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가정신/벤처/창업/정책 : 메신저시스템 활용을 통한 지식공유가 조직구성원의 혁신행위와 개인성과에 미치는 영향

        백승령 ( Seung Nyoung Baek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5 中小企業硏究 Vol.37 No.4

        오늘날 많은 기업들이 기업 내부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메신저시스템을 활용하고 있지만 조직구성원의 개인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지 않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메신저시스템의 사용이 조직구성원의 네트워크 강화와 조직구성원의 지식공유에 영향을 준다고 주장하거나, 의사소통을 활성화함으로써 팀 성과에 영향을 준다고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메신저시스템의 사용이 성과에 미치는 구체적이고 체계화된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는 충분히 진행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에서 메신저시스템의 사용을 메신저시스템을 활용한 지식공유행위로 정의한 다음, 메신저시스템 활용을 통한 지식공유가 조직구성원의 혁신행위(점진적 혁신, 급진적 혁신)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또한 점진적 혁신행위는 개인성과에 직접효과가 있고, 급진적 혁신행위는 개인성과에 직접효과와 비능률행위를 통한 간접효과가 있다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미국 기업의 조직구성원에 대한 온라인 설문결과, 메신저시스템을 활용한 지식공유가 조직구성원의 혁신행위(점진적 혁신, 급진적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밝혔다. 점진적 혁신행위는 개인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지만, 급진적 혁신행위는 비능률행위의 정도를 증가시키면서 개인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예상과는 달리, 급진적 혁신행위는 개인성과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는 못했다. 이론적 시사점으로, 메신저시스템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이 조직구성원의 지식공유를 향상시키고 혁신행위를 증가시킴으로써 개인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이론을 제시하였다. 실무적으로는 기업의 관리자와 시스템개발자들에게 상대적으로 경제적인 정보통신기술인 메신저시스템이 조직에서 지식공유를 통한 혁신행위와 개인성과를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Although many companies are using Instant Messaging (IM) systems as a corporate communication tool, there still exists some dispute regarding the effect of IM on performance. Existing research suggests that the use of IM helps employees strengthen social network or stimulate knowledge sharing. The other research indicates the role of IM use on team performance by facilitating interpersonal communication. However, less specific and systematic investigation has been conducted on the effect of IM on performance in organizations. Conceptualizing IM use as knowledge sharing via IM,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knowledge sharing via IM use increases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s (incremental innovation and radical innovation).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effect of each innovative behaviors on individual performance. Results from the online survey using employees in various U.S. companies show that knowledge sharing via IM increases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s and incremental innovation facilitates employees’ performance. This study also finds radical innovation has negative influence on individual performance by increasing inefficient behaviors. However, it could not find significant, direct effect of radical innovation on employees’ performanc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esented.

      • KCI등재

        「유사수신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률」에 대한 새로운 이해 - 형사법의 관점에서 금융혁신을 善導하는 금융규제법의 관점으로 -

        한병기 한국금융법학회 2020 金融法硏究 Vol.17 No.2

        After the South Korea’s economical crisis in late 1990’s which triggered drastic social changes, 「Act on the Regulation of Conducting Fund-Raising Business without Permission」 (“The Act”) was enacted in 2000, in order to recklessly ‘punish’ the people who violates this law. This Phenomenon has lead people to think that this Act is just a part of Criminal Law. However, as most of this Act violating cases included ‘Fraudulent Allurement’ (such as Ponzi Scheme), the defendants accused with violating The Act had already been able to be punished according to (common) Criminal Law, making the new Act not so much useful as criminal law. Also considering the fact that Criminal Law should always work as ‘last resort’, punishing ‘all’ the fund raising activities regardless of its diverse aspects is not appropriate. So construing this Act just within Criminal Law perspective does not give profound understanding about unique meaning of this Act. Therefore, true meaning of this Act can be revealed when we speculate this Act in ‘Finance Regulation Law’ perspective. In this perspective, setting reasonable criteria that makes fund raising activity legitimate and making finance innovation feasible become main issue. In this process, the legal system of nowadays P2P Insurance industry and P2P Act which was recently enacted in south korea can be taken into account, as diverse fund raising business model differs from traditional banking system. 1990년대 후반의 금융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탄생한 유사수신행위법은, 유사수신행위를 규제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가장 강력한 형사처벌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 유사수신행위 하면 떠오르는 ‘조희팔 사건’ 등의 피고인들은 모두 형사처벌을 받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사건들은 대부분 ‘아랫돌 빼어 윗돌에 괴는 식’으로 유형의 사업도 하지 않은 채 투자금만을 받거나, 다단계 사기사건(Ponzi Scheme)에 해당하는 등, ‘기망행위’가 개입된 경우로, 어떤 경우보다도 ‘전통적’인 형사법에 의하여서도 충분히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는 행위들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사건들은 실제로 ‘전통적’인 형사법에 의하여 –심지어 유사수신행위법이 정한 형량보다 더 높은 형량으로- 처벌을 받아왔다. 즉 사회의 일반적인 인식에도 불구하고 유사수신행위가 ‘독자적인’ 형사법규정으로서 작동하거나 형벌의 불비를 메꾸는 수단으로 작동한 사례는 매우 드물었던 것이다. 더군다나 유사수신행위에 대하여 일반적인 금융규제의 단계를 생략한 채 이를 바로 형사처벌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형사법의 최후수단성에도 위배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유사수신행위법이 제정된 지 20년이 지난 오늘날에는 금융범죄의 양성화(陽性化)라는 관점에서, 유사수신행위법을 기존의 연구처럼 단순히 ‘형사법’의 일부로서 이해할 것이 아니라 유사수신행위 중 금융거래법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을 추려내어, 이를 합법적으로 규제하는 ‘금융규제법’으로서 이해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금융시장 및 금융업과 관련된 기술이 발전할수록 수신업(受信業)의 양태, 투자의 규모, 참여하는 투자자의 숫자 등이 모두 다양해질 수 있는데, 이처럼 새로운 형태의 수신업까지도 전통적인 수신업과 동일한 기준으로 규제하려는 -‘개인법과 단체법의 준별론’이라는 전통적인 상사법이론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되는- 현행법의 구조는, 불필요한 과잉규제로 인하여 금융혁신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전제로서 유사수신행위법 위반의 구성요건인 ‘불특정 다수인’에 대한 현재 대법원의 지나친 확장해석은 입법을 통하여 시정되어야 한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유사수신행위법이, 금융혁신을 ‘올바르게 이끄는(善導하는) 금융규제법’으로서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입법론으로서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유사수신행위 중에서 보호가치가 있는 금융거래행위를 선정하는 기준으로서 해외의 P2P보험 산업의 사례나, 최근 국회를 통과한 온라인투자법 등을 참조할 수 있음을 밝혔다. 결과적으로 금융규제법으로서 유사수신행위법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①‘소규모의 불특정 다수인’ 투자자를 상대로 ②‘기술혁신에 기반한 금융업’을 영위하여, 그 결과 비교적 자기책임의 원칙이 강하게 작동할 수 있는 경우라면, 일정한 등록요건을 제시하여 이를 충족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사업을 합법적인 틀 내로 포섭하고, 금융업자로 등록하도록 하여 금융감독기관의 금융업자에 대한 적극적인 감독을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 등록요건을 규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적법한 금융업자로 등록하도록 유사수신행위법이 총론적(總論的)인 금융규제법으로서 사업자자격의 새로운 기준을 자체적으로 제시하거나, Small Licensing 제도를 도입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이러한 입법 ...

      • KCI등재

        혁신역량과 혁신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해외시장진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이영득 ( Youngdeuk Lee ),강명수 ( Myungsoo Kang ),김병재 ( Byoungjai Kim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7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 진출한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혁신성공요인과 혁신성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영자, 조직, 종업원 차원의 요인과 관련하여 리더십, 운영시스템, 변화주도행위를 혁신역량에의 영향 변수로 설정하였으며 혁신역량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연구를 통해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혁신역량에의 영향요인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본국과 해외진출국가 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았다. 실증 분석 결과 혁신영향요인 모두 혁신역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혁신역량은 혁신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영향력의 정도에 있어서는 운영시스템, 리더십, 변화주도행위의 순으로 나타났다. 국가간 차이에 있어서는 중국의 경우 운영시스템, 리더십, 변화주도행위의 순이나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는 운영시스템과 리더십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종업원의 개별적 변화주도행위는 혁신역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해외 진출 기업에게 있어서는 현지 특성에 맞는 혁신역량 강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과 한국의 경우 보다 고도화된 혁신역량 및 혁신성과의 창출을 위해서 종업원 개인의 변화주도행위를 이끌어 내도록 하는 추가적인 활동이 요구됨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innovation capability and innovation performance of midsize company entering overseas market. More specifically, in terms of managerial, organizational, and employee - level factors, we set leadership, operating system, and taking charge at work as variables influencing innovation capability and tri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innovation capability on innovation performance through empirical studie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factors on innovation capability and the effect on innovation performance in the home country and overseas countrie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all of the influence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novation capability and the innovation cap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The degree of influence was in the order of operating system, leadership and taking charge at work. In China,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rder of operating system, leadership and taking charge at work. In the case of Korea, operating system and leadership have a positive effect, but the employee`s taking charge at work does not affect innovation cap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nhance innovation capability in accordance with local characteristics. In Korea, there are additional activities to induce employee`s taking charge at work is required for improved innovation capability and innovation performance.

      • KCI등재

        디지털 전환에 의한 서비스 혁신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 항공산업 디지털 전환 사례를 중심으로 -

        조호현 한국항공경영학회 2022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0 No.1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igital transformation of companies is accelerating regardless of industry. A new business approach is required to provide innovative customer value, innovates processes, and create new markets and customer needs while rapidly applying digital technology in each industry. This study focuses on theoretical reconsideration of service innovation mechanism by digital transformation from a new perspective. To this end, while examining the existing concepts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service innovation, the service innovation mechanisms by digital transformation is reconstr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service-dominant logic and social materialism. The frequent flyer programs of airlines before the era of full-scale digital transformation are explained as evolutionay process of service assemblage based on the actor-network theory and assemblage theory, while innovative service cases following the recent digital transformation of airlines are explained by the process of digital platform, actor engagement and resource integration. Since digital transformation is pursuing a chang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service innovation as a process of value co-creation in the service ecosystem from the viewpoint of service-dominant logic and social materialism rather than the traditional technological deterministic viewpoint. In order to capture the nature of service innovation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innovation framework and process characterized by various actor engagements, changes in their interaction methods, and the results of their emergent resource integration in the service ecosystem, including non-human agency beyond the exisitng anthropoentrism. It would be meaningful to consider innovative service by digital transformation, which airlines have recently introduced competitively, as a process of maximizing customer experience and efficiency of service operation through redesign of human/ non-human interaction around innovative service, that is, digital service platform rather than viewing it as technological result of digitization. Furthermore, understanding the evolutionary process of the formation and dissolution of service assemblage, such as the the combination and separation of other actors ror services in the service ecosystem will give insight into the direction of value creation and innovation of the aviation industry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업종을 불문하고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각 산업분야에서 디지털 기술을 빠르게 적용하는 한편, 혁신적인 고객가치를 제공하고 프로세스를 혁신하며새로운 시장과 고객 니즈를 창출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접근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전환에 의한 서비스 혁신 메커니즘을 새로운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재검토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이를위하여 디지털 전환과 서비스 혁신에 관한 기존 개념들을 검토하는 동시에 디지털 전환에 의한 서비스 혁신 메커니즘을 서비스 지배논리와 사회유물론적 관점에서 재구성한다. 본격적 디지털 전환 시대이전 항공사들의 상용고객프로그램을 행위자-네트워크 이론 및 아상블라주 이론에 입각하여 서비스아상블라주 진화과정으로 설명하는 한편, 최근 항공사들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혁신적 서비스 사례를디지털 플랫폼, 행위자 참여 및 자원통합 과정이라는 디지털 서비스 혁신 메커니즘으로 설명한다. 디지털 전환은 기존과는 차원이 다른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므로 서비스 혁신을 기존의 기술결정론적 관점보다는 서비스 지배논리 및 사회유물론적 관점의 서비스 생태계의 가치 공동창조 과정으로 이해할필요가 있다. 디지털 전환 시대에서의 서비스 혁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존 인간중심주의를 뛰어넘는 비인간 행위자의 행위능력을 포함하는 서비스 생태계의 다양한 행위자 참여와 이들의 상호작용 방식의 변화, 그리고 이들의 창발적 자원통합의 결과에 의한 혁신 체계 및 과정에 주목해야 한다. 최근 항공사들이 경쟁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디지털 전환에 의한 혁신적 서비스는 디지털화의 기술적 결과물로 보기보다는 혁신적 서비스 중심의 인간/비인간 행위자 상호작용의 재설계, 즉 디지털 서비스 플랫폼을 통한 고객 경험의 극대화 및 서비스 운영의 효율화 과정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나아가 서비스 생태계에서의 다른 행위자 또는 서비스와의 결합 및 분리 등 서비스 아상블라주의 형성과해체의 진화과정으로 이해하는 것이 디지털 전환 시대에서 항공업계의 가치창조 및 혁신 방향에 대한통찰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행위자기반모형(Agent Based Modeling)을 활용한 혁신학교의 지속 요인 분석

        권순형(Kwon Soonhyong),허주(Hur 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이 연구는 행위자기반모형(Agent Based Modeling)을 활용하여 혁신학교의 지속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으며, 혁신학교의 지속성은 혁신학교 철학과 관점을 공유하는 교원이 중요하다는 판단 아래, 어떠한 정책적 조건이 갖추어진 경우에 교원이 혁신학교를 선택하는가를 분석하였다. 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Model of school choice with information asymmetries’ Netlogo 6.1.1의 행위자기반모형 코드를 활용하여 ‘교원전보 행위자기반모형’을 개발하였고, 총 24가지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산출하였다. 결과 산출된 24가지의 시뮬레이션 결과 중에서 세 개의 시나리오 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혁신학교의 양적인 증가 및 관련한 정책적 유인가는 혁신학교의 지속에 긍정적 영향을 주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속성의 핵심적인 요인으로 교원이 가진 필요 충족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교원의 혁신학교 선택과 혁신학교의 지속을 위해서는 교원이 갖는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혁신학교의 지속을 위해 보다 중⋅장기적 관점에서 학교 구성원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의 검토가 필요함을 논의하였으며, 교육학 분야에서의 행위자기반모형 활용에 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analyze factors of Innovation Schools’ sustainability through Agent Based Modeling (ABM). Specifically, focusing on findings from previous research that sharing value of Innovation School among teachers is on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sustaining, this study investigated on what policy conditions motivate teachers to choose Innovation School. Methods ABM was programed based on ‘Model of school choice information asymmetries’, entitled ‘Teacher-Transfer ABM Netlogo 6.1.4’, and a total of 24 scenario simulations were analyzed with different policy variables. Results Among 24 analyzed scenarios, scenario 3 is reported in detail, which showed that increasing number nor expanding valence of Innovation Schools do not have positive affect in attracting teachers to the Innovation Schools. The results, however, showed, that fulfilling teachers’ need increase the number teachers who choose Innovation School as well as teachers’ innovative valu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olicies regarding Innovation School need to consider school members’ need in a more long-term perspective in order to enhance sustainability of the Innovation Schools. In addition, ABM could be applied to educational research.

      • 팔로워십이 혁신행위에 미치는 영향 : LMX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이치우,문계완,정연준 한국인사관리학회 2011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1 No.1

        혁신행위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팔로워십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간과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팔로워십이 혁신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리더와 팔로워의 교환관계(LMX)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국내 대기업, 중소기업, 공기업에 근무하는 종업원 246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팔로워십은 혁신행위에 34.9%의 설명력으로 혁신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리더와 팔로워의 교환관계(LMX)는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추가적으로 팔로워십의 특성을 구분하여 조절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리더와 팔로워의 교환관계(LMX)는 독립·비판적인 사고가 혁신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부정적으로 조절하였고 능동적인 참여가 혁신행위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의의와 실무적 의의를 제시하였다.

      • 직무자율성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위에 미치는 효과 분석 : 혁신성의 조절적 영향

        편집부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9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09 No.2

        본 연구는 매개적 조절모형(mediated moderation model)을 사용하여, 직무자율성(job autonomy)이 조직몰입(organizational commitment)과 조직시민행위(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기업 혁신성의 조절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직무자율성과 기업 혁신성의 상호작용(interaction)이조직시민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몰입이 매개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매개적 조절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2008년에 실시된 [근로자들의 태도와 행위를 위한 설문조사]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한 기업의 혁신성이직무자율성과 조직몰입, 직무자율성과 조직시민행위 사이의 관계에 조절적 영향을미쳤다. 즉, 직무자율성은 보다 혁신적인 기업에서 개별 근로자들의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위를 더욱 향상시켰다. 또한, 본 연구는 조직몰입이 이러한 직무자율성과혁신성 사이의 조직시민행위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를 매개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지금까지 직무자율성이 근로자 개개인의 태도와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기업 상황적 요인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결과들은 직무자율성과 근로자들의 태도와 행위 사이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요인들을 연구하는데 기여를 할 수 있다. Using the mediated moderation model, this study investigates a moderating role of innova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autonom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between job autonom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also examines a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findings of this paper show that innovation moder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autonom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between job autonom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is, job autonomy improves much mor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individual employees in more innovative companies than in less innovative companies. Furthermore, the result reveals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s the interaction effect of job autonomy and innovation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Given that there has been few empirical studies that focused on contextual factors that moderate the effects of job autonomy on individual employees' attitudes, this study contributes to knowledge on the organizational context in which job autonomy are more effective.

      • KCI우수등재

        사회혁신 담론에서 행위자 개념에 관한 고찰

        미우라 히로키(Hiroki Miura) 한국정치학회 2013 한국정치학회보 Vol.47 No.5

        본 연구는 사회혁신의 여러 측면 중 혁신을 주도하는 행위자의 개념화에 대해 논의한다. 특히 국내외 사례연구나 프로그램에서 최근 특정한 개인 행위자를 나타내는 유사한 개념이 난립하고 있다는 점을 착안하여 각 개념의 정의 방식이나 초점을 비교하는 방법을 통해 행위자 개념의 본질에 접근한다. 주요 담론의 동향을 살펴본 결과 1) 규범성을 강조한 개념화, 2) 조직적 기능 수행을 강조한 개념화, 3) 개인 수준의 내부적 차별성을 강조한 개념화로 각종 개념을 분류할 수 있음을 지적한다. 특히 차별화 방식에 의한 개념화는 각종 행위자의 모집단 규모에 따라 유사 개념을 구별하여 이로 인해 생긴 기능적 역할분담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는 사회혁신 과정에 개입하는 각종 개인 행위자의 사회생태계적 분류가 가능함을 시사한다. 이 관점은 사회혁신의 역동적 측면이나 행위자의 기획력을 심도 있게 이해하는데 있어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discusses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various conceptions and models of agency in the social innovation theory. As a result of worldwide spread of an idea and practice of social innovation, the academic discourse concerning this relatively new phenomena has been over flooded with superficially similar but fundamentally different images and definitions of change agent including social entrepreneur, changemaker, civic leader and so on. This conceptual congestion seems to impede a proper understanding and theorization of social innovation. By reviewing the important case studies and programmes that respectively advocate a particular conception, this study suggests an social ecosystemic perspective for effectively classifying those relevant conceptions, which can also provide an effective intellectual framework to understand the internally dynamic process of social innovation and the projective capability of change agent.

      • KCI등재후보

        노사관계와 혁신적 인사제도의 도입

        노용진(Yongjin Nho)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06 産業關係硏究 Vol.16 No.1

        본 연구는 노사관계의 성격이 혁신적 인사제도 도입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탐색과제로 노동조합의 존재가 혁신적 인사제도의 도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정하고, 기본 가설들로 ① 노사관계가 우호적일수록 혁신적 인사제도의 도입 가능성이 높고, ② 노동조합의 힘이 혁신적 인사제도의 도입에 역U자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등두 가지를 설정하였다. 혁신적 인사제도는 크게 작업조직의 변화, 숙련관리의 변화, 행위관리의 변화 등 세 가지의 구성요소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노동조합의 성격이 혁신적 인사제도에 일정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우선 노동조합의 존재는 작업조직의 혁신과 숙련관리의 혁신, 그리고 전체적으로 혁신적 인사제도의 도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이는 작업조직과 숙련관리의 혁신이 행위관리의 혁신보다 노사관계의 영향을 더 적게 받고 있음을 함축한다. 동시에 노사관계의 우호성 수준은 작업조직의 변화와 행위관리의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고, 노동조합의 힘이 중위 수준에 있을 때 숙련관리의 변화와 행위관리의 변화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empirically how much industrial relations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 adoption of innova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This study set as an explorative task what effect the existence of unions have on the adoption of innova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set two hypotheses: (1) good labor-management relationships will have positive effects on its adoption, and (2) bargaining power of unions have inverted U-shaped associations with its adoption. The innova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is classified into three components of work organization, skill management and behavior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ndustrial relations characteristics have gener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adoption of innova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First, the existence of union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adoption of innovative work organizations, skill management, and HRM in all. This result indicate that work organization and skill management are less influenced than behavior management by the existence of unions. Second, good labor-management relationships have positive effects on innovative work organizations, behavior management, and HRM in all. Finally, bargaining power of unions have inverted U-shaped relations with skill management, behavior management, and HRM in all.

      • KCI등재

        혁신교육 동향에 기초한 마을교육공동체 주요 특성 탐색 - 혁신교육 3.0을 중심으로 -

        임재일(Lim, Jae-ill),복건수(Bok, Keon-soo)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혁신교육 3.0을 중심으로 한 혁신교육 동향에 기초하여 마을교육공동체가 어떠한 주요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혁신교육 정책은 어떠한 전개 양상과 특성을 가지며 진화하였는가?’ 둘째, ‘혁신교육 기반 마을교육공동체의 개념과 특성은 무엇이며, 그 특성은 혁신교육 3.0의 맥락에서 어떻게 규정될 수 있는가?’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시・도교육청에서는 혁신교육을 혁신학교-혁신교육지구-마을교육공동체로 연계・확장하고 있었고, 1.0, 2.0, 3.0 등과 같은 구분을 통해 진화된 변곡점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에 대한 혁신교육 특성으로는 ‘운동성’, ‘지역성’, ‘확장성’, ‘공동체성’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마을교육공동체는 학생들의 온전한 성장을 위해 온 마을의 협력이 필요하고, 교육주체 간 연계와 참여를 통해 운영되는 교육거버넌스를 구동 모델로 개념을 정리하였다. 마을교육공동체의 특성으로는 ‘학생 중심’, ‘지역 교육력’, ‘단수가 아닌 복수주체’, ‘교육생태계’ 등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혁신교육 3.0에 기반한 마을교육공동체 주요 특성은 ‘학생 주도성’, ‘지역 행위주체성’, ‘생태전환교육’ 등을 논의하였고, 코로나19 및 기후위기 등 재난의 일상화를 대비하고 불확실한 미래교육을 조응할 수 있는 마을교육공동체 특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the innovation education trends focusing on the innovation education 3.0.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 First, ‘In what development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novation education policies have evolved? Second, ‘What are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the innovation education, and how can the characteristics be defined within the context of the innovation education 3.0?’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major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were linking and expanding the innovation education to the innovation school,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and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Moreover, the offices presented inflection points of evolution classifications such as 1.0, 2.0, and 3.0.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novation education, ‘movement’, ‘locality’, ‘expansiveness’, and ‘community’ were explored. In addition,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requires cooperation from the entire village for the full growth of the students, and the concept of educational governance is summarized as a driving model, operated by participation and connection between educational subjects. As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student-centered , ‘local educational capacity’, ‘multiple subjects, not singular , and ‘education ecosystem were derived. In light of the research result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the innovation education 3.0 were ‘student agency’, ‘local agency , and ‘ecology transformation education , and discussed it to prepare for the accepting disaster in daily life such as Covid-19 pandemic and fit with uncertain futur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