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지형학 연구 -해안지형 일반-

        김성환 ( Sung Hwan Kim ) 한국지형학회 2012 한국지형학회지 Vol.1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한국의 지형학 연구에서 해안지형 일반주제에 대한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한국지형학회가 창립된 1990년대를 기준으로 전·후 기간을 구분하여 해안지형 일반 연구 경향을 파악하였다. 이 연구에서 해안지형 일반 연구 주제는 간석지와 해안단구를 제외한 해안지형 전반을 가리킨다. 1990년대 이후의 연구 경향은 총 5개 한국의 지리학 관련 학회지에 발표된 연구의 양적 성과와 주제별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해안지형 연구와 관련한 방법론적 측면을 지형변화 측정과 퇴적물 분석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해안지형 연구는 다른 지형학 연구 분야와 마찬가지로 1970년대를 전후하여 시작되었으며, 1990년대 이후 타 지형학 분야의 연구가 확대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활성화되었지만, 해안지형 일반 주제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에 이르러서야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해안지형 일반 주제에 대한 연구는 해안사구에 대한 연구와 해안 관리와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것은 해안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대두와 관련이 깊으며 추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해안지형 연구와 관련한 방법론 정리에서는 지형학계가 극복해야할 한계점을 검토하였다. 지형변화와 퇴적물 분석 측면 모두에서 형태동역학적인 연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방법론을 개선해야 하는 것이 주요 과제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research trends and issues of coastal geomorphology in general of Korea, which is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former and later periods of 1990s when The Korean Geomorphological Society was established. In this study, coastal geomorphology in general refers to the landforms except tidal flats and coastal terraces.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5 major geography journals since 1990s were computed and these paper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main subjects. The methodology for coastal landform study was analyzed by sub-fields of landform change and sediment analysis. The study of coastal geomorphology in Korea started from around 1970s and has progressed significantly in terms of the scope and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since 1990s. There is few paper published in 1990s on coastal geomorphology in general, but so many research has achieved and came to be the major part of coastal geomorphology study since 2000s. Further methodology is necessary for morphodynamics study in the future.

      • KCI등재

        海岸浸蝕에 대한 風水論의 四神砂的觀點

        장정환(Jeong Hwan Ja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9 문화 역사 지리 Vol.21 No.2

        최근 급격한 기후환경변화는 인간과 자연지형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례로 정부의 해안침식에 대한 보고자료를 보면 동해와 남, 서해안을 가리지 않고 해안지형의 침식현상은 매우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防止對策또한 다양한 方法과 工法의 활용으로 海岸浸蝕에 대처해오고 있다. 해안지형의 변화는 대부분 해양성 機構에 의해 진행되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해안지형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달하게 된다. 해안지형은 여러 地形變化因子들의 複合的인 영향과 相互作用으로 浸蝕과 堆積地形으로 대별되는 지형을 형성해 나간다. 이러한 해안지형의 침식과 퇴적지형의 급격한 변화현상에 대한 연구는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이에 대한 피해대책과 해안지형의 보호를 위한 노력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논문은 전통의 지리학인 風水􆧥에서의 形勢􆧥을 이용하여 최근 문제되고 있는 해안 沙濱浸蝕에 대한 현상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Recent sudden change of climatic environment seems to have an influence on human life and natural topography heavily. For an instance, a governmental report on coastal erosion shows that serious erosion is taking place along the three seaboards of Korean peninsular. Various kinds of methods and engineering techniques are adopted to prevent it. Coastal landforms is mostly changed by oceanic structure. Through these series of processes, it is changing and developing constantly. Compound affects and interaction of all kinds of topographical factors form both of erosional and sedimentary topography. Studies on this coastal erosion and rapid change of sedimentary coastal landform are being carried out actively. And damage controls and efforts for preserving coastal landform are also in progress steadily. Under these circumstances, costal erosion is treated as a main object of this research by using an appearance theory of Feng-shui, a traditional geography.

      • KCI등재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 본 일본 산인해안(山陰海岸) 지오파크

        권동희 ( Dong Hee Kwon ) 한국지형학회 2013 한국지형학회지 Vol.20 No.2

        산인해안 지오파크는 지형경관, 공간적 분포 특성을 고려하여 ①돗토리해안사구권, ②우라도메-아나미 해안권, ③하마사카(다지마)-다케노 해안권, ④겐부도 공원권 등 4개 권역으로 나눌 수 있다. 돗토리 해안사구권은 해안사구지형, 우라도메-아나미 해안권은 리아스식해안 및 화강암해안지형, 하마사카(다지마)-다케노 해안권은 화산암 해안지형이 각각 특징적으로 발달한 곳이다. 겐부도 공원권은 내륙 화산지형이 발달한 곳으로 대규모 수직 및 수평주상절리지형을 전형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특히 이곳은 ‘현무암’이라는 암석 명칭이 유래한 곳이며, 세계 최초로 지자기역전 현상이 발견된 역사적인 장소이기도 하다. 산인해안 지오파크를 구성하는 4개 권역은 ①2박 3일, ②3박 4일, ③4박 5일 등 3개 탐방 코스로 조합하여 운영할 수 있다. 4개 권역 중 요나고 국제공항이 인접해 있고 호텔 등 각종 편의 시설이 가장 잘 갖춰진 곳은 돗토리 해안사구권이므로 3개 코스 모두 돗토리 해안사구권을 기본코스로 정하고 여기에 다른 3개 권역을 추가하는 조합이 가장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Kaigan Geopark is divided into 4 zones: ①Tottori Sand Dunes zone, ② Uradome - Anami Coast zone, ③ Hamasaka (Tajima) - Takeno Coast zone, and ④ Genbudo Park zone. Tottori Sand Dunes zone, Uradome- Anami Coast zone, and Hamasaka (Tajima) - Takeno Coast zone are characterized by coastal dune, rias coast & granite coastal landform, and volcanic coastal landform, respectively. In Genbudo Park zone where interior volcanic topography has been developed, we can view the typical large-scale vertical and horizontal columnar joints. In particular, as the place from which the rock name “Hyonmuam” was derived, this place is also a historical place where geomagnetic reversal was discovered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These 4 zones making up Sanin Kaigan Geopark can be operated with the combination of three travel courses: ① two nights and three days, ② three days and four nights, and ③ four days and five nights. Among them, Tottori Sand Dunes zone is the place close to Yonago airport and is adequately equipped with a variety of facilities including hotels. Therefore, if you add the three other zones with Tottori Sand Dunes zone as the basic course for all three courses, such will be considered the most efficient operating combination.

      • KCI등재

        경남 사천시 서포면 동쪽 해안단구 지형 발달과 분포 체계

        윤순옥(Yoon, Soon-Ock),강봉(Kang, Bong),박충선(Park, Chung-Sun),황상일(Hwang, Sangill)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4

        남해안의 사천시 서포면 동쪽 해안은 창선도와 남해도에 의해 외해와 거의 완전하게 단절된 내만이다. 이 지역의 해안단구는 형성 시기를 달리하는 해발고도 10~12m, 15~18m, 20~24m, 25~28m, 30~33m, 35~38m, 40~45m, 45~50m, 54m 지형면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해안단구 체계는 서해안 보령 지역의 것과 유사하다. 지형면은 구릉지 의 능선을 따라 분포하며 면적이 대체로 좁다. 그리고 형성된 지 오래된 지형면과 상대적으로 젊은 지형면이 혼재되 어 분포한다. 이와 같은 해안단구 공간 분포 특징은 오래된 지형면이 가장 내륙쪽에서 해안선에 평행하게 나타나며 해안으로 갈수록 최근에 만들어진 지형면이 나타나는 동해안과는 대조적이다. 이것은 기복이 복잡한 구릉지에 태풍에 의해 형성된 강력한 에너지를 갖는 파랑이 짧은 기간 동안 파식대를 형성한 데 기인한다. The eastern coast of Seopo-myeon, Sancheon-si in the South Coast is a bay almost completely separated from open sea by Changseon and Namhae Islands. Marine terraces in this area can be classified into geomorphic surfaces with elevations of 10~12m, 15~18m, 20~24m, 25~28m, 30~33m, 35~38m, 40~45m, 45~50m and 54m. This marine terrace system is similar to the Boryeong area in the West Coast. The geomorphic surfaces distribute along ridges and show relatively small areas. The young and old surfaces show a mixed distributional pattern. This distributional pattern contrasts to the East Coast where the oldest surface farthest from the coastline is parallel to the coast and age of the surfaces increases with a distance from the coast. These seem to result in high energy waves by typhoon that developed wave-cut platform on hill areas with relatively complex relief in a short time.

      • KCI등재

        제주도 해안지대의 지형분류

        김태호 ( Kim Tae Ho ) 한국지형학회 2003 한국지형학회지 Vol.10 No.1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목적에 부합하는 해안 분야의 지형환경정보도를 제작하기 위하여 해안지형에 대한 계통적인 지형분류를 실시하고, 제주도의 부속도서인 우도 해안을 대상으로 분류 방안을 적용하여 지도화하였다. 지형분류는 생물과의 유기적 관계가 반영될 수 있도록 1차 분류는 형성과정과 구성물질을 기준으로 사질해안, 암석해안 및 인공해안으로 구분하였다. 2차 분류는 형태적 특성에 의하여 사질해안은 해빈, 사주, 사구, 암석해안은 해식애, 파식대의 5개 지형단원으로 구분하고 다시 형태를 이용하여 14개의 지형단위로 세분하였다. 3차 분류는 사질해안의 경우 구성물질의 입경과 성질을 기준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암석해안은 형성과정의 정도와 형태, 구성물질에 의하여 구분하였다. 우도 해안의 사례를 보면 분류도에 지형환경의 지역적 차이가 될 수 있으므로 분류도를 객관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정량적인 구분 기분이 필요하다. In order to compile a geomorphological landscape map for 2nd National Survey on theNatural Environment, coastal landforms are systematically classified, and geomorphological land classification is applied to the coastal zone of Udo Island around Jeju Island. Coasts are firstly classified into sandy, rocky and artificial coasts by the geomorphic processes and subsequent earth materials which have a primary role in an existence of animals and plants. Based up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es, landforms of sandy coast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such as sea cliff and shpre platform consisted of five units. The landform units are subdivided according to the size type of earth materials for sandy coasts and the geomorphic porcesses and morphography for rocky coasts, respectively. A geomorphological landscape map uf Udo Island represents a regional difference of coastal geomorphological environments, and then enables a user to understand its regional characteristics. It is, however, necessary to design a quantitative classification for an objective representation because the landforms of rocky coasts can be, in part, subjectively subdivided.

      • KCI등재

        신안군 소룡도의 지형·지질경관 특성 및 활용방안

        김해경 ( Kim¸ Hai-gyoung ),오강호 ( Oh¸ Kang-ho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소룡도의 지형 및 지질경관을 조사 분류하고 지구과학 교육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지질유산 평가의 기초자료뿐만 아니라 지구과학교육의 학습 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연구지역인 소룡도는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에 속하며 무인도서이다. 소룡도는 목포시의 남서측에 위치한 하의도에서 직선거리로 약 2.5km의 서측에 위치하고 있다. 소룡도의 동측에는 장도 그리고 북서측에는 용도가 위치하고 있다. 소룡도 규모는 동서 방향 길이 약 190m, 남북으로 약 110m, 면적은 약 5,950㎡ 이다. 소룡도의 전 해안은 암석해안으로 이루어지며 바다 쪽으로는 해식애, 해식와, 파식대지로 연장이 된다. 특징적으로 소룡도의 해식애 사면에는 다양한 형태의 타포니가 분포하여 경관이 수려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풍화와 해안침식 지형들을 관찰할 수 있어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은 무인도서로 평가된 바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룡도의 해안은 암석해안으로 해식애, 해식와, 파식대지 및 거력해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식애는 섬 전체 해안에 발달하고 해식와는 해식애 하부에 분포하며 남측해안에 주로 발달한다. 파식대지는 해식애와 연결되며 남측해안에서 폭이 최대 80m에 달한다. 소룡도에서 관찰되는 풍화 및 침식지형은 타포니와 마린포트홀이다. 타포니는 남측해안의 해식애 사면에서 주로 발달한다. 마린포트홀은 북측해안의 파식대지에 발달한다. 연구지역에 분포하는 암석은 응회암과 라필리암이다. 일부 응회암 층준에서는 층리가 발달한 다. 남측해안에서는 폭이 약 2m, 길이가 약 50m인 중성암맥이 분포한다. 남측해안에서 발달하는 절리는 북동-남서 방향성을 보이며 연장성이 매우 양호하다. 일부 층에서는 단층이 관찰된다. 연구지역에 분포하는 암석해안과 거력해안, 타포니, 마린포트홀, 층리, 절리, 단층, 암맥, 응회암과 같은 지형 지질경관을 초등학교 과학, 중학교 과학, 고등학교 지구과학1의 지질단원 학습내용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해식애, 해식와, 파식대지 및 거력해안은 초등학교 3학년 과학 “ 지표의 변화‘ 단원 학습내용과 관련이 있다. 타포니와 마린포트홀은 해안지역의 미지형으로서 초등학교의 3학년“ 지표의 변화” , 중학교 1학년 “ 지각의 변화” 단원의 학습내용과 관련이 있다. 층리는 초등학교 4학년“ 지층과 화석” , 중학교 1학년“ 지각의 변화” , 고등학교 “ 지질구조와 퇴적환경” 단원의 학습 내용으로 관련성이 있다. 단층은 초등학교 4학년“ 지층과 화석” , 고등학교 “ 지질구조와 퇴적환경” 단원의 학습 내용으로 관련성이 있다. 절리, 암맥, 화산쇄설암인 응회암과 라필리암은 고등학교 “ 지질구조와 퇴적환경” 단원의 학습 내용으로 관련성이 있다. 이 지역의 지형 지질경관의 사례를 학습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VR 콘텐츠로 개발하여 지역화 자료로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lassify th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 of Soryongdo and to suggest ways to use it as an earth scienc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not only as basic data for geological heritage evaluation but also as learning materials for earth science education. Soryongdo belongs to Haui-myeon, Sinan-gun, Jeollanam-do, and is an uninhabited island. Soryongdo is located on the west side of about 2.5km away from Hauido, located in the southwest of Mokpo-city. Jangdo is located on the east side of Soryongdo and Yongdo on the northwest side. The size of Soryongdo is about 190m long in the east-west direction and 110m in the north-south direction, with an area of about 5,950㎡. The entire coast of Soryongdo consists of rocky coasts, and extends to sea cliffs, notches, and wave-cut platforms toward the sea. Various types of taffoni are distributed on the sea cliffs of Soryongdo, so the scenery is beautiful, and various weathering and coastal erosion topography can be observed, so it has been evaluated as an uninhabited island with a very high academic valu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oast of Soryongdo is a rocky coast consisting of sea cliffs, notches, wave-cut platforms, and boulder beaches. Sea cliffs are developing on the entire coast of the island. The notches are distributed in the lower part of the sea cliffs and mainly develop on the southern coast of the island. The wave-cut platforms are connected to the sea cliffs and are up to 80m wide on the southern coast. The weathering and erosion topography observed on Soryongdo are taffoni and marine potholes. Taffoni mainly develop on the slopes of the sea cliffs on the southern coast. Marine potholes develop on the wave-cut platforms on the north coast. The rocks distributed in the study area are hard tuffs with developed stratification, and lapilli. On the southern coast, intermediate dykes with a width of about 2m and a length of about 50m are distributed. Joints developing on the south coast have a northeast-southwest orientation. Faults are observed in some tuff layers. Th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distributed in the research area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geological unit of the 2015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middle school science, and high school earth science Ⅰ. Sea cliffs, notches, wave-cut platforms, and boulder beaches are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Changes in the earth’s surface” unit of in the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Taffoni and marine potholes are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3rd grade “Changes in the earth’s surface”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and the 1st grade “Changes in the earth’s crust” in middle school science. Stratification is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sections “ Strata and fossils” in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Changes in earth’s crust” in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and “Geological structure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Ⅰ. The faults are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Strata and fossils”, and the high school earth science Ⅰ “Geological structure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unit. Joints, dykes, and volcanic rocks, tuffs, and lapilli are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high school earth science Ⅰ chapter entitled “Geological structure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VR contents were produced to utilize th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 cases of the research area as learning materials for earth science education.

      • KCI등재

        실용적 해안선 후퇴 반영 알고리즘

        김효섭,이정수,진재율,장창환 한국습지학회 2013 한국습지학회지 Vol.15 No.3

        일반적 형태의 해안영역에서의 퇴적물이동, 퇴적 및 지형변화를 예측하는 수치모형에서 전빈의 침식으로 인한 해안선 후 퇴가 가능한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평균해수면 기준의 해안선 인근 영역에서는 저면 경사가 저면 퇴적물의 종류, 조석과 조류, 파랑, 연안류 등 외력의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해안선에서의 저면경사는 어느 정도 안정된 범위내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 연중 변화 또한 거의 일정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경사의 변동 한계값을 이용하여, 해중 침식이 지속되어 해안선에서의 저면 경사가 계속 증가하는 경우, 이러한 한계 경사를 넘게 되면, 이를 조 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저면경사가 한계값 내로 돌아오도록 해안선 인근에서의 저면 형상을 조정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침식이 지속되는 경우 해안선이 지속적으로 후방으로 후퇴하는 현상을 수치모형에서 재현할 수 있게 된다. 개 발한 알고리즘을 우물함수형의 침식 상황, 즉 한 점에서 일정 플럭스로 준설을 지속할때 주변 지형이 우물함수 분포 형 상으로 침식되어 가는 과정을 잘 재현하였다. 발달하는 해안선의 형태가 거의 원형의 동심원으로 나타나므로 알고리즘의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또 개발한 알고리즘을 침식지역이 일정속도로 하강하는 가상상황에 적용하여 보았으며, 동심원적 지형 변화를 잘 재현하였다. 본 알고리즘을 기존의 수치모형 CST3D 시스템에 채택하여, 등경사 평판형 해안에 이안제가 놓여 있을 경우에 대한 지형변화 수리모형실험의 조건과 동일한 조건을 대상으로 모형실험을 수행한 결과, 해안선의 변 화를 정성적으로 만족스럽게 재현하였다.

      • KCI등재

        신안군 장산도의 지형·지질경관 특성 및 활용방안

        김해경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distributed in the Jangsando area and to suggest a utilization of those landscapes. The survey of geology distributed on Jangsando was carried out at the rocky coast and beaches of the isl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NIE(2019) and the categorization of KEI(2003), eight types of geomorphological landscapes(sea cliffs, wave-cut platforms, notches, marine tafoni, marine potholes, gravel beaches, sand beaches, mud flats) and ten types of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stratification, cross bedding, joints, dykes, conglomerates, volcanic rocks, faults etc.) are distributed in this study area respectively. In addition, spherical weathering phenomena and core stones in the outcrops of volcanic rocks distributed in the northwestern coast of Jangsando have been observed. Especially, conglomerates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northeast sea cliffs of the Chukang dockyard. The rock fragments that constitute conglomerates vary in composition as igneous rocks, metamorphic rocks, and sedimentary rocks. Degrees of sorting in conglomerates show poor sorting. The roundness of rock fragments in conglomerates are angular to sub-angular. Faults, flame structures and convoluted bedding structures that are generally observed from in the cross sections of strata are showed in the rock fragments of conglomerates in the study area. Rock fragments with a variety of sedimentary structures can be used to analyze the origin area and origin rock of the conglomerates distributed in the study area. It is thought to be of value as geologic heritage in that conglomerates are composed of sedimentary rock fragments with faults, flame structures and convoluted bedding structures.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conglomerate outcrops having those aforementioned structures will need to be re-examined and evaluated in respects of geologic heritage. Th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of Jangsando investigat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e material to be designated as an island in the project“ Making an island attractive to visitors”that Jeollanam-do has been conducting from 2015. Also, a variety of landscapes are worthy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geoscience educations. 국내 국립공원이나 지질공원에 분포하는 독특한 지형 및 지질경관 또는 명승이나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지질명소는 교육적인 관광과 보전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각 지자체에서는 지역에 분포하는 지질명소를 조사하고 평가하여 지질공원으로서 인증을 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아름다운 섬과 바다로 이루어진 천혜의 자연환경을 지닌 전라남도는 2015년부터 “가고 싶은 섬 가꾸기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전라남도에 산재되어 있는 여러 섬을 대상으로 지형과 지질경관 및 지질유산의 조사 및 평가 측면뿐만 아니라 가고 싶은 섬 가꾸기 사업의 일환으로 섬에 분포하는 지형 및 지질경관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전라남도의 신안군 장산면에 속하는 장산도의 지형 및 지질경관을 조사하여 지질관광 및 교육 자료 자원으로서 활용뿐만 아니라 전라남도의 “가고 싶은 섬”사업과 관련한 기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지역에 분포하는 지형과 지질경관의 분류는 국립생태원(2019)에서 제시한 지형 분야 조사지침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3)의 지형 및 지질 유산의 조사 대상 항목으로 제시한 분류를 기준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장산도에는 국립생태원(2019)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3)의 분류 안에 따라 각각 8종류의 지형 경관과 10종류의 지형 및 지질경관이 분포하고 있다. 제5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지형)(국립생태원, 2019)에 따른 연구 지역의 지형경관은 주로 해안지형으로 분류되며 이를 세부적으로 분류하면 해식애, 파식대지, 해식와, 해안타포니, 마린포트홀, 자갈해안, 모래해안 및 갯벌로 8종류의 지형경관이 분포하고 있다. 지형 및 지질 유산의 조사 대상의 항목(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3)을 기준으로 하여 지형 및 지질을 분류하면 일반 지형의 해안분류에서 해식애, 파식대지, 암석해안의 3종류 그리고 일반 지질의 층리, 사층리, 역암, 절리, 암맥, 화산암 및 단층의 7종류로 총 10종류가 분포하고 있다. 이외에도 화산암인 유문암에서의 유상구조와 중성암맥에서 발달하는 구상풍화 현상과 핵석의 발달이 현저한 펀이다. 또한 축강 선착장 인근에 분포하는 역암 층에서는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암편을 함유하고 있으며 역의 종류도 퇴적암류, 변성암류로 다양하다. 특히, 퇴적암을 구성하는 암편에서는 일반적으로 지층에서 관찰되는 단층, 불꽃구조 및 층내 변형구조가 관찰되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러한 퇴적구조를 함유한 역암의 암편은 퇴적암의 기원암과 기원지 해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KCI등재

        신안군 하태도 일대의 지형 및 지질경관 특성

        오강호,김해경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distributed in the Hataedo Area, Shinan-gun, Korea and to provide basic resources for geoscience education and geotourism.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geological surveying was carried out in the beach and rocky coast of the study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2019) and the categorization of the Korea Environment Institute(2003),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distributed in the Hataedo area are classified into eight types and fourteen types, respectively. The eight types of geomorphological landscapes categoriz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2019) are sea cliffs, wave-cut platforms, notches, marine tafoni, marine potholes, gravel & sand beaches and mud flats. Similarly, th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03) classifies that rocky coasts, sea cliffs and wave-cut platforms as the general geomorphology of the study area. Stratifications, cross bedding, concretions, joints, dykes, volcanic rocks, conglomerates, sandstone, and shale in the study area are classified as general geological features. Characteristically, looking at the southern ocean from the forest road along the southern mountain ridge of Hataedong-ri, the view of several islands, large and small, at a glance is fine. A variety of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distributed in the Hataedo area are worthy of material for geotourism and geoscience education. Jeollanam-do has been carrying out the project “ Making an island attractive to visitors” since 2015 to preserve ecosystems, landscapes, culture and the history of island belonging to Jeollanam-do; it also aims to unify the inhabitants of island with common goal in mind. As of 2020, 16 islands out of the total in Jeollanam-do have been designated as “ an island attractive to visitors”. Th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of Hataedo investigated and classified in the study could be used as base materials for assessment in order to be selected as an island for the project “ Making an island attractive to visitors”that Jeollanam-do has been conducting. 전라남도는 섬의 자연풍광, 식생, 역사, 문화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생태계, 경관, 문화, 역사를 보존 및 활용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주민과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섬으로 가꾸어갈 목적으로 “가고 싶은 섬”사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 사업계획에 따라 2015년부터 시작하여 2020년 현재까지 총 16개 섬이 가고 싶은 섬으로 선정되었다. 이들 도서 이외의 지역에 대한 지형 및 지질 조사가 미흡한 편으로 앞으로 지속적인 섬의 지형과 지질에 대한 조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전라남도의 여러 섬 중에서 신안군 상하태도에 속하는 하태도의 지형 및 지질경관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앞으로 관광 및 교육 자료의 자원으로서 활용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의 뿐만 아니라 전라남도에서 진행하고 있는“가고 싶은 섬”사업의 계획과 평가에 대한 기본적인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전라남도 신안군 신의면 하태도 일대 지역에 분포하는 지형, 지질 경관을 조사하고 분류하였다. 연구 지역에 분포하는 지형, 지질경관의 분류는 국립생태원(2019)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3)에서 제시한 항목을 분류 기준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하태도에는 국립생태원(2019) 및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3)의 분류 안에 따라 각각 8종류의 지형 경관과 14종류의 지형, 지질경관이 분포하고 있다. 제 5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지형)(국립생태원, 2019)의 분류에 따른 지형경관은 세부적으로 해안지형에 분류되며 해식애, 파식대, 해식와(노치), 해안타포니, 마린포트홀, 자갈해안, 모래해안 및 갯벌이 분포하여 8종류의 지형경관이 분포하고 있다. 지형 및 지질 유산의 조사 대상의 항목(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3)을 기초로 하여 지형 및 지질을 분류하면 일반 지형으로 해안분류에는 해식애, 파식대 및 암석해안의 3종류 그리고 일반 지질에는 층리, 사층리, 역암, 사암, 이암(셰일), 절리, 화산암, 암맥, 단층 및 결핵체의 11종류로 총 14종류가 분포하고 있다. 특징적으로 하태도의 동측 하태동리의 산능선을 따라 개설된 산림도로에서 남측을 바라보면 남해에 분포하는 여러 개의 섬이 한 눈에 들어오는 조망권이 특징적이다. 연구 지역의 다양한 지형 및 지질경관은 연구 및 교육 자료로서 가치가 있을 뿐 아니라 앞으로 전라남도에서 진행하고 있는 “가고 싶은 섬” 대상 선정을 위한 하태도의 경관자원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RTK-GPS 측량을 이용한 해안지형의 정성적 분석

        김용석(Kim Yong Suk),이재원(Lee Jae One) 대한공간정보학회 2007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5 No.2

        현재 남한의 해안선 길이는 일제시대 측량한 자료에 의하면 육지해안과 도서해안을 합하여 총연장이 약 11,542㎞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안선에 대한 정확한 자료를 얻기 위해 현지측량으로 이를 수정?갱신하게 되면 엄청난 예산과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아울러, 공유수면 매립과 간척사업 및 신항만 건설 등 크고 작은 각종 개발사업으로 인해 연안해역과 해안선이 수시로 변화되어 연안해역도의 갱신작업이 빈번해지고 있어 현지측량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대상의 지역적 범위를 부산지역 5개 해안(송도, 해운대, 광안리, 송도, 다대포 해안)으로 정하였고, RTK-GPS 측량을 실시한 뒤 정성적 분석과 3차원 지형분석을 실시하였다. According to the survey dat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the length of South Korea's coastline is about 11,542 ㎞, including the coastlines of land and islands. It will be very expensive and time-consuming to revise/renew accurately this coastline data through site survey, it will cost great money and time. Also,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reclamation works on public waters, constructions of ports/harbors, etc. are frequently changing the coastal areas and coastlines, causing many renewal projects on coastal maps. For such reason, appropriate alternatives for site survey are necessary. This paper demonstrate the utilization of RTK-GPS survey data, qualitative analysis and 3D topographic analysis for extracting the change in five coastal areas (Songjeong, Haeundae, Kwanganri, Songdo and Dadaepo). The local experimental areas subjected for this research were limited to five coastal areas near Bus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