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기불교의 인욕정신과 청담대종사

        김준호 진주산업대학교 2005 마음사상 Vol.3 No.-

        이 글은 초기불전에 나타난 인욕의 의미를 해명한 것이다. 대승불교와 달리 초기불전에서 인욕은 체계화된 교의로써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참는다’는 칸티(khanti)개념이 문헌 속에서 다른 술어와 결합되고 있는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초기불전을 분석한 결과, 칸티는 온화, 자애와 빈번하게 결합되며 특히 선(禪)수행과 연관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욕은 나와 남을 유익하게 하는 수행이다. 인욕바라밀처럼 자기희생이 곧 수행이라는 사상으로까지 나타나지 않았지만 적어도 초기불전에서 나와 남을 유익하게 하는 것이 인욕이라는 문제의식은 보이고 있다. 둘째, 인욕수행의 대상은 비난, 욕설, 폭행 등에만 머물러 있지 않는다. 칭찬이나 즐거운 느낌에도 마음이 동요되지 않는 곳에서 인욕정신이 실현된다. 셋째, 인욕은 적정(寂靜), 삼매(三昧), 염(念) 등의 선수행이 바탕될 때 나와 남을 동시에 지키는 적극적인 윤리요, 실천수행의 길이 된다. 청담대종사의 인욕사상은 그의 마음론에 바탕하고 있다. 곧 마음은 조건적이고 상대적인 ‘나’가 아니라 주객을 넘어선 참생명이요, 절대자유요, 완전한 것이므로 나와 남의 구별자체가 무의미한 경지를 지향한다. This paper aims to explicate the meaning of patience(khanti) in the Early Buddhism and Chungdam(靑潭), a Seon(禪) Priest. But, Khanti is not expressed systematical doctrine, for instance the Noble Eightfold Path(八正道). Accordingly, it is required various approaching method to explicate the meaning of khanti in the Pa ̄li Canon and chinese Agamas. I basically adopt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a ̄li and Chinese Text, especially I paid attention which together with the concept of khanti, for example mild(soracca), affection(metta), mindfulness(sati), concentration (sama ̄dhi). This result is summarized below. First, Khanti is practiced for the benefit of oneself and other person. Second, Khanti means not only endure torment or persecution but also settle oneself from praise. So, Khanti means that controlling mind by meditation. Therefore the practice of Khanti is not passive but active moral principles. Chungdam's Thought about Khanti is derived from his Ma-um[心] theory. By means of the theory, Ma-um means that perfect, immortal, everlasting life itself. In Ma-um, there is not difference of oneself and other, subject and object. Because, what he said Ma-um is based upon emptiness[su□□a 空] and a spirit of Seon, that is free mind.

      • 대승불교의 인욕사상과 靑潭 大宗師

        윤종갑 진주산업대학교 2005 마음사상 Vol.3 No.-

        靑潭 大宗師가 인욕제일의 禪師로서 널리 알려진 것은 평생에 걸쳐 행하였던 남다른 참회고행의 결과이다. 특히 ‘上求菩提 下化衆生’의 이타적 자비심에 입각한 청담 대종사의 인욕정신은 대승불교의 보살도에 기반하고 있다. 대승불교의 인욕사상은 단순히 고통을 참는 데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諸法實相이 공함을 깨달아 악한 행위를 하는 자와 당하는 자, 그리고 진실한 법이 무엇인가를 여실히 관찰하면서 정진하는 것이다. 인욕의 종류는 인욕의 대상과 내용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는데 그 기본은 有爲法(세간법)으로서의 生忍과 無爲法(출세간법)으로서의 法忍이다. 인욕의 실천은 無自性의 空觀에 바탕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무자성의 공관이란 인과법(緣起)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의미한다. 인욕의 공덕은 한량없지만, 모든 악을 조복하고 중생들을 평안으로 이끌어 모두가 열반을 성취하게 한다. 청담 대종사는 이러한 대승불교의 인욕사상을 자신의 삶 자체로 받아들여 한 평생 인욕바라밀을 실천하였다. 즉 인욕을 수행의 한 방편으로서가 아니라 자신의 일상적인 생활로서 받아들여 중생구제와 불교정화에 한 평생을 보냈던 진정한 참 수행자요 보살이었던 것이다. That Chungdam great priest was widely known as a priest of the k□a ̄nti first is the body which was missing from usually and carried out many confession and penance. ‘Spiritual enlightenment is pursued in a top and it asks for s in the bottom(上求菩提 下化衆生)’ are especially altruistic. The base of the k□a ̄nti thought of Chungdam great priest based on the mercy heart is carried out to the bodhisattva way of Mahayana Buddhism. The k□a ̄nti thought of Mahayana Buddhism does not finish with the place which bears pain simply. It is purified observing the doer who realizes and does wrong of the true figure in the world being vacant, a victim, and the figure which carries out truth. The kind of k□a ̄nti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object and the contents of k□a ̄ntit. The standard is Sengin(生忍) and Bepin(法忍) as a world method and a method between success in life. Although practice of k□a ̄nti is realized by the empty view, an empty view means cause and effect. Infinity is carried out, wrong is refused and it leads to Nirvana. A accepted the k□a ̄nti thought of Mahayana Buddhism by raw itself one's, and practiced it usually. In other words, k□a ̄nti was accepted as an everyday life which it is not as an expedient of practice. A is a bodhisattva who is the person practicing asceticism who did the line of the Buddhism purification to creature relief usually, and who does bodhisattva.

      • 청담대종사의 인욕사상

        김선근 진주산업대학교 2005 마음사상 Vol.3 No.-

        청담스님(1902-1971)은 마치 부처님이 ‘길’에서 태어나 ‘길’을 묻다가 ‘길’을 깨달아 중생들에게 ‘길’을 안내하다가 ‘길’에서 열반하신 것과 같이 일평생 ‘무아의 인욕선인’으로서 보살의 원행(願行, pra□idha ̄na)의 삶을 실천하였다. 그러면 이러한 스님의 ‘자실인의(慈室忍衣)’의 보살원행(菩薩願行)이 어디서 유래했을까? 논자는 그것을 「금강경」의 「묘행무주분 제4」의 가르침으로 유래하여, 청담스님적인 독특한 구상과 방식과 특색이 작용된 것으로 본다. 스님은 이러한 ‘인욕선인(忍辱仙人)’으로서 “공(空, s´u ̄nya)의 인식에 입각한 실천적 윤리로서 「금강경」에서 주장하고 있는 구류중생(九類衆生)들을 제도한다는 이타행(利他行)”을 실천하였다. 청담스님의 인욕행은 외적 인욕행과 내적 인욕행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전자는 교단정화로, 후자는 내적 정화인 자성불(自性佛)을 실현하는 참선으로 실천했다고 볼 수 있다. 스님의 인욕 행은 내외불이(內外不二) 사사무애(事事無碍)의 무아행(無我行)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청담스님의 ‘자실인의’ 삶을 통하여 우리는 어려움과 역경에 부딪혔을 때 모든 것을 삼세인연의 법칙으로 회광반조(廻光返照)·참회(懺悔)하여 증오를 사랑으로, 실패를 성공으로 극복(忍辱)하는 습관을 길러야겠다. The purpose of this work is a study of Venerable Chung-dam's forbearance Thought. Just as Buddha who was born in ‘the Way’, found ‘the Way’ while asking about ‘the Way’, guided all sentient beings to ‘the Way’, and passed away in ‘the Way’, Venerable Chung-dam(1902-1971) lived his whole life practicing ‘Boddhisattva's respectful conducts(pra□idha ̄na)’. Then, where did his Boddhisattvic pra□idha ̄na of ‘making home of compassion and wearing cloths of forbearance(慈室忍衣)’ originate from? I consider it as not only to have originated in The Practice of Perfections', chapter four of The Diamond Su ̄tra, but also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unique ideas, methods and features of Venerable Chung-dam of his own. As ‘a sage of forbearance’, Venerable Chung-dam practiced “the conducts for the benefit of all sentient beings preached in The Diamond Su ̄tra as practical ethics based on the philosophy of Emptiness(s´u ̄nya, 空)”. Venerable Chung-dam's practice of forbearance consist of internal and external applications. The former was performed through purification of religious order ; the latter through Zen meditation in which the self-nature Buddha is realized as a way of internal purification. His practice of forbearance can be interpreted as a practice of non-self which signifies no differen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as well as phenomenon without hindrance on each other. Meditating on Venerable Chung-dam's life of ‘making home of compassion and wearing cloths of forbearance(慈室忍衣)’, we should accustom ourselves to the habits of reflecting and self-examining everything according to the law of causal relations in the three worlds. Which it will lead us to transform hatred to love and failure to success even when it is against all odds

      • 초기불교의 인욕정신과 청담대종사

        김준호 ( Kim Jun-ho ) 경상국립대학교 청담사상연구소 2005 마음思想 Vol.3 No.0

        이 글은 초기불전에 나타난 인욕의 의미를 해명한 것이다. 대승불교와 달리 초기불전에서 인욕은 체계화된 교의로써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참는다’는 칸티(khanti)개념이 문헌 속에서 다른 술어와 결합되고 있는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초기불전을 분석한 결과, 칸티는 온화, 자애와 빈번하게 결합되며 특히 선(禪)수행과 연관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욕은 나와 남을 유익하게 하는 수행이다. 인욕바라밀처럼 자기희생이 곧 수행이라는 사상으로까지 나타나지 않았지만 적어도 초기불전에서 나와 남을 유익하게 하는 것이 인욕이라는 문제의식은 보이고 있다. 둘째, 인욕수행의 대상은 비난, 욕설, 폭행 등에만 머물러 있지 않는다. 칭찬이나 즐거운 느낌에도 마음이 동요되지 않는 곳에서 인욕정신이 실현된다. 셋째, 인욕은 적정(寂靜), 삼매(三昧), 염(念) 등의 선수행이 바탕될 때 나와 남을 동시에 지키는 적극적인 윤리요, 실천수행의 길이 된다. 청담대종사의 인욕사상은 그의 마음론에 바탕하고 있다. 곧 마음은 조건적이고 상대적인 ‘나’가 아니라 주객을 넘어선 참생명이요, 절대자유요, 완전한 것이므로 나와 남의 구별자체가 무의미한 경지를 지향한다. This paper aims to explicate the meaning of patience(khanti) in the Early Buddhism and Chungdam (靑潭), a Seon(禪) Priest. But, Khanti is not expressed systematical doctrine, for instance the Noble Eightfold Path(八正道). Accordingly, it is required various approaching method to explicate the meaning of khanti in the Pāli Canon and chinese Agamas. I basically adopt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āli and Chinese Text, especially I paid attention which together with the concept of khanti, for example mild(soracca), affection(metta), mindfulness(sati), concentration (samādhi). This result is summarized below. First, Khanti is practiced for the benefit of oneself and other person. Second, Khanti means not only endure torment or persecution but also settle oneself from praise. So, Khanti means that controlling mind by meditation. Therefore the practice of Khanti is not passive but active moral principles. Chungdam's Thought about Khanti is derived from his Ma-um[心] theory. By means of the theory, Ma-um means that perfect, immortal, everlasting life itself. In Ma-um, there is not difference of oneself and other, subject and object. Because, what he said Ma-um is based upon emptiness[sunna 空] and a spirit of Seon, that is free mind.

      • 대승불교의 인욕사상과 靑潭大宗師

        윤종갑 ( Jong-gab Yun ) 경상국립대학교 청담사상연구소 2005 마음思想 Vol.3 No.0

        靑潭大宗師가 인욕제일의 禪師로서 널리 알려진 것은 평생에 걸쳐 행하였던 남다른 참회고행의 결과이다. 특히 ‘上求菩提下化衆生’의 이타적 자비심에 입각한 청담 대종사의 인욕정신은 대승불교의 보살도에 기반하고 있다. 대승불교의 인욕사상은 단순히 고통을 참는 데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諸法實相이 공함을 깨달아 악한 행위를 하는 자와 당하는 자, 그리고 진실한 법이 무엇인가를 여실히 관찰하면서 정진하는 것이다. 인욕의 종류는 인욕의 대상과 내용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는데 그 기본은 有爲法(세간법)으로서의 生忍과 無爲法(출세간법)으로서의 法忍이다. 인욕의 실천은 無自性의 空觀에 바탕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무자성의 공관이란 인과법(緣起)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의미한다. 인욕의 공덕은 한량없지만, 모든 악을 조복하고 중생들을 평안으로 이끌어 모두가 열반을 성취하게 한다. 청담 대종사는 이러한 대승불교의 인욕사상을 자신의 삶 자체로 받아들여 한 평생 인욕바라밀을 실천하였다. 즉 인욕을 수행의 한 방편으로서가 아니라 자신의 일상적인 생활로서 받아들여 중생구제와 불교정화에 한 평생을 보냈던 진정한 참 수행자요 보살이었던 것이다. That Chungdam great priest was widely known as a priest of the kṣānti first is the body which was missing from usually and carried out many confession and penance. ‘Spiritual enlightenment is pursued in a top and it asks for s in the bottom(上求菩提下化衆生)’ are especially altruistic. The base of the kṣānti thought of Chungdam great priest based on the mercy heart is carried out to the bodhisattva way of Mahayana Buddhism. The kṣānti thought of Mahayana Buddhism does not finish with the place which bears pain simply. It is purified observing the doer who realizes and does wrong of the true figure in the world being vacant, a victim, and the figure which carries out truth. The kind of kṣānti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object and the contents of kṣāntit. The standard is Sengin(生忍) and Bepin(法忍) as a world method and a method between success in life. Although practice of kṣānti is realized by the empty view, an empty view means cause and effect. Infinity is carried out, wrong is refused and it leads to Nirvana. A accepted. The kṣānti thought of Mahayana Buddhism by raw itself one's, and practiced it usually. In other words, kṣānti was accepted as an everyday life which it is not as an expedient of practice. A is a bodhisattva who is the person practicing asceticism who did the line of the Buddhism purification to creature relief usually, and who does bodhisattva.

      • 육바라밀의 實踐行을 통해본 청담대종사의 인욕사상

        김현남 진주산업대학교 2005 마음사상 Vol.3 No.-

        청담(1902~1971)의 생애와 사상을 조명하여 볼 때 인구에 회자되는 사상이 바로 인욕사상이라 할 수 있다. 청담의 구도과정을 보면 六波羅蜜의 실천이 근본이 되어 반야를 깨친 다음에는 業報나 妄想을 없애는 實踐行으로 忍辱行을 할 것을 강조한다. 청담이 주장하는 인욕사상은 항상 변함이 없는 마음으로 참고 견디면서 수행에 정진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이 바로 청담이 강조한 인욕사상인데, 다시 한 번 말하면 욕 되는걸 참을 뿐 아니라 남이 날 나쁘다고 입으로 욕을 하든지 매로 때리든지 칭찬을 하든지 마음에 움직임이 없이 전부 참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참는다는 것은 억지로 참는 것만을 뜻하지 않고, 억지로 참는 것도 참는 것이지만 생각없이 참는 것, 즉 무심으로 참는 것이 진정한 인욕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life and thoughts of Cheongdam (1902-1971). It is Inyoksasang (or Inyok ideology, 忍辱思想) that is in everyone's mouth. Looking into the mechanism of Cheongdam's seeking after truth, he underlines first realizing the prajna based on the implementation of yukparamil(六波羅蜜) and then conducting inyok-haeng(忍辱行) with silcheon-haeng(實踐行) to eliminate karma or chimera. Inyoksasang advocated by Cheongdam refers to devoting oneself to practising austerities, enduring everything with a constant mind. In other words, it refers to not only eating humble pie, but also enduring everything without moving an inch in mind, regardless of others' speaking against oneself, beating oneself, or praising oneself. Furthermore, enduring is not simply enduring forcibly, although it is also enduring, but enduring without worldly desires.

      • KCI등재

        일반 논문 : < 천연완월(天淵翫月) >에 표현한 퇴계(退溪)의 화열(和悅) 연구

        김병권 ( Byeong Kweon Kim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5 퇴계학논총 Vol.26 No.-

        퇴계(退溪) 선생은 학문에서 이(理)를 추구하는 것을 귀하게 여겼으며 마음에 대하여 관심이 많았다. 그리고 산과 물의 자연이 마음에 주는 즐거움을 말하지 않을 수 없어서 시를 짓는다고 하였다. 이렇게 시에 표현한 즐거움은 자연에서 구하여 얻은 즐거움이라고 볼 수 없고, 자연이 스스로 준 즐거움이라고 이해해야 한다. 자연이 준 즐거움은 인욕(人欲)에서 구하는 즐거움이 아니며, 천리가 주는 즐거움이다. 나아가 완전한 즐거움은 인욕이니 천리니 하는 경계에서 벗어났을 때 가능하기 때문에 이 경지에 이르기 위해서 마음을 다스리는 수양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대상은 퇴계의 < 천연완월(天淵翫月) >이다. 이 시의 내용은 “한 점 먼지라도 마음에 끼었다면 밤마다 새로워지는 이 대의 달을 보소. 쇄락하고 청진한저 경지를 모두 잡아 속된 인연 끊어버린 유인(幽人)에게 맡겼다네.”이다. 이 작품에서 마음에 낀 먼지는 사사로운 욕심인 인욕(人欲)이며, 밤마다 새로워지는 달은 유행이 활발한 자연의 이치이며 천리이다. 쇄락하고 청진함은 천리가 실현된 경지이며, 인욕을 버린 청정한 마음을 상징한다. 속된 인연은 현실 세계에 살면서 인욕을 이루려는 것이다. 유인(幽人)은 자연에 은둔해 세상의 인욕과 관련이 없는 사람이며, 시적 화자인 퇴계 자신이다. 그래서 < 천연완월 >은 자연의 이치인 천리가 은둔해 있는 퇴계에게 스스로 준즐거움을 표현한 작품이다. 퇴계는 이런 즐거움을 통해서 마음의 인욕을 없앤 천리의 본연을 추구하는 학문이 순천화열(順天和悅)하는 이상세계를 실현한다고 독자에게 전해준다. Toegye stated that the pleasure derived from nature itself spontaneously led him to compose poems. The pleasure expressed in Toegye’s poems was one that cannot be attained through exploration but from spontaneity. This pleasure does not come from human avarice but from natural law. By extension, nature can offer sheer pleasure to people if they become free from the boundaries between human avarice and natural law.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a Toegye’s poem, titled Cheonyeonwanwol. In this poem, a person’s mind covered with dust is likened to personal avarice, whereas the moon, which renews itself every night, symbolizes actively changing nature. Clearness and trueness represent perfection achieved in natural law, which is likened to a person’s mind without any avarice. Also, pursuing secular bonds in the mundane world is to seek human avarice. In the poem, a recluse stands for a person free from worldly avarice, mirroring the poetic narrator, Toegye himself. In sum, Cheonyeonwanwol expressed the pleasure that Toegye, who lived in seclusion, derived from natural law. Ultimately, Toegye teaches readers a lesson that individuals should throw away their avarice and discipline themselves, keeping away from secular bonds, in an attempt to seek natural law.

      • 인욕(人欲)의 해방은 가능한가? -유즙산(劉즙山) 사상의 희노애낙론(喜怒哀樂論)을 중심으로-

        천병돈 ( Byung Don Chun ) 경희대학교 비폭력연구소 2010 비폭력연구 Vol.4 No.-

        사회적 다윈주의자들의 주장에 의거하면, 인간에게 있어서 `선`한 행동은 이미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어 있다. 이것을 리처드 도킨스는 `이기적 유전자`라고 규정했다. `이기적 유전자`는 유가에서 人欲으로, 구체적으로 말하면 七情이다. 어떤 유학자도 인욕의 해방을 주장하지 않으며, 오히려 節欲 혹은 寡欲을 주장한다. 물론 朱子나 陸象山은 滅欲 혹은 去欲을 주장한다. 당대 중국의 대표적 철학자 侯外盧 馮友蘭은 유물론적 관점에서 劉宗周를 `氣本論`자로 규정했고, 이후 葛榮晉은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유종주를 `天理를 보존하고, 人欲을 滅하자.`를 반대하면서 `情欲解放`을 주장한 유학자로 규정했다. 그러나 유종주는 情欲해방론자가 아니다. 유종주는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形而下의 `喜怒哀樂`을 形而上의 仁義禮智(獨體)로 끌어 올려, 본체로서의 喜怒哀樂이 실생활 속에서 그대로 드러나도록 하는 것을 함양의 수양 공부로 삼았다. 喜怒哀樂(仁義禮智 혹은 獨體)이 실생활에서 그대로 드러날 때, `私意`인 人欲은 본체에 어긋나지 않게 드러난다. 이것이 바로 유종주의 공부론이다. 즉 유종주의 공부론은 주자처럼 形而下의 氣(情)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形而上의 獨體에서 시작한다. 이것이 바로 `卽本體卽工夫`의 진정한 의미다. According to the social Darwinists, the good behavior of human being is already determined by Gene. Richard Dawkins called it `Selfish Gene.` `Selfish Gene` may be called `desire,` if put into Confucian terms. Put it more specifically, they are `Seven Emotions.` No Confucian has insisted on the liberation of desire. Instead, most of them demanded its reduction. Zhu Xi and Lu Xiangshan even want to eliminate desire. Two famous contemporary Chinese philosophers, Hou Wailu and Feng Youlan, from the perspective of materialism, said that Liu Zongzhou was a person who advocated Qi as an essential, material substance. Ge Rongjin took one more step to regard Liu Zongzhou as a Confucian who insisted on the liberation of passions, refusing to accept the principle "Keeping Li and Elimination of Desire." But as a matter of fact Liu Zongzhou was not a liberator of desire. Liu Zongzhou attempted to elevate concepts such as `joy, anger, sorrow, pleasure`, that is "Qi within form", to `humanity, righteousness, propriety, wisdom,` that is metaphysical substance, so that the revelation of `joy, anger, sorrow, pleasure`(personal desire) in real life does not transgress the metaphysical substance. This is the aim of the self-cultivation. In short, the self-cultivation of Liu Zongzhou starts from the metaphysical substance, whereas Zhu Xi`s cultivation of starts from "Qi within form." This is the genuine meaning of "substance qua cultivation."

      • KCI등재

        주자의 천리유행(天理流行) 개념과 인(仁) 해석

        박성규(Park, Sungkyu)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9 No.3

        주자에 따르면 공자는 냇물의 흐름에서 천지조화의 불식(不息, 중단됨이 없음)을 통찰했다. 인간은 이를 본받아 자강불식(自强不息)하여 중단됨이 없어야 하는데, 그러려면 신독(愼獨)해야 한다. 중단이 생기는 까닭은 인욕이 개입하기 때문인데, 따라서 신독할 수 있어야 중단됨이 없게 된다. 주자에 따르면 잠깐이라도 인욕이 개입됨이 곧 단절(“물 흐름의 중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욕이 완전히 제압된 경지가 중단됨이 없는 불식의 경지이고, 곧 천리유행의 경지이다. 주자가 인을 천리유행 개념으로 설명한 것은, 인의 경지를 “단절됨이 없는”[“不息”] 상태로 이해한 것이고, 중간에 단절됨이 없는 어떤 상태의 지속을 인의 경지로 여겼다는 말이다. 즉 “인욕이 멸절하여 천리가 유행하는” 경지가 곧 인의 경지다. 안연은 석달 동안 인을 어기지 않았다. 주자는 인을 어긴다 함을 인욕이 개입된다는 의미로 해석했다. 인욕이 개입되면 중단됨이 생긴다. 즉 “중단됨이 없는[不息]” 경지가 곧 “인을 어기지 않는[不違仁]” 경지였다. 주자가 설명한 “인욕이 완전히 멸진한” 천리유행의 인의 경지는, 불교에서 말하는 “번뇌가 완전히 소멸한” 열반의 경지가 연상이 된다고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how Zhuxi interpreted the concept of Ren(仁, perfect virtue) of Confucius. In Analects(9-17), “Confucius standing by a stream, said, ‘It passes on just like this, not ceasing day or night!’” This is Confucius"s teaching that men should always devote themselves to moral improvement. However, Zhuxi explained this sentence in a different meaning: There is no interruption in the operation of the universe. Therefore there should be no interruption in our moral thinking. We should not be putting bad thoughts into our mind and always be led by true thoughts(天理流行). When we always have true thoughts in our minds, we become involved in the uninterrupted operation of the universe. In Analects(6-7), “Confucius said, ‘Such was Yen-Hui that for three months there would be nothing in his mind contrary to perfect virtue. The others may attain to this on some days or in some months, but nothing more.’” According to Zhuxi"s theory, we achieve complete fulfillment when our minds are filled with perfect virtues at every moment. That is why Confucius praised Yen-Hui.

      • KCI등재

        주자의 욕망관과 그 현대적 의의

        정상봉 한국유교학회 2017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67

        이 논문은 주자의 욕망에 대한 이해와 그 현대적 의의를 조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공자와 맹자이후 유가철학에서는 욕망에 대한 절제를 자기함양의 기본과제로 삼았다. 주자의 경우는 도가와 불교의 무욕론을 현실사회를 벗어난 이단의 주장이라고 비판하면서 유가의 절욕론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하였다. 특히 그는 『예기』에서 말한 천리(天理)와 인욕(人欲)을 토대로 “존천리(存天理)·거인욕(去人欲)”이라는 수양공부의 방향을 제시하였고,『상서』의 인심(人心)과 도심(道心) 개념에 의거해서는 인심으로 하여금 도심을 따르게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천리는 세계내의 보편이치로서 사람은 그것을 태어나면서부터 누구나 다 자신의 도덕적 본성으로 부여받는다. 인욕은 신체를 지닌 존재로서 생리적 욕구와 생물학적 본능, 그리고 돈 권력 명예 등을 추구하는 사회적 욕망이다. 천리는 공공성을 띠고 인욕은 개체성을 띤다. 주자는 인욕 가운데 자기 자신만의 이익을 추구하는 욕망인 사욕(私欲)을 제거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 천리와 인욕은 도심과 인심의 판단기준이기도 하다. 인심은 사람의 감관지각에서부터 자연생명 유지에 필요한 의식주를 찾는 마음, 종족번식을 위해 이성을 찾는 마음, 희로애락의 감정활동, 현실적 이로움을 추구하는 마음까지 포괄한다. 이점에서 성인도 인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사람들은 인심이 생기다 보면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쪽으로 흐르기 쉽다. 이때 그 마음으로 하여금 도덕적으로 선하고 옳은 의식인 도심을 따르도록 해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공동체사회 속의 성원들이 각자 공공의 도덕적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고 나아가 상호 공존의 지평을 열 수가 있게 된다. 자본주의 경제체제 하의 현대사회는 개인이 중시되다 보니 사적 이익과 욕망을 자연스럽게 긍정하게 되었다. 그러나 자유·평등·정의·인권 등의 보편적 가치가 수용되고 있는 지금 개인의 욕망을 무한하게 추구하는 것을 용인할 수는 없다. 그것은 개인도 타자와 공존하며 살아간다는 사실 앞에 개인의 욕망이 탐욕으로 빠지지 않고, 자유가 방종으로 흐르지 않게 해야 한다는 도덕적 인지와 그에 입각한 도덕적 실천을 요청한다. 차제에 주자의 욕망관에 반영된 천리와 인욕, 인심과 도심 개념을 통하여 우리의 현실을 반성해 보는 것은 우리가 현실을 직시하고 미래를 기획하는 데 일정 도움을 줄 수가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figuring out Zhu zi’s understanding of desire and its contemporary meaning. After Confucius and Mencius, Confucianism has insisted the restraint against desire. It is a main subject in self-cultivating. As for Zhu zi, he has criticized the assertion on freedom from avarice of Taoism and Buddhism and constructed the theoretical system of control against selfishness. Specially he indicated the direction of self-cultivation such as “preserve Heavenly Principle, remove Human Desire” based on the text of 『Li ji』, and argued for making Human Mind listening to Moral Mind according to the text of 『Shang Shu』. Heavenly Principle is the universal law in the world. Human being has been endowed as human moral virture from his or hers birth. Human Desire includes physiological needs and biological instinct originated from human body, social desire which seeks for wealth·power·honor etc. Heavenly Principle stands for publicity; Human desire implies individuality. Zhu zi has thought that we need the removal of private selfishness among human desires. This concept of Heavenly Principle and Human Desire is the criteria of Moral Mind and Human Mind. Human Mind covers the perception of sense organ, the mind of tracing for food·clothing·shelter, the emotion of joy·anger·sorrow & pleasure, and the mind looking after the realistic benefits. Even saint has Human Mind as far as he or she is a human being. But ordinary people are easy to incline to persue for their private benefits when they have a Human Mind.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let this mind follow Moral Mind. Therefore all the people have the moral validity of their behavior so that can make open to the horizon of co-existence. At these days under the system of capitalism every person has been respected as an individual and personal benefit and desire also approved. But now we consider freedom·equality·justice·human right as the universal value. So we cannot admit the infinite pursuit of desire or freedom. Accordingly it is necessary for us to do not let our desire degenerate into avarice/liberty be given to self-indulgence. Here it is a very meaningful thing that we think about our real situation through Zhu zi’s concept of Heavenly Principle and Human desire/Moral Mind and Human Mind in his viewpoint of our desire. It wiil be helpful for us to face the real world and plan ou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