choseon dynasty, the using of Wang’s theory by the Catholics was for enhancing the Confucian’s understanding and affinity over Catholicism and it was for displaying the excellency of Catholicism rising above the confucianism including Wang’s theory. This stream was stoped from 1831 the time of establishing Vicarial Apostolic in Choseon kingdom to 1880s owing to the policy that the Apostolic did not want to carry our the way of adoptable missionary like B?r?lun(補儒論) and it focused the Seven Sacrament. Until now we have been studied only about the underderstnading of the X?nghu school’s(星湖學派) over the Catholicism, but from now on we must study about that of the Ha-gok school’s(霞谷學派) which was the main stream of the Wang’s theory in late Choseon dynasry.

      • KCI등재

        맹자의 심론

        정세근(鄭世根) 한국양명학회 2021 陽明學 Vol.- No.60

        이글은 맹자의 심론을 용례를 중심으로 축자적으로 정리한다. 맹자가 이후의 심론에 미친 영향은 대단했다. 그러나 맹자의 심론은 의외로 단순하다. 그것은 신유학의 심성론에 따라 복잡해지지 않은 본래의 간결한 의미를 맹자의 심이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맹자 이후 그의 어휘는 동아시아에서 큰 영향을 끼쳤다. 오늘날 우리가 쓰고 있는 양심, 방심, 부동심, 그리고 사자성어로 쓰는 존심양성, 노심초사 등이 그러하다. 맹자는 본심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하지만 본래의 양심(良心)을 양지양능(良知養能)의 맥락에서 사용한다. 그러나 그에게 중요한 것은 오히려 마음 기르기인 양심(養心)이다. 이는 성선의 논법과 다르다. 심(心)은 도덕의 근거이면서도 도덕적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군자는 인의예지를 이루는 마음속 실마리를 꽉 잡아 자기의 본성으로 삼는다. 맹자는 도덕적 수양이 우리가 양심(良心)을 되찾고, 본심(本心)을 잃지 않고, 달아난 마음(放心)을 구하는 방도임을 선언한다. 공자는 인격 수양을 통해 군자라는 표준에 다다를 것을 강조하지만, 맹자는 군자가 도야할 대상이 그의 마음임을 천명한다. 맹자는 ‘도덕은 감정에서 나온다’는 주장을 분명히 한다. 사람이 마음속에 지닌 원초적인 감정이 바로 도덕의 근원이다. 맹자의 심은 마음이지만 가슴이며, 가슴은 감정이다. 그런 점에서 맹자는 도덕의 감정기원설의 주창자이며 공감 윤리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맹자에게 도덕의 근원은 심 곧 심정이다. This paper literally arranges usages of Xin(heart/mind) in the Mencius. Mencius extremely influenced the theory of Xin after his time. Unexpectedly, the meaning of Xin in the philosophy of Mencius is so simple. The reason why Mencius’ Xin has original pithy meaning is far from the complex senses of Xin created by Neo-Confucian of Song Ming dynasty. After Mencius, his lexicon had influence on east Asian thought. We are still using his words like ‘conscience’(liangxin), ‘inattention’(bangsim in Korean) or ‘relaxation’(fangxin in Chinese), ‘apatheia’(budongxin: the unmoved heart), ‘observation’(cunxin), and ‘anxiety’(laoxin). Mencius had mentioned not only ‘original heart’(benxin) but also ‘conscience’ under the meaning of ‘innate knowing and doing’. The important thing for him, however is ‘nourishing heart’(yangxin) indeed, because heart might be good or not be good. It is quite different from the argument on good nature that human nature is good. Xin of Mencius is heart; and heart is affection. In this regard, Mencius is an advocator of moral affection, showing the possibility of sympathy ethics. To Mencius, the origin of morality is Xin, that is feeling(xinqing: heart and emotion).

      • KCI등재

        『맹자』 <우산지목장>의 ‘심(心)’에 대한 연구 - 『맹자집주대전(孟子集註大全)』을 중심으로 -

        신예진 ( Shin Ye-ji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2 No.-

        본 논문의 목적은 『맹자』, 「고자 상」 ‘우산지목장(牛山之木章)’과 이에 대한 주자의 주석 및 『맹자집주대전』에 편집된 소주(小註)를 분석하여 맹자의 ‘심(心)’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우산지목장’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 개념은 ‘인의지심(仁義之心)’이다. 그리고 양심·물욕·야기·평단지기·양기·조존과 구방심 등이 중요한 문제로 나타나있다. 주자는 인의지심과 양심을 ‘본연의 선한 마음[본연지선심(本然之善心)]’으로 규정하였는데, 본고는 바로 이 ‘본연지선심’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고찰한 결과 본연지선심을 상실한 요인은 첫째, 물욕과 이욕이다. 이것은 모든 인간에게 생래적인 것으로서 없앨 수는 없으나, 절제를 통하여 조절이 가능하다. 둘째, 야기(夜氣)의 부족이 본연지선심 상실의 핵심적 요인이다. 주자는 야기를 최상의 기로 부각시켰는데, 야기의 함양과 소멸의 결과에 따라 본연지선심의 보존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본연지선심을 회복하는 공부 방법은 평단지기를 기반으로 설명할 수 있다. 평단지기는 야기와 연계된다. 그 핵심은 야간에 휴식을 통하여 대상과 접촉하지 않으면, 그 기운이 점차 맑아져서 평단지기가 회복이 되므로, 본연지선심도 회복된다. 둘째, 양기와 ‘충’인의지기(‘充’仁義之氣)이다. 인의지기는 지금까지 학계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독특한 개념으로, 규명하기 쉽지 않다. 그러나 ‘심(心)’은 리(理)와 기(氣)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인의지심을 구성하는 기는 바로 인의지기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이것은 모든 인간이 공유하고 있는 도덕적 기(氣)이다. 주자는 인간이 생래적으로 호연지기를 갖고 있다고 보고, 호연지기를 잘 배양하는 것과 본연지선심을 회복하는 것이 긴밀하게 연계됨을 시사하였다. 셋째, 마음을 보존하는 방법, 즉 조존(操存)과 구방심이다. 조존의 대의는 ‘잡으면 보존되고 놓으면 잃는다’는 두 구절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자는 구방심에 대해 맹자의 견해에 공통점을 보이면서도 일부 내용에 대해 견해를 달리한다. 그는 방심을 한 사실에 대해 자각(自覺)·자성(自省)하는 순간이 바로 조존으로 연결된다는 것으로 정립시켰다. ‘우산지목장’을 근거로 볼 때, 인의지심과 양심, 즉 ‘본연지선심’에서 본성이 선(善)하다는 성선설뿐만 아니라 ‘마음이 선하다’는 ‘심선설(心善說)’이 가능하다는 점을 추론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Mencius’s thought of the heart-mind by analyzing the Mengzi (孟子) 6A8, hereafter the chapter of Niushanzhimu (牛山之木, the Trees of the Ox Hill)>,” and the commentary by Zhuzi and other commentaries in Mengzi Jizhu Daquan (孟子集註大全, the Great Compendium of Commentaries on the Book of Mencius). The core of the Zhuzi interpretation that penetrates the entire chapter of Niushanzhimu is ‘renyizhixin (仁義之心, the heart-mind of benevolence and rightfulness).’ And ‘liangxin (良心, proper goodness of mind),’ ‘wuyu (物欲, desire for material wealth),’ ‘yeqi (夜氣, the restorative influence of the night),’ ‘pingdanzhiqi (平旦之氣, the calm air of the morning),’ ‘yangqi (養氣, an incessant development of the good inside the heart),’ ‘caocun (操存, preserving and holding one’s heart-mind)’ and ‘qiufangxin (求放心, seeking for the lost mind)’ are shown as important issues. Zhuzi defined renyizhixin and liangxin as “benranzhishanxin (本然之善心, the natural good mind),” of which this paper was mainly composed. First, the factors that have caused the loss of benranzhishanxin are wuyu (物欲, greed) and liyu (利欲, desire for profit). All humans have them, so that they cannot be eliminated, but they can be controlled through moderation. Second, the lack of yeqi is a key factor in the loss of benranzhishanxin. Zhuzi highlighted yeqi as the best energy, as the result of yeqi’s cultivation and extinction determines whether benranzhishanxin is preserved or not. Based on pingdanzhiqi, the way of recovering benranzhishanxin can be explained. pingdanzhiqi is also linked to yeqi. The key point is that if a person is not contacted through night rest, his/her energy gradually clears up and pingdanzhiqi recovers, so benranzhishanxin is recovered. The second is yangqi and ‘chong renyizhiqi (充仁義之氣, filling the energy of benevolence and rightfulness).’ Renyizhiqi is a unique concept that has not been noticed in academia so far, and it is not easy to identify. However, it is possible to infer that the energy, which makes up renyizhixin, is renyizhiqi, given the fact that the ‘xin (心, mind)’ consists of ‘li (理, principle)’ and ‘qi (氣, energy).’ This is the moral qi whcin all human beings share. Zhuzi believed that humans naturally have ‘haoranzhiqi (浩然之氣),’ suggesting that cultivating haoranzhiqi well and restoring benranzhishanxin are closely linked. The third is the way to preserve the mind, namely, caocun and qiufangxin. It can be seen what the meaning of caocun is in two passages: “If caught, preserved; if left, lost.” Zhuzi shared a common ground with Mencius’s views on qiufangxin, but has different views on some of the contents. He made it clear that the moment of self-awareness and self-reflection of fangxin leads directly to caocun. Based on the chapter of Niushanzhimu, it can be inferred that not only the theory of “good nature” but also that of “good heart” is possible to be drawn from benranzhishanx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