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신입생들의 전공선택 동기,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원주연(Won, Juyoe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

        목적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들의 전공선택 동기,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대학생활적응과 그들 간의 상관관계, 그리고 전공선택 동기,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방법 국내의 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신입생 중 404명을 대상으로 전공선택 동기,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을 측정하는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체 변인들에 대한 기술통계를 실시하고, 전체 변인 간, 변인들의 하위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과 종속 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 신입생들의 전공선택 동기,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대학생활적응의 네 영역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신입생들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하게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대학생활적응과도 높은 상관을 보였다. 셋째, 대학생활적응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인 자신감과 자기조절 효능감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 신입생들이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고 대학 생활에 잘 정착하기 위해서는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진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대학 차원의 방안을 마련하고, 신입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지원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university freshmen’s major selection moti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djustment to college, correlations among them, and the effects of major selection moti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on adjustment to college. Methods Four hundred and four university freshmen taking general courses at a four-year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Tests for major selection moti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djustment to college were administe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the highest among the four area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found tha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self-efficacy and adjustment to college were highly correlat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niversity freshmen’s major selection moti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on their adjustment to colleg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effect of the factors on their adjustment to college was 29.7%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the three, academic self-efficacy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 that can explain 27.2%.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mote our understanding of university freshmen’s major selection moti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djustment to college, provide databases for related future research, and cast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support to improve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that were found to facilitate university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 KCI등재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학교적응의 종단적 관계

        백승원(Baek, Seung-Won),윤채영(Yun, Chae-Yo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in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using panel data of Busan Educational Longitudial Study, and through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to verify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of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school adjustme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maturity in this structural relationship. Method: The data of this study included the first year(2016) to third year(2018) of 2,812 first graders in 50 middle schools in Busan.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was appli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initial state and rate of chang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ll was changed with time. Second, in the longitudinal path among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school adjustment, academic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career maturity and school adjust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ity and school adjus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ame latent factors as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However, the path of different latent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rate of career maturity in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self-efficacy had a negative effect, and the path to change rate in the initial value of other variables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career maturity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The initial value of career maturity mediated the path that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efficacy led to the initial value of school adaptation, and the rate of change in career maturity mediated the path that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self-efficacy led to the rate of change in school adapt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f academic self-efficacy is high at the time of admission to middle school, it will be carried out to explore their career specifically and to achieve career related goals based on self-confidence and self-understanding that will perform various behaviors successfully as well as learning, the driving force for adapting to school life. 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중1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및 학교적응의 변화추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통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학교적응의 종단적인 관계를 검증하고 이 구조적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데이터는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중1 패널로 부산시 소재 중학교 50개교에 1학년 재학생 2,812명의 1차년도(2016년)~3차년도(2018년) 자료이다. 연구변인 간 관계의 초기상태 및 변화율에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학교적응은 모두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학교적응 간 종단적 경로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와 학교적응의 초기치, 즉 중1에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성숙도와 학교적응의 관계는 초기치에서 초기치, 변화율에서 변화율과 같이 동일한 잠재요인에서 정적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초기치에서 진로성숙도의 변화율에 미치는 상이한 잠재요인의 경로는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다른 변인의 초기치에서 변화율에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 간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진로성숙도의 초기치는 학업적 효능감의 초기치가 학교적응의 초기치로 이어지는 경로를 부분매개하였으며, 진로성숙도의 변화율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변화율이 학교적응의 변화율로 이어지는 경로를 부분매개하였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학교 입학 시기에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다면 학습뿐만 아니라 다양한 행동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자기확신과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본인의 진로를 구체적으로 탐색하고 목표를 이루기 위해 실천으로 옮길 것이고, 이는 곧 학교생활에 적응해 나가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가형(Ga-Hyung Lee),정미경(Mi-Kyung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0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한국의 수도권의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23년 11월 01일부터 2023년 11월 15일까지였다. 연구대상에게 학업적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에 대한 측정도구를 통해 설문 후 SPSS MACRO Model 5로 조절된 매개효과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분석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쳤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는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에게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가지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대학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회복탄력성의 역량을 향상시키고, 사회적지지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을 위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에 대한 프로그램 형성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사회적지지 향상을 위한 공감대 형성 등에 대한 교육 및 프로그램의 요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college adjustm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200 university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outh Korea.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November 1, 2023, to November 15, 2023. The research subjects were sur-veyed using measurement tools for academic self-efficacy, college adaptation,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e data was then analyzed for moderated mediation effects using the SPSS MACRO Model 5. Results The research analysis reveal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had an impact on resilience. Furthermore, academic self-efficac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influence college adjustment.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resili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college adjustment, while social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college adjustment. Conclusions Therefore, it is crucial to foster academic self-efficacy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enhance their resilience capacity and social support to adapt to college life effective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arget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resilience for university students. Additionally, it highlights the need for educational and programmatic interventions to improve social support and create a supportive environment for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권재환,김경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3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3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nd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self-regulated learning and school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 And investigate mediated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Through this study, importance of colleg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y and self-regulated learning on school adjustment to investig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self-efficay increases, higher school adjustment. Academic self-efficay significantly predicted school adjustment.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especially on the academic adjustment. Second, the Academic self-efficay increases,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cademic self-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nd motivation adjustment of the sub-factors of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Third,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increases, higher school adjustment. Of the sub-factors of school adjustment, motivation adjustment and behavioral adjustment significantly predicted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djustment of the sub-factors of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Fourth, the mediated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y and school adjustment of verific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al mediated effect. In conclusion, raised with Academic self-efficay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can increase students' academic adaptability, as well as the overall school is better adap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University'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student guidance.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중요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교생활적응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고, 특히 학업적응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높았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고, 동기조절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높았다. 셋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요인 중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이 학교생활적응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고, 학업적응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높았다. 넷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생들에게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능력도 길러주었을 때 학생들은 학업적응력이 높아지고 전반적인 학교생활에도 더 잘 적응하게 된다는 연구결과는 대학의 교수학습활동과 학생지도에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긍정적 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

        민희홍,이혜진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4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긍정적 사고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 적응 정도를 파악하고, 그 관련성을 규명하며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여 치위생(학)과 신입생들이 학교생활 적응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9년 10월 1일부터 10월 21일까지 경기도·충청도·전라도·경상도 지역의 치위생(학)과 신입생 213명을 대상으로 임의추출 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긍정적 사고, 진로체험 경험 순이었고,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었으며, 설명력은 47.7%이었다. 본 연구는 일부 치위생(학)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조사되어 연구를 진행하였기에 결과를 일반화하기는 한계가 있어 후속연구에서는 긍정적 사고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다양한 변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토대로 학교생활 적응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보완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관련된 요인을 제시함으로써 학교생활 적응 프로 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한 기초자료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In this study, the positive think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of freshman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ident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was identified and the influencing factors were investigate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1 to October 21, 2019 on 213 freshman dental hygiene students in Gyeonggi-do, Chungcheong-do, Jeolla-do, and Gyeongsang-do regions. According to the study,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freshman dental hygiene students' school adjustment was in the order of academic self-efficacy, positive thinking, and career program experience, a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were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was 47.7%. Since this study has been investigated and conducted on some freshman dental hygiene students,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ing the results, subsequent studies will require continuous study of various variables for positive thinking and academic self-efficiency to school adjustment. However, based o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it can be used as data to supplement the prior study related to school adjustment, and by presenting factors related to the school adjustment of freshman dental hygiene students, it is thought that it became basic data that confirm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he school adjustment program

      • KCI등재

        학업적 자기효능감,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 학급풍토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권태우(Kwon Tae Woo),조규판(Cho Gyu P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7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 학급풍토가 아동 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경남 김해 소재 초등학교 6학년 219명을 대상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 성, 학급풍토, 학교생활적응을 측정한 후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 및 논의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 가족의 응 집성 및 적응성, 학급풍토, 학교생활적응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가족의 응집성 및 적 응성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학급풍토는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학업적 자기효능감,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 학 급풍토 중 학급풍토가 학교생활적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학교생활 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아동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하고 가족의 긍정적이 환경을 형성하며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학급분위기를 모색하는 등의 폭 넓은 연구가 필요 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nd classroom climate on the school life adjustment of childre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219 sixth graders at an elementary school in Gimhae, Gyeongnam Province had been sampled for measuring academic self-efficacy,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classroom climate, and school life adjust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d been used to analyze research questions. The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cademic self-efficacy,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classroom climate, and school life adjustment. Second, academic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school life adjustment. Third,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had significant ieffects on school life adjustment. Fourth, classroom climate had significant effects on school life adjustment. Finally, classroom climate effects on school life adjustment most.

      • 대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연구

        이순덕(Soon Deok Lee),이미아(Mia Lee)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12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12 No.-

        본 연구는 남부대학교 학생들의 여러 가지 배경변인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전체 82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 대학 환경적 적응을 포함한 대학생활적응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도가 높았는데, 특히 군대를 다녀온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도가 매우 높았다. 둘째 저학년 학생보다는 고학년 학생들의 학업적 적응과 사회적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기숙사생, 자취생, 하숙생들과 비교하여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고 생활하는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도, 특히 개인-정서적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기숙사생은 자취생이나 하숙생에 비해 사회적 적응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가정의 월평균 소득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대학생활 적응도, 특히 학업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직전 학기 성적이 높은 학생들의 학업적 적응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자신의 장래 진로를 명확하게 결정하고 대학생활을 하는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도가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학생들의 원만한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대학 차원의 제도나 정책 개발, 학생들에 대한 상담 및 지도와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등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업적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손윤실(Yun-sil Son),김정섭(Jung-sub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적 완벽주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영향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산․경남에 소재한 3개 인문계 고등학교 고등학생 527명을 대상으로 학업소진, 학업적 완벽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학업적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PSS PASW 22.0을 통해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적응적 학업완벽주의가 높을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학업소진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적응적 학업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적응적 학업완벽주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업소진이 더 가파르게 상승했다. 셋째, 부적응적 학업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부적응적 학업 완벽주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낮은 학생의 경우에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의 학업소진의 감소를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academic perfectionism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burnout of high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527 high school students (male=277, female=250) in Busa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the questionnaire containing academic perfectionism,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 data were analyzed by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tendency of academic burnout increased whether the levels of maladaptive academic perfectionism is high or the level of academic self-efficacy is low. Second, through moderating analysis, academic self-efficacy are moderated role on relations between adaptive academic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Specifically, the effect of adaptive academic perfectionism on academic burnout was found to be smaller than for students with high academic self-efficacy. But academic burnout has risen more steeply. Third, through moderating analysis, academic self-efficacy are moderated role on relations between maladaptive academic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The effect of maladaptive academic perfectionism on academic burnout was greater for students with lower academic self-efficacy. This Findings suggest that the academic self-efficacy should be valuable contexts of prevention or intervention.

      • KCI등재

        주관적 흥미-학과 일치도, 학업적자기효능감과 학과적응도 간의 관계

        차명호,이정애 한국직업교육학회 2012 職業 敎育 硏究 Vol.31 No.4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interest-major congru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college students' adjustment to academic majors, as well as their relative strengths. The researchers surveyed 379 university students on the questionnaires of perceived fit, academic self-efficacy and adjustment to academic majors. Results indicated that perceived fit and academic self-efficacy predicted the degree of students' adjustment to academic majors. In addition, perceived fit was a stronger predictor than academic self-efficacy. The findings implied that the higher perceived fit and academic self-efficacy are, the higher major adjustment is. It is suggested that counselors may intervene college students' adjustment to academic majors by enhancing perceived fit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for the counselors to guide students to correct the perceptual error in the interest-major congruence.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흥미-학과 일치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학과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이들 변인이 학과적응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2, 3, 4학년들을 대상으로 주관적 흥미-학과 일치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과적응도를 측정하였고, 수집된 자료 중 총 37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관적 흥미-학과 일치도는 학과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과적응의 하위변인인 학과만족과 진로목표의 안정성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도 학과적응과 하위변인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과적응에 대한 두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은 주관적 흥미-학과 일치도가 학업적 자기효능감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주관적 흥미-학과 일치도가 높고 학업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과에 대한 적응도도 높아지며, 특히 주관적 흥미-학과 일치도가 학과적응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학생들이 자신의 학과나 전공이 흥미에 부합된다고 지각할수록 학과선택에 만족하며 학업수행의 성취도도 높으며 또한 자신의 전공과 관련된 진로목표를 설정하고 진로결정에 대한 확신도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학과적응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주관적 흥미-학과 일치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며, 특히 흥미-학과 일치도에 대한 지각을 확인하고 인식에 있어서의 오류를 수정하거나 재평가하는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겠다.

      • KCI등재

        대학생의 전공에 대한 학업적 흥미, 대학생활 적응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정원(Jung-Won K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7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에 대한 학업적 흥미, 대학생활 적응, 전공만족도 간의 관계와 학업적 흥미, 대학생활 적응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교의 재학생 1, 2, 3, 4학년으로 총 423명이었으며, 전공에 대한 학업적 흥미, 대학생활 적응, 전공만족도에 관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독립 t-분석,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학생의 학업적 흥미, 대학생활 적응, 전공만족도의 수준은 보통 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의 학업적 흥미, 대학생활 적응, 전공만족도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전공에 대한 학업적 흥미와 대학생활 적응은 전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향상을 위해 대학생의 학업적 흥미 조성을 위한 아동 · 청소년기의 체계적인 진로지도 프로그램, 적성개발프로그램, 교수자의 교수 · 학습법 개발, 즐거운 학업풍토조성 등의 통합적 지지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대학생들의 대학적응 지원 확대를 위하여 학생개별프로그램, 학교 제반시설의 확충, 멘토-멘티 프로그램 및 비교과 프로그램의 활성화 등 학교 및 학과의 상황을 고려한 제도적 · 실천적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ademic interest and college life adjustment on major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23 university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academic interests, college life adjustment, and majors` satisfaction levels were above normal levels. Second, among the sub-variables of academic interest, college life adjustment, and major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all other variables except adaptation of college students` personal emotions were found to have a static correlation. Third, the academic interests of college student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major satisfaction. Fourth, college life adaptat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major satisfaction.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academic interest and adaptation of college life on major satisfaction, academic interest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major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o build a system of integrated guidance such as a systematic career guidance program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n aptitude development program,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eachers, and a pleasant academic climate for academic interests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Institutional and practical intervention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expand college adaptation support for college students, such as individual student programs, expansion of school facilities, mentor - mentee programs, and activation of comparative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