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물관교재 비교연구

        오한명숙 한국박물관학회 2011 博物館學報 Vol.- No.20

        대부분 한국의 박물관교육연구자들은 박물관에서 발행하는 활동지만을 연구대상으 로 삼는 경향이 있다. 오늘날 박물관교육은 박물관 밖 관람자 집단에서 더욱 활발해 지고 있다. 박물관 밖의 체험학습 단체들은 박물관의 열성관람자가 되어가고 있다. 박물관교육자들은 박물관 안과 밖에서 벌어지는 교육활동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박물관교재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박물관 교재의 한계와 문제들을 짚어보고 개선점을 마련하는 데 있다. 박물관교재의 개념 및 정의는 박물관의 전시물 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포함한 학습 자료를 말한다. 박물관교재의 학 습대상은 초등 중?고 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국립중앙박물관의 고구려 실 관련 누리집 설명과 활동지, 시중에 판매되는 관련 교재를 비교연구대상으로 삼았 다. 연구문제는 첫째, 박물관교재의 목적이 무엇인가? 둘째, 박물관교재의 유형에 따른 교육방법의 차이는 무엇인가? 셋째, 박물관교재의 효과는 무엇인가였다. 이것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는 구성주의 학습매체의 주요 구성 원칙을 정하였다. 구성 원칙의 세 가지 범주는 체험학습?협동학습?평가방법으로 나누고 다시 평가원 칙을 적용하였다. 평가원칙의 세 가지는 접근성?책임감?고취성을 기준으로 하였 다. 세부질문들로는 학습자에게 권한을 부여하는지, 학습자 스스로 질문을 던지고 답을 찾도록 하는지를 보았다. 또한 상호작용의 과정과 재료의 해석을 자극하는지를 보려 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관점이 제시되었는지, 현재의 이슈를 다루고 있는지 를 살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교재의 목적이 무엇인가를 알아본 결과, 박물관교재는 관람자가 박물 관 견학 시 사전학습자료의 목적으로 제작되거나, 전시물을 관람하는 학습자를 돕는 안내자와 교수자,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위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박물관교재의 유형에 따른 교육방법의 차이는 무엇인가를 알아 본 결과, 박 물관교재의 유형은 학습자 주도형, 교사 주도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학습자주도 형의 자료들은 질문이 중심이 되고 설명은 질문에 답을 하기 위한 부차적인 과정으 로 제공되었다. 모든 것을 학습자에게 제공하지 않았다. 최소한의 정보와 전시물의 정보를 탐색하면서 스스로 답을 구할 수 있는 안내를 할 뿐이었다. 교사주도형의 교재는 설명을 중심으로 하였다. 부모와 자녀

      • KCI등재

        학습 한국어 능력 신장을 위한 어휘 교재의 개발 방향 탐색

        김지영(Kim Ji 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이 연구는 초등 KSL 학습자의 학습 한국어 능력 신장을 위해 어휘 교재를 분석하고, 그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3종의 어휘 교재를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바탕으로 학습 한국어 어휘 교재의 개발 방향을 제시했다. 대상 교 재는 ‘교재 간 관계’, ‘목표 어휘의 제시 방식’, ‘학습 전개 방식’의 세 가지 관점에서 분석되었다. 그 결과 학습 한국어 어휘 교재는 ‘교과 및 언어 기능의 강조’에 따라 ‘통합형 어휘 교재’, ‘교과별 어휘 교재’, ‘기능별 어휘 교재’로, 그리고 타 교재와의 관 계에 따라 ‘독립형’, ‘병행형’, ‘종속형’으로 유형화되었다. 목표 어휘의 제시 유형에 따라 접적 방식과 간접적 방식으로 나뉠 수 있음을 보였다. 학습 전개 방식은 ‘어휘중심 단원’ 외에도 사고 기능, 언어 기능, 주제 등을 구성 원리로 하는 단원 전개가 가능함을 살펴보았다. 학습 한국어 어휘 교재 개발의 방향은 ‘교재 기획’ 차원과 ‘단원 구성’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1) 교재 기획 차원: 언어 기능과의 연계를 고려한 교재, 교과별 특성을 살릴 수 있는 교재, KSL 학습자의 다양한 수준 및 언어적 배경을 고려한 교재를 기획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2) 단원 구성 차원: 목표 측면에서 ‘한국어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성취 기준을 반영할 수 있도록 통합형 어휘 교재의 특성을반영한 단원 구성을 제안했다. 내용 측면에서는 ‘기능’뿐 아니라 어휘 수준이나 어휘의 이해-표현, 교과 지식-기능 등으로 단원 설정의 원리를 다양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 그 예를 보였다. 학습자 측면에서는 의미 관계, 교과 중심의 예시 문장, 학습자의 ‘모어 사전’이나 학습자 간 협력적 의미 구성을 통한 ‘학습자 생성 어휘 정보’등을 포함하는 ‘학습자 친화적 어휘 정보’를 제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on the objection to search its developmental direction for vocabulary textbook of CALP(cognitive and academic language proficiency) of Korean, especially toward the KSL(Korean as a Second Language) learners in elementary school. The textbooks are analysed by 3 views that are ‘relationship between textbooks’, ‘presentation type of target vocabulary’, ‘unit development type’. On the basis of analysis results, I suggested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vocabulary textbook for KALP of Korean. The Textbook planning is proposed that textbooks are to be connected with language skills, to be incorporated of textbook for CALP of Korean´s characteristics, to be considered for KSL learner’s levels and various language background. The unit organization is proposed that the textbooks are to be considered for the characteristic of the integrated vocabulary textbook. For the contents, not only ‘function’ but the plan that can make a diversification it by language levels, language’s understanding-expression, academic knowledge-language skills. For the learner’s view, the organization is proposed that learner friendly vocabulary information that include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leaners by collaborative meaning composition.

      • KCI등재

        초등학교 사회과 지역학습으로서 ‘한강’의 교재화

        남경희(Nam Kyeong Hee),김정호(Kim Jeong H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8 사회과교육 Vol.47 No.3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의 지역학습에서 반드시 필요하지만, 그동안 별로 주목을 받지 못한 우리의 강(江)을 중심으로 한 지역화 교재 편찬의 이론적 토대 마련을 목적으로 '한강'의 교재화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강을 제재로 한 교재의 지역화에 필요한 이론적 토대의 정립과 한강 교재 개발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이를 바탕으로 2007년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한강의 교재화에 필요한 영역별 주제와 학습 내용 요소를 추출하였다. 끝으로, 이를 근거로 한강 교재를 구안함으로써 강을 소재로 한 지역화 교재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구안된 한강 교재는 한강과 관련한 핵심적 지식의 이해, 탐구 기능 및 사고력 신장을 목표로 내용은 크게 한강의 역사, 지리, 문화, 환경개발의 4대 영역으로 구분되고, 각 영역은 단원의 도입, 학습 주제 및 목표의 제시, 학습 내용의 전개, 학습 내용 내면화의 4단계로 구성된다. 단원의 도입에서는 4대 영역별로 대단원명과 단원학습요령 등을 소개하였다. 학습 주제 및 목표와 관련해서는 '미션'의 형태로 학습 주제를 제시하고, 학습 목표는 '탐구노트'라는 이름으로 제시하였다. 학습 내용의 전개에서는 기본학습, 보충학습, 심화학습, 요약ㆍ정리로 구성하였다. 학습 내용의 내면화는 '생각해 보기'와 '함께 해 보기'를 제시하여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이를 내면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동안 사회과에서 지역화 교재의 개발을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지만 강을 소재로 한 지역화 교재가 개발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본 논문에서 제시한 교재화의 방법과 틀은 향후 강을 소재로 한 지역화 교재의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incorporate Han River into the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compilation of community teaching materials focusing on rivers which do not receive much attention even though essential in the field of community study in social studies. Firstly, a theoretical foundation required for the teaching materials with rivers as the subject and basic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on Han River are established, followed by an analysis of the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2007. Then, a model for community teaching materials focusing on rivers is presented by extracting sectional subjects and lesson elements through an analysis of the 2007 curriculum and devising the Han River teaching materials. The devised Han River teaching materials are divided into 4 sections which include the history, geography, culture and environmental development of Han River. Each section comprises the 4 stages of unit introduction, presentation of lesson subject and objective, development of lesson contents and comprehension of lesson contents. The theory and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methods presented in this thesis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teaching materials with rivers as the subject as no attempts have been made to develop such teaching materials so far.

      • KCI등재

        러시아어권 학습자를 위한 독학용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 연구 - 현지 출판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

        소토바 카타리나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73 No.-

        코로나19 이후 한국어를 독학으로 공부하는 학습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독학용 교재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다양한 언어권 독학 학습자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러시아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어권 학습자를 위한 해외 독학용 교재의 외적 구성과 내적 구성의 특징을 파악하고 교재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어권 국가에서 출간된 네 권의 교재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하는 러시아어권 학습자를 위한 독학용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재를 구성할 때는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채로운 교재 디자인 및 시각 자료를 제시하여야 하고 음원 자료, 동영상 등의 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학습자가 교재를 사용할 때 도움이 될 만한 교재 사용 설명서, 학습 계획표 등을 상세하게 제시해 주어야 한다. 둘째, 단원을 구성할 때는 어휘 및 문법 제시, 내용 구성, 단원 제목 등의 일관성을 갖추어야 하고 학습자에게 적절할 분량의 학습 내용을 제시하여야 한다. 그리고 단원 주제와 단원 내용 간의 연계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발음과 억양 교육은 러시아어 표기보다 실제적인 음원 자료를 통해 익히도록 해야 하고 학습자의 문화와 한국 문화를 비교·대조해 볼 수 있는 문화 관련 활동을 제시하여야 한다. 셋째,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를 균형 있게 연습할 수 있는 유의적 연습과 심화 활동이 필요하고 자가 평가, 정답 풀이 및 추가적인 해설 등 학습자가 스스로 자신의 학습 성취도를 점검하고 피드백할 수 있는 활동을 마련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eatures of locally published self-study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Russian-speaking regions and suggest the directions for the textbook development. As the number of self-study learners has rise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necessity of self-study textbook development has increased. However the research on self-study textbooks for Korean learners from Russian-speaking regions is still significantly lacking. Therefore, in this paper four Korean self-study textbooks published locally in Russian- speaking region were selected with the aim to analyse the book structure in terms of suitability for use by self-study learners.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development directions as follows. Firstly, to attract learners’ interest and facilitate their studying process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and devices such as textbook usage manuals, learning plans, study time. Also authentic audio and video materials should be actively used along with attractive and helpful design and visual materials. Nextly, the method of presentation and amount of learning content should be unified and the connection between unit contents should be strengthened. Additionally, cultural education and related activities should be provided in the aspect of comparative culture. Finally,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ypes of practice activities for improving listening, reading, writing and speaking skills, and provide self-evaluation devices that allow learners to check their learning achievements along with devices that provide feedback such as supplementary explanations and additional commentary.

      • KCI등재후보

        통합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학습 활동 분석

        오문천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2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1 No.-

        한국어 교육계에서 문화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최근 한국어 교재에서는 문화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효과적인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해서는 교육의 내용, 교재 제시 방식, 교실 수업 방법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한국어 교재는 문화 지식만 아니라 문화 수행 능력에 도달할 수 있는 정도의 내용과 도달하기 위한 방법을 동시에 고려하여야 한다. 즉 교재에서 한국 문화를 다룰 때 단순히 지식만을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그런 지식을 다루고 평가하는 문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일방적인 설명 위주의 문화가 아니라 학습자 스스로 목표 문화를 비교하고 평가하게 하도록 유도하여야 하며 이를 통해 언어 숙달은 물론, 문화 이해에도 효과적이다. 그러나 문화 교육 내용에 대한 활발한 연구에 비해 문화 교육의 방법인 교재의 문화 학습 활동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부족하다. 교재 내 문화 교육에 있어 문화 내용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하여, 그리고 나아가 문화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문화 학습 활동의 역할을 의식해야 하고 다양한 문화 학습 활동의 개발이 매우 필요하며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내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교육을 위한 연구로서 구체적으로 말하면 중국의 통합 한국어 교재 내 문화 학습 활동의 개발을 위하여 중국과 한국의 통합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학습 활동을 분석하고 교재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한 개발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논문의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기 위해 중국과 한국의 경우를 나누어 각각의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의 기본적인 틀과 성격을 파악한다. 3장에서는 중국의 통합 한국어 교재와 한국의 통합 한국어 교재에서 문화 학습 활동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각각의 특색과 문제점을 지적한다. 교재 분석은 중국의 통합 한국어 교재와 한국의 그것을 나누어 하고 분석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교재의 서지상항을 통해 교재의 기본적인 정보를 파악한다. 다음, 교재의 단원구성 및 학습 활동 구성의 틀을 밝힌다. 이런 틀에 교재에서 문화 학습 활동을 어떻게 나타나는 지를 표로 정리한 후에 나타난 문화 학습 활동에 대해 교재의 예를 결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마지막에 분석 결과로 중국의 한국어 교재와 한국의 그것의 각각의 특색과 장단점을 밝힌다. 4장에서는 분석의 결과로 중국의 통합 한국어 교재에서의 문화 학습 활동의 개발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며 본 연구의 한계와 남은 과제를 제시한다.

      • KCI등재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읽기 디지털 교재 개발 방안

        김미숙 이중언어학회 2021 이중언어학 Vol.8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igital reading textbook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While research on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is being carried out steadily, most of the textbooks were published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published are integrated textbooks mainly used by language education institutes, textbooks for academic learners, and test books for preparing for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etc. However, there is a shortage of advanced textbooks for general purpose learners who are constantly learning Korean with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In particular,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for the digital generation who are familiar with digital devices has not achieved much in terms of research achievements compared to the necessity. Digital textbooks are equipped with various learning materials, which further arouse learners’ interest, enable them to learn self-directedly, and facilitate the supply and demand of textbooks overseas.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reading materials containing various topics was suggested to improve learners’ reading ability.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of the digital generation, I intend to develop digital textbooks that are easy to access even abroad. The content was based on a travel destination that learners may be interested in, and a theme-based textbook was developed by connecting it with reading texts on unfamiliar topics. In addition, reading strategies are included in the textbook to improve the reading skills of learners by learning reading strategies. In this study, a digital textbook was developed using a reading strategy, and it is expected that the discussion on digital textbooks will become more active in the future.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읽기 디지털 교재 개발에 있다.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재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실제 출간되는 중·고급 수준의 교재는 대부분 언어교육원에서 주로 사용하는 통합교재나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재, 한국어 능력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서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나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꾸준히 한국어를 학습하는 일반 목적의 학습자들을 위한 고급 교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디지털 기기에 익숙한 디지털 세대를 위한 디지털 교재 개발은 필요성에 비해 연구 성과가 미미한 수준이다. 디지털 교재는 다양한 학습 자료를 탑재하고 있어 학습자들의 흥미를 더욱 유발하고,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으며 해외에서도 교재 수급이 용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주제를 담은 읽기 교재 개발을 제언하였다. 특히 디지털 세대인 학습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해외에서도 접근이 용이한 디지털 교재를 개발해 보고자 한다. 그 내용은 학습자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여행지를 소재로 친숙하지 않은 주제의 읽기 텍스트와 연결하여 주제 중심 교재를 개발하였다. 또한 읽기 전략을 학습하여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재에 읽기 전략을 담아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읽기 전략을 활용한 디지털 교재를 개발하였는데 앞으로 디지털 교재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해지기 기대한다.

      • 비한자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자 교육 연구

        조은숙(Cho Eun Suk) 중동유럽한국학회 2014 중동유럽한국학회지 Vol.15 No.-

        본고는 비한자권인 터키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자 교육현황, 학습자 요구조사, 기존교재 분석 등 기초 조사를 실시하여 한자교재 개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터키 대학의 한자교육은 기타 해외의 비한자권 대학과 동일하게 필수과목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로 2,3학년에서 일주일에 두 시간 혹은 4시간씩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곳 교육현황에 맞는 교재는 전무하다. 교육에 있어 한국인 교원 의존도가 높아 교원 부재나 적임자가 없을 시는 수업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 학습자 요구조사에서 학생들의 한자에 대한 인식은 교육의 필요성은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나 한자 학습에 두려움을 표하고 있다. 희망교재의 메타언어는 터키어, 수업시수는 일주일에 두 번 4시간, 1회당 학습 한자는 6~10개로 집계되었다. 기존 교재의 문제점은 학습목표 한자의 난이도가 너무 높다는 점, 본문 출현의 한자어가 학습수준에 맞는 않는다는 점, 사용되지 않는 한자어의 출현 등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한 교재 개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로베이스에서도 학습 가능한 교재가 요구된다. 비한자권 학습자에게 한자는 또 하나의 외국어이다. 따라서 한자의 부수, 획수 및 제자원리 등 한자에 대한 기초지식을 터키어로 자세하게 설명된 교재가 필요하다. 둘째, 용이한 학습 한자의 선정이 요구된다. 본고는 선행연구의 교육용 한자 선정을 토대로 표현한자와 이해한자로 나누어 선정하고, 보다 쉬운 한자교재가 되도록 해야 함을 주장한다. 셋째, 한자어 배양에 중점을 둔 교재이어야 한다. 한국어교육에서의 한자 교육은 한자 자체의 한자교육이 되어서는 안 된다. 한자를 학습함으로 인해서 다양한 한자어의 학습이 가능한 교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textbook development methods for Turkish non Chinese letter based Korean learners, by surveying Chinese character situation, learners' need, and existing textbook analysis. In Turkey universities Chinese-character education is a required subject as other countries' non Chinese letter based universities. Mainly the second and third grade students take Chinese character class two-four times a week, but there is no appropriate textbook for this educational situation. This kind of education depends on Korean teachers so if there is not a right teacher or a qualified person, classes run into problems. Learners' need survey showed that they fully recognize the necessity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but they are afraid of Chinese character learning. Learners expressed hope that the meta-language of material is Turkish, they take two time(four hours)-class a week, and they learn from six to ten characters per class. Existing textbooks has problems such as very difficult target characters, unsuitable Sino-Korean words for learning level, and disused Sino-Korean words. Textbook development methods through this research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textbooks which zero-based learners can learn are demanded. For non Chinese letter based Korean learners, it could be another foreign language. Thus we need the textbooks which the basic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radical, number of strokes, and creating principle is explained detailedly in Turkish. Secondly, selection of easy and simple Chinese characters is asked. This article insists that we choose expressing Chinese characters and understanding things separately on the basis of selection of instructional Chinese characters, and we should make easy textbooks. Thirdly, the textbooks must put an emphasis on building Sino-Korean words. When it come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should not b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tself. The textbooks which learners can learn various Sino-Korean words after they learn Chinese character are demanded.

      • KCI등재

        중국의 한국어 읽기 교재 분석 및 개발의 방향

        chen jing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9 국어교육연구 Vol.- No.6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implications of the development of reading materials for Chinese Korean learners by analyzing Korean reading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So three types of the most authoritative series of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were analyzed by the way of composition, reading texts, reading activities, and help resourc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unit was simple. In terms of reading texts, genres and themes lacked diversity, and there were elements against educational goals. The content of texts did not reflect characteristics of Chinese learners. The reading activities did not reflect the reading process and the reading strategy well. In the case of the help resources, there was a textbook in which grammar explanation was not available, and grammar explanation did not tak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learner into consideration. Based on the above problems, the implications of the development of reading materials for Chinese Korean learners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ading function should be strengthened so as to take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textbooks as a whole. Secondly, it should diversify the genres and themes of reading text. Thirdly, it should develop reading activities that improve reading ability. Fourthly, grammar explanation should reflect characteristics of Chinese learners. Fifthly, reading materials and other textbooks should b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본고는 중국 내 한국어 읽기 교재의 내적 구성을 분석하여 향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용 읽기 교재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에서 가장 권위가 있는 시리즈 읽기 교재 3종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단원 체제, 제재 텍스트, 학습 활동, 도움 자료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적 구성 측면에서 교육 과정에 부합하지 않는 요소가 있었으며 모범답안을 제시하지 않는 교재도 있었다. 단원 구성은 전체적으로 단순하며 읽기 교재의 특성을 살리지 못하고 있었다. 읽기 텍스트 측면에서는 장르와 주제가 다양성이 결여되어 있고 난이도가 적합하지 않은 경우도 나타났으며 교육 목표에 어긋나는 경우도 있었다. 특히 주목해야 할 부분은 읽기 교재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언어요소에 대한 설명에 있어, 특히 문법에 대해서 아예 설명을 싣지 않거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해 문법 설명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경우가 있었다. 학습 활동 측면에서는 활동의 일부가 표현 익히기에 관한 것이었으며, 이는 학습자의 읽기 능력 향상과 한국에 대한 이해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을 수가 있다고 생각된다. 내용 이해에 관한 활동은 사실적 이해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읽기 전략, 읽기 과정, 그리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용 읽기 교재의 개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해 보았다. 첫째, 단원 구성 측면에서 읽기 교재로서의 특성을 살리도록 전체적으로 읽기 기능에 대한 내용을 강화해야 하며 모범 답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제재 텍스트의 장르와 주제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으며 내용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셋째, 읽기 활동 측면에서 학습자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해 추론적 이해와 비판적 이해 활동을 늘어날 필요가 있고 읽기 과정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넷째, 도움 자료는 학습자의 이해도와 교수·학습의 편의성을 위해 여백에서 날개나 각주로 설명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리고 문법 설명을 할 때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여섯째, 읽기 교재와 다른 과목 교재는 배타적이면서도 상호보완적이어야 한다. 본고는 중국 내 한국어 읽기 교재의 내적 구성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용 읽기 교재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의를 가진다. 하지만 전체적인 양상을 파악해야 세부적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내적 구성의 전체적 모습에 초점을 두었으며, 따라서 세부적 내용을 상세히 다루지 못하였다. 향후 읽기 텍스트, 학습 활동 등 세부적 요소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며 학습자의 요구에 대한 조사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읽기 텍스트 분석 시 텍스트의 난이도와 길이를 구체적으로 측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중학교 「기술・가정」의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 단원에 적용한 스마트 교수・학습 과정안과 교재 개발

        최송은,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는 21세기 학습 환경과 학습자가 변화되고 있는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추어 중학교 기술・가정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을 중심으로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가정과 식생활 교수・학습 과정안과 스마트교재를 개발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스마트교재를 평가하고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을 중심으로 가정과 식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한다. 둘째, 개발한 식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을 기본으로 하여 스마트컨텐츠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식생활 스마트교재를 제작한다. 셋째, 개발한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식생활 수업을 실행한 후에 이 수업을 평가한다. 연구 과정은 ADDIE 모형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로 진행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2009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육과정과 해설서, 성취기준・성취수준 분석 및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 관련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상하고 학습 목표 및 수업 과정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기술・가정 교육과정의 ‘청소년의 생활’ 단원의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을 중심으로 하여 교과서의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내용을 재구성하고, 재구성한 내용을 토대로 학습 목표 및 수업 과정을 설계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청소년의 생활’ 에 속한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 중 2개의 소단원인 ‘청소년의 식생활 문제’와 ‘균형 잡힌 건강 식생활의 실천’으로 각 2차시씩 총 4차시 분량의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 및 학습 자료 등의 교수・학습 자료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스마트컨텐츠 저작도구인 DocZoom을 이용하여 스마트교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성 및 스마트교재 활용 수업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자 사전・사후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적용하여 개발된 식생활교육 관련 스마트교재를 수업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을 토대로 제작한 소단원 2개 분량의 식생활교육 스마트교재를 이용하여 2014년 6월 2일부터 6월 13일까지 경기도 광명에 있는 남녀공학의 S 중학교 1학년 각각 3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1주일에 2시간씩 기술・가정 수업에 직접 활용하였다. 총 2주간의 수업을 실행한 후, 사전・사후 설문을 실시하고, 평가 단계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설문 점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쌍표본 t-test를 실시하여 개발된 식생활교육 스마트교재의 수업 적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수업에서 가정과 수업에 대한 흥미(t=-3.99, p<.001),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정(t=-2.61, p<.05), 학습에의 주도성 및 독립성(t=-4.77, p<.001), 학생들의 식생활 수업에 대한 관심도(t=-3.83, p<.001)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수업을 받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 수업에 대한 평가를 한 결과, 학생들은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수업이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를 이용한 수업보다 수업 자료를 찾는데 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으며, 동영상과 도표 등의 관련 자료를 바로 볼 수 있어...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nd a smart textbook for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in Home Economics focusing on ‘healthy diet and meal plans’ unit in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for 7th grader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struction conducted with the smart textbook. The content of the study to achieve the purpose is as follows: First, design a smart education-based teaching and learning curriculum for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in Home Economics, focusing on ‘healthy diet and meal plans’ unit. Second, develop a smart textbook for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base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curriculum, using a smart content authoring tool. Thir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struction after applying the curriculum in real classroom situ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nd materials were developed for two units, ‘issues regarding teenagers' diet’ and ‘implementation of a healthy and balanced diet’, under ‘teenagers' life’. The first unit, ‘issues regarding teenagers' diet’, dealt with topics such as teenagers' dietary behaviors, nutrition, and health. Learning objectives for this unit were to help students identify and evaluate their own dietary behaviors. The second unit, ‘implementation of a healthy and balanced diet’, encouraged students to diagnose problems with their diet and plan nutrient rich meals. The objectives for this unit were to help students implement a healthy and balanced diet by providing them with nutrition and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s, sample meal plans, and guidelines for developing healthy eating habits for teenagers. In order to develop a teaching and learning plan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cluding inquiry tasks, materials for group activities, multimedia, applications and various pop-up learning materials were developed. Second, a smart textbook using DocZoom, which was a smart content authoring tool was developed. The textbook dealt with issues regarding teenagers' diet and implementation of a healthy and balanced diet. Multimedia material used in the textbook come from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s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web sites and other sources. To develop student-oriented material, relevant video clips were added to the smart textbook to motivate students and enhance their interest in the course. Third, the outcome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instruction using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nd learning materials with the smart textbook was effective for enhancing students' interest in Home Economics classes (t-value=-3.99, p<.001), creating enthusiasm for learning(t-value = -2.61, p<.05), encouraging self-directed and independent learning(t-value = -4.77, p<.001), and improving students' interest in food and nutrition courses(t-value = -3.83, p<.001). The students' evaluation of the instruction were as follows: the instruction using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nd learning materials with smart textbooks, instead of paper textbooks, helped them save time looking for learning materials; students evaluated that it was easier for them to see and understand video clips and charts. In addition, most students answered that instruction with smart textbooks were more fun and convenient, and they agreed that the courses enhanced their learning experience.

      • KCI등재후보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학습 교재에 대한 연구

        권오현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8 사회과교육연구 Vol.15 No.2

        In this study, history textbooks in Japan's secondary school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gional material, methodology material, advanced materials, and reading materials. Their key features and problems were then identified. Lastl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directions for improvement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hese are as follows: First, regional materials aim at the mastery of studying method in history and at the concrete study of national history. However, the development of regional materials is deemed necessary in order for learners to build the identity as local residents and to better understand their region. Further, the coverage of content, region, and method should be done in a balanced manner. It is also suggested for the materials to include a model case study and a research project in which learners can carry out a study on their region. Second, methodology materials should include various studying methods and skills for history education, so that it can be learned systematically. Reading comprehension of historical material should be facilitated by providing detailed comprehension methods and steps. Also methodology material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explanations on studying methods, question, in what ways activities can be performed. These can be supplemented by accompanying model activities. Third, advanced materials should contain topics or themes that can be dealt with in various historical perspectives. The advanced materials associated with world history might be developed in line with national history, synchronic and contemporary historical recognition. Moreover, the themes such as human right, peace, and environment might be considered to stimulate advanced learning. Last, the material designers should be aware that: reading materials contain common, interesting, real-life based topics so that learners can gain well-grounded historical perspectives in an engaging way. The designers also should make their pedagogic purposes and intentions explicit from the outset of materials development. This way, they will be able to develop materials in a sound and systematic manner. 본 연구에서는 2006년판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에 등장하는 4가지 유형의 학습 교재(지역학습교재, 학습방법교재, 심화학습교재, 읽기자료교재)를 분석하여 그 특징과 문제점 등을 해명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개선 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학습교재는 역사 학습 방법을 습득하고 국가사를 구체적으로 학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민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지역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기 위한 교재의 개발도 필요하다. 그리고 지역학습교재에서 다루는 대상, 지역, 방법 등은 적절히 배분하여 구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구체적인 모델 활동 사례와 함께, 학습자가 살고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한 조사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방법학습교재는 역사학습에 필요한 다양한 학습 방법과 기능들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배분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역사 자료의 독해 방법을 학습하기 위한 교재는 구체적인 독해 방법과 절차 등이 제시되어야 한다. 방법학습교재는 학습방법에 대한 설명만이 아니라 구체적인 자료와 발문, 학습 활동 등과 함께 제시하거나, 모델 학습 활동 사례를 활용하여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심화학습교재는 역사를 다양한 관점에서 인식할 수 있고, 역사를 보는 시각도 다양하다는 사실을 인식시킬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계사와 관련된 심화학습교재는 자국사와의 관련, 동시대사적 인식, 현재와의 관련 등의 관점에서 개발할 수 있다. 아울러 인권·평화·환경 등과 관련된 주제를 심화 학습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읽기자료교재는 다양하고 공정한 관점의 역사 인식이 가능한 주제를 대상으로 선정하여야 하며, 가능한 학생들의 생활과 밀접하고 흥미와 관심을 끌 수 있는 교재가 될 수 있도록 유의해야 한다. 교과서의 설계 단계에서부터 읽기자료교재를 선정하기 위한 관점과 교육적 의도를 명확히 하고, 그에 따라 교재를 유형화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