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정원문화 활성화를 위한 전통주택정원과 현대주택정원 비교 분석

        유윤진 ( Yoonjin Ryu ),조동길 ( Donggil C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5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최근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하, 정원법)」이 지난 7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산림, 정원 산업이 국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정원은 개인의 것이라 할지라도 정원 조성은 넓은 의미에서 지역사회의 환경조성과 직결되고, 개인생활에 있어서 풍부한 정서생활에 커다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인류 문화에 대한 ``가장 오래된 문명의 표현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 중 개인주택정원은 전체 대지에서 주택이 차지하는 비율을 제외한 비건폐지이지만 사람들의 생활과 직결되는 곳으로 주거환경에서는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그 동안의 개인주택정원은개인적 취향에 맞추어 조성되는 것이기는 하나 정원 조성 기준, 방법, 관리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고, 변화하는 시대에 따라 정원유형, 가치 등을 반영한 정원 조성 기법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의 정원이 가지는 공간, 시설물, 식재에 대해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향후 정원이 가지는 가치와 조성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는 전국을 대상으로 전통정원, 현대정원 각 30개소 총 60개소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시설물, 식재, 공간구성에 대해 조사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시설물의 경우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관리시설, 휴식시설, 농업시설, 경관시설 비중이 높아졌으며 경계시설, 이동시설물은 감소하였다. 비율로 분석을 해보면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약 1.5% 시설물 면적이 감소하였으나 전통정원과 비교해 보았을 때 그 비율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설물 종류로 보았을 때 전통정원은 생활양식에 따른 시설물이 주로 나타났으나 현대정원의 경우 활동, 휴식시설물 위주로 조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재의 경우 전통정원은 과실수 위주로 조성을 하였으며 현대정원은 감상, 활동,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식물로 조성을 하였다. 공간구성의 경우 전통정원과 현대정원 모두 바닥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바닥면적은 약 18.2% 감소하였으며, 식재 면적의 경우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약 17.3% 증가하였다. (결론) 정원 문화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활동이 나타날 수 있는 공간구성, 시설물, 식재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 오면서 시설물, 식재, 공간 비율이 활동 위주로 변화된 것을 볼 수 있으며 변화된 양상에 따라 다양한 활동이 나타날 수 있는 정원 조성이 필요하다. 그 중 공간구성은 잔디밭, 텃밭 면적을 높여 휴식 및 휴게 활동, 생산 활동이 적극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하고, 식재는 다양한 경관 형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계절감이 있는 식물을 식재하도록 한다. 또한, 시설물은 벤치, 퍼고라, 그네등 활동이 나타나는 시설물 위주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ackground and objective of this study) The Act on the Construction and Promotion of Arboretums and Gardens was implemented last July, and forest and garden industries have been received the Blue Ocean designation. In spite of the fact that gardens belong to individuals, constructing gardens is directly related to a local society``s environmental development. Further, this activ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stering rich emotions. In fact, it is the oldest expression method of civilization. The garden in a private residence is an open space-the site left after the building site has been excluded; it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s it is directly connected to people``s lives. Although a personal garden is constructed according to an individual``s preferences, there have not been enough researches on standards, methods, and management of garden construction projects. In addition, there are not many construction methods that reflect the value of the garden in a changing society. Therefore, this research presents the value and construction method pertaining to gardens of the future based on an analysis of trends in spaces, facilities, and plantings in existing gardens. (Method) Field research was performed on 60 gardens (i.e., 30 traditional gardens and 30 modern gardens) throughout the nation; accordingly, spaces, facilities, and plantings were analyzed. (Results) In terms of facilities, management facilities, rest facilities agricultural facilities, and scenery facilities were analyzed; it was noted that modern garden facilities have fewer boundaries and transportation options than traditional gardens. In fact, boundaries decreased by 1.5% for modern gardens, although ratios remained almost the same. Traditional gardens usually have facilities for living, whereas modern gardens have facilities for relaxing or engaging in activities. Regarding plantings, traditional gardens contain more fruit trees, whereas modern gardens incorporate more plants for their appreciation value, related activities, and seasonal events. Concerning space composition, both traditional gardens and modern gardens reflect a preference for flooring, though the amount of flooring decreased by 18.2% in modern gardens. However, the size of plantings increased by 17.3%. (Conclusion) Space composition, facilities, and planting methods that allow various activities in a single space need to be developed to promote a garden culture. Regarding space composition, relaxation or orchestration of activities can be encouraged by increasing the size of a lawn or kitchen garden. Concerning planting, trees that can present the changes of seasons should be used to make create sceneries that incorporate benches, pergolas, or swings.

      • KCI등재

        해방 이후 서울 주택 변천의 시기 구분과 특성 - 전형의 형성과 와해를 중심으로

        전봉희,김하나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4 서울학연구 Vol.0 No.95

        이 논문은 해방 후 80년 동안의 서울 주택의 변화를 주택 형식을 중심으로 통시 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20세기 후반 양적 성장을 이 끌었던 전형을 새롭게 정의하고, 해방 이후 서울 주택의 시계열적 변화 과정을 새 로운 주택 형식에 대한 실험과 모색의 시기인 제1기(1945-1970년대초), 새로운 주택의 전형이 완성되고 확산되는 제2기(1970년대-1990년대), 그리고 전형으로 부터의 이탈이 엿보이는 제3기(2000년대 이후)로 시기구분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①주택의 유형 및 형태, ②주택 의 단지화 정도라는 ‘외부 건축 형식’적 측면과 ③주호 평면 구성, ④난방 방식에 의해 결정되는 ‘내부 공간 구성’적 측면들이며, 제2기에 각각 ①판상형 주거동 아 파트, ②단지형 아파트, ③LDK중심형 평면, ④온수바닥난방(온돌)이 전형으로 자리잡은 것으로 파악했다. 이 시기 이러한 전형이 형성된 배경에는 전후의 심각한 주택난을 타개하기 위 한 최소·저렴 주택의 대량 공급, 그리고 새로운 생활양식을 수용하기 위한 주택 형식의 모색이 있다. 경제성 중시, 남향 및 맞바람의 선호, 형평성 중시 풍조 등 의 영향으로 일자 판상형 아파트가 전형이 되었고, 미개발지에 아파트를 대량 공 급하면서 부족한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갖출 수 있는 단지형 아파트가 전형이 되 었다. 난방방식은 온수난방 보급 이후 라디에이터 방식과의 혼용기를 거쳐 결국 전면 바닥난방 방식으로 수렴한다. 온수난방은 LDK의 등장을 가능케 하였고, 전 면 바닥난방화는 LDK의 통합성을 촉진하였다. 다양한 LDK형이 실험되었으나 결국 LDK중심형이 전형이 되는데, 이는 1950년대 단독주택 형식의 공공주택이 거실중심형으로 수렴한 것과 맥을 같이 하며, 결국 대청을 중심으로 양옆에 방이 배치되었던 전통주거 공간의 영향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2000년대 이후의 제3기에는 주상복합의 등장과 법규 및 경관에 대한 의식 변 화 등으로 인해 탑상형 주거동을 비롯해 주거동의 형상이 다양화되면서 일자형 판상형 아파트는 지어지지 않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새로운 주호계획이 시도되 면서 LDK중심형 평면은 전형으로서의 지위는 상실하고 다양한 선택지 중 하나 가 되었다. 한편 온돌, 즉 바닥난방 방식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으며, 아파트 단지 역시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의 설치로 그 기능이 다양화되고 보안시설 강화 등으 로 인해 폐쇄성이 강화되면서도 여전히 유효한 전형으로 지속되고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diachronically examine changes in housing in Seoul over the 80 years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in 1945, focusing on housing types. The model that led quantitative growth in the late 20th century was newly defined, and the sequential change of Seoul’s housing after liberation was categorized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1945-early 1970s) is a period of experimentation and search for new housing types, and the second (1970s–1990s) is when this model was brought to completion and spread. The third period (after the 2000s) is when the diverging approaches were found. This paper primarily deals with both the ‘external architectural aspects’ such as ① the type and shape of the house, and ② the degree of forming complexes, and the ‘composition of internal space’ such as ③ the plan layout of the house, and ④ spatial characteristics deter- mined by the heating method. In the second period, ① flat residential apartments, ② apart- ment complexes, ③ LDK-centered floor plans, and ④ the Ondol heating system using hot water were established as archetypes in the second period. The formation of these models during this period was rooted in the mass supply of mini- mal and low-cost housing to overcome the serious post-war housing crisis and the search for housing style to accommodate new lifestyles. Due to its economic efficiency, preference for south-facing orientation and crosswinds, and emphasis on equity, flat residential apartments have become the norm, and then, apartment complexes could efficiently provide insufficient infrastructure while supplying large quantities of apartments in undeveloped areas. After the spread of hot water heating, the heating method went through a period of coexistence with the radiator method and eventually converged to the full floor heating method. Water heat- ing system led to the emergence of LDK, and full floor heating promoted the integration of LDK. Various LDK types were experimented with, but in the end, the LDK-centered type became the typical model. This is in line with the convergence of single-family public hous- ing in the 1950s into a living room-centered type. Also, the influence of a traditional hous- ing where rooms we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ain hall cannot be overlooked here. In the third period after the 2000s, due to the emergence of residential-commercial com- plexes and changes in laws and the public perception on landscapes, the residential building types, including tower-type residential buildings, diversified, and flat residential apartments were no longer built. At the same time, new housing plans have been tried out, and the LDK-centered plan has lost its status as a norm and has become one of many options. On the other hand, Ondol, or underfloor heating, still persists, and apartment complexes have also diversified their functions by installing various community facilities and bolstered their exclusiveness by adding more security facilities.

      • KCI등재

        일본 농촌주택의 현대화에 의한 평면변화에 관한 연구 -日本 미야시로 사이타마를 중심으로-

        김강섭 한국농촌건축학회 2006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8 No.3

        A house is basic unit of human being living space and it reflects an occupation, family relation, a life style and sense of value of resident. To analyze of modernization process the rural house in Japan diversely and systemat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changing floor plan in house through field studies and residential interviewing about the rural house of Miyashiro, Saitama pref. in Jap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traditional TANOJI type changed into NAKAROUKA and TSUZUKIMA type on modernizing process. Second, Toma is an important space of farmhouse. It is succeeded with the element, which is the possibility of knowing the remnant of traditional element from modern rural house. Third, the cause of changing floor plan is a narrow and small space by growth of children. That is the most factor of changing house deterioration of equipments and necessity of children's space.

      • KCI등재

        독일 집합주택계획의 전개 과정과현대 집합주택유형 사례 연구

        임재헌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3

        The process of German collective housing planning is meaningful in examining comprehensively deploying aspects of planning foundation through defining the ideology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the process of providing housing followed by social changes while rebuilding the country after two World Wars in combination with the population concentration in cities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We outline the characteristics and understand the types of collective housing, and the background of their interaction with urban contexts overlapping social situations and historical processes; by means of the process, the planning and designing typology which is commonly adjusted to contemporary collective housing after examining them could be understood as being aligned with the extension line of interconnecting the process of modern and contemporary era. 독일의 집합주택 계획의 과정은 산업혁명 이후 도시로의 인구집중에 의한 도시화 현상과 더불어 두 차례의 세계대전 이후 국가를 재건하는 과정에서 사회상의 변화와 더불어 주택의 공급을 도모하면서 근현대건축의 이념을 정립하는 방법을 수반하여 계획적 토대를 정립하여 온 전개 양상을 복합적으로 고찰해 보는 데에 그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하여 독일의 현대집합주택 계획의 특징과 유형의 이해, 그리고 이들이 도시적 맥락과 상호작용하게 되는 배경을 사회적 상황과 역사적 과정을 중첩하여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현대 집합주택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계획적 유형을 고찰해 봄으로서 이들이 근현대의 과정을 이어주는 연장선상에 있음을 이해하도록 한다.

      • KCI등재

        한국 현대 주거공간에 반영된 전통성 표현 연구 -1990년대 이후 전통성이 표현된 단독주택공간을 중심으로-

        이영원 ( Youngwon Lee ),윤성호 ( Sungho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4

        (연구배경 및 목적)조형성과 기능을 강조하는 현대 주거건축에 반해 전통 주거건축은 자연과 건축, 건축과 인간이 소통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내·외부의 조화, 사람과 자연의 소통이 이루어졌던 한국 전통주거공간에 주목할 이유이다. 이러한 주거건축에서 전통성의 가치는 1990년대부터 여러 작가들의 작품 활동으로 인해 보다 많은 관심이 일어났다. 전통 주거건축의 가치를 재조명하게 되었고, 그 가치와 특성을 주거공간에 부여함으로써 서구식 주거의 단점을 보완한 현대주거공간을 계획하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전통주거공간의 형태를 그대로 모방하는 것이 아닌 구성 원리와 의도를 이해하고,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계획하는 것이다. 한국인에게 적합한 주거문화 형성을 위하여 현대 주거건축에서의 전통성 표현의 경향과 변화를 파악하고자한다.(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전통의 개념을 알아보고, 주거공간의 일반적 특징을 사회적 배경, 배치, 평면, 입면, 구조, 재료, 환경조절로 나누어 고찰한다. 앞서 고찰한 전통 주거건축의 특징을 바탕으로 전통성이 표현된 현대 주거공간의 사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현대주거공간에 적용되어진 전통주거의 현대적 해석과 적용가치에 대하여 타당성을 부여한다. (결과) 대부분이 마당 중심의 평면으로 마당을 감싸는 형태의 배치를 하고 있으며, 전통주거공간의 채 분화로 이해 할 수 있는 건물매스의 분절과 결합 양상이 많이 나타나 시각의 변화가 다양하게 일어나는 사이공간이 자연스럽게 생겨났다. 또한 내·외부를 연결하는 방식과 동선이 전통요소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현대 주거건축에서는 자연과의 관계를 고려한 공간 구성방식이나 개념적인 측면을 적용하는 시도가 많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현대주거공간에서의 전통성 표현경향과 변화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앞서 고찰한 전통주거공간의 특징을 통해 현대적 의미를 모색하고, 그 해석에 따른 사례지 분석을 하였다. 자연과의 관계를 고려한 전통공간의 구성방식이나 개념적인 측면을 적용하는 시도와 변화는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높이는 주거환경과 전통에 대한 가치회복이라 할 수 있다. 현 시대에 맞게 전통을 재해석하여 우리나라만의 독자적인 미래 주거환경으로 가꾸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Korean traditional residential design ha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architecture and humans. However, contemporary residential design has emphasized more values at form and function. The combin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nature inherent in Korean traditional residential design has led to its ongoing attention from scholars. The reassessment of traditional dwelling designs attracted increased focus from 1990, with a number of new projects and architects who aimed to refocus the value of traditional residential construction. Active discussions have taken place on how contemporary residential spaces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Western housing by providing values and attributes that directly complement the living space. Not imitating Korean traditional structures. Understanding the organization principles and intentions of traditional housing and plans to reinterpret these in a modern style, along with the formation of suitable residential culture for Koreans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within traditional representations of housing today. It also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patterns that evolve according to modern living spaces, and the continuation and transformation of tradition. (Method) This study identifies the features of traditional residential architecture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considers the features of such architecture in terms of background, place, plan, elevation, structure, materials, and environmental control.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residential architecture, we also analyze the case of modern living spaces. (Results) Most of the center plane of the yard which are in the form of arrangement surrounding the yard, appeared a lot of segments, combined with aspects of the building mass that can be understood by differentiation of the traditional residential space while the space between that various changes in time occurring naturally arose. Similarly, copper used to connect the internal to external space on modern housing has been changed by actively introducing traditional elements. Contemporary dwelling projects also emphasize aspects and methods of spatial configuration that consider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architecture. (Conclusion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rends and changes in the traditional compared to contemporary living spaces, and explores modern structures through a prior review by the traditional features of residential spaces, and an analysis of case studies. The changes in housing can be seen to be intended to improve quality of life and recover traditional values.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identity should be reinterpreted to generate indigenous residential environments.

      • KCI등재

        한·중 전통주택 연구를 통한 현대적 주거공간 개발 - 조선시대 상류주택과 명·청시대 `사합원`을 중심으로 -

        윤지영 ( Yoon Ji-young ),매문병 ( Mei Wen-bing ),김수화 ( Kim Sue-hwa ),이곤 ( Lee G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2 No.-

        이 연구는 한·중 간의 전통적 주거 형태를 분석하여, 이를 현대적 주거 공간인 아파트형 주거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운영 법칙을 제시함으로써, 전통문화와 현대적 수요의 융합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응답하고자 한다. 한국의 경우, 조서시대 상류주택의 디자인 특성을 토대로 개방성/폐쇄성, 관입성, 연속성, 가변성, 생태성의 요소들을, 중국은 동시대 전통주택인 사합원의 특성을 토대로 대칭성, 영역성, 방사성, 연속성, 장식성, 생태성의 요소들을 추출하여 현대적 아파트 평면에 적용하는 방안을 개발하였다. 두 나라의 전통적 주택의 원리를 일반화하여 이를 현대적 주거 공간인 아파트형 주택에 응용하는 것은, 전통적인 주거 문화의 계승과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개발의 개념으로서 그 의미가 있으며, 또한 서로 다른 전통적 주거 문화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위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plane and space research of Peking Quadrangle which was the typical type of China`s traditional residence and Han-ok, the upper class dwelling of Seoul, grasping the ideolog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traditional residence,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 inter-community, diversity and mutual relationships of the two countries. By extracting the operating principles and methods of the traditional residence, and by suggesting the design principles which can be applied in contemporary apartment houses, this study shows the direction for both modernization and succession of the traditional housings. Korean apartment is designed based on openness & closeness, spatial continuity, flexibility and ecological application, while Chinese apartment on symmetry of plan, hierarchy, ornament, flexibility and ecological concept different from Korean application. This not only will be an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residential culture, but also supply a desirable example for the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civilization of other regions.

      • KCI등재

        자크 라캉의 '응시' 개념을 통해 본 현대 주택의 건축적 공간 분석에 관한 연구 -라움플랜의 개념을 활용한 주택을 중심으로-

        민세현,장용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라캉의 핵심 이론인 '응시' 개념은 표현과 조형의 영역인 건축과 밀접하게 관계하고 있다. 건축은 외적이고 물리적인 공간으로 분류되어 있으나 주체의 정신분석과 심리의 내적 작용의 결과물임에 틀림없다. 건축은 주체의 심미 구조를 반영하며, 외적 공간으로 지각됨과 동시에 눈에 보이지 않는 내적 공간 혹은 비어있는 것으로도 볼 수 있는데 이는 인간 심리의 '욕망' 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 건축은 인간의 욕망이 집약되고 실현되는 대상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내부에서 일어나는 유동적 공간 체험이 일어나야 하는 현대 건축의 주택 안에서 숨겨진 건축적 체험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베아트리츠 콜로미나는 응시의 개념을 아돌프 로스의 주택에서 증명하고 있음을 검증하기 위해 직접적인 시선을 차단하고 숨겨진 요소들을 짐작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통해 응시를 불러일으킨다는 가정을 설정하였다. 그다음 라움플랜의 개념을 적용한 루이스 바라간, 알바로 시자, 안도 다다오, 카즈요 세지마, 알베르토 캄포 바에자의 각각의 주택 내부 평면 사례를 통해 보이는 것은 기본적인 요소들을 통해 내부의 내밀함으로 '응시' 개념을 설명함으로써 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 분석을 통해 주택의 내밀함은 계단을 통해서 공간이 상하층으로 구분되어 발생하는 엄격한 차단으로 존재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올려다보거나 내려다봄으로써 시각적 관계를 맺고 리비도적 응시가 발생하는 관계를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응시가 주택에서 필요한 이유는 건축적 체험을 통해 사용자에게 또 다른 정서가 발생함을 느끼고 동선을 계획할 때 공간의 위계를 높이며 보이는 공간이 결국 보는 공간이 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전도를 통해 여러 층위의 순환적 인식을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결론) 근본적으로 현대건축에서의 '응시'는 주체로부터 다른 것을 명확하게 분리하는 것으로, 공간적인 측면에서 경계를 무의미하게 만들어 건축의 폭넓은 개념과 표현의 형태로서 나타나야 함을 제시하였다. 현대건축 주택들이 지닌 함의는 자연을 실내 깊숙이 끌어들이고 내부에서 일어나는 유동적 공간 체험을 유도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의 건축적 의미와 연계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2001년 이후 한국 현대주택의 전통주택 공간적 특성 표현 경향에 관한 연구

        장혜영(Jang, Hye-Yeong),김동영(Kim, Dong-Young) 한국주거환경학회 2014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2 No.4

        As the traditionality was required after 2001, the (innumerable) architectural expression(s) has been generated vividly. To apply the spatial traits of Korean traditional house to contemporary domestic architect, this study is aimed for understanding of expression tendency and the traits by elements. Borrowed Scenery Structures :The visual communication appears in common space resulted from windshield glasses and that appears in personal space as well allocating windows. Moreover, the layout is made by the order of correspondence with nature for the active utilization of Borrowed Scenery Structures. Che-Na-Num(divided-mass:Korean’s own style) : As the functions of residence and office added, the Che-Na-Num phenomenon appears more precisely, Each mass is connected with either front yard or inside corridor. Ma-Dang(Korean court yard) : The functions are subdivided and inner-yard-focused layout occurs. And besides, the area is expanded because of the connection with natural matters surrounding the Ma-Dang. That also varies in appearance due to the materials constituted and different height. Furthermore, in urban-Korean-Style Hous, Ma-Dang becomes introvert style and Ma-Dang is remodeled inside-space based on reinterpretation of it. Plan(space) style : The typical type of plan is "ㅁ"style, ‘ㄱ’style, and "ㅡ"style. The outer space is linked through the transfer space and the ma-ru or the corridor comes into a duplex space formed. In addition, a space like Ru-Ma-Ru(an upper floor) is reinterpreted and transformed to a livingroom or a study which are inside spaces. Whereas a folding wall or a variable wall is used, which defines the space flexibility in Korean Traditional Houses. Ma-Ru(Korean floor space): : Toen-Ma-Ru(narrow wooden porch running along the outside of a room) was made to connect inside-outside space and Ru-Ma-Ru(an upper floor) and Dae-Chung-Ma-Ru (the main floored room)was remodeled in the interior space. Generally after 2001, the characteristics of exterior spaces at the Korean Traditional House were made in the interior spa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space were made in the. private space separately. The urban type and the size of site are considered as the reason of the tendency.

      • 現代住宅의 室內裝飾要素로서 民畵活用方案硏究

        최성수 경원전문대학 1997 論文集 Vol.19 No.2

        우리의 생활공간에 서양적 요소가 구석구석 밀고 들어와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인 만큼 이제는 주인이 제자리를 찾아야 한다. 현대 주택의 안방과 거실에는 외국의 판화가 걸려있고 아이들의 방에는 외국의 젊은 연예인과 국내의 톱스타들 패널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메스컴과 메스미디어의 발달에 의하여 우리의 전통적 생활양식은 해체되어 가고 가족간의 의사결정은 "연령에 의한 세대차", "집단 의식간의 세대차", 그리고 "취향에 의한 세대차"가 동시에 발생하여 각 구성원간의 판단기준과 취향이 틀림으로서 가족간의 갈등이 한층 가중되고 있는 것이 작금의 문화 현상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갈등을 "발전을 위한 가설"(단절은 의사소통의 포기로서 매우 위험한 상황)로서 유도하기 위해서는 가족간 생활공간에 대한 선호하는 디자인 스타일과 함께, 연령층의 분석, 가족유형 등에 따라 적절한 장식계획이 이루어져야 하며 가족간의 관계와 가족 생활주기(Family Life Cycle)를 고려한 장식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실내디자이너들의 창작 활동시 벽면을 장식하는 민화나 문양의 채택을 좀 더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려된다. 더불어 그림의 크기 및 액자 크기와 재질 등과 더불어 그림의 화제 및 종류, 색감의 정도 등도 적극 연구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한국의 민화를 회화적 측면의 예술성과 더불어 실용적 생활의 장식품으로 발전시켜 나아가야 할 것이며 실내장식 요소로서 적극 활용되어야 한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끝으로 "예술은 시대와 사회를 비치는 거울이며 충실한 징표"가 분명하며 "주택은 삶을 담는 그릇"이며 "인간은 거주하면서 존재한다. "라는 말들이 있다. 이는 인간은 성장하면서 환경의 영향을 받아 가치관을 형성한다는 의미이다. 유아기 때 주로 생활하는 곳이 가정인 관계로 공간지각과 환경심리가 기본심성으로 형성되어 사회생활을 하면서도 중요한 의사결정의 판단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주택의 장식환경도 단순히 감상과 장식이 아닌 인간의 내면적 심리형성의 중요한 인자로 인식하고 차후 많은 노력과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현대한옥의 집합구성 유형과 모델특성 연구

        손승광,Shon, Seung-Kwang 한국주거학회 2013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4 No.6

        Hanok is Korea's traditional housing, which is build detached unit. Most of the People who live in the environment of residential high-rise apartments likes new residential environment, and pursue eco-friendly homes, health homes, especially traditional Hanok was reassure potential. In urban context, resident think more compact land use in Hanok also, because Hanok is dissatified in compact land use, and it should be build as more economic a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typology which traditional Hanok also can be build higher land use and traditional values as a modern housing type; First of all, clustered Hanok is formed by traditional houses and interior spaces in modern house., and its types are configured by lifestyle of modern and image element of traditional Hanok. This kinds of clustering Hanok can be seen from historical city, but the trends is a minority of the housing type and form. Now, the modern clustering Hanok, even though handful of cases, appears as sustainable housing type, its possibilities as a new housing should be more detailed researches. A elements of Modern cluster Hanok discused in layout, plan, envelopment of house, structure, roofs, and the coordination of the element can be so much dive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