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로전담교사 대상 연구 동향

        임정훈(Junghoon Lim)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2011년 진로전담교사 배치가 시작된 이후, 2020년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진로전담교사 대상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하고, 주요 주제에 관한 내용을 구명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출판된 박사학위논문과 KCI 등재 학술지 55편을 분석 문헌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문헌을 바탕으로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전담교사 대상 연구는 2011년 이후 꾸준히 이루어졌으며, 2017년에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 및 게재되었다. 둘째,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학교급별로는 중등학교 대상의 연구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다. 진로전담교사 대상연구의 주요 연구주제는 실태 및 인식, 변인 간 관계, 요구, 역량 및 직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verall trends of research on career teachers in Korea and to find out the main topics by 2020 since the deployment of career teachers began in 2011. To this end, 55 doctoral dissertations and KCI-listed journals were selected as analytical literature. Based on the selected literatu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the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method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career teachers has been steadily conducted since 2011, with the largest number of papers published and published in 2017. Second, quantitative research was used the most, and by school level, research on secondary schools accounted for the largest percentage. The main research topics of the study on career teachers were the status and perception,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needs, competencies and duties.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and discussion for subsequent research presented.

      • KCI등재

        에스노그라피를 활용한 대학생의 마스크착용 선택요인에 대한 다학제적 연구

        김수현(Kim, Soo Hyun),김혜균(Kim, Hye Ky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4

        본 연구에서는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채택받고 있는 에스노그라피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대학생들의 마스크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현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7명의 여학생과 6명의 남학생, 총 13명의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탐구하였다. 그 결과 20대 대학생들의 마스크착용의 요인을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으로 나누어 그와 관련된 요소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여학생들의 마스크 착용의 가장 큰 이유는 1순위로 화장을 하지 못해 민낯을 가리기 위한 목적이었고, 남학생은 마스크 착용의 이유로 1순위는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둘째, 대학생들이 마스크를 구매할 때 가장 고려하는 기준은 1순위는 가격이었고, 2순위로는 미세먼지를 얼마나 잘 차단해주는지와 같은 기능이었다. 셋째, 자신의 외모에 대한 질문에 여학생들은 화장을 했을 경우에는 괜찮은 것 같다며 긍정적인 쪽으로 답변을한 것에 비해 민낯의 경우에는 못생겼다고 답변하며 자신의 외모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이 대부분이었다. 넷째, 여학생의 경우 민낯을 가리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에 비해 남학생의 경우 패션의 아이템으로 활용할 의사를 나타낸다는 차이를 보임으로써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패션악세서리로서의 마크스활용도는 더 높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은 마스크 착용의 장애요인에 있어서 마스크를 오래 착용하면 숨쉬기가 답답하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20대 대학생들의 마스크 착용의 주된 요인들을 밝혀낼 수 있었고, 각 대상자의 라이프 스타일의 특성과 마스크 착용과의 관계를 밝혀 낼 수 있었다. 연구의 기간이 길지 않아 대상자들의 특성을 깊게 파악하지 못한 점이 미흡했기 때문에 앞으로의 후속 연구에서는 계절별, 날씨별, 마스크 착용의 경험 등으로 깊고 구체적인 연구가 이어지길 희망한다.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tudy on mask purchas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by utilizing the Esnograpy research method, which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in the marketing field. The research method was explo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female students currently attending university, six male students, and a total of 13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As a result, the factors of mask wearing by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were divided in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the related factors were identified in depth,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the biggest reason for girls to wear masks was to cover their bare faces because they couldn’t put on makeup, and for boys, the first was to block fine dust. Second,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college students to consider when purchasing masks were prices, and the second was functions such as how well they blocked fine dust. Third, asked about their appearance, the female students answered positively, saying, “I think it’s okay if I put on makeup,” while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looked ugly when they were barefaced. Fourth, it was expected that boys would be more likely to use Marks as fashion accessories than girls, as boys showed a difference in their willingness to use them as fashion items, compared to girls’ use as a means of covering their bare faces. Finally, college students said that wearing a mask for a long time is frustrating to breathe.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main factors of mask wearing by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s lifestyle and their relationship while wearing masks. Since the research period was not correlational, it is hoped that future follow-up studies will continue which include seasonal, weather, and experience in wearing masks.

      • KCI등재

        북한이탈대학생 대학입시특별전형에 관한 쟁점과 개선방안 연구

        권오영(Ohyoung Kwon) 한국교육정치학회 2024 敎育政治學硏究 Vol.31 No.1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대학입시특별전형으로 입학한 북한이탈대학생의 대학 생활 실태 분석을 통해 특별전형제도가 가지고 있는 쟁점을 고찰한 후, 해당 쟁점을 해결하기 위해 북한이탈주민 대학입시특별전형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 및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 수행을 위해 연구 방법은 실태 분석에 적합한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10명의 북한출신대학생과 북한이탈주민 관련 전문성을 가진 대학교수, 연구원, 교사, 현장전문가로 구성된 6명의 전문가를 포함한 총 16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열린 질문, 반구조화된 면담 방식을 활용한 초점집단면담(FGI)을 진행하여 분석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북한이탈주민 대학입시특별전형의 쟁점을 불러일으키는 핵심 내용으로 2가지 범주별 3가지 주제, 총 6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범주인 특별전형의 기회가 주는 긍정적 효과의 범주에 포함된 3가지 주제는 특별전형이 없이는 대학 진학이 어려운 북한이탈학생에 대한 기회 제공, 특별전형을 통한 명문대 진학으로 얻게 되는 개인 및 사회자본 가치의 상승, 특별전형의 기회로 한국 사회에서 주류로 살아갈 수 있는 기반이 생길 것이라는 기대였다. 두 번째 범주인 특별전형으로 입학했기 때문에 겪는 어려움의 범주에 포함된 주제는 기초학력 부족으로 인한 학업 격차, 특별전형으로 입학한 것을 남들이 알까 불안한 마음, 졸업해도 일반대학생들과는 확연히 차이 나는 역량에 따른 진로 선택의 어려움이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 및 논의하였고, 북한이탈주민 대학입시특별전형이 가지고 있는 세 가지 쟁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상의 세 가지 쟁점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대학입시특별전형제도에 대한 주요 시사점과 향후 제도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llegiate experiences of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admitted via special admissions, scrutinized the challenges of this system, and proposed enhancements. Employing a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it involved 10 defector students and 6 experts, including professors and field specialists, totaling 16 participants. Data from Focus Group Interviews (FGI) highlighted six themes across two categories about the special admissions process challenges. The first category showed the positive impact of special admissions, such as facilitating university entry for defectors, enhancing their social capital, and aiding integration into Korean society. The second category focused on challenges like academic gaps, anxiety over their special admission status, and career choice difficulties. These findings, compared with previous research, underscored three main issues with the special admissions system. The study suggests improvements to better support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 KCI등재

        운동 및 경기용품 제조업의 R&D 투자와 기업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윤호중 ( Yoon Hojun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7 체육과학연구 Vol.28 No.3

        [목적] 기업 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요즈음 기술혁신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켜 기업이 가지고 있는 경쟁력을 극대화할 필요성이 점차 커지가고 있으며, 기술혁신을 통한 경쟁력 강화는 기업 생존을 위한 필수 요건이 되어 가고 있다. 기업이 기술혁신을 위해서는 연구개발비 지출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위해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에서도 여러 가지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이 2015년 우리나라 기업 연구개발비의 89.6%를 차지하는 등 기업 연구개발비가 제조업에 집중되어 있는 점을 감안하여 스포츠산업에서 제조업으로 분류되는 운동 및 경기용품 제조업 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집약도를 살펴보고 타업종과 비교한 후에 운동 및 경기용품제조업의 연구개발투자가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통계청의 9차 한국표준산업분류에서 운동 및 경기용품제조업으로 분류된 기업의 KSIC 코드를 가지고 KIS-DATA에서 기업자료를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분석대상 기간은 최근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간으로 정하였다. 년 도별로 추출된 기업 수를 살펴보면 2011년 42개, 2012년 45개, 2013년 46개, 2014년 48개, 2015년 39개이다. [결과] 연구결과 운동 및 경기용품제조업의 연구개발집약도는 2011년 1.22%, 2012년 1.63%, 2013년 1.51%, 2014년 1.53%, 2015년 1.30%를 나타내고 있어 운동 및 경기용품제조업체가 속한 업종인 제조업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또한 기업규모가 유사한 중소기업보다 낮게 나타났다. 연구개발집약도가 기업의 매출액증가율과의 상관 관계는 2011년, 2015년에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 상관관계는 강하게 나타나고 있지 않다. 또한 연구개발집약도와 별다른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운동 및 경기용품제조업의 연구개발투자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연구개발투자도 운동 및 경기용품제조업 기업의 성과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Purpose] In recent years, competition among companies has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to maximize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by improving their productivity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Increasing competitiveness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is becoming an essential requirement for survival of companies. In order for companies to innovate, it is necessary to spend R&D investment and the government is strengthening various policy supports to do this. Athletic equipment industry classified as manufacturing industry in sports industry. In this study, considering the fact that manufacturing industry occupies a large part of Korea's R&D investment, we compared R&D intensities with athletic equipment industry and other industries. We also examined whether R&D investment has affected firm performance. [Methods]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were extracted from KIS-DATA with KSIC codes of companies classified as sports and athletic goods manufacturing industry in the 9th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of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analysis period is five years from 2011 to 2015 to look at the current status. Looking at the number of companies extracted by year, it was 42 in 2011, 45 in 2012, 46 in 2013, 48 in 2014, and 39 in 2015. [Results] Research showed that the intensity of R&D of athletic equipment industry was 1.22% in 2011, 1.63% in 2012, 1.51% in 2013, 1.53% in 2014 and 1.30% in 2015. This was lower than the manufacturing industry, which was a category of athletic equipment industry, and lower than that of similar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The correlation between R&D intensities and the sales growth rate of firm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 2011 and 2015, but the correlation is not strong. [Conclusion] R&D investment in athletic equipment industry was not actively taking place, and R&D investmen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the company.

      • 기초연구 우수성과 확산을 위한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권기석(Kwon, Ki-Seok),김현우(Hyun-Woo Kim),한동성(Han, Dong-Seung),윤협상(Yoon Hyoup-Sang) 한국의사결정학회 2012 의사결정학연구 Vol.20 No.1

        기초연구는 지적능력 향상에 필요한 지식을 생산하고 이의 확산을 통해 국가경제발전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 특히 과학기술에 의한 국가경쟁력의 확보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기초과학 연구성과를 관리·활용하여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산업화로 연결시켜 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연구 우수성과 확산을 위한 전략 수립을 위해 기초연구사업에 참여한 연구자를 대상으로 기초연구 우수성과 확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한다. Basic research produces the knowledge for enhancing innovation capability and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s economy and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through its diffusing. Therefore, many countries have tried to promot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and to enhance connectedness between ministries’ R&D programs for diffusing the benefits of basic research. Against this background, we investigate appropriate strategies by implementing survey analysis in this paper. Based on the results, we put forward some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좋은 죽음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김현심,이순영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좋은 죽음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향후 좋은 죽음에 관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좋은 죽음 관련 66편의 논문을 분석준거 틀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좋은 죽음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년도는 2019년(18.2%)이었다. 연구설계 별 분석에서는 양적 연구가 52편(78.8%)으로 가장 많았고, 그 중 조사연구가 36편(54.5%)으로 나타났다. 연구분야 에서는 간호학 논문이 47편(71.2%)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다학제간 연구는 3편(4.5%)이었다. 좋은 죽음 연구 대상자는 주로 지역사회 노인과 간호대학생으로 이 각각 13편(19.7%)으로 나타났고, 환자 대상연구는 4편(6.1%) 으로 나타났다. 연구도구는 좋은 죽음 인식도구가 38편(73.1%)에서 사용되었다. 주요 연구 변인은 좋은 죽음 인식과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간호였고, 가족지지는 매개변인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좋은 죽음을 종합적으로 이해 하기 위해 다학제 연구와 다양하게 좋은 죽음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을 제언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n good death by analyzing and synthesizing research trends on good death. For this purpose, 66 articles related to good death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in Korea from 2011 to 2021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frame of references. As a result, the year with the most good death studies was 2019 (18.2%). In the analysis by research design, 52 articles (78.8%) were the most quantitative studies, and 36 studies (54.5%) were survey studies. In the field of research, nursing studies were the most researched with 47 articles (71.2%), but multidisciplinary studies were three articles (4.5%). The subjects of the good death study were mainly the aged in the community and nursing students, each of which was 13 (19.7%), but the studies for patients were published only four articles (6.1%). The most used tool was the perception of a good death and conducted in in 38 articles (73.1%). The main research variables were the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and hospice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and family support was used as mediating variables. Therefore, not only multidisciplinary research but also development research for vaious good death instruments may be suggeste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good death.

      • KCI등재

        자립지원표준화프로그램 운영 과정에 관한 연구: K아동양육시설을 중심으로

        김을수(Eul Su Kim),조소연(So Yeun Cho)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24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양육시설의 자립지원표준화프로그램(READY? ACTION!) 운영 과정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점집단면접,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일반적 질적연구의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질적이지 않은 체험: UNReal Expierence’, ‘목적없는 의무: Aimless Duty’, ‘매년 하는 일: Yearly ACTION’이라는 3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UNReal Experience’는 진정성이나 실질적인 내용이 부족한 활동을 뜻하며, ‘Aimless Duty’는 명확한 목표나 중요성이 없는 책임이나 의무, 마지막으로 ‘Yearly ACTION’은 매년 수행되는 의미없는 활동을 의미한다.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발견한 중심의미는 ‘UNREADY! ACTION?’이다. 연구자는 이 결과를 토대로 보호대상 아동의 자립지원에 관한 정책적, 실천적 제안을 하였다. 본 연구는 시설보호아동의 자립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그리고 자립지원 정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operational process of The Standardized Self-reliance Support Program(READY? ACTION!) in Child care institution. To achieve this, researchers collected data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utiliz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s and delves into three distinct categories of ‘UNReal Experience’, ‘Aimless Duty’, and ‘Yearly ACTION.’ ‘UNReal Experience’ focuses on activities lacking authenticity or substantive content. ‘Aimless Duty’ refers to responsibilities or obligations without clear objectives or significance. Lastly, ‘Yearly ACTION’ signifies meaningless activities performed annually. Through the analysis, the central meaning ultimately discovered is ‘UNREADY! 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 proposed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self-reliance support program for children in out-of-home care, along with improvements in self-reliance support policies.

      • KCI등재

        국방역사서 편찬에 관한 연구

        박균용 육군군사연구소 2020 군사연구 Vol.- No.149

        역사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각 국가나 기관별로 이에 대한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특히 미국을 비롯한 각국의 군사연구기관은 역사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자료수집, 공간사(Official History) 편찬, 전사교육과 연계, 유물관리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국방부를 비롯한 각 군의 역사자료를 수집·관리하고, 이를 토대로 역사서를 발간하기 위한 기능과 조직을 갖추고 있다. 역사서를 발간하기 위해서는 기초 사료가 필수적이며 그것의 수준에 따라 역사서의 질은 달라진다. 따라서 사료가 온전하게 관리·보존되고, 이러한 사료가 왜곡됨이 없이 올바르게 기록될 때 신뢰성 있는 공간사로서 가치를 인정받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방정기역사서를 작성했던 실무경험을 토대로 국방역사서 편찬의 문제를 식별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외국의 국방 관련 공간사의 편찬 사례와 함께 우리나라의 국방부 및 각 군에서 발간하는 국방역사의 편찬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식별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제1장 서론에서 본 연구를 위한 문제 제기에 이어, 제2장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된 외국 군사연구기관의 편성과 국방역사 편찬 사례를 연구하고 3장에서는 우리나라의 국방역사 편찬 실태를 분석하였다. 3장의 우리의 국방역사 편찬 실태분석에서는 편찬기구 및 편찬체계, 연구조직과 인적구성, 편찬업무체계, 자료수집 및 관리 분야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제3장에서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결과가 국방 관련 정기역사서를 편찬·발간하는 군사연구기관은 물론 이를 위해 사료를 제공하는 군사업무담당자들에게 방향을 제시하고, 군사업무를 발전시키는 정책 수립과 조직 편성에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바란다. These days, each country or institution is strengthening its expertise in the field of history due to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history. In particular, military history research institutes in the U.S. and other countries have established history programs to collect historical records, compile official history, link with war history education, and manage relics. The South Korean military also has the function and organization to record and study the history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each military and can also publish history books related to national defense. Basic data is needed to prepare these history books, and the quality of the history book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data. Therefore, when the data are kept intact and these data are correctly recorded without distortion, it can be recognized as the ministry’s credible history boo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oblems in compiling national defense history books and to present development plans based on practical experience in writing national defense history books regularly. To this end, the problem was identified by analyzing the actual state of compiling national defense history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each military in Korea, along with examples of compilation of foreign official history regarding national defense histor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succeeding the proposal of problems for the research in the introduction of Chapter 1, Chapter 2 studied the compilation of foreign military history research institutes and national defense history analyz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Chapter 3 analyzed the actual state of compilation of national defense history in Korea. In the research analysis of our national defense history compilation in Chapter 3, we focused on the compilation organization and compilation system, research organization and human composition, compilation work system,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field. Chapter 4 presents a development plan based on the analysis in Chapter 3.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setting up policies and composing organizations to develop military affairs, as well as military research institutes that compile and publish national defense history books regularly.

      • KCI등재

        일본 지리교육 연구의 최근 동향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이동민,양자연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9 사회과교육연구 Vol.26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trends in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in Japan. The titles and keywords of the academic articles on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published in The New Geography, The Journal of Social Studies, and Journal of Japanese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for the Social Studies during 1998-2018 were chosen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31 core concepts were drawn, and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semantic network, concepts related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geography and social studies, environmental education, regional education, and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were positioned as relatively major nodes. On the other hand, concepts of geography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geospatial technologies were positioned as comparatively minor nodes. Follow-up studies on detailed discussions of individual Japanese geography education researches and the change and improvements in future trends in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in Japan would probably suggest meaningful implications for South Korean geography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 지리교육 연구의 최근 동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신지리(新地理)》, 《사회과교육연구(社会科教育研究)》, 《사회과연구(社会科研究)》에 1998-2018년간 수록된 지리교육 연구논문의 제목과 핵심어이다. 언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 31개의 핵심개념들이 도출되었다. 일본 지리교육 연구동향에서는 사회과 지리 학습 및 수업, 환경교육, 지역 학습, 방재교육 등의 주제가 중심적이었고, 초‧중등지리가 비교적 균형있게 다루어졌으며 고등지리교육 연구도 이루어졌다. 반면 교사교육, 교육과정, 공간정보기술 등의 주제는 상대적으로 주변적이었다. 일본 지리교육 연구의 논의와 방법론, 미래 연구동향의 변화와 발전 등에 대한 심층적‧맥락적인 후속연구는 우리나라 지리교육 및 사회과교육의 발전에도 적지않은 시사점을 제공하리라고 기대된다.

      • KCI등재

        이용자연구와 실용연구 분야의 학제적 융합 가능성 도출 연구

        이지연,감미아 한국정보관리학회 2018 정보관리학회지 Vol.35 No.1

        본 연구는 실증적 데이터의 검토 및 분석을 통해 이용자연구와 실용연구 분야의 특징을 발견하고, 이용자연구와 실용연구 분야의 융합 가능성을 논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용자연구의 개척 및 확장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실용연구 분야 중 UX 연구를 선택하여 비교하였고, 이용자연구 영역과 UX 영역의 주제어 및 분야별 중복도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국내 이용자연구 3,370개 논문과 국내 UX 연구 2,413개 논문, 국외 이용자연구 3,875개 논문과 국외 UX 연구 2,515개 논문을 수집하였고, 단순 출현빈도를 포함한 계량정보학적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맵핑 및 순위 선정, 시기별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의 이용자연구와 UX 연구 중복도는 국외보다 낮은 편이었고, 분야 간 협업의 활발성이 중복도와 연관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었다. 시기별 분석을 통해 이용자연구와 UX 연구간 중복되는 키워드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발견하였기에, 향후 이용자연구와 실용연구 분야 간의 융합이 활발히 일어날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ims to discover various aspects of the user studies and the research in practice and also to propose collaboration methods by empirical analysis of the data. To determine the application applicability of the user studies in other subject areas, the degree of keyword overlap between the user studies and the User Experience (UX), one of the research in practice discipline, was measured. The quantitative information science methods including simple frequency analysis were applied to more than ten thousand published papers to generate the network mapping and ranking as well as comparative analysis by time.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slightly lesser overlap between the user studies and the UX in the domestically published articles than the international ones. It also reveale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occurrences of collaboration and the keyword overlap. The tempor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is increasingly more keyword overlap between two disciplines and thus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active convergenc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