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아동·청소년의 성별 및 학업성취수준과 정서행동문제 차이분석

        백승영 ( Baek Seung You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5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정서행동문제가 성별과 학업성취수준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중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집을 실시하였으며, 각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얻기 위해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아동·청소년들의 정서행동문제 중 내재화문제는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정서행동문제의 상호작용(학교급별×성별)에 따라 내재화문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청소년들의 정서행동문제 중 외현화문제는 초등학생 저학년과 고학년에서 학업성취수준에 따라 외현화행동문제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셋째, 아동·청소년들의 정서행동문제 중 총행동문제는 초등학생 저학년, 초등학교 고학년, 중학생 모두에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성별에 따라 정서행동문제의 차이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influence of the gender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s on the emotional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and youth is studied. To this end, the sampling was performed among the elementary and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area, the members being placed under Two-Way Analysis of Variance in order to obtain the results for each theme of study. The result is, firstly, that the internalizing problems in the emotional behavior problems of the children and youth were shown to be more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gender differ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s as the grades get higher from the elementary school level. Secondly, the externalizing problem of emotional behavior problems of the students turned out to be most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s. Thirdly, the total emotional behavior problems of the children and yout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all grades of elementary, and the middle school students, but it turned out that the gender did not make a great difference in the emotional behavior problems.

      • KCI등재

        학교급과 성별에 따른 아동과 청소년 정서행동문제의 정도 및 임상위험 차이

        백승영 ( Seung Young Baek ),이승희 ( Seung Hee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학령기 학생들의 정서행동문제(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정도와 임상위험이 학교급(초등학교 저학년, 초등학교 고학년, 중학교, 고등학교)과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90명,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90명, 중학생 105명, 고등학생 60명을 대상으로 부모용설문지를 배부한 결과 총 264부(회수율 76.5%)가 회수되어 분석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연구문제별로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기 학생들의 정서행동문제(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정도가 학교급과 성별에 따라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모두에서 학교급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모두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와 학교급과 성별간 상호작용은 없었다. 둘째, 학령기 학생들의 정서행동문제(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임상위험이 학교급과 성별에 따라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내재화문제와 총행동문제에서는 학교급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으나 외현화문제에서는 학교급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총행동문제 모두에서도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선행연구와 연계하여 논의되었으며 향후 관련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degree and clinical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proble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ccording to school levels(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gender. To do this, parents of 345 students(90 low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90 upp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105 middle schoolers, 60 high schooler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including K-CBCL. Two hundred sixty-four questionnaires were returned(return rate: 76.5%) and were used for data analyses. The data analyse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problems according to school levels; however, there were neither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nor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school levels and gender in the degree of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problems. (b)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al risk of in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problems according to school levels but not in the clinical risk of externalizing problems; furthermo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al risk of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problems according to gender.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sever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for future related research.

      • KCI등재후보

        초·중·고 학교급별 K-CBCL의 문제행동 특수척도와 DSM 진단척도의 차이분석

        백승영 ( Baek Seung You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6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K-CBCl의 문제행동특수 척도(강박, 외상후스트레스, 인지속도)와 DSM 진단척도(정서, 불안, 신체화, ADHD, 반항문제, 품행문제)가 성별과 학교급별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지는 9월부터 11월 2개월에 거쳐 초등학교 저학년, 초등학교 고학년, 중학생,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한 결과 332부를 회수하였으며, 연구결과 첫째, 학교급별에 따른 문제행동 특수 척도의 차이는 강박은 중학생들에게 높게 나타났으며, 외상 후 스트레스와 인지속도는 학년이 높이 올라 갈수록 높아졌고, 둘째, 학교급에 따른 DSM진단 척도의 차이도 학년이 높을수록 높아지고, 불안, ADHD, 반항, 품행문제는 학교급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나, 중학생들에게만 불안, ADHD, 반항, 품행문제는 다른 학년에 비하여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과 성별에 따른 문제행동 특수척도와 DSM진단 척도는 남학생에 비하여 여학생에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교급별 문제행동 특수척도와 DSM 진단 척도를 성별과 학교급별로 알아보고, 현재 아동,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가장 큰 문제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학부모와 교사들에게 정서행동문제를 지도하는데 도움이 되고 예방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Difference between the K-CBCL special checklist(obsession, post-traumatic stress, cognitive agility) and DSM diagnostic scale(emotional disturbance, somatization disorder, ADHD, disobedience, behavioral problems) is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school levels,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s.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00 lower and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ectively, and to as man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which 332 replies were retrieved. As the result, it turned out firstly that the obsessive behaviors appeared strong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ile the post-traumatic stress and the cognitive agility were greater for higher school grades, in case of the K-CBCL special scale. Secondly, the difference in DSM diagnostic scale with respect to the school levels appeared stronger as the school level went higher. The emotional instability, ADHD, disobedience and the behavioral problems did show variance with respect to the school levels, showing up strongest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Next, the difference in special checklist for the behavioral problems as DSM diagnostic scale to gender appeared stronger for female students than for male students. This study inquires what is the greatest problem for children and youths as of now by investigating K-CBCl special scales and DSM diagnostic scales in terms of gender and educational levels. This study will be an elementary data for parents and teachers to prepare useful measures of prevention and supervision of the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 다문화가정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에 관한 연구

        백승영(Baek Seung Young),선국진(Seon Kuk Ji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다문화가정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사회적 심리적 요인들과 그들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중심으로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는 점에 대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였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정서 행동문제에 대한 연구는 선행연구와는 달리 부모의 갈등과 양육태도, 정서 행동으로서의 내재화와 외현화 그리고 학교생활과 관련된 학교적응과 또래관계에 대해서 단편적이고 개별적인 변수들만의 관계만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인 차원에서 변수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오르프 접근의 음악치료가 지적장애 학생의 주의집중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백승영 ( Baek Seung You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4

        본 연구는 그룹음악치료가 지적장애 학생의 주의집중력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지적장애인 학생을 대상으로 신체활동에 어려움이 없는 학생 중에서 지능검사에서 전체지수(IQ)가 55~70미만인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첫째, 그룹음악 치료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FAIR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비모수 검정방법을 이용한 Wilcoxon Rank Sum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그룹음악치료가 지적장애 학생들의 주의집중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그룹음악 치료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검사를 평균으로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 일반적으로 학교, 가정에서 자아존중감은 향상되었지만 사회에서의 자아존중감은 향상되지 않았다. We investigated how the study group music therapy affects concentration, attention and self-esteem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students from Gwangju area whose full quotient (IQ) ranges from 55 to 70, yet with no physical activity challenges were selected. First, we used the nonparametric Wilcoxon Rank Sum Test in order to probe the effect of the group music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the attention concentration of the students. The study showed that group music therapy did improve the attentivenes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in order to see how the group music therapy program affects the self-esteem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preand post-tests were averaged. The result was that the students`` self-esteem was appreciably enhanced in home and in school, but not so much in the greater activity space, i.e., the community, in general.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연구 : 2009 KISE 정서,행동장애 선별검사의 양호도 및 개선방안

        이승희 ( Seung Hee Lee ),백승영 ( Seung Young Baek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2011 특수교육실태조사’(국립특수교육원, 2011)에서 사용된 정서·행동장애 선별검사(국립특수교육원, 2009)(이하 KISE-선별검사)에 의한 출현율이 너무 낮게 나타난 것에 주목하고 KISE-선별검사의 양호도를 출현율, 타당도, 신뢰도를 통해 검증한 후 그 결과를 근거로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G시 소재 초·중·고등학교 학생 264명(초등학교 119명, 중학교 100명, 고등학교 45명)을 대상으로 KISE-선별검사와 K-CBCL을 실시한 후 출현율, 타당도, 신뢰도를 산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ISE-선별검사에 의한 출현율은 초·중·고등학교에 걸쳐 전반적으로 낮았다(초등학교 6.7%, 중학교 9.0%, 고등학교 11.0%, 전체 8.3%). 둘째, KISE-선별검사의 타당도(kappa: κ)는 초·중·고등학교에 걸쳐 전반적으로 낮았을 뿐 아니라 학교급간 차이도 다소 크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저학년 .50, 초등학교 고학년 .17, 중학교 .22, 고등학교 .31, 전체 .29). 셋째, KISE-선별검사의 신뢰도(Cronbach a)는 총문항에서는 초·중·고등학교에 걸쳐 전반적으로 양호하였으나(초등학교 저학년 .90, 초등학교 고학년 .72, 중학교.83, 고등학교 .73, 전체 .83) 영역별(I~IV)로는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같은 영역이라도 학교급에 따라 다소 큰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 및 그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KISE-선별검사의 출현율 개선방안, 타당도 개선방안, 신뢰도 개선방안, 기타 개선방안이 제시되었다. Given that the prevalence came out too low as a result of using the screening test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KISE, 2009)(hereinafter referred to KISE-screening test) in ``a nation-wide survey on special education of 2011``(KISE, 201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usability of the KISE-screening test in terms of prevalence,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to propose opinions on improvement of the test. To do this, KISE-screening test and K-CBCL were completed for 264 students(elementary 119, middle 100, high 45) and the prevalence,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calculated. The calculations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a) The prevalence was generally low throughout all school levels(elementary 6.7%, middle 9.0%, high 11%, overall 8.3%). (b) The validity(kappa: κ) was not only generally low throughout all school levels but also kind of largely discrepant among school levels(lower grades of elementary .50, higher grades of elementary .17, middle .22, high .31, overall .29). (c) The reliability(Cronbach a) was generally good in total items throughout all school levels(lower grades of elementary .90, higher grades of elementary .72, middle .83, high .73, overall .83); however, it was kind of discrepant among subscales(Ⅰ~Ⅳ) and was somewhat largely discrepant even in the same subscale according to school level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and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 proposed were several opinions on improvement of the KISE screening test in terms of prevalence, validity, reliability, and so forth.

      • KCI등재

        정신지체 중학생의 어머니들이 인식하는 자녀의 진로에 대한 질적 연구

        김정연 ( Jeongyoun Kim ),백승영 ( Seung Young Baek ),신일근 ( Il Geun Shin ),윤송이 ( Song Ei Yun ),윤형준 ( Hyung Jun Yun ),양성오 ( Sung Oh Y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2

        본 연구는 중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정신지체 자녀를 둔 어머니가 인식하는 자녀의 진로 장벽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정신지체 학생의 어머니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3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1) 자녀의 진로에 대해 부모가 인식하는 장벽(가정 차원, 학교 차원, 지역사회 차원), 2) 성공적인 진로 찾기를 위한 역량강화 과제(자녀와 가정 차원, 학교 차원, 지역사회 차원, 정부 차원), 3) 정책적 지원. 본문에서 면담에 참여한 어머니들의 구체적인 인터뷰 내용을 제시하였고, 자료의 분석을 통해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정신지체 중학생의 진로 장벽의 관련 요소를 살펴보고, 필요한 지원과 정책을 고찰하고 앞으로의 나아갈 방향과 학교와 가정을 연계한 진로 지원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reer barriers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attended general middle schools. Interviews with 10 mothe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others’ experiences with their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ee themes emerged from qualitative analysis: (1) the impact of student’s career barriers (2) the task of empowerment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3) the support needed for raising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s for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