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외 대학 한국어 수업에서의 프로젝트 수업사례 연구

        지서원(Seowon CHI),권문화(Wenhua Quan),찬와이밍(Wai Meng Chan) 경희대학교 학술단체협의회 2022 高凰論集 Vol.70 No.-

        본 논문은 싱가포르대학교의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1학기동안 진행한 프로젝트 기반 수업의 사례에 대한 연구이다. 프로젝트 수업은 학습자가 수업에서 배운 주제들을 교실 수업과 연계하여 교실밖에서도 배운 지식을 적용하고 새로운 지식을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프로젝트 기반 수업은 학습자들이 직접 정한 주제에 대한 내용을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자료를 취합하고 자료를 조사한 후 주제와 관련된 직업의 종사자 또는 전문가들과 인터뷰를 하는 것이다. 이 수업은 최종적으로 13주차 동안 준비한 내용 및 인터뷰 내용을 발표한 후 동료 평가와 교수자의 최종 평가로 구성되었다. 프로젝트 수업 후, 교사는 프로젝트에 참여한 18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는 학습자들이 프로젝트 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를 통해 한국 문화를 더 깊게 알게 되었고 학습자들의 고유문화와 비교하여 분석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어서 13주간의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학습자들은 프로젝트 수업의 주제를 선정하는 부분에서 어려움을 느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주제선정 시 교사가 좀 더 많은 자료와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지침을 적극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프로젝트 수업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고는 싱가포르대학교 한국어 프로젝트 수업의 실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제2언어 환경에서 고급 학습자를 위한 프로젝트 수업의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프로젝트 수업 사례를 통한 프로젝트 수업의 의미 탐색

        오영범 한국교육개발원 2017 한국교육 Vol.44 No.1

        Purpose: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project instruction through a project instruction case based on a scholastic context. To facilitate this, the author first demonstrated a project instruction case according to Kilpatrick’s 4 step process: goal establishment,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Second, the author analyzed the meaning of project instruction.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Qualitative data such as interviews, blogs, and reflection diaries were collected. Qualitative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transcription, coding, and theme finding using Parangsae2.0, which is a Computer 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program written in Korean. Findings/Results: The meaning of project instruction derived from the qualitative data suggests the following: practical learning connects the subject to the context of real life, a systemic community occurs through the constructive integration of the cognitive domain and the affective domain, there is an increase in latent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 formation of a semantic network combining fragmented knowledge occurs. Value: Based on these four results, this paper validates two core principles: first, the potential of research and practice regarding project instruction; second, the valid necessity of project instruction based on the four stage process employed in this study. 본 연구는 한 초등학교 교사가 진행한 프로젝트 수업 사례를 통해 프로젝트 수업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두 가지의 구체적인 연구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Kilpatrick이 제시하고 있는 프로젝트 수업의 단계(목적 설정, 계획, 실행, 평가)에 따라 프로젝트 수업 사례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둘째, 프로젝트 수업 사례 속에 담긴 프로젝트 수업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면담, 블로그, 성찰 일지와 같은 질적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면담은 본 연구에서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한 이교사와 그가 담당하고 있는 16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이교사가 교육 자료 수집과 수업 관련 글쓰기를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블로그를 수집하였다. 연구자는 이 과정에서 프로젝트 수업의 의미를 도출하는 데 필요한 성찰 일지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질적 자료는 한국형 CAQDAS(Computer 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인 파랑새2.0(www.thebluebird.kr)을 활용하여 전사, 코딩, 목록화, 의미 발견의 순서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프로젝트 수업 사례를 통해 밝혀진 의미는 교과와 삶의 맥락을 연계한 실제적 학습, 인지와 정의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유기적 학습공동체 구축, 잠재된 학습동기 및 자기 주도적 학습력 증대, 파편화된 지식을 통합하는 의미망 구축의 네 가지로 밝혀졌다. 이 연구는 최근의 배움중심수업과 함께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프로젝트 수업의 유용한 사례를 제공함으로써 교육 현장에서 프로젝트이 필요한 타당성을 강화해 주는 측면이 있다. 아울러, 본 사례를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창의적인 사례들이 더욱 확산 보급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한국어 프로젝트 수업 모형 개발 연구

        이정연 ( Lee Jungyou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3 외국어교육연구 Vol.37 No.2

        본 연구는 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고급 학습자들에게 요구되는 학습 능력인 비판적 사고력, 문제 해결력 등을 기르기 위한 방법으로 프로젝트 기반 학습법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학습 상황을 고려하여 교실 수업과 동시에 플립 러닝의 형태로 학습자들에게 학습 내용을 전달하는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법에 따른 수업 진행 시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보고 수업 모형에 이러한 과정을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수업의 효과를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프로젝트 수업 모형 설계를 위해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한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고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요구 조사도 실시하였다. 실험은 대학 부설 언어교육기관에서 2022년 봄학기 한국어 수업을 수강 중인 외국인 유학생 8명을 대상으로 약 4주 간 진행되었다. 프로젝트 수업은 프로젝트 전 단계, 프로젝트 단계, 프로젝트 후 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특히 프로젝트 전 단계에서는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수업 전반에 걸친 안내를 플립 러닝의 형태로 제공하였고 프로젝트 단계에서는 구체적이고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학생들의 성취 목표 달성 정도를 수시로 확인하였다. 학습자들은 사후 진행된 설문 조사에서 정보 조사 및 발표 자료 작성 능력 및 협업 능력,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실제 프로젝트 성적 향상도를 보았을 때에도 기존의 프로젝트 수업 모형으로 실시한 프로젝트 성적에 비해서 수정된 프로젝트 수업 모형으로 진행된 프로젝트 성적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험 집단의 학습자 중 숙달도 ‘하’인 그룹의 학생들의 점수의 향상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ffective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for advanced Korean adult learners. In addition, experiments proved that this educational method is effective in improving Korean language skills and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In particular, blended learning was used in experiments as the form of flipped learning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ing situation in the post-COVID-19 era. In addition, since the role of teachers in classes is very important in project-based learning methods, this paper attempt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lasses through active intervention by teachers. In order to design the project class model, a literature survey based on previous studies was conducted, and a demand survey for students and teachers was also conduct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eight foreign students taking Korean classes in the spring semester of 2022 at a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 affiliated with the university for about four weeks. Project classes were divided into pre-project stages, project stages, and post-project stages. Especially in the pre-project stage, students were provided with guidance of whole process as flipped learning way. In the project stage, specific and detailed information was provided, and at the same time, the degree of achievement goal of the student was frequently checked. In the post-experimental survey, learners responded that their ability to write information survey and create presentation materials,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were improved. In terms of improving project performance, the project applying the educational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have improved performance compared to those that did not. In particular,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learners, the scores of group students with low proficiency improved the most.

      • KCI등재

        초등학교 프로젝트 수업의 교사-학생 상호작용 특성 분석

        임슬아,김현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3

        Objectives This study focu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mo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project based learning, and attempt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by observing project-based elementary school classes. Methods To this end, The AF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languag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CLASS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emotional support, classroom organization, and instructional support’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addi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landers area analysis, the Flanders Top 10 Index, and the CLASS analysis. In addition, Classes were classified by type to confirm the results of the interaction analysis of ‘emotional support, classroom organization, and instructional support’ according to the type of language interaction,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Results First, In the project based learning, the ratio of items 0 (other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items 5 (lecture), items 9 (student-led remarks), and items 4 (teacher's questions). Second, In the project based learning, the index in which teachers accept students' opinions or emotions and the index in which students take the initiative in asking and speaking were high. In addition, the index of teachers asking questions using students' remarks was also high. On the other hand, In the project based learning, the index in which teachers criticize students or justify teachers' authority was low. Third, In the project based learning, the flow of ‘teacher's lecture-nonverbal situation-teacher's lecture’ was high. Fourth, In the project based learning, the ‘emotional support’ area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classroom organization’ and ‘instructional support’ area. However, the average for all three areas showed a moderate or higher level, and the deviation was not large, showing a similar tendency. Conclusions First, Project based learning is a class that utilize directive remarks from teachers to induce student-led inquiry activities. Second, Project based learning is a class that emphasizes the attitude of warm-hearted acceptance of students' opinions or emotions without advocating the authority of teachers. Third, Project based learning is a class with a high percentage of students leading throughout the class. Fourth, Project based learning is a class that mainly utilize teachers' questions as feedback on students' remarks. Fifth, Project based learning is a class in which non-verbal situations such as student-led inquiry activities or waiting time for student to think account for a high percentage. Sixth, The flow of project based learning is at a very high rate of ‘teacher's lectures-nonverbal situations-teacher's lectures’. Seventh, Project based learning is a class in which interactions through ‘emotional support, classroom organization, and instructional support’ appear positively. 목적 본 연구는 프로젝트 수업의 여러 특성 중에서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고,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수업을 관찰하여 그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교사와 학생 간의 언어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한 AF 분석과 교사와 학생 간의 ‘정서지원⋅학급조직⋅수업지원’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한 CLASS 분석을 활용하였다. 또한, Flanders 영역별 분석, Flanders 10대 지수, CLASS 분석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언어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정서지원⋅학급조직⋅수업지원’ 상호작용 분석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유형별로 수업을 분류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첫째, 프로젝트 수업은 제0항목(기타)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제5항목(강의), 제9항목(학생 주도의 발언), 제4항목(교사의 질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프로젝트 수업은 교사가 학생의 의견이나 감정을 수용하는 지수와 학생이 주도적으로 질문하고 발언하는 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가 학생의 발언을 활용하여 질문하는 지수도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교사가 학생을 비난하거나 교사의 권위를 정당화하는 지수는 낮게 나타났다. 셋째, 프로젝트 수업은 ‘교사의 강의-비언어적 상황-교사의 강의’의 흐름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젝트 수업은 ‘정서지원’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학급조직’, ‘수업지원’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세 영역의 평균이 모두 중간 이상의 수준을 보였고, 그 편차가 크지 않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결론 첫째, 프로젝트 수업은 학생 주도의 탐구 활동을 유도하기 위해 교사의 지시적 발언을 활용하는 수업이다. 둘째, 프로젝트 수업은 교사의 권위를 내세우지 않고, 학생의 의견이나 감정을 온정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강조하는 수업이다. 셋째, 프로젝트 수업은학생이 수업의 전반에 걸쳐 주도하는 비율이 높은 수업이다. 넷째, 프로젝트 수업은 학생의 발언에 대해 피드백으로써 교사의 질문을주로 활용하는 수업이다. 다섯째, 프로젝트 수업은 학생 주도의 탐구 활동이나 학생 사고 대기 시간과 같은 비언어적인 상황이 높은비율을 차지하는 수업이다. 여섯째, 프로젝트 수업의 진행 흐름은 ‘교사의 강의-비언어적 상황-교사의 강의’가 매우 높은 비율로나타난다. 일곱째, 프로젝트 수업은 ‘정서지원⋅학급조직⋅수업지원’을 통한 상호작용이 긍정적으로 나타나는 수업이다.

      • KCI등재후보

        실과 프로젝트 수업에 관한 질적 탐구

        노희찬,송현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1 實科敎育硏究 Vol.1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수업이 학습자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를 탐색해 보는 데 있다. 연구 주제는 첫째,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길러지는 능력은 어떤 것들이 있는 가? 둘째, 프로젝트 수업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효과는 무엇인가? 이다. 이 연구의 대상 은 경기도 고양시 B초등학교 5학년 1개 반으로 남자 18명, 여자 15명이다. 이 연구에 서 사용한 프로젝트 과제는 ‘콩’ 프로젝트이다. 자료 수집은 관찰, 면담, 소감 발표, 참 여 관찰을 이용하여 이루어졌고, 프로젝트 수업 과정 중에 학생들의 활동은 비디오로 녹화되어 전사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 자료 통합, 영역 분류, 코딩의 절차를 통해 분석하고 해석 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과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길러지는 능력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첫째, 학생들은 스스로 탐구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신장되며, 자기 스스로 연 구 과제에 대하여 계획을 세워 해결 할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 해 참여와 협력을 할 수 있으며, 토의 과정을 통해 의사 소통 능력을 지니게 되었다. 셋째, 프로젝트 수업에서 토의를 통해 자신의 역할 및 임무를 인지하고 실천하는 책임 감을 기르게 되었다. 넷째, 학생들은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의 증가로 내적 동기가 커졌으며, 프로젝트와 관련된 지식을 획득하여 다른 프로젝트에 적용할 능력을 지니게 되었다. 2. 실과 프로젝트 학습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효과는 무엇이 있는가? 학생들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과정을 통해 지식의 확대 및 재생산을 해내 고 있었으며, 유연한 개방적 사고를 지니게 되었다. 또한 프로젝트 수업 활동에서 학생 들은 어느 때 보다도 더욱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학생들의 내적 동기가 향상되어 적극 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노력한 땀의 가치를 체득하여 노작활동의 소중함을 알게 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through qualitive inquiry into project clas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abilities are developed through project class? Second, what effects does project class have on the learn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fifth‐grade class at B Elementary School in Goyang City, Gyeonggi‐do, and included 18 male and 15 female children. The project used in this study was the ‘Bean’ Projec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 interviews, impression presentation, an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students’ activities during each session of the project were videotaped and transcrib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through the procedure of transcription, data integration, area classification and co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had enhanc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to make research by themselves, and became able to plan and solve by themselves for a given research task. Second, they participated and cooperated through social interaction, and attained abilities to communicate through discussions. Third, they developed responsibility through recognizing and carrying out their roles and duties through discussions. Fourth, they showed internal motivation intensified by heightened interest in the project class, and attained knowledge related to the project as well as abilities to apply the knowledge to other projects. The students expanded and reproduced knowledge through the process of generating creative ideas, and came to do flexible open thinking. In the project class activities, moreover, they participated more voluntarily than in any other cases, and their intensified internal motivation induced them to participate in the class actively. From the project class, the students experienced the value of sweat and the importance of laborious activities. In conclusion, project class is considered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for enhancing learners’ ability and through improving their abilities and concentration on the class.

      • KCI등재후보

        초등 교사의 프로젝트 수업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연구

        김현주,송현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교육논총 Vol.38 No.2

        이 연구는 프로젝트 수업을 실천하는 교사의 경험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자문화기술지 방법을 통해 탐구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초등교사는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 그리고 어떻게 변화해 가는가?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선정한 연구 방법은 자문화기술지 방법이고,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 자신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연구주제 선정, 자료 수집, 자료 분석, 자문화 글쓰기의 절차를 거쳤다. 연구 참여자는 프로젝트 수업을 실천하면서 어떤 경험들을 하고 있는가? 그 결과는 ,‘첫번째 해: 소극적인 시도 그리고 포기’, ‘두번째 해: 좋은 수업 따라하기, 그리고 혼란’, ‘세번째 해: 프로젝트 수업 모방 그리고 다시 배우기’, ‘네번째 해: 프로젝트 수업 한걸음씩 다가가기, 그리고 안정’, ‘다섯번째 해: 나의 프로젝트 수업 그리고 도약’이다. 두 번째 연구 문제인 프로젝트 수업 과정에서 교사는 어떤 변화를 경험하는가?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활용의 변화, 둘째, 수업 주도권의 변화, 셋째, 가상의 세계가 아닌 실제의 세계와 교감하는 수업 실천, 넷째, 교사 자신의 수업 방법을 개발, 다섯째, 학생과 교사의 동반 성장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teacher's experience of teaching project class through the auto-ethnography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the researchers themselv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 “what does the teacher experience in the project class?”, and b) “how does the teacher change?”.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he sequence of selecting research topic, collecting data, analyzing the data, and writing the auto-ethnography. The results are as follows: passive try and give up (year 1), following good classes and confusion (year 2), imitating and learning again (year 3), project lessons step by step, and stable (year 4), and my project lessons and leaps (year 5). Regarding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meaningful changes have been observed in the four areas: a)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the curriculum., b) the class initiative, c) the class practi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real world rather than the virtual world, and d) co-growth of teacher and student.

      • KCI등재

        초등 교사의 프로젝트 수업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연구* *

        김현주(Kim Hyun-Ju),송현순(Song Hyun-Soon)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교육논총 Vol.25 No.2

        이 연구는 프로젝트 수업을 실천하는 교사의 경험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고, 그것을 실 현하기 위해 자문화기술지 방법을 통해 탐구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초등교사는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 가? 그리고 어떻게 변화해 가는가?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선정한 연구 방법은 자문화기 술지 방법이고,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 자신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연구주제 선 정, 자료 수집, 자료 분석, 자문화 글쓰기의 절차를 거쳤다. 연구 참여자는 프로젝트 수업을 실천하면서 어떤 경험들을 하고 있는가? 그 결과는,‘첫 번째 해: 소극적인 시도 그리고 포기’,‘두번째 해: 좋은 수업 따라하기, 그리고 혼 란’,‘세번째 해: 프로젝트 수업 모방 그리고 다시 배우기’,‘네번째 해: 프로젝트 수 업 한걸음씩 다가가기, 그리고 안정’,‘다섯번째 해: 나의 프로젝트 수업 그리고 도약’ 이다. 두 번째 연구 문제인 프로젝트 수업 과정에서 교사는 어떤 변화를 경험하는가?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활용의 변화, 둘째, 수업 주도 권의 변화, 셋째, 가상의 세계가 아닌 실제의 세계와 교감하는 수업 실천, 넷째, 교사 자 신의 수업 방법을 개발, 다섯째, 학생과 교사의 동반 성장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teacher s experience of teaching project class through the auto-ethnography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the researchers themselv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 “what does the teacher experience in the project class?”, and b) “how does the teacher change?”.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he sequence of selecting research topic, collecting data, analyzing the data, and writing the auto-ethnography. The results are as follows: passive try and give up (year 1), following good classes and confusion (year 2), imitating and learning again (year 3), project lessons step by step, and stable (year 4), and my project lessons and leaps (year 5). Regarding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meaningful changes have been observed in the four areas: a)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the curriculum., b) the class initiative, c) the class practi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real world rather than the virtual world, and d) co-growth of teacher and student.

      • KCI등재

        디자인 졸업 작품전을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 사례 연구

        임병우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5 No.-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산업디자인학과 4학년 1학기 수업을 디자인 졸업작품 프로젝트 수업으로 운영하고 나타난 효과 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산업디자인학과 4학년 1학기 전공 교과인 <광고미디어워크숍>을 디자인 졸업작품 프로젝트 수업 방식으로 설계하였으며, 수업 결과 산출물로 SNS를 비롯한 다양한 디지털미디어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 인 광고 형식 또는 새로운 형식의 커뮤니케이션 영상을 완성하여 학기 말에 발표하도록 문제를 제시하고 수업계획에 맞춰 운영하였다. 프로젝트 수업은 학습자 중심 수업으로 학습에 대한 다양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테크 놀로지 활용 문제해결에 대해 긍정적으로 기대할 수 있어 대학의 디자인 졸업작품 수업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연구 대 상은 수도권 S대학의 산업디자인학과 4학년 학생들로 구성되었고, 총 29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수업은 대부분 3 인 이상으로 구성된 총 11개의 팀으로 운영되었다. 분석에 이용한 자료는 프로젝트 수업에 대해 한 학기를 모두 마친 학습 자들이 작성하여 제출한 성찰일지와 자기평가지, 참여와 결과에 대한 만족도 평가지였다. 성찰일지에서는 키워드와 의미 분석을 통해 협업에 대한 이해, 교과 관련된 지식 습득과 적용, 신기술 수용 태도 변화, 공감적 이해, 문제해결력 향상, 실 제적 경험, 반성과 자아성찰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자기평가와 만족도 조사에서는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에서 평가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프로젝트 수업이 디자인 졸업작품 창작에서 요구되는 문제에 대한 공감적 이해, 지식 습득과 기술 적용 등의 다양한 학습효과를 통해 실제적인 문제해결로 이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 디자 인 졸업작품 수업의 효과를 향상하기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perate the first semester class of the industrial design department at a university as a design graduation project class and investigate the effects shown. For the research, <Advertising Media Workshop>, a major subject for the first semester of the fourth year of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was designed as a design graduation project class, and the class results were general advertising formats or new formats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digital media, including SNS. A communication video was completed, problems were presented to be present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and it was operated according to the class plan. Project classes are learner-centered classes and are known to have various effects on learning. In particular, they can be expected to positively solve problems using technology, so they were judged to be suitable for university design graduation work classes.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fourth-year industrial design students at S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a total of 29 people participated. During the research process, most classes were run in a total of 11 teams consisting of three or more people.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were reflection logs, self-evaluation forms, and satisfaction evaluation forms regarding participation and results submitted by learners who completed a full semester of project classes. In the reflection journal, the effects of understanding collaboration, acquisition and application of subject-related knowledge, change in attitude toward accepting new technology, empathetic understanding, improvement of problem-solving skills, practical experience, reflection, and self-reflection were confirmed through analysis of keywords and meanings. Self-evaluation and satisfaction surveys showed evaluation results at an overall high level.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project classes lead to practical problem solving through various learning effects such as empathic understanding of problems required in the creation of design graduation works, knowledge acquisition, and technology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student design graduation work classes.

      • KCI등재

        ‘역사하기(doing history)’를 위한 프로젝트 역사 수업 방안 -‘여러 나라의 성장’ 단원을 중심으로-

        허은철(Heo, Eun-Ch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1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이 강조되면서 이를 위한 다양한 수업 방식의 시도가 이전보다 늘어나고 있다. 그 중에서 학습자 스스로 직접 생각, 체험하고, 토론하는 ‘역사하기(Doing History)’가 가능한 프로젝트 역사 수업이 주목되고 있다. 프로젝트 역사 수업은 학습자 스스로 문제의식을 가지고 주제를 선정하는 단계부터 조사, 연구, 발표 및 평가까지 학습의 모든 과정에 걸쳐 학습자 스스로가 참여하는 수업 모형을 말한다. 프로젝트 역사 수업은 기존 암기식 역사 수업을 벗어나 학습자 스스로 문제 해결 방법을 찾아가며 문제해결을 통해 성공 경험을 갖게 하고, 모둠원 간의 상호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여 결과를 도출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역사 수업의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프로젝트 역사 수업에서 교사는 안내자로서 학습자와의 활발한 피드백을 통하여 학습자가 유의미한 학습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조력자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프로젝트 학습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지만 역사 수업에서 프로젝트 학습의 활용도는 매우 낮다. 따라서 입시체 제, 평가의 공정성, 수업 환경의 제한 등 여러 제약이 있겠지만 앞으로 다양한 프로 젝트 역사 수업에 대한 실천적인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역량을 기르는 일이기 때문이다. As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tresses core competencies, more and more teaching methods are being tried these days. Among them, project history class is being highlighted as it allows learners to ‘doing history’ involving thinking on their own, experiencing, and discussing, and so on. Project history class refers to the class model that allows learners to participate directly in all the processes of learning, from the step to choose a topic based on their critical mind to those of investigation, research, presentation, and evaluation. Because project history class allows learners to find solutions to problems themselves being freed from existing history class focusing on memorization, have successful experiences through problem solving, and draw a result by solving problems through mutual cooperation among group members, it can turn out to be a realistic alternative for history class. In the project history class, the teacher plays roles as a guide exchanging feedback positively with learners and as an assistant helping learners to gain significant learning results. Although the importance of project learning is being emphasized more and more gradually, it is, in fact, hardly being used in history class. Therefore, even though there exist several barriers in applying it, for example,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fairness of evaluation, or restrictions in class environment, it is needed to conduct practical research on project history class multilaterally and aggressively afterwards. It is because this is a way to enhance core competencies stress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프로젝트 기반 수업이 과학개념 및 과학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이용섭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8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활용한 과 학수업이 과학개념 습득 및 과학학습동기에 미치는 효 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S초등학교에서 4학 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반 선정을 위해 담 임교사에게 동의를 구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에게는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연구에 대한 동의를 받았다. 연구자가 직접 내방하여 연구반 1개반을 선정 하였다. 연구반에 대해서는 담임교사를 실험처치자로 선정하여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활용한 과학수업을 진 행하였다. 연구기간을 설정하여 40분 단위 수업을 12 주 동안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수업 후에는 사후 과학 개념 검사, 과학학습동기 검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 집 분석하여 정리하는 단계로 진행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과학개념 습득 향상에 긍정적인 효 과가 있었다. 둘째, 프로젝트 기반 수업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과학학습동기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프로젝트 기반 수업 후 연구집단의 학습자들 인 식 반응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ject-Based Learning on Science Concepts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This particular study was proceeded to 4th grader at S elementary school, there was a mutual agreement with a homeroom teacher about assigning a research group and comparison group and it was agreed to students by explaining the reason and purpose of the study. There searcher visited in person to pick 22 students for research group and another 20 students for comparison group. For a research group, an experimental group, homeroom teacher, proceeded a science class with the applic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The experimental period was set up as a 40 minutes class unit for 12 weeks. After an experimental group, Science Concepts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were examined,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were proceeded by order. The following experimental results are as below. First, the applic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in a class was effective in improvement of Science Concepts acquisition. Second, the applic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in a class was effective in cultivation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Third, the applic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in a class had a positive cognition from the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Based on th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suggestions in the follow - up study are as follows. First, applying Project-Base Learning to various science lessons and learning effects can be suggested as one of the new teaching methods. Second, the use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to test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fferent grades may be regarded as another teaching method for science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