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베테랑’을 활용한 외국인 학습자의 문화 문식성(cultural literacy) 교육방안

        정원기 문화영토연구원 2021 문화영토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문화적 문식성(cultural literacy) 함양을 위한 교육 방안을 제시한 연구 논문이다. 의사소통 중심의 한국어교육에서 문화적 문식성(cultural literacy)을 교육할 때 다양한 미디어 자료 중 한국 영화(K-movie)를 제재로 활용하여 교육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표면적으로 드러나 있는 문화 항목을 외국인 학습자에 노출 시켜 일차적인 교육으로 문화를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 항목과 관련된 상황이 제시된 영화와 의사소통 중심의 활동을 통해 외국인 학습자들의 문화적 문식성(cultural literacy)을 길러 줄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문화적 문식성(cultural literacy) 함양을 위한 교육 방안을 통해 외국인 학습자들은 의사소통 중심의 여러 단계 활동을 거쳐 해당 문화 항목을 가지고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면서 한국 문화를 올바로 이해하여 의사소통 상황이나 담화 상황에서 올바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하고 쓴 논문이다. This paper is a paper on how to educate foreign learners about cultural literacy. When educating cultural literacy in communication-orien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government proposed a plan to use K-movie as a sanction among various media materials. It will not educate culture as a primary education by exposing ostensible cultural items to foreign learners, but will foster cultural literacy through movies and communication-oriented activities related to cultural items. Through educational measures to foster such cultural literacy, foreign learners are expected to carry out various activities with cultural items through various stages of activity,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properly and using it in communication or discourse situations.

      • KCI등재

        문화적 문식성 교육에서 ‘공유 모델’ 구현의 방향

        박은진 ( Eunjin Park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4

        본 연구는 국어교육의 목표 중 하나인 문화적 문식성 교육에서 ‘공유모델’을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화적 문식성은 국어교육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개념 논의를 토대로 하되, 문화적 문식성 교육의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는 ‘공유 모델’을 국어교육에서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국어교육의 최대 목표가 문화적 문식성 교육에 있다고 했을 때 국어 교과서는 문화적 문식성 교육을 도모하는 문식성 교재에 해당한다. 이에 주목하여 교과서에 드러난 문화적 문식성 교육의 양상을 살펴보고, 그에 드러난 한계점을 파악한 후, 중세 사대부 여성의 문식성 실천 사례를 살펴 문식성 교육에서 공유모델 실현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논의를 진행한 결과, 목표 기술이나 학습활동의 확장 부분에서 학습자 집단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을 기존 문화적 문식성 교육의 한계점으로서 발견할 수 있었으며, 중세 사례에의 고찰을 통해 지식 공유의 양상과 그를 통한 문화 창조의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결론에서는 공유모델을 구현할 수 있는 네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way to realize “Sharing Model” in cultural literacy education. There are many discussions about cultural literacy education. Cultural literacy education is important educational goa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cultural literacy education is not materialized in education area. The concept of cultural literacy is abstract, so it is also abstract in real education field. In this discussion, I tried to clarify the concept of cultual literacy education and realize the sharing model in cultural literacy education. For this goal, this discussion tried to check up the aspect of sharing condition in Korean text book. And searched the principle of sharing theory in mid era, Chosun dynasty, looked for suggestion. In conclusion this discuss suggested four suggestions to realize sharing model in korean literacy education. Although many limitations in this discussion, this discussion have preview point in dealing sharing model in cultural literacy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재난방송 언어의 문식성 연구

        이지수 ( Lee Ji-su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1 국제어문 Vol.- No.88

        본 연구는 자연 재난방송을 대상으로 재난 유형별 언어 사용 지침을 마련한 국립국어원(2019)의 일부로, 자연 재난방송 지침의 문식성 검토를 수행한 연구이다. 재난방송 문식성 검토를 위해서는 방송 언어와 관련하여 공공 문식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더하여 ‘재난’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대한 이해를 위해 ‘문화적 문식성’ 개념에도 주목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공공 문식성’의 범주로 ‘규범성(표기·표현의 규범성), 정보 정확성, 용이성(표현·이해의 용이성)’을 제시하였고, ‘문화적 문식성’과 관련하여 ‘특수성(상황 맥락의 특수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문식성 판단을 위한 세부 기준을 마련하여 국립국어원(2019)에서 제안한 재난방송 지침의 문식성 검토를 진행하였으며, 새로이 제시된 국립국어원(2019)에서의 지침이 ‘정보 정확성’으로 제시한 일부 기준을 제외하고는 재난방송 문식성을 충족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보이고자 하였다. This study was part of a 2019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study that prepared language use guidelines by natural disaster type for broadcasting research. In addition, this study included “cultural literacy” to better understand the “disaster” context. Through these discussions, “normativeness (of grammar and expression),” “accuracy of information,” and “ease of use (of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were “public literacy” categories, and “specificity (of situation or context)” was a “cultural literacy” category. In addition, detailed standards were used for judging literacy. Finally, the literacy of the guidelines for disaster broadcasting proposed in 2019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was evaluated. The guidelines for disaster broadcasting matched the standards for literacy of disaster broadcasting, with the exception of some criteria in “information accuracy.”

      • KCI등재

        기획 주제 : 문학과 독서의 상생적 조망 ; 문학교육과 문식성 신장

        이재기 ( Jae Ki Lee ) 한국독서학회 2009 독서연구 Vol.0 No.22

        이 논문의 목적은 문식성 신장을 위한 문학교육의 위상과 전제를 탐색하는 데 있다. 필자는 공시적·통시적 맥락에서 그동안 어떤 문식성이 제안되어 왔는지 살피면서 국어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문식성으로 자발적 문식성, 기능적 문식성, 문화적 문식성, 비판적 문식성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문식성을 신장시키는 데 있어서 문학교육은 어떤 위상을 지니고 있는지, 문학교육은 어떻게 기획되고, 실천되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자발적 문식성은 여가 시간에 또는 기꺼이 시간을 내서 텍스트를 읽는 독서 성향, 또는 독자의 태도를 의미한다. 자발적 문식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매력적인 독서 경험이 필요한 데, 문학 텍스트 읽기 경험은 가장 매력적인 독서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기능적 문식성은 개인적·사회적 필요를 충족시키는 읽기·쓰기 능력이다. 지속적인 문학 독서를 통해서 기능적 문식성은 자연스럽게 형성되며, 다양한 문학 개념·지식이 ``소통의 맥락``에서 교육될때, 문학교육은 기능적 문식성 신장에 기여할 수 있다. 문화적 문식성이 개인이 공동체 생활에 참여하는 데 필요한 문화 지식이라고 할 때, 문학교육 과정은 문화적 문식성 형성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비판적 문식성은 지배 담론으로부터의 해방을 추구한다. 문학 독서의 과정은 지배적 담론을 성찰하고, 폭로하고, 해체하는 과정이면서 지배 담론에 맞는 저항 담론을 구축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문학교육이 문식성 신장을 목표로 삼을 때, 현재의 문학교육 방법론은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 먼저, 문학 텍스트와 정보 텍스트의 소통을 막는 완고한 영역 구분을 해체할 필요가 있다. 문학 독서 활동은 독자의 반응을 형성하고, 심화하고, 성찰하는 과정이다. 독자 반응의 형성·심화·성찰을 위해서는 독자, 텍스트, 맥락의 통기성을 강화해야 한다. 필자는 이를 위한 구체적인 문학교육 방법론으로 ``맥락 중심 해석 활동``을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status and direction of literary education for literacies. I investigate which literacies have been suggested over time and space, and propose literacies Korean education should follow after, such as voluntary literacy, functional literacy, cultural literacy, and critical literacy. And I argue how literary education should be planned and practiced to improve student`s literacies. Voluntary literacy means reading propensity or reader`s attitude reading text in leisure time or making time to read with pleasure. To improve voluntary literacy, it is needed to have charming reading experience and literary text reading experience is the most charming reading experience. Functional literacy means reading and writing ability meeting the need of individual and society. To improve functional literacy it is needed reading literacy text continuously, and learning various literary concept and knowledge in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Cultural literacy means the knowledge of culture needed for individual to participate in community life. Literary education is cultural literacy forming process in itself. Critical literacy pursues emancipation from the dominant discourse. Reading process of literary text is the process of reflecting, exposing and deconstructing the dominant discourse, and constructing resistant discourse against the dominant discourse. For literary education to contribute to student`s literacy improvement, current literary education methodology should be innovated. First, we need to deconstruct the stubborn domain division in korean language arts obstructing communication between literary text and informative text. Second, we need to strengthen the ventilation among reader, text and context to help reader`s forming, deepening and reflecting his/her responses. I propose ``context-centered interpretive activity`` as alternative literary education methodology.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문식성 교육과정의 향방

        정혜승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0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2 No.-

        이 연구는 아동, 발달, 문식성, 교육과정의 개념을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논의하면서 향후 초등학교 저학년 문식성 교육과정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문식성 교육과정 논의의 전제로 먼저 아동은 언어로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실천을 하는 주체라는 점, 아동의 발달은 보편적이고 결정적이라기보다 개별적이고 역동적이라는 점, 문식성은 실천의 문제로 삶과의 관련 속에서 보아야 한다는 점, 교육과정은 성인들의 희망을 효율적으로 성취하는 것보다 아동의 요구와 희망을 고려하기 위해 그들과의 협상 속에서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국어과 교육과정의 목표가 국어적 범주에서 탈피하여 ‘텍스트로 성장하는’ 아동을 길러내겠다는 교육적 포부와 비전을 제시하고, 아동이 소통의 주체로서 문식성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을 선정해야 하며, 문식성 교육 내용을 균형 있게 선정하고 배열하여 비판적 문식성 교육을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aims at research on the direction for literacy curriculum for the lower grades students in the light of socio-cultural approach of children, development, literacy and curriculum. I argue that:1)children are agents of cultural, social, political practices through language and literacy, 2)children’s development is individualized and dynamic than universal and decisive, 3)literacy is practices associated with human life, 4)curriculum is constructed by negotiation with children to consider their needs and hopes. Based on the arguments I suggest that:1)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required to present the educational aspiration and vision that includes aims of fostering ‘growing up children through texts’ beyond Korean Language category, 2)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required to select the pedagogical contents with literacy experiences for children as communicative agents, 3)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required to select the pedagogical contents of literacy with balance and to organize them systematically in order to consider critical literacy education for the lower grades students.

      • KCI등재

        다문화 사회에서의 문식성(Literacy) 교육의 제 문제

        심상민 ( Sang Min Sim ) 국어교육학회 2009 國語敎育學硏究 Vol.35 No.-

        본고는 다문화 사회에서의 다문화 문식성의 개념을 살펴보고 다문화 문식성 교육이 어떻게 수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교육 자료와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하여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점에 대해 논의한 연구이다. 다문화주의를 바탕으로 한 다문화 교육에서 다문화 문식성은 의사소통의 직접적인 수단의 역할을 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다. 다문화 문식성은 단순히 글을 읽고 쓰는 능력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다문화 문식성에 기반을 둔 다문화 문식성 교육은 읽고 쓰는 능력인 기초적 문식성과 사회 문화적 현상을 인식하고 그것에 대해 비평하고 행동할 수 있는 확장된 문식성을 개발하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임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다문화 문식성 교육의 시행과 관련하여 본고에서는 다문화적 읽기 자료(multicultural reading materials)를 중심으로 한 교육 자료와 문화 반응 수업(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을 중심으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ion of multicultural literacy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suggest some considerations on educational material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in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Nowadays, multicultural literacy has to be dealt with significantly in terms of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communication. Multicultural literacy can be an ability to understand and express cultural diversity in social-cultural context as well as reading and writing the text.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on the basis of multicultural literacy should develop basic literacy includ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and extended literacy with functional literacy and critical literacy.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multicultural reading material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focused on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for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판소리를 통한 문화적 문식성 교육 연구 -이청준의 <남도사람> 연작을 중심으로-

        서유경 판소리학회 2009 판소리연구 Vol.28 No.-

        This study aims to find to answer why we should teach Pansori in the cultural-literacy as the objec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So Lee Chung-jun should be modelled that showed his ability of cultural-literacy, and it was researched how Pansori education function as cultural-literacy on Lee Chung-jun's Namdo-Saram series. The concept of cultural-literacy in this thesis is that to have the literacy about the classic culture can be the necessary literacy about the modern culture. In this point of view, it was researched how Namdo-Saram series received Pansori and how the literacy about Pansori works on the appreciation of the modern literature and the reproduction of Pansori with the theory of the empathic appropriation. The concept of the empathic appropriation is combining the empathy on the literature and the appropriation as renewed expression of the result of the acceptance. Inthe viewpoint of accomplishing the cultural-literacy, Namdo-Saram series show that the empathic appropriation of Pansori could be the object and content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The meaning of the cultural-literacy education through Pansori is as follow; 1) the possibility of approaching Pansori in the viewpoint of enjoying literature, 2)the integration of the classic and modern through Pansori, 3)the possibility of educating the learner as the subject of the culture, 4)the possibility of the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이 연구는 판소리 교육의 효용을 국어교육 목표의 하나인 문화적 문식성에서 찾아보고자 하였다. 문화적 문식성을 발휘한 모델로서 작가 이청준을 대상화 하여, 판소리를 수용하여 창작한 <남도사람> 연작을 중심으로, 판소리 교육이 어떻게 문화적 문식성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고전 문화에 대한 문식성이 현대의 문화 향유에도 필요한 문식성이 될 수 있는 능력으로 본다는 의미에서 ‘문화적 문식성’을 개념화하고, 국어교육에서 이러한 능력 신장을 목표로 하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남도사람> 연작에 나타난 판소리의 수용 방식을 살펴보고, 판소리에 대한 문식성이 어떻게 현대 문학 작품의 감상과 판소리의 재생산에 작용할 수 있을지를 공감적 자기화의 원리로 분석해 보았다. ‘공감적 자기화’는 문학 작품에 대한 ‘공감성’과 수용 결과를 새로운 표현으로 창출해 내는 ‘자기화’를 통합한 개념이다. 문화적 문식성의 획득이 국어교육의 목표라는 관점에서 보면, <남도사람> 연작이 보여 주는 공감적 자기화의 방식은 판소리를 통해 학습자가 성취해야 할 목표와 내용 그리고 여기서 나아가 학습자가 도달할 상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판소리를 통한 문화적 문식성 교육의 의의는 첫째, 국어교육 안에서 우리 판소리에 대해 향유 문화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둘째, 판소리를 매개로 고전과 현대를 통합하여 교육할 수 있다, 셋째, 판소리를 통한 문화적 문식성 교육은 궁극적으로 문화 향유 주체로서의 학습자를 길러 낼 수 있다, 넷째, 전통 문화 교육을 할 수 있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 분야 문식성 연구 현황 및 향후 과제

        김윤주 ( Yoonjoo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분야의 문식성 연구 현황을 분석한 연구이다.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시기별, 학습자 대상별, 문식성 유형별로 분류하여 연구 성과와 양상을 살펴보았다. 총 62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첫 논문이 발표된 이래 문식성 연구는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대학생 대상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다. 유형별로는 문화적 문식성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학문적 문식성, 다중 문식성 관련 연구가 특히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정의 문식성 환경 제공 주체로서 부모 대상 연구가 좀 더 많아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성인을 위한 직업 문식성, 재외동포 및 KSL 학습자를 위한 계승어 및 이중언어 문식성에 대한 연구도 점차 많아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식성 유형의 개념 정립 및 교수요목 설계, 학습 활동 구안 등에 기초자료로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nalyzes research trends of literacy studies in the are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author categorizes total sixty-two research articles by times, objects, and literacy types. Then, the author evaluates the achievements and aspects of them. As a result, the author identifies that there has been a continuous increase of literacy studies since the first literacy study had been published in 2007. The author also finds that most of the studies dealt with college students' cases. As for the type, cultural literacy studies was the most popular subject while there have been steady increases in academic and multilateral literacy studies. The author argues that there is a need to expand literacy research which can deal with parent cases, occupational literacy for adult and bilingual literacy for oversea Korea and KSL stud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erved as a basic information for literacy concept development, teaching item design, and devising of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한국어 문어 교육에서의 학문적 문식성 개념 정립을 위한 제언

        곽준화(Guo Jun Hua),최정순(Choe Jeong soon) 우리말학회 2019 우리말연구 Vol.57 No.-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의 학문적 문식성 개념 정립에 필요한 하위 구성 요소를 밝히고, 학문적 문식성에 대해 위계화하면서 그의 개념을 설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기존 연구들은 학문적 문식성의 구성 요소에 대한 정치한 논의 없이 인용 및 선언적인 주장에 그쳤다. 이로 인해 실제적으로 학문적 문식성 개념을 문어교육에 적용하는데 괴리가 매우 크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학문적 문식성에 대해 인지적, 사회문화적, 실천적 측면에서 재해석하였으며, 기능적 문식성, 문화적 문식성, 정보 문식성, 비판적 문식성, 미디어 문식성 등 다섯 가지 하위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외에 학습자들의 정서적 요인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이때 학문적 문식성은 1) 목표어로 유창하게 소통할 수 있는 능력, 2) 다양한 정보에 대해 이해, 비판적으로 분석, 수집, 사용하는 능력, 3)디지털 매체로 지식을 탐구 및 소통, 산출할 수 있는 능력, 4) 학문적 공동체에서 나아가 사회의 일원으로서 다른 구성원과 소통하고, 해당 공동체의 문화, 가치, 태도 등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sub-components of Academic Literacy and to define it by hierarchizing academic literacy. As many scholars mentioned, most of foreign students have great difficulties in their studies because of their lack of academic literacy. Based on prior research, the components of academic literacy were not discussed concretely, and its definition was also vagu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 are few literature about academic literacy. If a curriculum of academic literacy is to be established, it’s necessary to define academic literacy and clarify the sub-components of it firstly. As a result of this paper, academic literacy should be consisted of five components: functional literacy, cultural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critical literacy, media literacy. In addition, emotional factors of stud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And in KAP education, academic literacy can be defined with 1) ability to communicate fluently with korean language, 2) ability to understand, analyze, collect and use various information critically, 3) ability to explore, communicate, and calculate knowledge with digital media, 4)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 members as an member of an academic community and a member of society, to understand the culture, values, and attitudes of the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