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년대 북경지역의 흥사단원과 민족운동

        조규태 ( Cho Kyu-tae ) 대구사학회 2021 대구사학 Vol.142 No.-

        이 논문은 1920년대 북경지역에서 활동한 안창호 등 흥사단원의 민족운동에 대하여 살펴본 글이다. 북경지역에서 활동한 흥사단원과 그 조직인 천진지부와 북경단소, 그리고 흥사단원이 전개한 실력양성운동과 대 독립당 조직 활동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안창호가 국민대표회의를 개최하기 위하여 1922년 중반 천진지역에 와서 유세를 벌이자 천진에서 교민단체를 이끌던 평안도 인물 김위택, 주현칙, 박일경 등 평안도계 인물들이 흥사단에 입교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흥사단 천진지부를 조직하였다. 천진지부의 지부장은 김위택, 총무 겸 재무는 주현칙, 간사는 박일경이었다. 그리고 국민대표회의 후 좌절 후 안창호, 안정근, 김승만 등은 1924년초 북경 서구 海甸에 해전농원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 장소를 배경으로 흥사단소를 마련하고 흥사단의 북경지역의 班을 편성하였다. 북경지역에서 활동하던 흥사단원들은 서북 출신의 기독교인과 유학생이 중심을 이루고 있었다. 북경지역의 흥사단원들은 1924년부터 1926년 중반까지 임시정부, 의열단, 기타 독립운동단체와 직접적인 독립운동을 전개하는 대신에 실력양성운동에 매진하였다. 이들은 인격의 양성과 물력의 양성을 통해 독립운동을 준비하고자 하였다. 이들은 운동, 지식의 배양, 도덕의 수양, 분투적 수련 등을 통해 인격을 양성하고자 하였고, 해전농원의 운영을 통해 경제적 실력을 쌓고자 하였다. 한편 이들은 독립의식을 고취하고, 아나키즘을 수용하여 겸애적 공동체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한편 이들은 반공주의와 반소주의의 사상을 드러내었다. 이러한 북경지역 흥사단원의 노선은 북경의 창조파로부터 공격을 받았다. 그리고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계가 중심을 이룬 혁명사로부터 우경적 기회주의자로 비판을 받았다. 그리고 1926년 9월 경에는 한국재생동맹회로부터 참정권운동파와 자치운동파라는 비판을 받고, 독립운동계로부터 오해를 받기에 이르렀다. 북경지역의 흥사단의 대표인 안창호는 1926년 9, 10월 경부터 창조파의 대표적 인물인 원세훈과 협의하여 대독립당조직북경촉성회를 조직하기로 합의하였다. 그리고 북경지역의 흥사단원인 안창호, 이탁, 김광천, 박관해, 배인수, 등은 1926년 10월 10일부터 28일까지 북경 지역의 대표들과 여러 차례 회의를 갖고 대독립당조직북경촉성회를 조직하였다. 이후 안창호는 1927년 1월 만주의 길림에 가서 강연회를 통해 참정권 운동과 자치운동을 비판하고, 당시로서는 독립운동노선만이 조선 민중의 하나밖에 없는 독립운동노선이라고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독립 운동세력의 대통합을 이루려고 하였다. 그리고 사회주의세력의 이탈로 대독립당의 결성이 어려워지자 1930년 1월 상해에서 임시정부의 요인들과 한국독립당을 결성하였다. 이 글은 1920년대 중반 안창호를 중심으로 한 북경지역 흥사단원의 독립운동노선과 이에 대한 반대세력의 동향을 규명해내었다. 그리고 1926년 북경지역의 흥사단원이 대독립조직북경촉성회의 결성에 참여한 배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national movements of Heungsadan members, including An Chang-ho, who was active in Beijing in the 1920s. I reviewed the activities of the Heungsadan, the Tianjin Branch, the Beijing Danso, and the Heungsadan, which were active in the Beijing area, and the activities of the Grand Independence Party. When Ahn Chang-ho came to Tianjin in mid-1922 to hold a national representative meeting, Pyeongan-do figures Kim Wi-taek, Joo Hyun-chik, and Park Il-kyung, who led the Korean residents' group in Tianjin, joined the Heungsadan. They organized the Tianjin Branch of Heungsadan. The branch manager of the Tianjin branch was Kim Wi-taek, the general affairs and finance department was Joo Hyun-chik, and the executive secretary was Park Il-kyung. After the National Assembly meeting, Ahn Chang-ho, Ahn Jung-geun, and Kim Seung-man established the Haejun farm in the western city of Beijing in early 1924. In addition, Heungsadan Beijing Division area was organized. The Heungsadan members in Beijing were mostly Christians and international students from the northwest of Korea. From 1924 to mid-1926, Heungsadan members in Beijing engaged i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ability, instead of carrying out a direct independence movement with the Provisional Government, the Uiyeoldan, and other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They wanted to prepare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by fostering character and physical strength. They wanted to cultivate character through exercise, cultivation of knowledge, moral discipline, and strenuous training, and to build economic ability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Haejun farm. On the other hand, they promoted the spirit of independence, accepted anarchism to create a benevolent community. They have expressed anti-communism and anti-Soviet Russia ideas. This politalcal doctrine of Heungsadan members in Beijing was attacked by the Beijing Creative People. They were criticized as a right-wing opportunist by the revolutionary group centered on the Irkutsk faction of the Communist Party of Korea. By September 1926, They were criticized by the Korea Regeneration Alliance as a suffrage activist and a self-governing activist, and was misunderstood by the independence movement community. As a way out of this criticism, An Chang-ho, the representative of the Heungsadan Beijing Division, agreed to organize the Great Independence Party Organization Beijing Chromatic Society in September and October 1926, in consultation with Won Se-hoon, a representative of the creative faction. An Chang-ho, Lee-Tak, Kim Gwang-cheon, Park Kwan-hae, Bae In-su, and others, who were members of the Heungsadan in Beijing, held several meetings with representatives of Beijing from October 10 to 28, 1926. Afterwards, Ahn Chang-ho went to Gilim, Manchuria, in January 1927 and criticized the suffrage activist and the self-governing activist through a lecture, stressing that the independence movement was the only way for independence among the Joseon people. After this, he attempted to achieve a grand unity of independence movement forces. Though the formation of the Grand Independence Party became difficult due to the departure of socialist forces, Ahn Chang-ho and Heungsadan members formed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in Shanghai in January 1930. This article identified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Heungsadan members in Beijing, centered on An Chang-ho, in the mid-1920s, and the trend of opposition forces against it. This will also help us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participation in the formation of the Great Independence Party Organization Beijing Chokseonghoe(the Beijing Promotion Association of the Great Independence Organization) of Heungsadan Group in Beijing in 1926. (Hansung University Division of Humanaties & Arts / chouchi@hanmail.net)

      • KCI등재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의 조직 목적과 활동

        송민지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2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13

        This paper examined the Far Eastern Committee of the Young Korean Academy, organized by Ahn Chang-ho in Shanghai. The previous research regarded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Young Korean Academy Far Eastern Committee as identical to the ‘suyang(修養)’ movement by Young Korean United States Committee. As a result, it was hard to clearly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carried out by Young Korean Academy Far Eastern Committee. In response, this paper distinguished the Young Korean Academy Far Eastern Committee from Suyangdongmaenghoe(修養同盟會), which played a role as Young Korean United States Committee and Young Korean United States Committee of Young Korean Academy, to re-spotlight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Young Korean Academy Far Eastern Committee. First, this paper investigated the region referred by “Far East” and organized how the American branch perceived “Far East” to explore the background of organizing Far Eastern Committee. This paper also investigated the process of separating “Domestic Area” from Far Eastern Committee since 1924 in order to distinguish the activities of Far Eastern Committee and Suyangdongmaenghoe, which played a role as the domestic branch of a Young Korean Academy since 1924. Secondly, this paper focused on the point that “Domestic Area” was separated from the scope of Far Eastern Committee since 1924 and clarified the publisher of Dongkwang(東光) published in Korea in 1926. This paper confirmed that Dongkwang magazine was published by Suyangdonguhoe(修養同友會) to show the difference in the activities of the two organizations. Lastly, this paper looked through the efforts made by the Young Korean Academy Far Eastern Committee to mainta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o reveal its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Whe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lost its power after the meeting of national representatives in 1923, the Young Korean Academy Far Eastern Committee planned a new cabinet to mainta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After 1926, Young Korean Academy Far Eastern Committee organized Association for Supporting Provisional Government and led the organization of a revolutionary party to assemble the independence movement powers. 본 논문은 안창호가 1920년 중국 상해에서 조직한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에 관하여 서술한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의 독립운동을 미주 흥사단의 수양운동과 동일한 것으로 파악했다. 그 결과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의 독립운동 성격을 명확히 파악하기 어려웠다. 본 논문에서는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를 미주 흥사단 및 흥사단 국내지부 역할을 했던 수양동맹회와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의 독립운동을 재조명하고자 했다. 첫 번째로 원동임시위원부의 ‘원동(遠東)’이 지칭하는 지역을 알아보고, 미주에서 ‘원동’을 어떻게 인식했는지 정리함으로써 원동임시위원부의 조직 배경을 살펴보았다. 또한 1924년 이후로 원동임시위원부의 관할 범위에서 ‘국내’가 분리되는 과정을 정리함으로써 1924년 이후 흥사단 국내지부 역할을 했던 수양동맹회와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의 활동을 구분 지었다. 두 번째로 1924년 이후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의 관할 범위에서 ‘국내’가 분리되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1926년 국내에서 발간된 잡지 『동광(東光)』의 발간 주체를 명확히 했다. 『동광(東光)』의 발간 주체가 원동임시위원부가 아닌 수양동우회라는 점을 확인하여 두 단체의 활동을 구분했다. 마지막으로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유지를 위해 노력한 활동을 살펴봄으로써 원동임시위원부의 독립운동 성격을 드러내고자 했다.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는 1923년 국민대표회의 이후 권위가 하락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유지시키고자 새로운 내각을 조각했다. 1926년 이후에는 임시정부경제후원회를 조직하고, 독립운동 세력을 결집시키고자 ‘일대혁명당(一大革命黨)’ 조직에 앞장섰다.

      • KCI등재

        해방전후 河敬德의 활동과 건국인식

        김동선 숭실사학회 2016 숭실사학 Vol.0 No.36

        하경덕의 활동과 건국인식은 흥사단 계열인사 및 민족자주연맹의 계열의 중간파와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기존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흥사단 계열의 미국유학생들의 행로와는 다른 모습이다. 때문에 그에 대한 연구는 해방전후기 흥사단계 및 중간파 지식인들의 저변과 정국인식에 대해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의 활동은 일제 강점기 학문으로서 사회학이 자리 잡지 못하여 제자가 없었고, 중간파 몰락과 같은 이유로 관심을 끌지 못하였다. 또한 비교적 자료가 많지 않은 인물이라는데도 원인이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하경덕은 하버드 대학에 재학 시기, 중요한 인맥과 사상을 구축하게 되었다. 그는 흥사단과 국민회에 가입하여, 해방 후 행보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들과 교류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한편, 박사학위논문에서는 인간의 가치와 권리를 존중하고 생활여건에 무관심한 사회학은 불필요하다고 단언하였다. 그는 선진사회는 후진지역을 점유할 수 있다는 제국주의적 발상이나 약육강식의 논리를 비판하였다. 더불어 흥사단의 사상적 영향을 받아 선한 인민이 선한 사회제도를 만들 수 있다고 믿었다. 이것은 흥사단계에서 만든 동우회의 인격수양과 민족성개조와 상통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흥사단계 지식인들의 대체적인 모습과 같이 그가 주장하는 변혁은 적극적인 사회변혁보다 개인적인 수양에 머물러 있었다. 그의 이러한 모습은 일제강점기 활동하던 지식인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하경덕이 해방 후 창간한 코리아타임즈 는 미군정과 흥사단계 미국유학생들의 가교가 되어 주었다. 이때 함께 준비위원은 대부분 흥사단계 인사들로 미군정으로부터 중용되었고, 그도 해방 직후 최대 규모였던 서울신문사의 사장으로 취임하게 되었다. 서울신문 의 기사보도는 객관성을 바탕으로 노동문제, 토지개혁에 관한 인식들은 하경덕과 나아가 흥사단계 중간파라고 평가되는 오기영 등과 상당한 유사점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서울신문 은 민족자주연맹 계열 인사들의 입장을 대변하고, 일종의 정치기반이 되어주었다. 더불어 그는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의 관선위원으로 활동하는 등 중간파의 길을 걸었다. 대한민국정부수립 후 그는 정부를 인정하면서도 이승만 정부의 부패와 무능한 정책수행에 실망스러워했다. 이러한 그의 정국인식과 입장은 이승만 정부와 불화하였고, 결국 그는 서울신문사 사장직에서 물러나고 말았다. Ha Gyeong-deok's activity and recognition of founding a country are showing similar image to a centrist of the Heungsadan-affiliated personnel and of the National Independence Federation affiliation. This is different image from a path of Koreans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of the Heungsadan(興士團) affiliation, which is generally known conventionally. Hence, a research on him will be able to be a good example available for examining about the base and the political situation awareness in the Heungsadan affiliation and centrist intellects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of 1945. His activity had no disciple due to failing to be positioned sociology as learn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failed to draw an interest for a reason like a fall in a centrist. Also, it is thought that there will be a cause even in being a figure who relatively has few materials. Ha Gyeong-deok came to implement important personal connection and idea during the period of attending Harvard University. He joined Heungsadan and National Association, thereby having arranged an opportunity of exchanging with characters who had great influence upon walking following the liberation. In the meantime, he asserted that a human being's value and right are respected and that sociology indifferent to the living conditions is not needed in a doctoral thesis. He criticized an imperialistic thinking or the logic of the jungle as saying that the advanced society can occupy the underdeveloped areas. In addition, he was ideologically influenced by Heungsadan, thereby having believed that good people can make good social system. This was what is in common with self- cultivation and ethnicity modification in Donguhoe that was made by the Heungsadan affiliation. However, like the general image of intellects in the Heungsadan affiliation, the revolution that he asserts remained in individual cultivation rather than a positively social change. His image in this way can be said to show the limitation of intellects who had been activ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Korea Times that Ha Gyeong-deok firstly published after the liberation became a bridge between the U.S. military rule and the Koreans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as the Heungsadan affiliation. Along with this, an arrangement committee mostly included the figures from the Heungsadan affiliation who were appointed from the U.S. military rule. He was also appointed as CEO of Seoul Daily News, which had been the largest scale right after the liberation. In terms of the news article in Seoul Daily News , the recognitions on labor issue and land reform based on objectivity are showing quite similarity to Ha Gyeong-deok and further to Oh Gi-yeong who is evaluated as a centrist of the Heungsadan affiliation. And Seoul Daily News became a kind of political foundation with standing for the figures affiliated with National Independence Federation. In addition, he walked along the centrist such as being active as an appointed committee in the Transitional Legislative Assembly of the South Chosun.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e acknowledged the government, but was disappointed with the Rhee Syngman government's corruption and incompetent policy performance. His political situation awareness and position in this way had an issue with the Rhee Syngman government. Ultimately, he resulted in having stepped down from the position of president for Seoul Daily News company.

      • KCI등재

        흥사단 도서 구입 장부의 구성과 성격

        권두연 대중서사학회 2017 대중서사연구 Vol.23 No.3

        이 연구는 독립기념관에 소장된 1918~1920년까지의 흥사단 도서 구입 장부의 구성과 성격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흥사단은 실력을 갖춘 청년 양성을 목적으로 1913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안창호를 중심으로 창립된 단체이다. 청년들의 실력 양성을 위해 흥사단은 다양한 사업들을 추진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출판과 도서관의 설립이고 도서 구입 장부는 바로 이러한 활동의 구체적 결과물로 간주된다. 흥사단 도서 구입 장부에는 구매인, 구매처, 구매 서적명, 가격, 권수, 할인액, 보험금, 우송료 등 구매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들이 기재되어 있다. 특히 어떠한 서적들을, 얼마나 구매했는지 그 서적명과 권수가 상세하게 적혀 있어 흥사단 도서 구입 장부를 통해 서적 구매에 관한 각종 정보는 물론이고 흥사단이 구매한 서적들의 구체적 실태를 재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흥사단이 상당히 다양한 서적, 특히 기독교와 국문으로 된 서적을 구매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가운데 한글 소설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한다는 사실도 드러난다. 무엇보다 1910년대 국내에서는 유통될 수 없었던 금서들이 유통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동맹독서와 문자보급에 힘쓴 흥사단의 성격을 드러냄과 동시에 국내와 다른 서적의 유통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

      • KCI등재

        도산 안창호의 흥사단 운동이 갖는 현대 시민운동의 교육적 가치

        조의령,전일균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2 敎育問題硏究 Vol.35 No.3

        본 연구는 도산 안창호의 흥사단 운동이 갖는 현대 시민운동의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13년 출범한 흥사단은 민족주권회복운동의 지도자를 찾고 독립운동에 앞장서는 한편 100년이 넘는 역사를 이어왔다. 흥사단 운동의 교육적 가치를 파악하기 위해 선행연구와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흥사단이 갖는 현대 시민운동의 교육적 가치는 첫째, 시민이 국가의 정치에 참여하고 민주시민으로서 애국애족 정신을 고취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둘째, 공동체 내에서 서로 협동하며 연대감을 기르고 양성평등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셋째, 투철한 역사의식을 갖고 세계화 시대에 시민성 문제를 담론할 수 있는 중요한 주제로 논의되는 것이며, 최종적으로 다문화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세계평화의 추구에 그 의의가 있다. 현대 흥사단 운동은 현대 시민운동에 영향을 끼쳤으며, 흥사단의 정신을 이어받아 정의로운 리더십과 평생교육을 지향한다. 이처럼 흥사단 운동은 현대에도 높은 교육적 가치를 드러내고 있으며, 미래 비전의 수립과 현대 시민운동의 근간으로 꾸준히 발현되고 있다. 이러한 흥사단 시민운동의 가치를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교육적 실천이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가치가 과거, 현재를 거쳐 미래 시민운동의 밑바탕으로 꾸준히 작용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흥사단의 1차 약법개정 논의와 운동노선

        조지숙 한국근현대사학회 2018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87 No.-

        Ahn Chang-Ho set Heungsadan in 1913 in the America. Its constitution the members had to obey is very important to review its independence movement. The first constitution revision in 1920s and 1930s was to support independence movements with a strategy by integrating constitutions of Heungsadan, Wondong Wiwonbu, and Dong Woo Hoi. Since it proclaimed in 1934 was documented for interests of the America during imprison of Ahn, it didn’t accept enough the strategy, centering Wondong Wiwonbu. The first revision concentrated every authority on directors and propelled business movements focusing on a Korean community in the America. Then, Heungsadan suffered from budget confliction and was divided into an innovative group aiming at politics and a conservative group emphasizing discipline function after a death of Ahn. In Sukjung-Woondong (a clean-up campaign) from 1939 to 1940, the conservative group excluded the innovative one. Then, Heungsadan chose the Discipline Principle Movement. 흥사단은 1913년 안창호에 의해 미주에서 창립된 단체이다. 흥사단에서 약법은 단우들이 헌법처럼 지킨 법규로 흥사단의 운동노선을 검토하는 데 있어 중요하게 검토해야 할 자료이다. 1920·30년대 있었던 1차 약법개정시도는 미주 흥사단, 원동위원부, 동우회의 약법을 하나로 통합하여 체계적인 방략으로 독립운동을 지원하려는 움직임과 관련되어 있었다. 1934년 공포된 1차 개정약법은 안창호가 수감 중인 상황에서 미주지역의 이해관계를 반영하여 작성했기 때문에, 원동위원부를 중심으로 계획되었던 독립운동방략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 1차 개정약법은 이사부로 모든 권한을 집중시켰으며, 미주 한인사회를 중심으로 한 실업운동이 추진되도록 했다. 이 과정에서 미주 흥사단은 단체의 재정활용문제로 대립하다가, 안창호 사후 정치적 지향성을 강조한 혁신세력과 수양단체의 기능을 강조한 보수세력으로 분화하였다. 1939~1940년간 있었던 미주 흥사단 내 숙정운동은 보수세력에 의한 혁신세력에 대한 숙청이었다. 숙정운동을 마친 미주 흥사단은 수양주의 노선을 선택하게 되었다.

      • KCI등재후보

        흥사단우의 도산 안창호 리더십 인식에 관한 연구

        최청평(Choi Chung Pyung),윤천성(Youn Chun Sung) 대한리더십학회 2016 리더십연구 Vol.7 No.4

        Doshan, Ahn Chang Ho (島山 安昌浩, 1878~1938) was the independence fighters who fought against the colonial rule of Jap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r the entire period of his life, he was rally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everywhere, including domestic and North America, Far East, China and Russia. With them it was against Japanese colonial rule. Doshan was undergoing a lot of independence. He united with the giant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was considered no less important to integrate. He overcome the conflicts of the routes and ideas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led by such superhuman injury that kept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Doshan should demonstrate the unique leadership in discovering and nurturing young talent necessary to struggle for independence and nation. The advantage is the outstanding leadership of Doshan, unlike other Tiradentes. He, Doshan founded Heungshadan (1913), as the highest levels of the organization of for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He was encouraged young talent achieve a healthy personality and divine organization, they were encouraged to establish the foundations of the future and prosperity of the Korean people. Heungshadan talents are not only the backbon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time, 30% of professional staff for suripreul government of an independent state was composed of Heungshadan (興士團) members after liberation. The fact is that the aspects of the outstanding leadership demonstrated by the Doshan for young talent. This study was aimed at Study on Recognition of Dosan, Ahn Chang Ho’s leadership on Heungsadahn member, as one of the study of Doshan, Ahn Chang Ho s leaderfship. This has the nature of previous research to study the future, the characteristics of Dosan, Ahn Chang Ho’s leadership.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ognize the survey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validity of the loaded value of the eight factors(more than .4 ±) and reliability (more than 0.60) were identified in the Survey of the present study. In addition, the proximity (1.7%) correlation between pairs of variables (KMO) was also confirmed. Therefore, All of the validity, reliability, proximity of the research methods to the investigation was to be secured. 2.General characteristics of Heungsadahn-member on Dosan, Ahn Chang Ho’s leadership consisted of gender, age, education, economy, affiliations, activities, careers and more. In recognition of Dosan, Ahn Chang Ho’s leadership it was somewhat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 depending on their area of Seoul and career activities. However, their common characteristics also showed the high recognition even in generally. 3.Heungsadahn-member were aware that Dosan s leadership is high and evenly, various types of exerted collectively. It is the highest among the eight leadership style charismatic (M=4.71), was the lowest it self-leadership (M=4.19) order. Their overall perception mean 4.49 points, it was equally high 4.In this study the analysis results, Dosan was not the one that exhibits a particular, that charismatic leadership, servant leadership and transfor- mational leadership, including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his entire life as biased. Rather, Dosan was exhibited as holistic through the integration and convergence of different leadership styles, it was recognized these facts as universal and commonly by Heungsadahn-member. 5.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Dosan exert collectively through the integration and convergence of various leadership styles and, In addition, the results suggest it wouldl be need for more in-depth research that the characteristics of Dosan s leadership must be backed up by empirical logic. 도산 안창호(島山 安昌浩, 1878~1938)는 구한말 일본의 식민 지배에 맞서 대한 독립을 위해 전 생애를 투신한 독립 운동가였다. 소년기에 청일 전쟁을 목격하며 ‘힘’없는 나라의 말로를 탄하며 구국과 독립의 필요를 자각하고 독립협회 운동에 참여를 필두로 독립운동에 투신한 이래 전 생을 통하여 국내는 물론 미주, 중국 원동, 러시아 등 도처의 독립 운동가들을 규합하여 일본 식민통치에 대항하였다. 도산은 숱한 독립운동 행보 속에서 적지 않은 독립운동의 거인들과 단합하고 통일, 통합하기를 중시하여 노선과 사상의 갈등을 극복하며 상해임시정부를 지켜내는 등 초인적으로 독립운동을 주도하였다. 도산은 절박한 독립투쟁의 험로에서도 모든 독립 운동가들과의 인격적인 신뢰를 쌓으며 폭넓고 두터운 존경을 받아왔으며 세심하게 준비된 독립운동 계획을 마련하고 몸서 실천하며 주도함은 물론 독립투쟁 현장과 향후 건국을 감당할 젊은 인재의 발굴과 육성에 특유의 지도력을 발휘하여 여타 독립운동가와는 다른 탁원한 리더십의 면모를 보인다. 도산은 그 험난한 독립투쟁과 독립 건국을 위하여 건전한 인격과 신성한 단체를 이루어 ‘힘’을 기르는 것이 최신의 길임을 주창하며 인재양성의 최고수준의 단체로 흥사단을 창립(1913년)한다. 흥사단을 통하여 배출된 탁월한 인재들이 당시의 독립운동의 중추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해방 후 독립국가 정부 수립의 전문 인력의 30%가 흥사단(興士團) 단우로 구성되었다는 사실은 도산의 인재 양성을 향한 탁월한 리더십의 면모를 보인 것이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상기와 같은 ‘도산 안창호의 리더십의 특성’을 연구하는 선행 연구의 목적으로 ‘흥사단우의 도산 안창호 리더십 인식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 인식 연구를 위하여 설문 및 질의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분석 결과, 도산 안창호는 그의 전 생애를 통한 독립운동에서 어느 특정한 리더십, 즉 카리스마리더십, 서번트 리더십이나 변혁적 리더십 등을 편향적으로 발휘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대표적인 리더십 유형들을 통합과 융합을 통하여 ‘총체적’으로 발휘하였다는 것과 이러한 사실을 흥사단우가 ‘보편적이고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특성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음이 분석 되었다. 둘째, 이는 도산 안창호 리더십에 대한 그간의 연구가 몇 가지 리더십유형으로 편향되어있거나 혹은 도산의 리더십이 여타 리더십유형들과 통합과 융합을 이루어 총체적으로 탁월한 리더십을 발휘하였다는 것을 간과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셋째, 또한 그간의 도산의 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연구자의 전문분야 즉 역사학, 교육학, 철학, 정치학 등에 편중되어 개념화됨으로서 도산의 리더십의 본질적이고 핵심적인 특성에는 접근하고 있지 못하고(않고) 있음을 시사한 것이라 할 것이다. 넷째. 이 같은 결과와 시사는 도산 안창호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리더십이론 유형들을 ‘통합과 융합을 이루며 총체적으로 발휘된 도산의 리더십 특성’을 실증적이며 논리적으로 뒷받침할 보다 심도 있는 연구의 필요를 제시하고 있다 할 것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미군정하 흥사단 계열 지식인의 냉전 인식과 국가건설 구상

        장규식 ( Kyu Sik Chang ) 한국사상사학회 2011 韓國思想史學 Vol.0 No.38

        흥사단 계열은 20세기 전반 한국사회의 대표적인 자유주의 지식인 집단으로, 해방후 미군정에 대거 진출하여 각종 정책을 입안하면서 자유민주국가 건설의 기초를 놓았다. 그 과정에서 그들은 8·15해방을 민주주의 연합국의 승리로 주어진 해방으로 인식하고, 민족의 자아혁신과 실력양성을 통해 완전독립으로 나아갈 것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완전독립을 위한 민주건국의 요체로 자아혁신을 통한 신생활운동을 제창하였다. 국민 의식수준의 향상이 없이 민주주의의 실현은 요원하다는 공통된 인식에서였다. 그러나 자유의 사회적 허용 기준, 해방정국의 우선 과제, 남한 단독정부 수립 등의 문제를 놓고는 내부에 도산우파와 도산좌파로 분류할 수 있을 정도의 입장 차이가 나타났다. 예컨대 조병옥·정일형 등은 자유 수호를 우선의 가치로 내세워 반공주의를 정당화하고, 가능지역의 총선거를 통한 남한 단독정부의 수립을 지지하였다. 반면 김붕준·오기영 등은 만인의 도덕적 자유와 사상의 자유를 앞세워 냉전적 반공주의를 비판하고, 남북좌우가 통일단결하여 완전독립을 이루는 것이 우선의 과업임을 강조하였다. 해방후 흥사단계는 냉전 구도의 형성을 전후해 반공 우선이냐 통일 우선이냐를 놓고 입장이 나뉘기는 했지만, 자유주의 원리에 입각한 민주국가의 건설이라는 대원칙에는 의견을 같이하였다. 그들은 국가에 대한 개인과 시민사회의 우위를 내세우고, 의회주의와 정당정치에 입각해 견제와 균형을 기조로 하는 민주정부의 수립을 지향하였다. 그리고 국민들의 민주주의 경험이 부재한 현실을 돌파하기 위해 민주주의에 대한 교육 계몽을 특히 강조하였다. 다음으로 경제건설과 관련해 그들은 실력양성론의 맥락에서 생산증대를 통한 자립경제의 건설에 주안점을 두었다. 그리고 자유주의적 견지에서 전문경영인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한편으로, 민주적 노동조합을 육성하여 자본가와 노동자 사이에 견제와 균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경제의 민주화를 도모하려 하였다. 미군정하에서 흥사단계 지식인들에 의해 입안된 제반 정책의 큰 틀은 대한민국정부가 수립된 이후에도 대체로 계승되었다. 그러나 단절의 부분 또한 눈에 띄었는데, 그것은 한편으로 대의정치 원칙을 강조한 흥사단계와 동원정치 전략을 구사한 이승만의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인식의 편차와 연동되어 있었다. The Young Korean Academy was a representative of liberal intelligentsia groups in Korea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y laid the foundation of a liberal democratic state by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from the diverse offices in the American Military Regime in South Korea post-World War II. In this process, they recognized the national liberation as a result of the victory of the democratic alliance and argued for a movement toward complete independence, through the self-innovation and self-improvement of the Korean people. In addition, they proposed the New Life Movement through self-innovation as the essence for the democratic foundation of the country and complete independence. This was based on the shared belief that democratization is impossible without improvement of the consciousness of the people. However, there emerged internal divisions, separating Dosan Rightists from Dosan Leftists, when faced with such issues as the social perimeter to tolerate freedom, the imminent tasks in the post-liberation space, and establishment of a separate government in the South. For example, Dosan Rightists such as Cho Byung-ok and Chung Il-hyung justified anti-communism, presenting protection of freedom as the primary goal, and supported establishment of a separate government in the South, after a general election in areas where it was possible. On the other hand, Dosan Leftists such as Kim Boong-joon and Oh Ki-young criticized Cold War anti-communism, arguing for everyone`s moral and ideological freedom, and emphasized that the most imminent task was to have a complete independence through unified solidarity of the North and South, Left and Right. Although members of the Young Korean Academy group were divided on the question of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anti-communism and unification around the time of the formation of a global Cold War structure, they shared a main principle of the foundation of a democratic country based upon the principle of liberalism. They strove to construct a democratic government that placed individuals and civil society over state, and that followed the principle of the checks and balance of parliamentary and party politics. They emphasized education of democracy to counter the lack of democratic experience of the people. Next, in the area of economic development, they emphasized the development of a self-sufficient economy through production increase, following the theory of capability enhancement. While respecting the self-management of professional managers in the context of liberalism, the Young Korean Academy group also tried to promote economic democratization by developing a check and balance between capitalists and labor through democratic labor unions. A large portion of the various policies proposed by the Young Korean Academy intellectuals during the American Military Regime were continued by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But a certain discontinuity also exists,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the views on liberal democracy held by the representative politics-oriented Young Korean Academy group and mass mobilization-favoring Syngman Rhee.

      • KCI등재

        최봉윤의 독립운동과 민족의식

        김동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09

        Choy Bong-yoon was an fighter for independence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and served as a bureaucrat after liberation. His range of activities ranged from Korea to the United States, and the contents of his activities varied. Nevertheless, his activities are quite consistent. At the base of his activities, there was a sense of unification of the people based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ideology and left and right collaboration of the Ahn Chang-ho community. It was the result of his national consciousness growth background and network formation process. Choy Bong-yoon joined the Heungsadan in the United States and worked with people in the Heungsadan stage. Along with them, they participated in The League to Aid China and the League to Aid Korean Volunteers Corps in China. These organizations were organized to support the Korean Volunteers Corps and the Korean National Revolution Party. The Chosun People’s Revolutionary Party was an organization that supported the armed independence route with Kim Gyu-sik as its president.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is group valued armed struggle rather than diplomatic routes as a strategy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Choy Bong-yoon also had the same idea as them. He saw that when Japan started an invasion war with other countries as a result of Japanese imperialist aggression policy, we could seize the opportunity for independence. He supported armed struggle as a way to seize opportunities for independence. After liberation, he returned to Korea as a bureaucrat in the U.S. military government. He played a role in creating data to represent the position of the military government and distributing democracy to Koreans in Political Education Section of the Department of Public Information of U.S. of Bureau of Public Opinion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During this period, Choy Bong-yoon evaluated moderate politicians such as Kim Kyu-sik and Ahn Jae-hong positively and negatively about Rhee Syng-man. This is also in line with his deeds before liberation. He prioritized the unification and peace and prosperity of the people above all else. Among them, the most important thing was the 'unification' of the peopl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natural for him to negatively evaluate Rhee Syng-man and his supporters who supported unity. Choy Bong-yoon, who returned to the United States in August 1948, continued to pay attention to Korea and organized his view of national unification. He proposed "Permanent neutrality of the Korean Peninsula" as a strategy for reunifi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He said that solving the Korean problem is Permanent neutrality on the Korean Peninsula guaranteed by the United States, Soviet Union, China, and Japan. Choy Bong-yoon's view of state and inter-Korean unification can be said to have inherited and developed the consciousness of the moderate in the Heungsa stage. The people of the Heungsa stage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Independence Federation and others emphasized that the top priority is to achieve complete independence by unifying the left and right of the two Koreas. They also said that the purpose of inter-Korean negotiations is to ensure that liberalism and socialism are in harmony. However, his view of unification was not welcomed anywhere in the north and south at the time. The evaluation of Choy Bong-yoon was not properly conducted. This is because his argument was unacceptable under the Cold War system, and he survived for a long time. However, his activities are also part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Japanese colonial era Ahn Chang-ho, and clearly show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democracy and nationalism after liberation. For this reason, it is expected that a re-evaluation will be made in the future. 최봉윤은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운동가로 해방 이후에는 관료로 활동하였다. 그의 활동범위는 국내와 미국에 걸쳐 있었고, 활동내용도 다양하였다. 그럼에도 그의 활동은 상당한 일관성을 가지고 있다. 그의 활동 저변에는 안창호계의 독립운동 사상과 좌우합작을 기반으로 한 민족의 통일이라는 의식이 깔려있었다. 그것은 그의 민족의식 성장배경과 인맥형성과정에 따른 결과였다. 최봉윤은 미국에서 흥사단에 가입하고, 흥사단계 인물들과 함께 활동했다. 그리고 이들과 함께 중국후원회와 조선의용후원회에서 참여하였다. 이 단체들은 조선의용대와 조선민족혁명당을 지원하기 위해 조직되었다. 조선민족혁명당은 김규식을 주석으로 하여, 무장독립노선을 지지하던 단체였다. 이 단체에 참여한 인물들은 독립운동의 방략으로 외교노선보다는 무장투쟁을 중시하였는데, 최봉윤 역시 이들과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일본이 일본제국주의 침략 정책의 결과로 다른 나라와 침략 전쟁을 일으키는 때, 우리가 독립의 기회를 잡을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독립의 기회를 잡기 위한 방법으로 무장투쟁을 지지하였다. 해방 후, 그는 미군정의 관료로 고국에 돌아왔다. 그는 미군정 공보부 여론국 정치교육과에서 군정의 입장을 대변할 자료를 만들고, 한국인들에게 민주주의를 보급하는 역할을 맡았다. 이 시기 최봉윤은 김규식․안재홍 등 중간파 정치인들을 긍정적으로, 이승만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이것은 해방이전 그의 행적과도 상통하는 부분이다. 그는 민족의 통일과 평화 번영을 무엇보다 우선시 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이 바로 민족의 ‘통일’이었다. 따라서 그가 단정을 지지했던 이승만과 그 지지자들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은 당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1948년 8월 미국으로 돌아간 최봉윤은 이후에도 그는 한국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그의 민족통일관을 정리했다. 그는 남북통일 방략으로 ‘한반도 영세중립화’를 제안했다. 그는 한국문제 해결은 미국․소련․중국․일본에 의해 보장되는 한반도의 영세 중립이라고 하였다. 최봉윤의 이러한 국가관 및 남북통일관은 흥사단계 중간파의 의식을 계승 발전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민족자주연맹 등에 참여한 흥사단계 인물들은 남북좌우가 통일 단결하여 완전한 독립을 이루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했다. 또한 이들은 남북협상의 목적이 자유주의와 사회주의가 합치되도록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그의 이러한 통일관은 당시 남북 어디에서도 환영받지 못하였다. 최봉윤에 대한 평가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냉전체제 하에서 그의 주장이 받아들여질 수 없었고, 그가 오래 생존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활동은 일제강점기 안창호 계열 독립운동을 일환이기도 하고, 해방 후 한국 민주주의와 민족주의 발전과정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런 까닭으로 향후 그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질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도산 안창호의 다차원적 리더십에 관한 실증 연구

        최청평(Choi Chung Pyung),윤천성(Chun Sung Youn) 대한리더십학회 2017 리더십연구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characteristics of Dosan, Ahn Chang Ho s leadership.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Dosan and the leadership of the Dosan which is fused in the movement, it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leadership theor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leadership styles in all independence movements through fusion and integration were exerted in total. In chapter Ⅲ, as a quantitative method to demonstrate qualitative results, it was decided to carry out over twice a Survey on Awareness of Dosan, Ahn Chang Ho s Leadership of the Heungsadan -Membership, As a result of this cognitive survey analysis, Heungsadan Mem-ber was recognized as high and uniform that Dosan has fused, integrated, and played a multitude of multidimensional leadership styles in numerous independence movements. Therefore, in Chapter Ⅳ, w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study through literature study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hapter Ⅱ and the empirical cognition survey of Chapter Ⅲ, and in the chapter Ⅴ summarize and conclude the study. Thi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osan was a true person. Dosan has taken the lead in life and lived a true leader. He believed well.that the most powerful weapon of independence is the “strength of well trained personality of individual people” and the “strength of the alliance” based on the individual strength. Dosan s great leadership is dissolved in Dosan s personality and It was a natural footstool that was matured without being conscious of itself Second, the previous research literature on Dosan was biased toward several leadership types according to the researcher s field of specialization, On the other hand, previous researchers, they have been ignoring overlooking that Dosan excelled in various types of leadership overall through synergy and integra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essential and core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ship of the Dosan have not been achieved. Third, as a result of the study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Dosan, Ahn Chang Ho did not show any specific leadership bias in his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out his life, It shows that various types of leadership have been integrated and converged through synergistic effects by Dosan, Fourth, as a result of the 1st and 2nd recognition survey about Dosan s diverse leadership skills, It was proved that the Heungshadan- memvers was aware of it universal, common, high and even. Fifth,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known again that Dosan was a great person who played an integral role in converging and integrating “various types of leadership styles”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whole life, I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the characteristic of leadership of diverse dimension of Ahn Chang Ho is “Dosan, Ahn Chang Ho s Multidimensional Leadership”. 도산 안창호(島山 安昌浩, 1878~1938)는 구한말 일본의 식민 지배에 맞서 대한 독립을 위해 전 생애를 투신한 독립 운동가였다. 소년기에 청일 전쟁을 목격하고 ‘힘’ 없는 나라의 말로를 탄하며 구국과 독립의 필요를 자각하고 독립협회 운동에 참여를 시작으로 독립운동에 투신한 이래 전 생애를 통하여 국내는 물론 미주, 중국 원동, 러시아 등 도처의 독립 운동가들을 규합하여 일본 식민통치에 대항하였다. 도산의 독립운동의 행보를 리더십 유형별로 분류, 검토한 바에 의하면 독립운동 학습기, 각성기(1878~1899)에는 주로 유, 소년기의 타고난 지도적 인성, 즉 리더십 특성론의 카리스마 리더십(Charisma Leadership)을 지니고 서당에서 군자(君子)와 성군(聖君)의 도(道)를 익히는 유학(儒學)을 공부하고 신사조(新思潮)와 망국병(亡國炳)을 일깨워준 청년 선각자(先覺者) 필대은과 교유(交遊)하며, 서울로 올라와 운명적으로 접하게 된 밀러학당(救世軍 學堂)에서 기독교 사상과 서구문화를 접하고 또한 초반기의 독립운동가 서재필(徐載弼)의 독립협회(獨立協會) 회원으로 가담하면서 독립운동을 학습하며 자각하고 각성하면서 셀프리더십(Self-Leadership)을 키운다. 이후 청일 전쟁과 일제 침략, 망국의 실상에 부딪쳐 변혁적 리더십(Authentic Transfor-mational Leadership)을 발휘하는 단계로 접어들며 점진학교를 설립하고 인재를 키우는 초기 수퍼리더십(Super-Leadership)을 보이기 시작한다. 미국 유학을 떠나며 독립운동 준비기(1902~1905)에 들어 나라의 미래를 위한 비전(Vision)과 전략적 리더십(Strategic Leadership)을 구사한다. 미주에서의 한인친목회, 공립협회(共立協會, 1905)운동을 통하여 신의와 신뢰를 쌓아가는 진정성(Authenticity leadership), 서번트 리더십(Servernt Leadership)을 발휘하여 한인지도자로 인정받고 존경받는 인물이 된다. 도산은 모국의 을사늑약의 망국의 비보(悲報)을 접하고는 동경(東京)에 들러 자신의 수퍼리더인 유길준(兪吉濬)이를 만나 닥쳐올 격랑을 논하며 귀국길에 오른다. 변혁적 리더십의 발로인 것이다. 귀국한 도산은 독립운동 국내활동기(1907~1910)에 접어들며 바로 청년 선각자들을 규합(糾合)하여 비밀결사단인 신민회(新民會)를 조직하게 되는바 이 신민회의 구성과 조직에 참여하는 유능한 젊은 지도자들을 규합하는데는 도산의 진정성을 지닌 카리스마십이 가동한다. 이어서 도산은 대성학교와 청년학우회를 설립하고 태극서관을 개설하는 등으로 셀프리더를 양성하는 수퍼리더십을 발휘하며 전국 곳곳의 청년세대에게 구국운동의 동기를 부여한다. 일제가 제안한 ‘안도산 내각’을 일축하고 안중근 의사의 의거사건으로 중국 망명길에 오른다. 도산은 중국, 미국 망명기(1910~1913)와 독립운동 상해정부 활동기(1919~1932)에 들어서 망명정부 수립에 동참하며, 잠시 미국에 들러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1913)와 흥사단을 창립하여 한인사회를 독립운동 지원단으로 구축하고 다시 상해로 와서는 국민대표회의(國民代表會議, 1923), 대독립당(大獨立黨, 1927)과 유일당(唯一黨, 1928) 등의 개최와 창당을 시도하고 독립기지인 이상촌 건설에 혼신을 기우리던 중 윤봉길의사의 폭탄투하사건으로 연루, 체포되어 대전교도소, 서울형무소에서의 옥고로 병사(1938, 서울대병원)하기까지 도산의 모든 독립운동의 험란한 행보 속에서 비전과 카리스마, 변혁적, 전략적, 진정성, 슈퍼, 셀프 리더십 등 폭넓은 유형, 즉 다차원적 리더십 유형들이 융합과 통합을 이루며 총체적으로 발휘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도산은 숱한 독립운동 행보 속에서 적지 않은 독립운동의 거인들과 단합하고 통일, 통합하기를 중시하여 노선과 사상의 갈등을 극복하며 상해임시정부를 지켜내는 등 초인적으로 독립운동을 주도하였다. 도산은 절박한 독립투쟁의 험로에서도 모든 독립 운동가들과의 인격적인 신뢰를 쌓으며 폭넓고 두터운 존경을 받아왔으며 세심하게 준비된 독립운동 계획을 마련하고 몸서 실천하며 주도하여 여타 독립운동가와는 다른 탁월한 리더십의 면모를 보인다. 도산은 그 험난한 독립투쟁과 독립 건국을 위하여 건전한 인격과 신성한 단체를 이루어 ‘힘’을 기르는 것이 최선의 길임을 주창하며 인재양성의 최고수준의 단체로 흥사단을 창립(1913년)한다. 흥사단을 통하여 배출된 탁월한 인재들이 당시의 독립운동의 중추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해방 후 흥사단우의 30% 이상이 국정에 전문 인력으로 참여했다는 사실은 도산의 인재 양성을 향한 탁월한 안목과 통찰력, 리더십의 면모를 보인 것이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