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자』 ‘小國寡民’의 정치철학적 지향

        이규상 대동철학회 2009 大同哲學 Vol.46 No.-

        이 글은 『노자』 ‘소국과민’장의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노자의 정치철학적 입장과 그가 지향하는 세상의 모습과 의미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노자의 정치사상은 자신의 시대와 현실에 대한 깊은 통찰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소국과민’장은 국가와 정치에 대한 노자의 인식을 잘 보여준다. 노자는 정치적 관점이 아니라 정치철학적 관점에서 국가와 정치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정치철학의 근본문제는 국가의 조직, 성격, 기능, 작용 등에 관한 문제들에 논리적으로 앞서는 것으로 ‘과연 국가가 존재해야 하는가’라는 것이다. 노자의 관심은 국가의 규모, 제도, 규범, 문화가 아니라 실재하는 국가의 구체적 정치현실 속에 존재하는 개인과 그의 삶에 있다. 인간은 한 집단의 일원으로 태어나지만, 집단·조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으로 존재하며 개인으로 살아갈 뿐이다. 정치적 집단주의의 산물인 국가 또는 국가권력[권력자]은 규범과 제도의 제정과 운영의 원리인 보편적 규범주의와 도구적 합리성을 강화하는 성향을 그 본성으로 가지며, 이는 본질적으로 자유로운 개인에게 일정한 규제와 제한을 가하는 억압구조를 필연적으로 산출하게 된다는 것이 노자의 생각이다. 노자는 국가와 개인 사이의 억압구조가 약화되어 해소될 때 개인의 자유가 증대하게 되어 마침내 진정한 행복에 도달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를 위해 그가 고안한 장치가 ‘소국과민’의 논리다. 이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현실의 정치가 아닌 정치의 이상에 대한 견해이며, 궁극적으로는 정치를 넘어서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다스림’의 대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인간을 정치의 대상으로 ‘관계’ 속에서 파악하는 시선은 독립적으로 자재하는 개인의 자연스러운 본성을 왜곡하게 된다는 것이다. ‘소국과민’은 이러한 노자의 정치철학적 관점에서 제시된 하나의 상징이다. 현실적으로 존재하거나 실현가능한 세계를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더욱이 노자는 원시에의 향수에 빠진 보수적 복고주의자가 아니다. 개인의 삶을 왜곡·억압하는 당대 정치현실의 모순을 역설적으로 이야기함으로써 개인과 사회가 지니는 정치적 지향성의 문제점을 환기시키고, 정치로부터 자유로운 개인의 삶에서 진정한 행복을 느끼는 모습을 그려내고 있는 것이다. ‘소국과민’은 실재하는 실현가능한 사회가 아니며, 더욱이 궁극적으로 도달하고자 하는 ‘정치적’ 이상향도 아니다. 현실정치의 모순에 대한 부정·보완으로 제시되는 정치적 이상향은 또 다른 이념적 지향을 초래하고, 결국 새로운 문제를 생산하며 개인의 자연스러운 삶을 방해하게 된다. 이는 노자의 생각이 아니다. ‘소국과민’은 역설적 상징이다. 노자는 이 유토피아적 상징을 통해, 이상세계의 실현을 주장하기 보다는, 역설적으로 당대 정치현실에 내재한 모순의 심각성을 폭로하고 인식의 전환을 통해 ‘집단’에 매몰된 ‘개인’을 살려내는 현실 변혁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 전망을 하고 있다.

      • KCI등재

        중국철학 : 노자(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과 새로운 노인상

        홍승표 ( Seung Pyo Hong )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6 No.-

        이 글의 목적은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관을 바탕으로 새로운 노인상을 구성하는 것이다. 새로운 노인상을 구성함에 있어서 이 글이 老子의 인간관에 의거하고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현대 인간관의 바탕 위에서는 창조적인 노인상 구성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老子思想은 통일체적 세계관에 바탕하고 있어서,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에 대한 논의의 바탕 위에서 老化와 노년기에 대한 창조적인 해석이 가능하다. 바로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을 살펴보고, 이상적인 인간이 되는 방법에 대한 老子의 견해를 정리했다. 그리고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의 바탕 위에서 이상적인 인간의 삶을 구상화했다. 마지막으로, 이런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에 바탕 해서 새로운 노인상을 구상화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첫째, 老子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인간상을 살펴보았다. 老子가 말하는 이상적인 인간은 道와 하나가 되어 無爲自然의 삶을 살아가는 사람이다. 그의 모습을 老子는 ``安平太``라고 표현했다. 이상적인 인간은 집착하는 마음이 비어 있으며, 사랑이 충만한 사람이다. 그는 ``自愛不自貴``한다. 그는 영화로움이나 환란에 얽매이지 않는 대자유인이다. 이상적인 인간은 믿음이 깊은 사람이며, 그의 믿음은 바로 사랑이다. 둘째,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이 되는 방법에 대한 입장을 살펴보았다. 이상적인 인간이 되는 방법에 대한 老子의 대답은 ``修行이다. 修行을 통해 이상적인 인간이 되는 첫 단계는 에고에 대한 자각이다. 그래서 老子는 ``夫唯病病是以不病``이라고 말했다. 老子가 말하는 修行방법은 다양하다. ``덜어냄``, ``不尙賢``, ``貴大患若身``, ``知足``과 ``知止`` 등은 그 대표적인 방법이다. 셋째,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의 삶을 살펴보았다. 그것은 도와 하나가 되어 도를 즐기는 樂道로서의 삶이다. 그는 ``爲而不恃``하며, ``功成而弗居``하고, ``功成不名有``하며, ``功遂身退``한다. 그는 ``衣養萬物而不爲主``하며, ``長而不宰``한다. ``上善若水``章에서 말하듯이, 이상적인 인간은 모든 존재에게 이로움을 베풀며, 뭇 사람들이 싫어하는 곳에 즐겨 머문다. 마지막으로 老子인간관의 기반 위에서 새로운 노인상을 구성했다.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은 탈현대적인 이상적인 노인상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이 되는 방법은 ``어떻게 행복하고 아름답게 나이 들어갈 수 있을까?``에 대한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해줄 수있다. 老子의 이상적인 노인의 삶은 ``노년기의 행복하고 아름다운 삶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해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uild a new image of the aged person on the basis of Lao-Tzu`s view of human being. The reason this paper attempt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modern aged people by Lao-Tzu`s view of human being is that it is impossible to make a creative image of the aged people on the basis of modern view of human being while thought of Lao-Tzu which is based on the unified world view can give creative explanation about the period of being aged. Given this, the present paper examines Lao-Tzu`s ideal view of human being and summarizes his idea of how to be an ideal person. This paper also exteriorizes the life of ideal person on the basis of Lao-Tzu`s view of ideal human being. Lastly, this paper discusses the post-modern meaning that the view of Lao-Tzu implies and shows the new image of the aged person. First, what kind of person does Lao-tzu think is ideal? It`s the one who himself is Tao and manages affairs without action. Lao-Tzu calls this ``comfort, peace, and security``. The ideal person does not have obsession and is full of love. ``He loves himself but does not exalt himself.`` The ideal person is free from glory and disaster and has a deep belief, which is another name for love. Second, the way of being Lao-Tzu`s ideal person is discussed. Lao-Tzu thinks that it is done by ``practice``(修行). The first step of being an ideal person through practice(修行) is the realization of ego. Lao-Tzu says that ``only when one recognizes this disease as a disease can one be free from the disease.`` There are several ways of practicing: taking out, making an effort to ``not to exalt the worthy``, gladly accepting the disaster that comes to her/him, knowing to content and knowing when to stop. Third, the life of lao-Tzu`s ideal person is stated. The ideal person herself/himself is Tao and enjoys it. ``He produces them but does not take possession of them.`` ``He acts but does not rely on his own ability.`` ``He accomplishes his task but does not claim credit for it.`` As said in the chapter of ``the best is like water``, the ideal person does good to every being in the world and stays where everybody dislikes to be in. Lastly, this paper shows the new image of the aged person on the basis of Lao-Tzu`s view of human being. Lao-Tzu`s view of human being can help formulate the post-modern image of the aged person. His way of being an ideal person provides the practical way of being aged happily and beautifully and his view of well aged person`s life can give the answer about what the happy and beautiful life of the aged period is.

      • KCI등재

        노자(老子)의 내재화된 "도(道)" 범주와 칼 융(C.G.Jung)의 "자기(Self)"

        양승권 ( Seung Gueon Yang ) 동양철학연구회 2013 東洋哲學硏究 Vol.76 No.-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과 방법에 따라 수행되었다. (1) 老子의 ``道``와 칼 융(C. G. Jung)의 ``자기``(Self)는 우리의 이해를 넘어서는 초월적 구조다. 연구자는 노자의 ``無`` 개념이 융의 ``무의식`` 개념에 대응될 수 있다고 보았다. 노자에게 ``道``는 ``無``의 원리적 차원이다. 노자가 볼 때 ``道``의 실재는 인식 불가능하다. 하지만 우리는 우리 내면 깊숙이 내재 되어 있는 이 도를 잘 인식하여 현실에서 쓰임새가 있도록 해야만 한다. 이 경지는 여러 원형 상징들에 의해 은유적으로 표현된다. 노자가 언급 한 원형의 실례로는 谷神·食母·樸·영兒·등이 있다. 이는 융이 말한 원형 상징인 어린이·老賢人·어머니인 大地·자연계의 대상과 수레바퀴 등에 대응된다. 그리고 노자가 말한 여성성과 남성성의 조화는 융의 ``아니마``(Anima)와 ``아니무스``(Animus)라는 개념과 일맥이 상통한다. 융에 따르면 모든 정신현상은 서로 상반된 영역이 갈등과 통합의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된다. 우리는 의식과 무의식, 남성성과 여성성, 선과 악, 아름다움과 추함, 정신과 신체, 내향성과 외향성 등 무수한 상반된 영역 사이의 갈등과 통합 속에서 살아간다. 노자에게 있어서도 無欲과 有欲, 道와 도를 잃은 것, 선함과 불선함, 남성성과 여성성, 화와 복, 영혼과 육체 등, 상반된 영역간의 대립과 종합이 잘 묘사되어 있다. 노자가 말한 ``和光同塵``은 곧 ``자기`` 실현의 기본자세다. 이 ``화광동진``에는 상반된 범주의 공존이 잘 표현되어 있다. 이런 간섭현상에 의해 노자의 ``도``와 융의 ``자기``는 정신 내에서 대극의 합일을 이루어낸다. (2) 무의식으로의 ``물러남``은 새로운 원천을 불러오는 태도다. 아울러 다시금 생기를 되찾기 위한 ``치유``를 통한 재생이다. 노자는 "근원으로 돌아가는 것이 道의 움직임"이라고 말한다. 인류사에서 보이는 수많은 전설이나 신화 또한 이러한 원형적 세계로의 물러남이 잘 표현되어 있다. 융이 말한 ``자기``의 발견과 노자의 ``復歸``는 같은 맥락을 지닌다. 융에 의하면 ``자기``는 다른 모든 원형들을 아우르는 중심적인 원형이다. 이 ``자기``란의 식과 무의식을 포함한 ``전체성``이다. 노자의 ``道`` 또한 융의 시각으로 바라보면 중심적 원형이다. 노자는 ``有無相生``을 언급하면서, 현실세계와 그 현실을 낳게 한 근원적 세계를 아울러 중시하였다. 사람으로 하여금 ``그 사람 자신``이 되게끔 하는 능력이 바로 자기원형의 기능이다. 이는 노자의 ``自然``이다. (3) 자기 자신의 원형적 세계와 조화를 이루면 이기적 욕망으로부터 초월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인의 원형성과 교류하고 조 화를 이룰 수 있다. 이는 우리의 상처받은 내면을 ``치유``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인간형은 끊임없이 ``자기 변형적``이 된다. 연구자는 이 연구에서 노자 사상과 칼 융의 분석심리학을 접목하여 새로운 방법론을 창출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현대인의 정신적 위기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이 작업에 의해 최종적으로는 "스스로의 존재를 배반하지 않는" 스스로의 아이덴티티에 대해 성찰해 보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ontents and methods. (1) Lao-tzu`s ``truth`` and C.G.Jung`s ``Self`` are the structures beyond our understanding. The researcher considered that Lao-tzu`s ``nothing`` concept can correspond to Jung`s ``unconsciousness`` concept. From the perspective of Lao-tzu, the reality of ``truth`` is impossible to be recognized. However, by well recognizing this ``truth`` inherent in deep inside us, we must use it in reality. This stage is expressed metaphorically by several archetypal symbols. The archetype makes people view the reality where they belong reflectively. The examples of the archetype mentioned by Jung are children·old wise men·Mother Land·targets of nature and wheels etc. (These correspond to Goksin (God of valley)·Sikmo (Mother feeding all things)·Bak (Unfinished gourd)·Younga (Child)·Gok (Wheel) etc. mentioned by Lao-tzu. These archetypical symbols set by Lao-tzu have a relation with several symbols set by Jung. The harmony of femininity and masculinity mentioned by Lao-tzu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concept of Jung`s ``Anima`` and ``Animus.`` According to Jung, all mental phenomena are formed through the course of the conflict and integration of the conflicting areas. We live in conflict and integration between numerous conflicting areas such a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masculinity and femininity, good and evil, beauty and ugliness, mind and body, introversion and extraversion etc. Also for Lao-tzu, conflict and synthesis between conflicting areas are well described such as unselfishness and selfishness), truth and losing truth, good and bad, masculinity and femininity, misfortune and fortune, soul and body etc. ``Hwagwangdongjin ((the life of a wise man) mingling with the world by hiding the light of his wisdom and virtue)`` etc. mentioned by Lao-tzu are the basic attitude for ``self`` realization. The coexistence of the conflicting categories are well expressed in this Hwagwangdongjin. And incomprehensibility on Matrix that enables this coexistence is revealed well. With this interference phenomenon, Lao-tzu`s ``truth`` and Jung`s ``Self`` achieve the unity of the opposites. (2) ``Retreat`` into unconsciousness is the attitude that calls a new source. In addition, it is regeneration through ``healing`` to regain vitality again. Lao-tzu says, "Going back to the origin is the movement of truth." Such retreat to the archetypal world is well expressed in numerous legends or myths shown in human history. The discover of ``self`` mentioned by Jung and ``comeback`` of Lao-tzu have the same context. According to Jung, ``self`` is the central archetype that encompasses all other archetypes. This ``self`` is ``allness`` including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From the Jung`s perspective, Lao-tzu`s ``truth`` is also central archetype. Mentioning ``Yumusangsaeng (To be and not to be create each other)``, Lao-tzu regarded both real world and the underlying world causing the reality as important. The function of self-archetype is the ability that makes a man become ``the man himself.`` This is Lao-tzu`s ``nature (it exists as it is).`` (3) By harmonizing with his own archetypical world, a person is able to transcend from selfish desires. And he can exchange and harmonize with the archetype of others. This helps to ``heal`` our wounded inner side. Such human type is constantly ``self-transformational.``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ttempted to create a new methodology by combining Lao-tzu`s thought and C.G.Jung`s analytic psychology. And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thought about the spiritual crisis of modern men. By this work, the researcher finally reflected his own identity "not betraying his own existence."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ontents and methods. (1) Lao-tzu`s ``truth`` and C.G.Jung`s ``Self`` are the structures beyond our understanding. The researcher considered that Lao-tzu`s ``nothing`` concept can correspond to Jung`s ``unconsciousness`` concept. From the perspective of Lao-tzu, the reality of ``truth`` is impossible to be recognized. However, by well recognizing this ``truth`` inherent in deep inside us, we must use it in reality. This stage is expressed metaphorically by several archetypal symbols. The archetype makes people view the reality where they belong reflectively. The examples of the archetype mentioned by Jung are children?old wise men?Mother Land?targets of nature and wheels etc. (These correspond to Goksin (God of valley)?Sikmo (Mother feeding all things)?Bak (Unfinished gourd)?Younga (Child)?Gok (Wheel) etc. mentioned by Lao-tzu. These archetypical symbols set by Lao-tzu have a relation with several symbols set by Jung. The harmony of femininity and masculinity mentioned by Lao-tzu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concept of Jung`s ``Anima`` and ``Animus.`` According to Jung, all mental phenomena are formed through the course of the conflict and integration of the conflicting areas. We live in conflict and integration between numerous conflicting areas such a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masculinity and femininity, good and evil, beauty and ugliness, mind and body, introversion and extraversion etc. Also for Lao-tzu, conflict and synthesis between conflicting areas are well described such as unselfishness and selfishness), truth and losing truth, good and bad, masculinity and femininity, misfortune and fortune, soul and body etc. ``Hwagwangdongjin ((the life of a wise man) mingling with the world by hiding the light of his wisdom and virtue)`` etc. mentioned by Lao-tzu are the basic attitude for ``self`` realization. The coexistence of the conflicting categories are well expressed in this Hwagwangdongjin. And incomprehensibility on Matrix that enables this coexistence is revealed well. With this interference phenomenon, Lao-tzu`s ``truth`` and Jung`s ``Self`` achieve the unity of the opposites. (2) ``Retreat`` into unconsciousness is the attitude that calls a new source. In addition, it is regeneration through ``healing`` to regain vitality again. Lao-tzu says, "Going back to the origin is the movement of truth." Such retreat to the archetypal world is well expressed in numerous legends or myths shown in human history. The discover of ``self`` mentioned by Jung and ``comeback`` of Lao-tzu have the same context. According to Jung, ``self`` is the central archetype that encompasses all other archetypes. This ``self`` is ``allness`` including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From the Jung`s perspective, Lao-tzu`s ``truth`` is also central archetype. Mentioning ``Yumusangsaeng (To be and not to be create each other)``, Lao-tzu regarded both real world and the underlying world causing the reality as important. The function of self-archetype is the ability that makes a man become ``the man himself.`` This is Lao-tzu`s ``nature (it exists as it is).`` (3) By harmonizing with his own archetypical world, a person is able to transcend from selfish desires. And he can exchange and harmonize with the archetype of others. This helps to ``heal`` our wounded inner side. Such human type is constantly ``self-transformational.``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ttempted to create a new methodology by combining Lao-tzu`s thought and C.G.Jung`s analytic psychology. And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thought about the spiritual crisis of modern men. By this work, the researcher finally reflected his own identity "not betraying his own existence."

      • KCI등재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과 새로운 노인상

        홍승표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uild a new image of the aged person on the basis of Lao-Tzu's view of human being. The reason this paper attempt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modern aged people by Lao-Tzu's view of human being is that it is impossible to make a creative image of the aged people on the basis of modern view of human being while thought of Lao-Tzu which is based on the unified world view can give creative explanation about the period of being aged. Given this, the present paper examines Lao-Tzu's ideal view of human being and summarizes his idea of how to be an ideal person. This paper also exteriorizes the life of ideal person on the basis of Lao-Tzu's view of ideal human being. Lastly, this paper discusses the post-modern meaning that the view of Lao-Tzu implies and shows the new image of the aged person. First, what kind of person does Lao-tzu think is ideal? It's the one who himself is Tao and manages affairs without action. Lao-Tzu calls this 'comfort, peace, and security'. The ideal person does not have obsession and is full of love. 'He loves himself but does not exalt himself.' The ideal person is free from glory and disaster and has a deep belief, which is another name for love. Second, the way of being Lao-Tzu's ideal person is discussed. Lao-Tzu thinks that it is done by 'practice'(修行). The first step of being an ideal person through practice(修行) is the realization of ego. Lao-Tzu says that 'only when one recognizes this disease as a disease can one be free from the disease.' There are several ways of practicing: taking out, making an effort to 'not to exalt the worthy', gladly accepting the disaster that comes to her/him, knowing to content and knowing when to stop. Third, the life of lao-Tzu's ideal person is stated. The ideal person herself/himself is Tao and enjoys it. 'He produces them but does not take possession of them.' 'He acts but does not rely on his own ability.' 'He accomplishes his task but does not claim credit for it.' As said in the chapter of 'the best is like water', the ideal person does good to every being in the world and stays where everybody dislikes to be in. Lastly, this paper shows the new image of the aged person on the basis of Lao-Tzu's view of human being. Lao-Tzu's view of human being can help formulate the post-modern image of the aged person. His way of being an ideal person provides the practical way of being aged happily and beautifully and his view of well aged person's life can give the answer about what the happy and beautiful life of the aged period is. 이 글의 목적은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관을 바탕으로 새로운 노인상을 구성하는 것이다. 새로운 노인상을 구성함에 있어서 이 글이 老子의 인간관에 의거하고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현대 인간관의 바탕 위에서는 창조적인 노인상 구성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老子思想은 통일체적 세계관에 바탕하고 있어서,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에 대한 논의의 바탕 위에서 老化와 노년기에 대한 창조적인 해석이 가능하다. 바로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을 살펴보고, 이상적인 인간이 되는 방법에 대한 老子의 견해를 정리했다. 그리고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의 바탕 위에서 이상적인 인간의 삶을 구상화했다. 마지막으로, 이런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에 바탕 해서 새로운 노인상을 구상화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첫째, 老子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인간상을 살펴보았다. 老子가 말하는 이상적인 인간은 道와 하나가 되어 無爲自然의 삶을 살아가는 사람이다. 그의 모습을 老子는 ‘安平太’라고 표현했다. 이상적인 인간은 집착하는 마음이 비어 있으며, 사랑이 충만한 사람이다. 그는 ‘自愛不自貴’한다. 그는 영화로움이나 환란에 얽매이지 않는 대자유인이다. 이상적인 인간은 믿음이 깊은 사람이며, 그의 믿음은 바로 사랑이다. 둘째,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이 되는 방법에 대한 입장을 살펴보았다. 이상적인 인간이 되는 방법에 대한 老子의 대답은 ‘修行이다. 修行을 통해 이상적인 인간이 되는 첫 단계는 에고에 대한 자각이다. 그래서 老子는 ‘夫唯病病 是以不病’이라고 말했다. 老子가 말하는 修行 방법은 다양하다. ‘덜어냄’, ‘不尙賢’, ‘貴大患若身’, ‘知足’과 ‘知止’ 등은 그 대표적인 방법이다. 셋째,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의 삶을 살펴보았다. 그것은 도와 하나가 되어 도를 즐기는 樂道로서의 삶이다. 그는 ‘爲而不恃’하며, ‘功成而弗居’하고, ‘功成不名有’하며, ‘功遂身退’한다. 그는 ‘衣養萬物而不爲主’하며, ‘長而不宰’한다. ‘上善若水’章에서 말하듯이, 이상적인 인간은 모든 존재에게 이로움을 베풀며, 뭇 사람들이 싫어하는 곳에 즐겨 머문다. 마지막으로 老子 인간관의 기반 위에서 새로운 노인상을 구성했다.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은 탈현대적인 이상적인 노인상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이 되는 방법은 ‘어떻게 행복하고 아름답게 나이 들어갈 수 있을까?’에 대한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해줄 수 있다. 老子의 이상적인 노인의 삶은 ‘노년기의 행복하고 아름다운 삶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해줄 수 있다.

      • KCI등재

        『老子』와 養生術

        이성구(Lee, Sung Gu)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 Vol.31 No.-

        本稿는 우선 고답적 사변철학의 완성자라는 시각에서 老子 개인에 접근하기보다는, 전통적 관념을 여전히 간직하고 있는 집단의 대표자로서의 老子에 초점을 맞추어 그에 대한 설화와 그의 姓名에 담겨진 의미를 밝혀 봄으로써 老聃이란 고명명사가 아니라 養生集團의 長老에 대한 호칭이었음을 밝혔고, 아울러 楊朱一派의 思想 및 존재양태와의 비교검토를 통해 老子集團의 존재를 우회적이나마 확인할 수 있었다. 老莊思想에서의 道는 우주의 궁극적?근원적 實在로 정의되지만 『老子』의 道는 呪術的 양생수련의 과정에서 배태된 개념으로서 무한한 생명력과 에너지를 지닌 宇宙創造 以前의 混沌을 표상하는 어휘였다. 그리고 『老子』의 養生術이란 수련의 주체가 그 混沌의 단계로 回歸하여 混沌과 合一함으로써 그 생명력을 자신의 몸에 가득 채우는 呪術的 수련기법이었으며, 그것은 구체적으로는 丹田呼吸 또는 胎息을 통한 精氣=德의 획득이었다. 이렇게 呪術的 生命力을 획득하는 것은 바로 道의 體得이었고, 道의 體得者인 聖人은 그 生命力으로 惡鬼와 위험을 퇴치함으로써 “沒身不殆”할 수 있었다. 또한 『老子』의 養生術은 現世離脫을 지향하는 神仙術과는 달리 現象界를 중시하는 현실적 養生術이었고, 兩者의 이러한 차이는 老子의 西游說話에서도 간접적으로 확인되었다. 呪術的 養生術은 보다 현실적이고 세속적인 處世術로 추이하는데, 이러한 個人的 處世觀은 그대로 老子의 政治論으로 전환된다. 『老子』에는 독자적이고 본격적인 정치사상은 극히 빈약한데 이는 그것이 哲學書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老子』가 養生術을 지향하였기 때문이다. 종래 일부 학자들에 의해 전제지배나 우민정책의 증거로 거론되었던 내용들도 사실은 이상적인 眞樸한 인간성의 제시였고, 『老子』의 反文明主義를 반영하는 것이었다. 『老子』의 思想이 申不害의 術로 자연스럽게 계승된 것도 『老子』사상의 근간이 養生術이었던 것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 KCI등재

        한국인들의 『老子』 이해와 번역 -기독교인들을 중심으로-

        이재권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3 儒學硏究 Vol.29 No.-

        이 논문은 『노자』 원문과 그 주석서의 현대 한글 번역서에 대한 사료적 정리와 특히 한국 기독교인들의 『노자』에 대한 이해와 그들의 번역에 대하여 분석하고 정리한 것이다. 2장과 3장에서는 『노자』와 그 주석서의 한글 번역서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서지사항을 정리했다. 해방 이후 1980년대까지의 『노자』 번역은 대부분 한학자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으며, 그 숫자도 많지 않다. 본격적인 번역은 1990년대부터 도가철학 전공자들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번역된 책의 종류를 분류하면 다섯 가지로 나누어진다. 통행본 『노자』 번역, 지하에서 출토(발굴)된 『노자』 번역, 중국인의 『노자』주석서 번역, 현대 중국인들이 현대중국어(백화문)로 번역한 것을 다시 한글로 번역한 것, 한국인의 『노자』주석서를 번역한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4장에서는 현대 한국기독교인들의 『노자』이해와 한글 번역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유영모·함석헌·박영호·장일순·이현주가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들은 순수 한글 번역을 시도했다. 그들은 노자를 석가·예수와 함께 3대 성인으로 평가하며, 석가·예수·노자의 사상이 궁극적으로 일치한다고 이해했다. 5장에서는 이현주 목사가 번역한 초횡의 『노자익』번역서에 드러난 번역의 문제점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잘못 번역한 부분을 구체적으로 지적하고 밝혀, 이 책의 수정본 출간과 향후 다른 번역자들이 참고할 수 있게 하였다. 本論文分析整理了《老子》原文和其注釋書卽現代韓文版譯書史料,特別是韓國基督敎徒們對《老子》的理解和飜譯. 在第二章和第三章中整理了對《老子》和其注釋書的韓文版譯書的曆史考察和書誌事項. 解放後到1980年代對《老子》的飜譯大部分是由漢學家來完成,而且從事飜譯的人員也不多. 有規模的飜譯是在1990年代開始,是專業的道家哲學們完成的. 已經飜譯的書,按類可分爲以下五種:通行本《老子》、發掘出土的《老子》、中國的《老子》注釋書、現代中國的白話文《老子》、韓國的《老子》注釋書. 在第四章中考察了現代韓國基督敎徒們的對《老子》的理解和韓文飜譯. 其代表人物有劉永模、鹹錫憲、樸永浩、張壹淳、李賢周等,他們試圖要以全韓文來飜譯. 他們把老子、釋迦和耶蘇尊稱爲三大聖人,認爲釋迦·耶蘇·老子的思想終歸是一致的. 在第五章中集中分析了李賢周牧師的飜譯焦鐄的《老子翼》的譯書中存在的問題. 具體指出了飜譯有誤的部分,使得給此書的修訂本的出版,以及今後其他譯者們的飜譯提供了參考.

      • KCI등재후보

        천부경(天符經)의 정신철학을 계승한 노자(老子)의 도(道)와 철학의 체계적 이해

        김익수 ( Kim Ik-so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9 No.-

        노자(老子)는 기원전 500년전의 인물로 도가(道家)의 창시자라고 전해지고 있다. 노자의 핵심철학이 내재한 저서는 『노자』, 또는 『도덕경(道德經)』이라고 한다. 그 내용이 상하 2편으로 나누어져 있고 내용의 성격으로 보아 상편을 도경(道經), 하편을 덕경(德經)이라고 분류하였는데 합쳐서 “도덕경(道德經)”이라고 이름하였다. 주(周)나라가 어지러웠던 춘추시대(B.C.768-B.C.476)에 저술된 노자는 전국시대(B.C.481-B.C.221)의 전란과 고난 속에서 이루어졌다. 중국의 춘추시대는 사상가가 많이 배출되었는데 공자, 맹자 등 유가사상은 황하유역인 북방의 기질을 대변한 사상이라면 노자나 장자를 중심으로 한 도가 사상은 장강유역을 중심으로 한 자연의 기질을 대표한 사상이다. 유가사상이 현실적이라면 도가사상은 자연적이고 초현실적이다. 노자는 절대적인 원리로서 도(道)의 추구, 인간의 본연의 이성의 한계성에 대한 각성 끝에 이른바 무(無)의 사상과 자연의 사상을 굳혀갔다. 중국의 상고에도 도덕이 중시되었지만 양대 사상의 골격은 판이하게 달랐다. 노자는 상제중심(上帝中心)의 사회체제와 상위자(上位者) 중심의 도덕체제만으로는 보통사람들의 삶을 온전하게 보장할 수 없고 만족하게 할 수도 없다고 보았던 것이다. 그런 판단으로 자연(自然), 도덕(道德)을 아주 중시하였다. 노자 이전인 상고시대에도 ‘도덕’이란 말을 사용했지만 노자가 강조한 도덕은 매우 포괄적이고 깊은 의미가 내재한 특징이 있다. 그것이 바로 천지인(天地人) 및 만물을 모두 포괄한 큰 도덕이다. 동양의 양대 사상이 유가와 도가사상이라고 하지만 사실은 유가도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더욱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이다. 누구나 세상을 살아감에 있어서 이것을 깨달아서 올곧게 살아가면 참된 인간이 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를 통치자가 알아서 국정철학을 삼는다면 국가가 크게 번영할 것이요, 국민이 大道에 따라 살아가게 될 것이니 나라기 태평할 것이요, 교육자가 실행하면 바른 교육이 되어 밝은 미래사회가 열릴 것이다. 보통사람들이 이해한다면 이웃과 사회가 따뜻하게 정을 나누고 인간의 본연대로 순박하게 살아가게 될 것이다. 거듭 말하지만 현대는 산업사회의 후유증과 과학과 기계화로 인간이 지극히 소외되고 다 종교 다문화시대를 맞아 더욱더 갈등이 심화되어 가고 있다. 현대 학교의 보통교육은 인류대학 진학의 준비기관으로 전락하여 이기심(利己心)만 조장하여 잘못된 경쟁심만 길러가고 있다. 심지어 청소년들은 점점 포악해져 법을 무시하는 지경에 이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회교육도 조선조시대의 서원(書院)이나 서당교육에서도 중점을 두었던 효정신과 인성교육은 자취를 감추고 기술이나 기능교육에 급급하고 있을 뿐이다. 사실상 우리는 도덕의 종주국이면서도 서구교육의 시험장이 되어 몹시 혼란을 거듭하고 있다. 인류의 희원(希願)인 인륜사회가 혼탁해지고 전 세계가 험난해 질수록 더욱더 인간의 예지가 담긴 위대한 사상으로 가치를 지니고 있는 노자는 우리 동양인은 물론 세계인이 자아(自我)를 되찾아 위기시대를 극복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사상이요 문화유산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사상의 단초(端初)가 된 것을 보면 『천부경(天符經)』에서 홍익인간 이화세계의 사상이 바탕이 되고 있음을 잘 알 수 있다. 현대 우리에게 크게 깨우침을 줄 수 있는 노자의 사상은 본원적으로 가장 한국적이면서 세계적인 철학의 종원(宗源)인 『천부경(天符經)』을 계승하여 형성되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인간의 위기시대에 처하여 인간의 본연(本然)을 되찾아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Laotzu is a man of 500BC who established Daoism. Laotzu or Book of Daoism is the book of containing the core of his philosophy. It consists with two parts; the script of Dao as the first part and the script of morality as the second part. These make the title of the book, the Book of Daoism, the book of Dao and Morality. Laotzu lived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when Zhou dynasty suffered. This book appeared in the later part of this period. During this period, many thinkers appeared compared to any other period. Confucianism of Confucius and Mencius represented the northern thought of Yellow River area while Daoism of Laotzu and Zhuang Zhou represented character of nature in the Yangtze River area. In fact, Those two major schools of Chinese thoughts are not just reflect the climate ana natural differences, but differentiated the wide areas of thoughts, literature, culture, art and so on. While Confucianism reflects practicality, Daoism is natural and supernatural in it character. Laotzu developed thought of nothing and nature after realizing the limitation of the human reason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He also believed that the emperor-centered social structure and moral system of the haves could not secure and satisfy the people. Therefore, he emphasized the values of nature and Dao-morality. The value of Dao-morality existed before, but his value is more comprehensive and in-depth. That is, his grand value of thought of morality contains 'heaven-earth-human' and all thing in the universe. Confucianism also was influenced from the thought of Daoism and as a result it developed into a higher level. Everyone realize the morality in everyday life, then they can be the true human beings. When rulers realize this value and make it as a political value, the country will be peaceful. At the same time when educators executed this value, true education promise the brighter future. When common people share this value, society will be pure and safe among neighbors. This is the solution to resolve the conflicts from symptoms of industrialized society and isolated human being from the scientific and materialized world as well as the deepening conflicts from the multi-religious and multi-cultural era. Furthermore, today is a era of no education without any thoughts and that of losing love of people. There is no sense of collective nature of people by threatening people and peace with nuclear weapon. Today's education focuses on the entering of the best universities that spread the selfishness and unfair competitions. Kids are become so violent and barbaric that they are not just neglect education but the legal system. For worse, social education totally lost the value of filial piety and personality education those emphasized by the Seowon and Seodang of Joseon. It only focuses on the teaching on the technical skills. In fact, Korea's education is a arena of testing Western education even though Korea is the birth place of morality. When the comtemporary society becomes more confused and violent, Laotzu's Daoism of Asia is the great value to seek an ego to overcome the crisis. Dao(道) is the core of Laotzu's thought and it was fundamentally inheriting the thought reflected in Cheonbugyeo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ek a true nature of human beings by researching philosophical structure of the Book of Daoism.

      • KCI등재

        老子의 내재화된 ‘道’ 범주와 칼 융(C.G.Jung)의 ‘자기(Self)’

        양승권 동양철학연구회 2013 東洋哲學硏究 Vol.76 No.-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과 방법에 따라 수행되었다. (1) 老子의 ‘道’와 칼 융(C. G. Jung)의 ‘자기’(Self)는 우리의 이해를 넘어서는 초월적 구조다. 연구자는 노자의 ‘無’ 개념이 융의 ‘무의식’ 개념에 대응될 수 있다고 보았다. 노자에게 ‘道’는 ‘無’의 원리적 차원이다. 노자가 볼 때 ‘道’의 실재는 인식 불가능하다. 하지만 우리는 우리 내면 깊숙이 내재되어 있는 이 도를 잘 인식하여 현실에서 쓰임새가 있도록 해야만 한다. 이 경지는 여러 원형 상징들에 의해 은유적으로 표현된다. 노자가 언급한 원형의 실례로는 谷神⋅食母⋅樸⋅嬰兒⋅轂 등이 있다. 이는 융이 말한 원형 상징인 어린이⋅老賢人⋅어머니인 大地⋅자연계의 대상과 수레바퀴 등에 대응된다. 그리고 노자가 말한 여성성과 남성성의 조화는 융의 ‘아니마’(Anima)와 ‘아니무스’(Animus)라는 개념과 일맥이 상통한다. 융에 따르면 모든 정신현상은 서로 상반된 영역이 갈등과 통합의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된다. 우리는 의식과 무의식, 남성성과 여성성, 선과 악, 아름다움과 추함, 정신과 신체, 내향성과 외향성 등 무수한 상반된 영역 사이의 갈등과 통합 속에서 살아간다. 노자에게 있어서도 無欲과 有欲, 道와 도를 잃은 것, 선함과 불선함, 남성성과 여성성, 화와 복, 영혼과 육체 등, 상반된 영역간의 대립과 종합이 잘 묘사되어 있다. 노자가 말한 ‘和光同塵’은 곧 ‘자기’ 실현의 기본자세다. 이 ‘화광동진’에는 상반된 범주의 공존이 잘 표현되어 있다. 이런 간섭현상에 의해 노자의 ‘도’와 융의 ‘자기’는 정신 내에서 대극의 합일을 이루어낸다. (2) 무의식으로의 ‘물러남’은 새로운 원천을 불러오는 태도다. 아울러 다시금 생기를 되찾기 위한 ‘치유’를 통한 재생이다. 노자는 “근원으로 돌아가는 것이 道의 움직임”이라고 말한다. 인류사에서 보이는 수많은 전설이나 신화 또한 이러한 원형적 세계로의 물러남이 잘 표현되어 있다. 융이 말한 ‘자기’의 발견과 노자의 ‘復歸’는 같은 맥락을 지닌다. 융에 의하면 ‘자기’는 다른 모든 원형들을 아우르는 중심적인 원형이다. 이 ‘자기’란 의식과 무의식을 포함한 ‘전체성’이다. 노자의 ‘道’ 또한 융의 시각으로 바라보면 중심적 원형이다. 노자는 ‘有無相生’을 언급하면서, 현실세계와 그 현실을 낳게 한 근원적 세계를 아울러 중시하였다. 사람으로 하여금 ‘그 사람 자신’이 되게끔 하는 능력이 바로 자기원형의 기능이다. 이는 노자의 ‘自然’이다. (3) 자기 자신의 원형적 세계와 조화를 이루면 이기적 욕망으로부터 초월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인의 원형성과 교류하고 조화를 이룰 수 있다. 이는 우리의 상처받은 내면을 ‘치유’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인간형은 끊임없이 ‘자기 변형적’이 된다. 연구자는 이 연구에서 노자 사상과 칼 융의 분석심리학을 접목하여 새로운 방법론을 창출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현대인의 정신적 위기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이 작업에 의해 최종적으로는 “스스로의 존재를 배반하지 않는” 스스로의 아이덴티티에 대해 성찰해 보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ontents and methods. (1) Lao-tzu’s ‘truth’ and C.G.Jung’s ‘Self’ are the structures beyond our understanding. The researcher considered that Lao-tzu’s ‘nothing’ concept can correspond to Jung’s ‘unconsciousness’ concept. From the perspective of Lao-tzu, the reality of ‘truth’ is impossible to be recognized. However, by well recognizing this ‘truth’ inherent in deep inside us, we must use it in reality. This stage is expressed metaphorically by several archetypal symbols. The archetype makes people view the reality where they belong reflectively. The examples of the archetype mentioned by Jung are children⋅old wise men⋅Mother Land⋅targets of nature and wheels etc. (These correspond to Goksin (God of valley)⋅Sikmo (Mother feeding all things)⋅Bak (Unfinished gourd)⋅Younga (Child)⋅Gok (Wheel) etc. mentioned by Lao-tzu. These archetypical symbols set by Lao-tzu have a relation with several symbols set by Jung. The harmony of femininity and masculinity mentioned by Lao-tzu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concept of Jung’s ‘Anima’ and ‘Animus.’ According to Jung, all mental phenomena are formed through the course of the conflict and integration of the conflicting areas. We live in conflict and integration between numerous conflicting areas such a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masculinity and femininity, good and evil, beauty and ugliness, mind and body, introversion and extraversion etc. Also for Lao-tzu, conflict and synthesis between conflicting areas are well described such as unselfishness and selfishness), truth and losing truth, good and bad, masculinity and femininity, misfortune and fortune, soul and body etc. ‘Hwagwangdongjin ((the life of a wise man) mingling with the world by hiding the light of his wisdom and virtue)’ etc. mentioned by Lao-tzu are the basic attitude for ‘self’ realization. The coexistence of the conflicting categories are well expressed in this Hwagwangdongjin. And incomprehensibility on Matrix that enables this coexistence is revealed well. With this interference phenomenon, Lao-tzu’s ‘truth’ and Jung’s ‘Self’ achieve the unity of the opposites. (2) ‘Retreat’ into unconsciousness is the attitude that calls a new source. In addition, it is regeneration through ‘healing’ to regain vitality again. Lao-tzu says, “Going back to the origin is the movement of truth.” Such retreat to the archetypal world is well expressed in numerous legends or myths shown in human history. The discover of ‘self’ mentioned by Jung and ‘comeback’ of Lao-tzu have the same context. According to Jung, ‘self’ is the central archetype that encompasses all other archetypes. This ‘self’ is ‘allness’ including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From the Jung’s perspective, Lao-tzu’s ‘truth’ is also central archetype. Mentioning ‘Yumusangsaeng (To be and not to be create each other)’, Lao-tzu regarded both real world and the underlying world causing the reality as important. The function of self-archetype is the ability that makes a man become ‘the man himself.’ This is Lao-tzu’s ‘nature (it exists as it is).’ (3) By harmonizing with his own archetypical world, a person is able to transcend from selfish desires. And he can exchange and harmonize with the archetype of others. This helps to ‘heal’ our wounded inner side. Such human type is constantly ‘self-transformational.’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ttempted to create a new methodology by combining Lao-tzu’s thought and C.G.Jung’s analytic psychology. And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thought about the spiritual crisis of modern men. By this work, the researcher finally reflected his own identity “not betraying his own existence.”

      • KCI등재

        老子와 帝王의 도 - 노자의 ‘전설’과 <노자> 텍스트에 대한 재검토 -

        김시천 동양철학연구회 2012 東洋哲學硏究 Vol.69 No.-

        The Lao-tzu is not an easy text to read, translate, and interpret. Still, I believe that the problems with regard to the text and author of the Lao-tzu has not solved.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Angus C. Graham, the legends of Lao-tzu in the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reveals the complexity of the person, as an alledged author, that consists of legends originated from different sources. In this case we need to have an other approach to the Lao-tzu, the Lao-tzu text in itself, in particular, the personal pronouns. It resulted that the Lao-tzu was an text of the elite in ancient China, because the sayings of Lao-tzu normally addressed the ruling class about the issues of good government and social order. 필자는 이 글에서 두 가지 논의를 담아내고자 했다. 첫째, 『노자』의 저자에 관한 기초자료로 간주되어 온 사마천의 「노자열전」에 담긴 전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노자열전」에 대한 그레이엄, 콘 등의 학자들의 치밀한 분석에 따를 때 우리는, 「노자열전」이 『노자』의 저자에 관한 사실들을 알려주기는커녕 오히려 한대의 시점을 가장 충실하게 드러낸다. 이를 통해 우리는, 『노자』가 하나의 인물이 아니라 다양한 전설들이 한데 얽혀서 하나의 ‘역사화 된’ 노자상을 만들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게다가 그 ‘역사화 된’ 노자는 한대 초기의 한 가문의 역사와 관련된다. 둘째로 필자는 그간 『노자』의 저자를 확정하려는 논의와 달리, 『노자』에 등장하는 인간에 관한 표현들에 주목하고자 한다. 그 속에서 우리는 다른 제자문헌들과 마찬가지로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주인공들이 성인(聖人), 후왕(侯王) 그리고 사(士)라는 정치적 유력자들임을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이들이 『노자』의 화자와 청자라는 점을 밝힘으로써 『노자』라는 책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와 달리 보통의 백성이나 일반적인 의미의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들은 매우 부정적이고 피상적인 의미 외에는 부여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필자는 다른 어떤 문헌보다도 『노자』가 ‘호모 임페리얼리스’라는 당시 천하의 정치적, 사상적, 사회적 패권을 놓고 다투었던 사람들의 성격을 가장 잘 드러내는 문헌이라 제안하고자 했다. 이렇게 보면 『노자』는 물론 선진 제자백가 문헌에 대해 우리는 누가, 누구를 위해 제시한 텍스트 혹은 철학사상인가에 대해 보다 진지하게 묻지 않을 수 없음을 고백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 방법은 개념 중심의 연구가 놓치기 쉬운 몇 가지 지점들을 보다 분명하게 드러내는 데에도 일조할 것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조선시대 노자주석의 연구 경향과 전망

        이봉호(Bong ho Lee) 한국동양철학회 2016 동양철학 Vol.0 No.45

        조선시대 노자 주석은 현재까지 5종이 발굴되어 연구되고 있다. 노자의 주석은 조선시대를 관통하면서 다양한 이해의 폭을 보여준다. 주석자 자신만의 철학적 이해를 보여주기도 하고, 주석자가 활동한 시대적 상황과 철학적 입장들이 하나의 흐름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고 평가된다. 조선시대 다양한 노자 주석서를 이해하는 현대학자들의 방식은 첫째, ‘闢異端論’이 있다. 벽이단론은 유학의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단을 공격하는 논리로 『노자』 주석이 진행되었다는 입장이다. 이 입장은 유학을 정통의 학문으로 정립하기 위해 노장을 거짓학문으로 규정하는 과정에서 사상적 투쟁의 성격이 강한 주석이라고 본다. ‘벽이단론’을 통해 유학은 자신들의 이론을 보완하거나 회통하는 시도로서 노장을 해석하는 경향, 즉 ‘以儒釋老’의 관점으로 전환된다고 본다. 이것이 둘째, ‘以儒釋老’의 관점이다. ‘이유석노’라는 관점은 중국학자인 嚴靈峰에 의해 제기되고, 한국에서는 金吉煥에 의해 도입되었다. 이 관점은 한국에서 노장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주류 관점이 되어 노자와 장자에 대한 다양한 주석자들의 입장과 철학적 사유를 재단하는 기준으로 작동한다. 한국 역사에서 유독 조선에서 『노자』 주석서가 탄생하고 있는 점에 비추어 본다면, 이들 주석서는 주자학의 관점에서 ‘이유석로’의 입장을 취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입장을 취하면 주석자의 사유를 일방적으로 재단하거나 그의 철학적 시각을 사상(捨象)하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입장과 달리 셋째, ‘탈주자학적 관점’에서 노자 주석서를 이해하려는 시각이 있다. 이 시각 역시 주자학이 기준이다. 주석자가 주자학적 사유를 견지하느냐 벗어났느냐는 사실만으로, 그의 노자의 주석을 탈주자학적 관점에서 주석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이러한 관점은 사상사의 흐름과 노자이해의 흐름을 일치시켜 판단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도 사상사적 판단이 아니라, 단지 주석자가 주자학적 사유를 벗어났다는 이유만으로 탈주자학적 노자이해라고 재단하는 문제가 있다. 마지막의 관점은 넷째, ‘사상사적 흐름’으로 보려는 시도이다. 이는 시대적 흐름에서 주류 사상을 특정하고 이에 따른 노자 이해를 하나의 사상사로 정리하려는 시도이다. 몇몇 학자들에 의해 시도된 이러한 연구는 시대의 흐름을 사상사적으로 특정하는 선행연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한국사상사의 흐름에서 노자의 이해를 어떻게 바라볼지에 대한 세밀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는 점에서 아직 부족한 점이 보인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노자 주석서들을 연구하는 입장들을 정리하고, 이들 연구방법에서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해명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의 문제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정리하고자 노자 주석서들의 연구경향들을 따로 정리했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노자 연구의 전망들을 제시하면서 새로운 시각들과 입장들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Five versions of Lao-tzu’s annotations in the Joseon period have been found and they are being studied. Lao-tzu’s annotations shows diverse understanding of Lao-tzu, embracing the Joseon period. It represents not only one trend which includes annotators’ philosophical point of view and a situation of that time but also one’s uniqu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However, there is a predominant view to see Lao-tzu’s annotations as a single standpoint. This dominant view is ‘Iyuseokno’ which interpret Lao-tzu and Chuang-tzu from Confucian view. The ‘Iyuseokno’ point of view was posed by Chinese scholar, Yan Lingfeng and it was introduced to Korea by Kim Gil Hwan. This view became the mainstream standpoint for scholars studying Lao-tzu and Chuang-tzu in Korea. Moreover, it became standard judging scholars’ stance and philosophical thinking. However, if this view is adopted, it is likely to overlook annotators’ thinking and ignore philosophical view of annotators. Contrary to this standpoint, there is an attempt to regard Lao-tzu’s annotations as a stream of ideology. To be specific, it is an attempt to specify mainstream ideology with the stream of times and construct cognizance by Lao-tzu into one pensee. This study done by a few scholars is required to have a precedent study to specify the stream of times ideologically as well as a detailed study how to perceive cognizance by Lao-tzu with Korean ideology. This study organises stances for studying Lao-tzu’s annotations in the Joseon period. Furthermore, this study explains what is wrong in their method of study. On the basis of this study, it suggests outlook for a further study of Lao-tzu and emphasise that new perspectives and stances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