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팔사파자공독(八思巴字公牘)의 몽고어(蒙古語)와 백화직역(白話直譯)에 대한 대조연구(對照硏究)

        박영록 ( Young Rok Park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大東文化硏究 Vol.82 No.-

        元代白話는 몽골어에 대한 直譯體라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직역체 백화를 연구함에 있어 가장 일차적인 텍스트는 몽골어 원문과 원대 및 명대 초기의 백화 對譯文이 동시에 제공되어 있는 파스파 문헌 및 『元朝秘史』 등의 자료를 꼽을 수 있다. 현존하는 파스파 문헌은 일부의 사례를 제외하면 종교단체에 특혜 사항을 포고하는 동시에 해당 종교의 충성을 요청하는 관방문서이므로, 대략 통칭하여 “公牘”이라 부를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公牘을 하사받은 각 종교단체는 이러한 공독을 비석에 새겨 게시하였는데, 그 형식은 ① 몽골어 원문만 석각 ② 漢語(白話와 古文포함)로만 석각 ③ 몽골어 원문과 백화 대역문의 동시 석각 등 세 종류가 존재한다. 이들 중 세 번째 형식은 원문과 번역문을 하나의 비석에서 위아래, 혹은 앞뒤에 병기하는 것이므로 여타의 직역문 보다 가장 축자적 직역에 가까우며, 모두 20편이존재한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연구는 대체로 직역체 백화에 보이는 생경한 표현이 몽골어의 어떤 어구에서 비롯된 것인지, 해당하는 몽골어 원문을 제공하는 것에 치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직역체라고 해도 器械性에는 정도성이 있게 마련이며, 번역자들은 원문을 축자적으로 직역해야 한다는 원칙과 중국어 화자들이 받아들일 수있는 범위 내에서 고민을 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실제 가장 축자적으로 직역이 이루어진 위 ③ 유형의 석각문에서도 직역의 여러 가지 스펙트럼이 나타난다. 이 글은 ③ 유형의 파스파 석각문을 대상으로, 이른바 직역문이 보이는 여러 가지 번역법및 몽골어 원문과 비교했을 때 비직역적 요소들이 얼마나 되는지 살펴본 것이다. Spoken Chinese of Yuan Dynasty is marked by direct translation style of Mongolian Text; so it is called direct translation style spoken Chinese. Phags-pa Texts and 『Yuan Chao Mi Shu』are the most important texts in this field, because they have original Mongolian and its paginal translation by Spoken Chinese. In most existing cases, Phags-pa Texts were official documents, which had issued preferential treatment for religious organizations even though they had mentioned some demands for allegiance at the same time. So many of religious organizations who was awarded these documents, erected memorial stones in order to put up. There were three types of carving for memorial stones : ① just Mongolian ② just Chinese ③ Monglian+Chinses. Today, Just 20 pieces of the third group is existing, and the degree of word-for-word correspondence in translation is the most obvious. In most cases, previous studies have given attention to find out which is original Mongolian text for some awkward direct translational spoken Chinese. However, so-called word-for-word translation can`t always one-to-one match between original Mongolian and Chinese, and the way of translation differ from individual to individual. To the translator, word- for-word translation is a principle, but they must think carefully about the acceptable bounds for Chinese. So even in the third group, expressions of translation are very various. It represented that direct translational spoken Chinese was close to actual spoken Chines.

      • KCI등재

        법률서비스의 통합방안

        신홍균 한국법학원 2010 저스티스 Vol.- No.121

        법률서비스의 통합 논의는 규모와 범위의 경제에서의 효율성을 신장시킬 수도 있다는 점에서 시작되고 있다. 그러나 서비스의 통합은 기존 직역들의 개폐를 전제로 할 수도 있다. 법률직역과 인접직역의 구분은 여러가지 긍정적인 기능을 담보한다. 그러나 법률사무의 정의가 어렵다는 점, 또한 상이한 사회적 배경을 가진 각종 직역이 제공하는 법률서비스가 경합시장에서 공공재적 성격의 서비스를 퇴출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직역구분은 부정적인 기능도 함께 갖고 있다. 그러한 부정적인 측면이 직역의 통합을 통해서 극복될 수도 있으나, 각 직역의 사회적 기능과 이에 대한 인식의 혼란 문제, 자격제도의 정비 문제, 그리고 실질적으로 이용자 후생이 증대될 수 있는 통합 직역의 선정 등이 먼저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법률직역이 제공하는 공공재적 기능이 담보되면서 이용자의 후생이 증대되고, 아울러 법률서비스의 경쟁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보장되는 자격제도가 필요하다. 요컨대 법률서비스의 통합의 방정식은 변호사의 새로운 사무의 모색을 통해서 수익성이 확보되고, 동시에 독점 사무의 폐지 내지 완화를 통해서 이용자의 후생이 증대되는 방식의 추진이다. 독점사무의 폐지 내지 완화는 인접직역의 법률상담 사무 허용으로서, 이는 법률서비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보완 조치를 요한다. 달리 말하면, 변호사가 새로운 수익 시장을 확보하지 않고, 기존의 직역을 시장에서 배제하는 형태의 법률서비스 통합은 이용자의 후생 증대에 기여하지 못할 것이다. 또한 인접 직역이 법률서비스시장에 진입하는 경우에 프랑스의 경우와 같이 시장 수요의 반응을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 변호사의 법률서비스 시장점유율이 줄어들 수도 있고, 그 반대로 법률상담 등의 일부 시장이 활성화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나, 인접직역의 전문자격사에 대한 연수, 교육 등을 통해서 법률서비스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또는 현재로서는 그 시점을 예측하는 것은 어렵지만, 법률서비스의 공익적 특성을 고려하여 시장의 판단이 아닌 공공의 이익의 차원에서 법률서비스의 경쟁력과 품질을 담보하는 정책이 필요할 수도 있다. 시장에서의 역선택을 방지하기 위한 정책이 그에 해당한다. 예컨대, 프랑스의 다르와 위원회보고서가 지적하듯이, 인접 직역의 자격기준을 상향조정하는 방식이거나,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직역의 수를 조절하는 것이다. 또는 인접직역의 통, 폐합이 필요할 수도 있다.

      • KCI등재

        17∼18세기 초 울산호적대장의 여성 지칭어와 호주의 직역관계- ‘氏’와 ‘召史’를 중심으로 -

        박종현 부산경남사학회 2015 역사와 경계 Vol.96 No.-

        This study analyzes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of the head of family according to female titles in the 17th and the early 18th centuries utilizing the achievement of the computerization project of census registers of Ulsanbu, there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male titles and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and the class identification. First, the present study grasps the facets of female titles of each Myeon of Ulsan. Based on this analysis, it examine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female titles. Then, it arranged the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of the head of family according to the female titles. To sum up, whereas the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using ‘Si(氏)’ were clearly distinguished, the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using ‘Sosa(召史)’ had an aspect that a variety of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were mixed. In the light of this, it can be assumed that the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which were able to use ‘Ssi(氏)’ were distinguished from other commoners under the status system and that the other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using ‘Sosa(召史)’ did not intend to differentiate itself within its hierarchy system from the early 17th century. Finally, this article also provided a brief description on the year of 1729 as when the new female title, that is ‘Seong(姓),’ emerged. It is revealed that the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using ‘Seong(姓)’ were the class trying to enter to the class that utilized ‘Sosa(召史)’ in the later 17th century and ‘Ssi(氏)’ in the earlier 18th century. 본 연구는 울산부호적대장의 전산화사업의 성과를 활용해 17세기∼18세기 초반의 여성 지칭어에 따른 호주의 직역을 분석해 여성 지칭어와 직역관계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계층 구분 의식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먼저 시기 별로 울산 각 면의 여성 지칭어를 양상을 정리했다. 이를 통해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고, 지칭어의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여성 지칭어에 따른 남성 호주의 직역(職役)을 정리해 각 지칭어별 직역을 정리했다. 그 결과, 씨를 쓰는 직역이 명확하게 구분되는 반면 소사를 쓰는 직역은 여러 직역들이 혼재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17세기 초반부터 씨를 쓰던 직역이 양천제 하에서 다른 양인과 구별되는 계층으로 분리되었고, 나머지 소사를 쓰는 직역들은 혼재해 쓰고 있어, 소사층 내에서 계층을 구분하려는 의식이 약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성(姓)이라는 새로운 지칭어가 등장하는 1729년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성을 사용했던 직역들은 17세기 후반에 소사를 쓰고, 18세기 초반에 씨를 쓰는 층으로 진입을 시도했던 직역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법률전문직의 성격과 직역통합의 논리

        박경재(Park, Kyung-Jae )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법학연구 Vol.52 No.4

        로스쿨의 도입으로 법조인력공급제도가 획기적으로 변화되었다. 로스쿨제도가 정착되면 다양한 영역의 전문변호사가 대량으로 배출되어 저렴한 가격으로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법률소비자인 국민의 권익보호에 도움이 된다. 다만 로스쿨제도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그 제도도입의 취지에 걸 맞는 활동공간을 로스쿨출신 변호사에게 제공해 주어야만 한다. 실제로 로스쿨의 본고장인 미국에서는 법조직역이 변호사로 단일화되어 있고, 변호사 외에 특정 분야만의 법률업무를 담당하는 법률전문가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로스쿨 출신의 변호사가 다양한 영역에서 전문변호사로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개별법조직역이 매우 다양하게 발전해 왔고, 각 직역은 그 고유의 업무영역을 확보하여 독립된 법조직역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로스쿨출신 변호사가 전문변호사로서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개별법조직역과 사이에 직역통합 내지 직역조정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법률전문직간의 직역통합은 로스쿨제도의 정착, 법률소비자의 이익에 직접적이고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논리적으로 법률전문직의 통합은 로스쿨제도의 정착에 필수적 요소이며, 로스쿨제도가 정착되면 법률소비자인 국민의 권익이 신장되므로 법률전문직의 통합은 법률소비자의 보호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다양한 개별 법률전문직의 존재가 보다 국민친화적이고 저렴한 가격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직역통합이 반드시 법률소비자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단정할 수 없다. 따라서 직역통합을 논의함에 있어서 그 구체적인 효과는 어떠하며, 법률소비자의 권익보호를 위한 직역통합의 조건은 무엇인지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해가 상반하는 개별직역 사이의 통합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개별 직역간의 이해를 합리적으로 조정하고 상호간의 형평성을 담보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는바, 변호사 직역으로의 통합과 개별직역의 신규선발중지 및 개별직역 자격자에 대한 특정변호사자격의 부여 등이 현실적 실현방안의 하나로 검토될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은 법률소비자인 일반국민이 고품질의 전문화된 법률서비스를 보다 저렴한 가격에 제공받는 것이며, 이를 담보하기 위해 변호사의 대량공급과 법률서비스시장의 투명성확보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담보를 전제로 개별직역이 모두 참여하는 법률전문직의 통합에 관한 구체적인 논의가 조속히 시작되어야 한다. Recently lawyers supply system has been changed significantly, due to the adoption of law school, consumers strongly need to get legal service of high-quality and affordable price, and law school system make it possible. however,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system, practice areas of their own should be provided to the lawyers of law school. in Korea, there are various range of legal professions as patent, tax, registration etc. but in the United States as the origin of law school system, it is unified with attorney as legal professions. therefore for the attorney to fulfill its own role, it is necessarily determined that the unification of legal professions should be made and the unification should strive toward legal consumer. In conclusion, it is key elements for consumers to get a legal service of high quality and affordable price. for guarantee this, it should be prerequisite that the large supplies of lawyers are maintained and the transparency of legal service market is secured. This paper has two big themes about the unification of legal professions. one is to research the necessity of the unification and its specific effects, and the other is to review the conditions of unification for legal consumers.

      • KCI등재

        조선후기 호적상 무임직역의 계승과 변동-대구부 읍치와 외촌에 거주하는 몇몇 가계들을 사례로-

        이동규 ( Dong Gue Le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大東文化硏究 Vol.87 No.-

        조선후기 지방사회는 邑治地域에서의 鄕吏, 外村地域에서의 幼學으로 대표되는 士族이 世居하며 중앙에서 파견된 首領과 함께 이들이 일정한 지역을 유지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邑治지역은 각종 행정기관, 군사시설, 교육시설 등이 존재하여 여러 機關에서 필요한 業務와 施設維持를 위해 다양한 職役을 가진 階層이 분포하고 있었다. 지방의 行政的業務를 鄕吏가 맡고 있었다면, 지방의 軍事的業務를 맡는 이들로 다양한 명칭의 軍官.將校를 포함한 武任들이 존재했다. 武任職役에는 軍官.將校와 함께 閑良.業武.武學과 같이 武를 業으로 하며 實職이 부여되지 않은 이들도 포함된다. 閑良.業武등은 기본적으로 武科준비의 이유로 實職이 부여되지 않았지만 이들은 鎭과 營으로 부터 각종 軍官.將校직책을 제수받기도 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職役들을 武任職役으로 범주화 하였다. 武任職役을 가졌던 이들이 세대를 거듭하며 어떠한 職役으로 계승 혹은 변동의 양상을 보이는지에 대해 분석함이 본고의 핵심이다. 朝鮮後期都市部의 특징을 잘보여줄 수 있는 大邱府를 대상으로 邑治와 外村을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邑治지역으로 西上面과 東上面, 外村지역으로 解西村面을 연구 대상지로 삼았다. 본고의 분석방법에 있어서의 특징은 단순한 가계도 구축을 통한 장기양상 분석이 아니라 개인적 차원에서 일생의 職役변동과 세대 간 이루어지는 변동을 함께 도식화하여 분석한 것이다. 몇몇 가계들을 통한 사례 분석을 이용하여 邑治지역에서 武任職役을 일정하게 계승하려고 했던 가계들을 발견하였다. 그 가운데서는 幼學職役을 획득하기도 하지만, 그 職役은 개인에만 머무르며 子나 孫으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閑良, 業武와 같이 실직이 부여되지 않은 職役의 경우 60세 이후가 된 이들이 이전 職役에 비해상향된 職役으로 제수받고 있는 경향성 또한 확인해보았다. 邑治지역에서 확인된 몇몇 가계를 통해서 본 조선후기 ‘中間階層’의 가계는 신분의 상승보다는 현상의 유지, 지위의 하락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더 기울인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개인의 職役은 일생을 통해 빈번하게 변동하고 있기 때문에 개인을 기준으로 세대 간職役변동을 위한 분석에 있어서는 개인의 주된 職役, 主職役을 어떻게 설정한 것인 지 고민이 필요하다. 그러한 문제의식에 대해서도 본고에서는 답하고 있다. 大邱府邑治와 外村지역의 戶籍臺帳과 몇몇 가계의 족보로부터 복원하여 파악된 가족과 가족 구성원들의 職役의 연속성과 변동을 통해 조선후기 都市部에서 일정하게 武任層을 설정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였다. 또한 지방 향촌사회의 지속과 변동이라는 역사적 의의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심화시키고자 하였다. Local societies in the late Chosun Dynasty are known to be maintained by local government officer(鄕吏) in downtown, noble families(士族) who were Yuhak(幼學) and lived in outskirts areas generations after generations, and governors(首領) sen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here were all kinds of administrative agencies, military facilities, educational facilities, and so on. So there were many classes with various occupations to work for the facilities and maintain the facilities. While local government officer did administrative works, military officer conducted local military works. Military occupation included military officer(軍官·將校) and HanRyang(閑良), UpMu(業武), and MuHak(武學) who were officially trained in military but were not nominated. HanRyang (閑良) and UpMu(業武) weren``t nominated because they were preparing the military examination(武科), but they were invested for military officers(軍 官·將校) from Jin(鎭) and Young(營). I categorize these occupations as military occupations in this pa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succession and changes of the military occupation generations after generations. I analyzed DaeGu-Bu(大邱 府), where we could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the city, by dividing it into downtown and outskirts. Sites selected for the study were SeoSangMyeon(西 上面)and DongSangMyeon(東上面) for downtown, HaeSeoChonMyeon(解西 村面) for outskirts. The characteristic of analyzing method in this paper is not to analyze long term aspects through simple family trees, but to schematize lifetime occupation changes in persons and changes through generations. I found some families trying to succeed military occupations in downtown through case analysis. Some of them actually acquired Yuhak(幼學), but it belonged only to him, did not succeed to his sons or his grandsons. For HanRyang(閑良) and UpMu(業武) who weren``t nominated officially, I found the tendency that they got higher occupations than before when they were over sixty. Middle class families in the late Chosun Dynasty seemed to have made efforts to maintain or not to deteriorate their status rather than to rise their status. Also, we need to think about the analysis for occupational changes through generations how we are going to choose the main occupation for the person because personal occupation was changing a lot through his lifetime. I am answering those problems in this paper. I have studied genealogies and family registers of the downtown and outskirts in DaeGu-Bu(大邱府), which were restored and identified. I supply the clue to set up military occupation in the downtown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rough the occupational succession and changes of the families and family members. Also I try to intensify our understandings of the historical significance to duration and changes in the country districts.

      • KCI등재

        고려 전시과의 운영과 영업전·구분전

        吳致勳(Oh, Chi Hoon) 한국사학회 2018 史學硏究 Vol.0 No.131

        전시과는 영업전과 구분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흔히 분급 토지는 職田혹은 永業田으로 표현되었으나 구체적으로는 영업전과 구분전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영업전은 관직과 직역이 계승되는 한 회수되지 않고 해당 가계에 계승되는 토지이므로 그렇게 불렸으며 곧 職田이었다. 즉 관직․직역의 계승을 조건으로 세습이 되는 토지를 뜻했다. 그러므로 누구나 동일한 면적의 영업전을 갖는 것이 아니라 신분과 직역에 따라 영업전의 규모는 달라질 수밖에 없었다. 반면 구분전의 토지 액수는 일정하였다. 구분전의 경우는 5품 이상 8결, 6품․7품은 8결, 8품 이하는 5결로 정해져 있었다. 구분전은 영업전과 달리 관직․직역이 단절되는 경우에 지급되는 토지였다. 관직과 직역이 계승되지 않을 경우 국가에서는 구분전만 남겨두고 영업전을 회수하였는데, 때문에 구분전은 유족을 위한 휼양의 성격이 있었다. 고려에서는 기본적으로 관직과 직역 수행자 모두에게 전시과를 지급하였다. 관직이나 직역을 매개로 계승되는 토지를 영업전이라고 불렀으며, 계승이 단절될 경우 구분전만 남기고 토지가 환수되었다가 종국에는 구분전도 국가에 반환되었다. 이런 점에서 고려의 영업전과 구분전은 중국의 균전제 하에서 실시된 영업전, 구분전의 운영 방식과 유사한 점이 있다. 영업전은 계승이 되고 구분전은 국가에 반환되는 측면이 같다. 하지만 이런 방식이 관직․직역을 매개로 운영되었음에 큰 차이가 있다. 전시과에서는 관직과 직역의 수행 및 계승이라는 조건이 매우 중요했고 이에 따라 전시과의 지급도 지속되거나 중단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고려의 영업전과 구분전은 이와 같은 전시과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Jeonsigwa(田柴科) is composed of youngeopjeon(永業田) and gubunjeon(口分田). Often expressed as jikjeon(職田) or youngeopjeon, jeonsigwa was specifically divided into youngeopjeon and gubunjeon. Youngeopjeon was called that way because it is land that is not reclaimed but inherited to the household as long as gwanjik(官職; official position) and jikyeok(職役; official work) are inherited, and therefore jikjeon. In other words, it was a land that became hereditary under conditions of succession to gwanjik and jikyeok. Therefore, the size of youngeopjeon has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status and position, not everyone has the same area of youngeopjeon.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gubunjeon was fixed. In the case of yangban(兩班) gubunjeon, above pum(品) 5 and pum 6․7 was set at 8gyeol(結), between pum 8 to pum 9 was set at 5gyeol. Unlike youngeopjeon, gubunjeon was paid in the event of a severance of government and office. If the gwanjik or jikyeok were not inherited, the government recalled youngeopjeon with only gubunjeon left, so gubunjeon had the characteristics of support for the bereaved family. In Goryeo, jeonsigwa was basically given to all who execute official duties. The land that was inherited by government or service was called youngeopjeon, and if the inheritance was cut off, the land was returned to the country, leaving only gubunjeon. And finally, gubunjeon was returned to the country. In this regard, the youngeopjeon and gubunjeon of Goryeo are similar to the operation of the youngeopjeon and gubunjeon systems which were conducted under the China’s gyunjeonje(均田制). The operating method that youngeopjeon is inherited and gubunjeon is returned to the country is similar to the Chinese system. However, there is a big difference that this method is managed by gwanjik and jikyeok. In the jeonsigwa(田柴科) system, conditions for succession to gwanjik and jikyeok were very important and these conditions also led to the continued or discontinued payment of jeonsigwa. The youngeopjeon and gubunjeon of Gorye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jeonsigwa(田柴科) system.

      • KCI등재

        논문(論文) : 중국 고대의 직역(職役)과 직관(職官)의 문제

        朴建柱 중국사학회 2013 中國史硏究 Vol.87 No.-

        通過上述的檢討, 基本上職役範疇內的多種身分, 乃至階層與吏職之類·其服務形態·至三國期的傳承與變化等方面已然解明. 職官與職役服務者的一般요役均免除了. 此二者中職役服務者 用種種‘吏職’與‘給吏職’服務來代替其一般요役. 直至三國時期爲至漫長的期間內職役擔當者「庶民在官者」·‘非吏而給事官府者’·‘官與民之間者’·‘半官半民’的性格궤乎共通維持着. 職役擔當者的淵源卽是<周禮>所見的官吏組織最下位的府·史·胥·徒. 此中 府史是大略屬于後代연史職或是<吳簡>的諸吏, 胥徒則是相通于給吏層的側面多的. 但是<吳簡>所見多數的吏役下吏戶其過重的負擔與시役及貧賤的性格上, 倒是與胥徒相通方面較多. 這個時代的差異像是吏戶的隸屬化及世襲化的進展招來的結果. 一方面因爲時代的與件差異, 胥徒與後代的職役擔當階層間有多方面的異質. 胥徒與給吏層基本上是一般庶民出身的「服工事者」, 如此不同, 從周至三國期間從「服工事者」上是同類而與一般庶民相區分的多種相異的階層面上身分較多. 例如, 「工商食官」所屬的工商·「조隸食職」所包含的「吏所屬的徒隸」層·以廣義的徒隸層可以稱謂的조·隸·牧·圄·僕·輿人, 以及下吏層所屬的樂·祝·醫·衛士 及走卒·伍伯之類等. 他們的出身是一般庶民, 或是賤民乃至刑徒, 在官府寄生而給事的層面上是共通的. 其服務形態是恒常的勤務、一時的勤務、組別交代制等以多種方式徵發乃至差出, ‘冗’與‘更’是其差異區分用的用語. 支給勤務報酬與否是不分明之事項, 可是至少生業官府依託者是被支給的, 其支給方式是與年俸制相對的稍食, 卽少額的月俸乃至勤務日數基準的支給方式, 因此他們的勤務和支給計算主要是日單位或是月單位. 於<吳簡>之<吏民簿>·<戶口簿>等所見的吏與給吏的實態, 可以看到從後漢末至三國期間典型的職役的樣相. 尤其向來看過給吏的存在, <吳簡>所傳數十種給吏的實態, 其意義是巨大. 給吏是以直接的勞役補助吏的事務業務, 是官府的行政業務處理上恒常的必要勞動力提供者. 這種勞動力許是官府運營上至今爲至所有過的任何時期共通要緊事項. 可以推斷給吏的淵源於<周禮>的胥徒, 而且可以指摘以職役的實例有多方面共通的層面. 後漢末三國時期的吏與給吏是一般庶民身分之吏, 以吏戶隸屬於官府, 其食口成員率多世襲地從事吏役. 他們除比一般庶民免一般요役外, 也需要履行各吏職別吏役的基本職務、佃作限田義務、 以其地租納付限米·布·錢、 從軍義務等重疊的賦役, 因此他們有比一般庶民更重的負擔. 而且他們的戶品是下品乃至下品之下所屬的貧戶出身. 從而他們雖一樣稱謂‘吏’, 却與豪族勢家出身經歷연史職進級上級命官的累代高族的世家出身的연史與以貧賤的庶民出身於官府隸屬的吏戶出身的연史是不同的階層. 這個吏家乃至吏戶雖被稱謂‘吏’, 但是彼役後漢三國期被稱謂賤役、賤職乃至시役, 而且被忌避. 從而此階層是與‘官吏’合稱的境遇的‘吏’爲區分是理所當然, 其稱號也只得相殊. 于是最遲至少到於孫休時期文書與簡牘資料所見的‘吏家’與‘吏戶’許是已經成爲如此階層的專稱. 依照給吏的役是一般요役代替的服役, 其運營形態是非常勤乃至輪番形式的可能性大的, 但是흘今依據<吳簡>所見的資料還難以斷定何者是對的. 胥徒的役是與上級官員異樣, 以一般民的요役義務代替給事於官府. 本着那樣的側面與<吳簡>所見的給吏相通. 給給吏俸祿與否也還不明. 但是從限田的支給是與祿田同一的性格的可能性上看, 因爲其租額是多的, 與其說惠澤倒是有可能解釋爲勞動力的徵發. 給吏的官府給事是與一般요役同一方式的組別交代制與否還不分明. 如<奏諺書>所見樂人的事例, 有可能一月一更制方式交代勤務制, 筆者認爲大體上是兩個方式共存. 關於<吳簡>資料的議論是因爲解釋與解明上許多異說, 不分明的關聯事項也有흔多, 所以該事項的解明將其完備需要補完.

      • KCI등재

        18세기 중엽 사근도(沙斤道) 소속 역인(驛人)의 직역과 신분 - 1747년 “사근도형지안(沙斤道形止案)” 자료의 분석 사례 -

        임학성 ( Lhim Hak Seong ) 한국고문서학회 2017 古文書硏究 Vol.51 No.-

        이 논문은 경상북도 문경시의 `옛길박물관`에 소장된 1747년 작성 “沙斤道形止案” 자료에 수록 된 驛人들의 職役·신분이 어떠했으며, 또 어떠한 변동 양상을 보였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사근도형지안”은 경상도 咸陽에 위치한 沙斤驛을 본역으로 하고 인근 14개 驛을 편제한 沙斤道의 역인 현황을 조사·편제한 자료로 그동안 학계에 전혀 소개된 적이 없는 新발견 자료라는 점, 특히 기존에 공개된 여타 형지안과 달리 역인들에 대한 인적 정보가 매우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는 점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자료의 분석 결과 확인된 주요 양상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1747년 작성된 “사근도형지안”의 경우 驛吏는 일반 호적의 驛吏戶와 유사하게 기재된 반면, 驛奴婢는 그 직역·신분의 귀속을 명확히 판별하려는 목적으로 `驛卒降奴秩`, `(驛女)嫁公·私賤所生秩`, `(驛吏)娶公·私賤所生秩` 등과 같이 별도의 항목으로 묶어 기재하였다. 둘째, “사근도형지안”에서 확인되는 驛人의 종류는 驛吏, 驛奴, 驛婢와 日守, 保人 등이었다. 그런데 일수와 보인의 경우 자신들만의 독립 `戶`로 편제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18세기 중엽 사근도의 주요 역인은 역리와 역노비로 구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사근도 전체로는 역리가 70%의 압도적 점유율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역노가 20%, 역비가 10%, 그리고 일수의 점유율은 1% 정도에 불과하였다. 넷째, 18세기 중엽 사근도 소속 역노비의 신분 귀속 경향은 父의 직역·신분이 역노·노비였던 자가 64%로, 그리고 母의 직역·신분이 양녀·평민이었던 자가 52% 등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역노비의 부모 결합 경향은 <역노·노비(父)+양녀·평민(母)>이 48%로 절반가량이나 되었다. 다섯째, 18세기 중엽 사근도 소속 역인들의 직역·신분 변동 양상은 주로 역노비로 하락한 경우가 많이 나타났지만, 역노비의 직역·신분 상승 사례도 적잖이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사근도형지안” 자료에서는 역인이 驛役에서 벗어난 경우도 多大하게 확인되었는데, 그 사유로는 老除 및 사망, 도망 등이 가장 빈도가 높았다. 이밖에 私奴, 軍保, 成均進士가 되었거니 驪興君의 후손이었다는 등의 다양한 사유로 驛役에서 벗어나는 경우도 발견되었다. 1747년 “사근도형지안” 자료를 분석하여 역인의 직역·신분 양상을 살펴본 결과 “사근도형지안” 자료가 지니고 있는 가치를 명확히 드러낼 수 있었다. 이 자료는 驛人帳籍이라는 형지안 본래의 성격을 매우 충실하게 지니고 있으며, 그런 이유로 현존하는 조선시대 최상의 驛(道) 形止案 자료라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changes in the jikyeok(work of life: 職役) and status of the station workers(驛人) in the mid-18th century.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is the “Sageundo Hyeongjian(Census Register of Sageundo Stations: 沙斤道形止案)” written in 1747, which was collected in the “Museum of Old Roads(옛길박물관)” of Mungyeong City(聞 慶市), North Gyeongsang Province(慶尙北道). “Sageundo Hyeongjian” is a survey of the current status of stations in the area of Sageundo Stations(沙斤驛) in Hamyang(咸陽) area of Gyeongsang and 14 nearby stations. This data was recently discover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Sageundo Hyeongjian”, the station officials(驛吏) are described similar to those of the census register, while the station servants(驛奴婢) are classified for the purpose of clearly identifying his or her status. It is listed as a separate item such as `Yeokjolkangnojil(驛卒降奴秩)`, `Yeoknyeogakongsacheonsosaengjil(驛女嫁公私賤所生秩)`, and `Yeokrichuikongsacheonsosaengjil(驛吏娶公私賤所生秩)`, etc. Second, the types of station workers identified in the “Sageundo Hyeongjian” are the station officials(驛吏), station servants(驛奴婢), station clerks(日守), etc.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station clerks were not organized as their own independent “Ho(household: 戶)”. Therefore, the main station workers of the Sageundo Stations was composed of the station officials(驛吏) and the station servants(驛奴婢). Third, in Sageundo Stations, station officials has an overwhelming share of 70%, followed by station man-servants(驛奴) of 20%, station woman-servants(驛婢) of 10%, and station clerks(日守) of 1%. Fourth, the station servants belonging to Sageundo Stations were found to be 64% of those whose father was a station man-servant and 52% of those whose mother was a common woman(良女). As a result, the parents` union of the station servants were 48% of the “father: station man-servant + mother: common woman”. Fifth, the station workers belonging to Sageundo Stations were generally downgraded to the status. However, We were able to confirm a lot of the station servants that raise their status. In conclusion, by analyzing the data of the “Sageundo Hyeongjian” in 1747, we can clearly show the value of the data. This data is very faithful to the original nature of the scheme, which is the census register of the station, and for that reason, it can be regarded as the best data of the present Joseon dynasty era.

      • [招請論文] 元代蒙文站赤及捕獵文書的漢語直譯與文譯

        洪金富(홍금부) 한국교통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19 동아문헌연구 Vol.- No.-

        몽골이 중국을 통치하고, 원 왕조를 건립하면서부터 중국에서 몽골어가 ‘국어’가 되고, 위구르차자(Uighur)자모와 뒤에 만든파스파(八思巴; ’Phags-pa)를 포함하여 몽골문자가 국자로 되는상황이 나타났다. 몽골어문서는 곧 몽골자모로몽골어를 표기한 관방문서인데, 여기에는황제의 성지(聖旨), 태후와 황후, 공주의 의지(懿旨), 태자나 왕들의 영지(令旨), 그리고 각급 관료나 관청에서 주고 받는 행정문서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공문은 대체로 원문은 몽골어로 작성되고, 아울러 그 당시에 흔히 ‘직역체 한어’라 부르는 어색한 억지번역체의 중국어로 번역이 함께 진행되었다. 그런데 이후 몽골어 원문은 거의 일실되었으므로 직역체 한어 문서가 1차 자료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이후 법전이나 사서의 편찬에서 이들 직역체 문서를 그대로 가져다 쓰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든 고쳐쓰기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고쳐쓰기는 대체로 문언화의 경향이 있으므로이글에서는 ‘문역(文譯:문언문으로의 번역)’이라 한다. 현존하는 모든 직역문, 그리고 그에 대응하는 문역문을 고찰할 수는 없는 것이므로, 이글에서는 《원전장(元典章)》에서 〈참적(站赤)〉과 〈포랍(捕獵)〉 부분의 직역문을 대상으로 하여 후대 문서에서 동일 기사에 대응하는 문역문을 비교한 것이다. 이를 통해 1차 사료로서 직역문의 중요성, 그리고 사서의 기록에서 생략된 문구가 가져올 수 있는 오류 가능성 등에 대해 살펴볼 수 있다. 아울러 원대나 원명교체기와 같이 직역문을 직접 접했을 사람들도 직역체 한어에 대해 잘 못 이해하였을 가능성을 볼 수 있으며, 현대 학자들이 직역체 한어 문장을 볼 때 극히 신중해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The research object of this article is the Chinese scripts literal translation of the Mongolian documents in the Yuan Dynasty. The rewriting of Chinese literal translation characters, whether it is to maintain the simple modification of the literal translation style, or to translate into spoken Chinese or even Chinese classics, it may happen that the original meaning is not changed or the original intention is damaged to varying degrees. How the actual situation has never been verified by scholars. The most primitive first-hand historical materials should be the most accurate and reliable. However, the Yuan Dynasty Mongolian scripts documents have been lost, and its direct translation of Chinese has become the primary research object of Yuan history. Scholars in the Yuan Dynasty or the Yuan and Ming transitional period, especially those who have contact to the literal translation, are responsible for this kind of work. For example, scholars who actually engage in or supervise the translation of Mongolian literal translation into Chinese, and then incorporate it into books, can they correctly understand the documents processed and perform accurate editing work? The most primitive surviving Chinese literal translation documents of the Yuan Dynasty, Was it still faithful to the literal translation of the Yuan dynasty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modification into Chinese classicalization, and when it was rewritten and incorporated into the History of Yuan (Yuanshi) in the early Ming Dynasty? Or have different degrees of deviation been produced? I limited my research to two aspects: post station (the so-called “站赤Jamči” by Yuan Mongolian people) and hunting. There are two reasons for this: First, the post system and falconry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by the Yuan government. The second is that the relevant information in these two areas is relatively concentrated. The material is limited to the literal translations seen in the three volumes of Statutes of the Yuan Dynasty (Yuan DianZhang). Of the 125 documents in the three volumes of Jamči and Falcon Hunting in the Yuan DianZhang, 66 contained literal translations. Only seventeen of these literal translations were later translated into classical Chinese and compiled into the History of Yuan. After comparing and researching the above literatures, I found that in the early Ming Dynasty, historian did not have a careful and cautious attitude towards the historical data resources held by them. No wonder the Qing Confucian criticized the historian for writing the History of Yuan in the early Ming Dynasty. It’s not groundless. To review the detailed differences between literal translation and text translation, you must hav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literal translation. The simplification of historical documents has lost important information on historical examinations, and literal translations are undoubtedly closer to the original historical data. When using “History of Yuan” to study Yuan history, we should check Yuan DianZhang, Only then can we know the true history.

      • KCI등재

        高麗前期 직역계승과 田柴科의 구조

        오치훈(Oh, Chi-Hoon) 한국역사민속학회 2016 역사민속학 Vol.0 No.51

        고려시대 경정전시과를 수급자 구성에 따라 분석해 보면 크게 세 부류로 나뉜다. 가장 많은 토지를 받는 상위 등급은 1과에서 11과에 속하는 문․무반(Ⅰ등급)이며, 다음은 12~14과의 문․무반, 남반, 향직자로 구성되었다(Ⅱ등급). 그리고 15과 이하의 하부(Ⅲ등급)는 말단 품관과 이속, 남반, 군인 및 한인과 잡류로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전시과의 구조를 직역의 계승과 관련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점을 알 수 있다. 과거와 음서를 통해 입사한 문·무반의 자손들은 대체로 15과 이하의 토지를 받고 관직생활을 하다가 상위의 품관으로 승진하였다. 전시과 구조상 Ⅲ등급에서 Ⅱ등급 이상으로의 진출이었다. 이들은 자신의 관직에 따라 해당하는 액수를 받았으며, 품관동정은 문산계를 통해서 15과의 田 25結을 받았다. 이외에 전정연립을 통해 전시과를 계승하는 이속과 군인도 15과 이하에 해당하는 토지를 지급받도록 되어 있었다. 다만 문․무 양반 자손과 차이가 있다면 이들은 각자 맡은 직역을 담당하다가 자손, 친족에게 직역과 함께 전시과를 물려주었다. 전시과 구조상 Ⅲ등급에 머무르는 계층이다. 전시과의 하부인 Ⅲ등급은 직역을 대대로 이어가는 군인과 이속, 과거·음서를 통해 새롭게 관인사회에 진출하는 문․무 양반의 자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전자는 전정연립이라는 독특한 방식을 이용하여 자신의 직역과 토지를 유지한 반면에 후자는 입사 후 승진에 따라 더 많은 토지를 확보할 수 있었다. 직역자에게 토지를 지급한다는 것은 전시과의 목표이지만 한쪽은 직역의 고정 및 확보를 전제로 한 것이고, 다른 한쪽은 신분의 유지와 고위 관인의 자손에 대한 우대가 강조된 것이다. Gyeongjeong Jeonsigwa(更定田柴科) during the Goryeo Dynast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classes. The top class received the most land and consisted of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between 1gwa(科) and 11gwa (Level I). This was followed by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between 12 gwa and 14 gwa, as well as namban(南班) and hyangjik(鄕職) officials (Level II). Level III consisted of low-ranking officials of 15 gwa and below, isok(吏屬; subofficial functionary), namban, soldiers, and hanin(閑人). In terms of succeeding official work, Jeonsigwa system worked as below. Offsprings of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that entered the office through civil service examination or eumseo(蔭敍; protected appointment system) started as low-ranking officials that received land comparable to 15 gwa and below, and then could be promoted from level III to level II or higher. They received land corresponding to their positions, and pumgwandongjeong(品官同正) received 25 gyeol(結) of land comparable to 15 gwa through munsangye(文散階). Isok and soldiers that inherit Jeonsigwa through Jeonjeong-yeonlib(田丁連立) also received land comparable to 15 gwa and below. However, their treatment was different from offsprings of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in that they remained at their positions and then passed on both official work and Jeonsigwa to their children and relatives, remaining at Level III. The Level III officials consisted of soldiers and isok who passed on their official work to their children, and offsprings of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that entered the office through civil service examination or eumseo. While the former group of officials maintained their official work and claim to the land through a unique system of Jeonjeong-yeonlib, the latter group of officials had a chance of promotion to receive more land. Providing land to official workers was the goal of Jeonsigwa, and for some officials, it came with fixed and secured official work, while for others, emphasis was put on maintaining social hierarchy and ensuring favorable treatment for children of high-ranking offic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