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엄사 승가대학의 어제와 오늘

        김광식(Kim, Gwang Sik) 한국불교연구원 2010 佛敎硏究 Vol.33 No.-

        화엄사 승가대학은 조선후기 및 일제하 불교에서 명성을 떨친 화엄사 강원의 역사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그러나 근현대 불교라는 고난의 세월의 속에서 화엄사 및 화엄사 승가대학의 많은 내우외환을 겪었다. 화염사가 자리하고 있는 지리산 권내의 사찰들은 조선후기 교학의 터전이었다. 그러한 바탕하에서 화엄사 강원이 위치하였고, 陳震應이라는 대장백이 이곳에서 교학의 교육을 구현하였다. 그러나 화엄사 강원은 일제말기에 문을 닫고 말았다. 더욱이 1954년부터 10여년간 전개되었던 불교정화운동으로 인하여 화엄사의 강원교육 및 수행 전통은 중단되었다. 화엄사가 안정된 시점은 1970년대 초이었다. 화염문도회의 산파역이었던 김도광이 1969년 11월에 주지로 부임하면서 화엄사는 정상화 되었던 것이다. 화염사 주지에 취임한 김도광은 화염사의 안정을 기하면서도 화염사의 교육 전통을 복구하고 종단 미래를 책임질 인재양성이라는 목표를 구현하기 위해 화엄사 강원을 재개하였다. 이로부터 화엄사 강원, 화엄사 승가대학은 한국 현대불교 교육사의 한 페이지를 열면서 오늘에 이르렀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위와 같은 조선후기 화엄사의 역사와 일제하강원 역사를 유의하면서 화엄사 승가대학의 어제와 오늘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고찰에서는 화엄사 승가대학에 대한 관련자료를 제시하는 방법으로 논지를 전개한다. 이는 화엄사 승가대학의 역사적 성찰, 현실의 분석, 미래 지향, 비판 등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 제공이라는 성격을 갖기 위함이다. Hwaeomsa Buddhist Seminary has taken over the historical tradition of Hwaeomsa classroom that was renowned in the Buddhist world since late Chosun and in the era of Japanese ruling. 1n the suffering period of recent Buddhism, however, Hwaeomsa and its Buddhist Seminary have experienced lots of internal and external troubles. Buddhist temples in the Mt. Jiri area, in which Hwaeoms is located, had been the ground for pariyatti in late Chosun era. Hwaeomsa classroom was situated in such foundation, and the great teacher named Jinwung Jin realized the education of pariyatti in there. Hwaeomsa classroom was forced to close, however,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period. To make matters worse, the education in Hwaeomsa classroom and tradition of ascetic exercise had been suspended by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unfolded for no less than 10 years since 1954. It was early 1970s that Hwaeomsa was stabilized. Hwaeomsa was normalized as Dogwang Kim, who had been assisting the formation of Hwaeom Disciples Association, was appointed as the head priest of Hwaeomsa in Nov, 1969. Dogwang Kim, inaugurated as the head priest of Hwaeomsa, resumed the Hwaeomsa classroom to restore the educational tradition of H waeomsa and to embody the goal of talent cultivation who will take over future responsibility for the religious fraternity. Hwaeomsa classroom and Budclhist Seminary opened a page. of education history of modem Buddhism, which has come up to today, from this tlme on. We would like to look into the yesterday and today of Hwaeomsa Buddhist Seminary in this paper, therefore, keeping Hwaeomsa's lústory of late Chosun and its classroom history under Japanese ruling in mind. The argument in this study has been unfolded with the presentation of relevant data of Hwaeomsa Buddhist Seminary. This is for the provision of basic materials that are necessary for the historical introspection, analysis of reality, future orientation, criticism, and so on of Hwaeomsa Buddhist Seminary.

      • KCI등재

        『화엄사사적(華嚴寺事蹟)』 창건기록의 타당성 분석 - 황룡사를 통한 자장(慈藏)의 영향 가능성을 중심으로

        염중섭(자현) 한국정토학회 2020 정토학연구 Vol.34 No.-

        왜란(倭亂)의 병화(兵火)로 소실된 화엄사는 1630년 중관해안(中觀海眼)에게 『화엄사사적』의 편찬을 요청한다. 이 책은 1636년 완성된다. 그런데 중관(中觀)은 『화엄사사적』의 편찬에서, 당시 화엄사와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들을 매우 혼란스럽게 기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후 ‘창건자인 연기(烟起)의 연대’와 ‘화엄사의 개창(開創) 연대’ 등 다양한 문제들이 파생된다. 그러던 것이 1978년 〈백지묵서화엄경(白紙墨書華嚴經)〉이 발견되면서 창건자와 개창 문제가 일단락된다. 본고는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연기가 8C 황룡사에 존재했던 자장계통의 화엄사상을 전지한 인물임을 밝혀보았다. 이를 통해 『화엄사사적』에서, 화엄사와 관련해 자장이 요청되는 이유를 판단해 볼 수 있게 된다. 또 『화엄사사적』에서 강조되는 도선(道詵)에 대한 측면도 아울러 정리하였다. 이상을 통해, 『화엄사사적』에서 가장 문제 있는 기록인 자장과 도선의 문제가 일정 부분 해소된다. 또 최초로 자장계통의 화엄사상이 8C 황룡사에 존재했다는 점을 제기했다. 이는 의상계통과는 다른 화엄사상에 대한 정리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또 이러한 자장계통과 의상계통이 화엄사에서 시대에 따라 경쟁하고 충돌했다는 점도 밝혀보았다. Restoring the buildings which were burned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in Imjin year, Hwaeomsa Temple asked Junggwan Haean(中觀海眼) to compile Hwaeomsa Sajeok (History of Hwaeomsa) in 1630. This book was completed in 1636. By the way, while compiling the history book, Junggwan recorded diverse stories being told about Hwaeomsa at that time very confusingly. This has resulted in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date of founder Yeongi(烟起),” and “the foundation date of Hwaeomsa Temple.” However, with the discovery of 〈Baekji Mukseo Hwaeomgyeong(白紙墨書華嚴經)〉 in 1978, the issue of the founder and foundation date was ended. Thus, the problem of Jajang and Doseon, which was the most problematic record in Hwaeomsa Sajeok , was partially resolved. In addition, it showed for the first time that the Hwaeom ideology of Jajang line existed in Hwangnyongsa Temple in 8C. This is notable in that it was a comment on the Hwaeom ideology different from Euisang line. It also revealed that these Jajang and Euisang lines had competed and clashed at Hwaeomsa Temple over time.

      • KCI등재

        근현대 화엄사의 사격과 진진응ㆍ이동헌

        김광식 대각사상연구원 2012 大覺思想 Vol.18 No.-

        본 고찰은 화엄사 근현대 역사의 사격을 화엄사 고승인 진진응과 이동헌을 통해서 살펴 본 고찰이다. 한 사찰의 寺格은 역사, 문화, 사상, 경제, 지역사회에서의 위상, 교단내부에서 차지하는 위상 등 다양한 측면에서 검토가 가능하다. 그러나 본 고찰에서 근대기, 현대기 화엄사 역사의 주인공이라고 부를 수 있는 진진응과 이동헌의 생애를 조망하면서 그 단서를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일제하 불교에서 진진응의 생애, 한국 현대불교사에서의 이동헌의 생애를 정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들이 근현대 화엄사 역사의 주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입장에서는 필자는 근대기 화엄사가 30본산에서 누락되었지만 진진응을 중심으로 화엄사 대중 승려들의 단결된 노력으로 본사로 승격된 역사적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후기, 개항기의 화엄사의 역사 및 사격을 재조명해야 한다는 당위를 만나게 되었다. 한편 이동헌은 근대기 고승인 백용성의 상좌로서 용성문도이었다. 그는 백용성 계승, 전법 문제에 지대한 관심, 노력을 기울인 당사자임이 밝혀졌다. 이런 배경에서 1970년부터 지금껏 이동헌의 상좌, 문손들이 화엄사에 주석함으로써 화엄사가 용성문도의 거점 사찰이 되었다. 그러므로 추후에는 고려, 조선시대 화엄사의 역사 및 문화와 이동헌의 문도들이 주석한 이후의 역사 및 문화와의 조화, 계승 문제를 분석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즉 역사계승, 전승, 인식의 문제가 나온 것이다. 본 고찰은 진진응, 이동헌의 연구가 척박한 배경에서 집필되어 적지 않은 한계가 있다. 그리고 진진응, 이동헌 이외의 승려들에 대한 연구도 긴급함이 요청된다. 그러나 본 고찰이 근현대 화엄사 역사, 문화 탐구에 촉매제가 될 것이라 본다. This study examined temple status of post modern history of Hwaeumsa temple through Jin Jin Eung and Lee Dong Heon, high priests of Hwaeumsa temple. Temple status of a temple can be review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history, culture, ideology, economy, status in a local community and status enhanced in the religious order. However, this paper sought its clue by viewing life of Jin Jin Eung and Lee Dong Heon, who are regarded as main characters of history of Hwaeumsa temple in post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In order to carry on the research, the paper summarized and analyzed life of Jin Jin Eung under Buddhism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life of Lee Dong Heon in Korean comtemporary Buddhism history.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se people are the main characters of history of post modern Hwaeumsa temple. In this aspect, this paper confirmed a historical fact that although Hwaeumsa temple in the post modern period has been left out among the 30 grand temples, Hwaeumsa temple has raised its status as a grand temple with solid endeavors of majority high priests of Hwaeumsa temple with Jin Jin Eung being the leader. Therefore, in the enlightenment period of late Choseon, they have encountered a group which insists history and status of temple of Hwaeumsa must be re-examined. On the other hand, Lee Dong Heon was a Yongseongmundo and a monk who was first in line to succeed Baek Yong Seong, a high priest in post modern period. It was discovered that he was the one who had great interests in succession and tactic issues about Baek Yong Seong and put efforts. In such background, followers and disciplines of Lee Dong Heon settled in Hwaeumsa temple since 1970s until nowadays and Hwaeumsa temple became a base temple of Yongseongmundo. Ultimately, history and culture of Hwaeumsa temple in Koryeo and Choseon dynasty as well as history and culture since settlement of followers of Lee Dong Heon and their harmony and succession issues must be analyzed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issues on historical succession, transmission and recognition have emerged. This study encountered more or less restrictions because it was written in a barren background of research on Jin Jin Eung and Lee Dong Heon. Also research on other high priests apart from Jin Jin Eung and Lee Dong Heon is urgently needed. Nevertheless, this study will become a facilitator in research of history and culture of Hwaeumsa temple in the post modern period.

      • KCI등재후보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의 조성기 「施主秩」 분석

        유근자(劉根子) 국립중앙박물관 2021 미술자료 Vol.- No.100

        본 논문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가운데 左尊 노사나불상과 右尊 석가불상의 복장에서 수습한 2점의 불상 조성기인 「施主秩」을 분석한 것으로, 두 자료는 2015년 9월과 2020년 7월의 복장 조사를 통해 나온 것이다. 2015년 9월에 수습한 석가불상의 「施主秩」은 한동안 미공개로 화엄사 성 보박물관에 소장되다가 2020년 7월 노사나불상의 「施主秩」이 발견되면서, 2021년 9월 ‘지리산 대화 엄사’ 특별전을 통해 함께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화엄사 두 불상의 「施主秩」은 17세기에 조성된 불상에 관한 기존 조성기의 일반적인 낱장 또는 두 루마리 형식과 다르게, 線裝 방식으로 假綴된 책자 형식으로 되어 있다. 노사나불상의 「施主秩」은 1 책 19장 38면으로, 석가불상의 「施主秩」은 1책 11장 22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施主秩」의 내용은 불상 조성의 목적, 제작 시기, 奉安 연도 및 奉安處, 尊名, 所任者, 彫刻僧, 施 主 物目, 施主者 등을 담고 있다. 이밖에도 당시 화엄사에 주석하고 있던 승려들까지 수록하고 있는 점에서 「施主秩」은 약 400여 년 전 화엄사의 중창 불사 당시의 상황을 오늘날에 소상하게 알려주는 타임캡슐(time capsule) 같은 것이다. 노사나불상과 석가불상의 「施主秩」 및 노사나불상의 대좌 기록에 의하면, 1634년(인조 12) 3월에 화엄사 비로자나삼신불상을 조성하기 시작해 8월에 완성한 후, 1635년(인조 13) 가을에 대웅전에 봉 안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화엄사 비로자나삼신불상의 제작 시기를 1634년으로 특정할 수 있게 된 점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동안은 中觀 海眼이 1636년(인조 14)에 저술한 『湖南道求禮縣 智異山大華嚴寺事蹟』에 의존해 비로자나삼신불상의 조성 시기를 1636년으로 추정해 왔는데, 이제는 화엄사 비로자나삼신불상의 제작 시기를 1634년으로 특정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화엄사 노사나불상과 석가불상의 「施主秩」은 碧巖 覺性의 역할을 잘 알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 다. 벽암 각성은 1630년에 화엄사 동오층석탑을 중수할 때는 ‘大功德主’였고, 1634년 삼신불상을 조 성할 때도 ‘辦擧事’ 또는 ‘大功德主’였으며, 1653년 영산회 괘불탱을 조성할 때 역시 주도적인 역할을 맡는 등 17세기 화엄사 중창 불사에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화엄사 노사나불상과 석가불상의 「施主秩」은 벽암 각성과 왕실과의 관계를 밝힐 수 있는 자료라 는 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노사나불상과 석가불상의 「施主秩」은 불상의 조성과 관련하여 왕실 인 물인 선조의 아들 義昌君 李珖과 사위 申翊聖, 인조의 아들 昭顯世子 등이 구체적으로 기록된 최초 의 자료이기 때문이다. 화엄사 노사나불상과 석가불상의 「施主秩」은 비로자나삼신불상의 조성 연도, 벽암 각성과 왕실의 관계 및 벽암 각성의 역할 등, 17세기 비로자나삼신불상의 조성에 관한 구체적 정보를 담고 있어 미 술사뿐만 아니라 향후 화엄사의 역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적 가치가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 華嚴寺의 역사와 浮休系전통

        김용태(Kim Yong Tae) 역사문화학회 2009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2 No.1

        본 논문에서는 조선후기 華嚴寺의 역사를 재구성하고 그것을 浮休系의 계파적 전통과 연관시켜 이해하였다. 먼저 壬辰倭亂과 丙子胡亂당시 慈雲處寬등 화엄사 출신의 僧軍활동을 소개하였고, 八道都摠攝을 역임한 碧巖覺性, 桂坡性能의 역할과 위상에 의해 국가 및 왕실의 후원으로 화엄사가 중건되고‘禪敎兩宗大伽藍’의 명칭을 얻게 된 사실을 살펴보았다. 이어 화엄사의 역사 전통을 복원하기 위해 만들어진『華嚴寺事蹟』을 통해 조선후기 화엄사의 역사와 실상을 추적하였고, 서술의 오류와 인식상의 문제점을 시대적 배경과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한편 17세기 전반의 중창 佛事를 통해 화엄사가 부휴계의 주요 근거지로 자리 잡았고 양자의 결연 관계는 19세기의 圓華德柱를 이어 陳震應이 활동한 근대까지 지속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敎學이 성행하였던 湖南불교의 일면을 화엄사 역사에서도 도출해 보았다. 결국 조선후기 화엄사는 부휴계의 정체성을 가지면서 전통을 유지한 호남 지역의 거점 사찰 중 하나였다. In this article, the history of the Hwaeom-sa/華嚴寺temple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is reconstructed,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Buhyu-gyae/浮休系school’s tradition is analyzed as well. First, the actions of the monk soldiers(僧軍) from the Hwaeom-sa temple, such as Ja’wun/慈雲Cheog’wan/處寬, during the war with the Japanese(壬辰倭亂) and the war with the Qing dynasty(丙子胡亂), are examined. Also examined is how the Hwaeom-sa temple was renovated and came to earn the honor of the ‘Great sanctuary for both the Zen and non-Zen Buddhist schools(禪敎兩宗大伽藍)’, with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the royal family that was secured by the instrumental role that was played by Byeogam/碧巖Gakseong/覺性and Gyaepa/桂坡Seongneung/性能, who served as the Supreme overseer of the Buddhist society of all Eight provinces(八道都摠攝). The history of the Hwaeom-sa temple of this period is determined through the 『Hwaeom-sa Sajeok/華嚴寺事蹟(History of the Hwaeom-sa temple)』, which was created to reconstruct the history and tradition of Hwaeom-sa. Especially analyzed are the errors in documentation and issues that seem to have originated from the very perspective behind such documentation. The situations of the time are taken into account. In the meantime, it is confirmed that Hwaeom-sa temple established itself as the base of activities for the Buhyu-gyae school, through the renovation efforts of the temple that underwent in the early half of the 17th century. Also confirmed, i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continued through subsequent periods, which witnessed the actions of the 19th century Buddhist priest Weonhwa/圓華Deog’ju/德柱, and later Jin Jin Eung/陳震應. Also, the facets of the Honam region Buddhism, which saw active pursuit of the Gyohak/敎學studies, are examined in terms of the history of Hwaeom-sa. Hwaeom-sa was one of the major Buddhist temples in the Honam region in this period and maintained the identity of a place for the Buhyu-gyae school and its tradition.

      • KCI등재

        근대 화엄사의 화엄학 전승과 도광·도천 대종사의 화엄행

        석길암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0 南道文化硏究 Vol.0 No.39

        Huayen Thought holds a special position in Korean Buddhism. When Buddhism is divided into Textual teaching(敎) and Seon(禪), Textual teaching(敎) in Korean Buddhism actually means Huayen Scholasticism or Huayen Thought itself. During the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m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modern times, that aspect remained unchanged. In considering this point, this paper aims at tracing the transmission of Huayen Thought in modern times, focused on Seon masters and teaching masters at Hwaumsa Temple. Since Seon masters and teaching mast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generally called the Master of Huayen School, it is inferred that Ven. Wonhwa Deokju, Ven Guemmyeung Bojeong and Ven. Jineung Hyechan who were active based on the Hwaumsa Temple also followed the trend of the times. Specially, Ven Guemmyeung Bojeong was called as the head of the Huayen School. However, the research materials on the characteristics of Huayen lecture in this genealogy or whether there was any consistency in their thoughts are not available now. This paper also deals with the lives and practices of Ven. Dogwang and Ven. Docheon who promoted Hwaumsa Temple as a training temple of Huayen practice and cultivating temple of Seon practitioners. Today, Hwaumsa Temple is succeeding Hwaum Mundohoi(華嚴門徒會) which is the group of fellow practitioners of the lineage of Yongseong-Dongheon- Dogwang and the lineage of Gyeonheo-Suwol-Mukeon-Docheon from 1962. It was Ven. Dogwang and Ven. Docheon who laid the groundwork for Hwaum Mundohoi(華嚴門徒會). As lifetime Dharma friends and practical Bodhisattvas, it can be said that these two masters performed similar Bodhisattva practices and their practices differ little from the practice of Samantabhadra of Huayen. The history of Hwaumsa Temple shows the changes in the Dharma lineage in terms of the subject of outward transmission. However,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practices and intentions of the subject of transmission, it is hard to find fundamental change. For this aspect, it needs to consider the historical influence of the space of Hwaumsa Temple. 화엄사상이 한국불교에서 점하는 위치는 각별하다. 단순히 불교라고 하는 영역의 한 부분을 점하는데 위치상 중요하다는 의미가 아니다. 불교를 크게 교(敎)와 선(禪)으로 나눌 때, 교(敎)라고 하는 것은 한국불교의 경우 사실상 화엄교학 혹은 화엄사상 그 자체 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보아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조선후기에서 근대기를 거쳐 현대에 이르는 한국불교의 변화에 있어서도 이러한 기본적인 틀에 큰 변화가 있었다고 말하기는 힘들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 같은 점을 염두에 두면서 근현대 화엄사에 있어서 화엄사상의 전승을, 화엄사를 근거로 하여 주로 활동하였던 선사들과 강백을 중심으로 기초적인 정리를 시도하였다. 조선후기의 선승과 강백들이 대체로 화엄종주로 불리었음을 상기하면, 근대기에 화엄사를 중심으로 활동하였던 부휴계의 원화덕주 선사와 금명보정 선사 그리고 진응혜찬 역시 그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추정할 뿐이다. 특히 금명보정에게는 화엄종장이라는 칭호가 붙어있다. 그러나 이들의 전승 계보상에서 나타나는 화엄강학의 특징이 무엇인지, 강조한 사상적 양상이 일관되어 있었는지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는 자료는 현존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화엄사를 화엄 보현행의 실천도량이자 수행자를 양성하는 수선(修禪)도량으 로 일구어낸 도광대종사와 도천대종사의 삶과 실천면모에 대해 정리하였다. 오늘날의 화엄사는 69년부터 용성-동헌-도광으로 이어지는 법맥과 경허-수월-묵언-도천으로 이어지는 법맥의 두 법맥이 화합한 문중인 화엄문도회에 의해 계승되고 있다. 이 화엄문 도회의 기초를 일군 것이 바로 도광과 도천의 두 스님이다. 일생의 도반으로서도, 그리고 본분 구현의 실천보살로서도 많은 부분에서 유사한 보살행의 행로를 그리는 두 스님의 실천행은 근본적으로는 화엄의 보현행과 다르지 않다고 판단된다. 근대초기부터 현재에 이르는 화엄사의 역사는 표면적으로는 그 전승주체에 있어서 법맥(法脈) 혹은 강맥(講脈)의 변화가 있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화엄사의 전승주체들의 실천과 지향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근본적인 변화를 말하기는 곤란하다 고 생각된다. 이 점에 있어서는 화엄사의 공간이 담고 있는 역사성의 영향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근대 일본의 화엄사상과 국가

        원영상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77 No.-

        The thought of Avataṃaka (Flower Garland) in modern Japanese history was used to support imperialism and militarism. It is a dark history hidden behind the auspices of Buddhist studies and developed by modern Japanese Buddhism thinkers. This paper elucid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Japanese Buddhism and 20th century nationalis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ought of Avataṃaka. First, this paper organizes the scholarship and activities of the key individuals who supported the state authority through the thought of Avataṃaka. By doing this, we can see that, in modern times, systematic scholarly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thought of Avataṃaka to support and justify imperialism and the invasion of Japan into foreign countries. The concepts that the thought of Avataṃaka was used to support were nationalism based on family, the One Household of the World under the Emperor, and the new world order, which was an ideology that justified an emperor-centered state. Next, this paper examines the degree to which the thought of Avataṃaka was used to support the state authorit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erialism and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First we analyze how the view of the Dharma Realm, as the environmental cause of all phenomena in the thought of Avataṃaka, developed into the Emperor system and the ideology of the national system. As a result, we find that the thought of Avataṃaka was used to provide justification for the universality and absoluteness of the modern state system. We then explore how the thought of Avataṃaka was used 근대 일본의 화엄사상과 국가 / 원영상 351 to support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which served as the leading ideology in ruling colonies as well as in the Japanese expansion of imperialism. This paper specifically examines the Kyoto School of Philosophy, which provided the necessary philosophical insight to support the design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The Kyoto School seemed to play a key role in using the thought of Avatamsaka to defend nationalistic ideology and imperialism. Lastly, this paper explains the limitations for using the thought of Avatamsaka as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Japan’s state theory. It examines how religious ideology and an imperialistic world view were applied excessively to the theory of state policy as well as, in relation with, the limit of social and ethical responses by religion. This paper provides an analysis on the work of Nishita Kitaro, which elucidates this point as well. By doing this, it was revealed that the thought of Avataṃaka based on nationalism, which deviated from the social role as a religion and the spirit of the Mahāāa Buddhism, could not prevent Japan’s eventual collapse. In other words, this study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recover the value of religion. 근대 일본의 화엄사상은 제국주의 및 군국주의를 지원한 負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근대 일본불교가 발전시킨 순수 불교학의 이면에 숨어있는 암흑의역사인 것이다. 본 연구는 이처럼 근대 일본불교와 국가라는 관계를 화엄사상의 측면에서 밝힌 것이다. 먼저 화엄사상에 의해 국가권력을 후원한 주요 인물들의 사상과 행적을 총망라했다. 이를 통해 비록 근대에 화엄사상을 연구하는 전문연구자들이 배출되었음에도 한편으로는, 화엄사상이 일본의 대외 침략에 발맞추어 그 정당성과 국가 체제를 옹호하는 사상으로 변질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의화엄사상이 지지한 개념은 가족국가관, 八紘爲宇, 세계신질서 등으로써 당시천황 중심의 국가를 떠받치던 이념들이었다. 다음으로는 화엄사상과 국가권력 후원의 실체에서는 천황제와 대동아공영권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자에 있어서는 화엄의 法界緣起觀이어떤 식으로 천황제와 이의 이념인 국체의 논리로 전개되어 가고 있는가 하는 점을 파헤친 것이다. 그 결과, 화엄사상은 근대 국가 체제와 그 논리에 보편성과 절대성을 부여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후자에 있어서는 일본의 제국주의적 팽창과 더불어 식민지 지배 이념의 역할을 한 대동아 공영권에 대한 화엄사상의 후원에 대한 것이다. 여기서는 특히 대동아 공영권 구상에 대해 철학적으로 지원한 京都學派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학파는 화엄사상을 매개로 제국주의 철학의 역할을 자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화엄사상에 의한 국가론 전개의 한계를 논하였다. 종교적 관념과 세계관이 무리하게 국가정치론에 적용될 때의 한계와 더불어 이와 연계된종교의 사회 윤리적 대응에 대한 한계를 살펴본 것이다. 이 점이 잘 드러난西田幾多郎의 사상에 대한 분석을 가하였다. 이로부터 대승불교의 정신은 물론 종교 스스로의 사회적 역할로부터 이탈한 국가주의적 화엄사상은 파국을맞이할 수밖에 없음을 파악하였다. 결국, 본 연구는 종교적 가치의 복권을 위한 하나의 시도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근현대 화엄사와 도광·도천 대종사의 불사

        이종수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0 南道文化硏究 Vol.0 No.39

        Hwaeomsa Temple located in Gurye County was established in the Unified Silla period. Since then, it kept its identity as a temple of Hwaeom Order of Buddhism until the Goryeo era.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a disciple of Ven. Buhyu resided in the temple and preserved the academic tradition of combining the doctrine and meditation of Buddhism. In 1911, the Japanese Governor General of Korea classified Hwaeomsa Temple as a branch of Seonamsa Temple. But it was eventually designated as one of the 31 head temples of Korea in 1924 as a result of Hwaeomsa monks’ movement advocating ‘the promotion of the status of Hwaeomsa Temple’. The reason for the rise in status was that Hwaeomsa was a temple that kept the tradition of Ven. Buhyu, unlike Seonamsa Temple. However, due to the controversy over the monk’s marriage in the post-liberation time, the composition of the monks living in Hwaeomsa Temple began to change. Since Ven. Dokwang (1922-1984) took office as the chief priest of Hwaeomsa Temple in 1969, his lifelong colleague Docheon (1922-2011) and the disciples of the two have led the temple. This means that the academic tradition of Ven. Buhyu which had long been kept in the temple since the late Joseon period has collapsed and a new tradition has been established. Therefore, Dokwang and Docheon are considered to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today’s Hwaeomsa Temple. Since then, Hwaeomsa Temple has been led by the disciples of Dokwang and Docheon, who are inheriting the spirits of the two masters. I think it is time to shed new light on the spirit of Dokwang and Docheon’s Buddhist services in order to pursue a new direction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temple. In response, I suggest ‘Practicing Buddhist precepts’, ‘Training and education’, and ‘Protecting temple’ as the three main goals of Dokwang and Docheon’s Buddhist services. Just as Buhyu’s disciples have kept their 300 years of tradition in Hwaeomsa Temple, the disciples of Dokwang and Docheon also need to establish a new tradition of Hwaeomsa Temple, which is oriented toward the new millennium. 구례 화엄사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어 고려시대까지 화엄종 사찰로서 전통이 계승 되었으며, 조선후기에는 부휴계 문도의 사찰로서 선교일치의 강학전통이 이어져왔다. 일제강점기 1911년에 발표한 사찰령에는 화엄사가 선암사의 말사로 분류되었으나, 화 엄사 승려들의 본산 승격운동으로 1924년에 마침내 승격되어 31본사의 하나로 선정되 었다. 당시 본산 승격의 당위성으로 내세운 것이 화엄사는 선암사와 달리 부휴계 전통을 지켜온 사찰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로써 부휴계 사찰로서 화엄사는 본산이 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해방 후 비구-대처 분쟁으로 인해 화엄사 거주 승려들의 문도 구성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고, 1969년 도광道光(1922~1984)이 화엄사 주지로 부임한 이후에는 그 의 평생 도반이었던 도천道川(1922~2011)과 그들의 문도가 중심이 되어 화엄사를 이끌어 왔다. 이는 조선후기 이래 부휴계 문도의 전통이 무너지고 새로운 전통이 세워졌음 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광과 도천은 평생 도반으로서 현대 화엄사 중흥의 기틀을 다졌던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후 화엄사는 도광과 도천의 문도에서 주지를 역임하며 도광·도천의 정신을 계승하 고 있다. 이제 도광·도천의 불사 정신을 재조명함으로써 새로운 방향을 도모할 시기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이에 필자는 도광·도천의 불사 정신으로 계율수지, 인재양성, 가람 수호를 제시하였다. 부휴계가 화엄사에서 300년의 전통을 지켜왔듯이 도광·도천의 문 도는 새천년을 지향하는 화엄사의 전통을 확립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 KCI등재

        구례 지역과 화엄사의 차 문화에 관한 문헌 고찰

        박동춘,이창숙 한국정토학회 2020 정토학연구 Vol.34 No.-

        본 논문은 문헌 연구로 구례 지역과 화엄사의 차 문화에 대해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첫째, 차 문화는 선종 유입과 도당구법승, 왕의 친소 관계 등과 관련되어있다. 따라서 신라에 차를 들여온 계층은 도당구법승으로 선종의 수행법에 관심을 갖고 있던 승려들이 당에서 익힌 좌선법과 함께 차를 들여온 경향이 크다. 하지만 9세기에 이르러서야 왕실 귀족과 승려들 사이에 차가 확산 되었다. 흥덕왕(828)이 지리산에 차 씨를 심게 했다는 기록은 지리산을 차 시배지로 볼 수 있는 자료이다. 둘째, 구례는 차 생산지로서 조선 전기까지는 차를 토공했던 기록이 있으나 16세기 이후에는 주요 생산지역에서 빠져 있다. 셋째, 화엄사 장죽전을 차 시배지와 관련하여 검토할 수 있는 문헌은 연기조사가 화엄사를 세운 최초의 사찰이라는 점이다. 연기조사는 범승으로 법흥왕(544) 때에 화엄사를 창건했다. 이 당시 수행 중에 차를 마시는 것은 중국화 된 불교, 즉 남선종의 수행체계에서 형성된 풍토였다. 신라에 차 문화를 소개한 승려들은 남선종에 관심을 가졌던 도당구법승이다. 차와 수행이 융합된 시기는 혜능선사(638~713)가 소주를 중심으로 설법을 폈던 시기이다. 더구나 북방 사찰에서 수행 중 차를 마시는 것이 허락된 것은 8세기 무렵이다. 법흥왕때 연기조사가 화엄사를 창건하고 동시에 화엄사 부근에 차 씨를 심었다는 점은 이 당시 신라에 차가 소개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화엄사 장죽전을 차나무 시배지로 상정하기란 선종의 유입 시기와 문헌 사료를 고찰해 볼 때 수긍하기 어렵다. 신라에 차를 소개한 계층이 선종의 수행법에 관심을 가졌던 도당구법승이었다는 점에서 볼 때 차나무 시배지로 보기에는 미흡하다. 하지만 구례 지역과 화엄사가 차 문화에 미친 영향은 크며 고려와 조선 전기까지도 그 위상은 공고하다. 화엄사 주변에 산재한 차나무가 어느 시기에 파종되어 군락을 이루고 있는지, 차 문화 발전을 위해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될 필요성이 있다. This thesis is a literature study that examines the tea culture of Gurye(求禮) area and Hwaeomsa(華嚴寺) from three aspects. First, the tea culture is related to the influx of the Zen Buddhism(禪宗), a monk who studied abroad in the Tang Dynasty(唐), and the royal relationship of the king. Therefore, the class that brought tea to Silla was monks who studied abroad in the Tang Dynasty, and monks who were interested in the practice of the Zen buddhism tended to bring the zen method, a ascetic practices method learned in the Tang Dynasty. However, it was not until the 9th century that tea spread to royal nobles and monks. The record that King Heungdeok(828, 興德王) had tea seeds planted on Mt. Jirisan supports the view of Mt. Jiri as a tea Sibaeji(始培地). Second, Gurye is a tea production area, and there is a record of making tea until the early Joseon Dynasty(朝鮮), but after the 16th century, it has been omitted from major production areas. Third, the literature that sees Jangjukjeon(長竹田) at Hwaeomsa as a tea Sibaeji is that it was the first temple that built Hwaeomsa. Hwaeomsa was founded in the time of King Beopheung(544, 法興王) as Yeongi Josa(緣起 祖師) is Beomseung(梵僧). Drinking tea at the time was a ascetic practice culture formed in the Buddhist system of Chineseization, that is, the Namseonjong(南禪宗). The monks who introduced tea culture to Silla were Dodang-gu Beopseung(渡唐求法僧), who had an interest in Namseonjong. The time when tea and a ascetic practices were fused was the time when Huineng Seonsa(638~713, 慧能 禪師) preached a sermon centering on Soju. Moreover, it was around the 8th century that drinking tea during a ascetic practice was allowed in northern temples. It is very likely that no tea was introduced to Silla at that time, as the fact that during the reign of King Beopheung, Yeongi Josa founded Hwaeomsa and planted tea seeds near Hwaeomsa. It is difficult to convince when considering the time of the influx of the Zen Buddhism and the literature and history to assume Jangjukjeon of Hwaeomsa as a tea tree plantation. Considering that the class who introduced tea to Silla was the Dodang-gu beopsang who was interested in the practice of the Zen Buddhism, Hwaeomsa is not enough to be viewed as a tea tree plantation site in that it is a Gyohak(敎學) temple that values Hwaeom(華嚴). However, the influence of the Gurye region and Hwaeomsa on tea culture was significant, and its status was solid even in Goryeo and the early Josenon Dynast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at what time the tea trees scattered around Hwaeomsa were planted and formed a community, and to develop tea culture from various aspects.

      • KCI등재

        화엄사 대웅전 목조비로자나삼신 불좌상에 대한 고찰

        최성은(崔聖銀) 국립중앙박물관 2021 미술자료 Vol.- No.100

        정유재란을 겪으며 全燒된 화엄사는 碧巖覺性(1575∼1660)의 주도 아래 재건이 이루어졌다. 대 웅전에는 목조비로자나삼신불상이 봉안되었는데, 1634년에 완성하여 1635년에 점안·봉안되었 다. 2015년에 석가불상 복장 <시주질>과 노사나불상 대좌 내부 板材에 적힌 <묵서명>이 조사되고, 2020년에 노사나불상의 복장 <시주질>이 조사되어 비로자나삼신불상의 조성에 참여한 청헌, 응원, 인균을 포함한 열여덟 명의 조각승들이 밝혀졌고 宣祖의 아들 의창군 李珖을 비롯한 왕실과 종친, 천명이 넘는 僧俗의 시주자들이 동참한 대규모 불사였음이 알려졌다. 비로자나삼신불상의 본존은 높이 2.76m의 장육불상으로 당시 불교조각에서 널리 유행하던 장신 형의 비례감이 아닌 두부가 크고 어깨가 좁은 古式의 短軀形 비례감을 보인다. 주먹 쥔 왼손을 오른 손으로 감싼 비로자나불의 智拳印과 보관을 쓴 보살형의 노사나불상은 북송대에 고려로 전해진 전 통적인 圖像이며, 석가불상이 결한 독특한 항마촉지인의 형식은 明에서 전래된 經 변상도에 나타난 도상이 불교조각에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화엄사 비로자나삼신불상에서 나타나는 新舊 양식과 도상의 혼재는 화엄사 佛事를 맡았던 조각 승들이 고려시대 불교조각의 귀족적 전통을 계승한 조선초기 불교미술에서 화엄사 삼신불상의 범본 을 구하려했던데서 비롯된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전란으로 소실된 고려시대 비로자나삼신불상의 原 모습에 가깝게 복원되기를 바라는 화엄사 山中大德들의 기대가 불상조성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화엄사 삼신불상의 노사나불상은 고려시대 비로자나삼신불상과 도상 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고려시대의 화엄사에 이와 유사한 도상과 양식의 비로자나삼신불상이 봉 안되어 있었을 가능성을 상정해 볼 수 있다. 만우 휘헌의 『화엄사지』(1924)에 따르면, 화엄사는 고려 왕실의 축성의례를 거행해온 사찰로 여 겨지는데, 이 전통이 조선후기까지 이어져 화엄사 재건 불사에서 새로 조성된 대웅전 비로자나삼신 불상 역시 조선왕실의 축성의례를 위한 예배대상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화엄사 재건에 왕실 과 종친이 시주자로 참여한 점도 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