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세 유럽의 흑사병 방역행정에서의 코로나19 대응 고찰

        정시구 ( Jeong Si Gu ) 한국행정사학회 2021 韓國行政史學誌 Vol.5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중세시대의 팬데믹 현상으로 전 유럽을 죽음의 도가니로 몰고 간 흑사병(페스트)에 대하여 어떠한 방역행정이 강구되었는지를 알아보고 코로나19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을 고찰하고자 한다. 역사적으로 가장 큰 팬데믹은 중세유럽을 중심으로 엄청난 사상자를 발생시킨 흑사병을 들지 않을 수 없다. 흑사병은 가공할 정도의 속도로 번졌는데 그 배후에는 악화된 기후에 의한 농업생산물의 저하, 국제전쟁, 이슬람권의 등장에 의한 원활한 국제무역의 중단, 성직자의 윤리적 타락 등의 천재와 인재에 의한 경제적, 윤리적 파탄 등을 들 수 있다.흑사병을 통하여 현대의 팬데믹 현상인 코로나19를 대응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세계적인 코로나19 팬데믹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종교인을 비롯한 시민의 자발적인 봉사정신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둘째, 국가적으로 중앙 집중적인 통제로 방역행정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세 유럽의 흑사병의의 경우, 각 도시별로 격리와 이동제한 등으로 대응함으로써 각 도시마다 제 각각 달랐기 때문에 흑사병의 화를 키웠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코로나19에 대한 접근방식도 흑사병에 대한 관리처럼 하늘의 진노라고 생각하는 구시대적인 발상에서 완전히 벗어난 과학적인 접근 방식이 중요하다. 넷째, 코로나19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을 위하여 국제적인 공조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중세 유럽에서 흑사병이 창궐할 당시에 냉해에 의한 흉작과 함께 빈번한 국제 전쟁 등으로 흑사병을 키운 면이 있다. 마지막으로, 흑사병의 원인으로 냉해, 식량생산 저하, 잦은 전쟁 등을 들 수 있었다. 이러한 것들은 인재라고 볼 수 있다. 코로나19도 환경파괴나 국제적 갈등과 같은 인류의 인재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인류는 지구환경이나 평화공존에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defence administration was devised for the Black Death, which drove all Europe to the crucible of death due to a medieval pandemic phenomenon, and to examine the contents applicable to Corona 19. The biggest pandemic in history is the Black Death, which caused huge casualties, mainly in medieval Europe. The Black Death spread at a terrifying rate, but behind it were the decline of agricultural products due to the worse climate, the international war, the cessation of smooth international trade due to the emergence of the Islamic world, and the ethical corruption of the clergy. The implications necessary to cope with Corona 19, a pandemic phenomenon in Kore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overcome the global Corona 19 pandemic, the government alone has its limits, and the voluntary spirit of volunteering of citizens including religious people is very important. Second, it is important to conduct the defence administration with centralized national control. In the case of the Black Death in Europe in the Middle Ages, it can be said that each city responded with defence and movement restrictions, so each city was different, so it could be said that it raised the problem of the Black Death. Third, a scientific approach that completely deviates from the old-fashioned idea of thinking that it is the wrath of the sky, like the management of the Black Death, is important for the approach to Corona 19.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rnational cooperation system in order to effectively respond to Corona 19. During the outbreak of the Black Death in Europe in the Middle Ages, there was a side where the Black Death was raised due to frequent international wars along with poor crops caused by a cold climate. Finally, the causes of the Black Death were cold damage, poor food production, and frequent wars. These things can be seen as talent. Corona 19 can also be said to be a human resource such as environmental destruction or international conflict. In the future, humanity should be deeply interested in the global environment and peaceful coexistence.

      • KCI우수등재

        흑사병(Black Death) 병인(病因)론 -흑사병은 페스트인가-

        이상동 ( Lee Sang Dong ) 한국서양사학회 2021 西洋史論 Vol.- No.149

        본 연구는 흑사병의 병인에 대해, 즉 흑사병이 페스트균(Yersinia pestis)이 야기한 페스트인가에 대해 검토한다. 20세기 초반 이래로 흑사병의 병인은 페스트균이라고 널리 믿어졌다. 그럼에도 연구자들 사이에 다른 의견이 개진되기도 했다. 흑사병이 페스트라는 것에 비판적이고 회의적인 연구자들은 1800년대 말 인도를 중심으로 창궐했던 페스트와 흑사병 간에 차이가 있다고 주장한다. 확산속도, 사망률, 증상, 면역력, 매개체(쥐-벼룩) 등의 면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흑사병은 선페스트, 폐페스트, 패혈페스트의 형태로 발병했으며 이는 선페스트 중심으로 창궐했던 19세기의 말 인도의 경우와는 다르다는 것을 지적한다. 이것이 회의론자들이 지적하는 차이를 발생하게 했음을 논증한다. 또한 본 연구는 체외기생충 설과 DNA 분석이라는 방법론적 접근을 통해 흑사병 병인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키고자 한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of the etiology of the Black Death, that is, whether the Black Death was the disease caused by the bacterium Yersinia pestis or not. The Black Death has been widely believed to be the result of the bacterium Yersinia pestis. Some scholars, however, have different views. They have insist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Black Death and the third pandemic of plague begun in the late 1800s in India, from the points of view of the speed of transmission, rate of mortality, diagnosis, immunity, rat-flea. This article demonstrates that the critics’ arguments are less convincing. First of all,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the Black death had different forms of plague (there are three main forms, that is, bubonic plague, septicemic plague, and pneumonic plague) from the third plague pandemic. The later was a disease of mostly bubonic plague, while the first appeared in the forms of pneumonic plague as well as bubonic, which might have led the differences critics have argued. In addition, DNA analysis can identify that Black death was caused by the bacterium Yersinia pestis. A new approach can be also suggested that human-ectoparasite such as human fleas and lice were likely to be the main factor to transmit the plague, which probably made the differences between Black death and the third pandemic of plague. (SungKyunKwan University / lacadem@skku.edu)

      • KCI등재

        고난 중에 핀 꽃: 참된 그리스도인의 삶

        양신혜(Shin Hye Yang)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0 갱신과 부흥 Vol.25 No.-

        중세의 붕괴를 낳은 흑사병은 종교개혁을 이끌었던 종교개혁자들에게도 목회를 방해하는 장애물이자 공동체를 와해시키는 걸림돌이었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으로 하나님의 부르심의 자리를 떠나 도망하는 목회자와 하나님의 진노인 흑사병을 피해 도망하는 것은 죄라고 주장하는 목회자들에 대항하여, 베자는 목회자로서의 어떻게 하나님의 사명을 감당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서를 남겼다. 그것이 『흑사병에 대하여 알아야 할 것』 (A Learned Treatize of the Plague, 1579)이다. 그래서 베자의 텍스트를 분석하여 종교개혁자들은 흑사병을 어떻게 이해하고 대처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특히, 흑사병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 대항하여 어떻게 흑사병을 통한 고난을 이해해야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스도인으로서 이 고난의 자리를 베자는 어떻게 이했는지, 슬픔과 절망에 빠진 그리스도인들을 어떻게 위로하였는지,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삶의 동력을 어디에서 찾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흑사병으로 인한 공동체의 와해라는 위기 앞에서 그리스도인이 해야만 하는 윤리적 판단 기준은 무엇이며, 그 기준에 따라서 어떻게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는지를 다루었다. 그리고 고난 앞에서 그리스도인에게 주어진 최대의 난제인 하나님의 자비와 섭리를 어떻게 이해했는지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서 베자가 중세적 대응을 넘어서 인간이 어떻게 이성적 논리에 근거한 일반 원칙과 양심의 확신을 윤리적 판단의 척도로서 삼아 기독교 윤리의 기초로 삼았는지를 보여주었다. The Plague, which destroyed the Middle Ages, was a stumbling for the Reformers to obstruct ministry as well as an obstacle to break a community. Some ministers leave the church with fear of death or some pastors also claim that plague is God’s wrath and fleeing from the plague is not to believe God‘s providence. Against it, Beza wrote the article “A Learned Treatize of the Plague”(1579). Therefore, I investigated how Beza explained against the misunderstanding of the plague and how he responded to questions suggested from the plague. I found out what are the criteria of ethical judgement for the christian in the situation of collapsing of the community, and how to judge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Finally, I examined God’s mercy and providence in the suffering as the greatest challenge to Christians. In this I have shown how Beza goes beyond medieval reponses and uses rational principles and conscience as the basis of Christian ethics for ethical judgement.

      • KCI등재

        흑사병과 종파 갈등 ‒1665년 런던 대역병 시기 잉글랜드 국교회-비국교도 논쟁‒

        주의돈 역사교육연구회 2023 역사교육 Vol.166 No.-

        본 논문은 1665-6년 런던 대역병 시기에 나타난 종파 갈등을 다룬다. 이 시기 흑사병은 영국에서의 흑사병 중 ‘마지막’ 유행으로 기억된다. 하지만 1665년 흑사병은 마지막이었기 때문에 기억될 만한 것 이상의 독특한 역사적 맥락을 가지고 있다. 17세기 중반의 청교도 혁명기와 뒤이은 크롬웰(Oliver Cromwell)의 통치기에는 잉글랜드 국교회의 독점적인 지위가 무너지고 청교도가 득세하였다. 하지만 1660년 왕정복고와 함께 국교회 역시 귀환했다. 1662년의 통일법(Act of Uniformity)은 국교회의 의식과 기도서를 따르지 않는 종교활동을 금지했고, 통일법을 따르지 않는 성직자들은 직을 박탈당했다. 이제 청교도는 국교회를 따르지 않는 자들이라는 의미를 가진 비국교도(Nonconformists)라는 새로운 이름을 얻게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1665년부터 런던을 휩쓴 흑사병에 대한 독특한 맥락을 제공한다. 종교적 세계관이 아직 지배적이었던 17세기 유럽인들에게 전염병의 대유행과 같은 재난은 신의 처벌을 의미했고, 사람들은 특별히 누구의, 어떤 죄 때문에 신의 처벌이 내려졌는지 찾고 싶어했다. 그 죄를 제거하면 신의 처벌 역시 물러갈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국교회와 비국교도 양측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재난을 해석했다. 국교회 성직자들은 청교도 혁명기의 의회파 청교도를 반란자로 간주했고, 그들이 찰스 1세를 비롯하여 무고한 사람들을 죽였기 때문에 신이 흑사병의 재앙을 보냈다고 주장했다. 또한 잉글랜드의 국가적인 죄악으로서 비국교도가 국교회로부터 갈라져나간 분열의 죄가 심각하다고 지적하면서 비국교도를 비난하였다. 반면 비국교도의 인식은 이와는 딴판이었다. 그들의 눈에 흑사병이라는 신의 처벌은 통치 세력의 잘못으로 인한 것이었다. 그들에 의하면 순전한 신앙을 추구하는 비국교도의 종교활동을 금지하는 법령은 신의 분노를 일으키는 것이었다. 비국교도 논객들은 흑사병의 빠른 종식을 위해서 비국교도에 대한 부당한 박해가 중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 KCI등재

        푸치우스의 “흑사병에 대한 영적 해독제”

        권경철 ( Gwon Gyeongcheol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21 역사신학 논총 Vol.38 No.-

        전세계적인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 속에서, 흑사병과 그 외 전염병에 대한 신앙위인들의 가르침을 참고함으로써 교회가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관한 교훈을 얻고자 하는 움직임이 이전보다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초대교회의 키프리아누스로부터 종교 개혁자들에 이르기까지 많은 신학자들이 언급되고 있으나, 종교개혁을 계승한 17세기 정통주의 신학자들도 종교개혁자들 못지않게 흑사병에 대해서 자주 언급했다는 사실은 크게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푸치우스의 『신학논제선집』에 수록된 “흑사병에 대한 영적 해독제”라는 잘 알려지지 않은 글을 그 역사적 문맥을 바탕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학문적 공백을 채우려고 한다. 푸치우스에 따르면, 17세기에도 끝날 줄 모르고 수시로 되돌아오곤 했던 흑사병이란 인간의 죄악을 벌하고 신자들을 각성시키기 위해 하나님으로부터 직접 오는 것이다. 따라서 흑사병을 만났을 때 신자들은 도망을 가기보다, 병을 경건훈련의 계기로 선용해야 한다. 비록 “흑사병에 대한 영적 해독제”에 독창적인 내용이 담겨있지는 않지만, 그 글을 통해 흑사병에 대한 기존의 학문적 성과들과 17세기 개혁파 정통주의의 입장을 일목 요연하게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것은 역사적인 가치를 지닌 작품이다. In the midst of the COVID-19 pandemic, more people want to get a lesson from historically well-known Christians’ take on the black death and other kinds of plague. It is against this backcloth that a number of theologians in history were mentioned, ranging from Cyprianus, the church father, to the Reformers.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however, to the fact that the Reformed orthodox theologians in the seventeenth century, who succeeded the Reformers, wrote on the bubonic plague as much as the Reformers did. In this article, I will remedy this scholarly gap by analyzing the forgotten work of Voetiusm titled, “The Spiritual Antidote to the Bubonic Plague,” in its own historical context. In this work, Voetius argues that the black death is given by God for the purpose of punishment for the unbelief and of spiritual training for Christians. Thus, when facing the black death, the faithful should take advantage of the plague, rather than fleeing. Although there is nothing new in Voetius’s work, it still has its own value in that it organizes scholarly insights on the plague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orthodoxy.

      • KCI등재

        방역과 자유 사이에서 : 1721년 영국 방역법의 형성과 개정

        주의돈 ( Euidon Joo ) 호남사학회 2021 역사학연구 Vol.83 No.-

        본 논문은 1721년 제정된 영국의 방역법과 그것의 의학적 토대를 제공한 리처드 미드(Richard Mead)의 저술, 그리고 방역법의 핵심적인 조항을 둘러싼 논쟁과 그 조항의 폐지를 살펴본다. 1720-3년 마르세유를 시작으로 프랑스 남부 지역에서 흑사병이 유행했을 때 영국인들은 1665-6년의 런던 대역병(Great Plague of London)을 떠올리며 불안감에 사로잡혔다. 의회는 흑사병의 유입을 막기 위해 그리고 흑사병이 영국에 들어왔을 경우 그 확산을 막기 위해 1721년 1월에 새로운 방역법을 제정하였다. 당시 영국의 탁월한 의사 미드는 방역법의 이론적 토대와 실무적 지침을 제공하였다. 1721년 방역법의 특징은 영국 내로 흑사병이 유입되었을 경우 이전에 비해 매우 적극적인 조치 - 격리병원으로의 감염자 강제 이송, 방역선 설치를 통한 감염지역으로부터의 이동 제한 - 를 취하도록 규정했다는 점이다. 흥미로운 점은 1721년 방역법 중에서 위의 적극적인 조치를 규정한 조항들이 여전히 프랑스 남부에서 흑사병이 끝나지 않은 시점에 폐지되었다는 사실이다. 기존 연구에서 폐지의 주요한 이유로 간주되는 것은 흑사병 위협의 감소, 영국 상인들의 상업적 이해관계, 월폴(Robert Walpole) 내각과 반대파 사이의 정쟁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요소들이 방역법 일부 조항의 폐지에 미친 영향을 인정하지만 기존 연구가 간과해 온 요소에 주목한다. 그것은 방역법 반대파의 정치공세 이면에 존재했던 부유층의 특권의식이다. 반대파는 방역법의 일부 조항이 강압적이기 때문에 영국민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실상 그 자유를 실질적으로 누릴 수 있는 것은 소수의 부유한 사람들이었다. 예를 들어 생계에 대한 염려 없이 감염지역으로부터 안전하게 도피할 수 있는 사람들은 부유층뿐이었다. 따라서 국내 방역 대비책을 규정한 조항의 삭제에는 부유층의 특권의식을 대변한 의회 의원들이 영향력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흑사병이 영국으로 유입되지 않고 1720-3년의 위기가 지나갔지만, 만약 흑사병의 유입으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했다면 1721년 방역법의 일부 조항 폐지는 특권 의식에서 비롯한 뻐아픈 실책으로 기억되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Quarantine Act enacted in 1721, Richard Mead’s writings which provided the basis for the act, the controversy over its major clauses of the act, and their abolition. When plague spread from Marseille to Southern France, the British panicked, being reminded of the Great Plague of London in 1665-6. Parliament passed a new act for quarantine in January 1721 to prevent plague from entering Britain and to stop the spread of plague in case of its arrival. A leading British doctor of the time, Mead provided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act as well as practical guidance to fight plague. The characteristic of the Quarantine Act 1721 was that it stipulated more vigorous measures than before: forced removal of the infected to the pesthouse and the regulation of travel from the infected area by drawing a cordon sanitaire. The interesting thing is that the clauses stipulating the vigorous measures were repealed at a point of time when plague was still active in Southern France. Existing studies argued that among major reasons for the abolition were the decrease of the threat from plague, the commercial interest of British merchants, and the political conflict between the Walpole ministry and its opposition party. This paper acknowledges that these factors played some roles in the abolition, but emphasise the factor overlooked by the existing studies. It was a sense of privilege behind the opposition party’s political attack. The opposition party argued that the clauses were oppressive and infringing on the British liberties. However, the liberties could be enjoyed only by a small number of rich people. For example, those who could flee from the infected area without worrying about maintaining their livelihood were the wealthy only. Thus the abolition of the clauses stipulating quarantine measures within the country was driven by the members of parliament who spoke for the sense of privilege of the rich. Fortunately for the British, the crisis of 1720-3 passed without plague entering Britain, but if plague had cost a large number of lives at the time, the repeal of the clauses of the Quarantine Act 1721 would have remembered as a painful mistake shaped by a sense of privilege.

      • 흑사병이 잉글랜드의 성직자와 교회에 미친 영향

        박흥식 ( Heungsik Park )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2019 통합연구 Vol.21 No.1

        본 논문은 흑사병 이후 성직자와 종교 기관의 장기적인 변화를 추적한다. 잉글랜드의 경우 성직자의 약 절반이 1348년에서 1349년 사이에 발생한 흑사병으로 사망했다. 특히 사목활동을 담당하던 주교구 내의 하위 성직자와 수도사의 희생이 컸다. 급격한 인구감소와 인적 자원의 고갈로 인해 성직자의 공백을 채우기는 어려웠다. 한편 제도교회의 조급한 충원시도는 성직자의 자질검증을 요식행위로 전락시켰다. 그 결과 새로 채용된 성직자들 중에는 젊고 경험과 지식이 부족하고 탐욕을 추구하는 자들이 적지 않게 포함되었다. 흑사병으로 인해 종교기관의 위기대응 능력이 약화되면서 교회개혁의 필요성도 부각되었다. 흑사병 시기에 일부 고위 성직자는 성직록을 독점한 반면, 빈곤한 성직자들도 양산되었다. 종교기관들은 여러 면에서 위기적 상황에 대응하려 노력했지만 효과적인 대안을 마련하지 못했다. 농촌지역에 위치한 수도원들은 치명적인 피해를 입었으나 인력부족과 경제적 몰락을 좀처럼 극복하지 못했고, 교구교회들은 통합되거나 상품처럼 임대되었다. 당대인들은 성직자의 도덕적인 타락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악덕과 불행이 흑사병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성직자의 복수 성직록, 비정주, 성직매매 등은 사실상 이전에도 빈번했다. 흑사병으로 인해 달라진 것이 있다면, 사람들이 성직자와 종교기관의 모순 및 폐해들을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으며, 반교권주의와 개혁적인 목소리가 사회에서 더 큰 반향을 얻을 수 있는 기반이 주어졌다는 점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try to track the long term change of the clergymen and religious institutes after the Black Death. In case of England, about half of clergymen died due to the Black Death which occurred between 1348 and 1349. Especially, many lower clergymen and monks within their residential parish taking in charge of curing of souls were sacrificed. Contrarily, most bishops avoided contacting the people. Because of exhausted human resource, it was difficult to fill the vacancies of clergymen. For the reason of hurried recruitment, verification of clergymen’s qualification degenerated to formality. And among the newly recruited clergymen, those who are young, who have insufficient experience and knowledge, and who are greedy came to be included in not a small number. Through the Black Death, not only the need for rapid and whole-scale human and structural change, but also, the need for reformation of the church stood out. Because not a small number of clergymen ran away or explicitly pursued greed, the Black Death was an opportunity to reveal the clergymen’s human weakness. Because having multiple benefices was admitted, some high ranking clergymen monopolized it, and poor clergymen were produced in a great number. Through the Black Death, religious institutes corresponded to change in many ways, but it unexpectedly caused many side effects. Monasteries located in rural areas fatally fell, and parish churches became integrated or leased like products. People at that time thought that most of the wickedness, including moral disorder, of the clergymen was caused by the Black Death, and that it was the reason for all unhappiness and decadence. However, the clergymen’s possession of multiple benefices, non-settlement, selling sacred profession, and etc. were frequent even in previous days. Simply, the despairing situation caused by the Black Death became an opportunity to make people perceive all kinds of inconsistencies at that time more clearly.

      •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신비사상을 통한 '철학 치유'

        서동신(Seo, Dongshi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3 이성과 신앙 Vol.74 No.-

        이 연구는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그리스도교 신비사상이, 대형 재해 상황에서 겪는 고통과 죽음의 문제를 극복하는 데에 창조 영성이 ‘철학적 치유(Philosophical therapy)’의 가능성이 있음을 진단한다. 특히 14세기 흑사병과 21세기 코로나 시대의 이해를 통해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신비사상인 창조 영성(Creation Spirituality)이 양 시대에서 어떻게 상관성을 갖는지를 탐구한 후 이를 통해 삶과 죽음의 문제, 특히 고통의 문제를 극복하는 데 철학적 치유의 가능성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조명한다. 제1장에서는 14세기 흑사병과 21세기 코로나19의 배경과 특징을 탐구한다. 고대근동에서의 전염병에 대한 이해에서 14세기 흑사병 창궐에 이르기까지 그 배경과 특징을 살펴본 후, 나아가 21세기 코로나19 시대 다종교 다문화 사회에서 한국 천주교, 불교, 개신교, 그리고 신종교가 ‘코로나 종교(Covidism)’로서 어떻게 위기의 팬데믹 상황을 인식했으며 대응했는지를 살펴본다. 제2장에서는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생애와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그의 그리스도교 신비사상인 ‘창조 영성’ 안에서 원복과 자비와 사랑 그리고 가난의 개념과 내용이 무엇인지를 조명한다. 그리고 그의 창조 영성이 14세기 흑사병과 21세기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어떻게 각각 연관성을 지니는지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제3장에서는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그리스도교 신비사상, 곧 창조 영성이 현대 사회에서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엄중한 팬데믹 위기의 현대 상황을 인문학적-종교학적 재난이자 생태병 곧 ‘에코데믹(ecodemic)’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코로나19의 고통과 슬픔이라는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치유의 영성, 곧 ‘철학적 치유’의 가능성을 확인한다. 인류가 봉착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의 위기를 오히려 기회로 삼기 위하여 특별히 에크하르트의 신비사상인 ‘창조 영성’ 곧 버리고 떠나기(Abgeschiedenheit, 無意志), 그대로 놓아두기(Gelassenheit, 無知), 돌파(Durchbruch, 無所有)를 통해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참 사람으로 성장하는 기회로서 광범위하게 현대적으로 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이 연구를 통해 ‘도전과 기회’의 측면에서 과거와 현대의 대처 방식을 이해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그리스도교 신비사상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대형 재해 상황에서 도전을 제시하고 새로운 기회를 열어주는 가치 있는 ‘철학적 치유’의 가능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tential of ‘Philosophical Therapy’, specifically the Creation Spirituality of Meister Eckhart's Christian mysticism, to overcome suffering and the problem of death in the context of major disasters. It explores how Eckhart's philosophy of Creation Spirituality correlates with the 14th-century Black Death and the 21st-century COVID-19 era. Furthermore, it sheds light on how Philosophical therapy can be applied to address the issues of life, death, and particularly, the problem of suffering. Chapter 1 investigate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14th-century Black Death and the 21st-century COVID-19 pandemic. It examines the understanding of epidemic diseases in ancient Mesopotamia leading up to the outbreak of the Black Death, and further explores how Catholicism, Buddhism, Protestantism, and New religions in Korea recognized and responded to the crisis as a "Covidism"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the 21st century. Chapter 2 delves into the life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Meister Eckhart, highlighting the concept and content of restoration, compassion, love, and poverty within his Christian mysticism of Creation Spirituality. It also examines the correlation of his Creation Spirituality with the Black Death of the 14th century and the post-COVID era of the 21st century. Finally, Chapter 3 discusses the potential influence of Meister Eckhart's christian mysticism, specifically Creation Spirituality, in contemporary society. It analyzes the severe pandemic crisis as a humanistic-religious disaster and an "ecodemic." And It confirms the healing spirituality, namely the potential of Philosophical therapy, in overcoming the crisis of pain and sorrow caused by COVID-19. It explores the opportunity to turn the Crisis of the COVID-19 pandemic into a Chance for personal growth by embracing Eckhart's concepts of Letting-go (Abgeschiedenheit), Letting-be(Gelassenheit), and breakthrough(Durchbruch). Through this research, the aim is to understand past and present coping strategies from the perspective of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Ultimately, Meister Eckhart's christian mysticism is expected to provide a valuable viewpoint of ‘Philosophical Therapy’ that presents challenges and opens up new opportunities in the face of past, present, and future major disasters.

      • 팬데믹에 대한 종교개혁 신학자들의 이해와 대응 : 존 칼빈을 중심으로

        안명준(Ahn, Myung-Jun) 혜암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교회 Vol.14 No.-

        지금 인류는 코로나19로 공포와 충격 속에서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다. 어느 누구도 안심하고 숨을 쉴 수도 없으며 작년처럼 자연스럽게 타인과 함께 만날 수도 또 식사도 할 수 없는 상황에 있다. 2020년 12월에 미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 확진자들과 사망자가 날마다 늘어나고 있다. 현재 전 세계는 이 전염병의 공포와 위협이 모든 일을 멈추게 하였다.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가 인류를 이렇게 위협적으로 지배하고 있다. 이런 결과들은 긍정적인 측면에서는 현대 인류로 하여금 자연생태계와 공존하도록 강하게 촉구하고 있다. 현재와 같은 팬데믹 상황은 500년 전에 살았던 종교개혁자들의 모습과 유사하다. 그들 모두는 흑사병으로 쓰라린 고통을 당했다. 이 글에서는 먼저 교회 역사 속에서 흑사병으로 고난을 당했던 초대교회의 모습으로부터 중세 교회까지 배경적 이해를 위하여 살펴볼 것이다. 그 다음은 16세기 유럽에서 발생한 전염병으로 인하여 슬픔과 고난의 상황 속에 살았던 종교개혁자들의 전염병에 대한 이해와 대응방식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다룬 후에 칼빈을 중심으로 이 무서운 재난을 어떻게 극복하였는지 신학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그 대응책에 대하여 살펴본다. 종교개혁자들은 흑사병을 하나님의 심판으로 보았으며 신앙적 관점을 중요시했을 뿐만 아니라 의학적인 방법을 사용하기 위하여 이성의 활동도 강조하였다. 고난을 통하여 믿음으로 천국을 소망하였으며 병든 자들을 위하여 헌신적 사랑의 실천을 다 하였다. Now peoples are living in fear and shock with Corona 19. No one can breathe with safety like last year, they are in a situation where they cannot meet or eat with others naturally. In December 2020, the number of confirmed cases and deaths increased day by day in the United States and many other countries. The world now has the fear and threat of this epidemic that has stopped everything. The invisible virus is dominating humanity with this threat. On the positive side, these results strongly urge modern humans to coexist with the natural ecosystem. The current pandemic is similar to that of the Reformers who lived 500 years ago. All of them suffered bitterness from the Black Death. From the early church to the medieval church we will first look at the historical background for understanding of this topic. Next, this article comprehensively deal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infectious disease and the way of responding to the Reformers who lived in a situation of sorrow and suffering due to the epidemic that occurred in Europe in the 16th century. Later, with focusing on Calvin, I will investigate how he overcame this terrible disaster from a theological point of view and examine his countermeasures. The Reformers viewed the Black Death as God s judgment. They not only placed the importance on a religious perspective, but also emphasized the activity of reason using medical methods. Through hardships, they hoped for heaven through faith and did all their dedication to love for the sick.

      • KCI등재

        흑사병 창궐과 잉글랜드의 사회·경제적 변화: 임금 인상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이상동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22 西洋中世史硏究 Vol.- No.49

        The Black Death, which reached England in 1348, caused the eradication of a third of population in England leading to significant social and economic changes. The size of workforce decreased and in turn the workers acquired opportunities to demand more wages and even relocate themselves for better compensation. For the employers, these circumstances resulted in loss of capital as well as infringing their grasp on the working class. In consideration of this historical context, this study illustrates the social and economic impacts of the pandemic, in particular, on wage disputes. To review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wage disputes from an unconventional point of view, the analysis is made by utilizing the Postal Model to examine the direct correlation between England’s labor force market and dramatic population decline. This study thus broadens the contemporary understanding of social and economic impacts of Black Death on wage disputes in England. 1348년 흑사병이 잉글랜드에서 창궐함에 따라 전체 인구의 1/3 가량이 감소하였다. 인구의 급격한 감소는 노동 인구의 감소를 의미하기에 사회·경제적으로 파장을 야기하였다. 이전과 비교하여 노동력의 희소성이 증가하여 노동자의 선택권 혹은 협상력이 커졌다. 임금 인상은 불가피하였으며 노동자의 이탈 혹은 이동은 거스를 수 없는 사회 현상이 되었다. 사회 기득권 세력 입장에서 이런 상황은 경제적 손실이었으며, 하층민에 대한 인신 구속력이 침해됨으로써 통치적 권위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이었다. 본 논문은 이런 역사적 맥락과 관련하여 흑사병 창궐이 야기한 사회·경제적 변화, 특히 임금 상승의 문제를 논의한다. 이를 위해 우선 노동력 감소가 임금 상승을 야기했다는 ‘포스탄 모델’을 살펴보고, 흑사병 창궐 이후인 14세기 후반기 노동력 감소가 실제 노동력 시장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또 사회는 이런 변화에 어떻게 대응했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이어서 포스탄 모델과는 다른 방식으로 임금 상승의 문제를 검토한다. 이를 통해 흑사병 창궐이 야기한 잉글랜드의 사회·경제적 변화, 특히 임금 문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관련 논의를 확장시키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