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古今韻會擧要》 陽聲字母韻 硏究

        曺喜武 조선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7 인문과학연구 Vol.19 No.-

        十三、十四世紀時, 漢語語音發展到了一個新的歷史階段, 這就是漢語語音史上所稱的近代語音階段. 近代語音的面貌可以流傳下來的許許多多的資科中得到了解, 而其中一項最重要的資科就是黃公紹的 《古今韻會擧要》. 《古今韻會擧要》一系之韻書, 皆根據當時北方話語言之音而作, 故其分聲分韻與 《切韻》一系之韻書多異, 而在音韻史上實爲極有價値極可寶貴之一段史料. 考訂 《古今韻會擧要》的音系, 最基本的資料當然是 《古今韻會擧要》本身, 卽他的"韻譜". 然而他的整個音韻系統, 每個小韻的具體讀音, 光憑"韻譜"是無法了解的. 必須參證同期的其他音韻資料, 結合"韻譜"本身所顯示的音韻類別來進行構似, 才能解決問題. 本考中, 依據 《古今韻會擧要》同時代的韻書中之 《中原音韻》、《蒙古字韻》及現代方言之音, 來將 《古今韻會擧要》之音再構似. 收陽聲鼻音字母韻共四十組, 依其部位之不同, 又可分爲收舌根鼻音 [-ŋ]韻尾十四組, 收舌尖鼻音[-n]韻尾十七組, 收雙脣鼻音[-m]韻尾九組.

      • KCI등재

        어문학부(語文學部) : 운서사상(韻書史上) 송(宋),원대(元代)의 시대적(時代的) 가치(價値)와 정확한 인식(認識)

        왕옥지 한국중국학회 2016 중국학보 Vol.75 No.-

        本文針對宋元兩代在歷代韻書史上所具有的時代性價値, 進行了一番全面性的考察. 幷對於『古今韻會擧要』ㆍ『蒙古字韻』ㆍ『中原音韻』重新作了一番糾正. 導出一些新的結果, 將結論略述如下. 1. 宋代建國三百一十九年, 一半的期間中國北方被異民族統治, 接着八十九年的期間中國 全國最初處於異民族的統治下, 宋元兩代在中國韻書史上, 出現了『切韻』的最後增訂本, 科試實用本, 傳統韻書在編纂上起了變化, 甚至誕生了劃時代性的又革新的各種韻書. 除了『切 韻, 宋元兩代是中國韻書史上最有價値的時代. 2. 宋『廣韻』ㆍ不但持續了四百多年的中國古代標準語之脈, 而且, 在以隋唐兩代爲中心遵守古今南北漢字音, 具備標準語音的規範上, 可以說是中國最初, 也是最後的一本韻書. 3. 宋代是中國最初依皇命纂韻書的時代, 也是最初實行中國古今南北以及禮部科試等漢字讀音統一政策的時代. 4. 隨着韻書語言和實際語言之差激烈現象, 韻書韻目的減少也是宋代韻書的現象. 5. 『古今韻會擧要』(1297年).『蒙古字韻』(1308年). 『中原音韻』(1324年)等韻書是 同時代具有獨創性的韻書. 타們是一本近代漢語官話語音體系和現代標準語的結晶體. 此外, 同時代出現的這三本韻書却以各自的立場反映了元代社會現象. 6. 宋代都市經濟發達, 都市商人和手工業者的文化興起, 官方對於這種工商業改變態度. 因此産生了對傳統文化革新的庶民文化. 到了異民族統治的元代發展的更加巨烈. 由此, 宋元兩代就出現了各種色彩的韻書. 則超四百餘年的"南北是非, 古今通塞"性格的韻書.應試作文性的韻書ㆍ等韻圖ㆍ近代詩韻ㆍ內外二重語音系統韻書ㆍ以一種新文學和特定地域爲中心韻書. 宋元兩代韻書可分爲① "南北是非, 古今通塞" ② 應試作文 ③ 等韻圖 ④ 使用等韻音韻原理的韻書 ⑤ 近代詩韻(106韻, 107韻) ⑥ 反映了創意性的體裁ㆍ編纂方式, 以及革新的語音系統的韻書 ⑦ 反映了北曲ㆍ北音等北方特定地域語音體系的韻書 ⑧ 以ㆍ音文字八思巴表記漢字音的韻書 ⑨ 達成中國``人造國語``.``書面語言的標準和傳統``的韻書. 7. 『古今韻會擧要』的目的是在於反映內部語音系統上, 但타又考慮到傳統韻書, 所以用``舊甁新酒``的方式設定了外部語音系統. 可是, 『古今韻會擧要』的目的也在於反映外部傳統 語音系統上. 8.『古今韻會擧要』ㆍ『四聲通解』都拿『蒙古韻略』的語音作比較作參考上來看, 當時流行於世的『蒙古韻』類韻書中,『蒙古韻略』是一本官訂韻書可能性較大. 元至元六年(1269)頒布了八思巴文字, 忽必烈下了詔書, 幷以"有願充生徒者免一身差役", "約量授以官職"等政治之力誘惑漢人等政策上看來, 可以推測『蒙古韻略』成書年代是1269年以後, 1292年 『古今韻會』以前. 則『古今韻會』的內部語音系統是根據『蒙古韻略』的. 9. 『蒙古字韻』在語音系統上, 和『古今韻會擧要』一樣反映了傳統和革新兩種語音系統, 但在編纂體裁上, 『蒙古字韻』却脫離了傳統韻書體裁而採取了又簡明又獨特的編纂方式. 10. 北音日漸强烈, 戱曲文學和北音韻書所盛行之因, 雖然在語音變化上, 但更重要的是因爲國家政策, 各種社會現象, 如宋代政策而盛行的庶民士大夫文化, 金和元代以北京爲首都, 蒙古族統治下的元代政策及社會現象, 因而北音盛行起來. 接着戱曲文學, 北音韻書也근着盛行起來的. 中國音韻史上, 現在『中原音韻』的價値與『廣韻』一樣. 所謂價値是隨着時代ㆍ國家政策ㆍ社會環境等許多情況而所決定.北京語定爲現代中國標準語, 所以, 『中原音韻』的價値 隨着提高. 11. 一般認爲『古今韻會擧要』和『蒙古字韻』所反映的革新性的語音系統是『廣韻』和『中原音韻』之間所出現的過渡期的語音系統. 但是, 『廣韻』和『中原音韻』不是一個語音系統. 所以, 這種語音變化現象只能看做是韻書上的語音變遷, 不能看做是一種漢語語音變化的規範.

      • KCI등재

        韻書史上 宋⋅元代의 時代的 價値와 정확한 認識

        왕옥지 한국중국학회 2016 중국학보 Vol.75 No.-

        本文針對宋元兩代在歷代韻書史上所具有的時代性價値, 進行了一番全面性的考察. 幷對於『古今韻會擧要』⋅『蒙古字韻』⋅『中原音韻』重新作了一番糾正. 導出一些新的結果, 將結論略述如下. 1. 宋代建國三百一十九年, 一半的期間中國北方被異民族統治, 接着八十九年的期間中國 全國最初處於異民族的統治下, 宋元兩代在中國韻書史上, 出現了『切韻』的最後增訂本, 科試實用本, 傳統韻書在編纂上起了變化, 甚至誕生了劃時代性的又革新的各種韻書. 除了『切 韻, 宋元兩代是中國韻書史上最有價値的時代. 2. 宋『廣韻』不但持續了四百多年的中國古代標準語之脈, 而且, 在以隋唐兩代爲中心遵守古今南北漢字音, 具備標準語音的規範上, 可以說是中國最初, 也是最後的一本韻書. 3. 宋代是中國最初依皇命纂韻書的時代, 也是最初實行中國古今南北以及禮部科試等漢字讀音統一政策的時代. 4. 隨着韻書語言和實際語言之差激烈現象, 韻書韻目的減少也是宋代韻書的現象. 5. 『古今韻會擧要』(1297年)⋅『蒙古字韻』(1308年)⋅『中原音韻』(1324年)等韻書是 同時代具有獨創性的韻書. 它們是一本近代漢語官話語音體系和現代標準語的結晶體. 此外, 同時代出現的這三本韻書却以各自的立場反映了元代社會現象. 6. 宋代都市經濟發達, 都市商人和手工業者的文化興起, 官方對於這種工商業改變態度. 因此産生了對傳統文化革新的庶民文化. 到了異民族統治的元代發展的更加巨烈. 由此, 宋元兩代就出現了各種色彩的韻書. 則超四百餘年的“南北是非, 古今通塞”性格的韻書⋅應試作文性的韻書⋅等韻圖⋅近代詩韻⋅內外二重語音系統韻書⋅以一種新文學和特定地域爲中心韻書. 宋元兩代韻書可分爲① “南北是非, 古今通塞” ② 應試作文 ③ 等韻圖 ④ 使用等韻音韻原理的韻書 ⑤ 近代詩韻(106韻, 107韻) ⑥ 反映了創意性的體裁⋅編纂方式, 以及革新的語音系統的韻書 ⑦ 反映了北曲⋅北音等北方特定地域語音體系的韻書 ⑧ 以拼音文字八思巴表記漢字音的韻書 ⑨ 達成中國‘人造國語’⋅‘書面語言的標準和傳統’的韻書. 7. 『古今韻會擧要』的目的是在於反映內部語音系統上, 但它又考慮到傳統韻書, 所以 用‘舊甁新酒’的方式設定了外部語音系統. 可是, 『古今韻會擧要』的目的也在於反映外部傳統 語音系統上. 8. 『古今韻會擧要』⋅『四聲通解』都拿『蒙古韻略』的語音作比較作參考上來看, 當時流行於世的『蒙古韻』類韻書中, 『蒙古韻略』是一本官訂韻書可能性較大. 元至元六年(1269)頒布了八思巴文字, 忽必烈下了詔書, 幷以“有願充生徒者免一身差役”, “約量授以官職”等政治之力誘惑漢人等政策上看來, 可以推測『蒙古韻略』成書年代是1269年以後, 1292年 『古今韻會』以前. 則『古今韻會』的內部語音系統是根據『蒙古韻略』的. 9. 『蒙古字韻』在語音系統上, 和『古今韻會擧要』一樣反映了傳統和革新兩種語音系統, 但在編纂體裁上, 『蒙古字韻』却脫離了傳統韻書體裁而採取了又簡明又獨特的編纂方式. 10. 北音日漸强烈, 戲曲文學和北音韻書所盛行之因, 雖然在語音變化上, 但更重要的是因爲國家政策, 各種社會現象, 如宋代政策而盛行的庶民士大夫文化, 金和元代以北京爲首都, 蒙古族統治下的元代政策及社會現象, 因而北音盛行起來. 接着戲曲文學, 北音韻書也跟着盛行起來的. 中國音韻史上, 現在『中原音韻』的價値與『廣韻』一樣.所謂價値是隨着時代⋅國家政策⋅社會 ...

      • KCI등재

        《동국정운》복수음의 문헌 속 단일화 양상 -《고금운회거요》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차익종 ( Cha Ik-jong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7 No.-

        《동국정운》은 규범 한자음 체계이므로 이 운서에 영향을 준 모종의 ‘底本’으로서 중국의 운서가 존재할 것이고 그 저본은《고금운회거요》이리라는 시각이 이제까지 잔존해 왔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최근 연구들에서는《동국정운》이 모종의 규범음 체계를 그대로 수입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강하지만, 이에 대한 실증적 검증은 미진한 편이다. 이 연구는 운서《동국정운》속 한자들이 복수음을 취하는 경우가 많으면서도 실제 문헌에서는 단일한 음으로 주음되는 경향이 강하다는 지적에 착안하여, 실제 문헌음의 양상을 살펴본 후《고금운회거요》가 音과 字義 측면에서 이 문헌음들의 연원일 수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가 중고 한어 曾梗攝에 속하면서《동국정운》에서 복수음이 주음된 한자 중《월인석보》와《석보상절》등 15세기 문헌 7종에 쓰인 것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총 72字가 추출되었고, 이들 중 64字가 하나의 음으로만 나타났다. 이들 64字가 문헌에 쓰인 의미는, 연원을 확실히 판별하기 어려운 경우(戚, 更 등)를 제외하면 모두《고금운회거요》보다는《광운》의 字釋과 잘 대응한다. 또 문헌 속에서 복수음을 취하는 8字(曾, 令, 興, 稱 등) 중에도《거요》字釋에서 직접 연원을 찾을 수 있는 것은 하나도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처럼 문헌 속 한자음과《거요》의 연관성은 매우 희박한 반면에,《동국정운》속의 수많은 上同音들은《거요》속 다른 표제자들의 이체 정보 즉 ‘或作, 亦作’ 등을 수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적어도 曾梗攝 소속자의 경우《고금운회거요》가《동국정운》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은 수록자의 劃定과 관련된 범위 이상을 넘어서기 어렵다. 한자음의 관계를 운서의 영향관계 중 본연이라고 생각한다면, 수록자의 획정에 관계되었다는 점만으로 ‘底本’이라 개념화하기는 회의적이다. One of the still unfinished projects in Sino-Korean studies would be denoting the origin of the sound system of Dongguk jeongun(東國 正韻), the rhyme book in 1447. Although recent studies have strongly denied the probabilities that it simply followed or adapted Chinese equivalents, an expectation of 'direct models for Dongguk jeongun' has still rooted in the Sino-Korean studies. This study has revisited the relation between Dongguk jeongun style Sino-Korean(D-style) and Gujinyunhuijuyao(古今韻會擧要, Juyao) through a rather different frame; exploring how the multiple readings in the rhyme book of Dongguk jeongun are simplified in the actual 15th Korean literature that adapted D-style readings. By collecting and classifying all the 72 Chinese characters with multiple D-style readings that belonged to Zengshe (曾攝) and Gengshe (梗攝) in 7 books of 15th Korean, this study has found that most of simplified D-style readings do not match with semantic or grammatical meanings of those in Juyao. They coincide rather well with the readings in the earlier Chinese literature, such as Guangyun (廣韻) that was compiled far ahead of Juyao. This finding strongly implies that D-style readings have little, if any, to do with Juyao in sound system, and helps us deny that King Sejong and his scholars would have any direct model for their enterprise of standardizing the new Sino-Korean readings.

      • KCI등재

        『동국정운(東國正韻)』안의 개음절 복수음을 갖는 입성자에 대한 연구

        구현아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2

        『Dongguk Jeongun』is the first rhyme book in Korea that recorded Korean sound of Chinese characters after creation of Hangeul. It has a very high value as a rhyme book all of our Chinese characters since the creation of Hangeul, but it was difficult to clearly identify the phonological features due to the difficulty of the system. The existing research on 『Dongguk Jeongun』 is concentrated on comparision of 『Gujin Yunhui Juyao』. So, it was difficult to fully investigate the character of 『Dongguk Jeongun』. 『Dongguk Jeongun』 needs to be studied from various angles. Including comparison of individual letters with various rhyme book such as 『Guangyun』, 『Jiyun』, 『Gujin Yunhui Juyao』, and 『Hongwu Zhengyun』. As well as comparison of real sounds in China at the time. There are many entering tone characters which also have open syllable sounds. So, this study limited the scope of the study to ‘go-go-go(高杲誥)’ final group. In ‘go-go-go(高杲誥)’ final group in『Dongguk Jeongun』, There are 52 entering tone which has open syllable as mutiple sound. And 24 sounds of 19 characters of open syllable sound have ‘sang-dong(上同)’ character. ‘Sang-dong(上同)’ indicates a variant form of Hanzi Character, so if it has a open syllable sound, it means the entering tone character also has open syllable sound. Rest of sounds have same sound with fanqie of 『Guangyun』, 『Jiyun』, 『Gujin Yunhui Juyao』, and 『Hongwu Zhengyun』. Most of the open syllable sounds are based on fanqie of these Chinese rhyme book. Furthermore, the posibility reflecting『Jiyun』,『Gujin Yunhui Juyao』, and『Hongwu Zhengyun』is similar, which shows『Jiyun』and『Hongwu Zhengyun』needs further study. Only ‘mo(貌)’ could not find correspoding fanqie. And this is maybe the evidence of ‘mo(貌)’ based on Modern Chinese sound. Plus, In『Guangyun』, the letters that only appear in the opening syllables appear with entering tone from『Jiyun』. The fact that it also contains entering tone which only contains 『Hongwu Zhengyun』shows the need for a new comparison with 『Jiyun』, especially『Hongwu Zhengyun』. Since this study targeted characters with multiple open syllables appearing in the ‘go-go-go(高杲誥)’ final group,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may be insufficient to imply the overall character of『Dongguk Jeongun』.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a detailed comparison was conducted with the notes for each character and fanqie previous Chinese rhyme book.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Dongguk Jeongun』 can be fully identified by accumulating comparative research results on all the contents of 『Dongguk Jeongun』 and all the initial, final, tones of previous Chinese rhyme book.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편찬된 운서『동국정운』은 우리나라의 한자음을 전면적으로 기록한 운서이다. 『동국정운』에 대한 기존 연구는『고금운회거요』의 비교에만 집중되어 있어『동국정운』의 성격에 대한 전면적인 규명이 어려웠다. 『동국정운』은『광운』, 『집운』, 『고금운회거요』,『홍무정운』과 같은 다양한 운서와의 개별 글자에 대한 비교와 성,운모의 분석, 당시 중국의 현실음에 대한 비교 등 다각도의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동국정운』의 ‘高杲誥’운에 나타난 개음절음을 복수음으로 갖는 52개의 입성자를 대상으로 역대 중국 운서에서 나타난 모든 반절과 비교하고,『동국정운』에 나타난 개음절음과 반절의 성, 운모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19개의 글자가 가진 24개의 개음절음이『동국정운』의 상동(上同)이 표기한 이체자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나머지 음의 경우『광운』,『집운』,『고금운회거요』, 『홍무정운』중의 전체, 혹은 일부에서 개음절음의 반절이 나타났고, 『집운』, 『고금운회거요』,『홍무정운』이 비슷한 비율로『동국정운』에 나타난 개음절음과 동일한 반절을 싣고 있었다. 이 중 ‘貌’는 해당하는 개음절음 반절을 찾을 수 없었는데, 역대 문헌에서는 ‘敎’를 반절하자로 썼지만, 『동국정운』에서 ‘ᅟᅩᇢ’운모, 즉 i개음이 없는 형태로 기록되었다. 『중원음운』도 이 글자에는 i개음이 없으므로 이는 당시 실제 중국음에 기반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동국정운』 의 개음절음이『집운』, 『고금운회거요』,『홍무정운』과 비슷한 확률로 일치하고, 또한『광운』에는 개음절음으로만 나오는 글자가『집운』에서부터 본격적으로 입성운의 음이 함께 출현하는데,『홍무정운』만 수록된 입성운의 음도 수록하고 있다는 사실은 앞으로의 연구가 『집운』, 특히『홍무정운』과의 비교도 새롭게 이루어져야 필요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高杲誥’운에 등장하는 개음절음을 복수로 갖는 글자를 대상으로 했기에, 본 연구로 인한 결론이 『동국정운』의 전체 성격을 귀납하기에 부족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글자에 대한 음과 이에 대한 역대 운서 안의 반절과 상세한 비교를 진행했다데 의의가 있다. 추후『동국정운』의 모든 수록자와 역대 중국 문헌의 모든 반절, 성모, 운모, 성조에 대한 비교 연구 성과가 축적되어『동국정운』의 성격이 온전히 규명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古今韻會擧要≫ 陽聲韻 연구

        신용권 영남중국어문학회 2022 중국어문학 Vol.- No.89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several problems in the Yangsheng rhyme of Juyao(full name Gujinyunhuijuyao(古今韻會擧要)). Juyao designed the Zimuyun(字母韻) system is an important material for demonstrating the phonetic change in the history of the commonly used Chinese language from Ancient Chinese to Modern Chinese. This paper focuses on studying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I will examine the availability of materials used in reconstructing the Yangsheng rhyme system of Juyao. Secondly, I will try to reconstruct the Yangsheng rhyme of Juyao on the basis of several materials. Finally, I will analyze the Zimuyun systemof Juyao and discuss several problems concerning the Yangsheng rhyme. I will also study Chinese nasal final syllable change and the phonological system’s basis of Juyao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Juyao and Guangyun(廣韻), Zhongyuanyinyun(中原音韻), Contemporary Chinese dialects.

      • KCI등재

        《古今韻會擧要》와 다른 韻書의 관계에 대하여

        신용권 한국중국어문학회 2023 中國文學 Vol.114 No.-

        Juyao(full name Gujinyunhuijuyao(古今韻會擧要)) is a rhyme book(韻書) written in the thirteenth century. This book designed the 36 Zimu(字母) and Zimuyun(字母韻) systems are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rhyme books. This systems reflect the actual tongue of those days. The characteristics of Juyao would be ma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uyao and other Chinese rhyme books. This paper is looking into the characteristics of Juyao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book and other Chinese rhyme books. I will also study the influence of other Chinese rhyme books on the Juyao. Jiyun(集韻), Wuyinjiyun(五音集韻), Libuyunlüe(禮部韻略), Mengguziyun (蒙古字韻), Qiyinyun(七音韻), Gujinyunhui(古今韻會) were closely related with Juyao. These books served as the basis of the compilation of Juyao. In the compilation of Juyao, the compiler made a number of changes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rhyme books: design of the 36 Zimu and Zimuyun systems, reflection of actual pronunciations, rearrangement of the characters, deletion or addition of some characters, etc. We can conclud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Juyao and other Chinese rhyme books is an important clue for demonst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Juyao and leading to the revaluation of this book. 中古音에서 近代音으로 이행하는 과도 단계에 특정한 지역에서 통용되던 공통어를 반영하는 《古今韻會擧要》(1297년, 이하 《擧要》)는 내용과 형식에서 이전에 간행된 韻書의 영향을 받아 편찬되어 이후의 韻書에 큰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擧要》는 中古에서 近代에 이르는 시기에 간행된 중국의 여러 韻書들이 어떠한 영향 관계 속에서 성립되었는지 연구하는 데 핵심적인 韻書 이다. 이러한 이유로 《擧要》가 가지고 있는 자료적 가치와 성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擧要》와 영향을 주고받은 다른 韻書들과의 관계를 심도 있게 고찰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擧要》의 형식과 그 반영하는 내용이 기존의 다른 韻書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받았는지 밝히기 위하여 《集韻》, 《禮部韻略》, 《改倂五音集韻》, 《蒙古字韻》 등 주요 韻書 및 기타 관련 자료 들과 《擧要》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中古와 近代 시기의 주요 韻書 및 자료와 《擧要》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擧要》의 자료적 가치와 성격을 온전히 평가하고 中國語 音韻史와 韻書史에서 《擧要》가 차지하는 위치를 명확하게 보여주고자 한다.

      • KCI등재

        「고금운회거요」 음성운 연구

        신용권(Yong-kwon Shin)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021 언어학 Vol.- No.89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several problems in the Yinsheng rhyme of Juyao (full name Gujinyunhuijuyao (古今韻會擧要)). Juyao is an important rhyme book for demonstrating the phonetic change in the history of the Chinese language from Ancient Chinese to Modern Chinese. This book designed the Zimuyun (字母韻) system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one. This system may represent the standard language commonly used in Lin-an (臨安) during the late Nan-Song (南宋) Dynasty. This paper focuses on studying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I will examine the availability of several materials used in reconstructing the Yinsheng rhyme system of Juyao. Secondly, I will try to reconstruct the Yinsheng rhyme of Juyao on the basis of several materials. Finally, I will analyze the Zimuyun system of Juyao and discuss several problems concerning the Yinsheng rhyme. I will also scrutinize Chinese open syllable change reflected in Juyao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Juyao and Guangyun (廣韻), Zhongyuanyinyun (中原音韻), Contemporary Chinese dialect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