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푸드트럭 사업의 경제적 특성 및 제도화 방안

        최재송 경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한국사회연구 Vol.19 No.-

        푸드트럭 사업에 대한 우리나라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기본 방침은 가능한 한 철저히 규제하여 그 영업을 최대한 제한하는 것이다. 하지만 푸드트럭 사업은 불법 상행위와 동일한 차원의 개념이 아니며, 오히려 지방경제와 주민복지의 차원에서 규제보다는 보완적인 대안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 러한 규제에도 불구하고 푸드트럭 사업을 선택하는 논리는 공식적인 경제영역에 대한 진입이 어려운 상황에서 비공식적 경제영역으로서의 푸드트럭 사업이 비교적 진입도 용이하고 이익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는 미국의 대도시 정부처럼 우선 푸드트럭 등록제와 실명제를 철저히 실시하여 푸드트럭 사업의 공식화를 도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때로는 복지의 차원에서 빈곤층 주민의 푸드트럭 영업을 허용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정책 대안의 중요한 핵심은 푸드트럭 사업자와 정 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경제적 이해관계를 일치시키는 것이다. The current policy of Korea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oward food truck vending is to regulate as much as possible. The concept of food truck vending, however, is not identical with that of illegal behavior. Rather, it is required, in terms of local economy and resident welfare, to find a complementary alternative to command and control. The logical reason to choose food truck vending as an occupation in spite of such regulation is that food truck vending may be relatively easier to enter and more profitable than formal economic activities. Our local governments, therefore, are recommended to try to formalize food truck vending. These types of effort may include the registration and identification of food truck vending as American metropolitan governments issue licenses to food truck vendors. It is also recommended to take a more generous position to food truck vendors in extreme poverty for the purpose of welfare. The main point of the effective policy alternative is to reach a consensus of economic interests between food truck vendors and government.

      • KCI등재

        푸드 트럭의 지각된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주성민(Joo Sung Min) 한국외식경영학회 2018 외식경영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푸드 트럭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외식산업에서 경쟁적인 우위를 점할 수 있는 푸드 트럭의 효율적인 방안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푸드 트럭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서울지역의 푸드 트럭 이용자를 대상으로 2018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 동안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나 그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27부를 제외한 223부의 설문지가 최종적으로 연구 자료로서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3.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용한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첫째, 푸드 트럭의 서비스 품질은 고객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접점 서비스품질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푸드 트럭의 고객만족은 재방문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푸드 트럭의 서비스 품질은 재방문 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접점 서비스품질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푸드 트럭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기대를 만족시킬 수 있는 푸드 트럭 품질과 접점서비스품질의 전략적 방안에 대한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food truck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and propose efficient measures for food truck that can have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food industry. Therefore, in this study, empirical data was users who had experience using food trucks in Seoul of Korea and total 223 completed during the period of May 1 to May 31, 2018. It includes frequency analysis to look at the demographic features of the sample and factor analysis to classify the customer satisfaction, service quality and revisit intention of food truck.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therefore, are as follows: first, the quality of service of food truck will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s to customer satisfaction, but that the quality of encounter services were not. Second, the customer satisfaction will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s to the revisit intention. Third, the quality of service of food truck will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s to the revisit intention, but that the quality of encounter services were not. The implications for the strategic measures of food truck quality and encounter service quality were suggested to customers.

      • KCI등재

        푸드트럭 판매 메뉴 가격 민감도 분석

        이은용,박규은 한국관광연구학회 2018 관광연구저널 Vol.32 No.12

        최근 푸드 트럭의 많은 관심을 얻게 되면서 창업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푸드 트럭이라는 특성을 고려한 메뉴 가격 결정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격민감도분석을 활용하여 푸드트럭의 대표메뉴(스테이크, 토스트, 닭꼬치)를 선정하고 가격민감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푸드트럭 메뉴 가격에 대한 적정한 가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문 서베이 기관을 통해 최근 한 달 이내에 푸드트럭의 본 연구에서 선정한 대표 메뉴를구입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대상으로 일주일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PSM 분석 결과, 푸드트럭 스테이크의 무관심가격은 5,700원으로 나타났으며, 무관심가격의 누적응답율은 23.21% 로 나타났다. 적정가격은 4,900원, 가격긴장은 800원, 최고한계가격은 8,600원, 최저한계가격은 3,500원으로 나타났다. 토스트는 누적응답율은 13.43%에서무관심가격이 2,400원이었으며, 적정가격은 2,500원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격긴장은 -100원이었으며, 최고한계가격은 4,000원, 최저한계가격은 1,300원, 수용가격대는 2,700원의 범위로 조사되었으며, 닭꼬치의 경우, 2,200원이 무관심가격으로 16.35%의 누적응답율을 보였으며, 적정가격은 2,100원, 가격 긴장이 100원으로 조사되었다. 최고한계가격은 3,600원, 최저한계가격은 1,200원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토스트와 닭꼬치에 대한 가격민감도는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스테이크는 이 두 메뉴와는 다른 성격의 가격민감도를 나타내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또한, 외식 시 선호하는 메뉴에 따라서 가격민감도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푸드트럭 메뉴의 가격 정책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푸드트럭, 소셜미디어, 유동하는 쿠바 음식문화

        배진숙(Jin Suk Bae)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4 영미연구 Vol.60 No.-

        본 논문에서는 존 패브로 감독의 영화 『셰프』를 중심으로 미국의 민족·지역 음식문화를 살펴보고 소셜미디어 공간에서의 음식사진 공유가 실제 생활세계에서의 음식 소비와 생산에 상호텍스트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한다. 연구의 주요 결과의 요약과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 『셰프』에서는 미국의 다양한 민족·지역 음식문화를 마이애미, 뉴올리언스, 오스틴, 로스앤젤레스로 이어지는 여정의 과정에 따라서 다양한 식재료와 공간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통해서 표현하고 있다. 지역성과 음식문화를 지역의 역사문화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독특한 거리의 풍광, 지역의 명소가 된 유명 식당, 색채가 풍부하고 생동감 있는 음식 이미지와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리, 경쾌한 배경음악 등을 통해서 복합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둘째, 이 영화를 통해 미국에서 푸드트럭의 창업 동기와 영업에 관한 이해를 고양할 수 있다. 주인공 칼 캐스퍼에게 있어서 쿠바음식과 푸드트럭은 자신의 셰프로서의 직업적 자율성과 창의성을 보장하는 상징과 인프라로서 역할한다. 셋째, 본 논문에서는 소셜미디어 플랫폼이 셰프의 직업적 명성에 미치는 양가적 영향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는데 영화의 스토리와 대사 분석을 통해 소비자의 관점이 아니라, 음식을 조리하고 판매하는 요식업 관계자들에 의한 미디어상의 음식문화 콘텐츠의 재현과 그 의미와 영향에 관해서 분석하였다. 결언하자면, 영화 『셰프』는 미국의 다양한 민족·지역 음식문화, 파머스마켓, 푸드트럭 문화를 영상을 통해서 소개하고 있다는 점에서 교육 영상콘텐츠로서 가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영화 매체를 통해서 미국에서의 푸드트럭의 창업과 운영, 그리고 푸드트럭 사업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음식문화가 디지털 미디어의 확산으로 인해서 어떤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사회적으로 재구성될 수 있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제고에 기여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ethnic and regional food culture in the United States, focusing on the Jon Favreau film Chef, and analyzes the intertextual impact of sharing food photos in social media spaces on the practice of food consumption and production in the real world. A summary and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Chef, America’s diverse ethnic and regional food culture is portrayed through cinematic images of various ingredients and urban spaces along the main characters’ journey to Miami, New Orleans, Austin, and Los Angeles. Each city’s locality and food culture are complexly expressed through unique street scenes that preserve the local history and culture, famous restaurants that have become local attractions, colorful and lively food images, sounds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and cheerful background music. Second, this film can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motivation for setting up and operating food trucks in the U.S. For the protagonist, Carl Casper, Cuban food and food trucks serve as symbols and infrastructure that guarantee his professional autonomy and creativity as a chef. By analyzing its storyline and dialogue, this article examines the ways, meanings, and repercussions of food culture representation in the media by those in the restaurant industry who prepare and sell food themselves, not by food consumers. To recapitulate, Chef is valuable as educational content in that it vividly introduces America’s diverse ethnic and regional food culture, farmers’ markets, and food truck culture. This article will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the prevalence of digital media can affect and socially reorganize food culture by examining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food trucks in the U.S. through the fil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truck businesses and social network services.

      • KCI등재

        푸드트럭의 서비스품질이 축제이미지 및 축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양성진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2 산업혁신연구 Vol.38 No.3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food truck service quality on festival image and festival satisfaction. Online survey method was used. A total of 500 participants requested an online survey link through e-mail and SNS, and a total of 278 respons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excluding 32 subjects who did not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d on the demonstration of hypothesis test, reliability and tangibles have significantly impact on festival image. In addition, all elements of food truck service quality have significantly impact on festival satisfaction. Last, the relationship between festival image and festival satisfaction was confirmed. The results may contribute to develop critical and practical marketing strategics for food truck service especially in festival industry. Furthermore,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a important study to develop academic framework for related studies in the future. 현대인들의 여가생활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높아지면서 자연스럽게 다양한 축제들이 개최되고 있다. 특히 축제에서 빼놓을 수 없는 먹거리는 축제에 대한 전반적 만족과 평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동의 편리함과 운영의 경제성으로 축제에서 먹거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푸드트럭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푸드트럭 서비스 품질이 축제이미지와 축제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로 인해 온라인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했으며, 총 500명의 참가자가 이메일과 SNS를 통해 온라인 설문 링크를 요청했다. 이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32명을 제외하고 총 278명의 응답이 통계분석에 사용되었다. 가설검증결과 푸드트럭의 서비스품질 중 신뢰성과 유형성이 축제이미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푸드트럭 서비스 품질의 모든 요인(신뢰성, 확신성, 대응성, 유형성)는 축제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축제이미지와 축제만족도 간의 유의한 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축제산업에서 푸드트럭 서비스를 위한 중요하고 실용적인 마케팅 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는 향후 관련 연구를 위한 학문적 틀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연구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수정된 IPA를 이용한 푸드 트럭 선택속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은용 한국관광연구학회 2018 관광연구저널 Vol.32 No.3

        IPA는 중요도와 성취도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어렵지 않게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해주고 있다는 점에서 자주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IPA가 갖고 있는 문제점으로 인해 수정된 IPA가 제시되고 있는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많은 성장이 예상되는 푸드 트럭을 대상으로 전통적인 IPA, Vavra(1997)이 제시한 수정된 IPA 방법, 그리고 Deng(2007)이 제시하고 있는 수정된 IPA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 분석을 위해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과 수원 야시장에서 푸드 트럭에서 음식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28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전통적인 IPA는 I사분면과 III사분면에 많은 수의 선택 속성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문제점이 보완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수정된 IPA의 경우 15개 선택 속성 항목의 분석 결과가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푸드 트럭 운영자에게 경영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의 계획ㆍ정책결정 과정으로 살펴본 도시 비공식성과 공식적 거버넌스 메커니즘의 상호작용

        진예린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2016 地理學論叢 Vol.62 No.-

        이 연구는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을 도시 비공식성의 담론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 사례를 통해 과거 도시 계획의 규제와 억압의 대상이었던 도시 비공식성이 현재 새롭게 부상하는 도시 계획의 패러다임에 맞추어 어떻게 공식적 거버넌스 메커니즘과 상호작용하는지 상술하고자 한다. 사례 분석을 위해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이라는 새 로운 도시 공간을 만들어낸 서울시 정부를 공식적 권위체로 설정하고 야시장의 플리마켓, 푸드트럭, 거리공연과 이 에 참여하는 행위자들을 도시 비공식성 영역으로 분류했다. 연구를 통해 서울시 정부가 행사를 조직하는 데 있어서 공식적 거버넌스 메커니즘과 절차를 따르기 위해 제도적 기반을 다듬고 도시 비공식성 영역의 자율성을 일정 부분 제약하는 경향이 드러나기도 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도시 비공식성 영역의 행위자들이 정부와의 협력적 상호작용 을 통해 적극적으로 도시 비공식성 영역을 유지, 강화시키고자 노력하는 현상에 주목했다. 나아가, 이와 같은 공식 적 거버넌스와 도시 비공식성 간의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지는 공통의 합의가 도시 공간에 대한 상호 호혜적인 기대 를 형성하게 만들며 그 결과로 보다 역동적인 서울밤도깨비 야시장이 만들어졌다고 결론지었다. This paper analyzes ‘Seoul Bamdokkaebi Night Market’ on the discourse of urban informality. Within this case, this paper aims to elaborate how urban informalities, that once was regarded as troubles to be regulated or discarded in urban spaces, interact with formal governance mechanisms under a new paradigm of urban planning. To closely look into the this case, the author sets the city government as a formal authoritative agent that makes spatial policies regarding the process of creating a new urban space, ‘Seoul Bamdokkaebi Night Market’, while categorizing the internal sectors—flea market, food trucks and street performance— and each players into urban informality. Although the research has found out that the city government did somehow limited the autonomy of urban informalities while engaging in formal governance mechanisms and procedures, it was proven clear that urban informal players have actively participated in collaborative interaction with public agents to maintain and strengthen their own territory without being formalized. Furthermore,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interactions between formal governance mechanisms and urban informalities create common agreements and positive expectations which eventually succeeded in designing Seoul Bamdokkaebi Night Market into a more dynamic urban space.

      • KCI등재

        Q방법론을 활용한 푸드 트럭 이용고객의 주관적 인식 연구

        김찬우(Chan-Woo Kim),정인영(In-Yeong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8

        본 연구는 푸드 트럭 이용고객의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자 푸드 트럭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푸드 트럭 이용고객의 주관적 인식구조를 유형화 하며, 그 유형들 간의 특성을 기술하고 분석하여 향후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형분석 결과, 총 4가지로 도출되었다. 제 1유형(N=10) : 푸드 트럭 존 접근성 선호 형(Food truck zone accessibility preferred type), 제 2유형(N=8) : 복합 엔터테인먼트 체험 형(Complex entertainment experience type), 제 3유형(N=9) : 메뉴 위생 중점 이용 형(Menu hygiene center use type), 제 4유형(N=3) : 패스트푸드 선호 형(Fast food preference type)으로 각 각 독특한 특징의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푸드 트럭 및 외식·관광 분야에 관한 연구에서는 많은 문헌과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세밀한 Q방법론적인 질문과 분석기법으로 수정·보완하여, 응답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보다 구체적이며 객관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This study applied Q methodology to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 using food trucks to understand subjective perception of food truck custo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racterize the perceptual structure of food truck customers, to describe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and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e typ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first type (N = 10): Food truck zone accessibility preferred type, the second type (N = 8): Complex entertainment experience type, the third type (N = 9) = 3): Fast food preference type. Future research on food trucks, restaurants, and tourism will be based on a variety of literature and empirical studies, and will be revised and supplemented with more detailed Q methodological questions and analytical techniques to analyze the various opinions of respondents in a more concrete and objective mann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