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근대 기독교 유입의 여러 갈래 : 윤치호의 계몽사상과 기독교적 자유 -후쿠자와 유키치의 자유관과 종교관의 비교를 통해서-

        류충희 ( Chunghee Ryu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5 동방학지 Vol.171 No.-

        본고에서는 계몽지식인 윤치호(1865~1945) 의 계몽사상을 일본 메이지기 계몽지식인 후쿠자와 유키치(1835~1901)의 정치사상과 비교하여 논하였다. 본고에서 윤치호의 자유관은 기독교 신앙에 기초한 것이라고 가정했다. 특히 윤치호와 후쿠자와 유키치의 종교관과 자유관을 분석하여 그 관점의 동일성과 차이, 그리고 그들의 관점을 가능하게 하는 근본적인 정치적 상상력을 문제 삼았다. 윤치호와 후쿠자와 유키치는 서양문명을 표본으로 삼아 인민계몽을 주장.실천하여 근대화를 추구한 인물들이다. 그 사상적 기반은 자유로운 개인과 사회.국가의 관계성을 전제로 한자유주의적 정치사상이다. 윤치호와 후쿠자와 유키치가 논하는 문명론에는 자연 상태로부터 자유로운 인간이라는 인식이 공통으로 전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두 사람은 인간의 자유를 가능하게 하는 것에 대한이해가 달랐다. “종교 밖에 소요(逍遙)”하는 태도를 일관하여 종교적 신앙에 거리를 두었던 후쿠자와는 인간의 “지력(智力)”에 의한 “정신의 자유”에 중점을 두었다. 윤치호도 후쿠자와와 마찬가지로 인간의 지성을 중시했지만, 신앙에 근거한 기독교적 자유와 구제를 염두에 두고 문명론을 이야기했다. 이처럼 윤치호와 후쿠자와 유키치에게는 종교의 신앙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적 차이가 존재했다. 하지만 이 두 동아시아 지식인들에게는 종교를 계몽의 도구로 파악하고 있었다는 점이 공통적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종교에 대한 공리주의적인 인식의 기층에는 문명론, 내셔널리즘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그리고 이 공리주의적 종교관의 기층에는 신(문명, 국가) 등과 개인의 관계에 근거한 개인의 내면화.인격화된 근대적 신앙이라는 정치적 상상력이 작동하고 있다. 윤치호는 조선인이 적자(適者)가 되기 위해서는 기독교가 절대적 조건이라고 여겼다. 후쿠자와 유키치는 종교의 신앙적 문제에 대해서는 부정적 입장을 고수했지만, 국가와 사회의 발전을 위한 종교의 효용성이라는 공리주의적 태도를 평생 견지했다. 윤치호는 서구문명과 기독교의 암면을 인식하면서도 기독교와 문명에 대한 그의‘신앙’이 존재했기 때문에 문명론을 상대화할 수없었다. 후쿠자와 역시 서구문명을 절대적 명제로 인식하는 ‘신앙’적 태도로 문명론을 주장했다. 윤치호와 후쿠자와 유키치의 정치사상의 비교분석을 통해서, 본고에서는 근대 동아시아의‘자유’라는 정치적 상상력과 ‘신앙’이라는 종교적 상상력이 상호 연관되어 작동하는 사상적 계보의 한 예를 제시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Enlightenment thought of Korean Enlightenment intellectual Yun Ch’iho (1865-1945) in comparison with the political thought of famous Meiji Enlightenment intellectual Fukuzawa Yukichi (1835-1901).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Yun’s view of liberty was based on the Christian faith. In particular, it discusses the two men’s views on liberty and religi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ir views, and the driving forces behind their fundamental political imaginations. We can see that Fukuzawa and Yun shared an understanding of Man’s freedom from, and control over, nature in civilized conditions. However, they differed in the ways they considered the driving force behind this freedom and control. While Fukuzawa believed it was intelligence, Yun Ch``iho agreed that intelligence was crucial but believed that the Christian faith was a more important and fundamental force than intelligence. Yun Ch``iho’s and Fukuzawa Yukichi’s views on liberty and religion involved various factors, including civilization, nationalism, and Christianity. We can assume that what was at work in all of these factors was the religious imagination of modern faith. This faith i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or civilization, or the nation) and the individual, and the way this relationship is internalized and personified in the individual’s mind.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people who believe that civilization and the nation have a divine origin that began with God to stop imagining this divinity as an absolute proposition.

      • KCI등재

        연구논문 :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의 "궁리(窮理)" 인식과 과학제국주의

        김성근 ( Sung Keen Kim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6 No.-

        본 논문은 메이지 일본의 개화사상가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1835-1901)의 ‘궁리(窮理)’ 개념을 중심으로 그의 과학사상과 문명론을 살펴본 것이다. ‘궁리’라는 어휘는 일찍이 ‘격물’과 함께 사물의 이치에 대한 탐구를 뜻하는 주자학의 대표적 어휘였다. 그러나 후쿠자와에 의해 이 ‘궁리’ 개념은 물리적 대상세계에 대한 법칙적 탐구로 한정되었다. 즉, 후쿠자와는 ‘궁리’를 자연철학(natural philosophy), 혹은 자연과학(natural science)의 뜻으로 사용했고, 그것은 인간의 삶의 환경을 개선하는데 중요한 실용적 학문이라고 보았다. 후쿠자와의 ‘궁리’가 문명 발달의 핵심적인 지식으로 규정된 것은 『학문의 권유』(1872년 초편), 『문명론의 개략』(1875년) 등을 통해서였다. 후쿠자와는 인류의 문명이란 애당초 ‘미개’, ‘반개’, ‘문명’이라는 3단계의 발전 과정을 거친다고 보았다. 아울러 당시 문명의 발달에서 가장 앞선 것은 서양문명으로, 그 근저에는 바로 궁리(궁리학)에 대한 탐구가 있다고 역설했다. 그러나 동시에 후쿠자와에게 있어 문명이란 국가의 독립이 없이는 가능한 것이 아니었다. 후쿠자와의 문명론에 놓인 이 같은 문명=국가의 논리는 1881년 『시사소언』의 집필 이후, 일본의 독립에 대한 위기감이 심화될수록, 후쿠자와의 문명론을 국가론 속에 매몰시켜간 요인이었다. 즉, 후쿠자와는 일본의 독립을 위해서라면 주변국인 중국, 조선을 문명의 세계로 이끌 필요가 있고, 불가피한 경우에는 위력의 사용 또한 용인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 같은 문명론의 국가주의적 경도는 일찍이 후쿠자와 스스로가 문명 발달의 핵심적 지식으로서 인간의 삶의 환경을 개선하는 학문으로 이해했던 ‘궁리’를 국가적 산업, 즉 식산을 위한 학문으로 재인식하게 만들었다. 즉, 후쿠자와에게 있어 문명의 발달이 국가 독립의 수단으로 인식되어갈 때, 문명 발달의 중요한 척도였던 궁리(물리)도 국가의 독립을 위한 수단으로 인식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 같은 후쿠자와의 궁리(물리) 이해는 메이지 계몽사상의 시대적 특징을 보여줌과 동시에, 20세기 초에 등장했던 일본의 ‘국가적 과학’의 모습을 미리 예견한 것이기도 했다. This article studies Fukuzawa Yukichi``s scientific thought and the theory of civilization, centering on his understanding of physics, which he called Kyuri(窮理). Kyuri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of Neo-confucianism, along with a concept of Kakubutsu(格物). However, Fukuzawa redefined the concept of kyuri in the meaning of the research against the physical world. He used the term kyuri as the same meaning with natural philosophy or natural science, and illustrated that kyuri was the most useful knowledge to advance human life and environment. In his books, Gakumon no Susume(1872-) and Bunmeiron no Kairyaku(1875), however, Fukuzawa insisted that kyuri was the main knowledge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He also insisted that civilization could be developed through three steps, which were the uncivilized stage(野蠻), the semicivilized stage(半開), and the civilized stage(文明). Moreover, he illustrated that the reason why Western countries were highly civilized at that time was because they had studied kyuri. After he published jijishogen(1881), however, Fukuzawa``s theory of civilization was obsessed by nationalistic thinking because he felt the crisis of independence of Japan. According to Fukuzawa, civilization of a nation could not develop unless the nation became independent first. This idea of civilizaion=nation supported Fukuzawa’s aggressive thinking that Meiji Japanese had to civilize China and Choseon to get over their national crisis, and if it was impossible, Japanese military power could be considered to those countries. Having a nationalistic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civilization, Fukuzawa thought newly that kyuri should be not only the knowledge for advancing human life and environment, but also for the national increase of production. When Fukuzawa thought that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was just a tool for national independence, butsuri was defined as the tool for national independence. Fukuzawa``s understanding of butsuri showed the properties of Meiji thinkers`` philosophy of enlightenment, and would also predict in advance Japan``s national science which was connected with Japanese imperial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 KCI등재

        도구적 이성의 명암: 후쿠자와 유키치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 근대적 합리성 비판에 대한 재검토

        황민혁 동양사회사상학회 2023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2

        This paper attempts to overcome the previous critiques of the Enlightenment by reexamining the ambivalent legacy of what Horkheimer identified as “instrumental reason” from the example of a nineteenth century Japanese intellectual, Fukuzawa Yukichi. Specifically, instrumental reason, as a legacy of the Enlightenment, actually had a significant role in reforming a repressive society, while ignoring the existential questions and the ultimate direction of the human reason. For this purpose,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ual origin and problems of instrumental reason discussed by the Frankfurt School. Second, the revolutionary aspect of instrumental reason is discussed by analyzing the early writings of Fukuzawa Yukichi. Finally, this paper explains the reason for the imperialist tendency of Fukuzawa Yukichi’s later thought, arguing that the problem of instrumental reason in the case of Fukuzawa was not its self-contradiction as the Frankfurt School believed, but its weakness and incompleteness. Fukuzawa Yukichi’s understanding of the “Western Studies” and his idea of “chi(智)” is almost identical to the concept of instrumental reason, which made him a good example to study instrumental reason in historical context. This paper, however, does not try to compare and contrast the Frankfurt School’s idea with that of Fukuzawa Yukichi. Rather, by examining Fukuzawa Yukichi’s thoughts as a case study, this paper shows the strength of instrumental reason in reforming a society that requires fundamental transformation, and its weakness in answering existential questions of human condition. 본 논문은 계몽주의에 대한 기존 비판을 극복하고 그 보편적 당위성과 진보적 측면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계몽주의 비판으로 유명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도구적 이성” 개념을 논의의 기초로하여, 근대 동아시아의 계몽사상가 중 한 명인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 吉)의 사례를 통해 그간의 도구적 이성에 대한 비판이 정당했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여기서 계몽주의가 낳은 도구적 이성이 반동적이고 억압적인 사회에서는 상당히 개혁적인 역할을 하는 한편, 인간 실존의 문제, 즉 근본적인 삶의 이유와 방향성의 문제는 등한시한다는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세 단계의 논의를 거친다. 첫째, 계몽주의가 낳은 근대적 합리성의 맹점을 지적하는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막스 호르크하이머(Max Horkheimer)가 제기한 “도구적 이성”의 개념을 분석하고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계몽주의 비판이 갖는 한계를 정리한다. 둘째, 19세기 동아시아의 계몽사상가 중 한 명인 후쿠자와 유키치의 예를 통해 도구적 이성의 개혁적 측면을 살펴본다. 셋째, 후쿠자와유키치 사상이 제국주의적인 면모를 보이게 되는 과정을 추적하며 도구적 이성의 문제가 자체 모순이 아닌 그 불완전성에 있음을 밝히려 한다. 후쿠자와 유키치가 설파했던 서구적인 학문과 지(智)의 개념은 바로프랑크푸르트학파가 계몽주의의 핵심이자 문제점으로 지적한 도구적 이성과 거의 동일하다는 점에서 도구적 이성에 대한 연구 사례로 적합하다. 본 논문의 목표는 프랑크푸르트 학파와 후쿠자와를 비교분석하거나후쿠자와 유키치에 대한 어떤 새로운 해석을 제기하기보다는, 후쿠자와의 예를 통해 도구적 이성의 가치를 재평가하는 것에 있다. 즉 후쿠자와유키치 사상의 변천을 사례로 활용하여, 궁극적으로 도구적 이성이 급격한 변화를 요구하는 사회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을 보여주는 한편, 인간의 삶에 근본적인 방향성과 목적의식을 부여할 수 있는인간 존재의 문제를 외면한다는 문제가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도구적 이성은 그 자체로 모순적이라기보다는 “불충분”한 “약한” 이성이라는 점을 결론적으로 보여주고 이를 극복할 방법을 몇 가지 제시하고자한다.

      • KCI등재

        후쿠자와 유키치 독법

        박균섭(Park, Kyoon-Seop)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6 敎育思想硏究 Vol.30 No.3

        메이지시대의 일본교육은 계몽사상과 문명론 그리고 이에 대한 반동형성으로서의 천황제이데올로기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계몽주의 사상가, 일본 근대화의 스승, 메이지문명의 위대한 건설자 등의 수식어가 따라붙는 후쿠자와 유키치는 메이지시대 일본교육의 정체성 확보 과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던 주요 인물이다. 그런데 후쿠자와 유키치는 계몽과 문명의 관점에서 교육의 역할을 강조했다기보다는, 아시아에 대한 전쟁 선동가 내지 일본의 제국주의・군국주의적 침략과 지배를 사상적으로 정당화하는 차원에서 교육을 이용하였다. 후쿠자와 유키치는 약간의 계몽적 언설을 제외하고는 아시아 특히 한국에 대한 편견과 멸시를 압도적인 분량으로 드러냈다. 일본이 전쟁으로 얼룩진 쇼와시대를 털어내지 못한 배경에는 메이지시대 이래의 후 쿠자와 유키치에 대한 맹목적인 찬사와 동경의 시선이 자리잡고 있다. 우리가 아는 후쿠자와 유키치는 계몽사상가 내지 문명론의 설계자로 치장된 거짓 모습이다. 그의 사상적 기저는 침략과 지배라는 제국주의・군국주의적 전략으로 응축된 인물이었다. 그리고 이는 일본 군국주의의 아시아 각국 및 한국에 대한 식민교육의 정신적 기반으로 작용하였다. 화장을 지운 후의 후쿠자와 유키치, 그는 근대와 문명과 교육의 이름으로 한국인의 민족의식과 국가정체성을 잠식하는 주범이었음을 알 수 있다. The concept of enlightenment and civilization are the characteristic of Japanese education in Meiji era. There should be wider discussion of this issue Fukuzawa Yukichi;an enlightenment thinker, a mentor to modernization of Japan, and a great founder of Meiji civilization. Fukuzawa Yukichi was a war agitator of Asia and also ideologically justified Japanese imperialism rather than emphasizing the role of education from enlightenment and civilization. He had a prejudice and despise Asia, especially revealed it more about Korea, excluding a little enlightenment address. It has a historical background. Japanese could not pass over tainted Showa era because they made model Fukuzawa Yukichi since Meiji era. He was simply a wrong great mentor. When we should inquire Fukuzawa Yukichi’s identity, we can properly discuss on the modernity, civilization and education.

      • KCI등재

        〈국치젼〉과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의 상관관계 연구

        전은경(Jun Eun-kyung) 한국현대문학회 200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3

        본 논문에서는 〈국치젼〉을 축자적 번역이 아닌 최초의 장기 신문연재번안 소설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논의를 전개했다. 『대한매일신보』는 국문판 “쇼셜란”에 독립과 애국심을 돋우기 위한 한국의 역사전기물 소설과 문명개화를 배우기 위한 서양 문물 번안소설을 싣게 된다. 이는 애국과 문명개화를 소설이라는 장르를 통해 이루겠다는 『대한매일신보』의 의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연재되기 시작한 〈국치젼〉은 일본의 문명 사상가인 후쿠자와 유키치의 삶과 상당수 유사한 내용이 담겨 있다. 연설 속의 사상이나 전개되는 사건이 매우 유사하며 동시에 일본 사회 풍토의 모습 역시 담겨 있어서 이 〈국치젼〉은 후쿠자와 유키치의 삶을 허구적 전기로 꾸민 모본을 대상으로 번안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후쿠자와 유키치의 『서양사정』과 『문명론지개략』의 내용이 상당수 포함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치젼〉 후반부에 전개되는 “유람잡지”와 “개화 연설”은 유길준의 『서유견문』의 내용이 그대로 들어있거나 축약된 형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결국 이것은 후쿠자와 유키치의 문명사상과 유길준의 『서유견문』이 결합된 형식이라 할 수 있다. 즉 전반부는 일본의 모본을 참고하여 번안하여 나갔을 확률이 높으며 후반부는 유길준의 『서유견문』을 번역자의 사상과 의지로 그 모본과 다르게 전개해 나갔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치젼〉은 일본적이면서도 한국적인 요소를 담아 한국적 전통과 서양적 혹은 일본적 문명 사상이 접목되어 있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대한매일신보』가 주장한 서양의 문명개화 사상이 내부의 전통적인 토대와 만나 새로운 서적으로 창출되었으며, 이러한 “한국의 새서적”에 대한 욕구가 〈국치젼〉이라는 새서적을 탄생시켰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국치젼〉이라는 번안소설의 의의이자 “한국의 새서적”으로서의 의의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studied about 〈Kukchi-Jeon〉(국치젼) that was the first long-term adapted novels in the modern newspaper. This thesis focused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Kukchi-Jeon〉(국치젼) and Hukuzawa Yukichi(福澤諭吉). 〈Korean daily news〉(대한매일신보) published "the novels column" where were korean historical novels and western adapted novels. The former was in order to inspire Chosun's people with the spirit of patriotism. The latter was for introducing the modern 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This showed an indomitable will of 〈Korean daily news〉 that was eager to attain their ambition, the patriotism and the modern civilization through a genre of novel. 〈Kukchi-Jeon〉(국치젼) run a serial for about one year in the national news paper, 〈Korean daily news〉. For all that, a hero of 〈Kukchi-Jeon〉(국치젼), Kukchi was very similar to Hukuzawa Yukichi who was a man of modern thought in the Japan. Kukchi's behaviors and eloquences in the oratorical meeting were analogous to Hukuzawa's. Therefore 〈Kukchi-Jeon〉(국치젼) was quite within the realms of possibility that 〈Kukchi-Jeon〉 was adapted to the original text that converted Hukuzawa's life into a Fiction. Although 〈Kukchi-Jeon〉 included 〈the Occidental Circumstances〉(西洋事情) and 〈an epitome of theory about civilization〉(文明論之槪略) of Hukuzawa Yukichi, its latter half part, "a excursion magazine" and "a enlightened speech" included a partial Yu Gil-jun's 〈Seoyugyunmun〉(西遊見聞). Ultimately 〈Kukchi-Jeon〉 is a form combining Hukuzawa's civilization thought with Yu Gil-jun's 〈Seoyugyunmun〉(西遊見聞). Namely, the former part was connected with civilization thoughts in Japan and the latter part was related with Yu Gil-jun's thoughts by adapter's will including creative part. Consequently, 〈Korean daily news〉 created 〈Kukchi-Jeon〉 as "new book in the modern Chosun" in proportion to compound occidental civilization thoughts and inner traditional foundation in Chosun. This is the significance of 〈Kukchi-Jeon〉 as adapted novels and "new modern book" in Chosun.

      • KCI등재후보

        일본 메이지유신기 계몽사상의정치사상적 특성 - 후쿠자와 유키치의 문명개화론을 중심으로 -

        김정호 한국동북아학회 2005 한국동북아논총 Vol.10 No.4

        이 논문은 후쿠자와 유키치의 문명개화론을 중심으로 메이지유신기 일본 계몽사상의 정치사상적 특성을 밝히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학비판의 현실관, 문명개화론의 내용과 상대주의적 가치관, 그리고 문명개화론의 이론적 토대로서의 인성론ㆍ질서관ㆍ도덕론 등을 분석했다. 후쿠자와 유키치의 문명개화론은 유학적 차별관ㆍ폐쇄관이 초래한 모순을 정확히 직시하고, 평등관ㆍ상대관ㆍ개체관 변천관ㆍ개방관ㆍ진보관을 토대로 국가의 발전과 독립을 추구한 개혁ㆍ개방사상이었다. 구체적으로 개체성을 보유한 자유로운 삶의 욕구주체인 동시에 권리주체로서의 인간성의 규정, 그러한 인간들 사이의 본연적 동등성과 상대적ㆍ기능적 평등성의 주장, 이것을 국가간 관계에 적용시켜 국가간 관계의 독자성과 자존성을 바탕으로 한 평등적 국가간 관계의 당위성 설명, 그리고 조화와 협력을 강조하는 도덕론 등이 그의 사상의 중심 내용이었다. 특히 후쿠자와 유키치의 문명개화론은 서구 근대 시민권사상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인 동시에 동아시아 전통의 반유학적 인식론이나 이전 개혁사상가들과의 사상적 연계 속에서 도출되었다는 주요한 정치사상적 특성을 지닌 것이었다. 유학비판의 현실관이나 상대관의 활용, 동등성과 개체성을 강조하는 인성론과 질서관의 내용은 이 점을 잘 보여주었다. 이런 측면에서 후쿠자와 유키치의 문명개화론은 일본에서의 자유ㆍ평등론의 발전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근거라고 평가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political thought of enlightenment in the Meiji period, focusing on Fukuzawa Yukichi's theory of civilization. For this research purpose, this article explains his anti-confucian view of present, contents of theory of civilization, and logic of human being, order, and morality as its theoretical basis. It can be said that Fukuzawa Yukichi's theory of civilization was a reformative political thought which sought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development based on view of equality, individuality, change, and progress. In particular, Fukuzawa Yukichi's theory of civilization ha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in terms that it has close relation in thought with not only the Western civil-right theory but also the traditional East Asian anti-Confucian and former Japanese reformative political thoughts. It is well shown in his anti-confucian view of present, using relativist view, and theory of human being and order which emphasizes equality among individuals and their respective individualities. In this respect, it is safely evaluated that Fukuzawa Yukichi's theory of civilization is a main source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ory of freedom and equality in modern Japan.

      • KCI등재

        연구논문2 :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의 문명사관에서 보는 갑신정변(甲申政變)

        박배영 ( Baiyeong Park )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2 일본공간 Vol.12 No.-

        본 논문은 일본을 대표하는 문명개화론자 후쿠자와 유키치(1835-1901)의 문명사관에 관한 고찰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단순히 평면적으로 서술된 문명개화론이 아니라 문명개화론에 특정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 후쿠자와에 게 있어 문명사관과 문명개화론은 다소 그 성격을 달리한다. 후쿠자와의 문명개화론에 이른바 인간론과 국가론, 두 가지의 측면이 있다고 한다면, 그 두 측면 중 어느 부분을 후쿠자와 문면론의 주된 측면으로 이해해야 할 것인가. 문명사관은 그 방향성의 문제에 관계된다. 또한 그것은 갑신정변이 쿠자와의 문명개화론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이유이기도 하다. 갑신정변의주역 김옥균은 일본의 이른바 근대화 성공의 근원을 그들의 실심실사(實心實事) 에서 구하였다. 일본의 문명개화론에 있어서의 실심실사는, 즉 인간의 교제에 의거하면서 문명론적 세계관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것을 제안하는 일본의 문명론적 법론에서 구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갑신정변은 실패하고, 후쿠자와는 실망감, 좌절감에 휩싸이게 되고, 이후 국가주의적 문명론을 전개해 나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쿠자와의 문명론은 여전히 인간론과 국가론, 그 두 가지 측면을 양립시켜 나간다. 본 논문은 이러한 후쿠자와 문명개화론에 있어서의 이중적 측면을 계몽주의 철학의 측면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것은 계몽주의 철학의 이론으로서의 문명개화론의 본 모습을 파악하려는 시도이며, 나아가 근대를 논하는 이론으로서의 문명개화론의 의미를 재확인하려는 시도이기도 한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exploring Fukuzawa Yukichi`s perspective o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Fukuzwa`s concept of the history of civilization differs from the general idea of civilization. It is the concept suggesting historical progress of civilization. Fukuzawa`s idea of civilization is consist of two theories on human being and on state. Which one is the major part of Fukuzawa`s concept of civilization? The concept of the history of civilization helps us to understand it. The Kapsin Coup(甲申政變) was significant event to Fukuzawa`s theory of civilization. Kim Ok-kyun who played the major role in the Kapsin Coup(甲申政變) believed that the success of the civilization of Japan owed to the spirit of real mind and real thing. The idea of Japanese civilization theoretically proposed the civilized world based on the progress of human relationship and this was related to real mind and real thing. Kim Ok-kyun tried to adopt this concept when he joined the Kapsin Coup(甲申政變) but eventually this coup turned out failed. Fukuzawa was greatly disappointed with the failure of the Kapsin Coup(甲申政變) and shifted his focus on the theory of state when he developed his idea of civilization while he still tried to keep the balance between the theories of human being and state. In this article, I attempted to understand these dual aspects of Fukuzawa`s civilization in the lens of the Enlightenment because I believe that his idea of civilization was one of several theories of the Enlightenment. In addition, I would like to rediscover the historical meaning of Fukuzwa`s civilization as the theory of modernization.

      • KCI등재

        조선개화파(朝鮮開化派)와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쓰키아시다쓰히코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0 No.26

        본 논문은 후쿠자와 유키치의 「탈아론」에 대한 이해, 그리고 조선개화파와 그 사상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기 위해서, 조선개화파와 후쿠자와의 관계에 관해 정리함과 동시에, 앞으로의 연구의 진전을 위해 몇 가지 문제제기를 시도하고자 한다. 후쿠자와는 1880년 조선개화파와의 교류가 시작됨과 동시에 조선의 ‘독립’에도 강한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일본이 무력을 행사해서라도 조선을 ‘개조’하여 ‘독립’을 완수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청의 朝貢國의 지위에 있던 조선에서, 김옥균 등 ‘독립’을 부르짖은 급진개화파의 사상형성에는 후쿠자와의 ‘조선개조론’과의 관련성이 있었음은 틀림없다. 또한 김옥균 등이 갑신정변을 계획ㆍ실행함에 즈음하여, 후쿠자와로부터 얼마만큼의 협력이 있었는가, 현재의 단계에서 이를 단언할 수는 없지만, 앞으로 더욱 연구가 심화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는 김옥균이 일본망명 이후 저술한 『甲申日錄』의 사료적 가치의 문제와도 관련된다. 또한 본 논문은 후쿠자와의 「탈아론」에 관해서, 그것이 갑신정변 이후의 조선을 둘러싼 정세변화와 밀접히 결부된 담론이었음을 명백히 했다. 조선개화파의 사상은 갑신정변 후에 체계화를 이루는데, 여기에는 후쿠자와의 저작물로부터 적지 않은 영향이 있었음이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지적되어 왔다. 그러나 본 논문이 명확히 한 것처럼, 양자의 사유양식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음도 사실이다. 한일비교 근대사상사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 조선개화사상과 후쿠자와 사상의 비교는 앞으로 더욱 연구를 전개시켜 가야 할 과제이다. 本論文は、福沢諭吉の「脱亜論」に対する理解、および朝鮮開化派とその思想に対する理解を深めるために、朝鮮開化派と福沢の関係について整理するとともに、今後の研究の進展のためにいくつかの問題提起を試みるものである。 福沢は1880年に朝鮮開化派との交流が始まるとともに、朝鮮の「独立」にも強い関心を持つようになり、日本が武力を行使してでも朝鮮を「改造」して「独立」を完遂させなければならないと主張した。 清の朝貢国の地位にあった朝鮮で、金玉均ら「独立」を唱える急進開化派の思想形成に、福沢の「朝鮮改造論」との連関性があったことは間違いない。 また、金玉均らが甲申政変を計画・実行するに際して、福沢からどれほどの協力があったのか、現在のところ断言はできないが、今後さらに研究が深められるべきである。 これは、金玉均が日本亡命後に著した『甲申日録』の史料的価値にかかわる問題にも繋がる。 さらに、福沢の「脱亜論」は、甲申政変後の朝鮮をめぐる情勢変化と密接に結びついた言説であることも本論文は明らかにした。 朝鮮開化派の思想は、甲申政変後に体系化を見るが、そこには福沢の著作物から少なくない影響があることは比較的早くから指摘されていた。 しかし、本論文が明らかにしたように、両者の思惟様式には相当な差異があることも事実である。 日韓比較近代思想史研究の発展のために、朝鮮開化思想と福沢の思想の比較を今後さらに研究を進めて行く必要がある。

      • KCI등재

        일본과 한국에서의 ‘실학’의 근대화

        사사키 슌스케(佐?木集相),카타오카 류(片岡龍),조성환(번역자)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한국종교 Vol.43 No.-

        이 글은 일본과 한국에서의 ‘실학’의 근대화를 주제로 한다. 고찰의 대상으로 일본에서는 후 쿠자와 유키치(1834-1901)를, 한국에서는 이능화(1869-1943)를 다룬다. 19세기 후반에서 20 세기에 걸쳐 일본과 한국은 본격적인 서양 문명 도입의 시기를 맞이하였다. 기존의 동아시아적 세계관에 대해 새롭게 서양 문명에 유래하는 세계관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실학’의 근대화라는 주제를 생각할 경우에, 지금까지의 세계관에 대해 새로운 세계관이 어떻게 자리매김 되었는가 하는 문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이 글에서 "근대화" 개념은 서양 문명의 영향에 의한 근대화(서양근대화)뿐만 아니라, 서양문명의 유입 이전에 이미 진행되고 있었을 근대화(토착적 근대화)도 의미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론을 미리 말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후쿠자와 유키치는 종래의 동아시아 적 세계관과 결별하고 서양의 과학사상에서 태어난 기계론적 세계관에 기초하였다. 한편 이능화는 동아시아에서의 ‘실학’의 고증학적·절충학적 태도를 계승하면서 새롭게 접촉한 서양문명을 의미지었다고 할 수 있다. 기계론적 세계관을 껴안게 되는 후쿠자와 유키치에게 있어서 "실학"은 단적으로 ‘science’ 를 의미하였다. 이때 ‘science’는 오늘날 말하는 자연과학뿐만 아니라 사회과학이나 인문 과학까지 포함한 ‘학문’ 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졌고, 그 모델은 물리학이었다. 데카르트에서 유래하는 기계론적 자연관이라고도 할 수 있는 이러한 세계관에서, 자연은 인간에 의해 조작되기만 하는 대상으로 존재했다. 그리고 조작할 때의 원칙이 되어야 하는 것은 물리학이었다. 후쿠자와는 이와 같은 기계적 자연관에 기초한 학문과 그것의 실용적 전개로 문명을 파악하였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종래의 동아시아 학문이나 세계관은 돌아볼 필요가 없는 것이었다. 아울러 후쿠자와의 "실학" 이해에서는 유학이나 국학과 같은 지금까지의 학문뿐만 아니라 기독교와 같은 종교도 적극적인 의의가 주어지는 것은 아니었다. 그것들에는 단순히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도구로서의 가치 밖에 부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후쿠자와보다 한 세대 후의 이능화는 근대 한국에서의 ‘실학’ 연구의 태동기를 대표하는 인물 중 한 사람으로 꼽을 수 있다. 이능화는 고대 조선의 신교(神敎)가 ‘잡신교(雜神敎)’화를 거침으로써 기독교를 수용하는 정신적 토양이 민중 속에 들어 있었고, 나아가서 기독교는 불교의 ‘심신’론으로 전개된다고 생각하였다. 불교를 정점으로 하면서도 모든 종교를 거기에 이르는 과정으로 의미지운 것이다. 이능화는 실제로 ‘백교회통(百敎會通)’하는 자세로 모든 종교의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였다. 또한 이능화는 고대 신교(神敎)에서의 의약(醫藥) 중시에 주목하고, 그것의 발전과정 속에서 사상학설(四象學說)과 같은 새로운 심신의학을 이해하였다. 이러한 이능화의 태도는 후쿠자와에서의 근대화 문제와 대조를 보이고 있다. The theme of this paper focuses on the modernization of Silhak in Japan and Korea. The subjects of discussion are Fukujawa Yukichi (1834-1901) in Japan, and Lee Neung-hwa (1869-1943) in Korea. Japan and Korea similarly experienced the introduction to Western civilization in earnest between the late 19<SUP>th</SUP> century and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Compared to the existing world view that prevailed in East Asia, a new and strange world view that originated from Western civilization suddenly appeared. When thinking about the theme of the modernization of Silhak, we should be attentive to the issue of how a new world view was established against the backdrop of an existing world view. Because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modernization means not only the modernization brought about by the influence of Western civilization, but also the indigenous modernization that might have progressed before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If the conclusion is announced in advance, it can be stated as follows. Fukujawa Yukichi separated himself from the existing world view that prevailed in East Asia, and embraced the mechanistic world view that stemmed from the birth of scientific inquiry in the West. On the other hand, Lee Neung-hwa inherited those attitudes based on documental archaeology and eclectic study that Silhak in East Asia featured, and at the same time was able to make sense of Western civilization that he came into contact with. To Fukujawa Yukichi, who embraced the mechanistic world view, Silhak meant just a ‘science.’ The science he meant was general ‘science’ that included not only the natural science of today, but also social science and humanistic science, and the model was physics. In this world view that can be said to adopt a mechanical view of nature that had originated from Rene Descartes, nature existed as an object that is to be manipulated by human beings. And the operating principle was based on physics. Fukujawa comprehended civilization as a science based on such a mechanistic view of nature and its practical development. Seen from this view point, it was not necessary to look back on the existing East Asian science and world view. In addition, in Fukujawa’s understanding about Silhak, as well as with regard to existing learning such as Confucianism and national study, religions such as Christianity did not have an active meaning or relevance. This was because they only possessed value as a tool to maintain the social order. Lee Neung-hwa, who was born one generation later than Fukujawa, can be named as someone who represents the beginning period of Silhak study in modern Korea. Lee Neung-hwa thought that, as the Godism (Sin’gyo) of Ancient Joseon had gone through a transformation into diverse gods, the spiritual basis had been prepared among the public to accept Christianity, and, furthermore, Christianity had developed into the theory of ‘mind and body’ of Buddhism. So taking the Buddhism as the pinnacle, all religions were understood as the process of reaching Buddhism. Practically, Lee Neung-hwa collected and arranged all religious materials with the attitude of seeking to incorporate and penetrate all religions. In addition, he was disposed to highly regard the medical practices of ancient Godism, and further understood the theory of four types, which deals with the relation between the body and mind could be invented due to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medicine of ancient Godism. This attitude of Lee Neung-hwa can be compared to the attitude of Fukujawa regarding modernization.

      • KCI등재

        공사(公私) 개념의 일본적‘수용문제’ - 서구의 공사 개념과 후쿠자와 유키치 -

        박규태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4 비교일본학 Vol.30 No.-

        본 논문의 목적은 특히 ‘일본적 수용양식’에 주목하면서 후쿠자와 유키치 사상에 있 어 공-사 개념을 규명하는 데에 있다. 외래적인 것에 대한 일본적 수용양식은 일본적 사유와 등치관계에 있다. 본고에서는 이런 등치관계를 일본적 ‘수용문제’로 이해하면서 이때 일본에 있어 외래적인 것의 수용이 항상 현재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자 한다. 일본 근대화의 아버지라 불리는 후쿠자와 유키치에 있어 서구적 공-사 개념의 수용 또한 현재적 관점에서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이때 현대일본사회에서 공공성 담론 이 문제시되는 맥락으로서 본고는 첫째, 일본문화론적 맥락, 둘째, 학문적 담론의 맥락, 셋째, 우경화 현상과 연동하는 ‘사’의 과잉 및 ‘공’의 쇠퇴에 대한 위기의식 등을 들고 있다. 이 점을 염두에 두면서 본고는 서구적 공-사 개념과 일본적 공-사 개념의 특징을 검토한 후 후쿠자와에 있어 공-사 문제를 다루고 있다. 후쿠자와는 나라의 독립을 최우 선시한 국권론자였지만, 공-사 문제에 관한 한 국가(정부)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견지 했다. 예컨대 그의 ‘공-사’ 관념을 가장 잘 보여주는 ‘공지공덕’론은 개인의 내적 자유 즉 ‘사’의 자율성에 대한 주장과 맞물려 있다. 그러나 이처럼 “일본의 역사를 관통하는 상하관계의 공-사 질서를 벗어나 근대 서구문명을 모델로 하는 공-사의 병립구조로 전 환”할 것을 추구한 후쿠자와의 뜻과는 달리, 근대일본에서는 관료를 상위로 하는 새로 운 상하관계구조가 재생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는 공-사 문제의 해명을 위해 보완 적으로 정신분석학적 관점의 도입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다. 오늘날 일본에서는 사적 공간만이 계속 확장되면서 공적 의식은 애매한 채로 남아 있다. 본고는 결론부에서 이 런 현대일본사회를 ‘사적 사회’라고 보면서, 그것이 라캉주의자 맥고완이 말하는 ‘주이 상스 사회’와 공통된 특징을 보여준다는 점에 유념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the notion “public-private” in the thought of Fukuzawa Yukichi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especially paying attention to “the problem of reception in Japan”. In so doing, I will mention the reason why the discourse of “the public” has been questioned in contemporary Japan, in such aspects as not only the discourse on Japanese culture and academism, but also the feeling of crisis about the excess of “the private” and the degeneration of “the public”. Furthermore, the historical process of change in the notion of “public-private” in both the West and Japan will be summarized. Fukuzawa Yukichi, who is often regarded as one of the founders of modern Japan, though thinking that there was nothing more important than national independence, showed a critical attitude toward Meiji government as far as the issue of “public-private” was concerned. For example, his notion of “Kouchikoutoku”(public knowledge and virtue) must be deeply related to the individual inner freedom, that is, the autonomy of “the private”. However, a new vertical structure of Japanese bureaucracy was regenerated despite of Fukuzawa's intention to change the traditional vertical order of “public-private” into a new horizontal order based on the Western model. But nowadays “the private” only tends to be extended probably due to a kind of reaction to “Messi-hoko”(selfless devotion) in Japan. If we can call it a “private society”, it might share the same characteristics with the “society of jouissance” in common, such as the privatization of “the public”, the publicization of “the private”, or the variableness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