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학 학습에서 초․중․고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다각적 분석

        김선희 대한수학교육학회 2013 학교수학 Vol.15 No.1

        This study analyzed Korean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mathematical learning according to school and sex by Factor Analysis and Cognitive Diagnosis Theory. In numerical affective achievements by Factor Analysis, there are mean differences between schools, i.e.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And there are sexual differences within schools and boys show more positive achievement than girls. By Cognitive Diagnosis Theory, I investigated 6 affective attributes' proportions that students achieved according to school and sex. Middle school students' proportion is highest in self-control and anxiety and the attribute that students achieved most in all school is cognizing mathematical value. Boys show higher proportion in self directivity, interest and confidence than girls, but girls show higher proportion in anxiety than boys. In personal profiles,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achieved 5 attributes except anxiety is highest. 본 연구는 수학 학습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을 요인 분석과 인지 진단 이론을 바탕으로 학교급과 성별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종희 외 6명(2011)이 개발한 정의적 성취 검사도구를 학교급별로 적용했을 때 요인 분석과 인지 진단 이론의 모델은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이에 따라 학교급과 성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요인 분석에 의해 수치화된 정의적 성취는 학교급별로 평균의 차이가 있었는데,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차이가 없었으나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간에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학교급 내에서 남녀 차이가 있었는데, 대체로 남학생의 정의적 성취가 여학생보다 더 긍정적이었다. 인지 진단 이론에 의해 학생들이 성취한 정의적 속성의 비율을 학교급과 성별로 살펴보았을 때, 중학생이 자기 통제와 불안을 가장 많이 성취하고 있었고, 모든 학교급에서 가장 많이 성취한 속성은 수학에 대한 가치 인식이었다. 학교급 내 남녀 학생들이 성취한 속성의 수를 살펴보면, 모든 학교급에서 남학생이 학습지향성, 흥미, 자신감을 성취한 비율이 여학생보다 높았고, 여학생들은 불안이 있는 경우의 비율이 남학생에 비해 높았다. 학생들의 개인별 프로파일을 보면, 불안은 없으면서 나머지 5가지 속성을 모두 성취한 학생들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 KCI등재

        학교급과 성별에 따른 아동과 청소년 정서행동문제의 정도 및 임상위험 차이

        백승영 ( Seung Young Baek ),이승희 ( Seung Hee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학령기 학생들의 정서행동문제(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정도와 임상위험이 학교급(초등학교 저학년, 초등학교 고학년, 중학교, 고등학교)과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90명,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90명, 중학생 105명, 고등학생 60명을 대상으로 부모용설문지를 배부한 결과 총 264부(회수율 76.5%)가 회수되어 분석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연구문제별로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기 학생들의 정서행동문제(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정도가 학교급과 성별에 따라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모두에서 학교급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모두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와 학교급과 성별간 상호작용은 없었다. 둘째, 학령기 학생들의 정서행동문제(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임상위험이 학교급과 성별에 따라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내재화문제와 총행동문제에서는 학교급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으나 외현화문제에서는 학교급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모두에서도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선행연구와 연계하여 논의되었으며 향후 관련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degree and clinical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proble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ccording to school levels(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gender. To do this, parents of 345 students(90 low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90 upp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105 middle schoolers, 60 high schooler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including K-CBCL. Two hundred sixty-four questionnaires were returned(return rate: 76.5%) and were used for data analyses. The data analyse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problems according to school levels; however, there were neither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nor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school levels and gender in the degree of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problems. (b)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al risk of in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problems according to school levels but not in the clinical risk of externalizing problems; furthermo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al risk of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problems according to gender.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sever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for future related research.

      • KCI등재

        학교급별 과목별 사교육비의 변동 양상

        박혜랑(Park, Hyerang),김현철(Kim, Hyunch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이 연구는 표본의 소득변화 효과를 제거한 사교육비 시계열로부터 학교급별⋅과목별 사교육비의 변동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방법 2007년부터 2019년까지의 통계청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자료가 이중차분법에 의해서 분석되었다.결과 연구결과는 2010년대 초반의 사교육비 감소기간 동안 초⋅중⋅고 모든 학교급의 국어, ‘사회 과학’, ‘제2외국어 등’ 과목의 사교육비 감소가 전체 사교육비의 감소를 초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16년 이후 사교육비 증가기간 동안에는 초⋅중⋅고 모든 학교급의 체육과 ‘취미 교양’ 사교육비 증가, 초등학교 ‘제2외국어 등’의 사교육비 증가, 일반계고등학교 ‘입시 컨설팅’ 사교육비 증가가 전체 사교육비의 증가를 야기하였다. 예체능 사교육비는 모든 학교급에서 증가하였고, 일반교과 사교육비는 중학교와 일반계고등학교에서만 증가하였다.결론 각 학교급과 과목별 소득효과 제거 사교육비의 변동양상을 분석한 이 연구는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학교급별로 일부 교과에서는 사교육비 감소경향이 뚜렷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시기별로 우리나라 전체 사교육비의 변동을 유발한 학교급별 교과목을 식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과목별 사교육비 변동양상을 고려한 정책적 대응의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luctuation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by school level and subject. Methods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difference(DID) method was applied to the survey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data of Korean Statistics Office from 2007 to 2019. Results The decrease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in the subject of Korean, ‘Social Science and Science’, and ‘second language’ in the early 2010s led to the decrease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The increase in the subject of physical education and hobby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he increase of ‘second languages’ for elementary schools, and the increase in the ‘college admission consulting’ for general high schools caused the increase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since 2016.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in the subject of art and physical training increased at all school levels, but the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in the general subjects increased only in middle school and general high school. Conclusions This study clarifies the causes of fluctuations in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with the analysis of the patterns of changes in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for each school level and subject. It was suggested that the policies should consider the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change by school level and subject.

      • KCI등재후보

        초·중·고 학교급별 K-CBCL의 문제행동 특수척도와 DSM 진단척도의 차이분석

        백승영 ( Baek Seung You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6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K-CBCl의 문제행동특수 척도(강박, 외상후스트레스, 인지속도)와 DSM 진단척도(정서, 불안, 신체화, ADHD, 반항문제, 품행문제)가 성별과 학교급별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지는 9월부터 11월 2개월에 거쳐 초등학교 저학년, 초등학교 고학년, 중학생,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한 결과 332부를 회수하였으며, 연구결과 첫째, 학교급별에 따른 문제행동 특수 척도의 차이는 강박은 중학생들에게 높게 나타났으며, 외상 후 스트레스와 인지속도는 학년이 높이 올라 갈수록 높아졌고, 둘째, 학교급에 따른 DSM진단 척도의 차이도 학년이 높을수록 높아지고, 불안, ADHD, 반항, 품행문제는 학교급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나, 중학생들에게만 불안, ADHD, 반항, 품행문제는 다른 학년에 비하여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과 성별에 따른 문제행동 특수척도와 DSM진단 척도는 남학생에 비하여 여학생에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교급별 문제행동 특수척도와 DSM 진단 척도를 성별과 학교급별로 알아보고, 현재 아동,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가장 큰 문제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학부모와 교사들에게 정서행동문제를 지도하는데 도움이 되고 예방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Difference between the K-CBCL special checklist(obsession, post-traumatic stress, cognitive agility) and DSM diagnostic scale(emotional disturbance, somatization disorder, ADHD, disobedience, behavioral problems) is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school levels,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s.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00 lower and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ectively, and to as man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which 332 replies were retrieved. As the result, it turned out firstly that the obsessive behaviors appeared strong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ile the post-traumatic stress and the cognitive agility were greater for higher school grades, in case of the K-CBCL special scale. Secondly, the difference in DSM diagnostic scale with respect to the school levels appeared stronger as the school level went higher. The emotional instability, ADHD, disobedience and the behavioral problems did show variance with respect to the school levels, showing up strongest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Next, the difference in special checklist for the behavioral problems as DSM diagnostic scale to gender appeared stronger for female students than for male students. This study inquires what is the greatest problem for children and youths as of now by investigating K-CBCl special scales and DSM diagnostic scales in terms of gender and educational levels. This study will be an elementary data for parents and teachers to prepare useful measures of prevention and supervision of the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 KCI등재

        특수교사가 지각하는 발달장애학생의 학교급별 부모의 수행역량 탐색

        김영준 ( Young Jun Kim ),도명애 ( Myung Ae Do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5 중등교육연구 Vol.63 No.2

        본 연구는 특수교사가 지각하는 발달장애학생의 학교급별 부모의 수행역량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기본적으로,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부모교육이 부모가 발달장애자녀의 학교교육과정 성과와 상호 연계하여 교사와 협력하는 가운데 주거양육에 대한 권한과 역량을 높여야 효과적이라는 관점 아래 부모의 수행역량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특수학교에서 발달장애학생의 교육을 담당하면서 부모교육에 대한 경력이 높은 특수교사를 학교급별(유아, 초등, 중, 고등부)로 각각 5명씩 하여 총 15명 선정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수행역량을 알아보기 위해 토의 세미나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다층화의 절차에 기초하여 토의 세미나를 수행함으로써, 해당 학교급에서 구성한 부모의 수행역량을 다른 학교급에서 구성한 부모의 수행역량과 상호 연계하여 구성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학교급별 특수교사들은 상호 연계적인 지각 하에 부모가 교사와의 상호 협력을 통하여 자녀의 학교급별로 자녀의 양육관점 키우기, 자녀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 전개, 교사와의 긍정적 관계 형성, 자녀를 위한 특수교육 학습하기, 자녀의 자립생활 지도하기를 주요한 수행역량으로 개발해야 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을 자녀로 둔 부모가 일관된 수행역량을 자녀의 학교급이 증가됨에 따라서 심화,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결과를 특수교육분야에 제시하였다는 데 가치를 두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competency of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school levels, perceiv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erms of parent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fift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five with much experience in parental education while taking charge of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school levels (preschool, elementary and junior high and high school). There were discussion seminar in accordance with the multi-layered process to parents`` performance competency perceived by study participants. As participants held discussion seminar based on the multi-layered process, the elements of parents`` performance competency organized according to the relevant school levels were composed, mutually sharing those organized by other school levels. As a result of this study, parents`` performance competency was shown to be organized in terms of mutually connected and integrated contents by school level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of parents`` performance competency viewed with participants``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parent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중·고등학교 국어교과서의 어휘 등급 분석

        이미숙 ( Lee Mi-suk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8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45

        본고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기준」을 설정하여 양국의 중·고등학교 학교급(級)별 국어교과서(이하, 교과서) 텍스트에 사용된 어휘의 등급(等級, level)을 분석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더불어 의미분야별 어휘와 등급간의 상관성을 밝혀 교과서 어휘연구의 기초자료를 구축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국어교과서 제작에 있어서 학교급에 따라 어휘의 등급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함을 역설하고자 한다. 먼저, 김광해(2003)「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표」와 일본 國立國語硏究所(2001)「7종 교육기본어휘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출현빈도, 난이도, 어휘량 등을 고려하여 0-5급, 즉 6단계의 등급기준을 구축하였다. 이상의 등급 기준을 적용한 결과, 나라별로 중·고등학교 학교급에 따라 어휘 등급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그 원인은 정규 교육 이전에 습득 가능한 0-2급 비중이 낮고 5급 전문어의 비중이 높다는 데에 기인한다. 즉, 사고 도구어인 3-4급 비중에서 학교급별 차이가 거의 없다는 점이 공통적인 문제로 지적되었다. 어휘 등급 실태를 통해 본 양국 교과서 어휘의 난이도는 고등학교 개별어수에서 한국이 일본보다 다소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일본이 중학교의 개별어수 및 전체어수, 고등학교의 전체어수에서 한국에 비해 난이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일본 교과서가 한국 교과서에 비해 0-1등급 어휘 비중은 낮고 3급 및 5급 어휘의 비중이 높았다. 다음으로, 「分類語彙表」(1964)에 의해 양국의 중·고등학교 교과서 어휘를 분류한 李美淑(2016, 2017) 및 학교급별 어휘 변화를 분석한 李美淑(2018)을 토대로 하여, 학교급별, 나라간 의미 분야별 어휘와 등급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별어수에서 한국의 중학교는 5개 대분류 중 <1.3 인간활동 및 행위>에서, 고등학교는 <1.2 인간활동의 주체>분야에서 어휘 등급이 높았고, 일본은 중·고등학교 모두 <1.4 생산물 및 물품>분야에서 어휘 등급이 높았다. 한편, 전체어수에서는 양국의 중·고등학교 모두 <1.4 생산물 및 물품><1.3 인간활동 및 행위>에서 높은 등급의 어휘가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 나라별로 의미 분야에 따라 어휘량은 물론, 등급에도 차이가 있다는 점은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앞으로 학교급에 맞는 국어교과서 제작을 위해서라도 보다 정확한 국어교육용 등급별 어휘표가 개발되고 시대변화에 맞추어 주기적으로 정비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ent status of levels of vocabulary and the levels of vocabulary for different semantic fields in national language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and Japan. To this end, the textbook vocabulary was classified intosix levels by using the ‘Vocabulary Table for Different Levels of National Language Education’ by Gwang-hae Kim (2003) and ‘The Database of Seven Kinds of Basic Vocabulary for Education’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National Language of Japan’ (2001). In both countries, national language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 have a high proportion of vocabulary of 0-2 levels that can be acquired before formal education, and national language textbooks for the high school have a high proportion of vocabulary of level 5. This leads to differences in educational level, and the difference is larger in Korea than in Japan.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educational levels for vocabulary of 3-4 levels in both countries, which is vocabulary for thinking tools. This demands further consideration. Analysis of the levels of textbook vocabulary shows that the level of difficulty of vocabulary in the two countries was high in Japan except for the number of individual words for the high school. As for the number of individual words in the vocabulary level for different semantic fields, Korean middle school textbooks have a high level of vocabulary in the field of < 1.3 Human activities and behaviors > and Korean high school textbooks have a high level of vocabulary in the field of < 1.2 Agent of human activities >. In the case of Japa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are characterized by high level of vocabulary in the field of < 1.4 Products and goods >. As for the overall number of vocabul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of both countries show high levels of vocabulary in the order of < 1.4 Products and goods >, < 1.3 Human activities and behaviors >.

      • KCI등재

        내적 성패귀인, 목표설정수준, 과제비용 간 구조적 관계에 대한 학교급의 차이 : 중고생의 수학과목을 중심으로

        엄태순(Tae-Soon Um),윤미선(Mi-Sun Y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는 수학과목에 대한 내적 성패귀인, 목표설정수준, 과제비용의 구조적 관계에서 중고생 간 학교급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경기⋅강원 지역 내 교육수준이 유사한 학교 단위로 편의표집 하였고,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된 1,030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2.0을 활용하여 정규성 및 변인 간 관계를 확인하고, M-plus 5.21을 활용하여 학교급에 따른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여 구조관계 및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모형의 학교급 간 차이는 성공-능력귀인과 기회비용, 성공-노력귀인과 기회 및 자아비용, 실패-노력귀인과 목표설정수준의 경로에서 유의하였다. 둘째, 학교급별 구조관계의 패턴은 유사하지만 일부 경로에서 통계적 유의성 여부가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목표설정수준의 매개효과는 경로와 크기에서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결론 학교급에 따라 본 연구모형의 구조적 관계에서 차이가 있으며, 목표설정의 적응적이고 긍정적인 기능이 학업상황에서 발휘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과제비용과 관련한 학교급 간 비교연구의 방향과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노력귀인의 역할에 대한 재고(再考)의 기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nternal success-failure attribution, goal setting level, and perceived task cost by school level in mathematics. Methods Using SPSS 22.0 and M-plus 5.21, it was finally analyzed that 1,030 data measur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at school level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Resul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chool level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aths from success-ability attribution to opportunity cost, from success-effort attribution to task cost(opportunity⋅ego cost), from failure-effort attribution to goal setting level. Seco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each school was verified as similar patterns except for some paths showing differences in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mediating effect of goal setting level was differed by school level.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is study by school level, and it was empirically confirmed that the adaptive and positive function of goal setting can be exerted in academic situations. It is also meaningful that it provided the direction and basic data for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school levels related to task cost.

      • KCI등재

        학교급별 영어수업에 나타난 교사ㆍ학생 상호작용 분석

        서소담 ( Seo Sodam ),김정렬 ( Kim Jeong-ryeol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교사교육연구 Vol.59 No.1

        본 연구에서는 FLint 분석법을 사용하여 학교급별 영어수업을 관찰하고, 수업 상황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에듀넷의 우수수업 동영상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수업관찰 및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학교급별 영어수업의 상호작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학교급에서 학생보다 교사의 발언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상호작용의 점유율이 교사에서 학생으로 점차 이동하였다. 둘째, 초중등 공통으로 교사의 정보 제공 비율이 높았으나, 교사가 학생에게 제공하는 정보의 유형에는 학교급별 차이가 존재하였다. 셋째,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학생의 단순반응은 감소하고, 자유로운 반응은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학생의 언어 능력 수준과 발달특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학생들에게 실제적이고 의미 있는 입력을 제공하도록 교사 발화가 질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생의 주도적이고 자발적인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방안을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This study aimed to observe English classes by school levels through FLint analysis, and investigate the general aspects of interaction. For this purpose, excellent classes were chosen for observation and analysis, which were then compared to notice differences in interaction patterns by school lev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teacher-talk is much higher than student-talk at every school level, but the occupancy of interaction is changed from teacher to student as school level increases. Second, the proportion of teacher giving information to students is high,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information by school levels. Third, as school level increases, there is a tendency to decrease the students’ simple responses and increase self-directed response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Teacher talk should be qualitatively improved for giving students meaningful input considering students’ language proficiency and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Also,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explore how to encourage student-centered interaction.

      • KCI등재

        학교급별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급당 학생 수 요인 분석

        오희정(Huijeong 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3

        목적 본 연구는 학교급별 학급당 학생 수 요인이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함으로써 학교의 효과성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학교급별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비교·분석하여 학교급별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에 따라, EDSS 교육 공공데이터 중에서 초·중·고 학급당 학생 수 및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전수평가의 최근 자료를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학교급별 학급당 학생 수가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제시하였다. 결과 그 결과, 학급당 학생 수 요인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급별로 유사점과 차이점이 존재하였다. 초등학교의 경우, 학급당 학생 수는 학업성취도 요인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등학교는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났다. 결론 학급당 학생 수 요인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학교급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다양하기 때문에 다른 변인들을 통제시킬 필요가 있으며, 학급당 학생 수 요인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대상자의 초기 학업성취도와 소속 학급에서 학습한 이후의 후기 학업성취도의 차이에 학급당 학생 수가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chools by examining how the factor in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ffect academic achievement by school level. Also,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s by school level, I trie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each school level. Methods Accordingly,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latest data on number of students pe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lass and the total national assessment of academic achievement among EDSS education public data to suggest how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by school level. Results As a result, there we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factor on academic achievement by school level.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a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secondary school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Conclusions The influence of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on academic achievement was found to vary by school level. However, since there are various factors that affect academic achievement, it is necessary to control for other variables. Also,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factor,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ubjects and their later academic achievement after learning in their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