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핸드레일조명을 활용한 보행환경 조도에 관한 연구

        이도훈,이은영,이돈일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5

        (Background and Purpose) During the period of early civilization, humans developed the ability to make fire. Even today, the era of the LED, lighting continues to positively influence our lives, However, even the lighting effects us in a gpositive way, we are currently facing a problem in the form of the light pollution. Given that artificial lighting is a major cause of light pollution, it is imperative to consider the proposed pedestrian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the appropriate lighting requirements. This study suggests a safe, comfortable environment and level of the illumination using handrail lighting for the pedestrians. (Method) Accordingly, it distinguishes suitable lighting methods for the walking path by simulating the results of various installation methods in the handrail lighting environment. It also proposes appropriate product performance and installation methods and level of illumination that can be utilized for future reference for the implementation of handrail lighting conditions. In this backdrop, this study focuses on the spatial scope of the night pedestrian path using handrail lighting. In addition, it proposes suitable LED lighting performance proposals and optimized pedestrian illumination and walking environment proposals using Relux, a lighting simulation program. (Results) First, the optimized specification could be confirmed through handrail lighting for pedestrians in walking envrionment. Through the vertical plan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most suitable light distribution was 60 degrees and the irradiation angle was 35 degrees. Second, in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one-way and central survey handrail types were found to be most suitable for the pedestrians. The horizontal illumination criterion was fulfilled at a distance of 1m between the lights. In the case of the bidirectional cross handrail lighting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it is suitable for commercial areas at the distance of 2m.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vertical pedestrian illumination of 5 ~ 10lx was satisfied even in the handrail lighting environment. Although the height of the lighting was as low as 1m, it was confirmed that the vertical illumination of 1.5m height satisfies the criterion. (Conclusions) This study focuses on illumination using handrail lighting in pedestrian paths and defines the basic specifications of lighting to prevent light pollution. In addition, the types of handrails and lighting intervals satisfying horizontal illumination were specified, and simulations confirmed that the vertical illumination of pedestrians could be fulfilled through handrail lighting. These findings could be considered as guidelines for future use of handrail lighting. (연구배경 및 목적) 인류가 문명의 시기로 접어들기 시작하면서 접하게 되는 것이 불빛이었고 오늘날에 LED조명의 시대에 이르게 되기까지 많은 발전을 해왔으며, 현재는 빛 공해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시점에 이르렀다. 이러한 인공적인 조명으로 인해 빛공해에 대한 다양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보행자 환경에 따른 적합한 조명의 제안과 보행환경에 대한 제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행환경에서 핸드레일조명을 활용한 안전하고 편안한 환경과 그에 따른 조도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보행환경별 적합한 조명방식을 구분하고 그 중 핸드레일조명 환경에서의 다양한 설치방법에 따른 결과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안점은 도시환경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인 핸드레일조명이 야간 이용 보행자에게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연구자가 설계한 실험 및 시뮬레이션 도구를 통해 보행자에게 최적화된 조명, 조도환경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범위는 보행공간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인 핸드레일조명을 활용한 야간보행로를 공간적 범위로 하고, 적합한 LED조명 성능 제안과, 조명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Relux를 활용하여 최적화된 보행자 조도환경 및 보행환경 제안을 내용적 범위로 하였다. (결과) 이를 통해 얻어지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행환경에서의 핸드레일조명으로 최적화된 배광 사양이 60°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주거·상업지역에서 편방향 및 중앙조사형의 핸드레일 유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핸드레일조명 환경에서도 보행자 연직면조도 5~10lx를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보행환경에서의 핸드레일조명을 활용한 조도에 관한 연구로 빛공해 방지를 위한 조명의 기본사양을 정의하고 수평면조도를 만족시키는 핸드레일의 유형과 조명간격을 규정하였으며, 핸드레일조명을 통해 보행자의 연직면조도를 만족시킬 수 있음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핸드레일조명 설계 및 사용에 지침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해양플랫폼 알루미늄 핸드레일 적용을 위한 소켓 구조강도 평가법

        김연호,박주신,서정관 해양환경안전학회 202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8 No.2

        The aluminum handrails used for promoting structural strength and weight reduction of the topside in an offshore platform are designed according to international standards (ISO, NORSOK , and Austria Standard), and consider the most conservative load combinations. Existing aluminum handrails are bolted to a socket when installed on the topside of a platform, and the amount of deflection of the handrail is largely influenced by the socket design. However, the importance of socket design has been overlooked, and furthermore, separate evaluation procedures or guidance for socket design are ambiguous. Therefore, a series analysis was performed for estimating the structural strength of aluminum handrails to obtain the governing parameters that minimize their deflection against loads. Experimental verification was performed to validate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new model, and we confirmed that all were satisfied within allowable deflection according to international standards. The developed model could be used in several areas in the future as it is lighter and more productive compared to existing models from overseas makers. 해양플랜트 상구구조물의 중량 절감을 위한 알루미늄 핸드레일 적용을 위하여, 소재의 항복강도 향상 및 관련 국제기준에 부합한 강도평가를 통하여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에 해양프로젝트에 설치된 알루미늄 핸드레일은 플랫폼에 설치 시 소켓에 볼트 연결되며, 소켓의 설계 정도에 따라서 핸드레일 처짐 량이 크게 좌우된다. 그러나 국제기준에서는 소켓에 대한 중요성 언급이 없으며, 별도의 평가 절차나 기준도 모호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핸드레일 소켓 설계 시 고려해야 하는 주요 인자들에 대한 강도 해석을 수행하고, 최적의 치수를 도출하였다. 개발모델의 구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실험을 통한 검증을 수행하였고, 국제기준에서 요구하는 허용 처짐 이내에서 모두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국산화 모델은 기존 외국 제조사와 비교하여 가볍고, 생산성이 향상되어 향후 많은 분야에서 사용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