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학술집단에서의 ‘트랜스내셔널’ 주제 연구 동향과 설화 연구의 방향

        이현서 용인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3 아시아문화학지 Vol.1 No.-

        이 글은 국내 학술집단에서 트랜스내셔널 주제를 다룬 연구의 동향을 살피고 설화 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학계에서 ‘트랜스내셔널’의 의미를 트랜스내셔널의 접두어인 트랜스가 across (횡단), beyond((超), through(通)이라는 의미를 포괄한다는 것으로 이해하고, 국제이주의 확산으로 국경이 없는 지구촌시대, 다국적성, 초국가적이라는 현상황에서 하나의 연구방법론이며, 현 상황에 대한 문제제기라고 인식하고 있었 다. 이에 우리나라에서 가장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역사 연구, 소설 연구, 문화 연구 분야를 대상으로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세 분야는 트랜스내셔널 방법론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그 한계를 보완하고자 하는 노력을 보였다. 역사 연구는 식민지 시대에 국한된 연구가 아닌 일상적 삶의 실천을 연구하자고 제언하였지만 결국 내셔널 역사를 재검토하고 있었다. 소설 연구는 떠돌이를 벗어나지 못하는 주체가 ‘공존’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 을 다룬 것을 트랜스내셔널 문학이라 재정립하였다. 문화 분야에서는 1차원적인 비교방법론이 아닌 교차지점을 모색하고, 더 나아가 트랜스휴머니즘에 주목할 것을 강조하면서 주체로서의 소통에 더욱 관심을 두었다. 결국 국내 학계에서의 트랜스내셔널 주제 연구의 공통된 시각은 국지적 연구가 아니라는 점, 공동의 역사를 지닌 근대 경험을 연구하는 방법론이라는 점, 그리고 소통이라는 실천의 방법이라는 점이다. 이에 설화 연구도 또한 이와 함께 그 뜻을 같이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설화 연구는 이민자들에 의해 구연된 경험담 이나 생활담, 그리고 트랜스내셔널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주제(이주, 도시, 괴담, 전쟁, 재해, 질병 등)를 다루면서 세계시민주의의 성장으로 재조명된 타자와 분리하는 모든 경계와 차이를 가로지르고, 문화를 이루는 모든 요소들이 조화된, 소수·타자까지도 책임질 수 있는 ‘실천’에 다가가기 위한 방법의 연구를 지향해 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trends in research on transnational topics within the academic community in Korea and seeks to explore directions for utilizing them in folklore studies. In academia, the term “transnational” is understood as encompassing the meanings of “across” “beyond(超)” and “through(通)” as indicated by the prefix “trans”. It is perceived as a research methodology and a problematiza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multinationalism, and supranationalism, where national borders are becoming increasingly blurred due to the spread of international migra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research, novel research, and cultural research, which are the most actively studied fields in South Korea. These three fields have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transnational methodology while seeking to complement those limitations. Historical research suggested studying everyday practices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the colonial era, but ultimately it was a reexamination of national history. Literary studies redefined transnational literature as exploring the potential for the subject, who cannot escape being a wanderer, to move towards “coexistence.” In the field of culture, rather than employing a unidimensional comparative methodology, efforts were made to explore intersectional points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ocusing on transhumanism as a subject of communication. However, the commonality of transnational research on the domestic academic scene lies in the fact that it is not limited to localized studies but utilizes a methodology that investigates the shared modern experiences and ultimately emphasizes communication as a practical approach. Along with this, folklore studies should also align with this meaning. By using a transnational approach, folklore studies should explore topics (such as immigration, urban life, urban legends, wars, disasters, diseases, etc.) that can reveal the experiences and narratives shaped by the immigrants of this land and the ongoing transnational situations. It aims to transcend all boundaries and differences that separate others and reevaluate the growth of cosmopolitanism, and to pursue research on methods that can harmonize all elements that constitute culture, reaching even the minority and others, and contribute to the practice of taking responsibility.

      • KCI등재

        특집논문 : 현대영화 이론 연구 ; 트랜스내셔널 영화사 연구를 위한 제안

        이상준 ( Sang Joon Lee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1 현대영화연구 Vol.7 No.1

        트랜스내셔널 영화사 연구는 2000년대 이후 기존의 내셔널 시네마 중심의 영화사 연구방법론의 한계를 인식한 소수의 학자 군에 의해서 등장했다. 이들은 내셔널 시네마의 프레임을 견지한 채 지난 수 십 년 간 영미학계에서 등장한 연구의 결과물들이 사후판단을 근거로 한 진화론적 내러티브, 문화본질주의, 정전화 된 작가와 걸작중심 서술 등으로 특징 지워 지며 이들 연구는 내셔널 시네마의 틀 속에서 읽힐 수 없는 국제공동제작, 디아스포라/익사일 영화, 국제영화제와 국제기구, 장르, 산업, 그리고 인력들의 이동과 경계를 무시하거나 혹은 억압해 왔다고 주장한다. 이에 일군의 유럽의 젊은 영화 학자들은 유럽영화사의‘예술영화’ 중심, 그리고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를 축으로 한 핵심국가들의 ‘시네마 유럽’ 논의가 지닌 협소한 틀을 거부하며 디아스포라 영화, 이주자 영화, 소수자 영화, 국가 간 합작영화를 영화사적, 이론적으로 접근하며 ‘트랜스내셔널 유럽영화학’ 을 주창했으며 팀 버그펠더, 마크 베츠, 알라스테어 필립스 등의 연구서들이 2005년 이후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아시아 영화의 영역에서도 냉전기부터 시작된 아시아 영화 네트워크를 치밀하게 추적한 키니아 야우, 포셱 푸, 아베 마르커스 논스, 요시모토 미쓰히로 등의 연구업적들이 짧은 시간 안에 쌓여가면서 그 자체로 독자적인 연구의 장을 형성해나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이들 연구는 전체를 포괄할 수 있는 이론적 프레임을 결여하고 있으며 산발적으로 흩어져있는 연구자들의 목소리들만이 간간이 들려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난 10년간의 트랜스내셔널 영화사 연구의 결과물들을 정리하고 이 연구의 세 가지 큰 카테고리를 제안하여 향후 공동/협력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적인 이론화 작업을 시도하고자 한다. 우선, 합작영화연구는 오랫동안 내셔널 시네마 연구자들에게 두통거리로 존재해 왔었지만 오히려 같은 이유로 트랜스내셔널 영화사 연구의 ‘실험실’ 로서 작용한다. 둘째로 디아스포라/익사일 영화와 마이클 커틴이 주장한 ‘미디어 캐피탈’ 개념은 특히 아시아 영화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장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아프리카와 중동의 이주자들이 생산해 내는 트랜스내셔널 영화에 주목하는 유럽 영화학계와는 달리 아시아는 식민기획과 내전들, 그리고 미국 중심으로 재편된 새로운 지역질서로 인해 발생한 망명, 이주, 이민을 통한 영화적 혼종성이 두드러지며 이를 역사적으로 재조명하는 작업들은 아직 기초연구조차 이루어지지 않았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제조직과 영화제들이 지역에 작용한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연구가 트랜스내셔널 영화사의 중요한 한 축으로 작용할 것이다. 물론 트랜스내셔널 영화사는 내셔널 시네마 영화사학을 대체할 새로운 개념이 아니며 오히려 상호 보완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질 때 더욱 그 중요성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트랜스내셔널 영화사 서술을 시도하고자 하는 새로운 연구자들과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공동연구를 할 수 있는 출발점으로서 자리하고자 한다.

      • KCI등재

        트랜스내셔널 역사를 다르게 생각하기

        김택현 ( Kim Taek-hyeon ) 한국서양사학회 2016 西洋史論 Vol.0 No.131

        트랜스내셔널 역사는 최근의 현실과 지적 사유에서의 변화에 조응하는 새로운 역 사연구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트랜스내셔널이라는 용어는 이미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고, 트랜스내셔널 역사의 문제의식도 예전의 것의 재활용일 뿐이다. 또 한 트랜스내셔널 역사의 고유한 이론적 성격이나 독립적인 연구영역으로서의 종별성은 모호하며, 트랜스내셔널 역사의 유용한 연구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는 비교도 논리적 난점을 극복하기 어렵다. 트랜스내셔널 역사는 국민국가 중심 역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지만 (국민)국가 자체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외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글로벌화의 효과가 낳은 외면적 현상에만 주목함으로써 글로벌화 자체에 대한 비판적 문제의식 없이 거기에 순응하거나 그것을 정당화하고 있다. 국민국가를 넘어서거나 가로지르는 사람들, 물자들, 문화들의 상호 연계나 흐름에 주목하는 트랜스내셔널 역사보다는, 오늘날 글로벌 시대에까지 이른 트랜스내셔널한 식민주의의 역사 과정을 재성찰하면서, 그 같은 효과를 낳고 있는 글로벌한 자본 권력의 트랜스내셔널한 작동 및 그 작동을 제도적으로 지탱해 주고 있는 국민국가 권력의 지배에 맞서는 `대항적 트랜스내셔널 역사`가 추구될 필요가 있다. Transnational history is a popular topic among historians recently. They argue that transnational history is useful and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circumstances of the current global age. However, the term transnational has long been used among many kinds of research fields. Its problematique is not a new one. Besides, its theoretical identity is ambiguous and it has no specificity as a field of historical research with its own themes. By focusing on the people, things, and cultures over the nation-states, historians in favor of transnational history do not try to analyze nation-states themselves as a dominant apparatus. The connections and flow of migrants and goods across the nations are an outcome produced by the dominant effects of globalization. Historians, however, do not raise questions about globalization itself. Instead, what they do is to justify it. For them, globalization is not a problem that should be interrogated critically, but merely a given reality. Comparison, which is supposed to be a useful method of transnational history, is caught up in the impossibility of representing different societies and cultures authentically. Modern histories cannot be thought about without understanding colonialism, and globalization means the transnational operation of capitals which have been agents of coloniality and modernity. Nation-states have functioned as the institutionalized powers for supporting global capitals. In order to recognize the oppressive and exploiting effects of globalization on the people and resources of the world, it would be necessary for them to transfer their attention to counter-transnational history, focusing on the political movements and discourses against the global domination of transnational capitals.

      • KCI등재

        탈식민 소설과 트랜스내셔널의 전망

        나병철 ( Byung Chul Na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4

        이 논문은 탈식민 소설이 네이션의 양가성을 드러내며 그 과정에서 트랜스내셔널 한 전망과 연관됨을 해명했다. 탈식민이란 식민주의적 동일화에서 벗어나 네이션의 차이를 해방시키는 것인데, 네이션의 차이는 트랜스내셔널의 교차로에 반향될 때만 나타난다. 따라서 식민지 시대부터 이미 트랜스내셔널한 감각을 지닌 행위자에 의해 탈식민의 소망이 표현되어 왔다. 예컨대 현진건의 「고향」에서는 디아스포라를 통해 트랜스내셔널한 감각을 경험한 타자를 매개로 네이션이 발견된다. 또한 염상섭의 「표본실의 청개구리」에서는 동서친목회를 논하는 국제적인 광인을 통해 탈식민의 소망이 표현되고 있다. 염상섭이 초민족의 표상인 혼혈인을 자주 등장시킨 것도 그와 연관이 있다. 그러나 염상섭은 혈통적 민족주의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혼혈인에 함축된 초민족의 의미를 제대로 해명하지 못한다. 그 점에서 내선일체 시기에 혼혈인을 통해 진정한 트랜스내셔널과 탈식민을 암시한 김사량과 구분된다. 탈식민 소설의 트랜스내셔널한 전망은 세계화 시기에 보다 분명히 나타난다. 포스트모던과 연관된 세계화는 어떤 면에서 대동아공영의 근거였던 근대의 초극의 변주된 반복인 셈이다. 근대의 초극이 위장된 제국주의였듯이 세계화 역시 자본과 제국의 지배의 교묘한 변주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는 세계화를 역전시킨 트랜스내셔널한 전망을 통해 탈식민이 표현되는데 그 점을 잘 보여준 작가는 박민규였다. 식민지 시대이든 세계화 시대이든 탈식민의 전망은 네이션들 사이의 교섭과정을 통해서만 얻어진다. 이 글에서는 그런 상호규율적 교섭을 트랜스내셔널 윤리의 개념으로 살펴보았다. 트랜스내셔널 윤리는 탈식민의 실천을 통해 국가와 자본을 넘어선 진정한 트랜스내셔널의 전망을 암시한다. This Thesi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colonial novel and transnational perspective. I showed that the processes of postcolonial novel is performed by mediation of transnational perspective. The novel in colonial period revealed postcolonial desire through the transnational crossroad. And the novel in global period showed transnational perspective more immediately. I examined Yum Sang-Sup`s novel and Kim Sa-Ryang`s novel among the novels in colonial period. And I studied Park Min-Gyu`s novel among the novels in global period. The protagonist of hybrid in Yum Sang-Sup`s novel suffers agony because of hybridity, while the protagonist of hybrid in Kim Sa-Ryang`s novel suggests transnational perspective. And Park Min-Gyu`s novel shows the movement of transnational characters. I examined that these novels revealed variously the processes of postcolonial by mediation of transnational perspective. I called that processes of postcolonial mediation transnational ethics. Transnational ethics is the dynamic processes of negotiating between nations. This transnational ethics opens postcolonial practice and transnational perspective. I unpacked the relationship among postcolonial novel, transnational perspective, and ethics.

      • KCI등재

        “트랜스내셔널” 역사: 회고와 전망

        오경환(Oh, Kyung-hwan) 한국사학사학회 2012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5

        It is not hard to find the adjective “transnational” in a variety of social scientific disciplines today. Yet it seems unclear what transnational history means. The author argues that transnational has been rather inappropriately associated with important yet outmoded catchphrase, “beyond the nation and the state,” while ironically substantializing them. One of the major goals of the modern historical discipline was to establish universal history, which in turn gave forms to world history and global history. They reconsidered the “world” outside the state apparatus but exhibited philosophical lacuna in re-thinking the “world.” Transnational history aims at filling this void: prime examples being border history that stem from interdisciplinary—especially with anthropology—approach and histoire croisée that strives for asymmetric comparison. Yet these attempts still have limitation in the historical objects and scope. What is necessary for transnational history may not be transnational substances but transnational epistemological enterprise: deconstructing singular abstractions like the state and the nation into a variety of interrelated, interlaced and even inter-conflictual practices; critically re-reading and re-examining modernity that made possible such singular and mythic abstractions; and finally, comparing what had been considered incomparable. 다양한 사회과학 분과에서 “트랜스내셔널”이라는 용어를 발견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게 되었다. 하지만 “트랜스내셔널” 역사가 무엇을 의미하는 밝히는 것은 아직 요원한 일로 보인다. 필자는 트랜스내셔널이 “국가와 민족을 넘어서”라는 중요하지만 낡은 표어와 연결되어 오히려 국가와 민족을 실체화하는 악순환에 대해 문제를 제기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역사학이 분과학문으로 자리 잡을 때 역사학의 중요한 관심 중 하나는 보편사의 정립이었다. 보편사의 욕망은 세계사와 지구사라는 형태로 표출되어 왔다. 이들은 분명 일국사의 전통 바깥에서 “세계”를 사유하려 했다는 데 어느 정도 의의를 지니지만 공통적으로 “보편” 혹은 “세계,” “지구”를 사유하는데 심각한 철학적 결여를 내포하고 있다. “트랜스내셔널” 역사는 이 결여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했으며 인류학과의 활발한 학제간 교류를 통해 성립된 변경사나 비교를 통한 동질화가 아니라 부조화를 추구하는 “꼬인 역사” 기획을 통해 발전해 왔다. 하지만 이들은 여전히 상당히 제한적인 범위와 역사적 대상을 재구성한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실체적인 의미의 “트랜스내셔널” 보다는 인식론적 기획으로서의 “트랜스내셔널”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 국가와 민족이라는 단일한 추상을 다양하고 중첩되어 있는 다양한 실천으로 해체하고, 이 단일한 추상을 가능케 한 근대성의 의미를 다시-읽고, 이를 통해 이제껏 비교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되어 왔던 단독적인 현상을 비교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내셔널/트랜스내셔널 영화의 세 가지 지형에 대하여

        김선아 ( Sun Ah Kim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0 현대영화연구 Vol.6 No.2

        영화학은 여타 예술과 마찬가지로 정치, 경제, 이데올로기와 같은 사회 구성체의 끊임없는 변화와 운동과 더불어 제 담론을 역동적으로 형성해 왔다. 영화는 자본주의의 대표적인 산물이지만 동시에 자본주의 경제 및 자본주의 국가의 작동방식에 저항(혹은 지양)하는 이중적이며 모순적인 움직임을 제 역사를 통해 드러내고 있다. 본 논문은 영화의 역사에서 포착되는 이러한 저항과 `지양`의 움직임에 주목하면서 이를 크게 내셔널/트랜스내셔널 시네마의 지형에서 파악하려는 기획이다. 또한 이는 오늘날 세계 영화의 지형을 다른 관점, 즉 영화가 드러낸 특정한 `지양`의 역사적 순간을 포착하려는 시도와 맞물려 있다. 이 기획에서는 할리우드 영화의 거대한 헤게모니에 맞서기 위해 형성된 60년대 제 삼영화 선언과 현재의 내셔널/트랜스내셔널 시네마 담론이 절합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 삼영화 및 담론이 제시된 60년대를 세계 영화사에서 일어난 역사적 단절의 순간이자 영화의 지양의 운동이 폭발적으로 일어난 순간으로 파악하고 그 시점에서 역사 서술을 시작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지양의 충동이 할리우드/반할리우드 영화의 이분법에서 반할리우드 영화의 선형적인 역사쓰기로만 환원되지 않는 채 가족유사성을 띤 여러 이름들, 즉 제 삼영화, 탈식민 영화, 디아스포라 영화, 경계 영화, 트랜스 아시아 영화, 소수자 영화, 액센티드 영화 등으로 반복회귀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가족유사성을 띤 영화들이 현재의 트랜스내셔널 혹은 지구적 자본주의 시대에도 지속적으로 다시 출현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이를 내셔널/트랜스내셔널 시네마 담론으로 재구획하고 있다. 지구적 자본주의 시대에 지양의 영화들은 크게 세 가지 지형, 즉 내셔널 시네마, 트랜스 내셔널 시네마, 경계 영화로 구획되어 있다. 본 논문은 표준이자 규범으로 작동하는 할리우드 영화/반할리우드 영화사를 해체하고, 할리우드 영화의 지역화-미국영화-, 서구 모더니즘의 형식주의에 대한 비판, 특수한 내셔널 시네마의 보편성이 가능한 세계 영화사의 다른 지도 판본을 제시한다.

      • KCI등재

        트랜스내셔널 소설에서 기억 서사의 의의

        이영아(Young A L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3

        본 연구는 트랜스내셔널 소설이 트랜스내셔널이라는 궁극적인 지향에 접근하기 위해 활용된 기억서사의 구조와 의의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트랜스내셔널 소설에서 기억서사는 접속을 위한 기억의 소환, 각성과 성찰을 이끄는 기억의 타자화, 그리고 탈영토화와 리좀의 지향이라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랍스터를 먹는 시간」, 『나마스테』, 『예언의 도시』는 기억의 상호 침투가 두 기억의 합이 아닌 새로운 영토의 형성이며, 우리의 현재와 미래의 모습을 바꾸는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에 「코끼리」와 「바다와 나비」에서는 기억이 접속하기 위해서는 상대가 있어야 함을 보여줌으로써 접속 자체가 제한되어 있는 환경에서 트랜스내셔널은 기대할 수 없음을 역설하고 있다. 트랜스내셔널 소설은 기억 서사를 통해 독자가 타자화된 시각을 경험하게 하고 중심이 사라지고 경계가 소멸되는 트랜스내셔널의 본래 의미에 다가갈 수 있게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memorial narratives in so-called transnational novels. Memorial narratives contain three components: summon of memory, otherness of memory, and de-territorialization and rhizome formation. “Time to eat lobster,” “Namaste,” and “City of prophecy” reflect the transnational subject by showing that the mutual permeation of memories is not the sum of them but the formation of a new territory to change people’s present and future. Meanwhile, “Elephant” and “Sea and butterfly” show the importance of the counterpart for memory contact. These novels suggest that without memory contact, the transnational aspect does not exist. In conclusion, memorial narratives in transnational novels lead novel readers to the true meaning of the word “transnational” through these procedures.

      • KCI등재

        민족-국가의 사이 혹은 너머에 대한 상상 ―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의 트랜스내셔널 양상

        구재진 ( Koo Jaejin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7 도시인문학연구 Vol.9 No.2

        본고는 문학사의 ‘이방인’으로서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서 나타나는 트랜스내셔널한 양상을 고찰하였다. 특히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 대한 한국문학사의 영토화를 경계하고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이 디아스포라 문학으로서 지닌 새로운 방향성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의 새로운 경향을 대표하는 미중일의 세 작품을 검토하였다. 대상 작품은 허련순의 『누가 나비의 집을 보았을까』, 가네시로 가즈키의 『GO』, 그리고 이창래의 『영원한 이방인』 이다. 이 작품들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 나타나는 트랜스내셔널한 상상력의 세 가지 양상을 밝혔다. 허련순의 작품에서는 부유하는 노동와 트랜스로컬 주체를 통해서 트랜스내셔널한 상상력이 펼쳐진다. 코리안 드림이라는 판타지를 가지고 밀항선을 탔던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비극적인 결말은 그러한 판타지의 실현 불가능성과 허구성을 암시한다. 그러나 이 작품의 디아스포라들은 자본과 노동의 세계화 속에서 이동할 수밖에 없는 트랜스로컬 또는 트랜스내셔널 주체로서 나타나고 있다. 이창래의 작품은 원어민에 의해 타자화되는 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이 ‘타자로의 열림’이라는 과정을 통하여 ‘통합’이 아닌 ‘공존’으로 나아갈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를 통해서 미국이라는 국가적 정체성을 넘어서는 트랜스내셔널한 지향성이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가네시로 가즈키의 작품은 민족-국가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폭력과 차별의 패러다임 자체를 문제 삼고 디아스포라의 자유와 일본인에 대한 디아스포라의 (윤리적) 우위성을 선언한다. 그럼으로써 일본인과 재일 디아스포라의 비대칭성을 전복시키고 트랜스내셔널한 지향성을 제시한다. 최근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세가지 양상은 하나의 민족-국가의 문학으로 영토화하는 민족주의적 기획에 맞선 디아스포라 문학만의 트랜스내셔널한 기획의 현실성을 입증해준다. This paper studied the transnational aspects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appearing as ‘stranger’ of history of literature. The purpose is to be alert of Korean literature history’s territorialization on Korean diaspora literature and to illuminate the directivity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as diaspora literature. Three literary works of America, China and Japan representing the new tendency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are examined. The works are Who Saw the Butterfly’s House by Heo, Ryeon-Sun, GO by Kaneshiro, Kazuki, and Native Speacker by Chang-Rae Lee. Three aspects of transnational imagination in Korean diaspora literature are clarified through analysis of these works. In the work by Heo, Ryeon-Sun, transnational imagination is presented through drifting labor and translocal subject. The tragic ending of Korean diaspora in China who took a smuggler with a fantasy of Korean Dream suggests fantasy is unrealistic and impossible to reach. However, the diaspora in this work are shown as translocal or transnational subjects who have no choice but to migrate within capital and globalization of labor. The work by Chang-Rae Lee shows the possibility of identity of diaspora that is otherized by natives to move towards ‘coexistence’ instead of ‘integration’ through the process of ‘opening towards others.’ Transnational directivity that overcome national identity as America is shown through such process. Lastly, work by Kaneshiro, Kazuki calls paradigm of violence and discrimination done under the name of nation into question and declares diaspora’s (moral) superiority on diaspora’s freedom. Thereby subvert the asymmetry between Japanese and korean diaspora in Japan and suggest transnational directivity. These three aspects in recent Korean diaspora literature proves the reality of diaspora literature’s unique transnational plan against nationalistic plan that territorialize as a single nation literature.

      • KCI등재

        로컬리티의 재구축 ― ’8,90년대 홍콩연극 연구

        이정인 중국어문논역학회 2020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6

        This study started from above this question. The Republic of China has been emphasizing on ‘Identity Politics’, that is ‘Sinocentrism’, but HongKong and Taiwan has been going astray and emerging on ‘locality’. ‘Homogeneous and empty’ imaginable spaces and times have been made by integration of nationalism or patriotism. But individuals’ memories and lives could not been explained/represented within one paradigm of nationalism and might have been buried in oblivion. So Emerging ‘locality’ or ‘transnational’ is very keen over this discourse. HongKong, Taiwan and Korea have shared of similar colonial history, each of them has re-constructed memories of history in different ways. Also HongKong, Taiwan and China have common cultural heritages, but they have recalled memories in a way of different representation. Specially in the 8,90s, HongKong theatre had imagined HongKong’s future after returning to China. In 80s, many local theatres of HongKong were thinking over ‘Hongkongness(本土意識)’, ‘HongKong’s own subjectivity’. So I studied of how to represent HongKong’s memories and history by HongKongers their own language, even though it has faced the fate of disappearing. Wangdeway suggested that the sinophone discourse opposed to an unidirectional orbital motion, which was searching for the root. That is providing the place where can talk about the meaning of trans-national’s ‘hyphen(-)’. It could be the challenge to the hegemony of ‘identity politics’. When each local(HongKong, Korea, Taiwan, Singapore, etc.) could have read each histories and lives with their own language, not be stuck in the nation, would have searched for diverse uniting ways between trans and national. 중국 대륙은 ‘정체성 정치학Identity Politics’, 즉 중화사상으로 하나 되는 중국, 중국인을 강조하는 반면 홍콩과 타이완은 이를 빗겨가며 각 지역의 ‘로컬리티Locality’가 부상하고 있다. 이는 중국 대륙과의 ‘로컬’ 대 ‘내셔널’의 충돌이다. 최근 ‘로컬’과 ‘트랜스내셔널’에 대한 관심이 높다. 민족/국가 중심의 전통적 역사서술, 즉 ‘균질적이고 공허한’ 상상의 연속적 공간을 형성하고, 이를 매개로 국가주의적 통합, 애국주의적 일회성 연설들이 난무할 때, 민족과 국가의 패러다임으로 설명할 수 없는 개인과 공간, 시간들은 모두 망각되었다. 이러한 민족/국가 중심의 전통적 역사서술, 민족사적 패러다임에 대한 비판과 대안으로 기억과 망각의 담론들, 중심과 주변, 타자화된 주체, 식민지성, 탈식민지성에 대한 담론은 지난 세기부터 이어져왔다. 하지만 이러한 담론들은 괴리됨 없이 우리의 삶을 이야기하고 있는가? 이에 본 연구는 ‘로컬Local’과 ‘내셔널National’ 그리고 ‘트랜스내셔널Transnational’과의 연결 또는 관계에 대한 탐색을 홍콩 연극, 특히 198,90년대 반환 이전 연극 작품들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공통의 문화적 유산(내셔널 히스토리National History)을 공유한 홍콩과 타이완, 중국이지만 이미 성립된 기억(National history)에서 미끄러져 기억하는 방식이 서로 다르거나 서로 다른 기억의 장을 갖고 있는 각 지역을 상기한다. 홍콩의 연극은 자신의 ‘로컬리티’를 가지고 중국과 기타 지역과의 관계를 유동적으로 탐색하고 있다. 이는 로컬-내셔널-글로벌의 관계를 살피고자 하는 연구자 개인적인 취향과 맞물리는 동시에 민족사 패러다임에 기초한 사회사 전통이 강한 한국에서 로컬-트랜스내셔널이란 새로운 인식으로, 개인적 서사가 어떻게 집단적 서사의 안과 밖으로 관계맺는지를 보여줄 수 있으리라고 본다. 이는 내셔널과 트랜스내셔널의 양자택일 문제가 아니다. 다만 민족/국가의 서사가 근대성에 긴밀하게 결속되어 세계화의 대안이 될 수 없고 로컬이라는 범주는 이런 맥락에서 대안으로서의 중요성을 획득한다. 이 재구성은 결국 ‘로컬’안에서 ‘내셔널’과 그것에 의해 수반하는 근대를 해체하고 번역하는 작업일 것이다. 이를 ‘로컬의 재구축’이라 할 수 있다. 즉 로컬을 구성하고 로컬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실천이 각각 근대성에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또한 내포하고 있을 균열을 살피는 것은 로컬의 실천적인 재구성에 핵심이다. 이전의 민족/국가식의 애국주의적 언설이 아닌, 세계화를 외치는 실체 없는 공허함이 아닌, 집합적 기억이 뿌리내려져 있는 장소와 시간, 그리고 그 기억을 전유하는 사람들이 어떻게 삶과 역사를 자신만의 언어로 표현했는가의 논의이다. 198,90년대 홍콩은 홍콩인의 매일의 삶에 대부분을 차지했고, 상상했던 ‘홍콩반환’ 문제를 모든 문학과 예술 영역에서 생생하게 표현했다. 1980년대 홍콩 연극계는 ‘97이야기’, ‘본토의식’을 탐색하는 로컬 작품들이 많이 등장한다. 이는 ‘내셔널 패러다임’ 속에서 ‘정체성 정치학’의 패권에 대한 도전일 수 있다. ‘트랜스’와 어간인 ‘내셔널’이 결속되는 방식, 아파라두라이의 표현대로라면 하이픈(-)이 우리에게 던지는 의미를 찾아가는 여정이 될 것이다. 각 ‘로컬’들이 각자의 역사와 삶을 자신의 언어로 읽어낼 때, 비로소 내셔널에 갇히지 않고, 트랜스와 내셔널 ...

      • KCI우수등재

        트랜스내셔널 파시즘으로 가는 길목에서 -파시즘 비교 연구의 최근 동향-

        장문석 ( Jang Moon-seok ) 한국서양사학회 2020 西洋史論 Vol.0 No.145

        파시즘 비교 연구는 학제적 성격의 다양한 연구 성과들을 활발하게 생산해온 비옥한 분야이다. 특히 ‘일반적 파시즘’에 입각한 로저 그리핀의 정의와 이론이 파시즘 비교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음을 부정할 수 없다. 이 글에서는 최근 파시즘 비교 연구 내부에서 그리핀의 정의에 균열을 내거나 중요한 문제제기를 한 연구 성과들과, ‘트랜스내셔널 전환’을 통해 파시즘 연구의 새로운 차원과 방향성을 제기한 연구 성과들을 주로 조명하고자 한다. 최근 주요 연구자들이 파시즘의 고정된 ‘본성’을 추구하는 그리핀의 이론적 전제에 의문을 표하고 있지만, 동시에 많은 연구자들이 여전히 그리핀의 정의와 이론에 준거점을 두고 있음은 다소 역설적이다. 이런 맥락에서 일반적 개념으로서 파시즘보다는 당대인들이 다양한 의미로 사용한 용어로서 “파시즘”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또한 최근 트랜스내셔널 파시즘 연구들은 다양한 파시즘과 권위주의 운동들 및 체제들 사이에 전개된, 국경을 뛰어넘는 전이와 교환, 상호작용의 역사를 드러내고 있다. 그럼으로써 이 연구들은 트랜스애틀랜틱하고 글로벌한 복제와 전유의 과정으로까지 우리의 시야를 넓혀주면서 트랜스내셔널 과정에서 나타난 얽힘과 혼종을 부각하고 있다. 그러나 트랜스내셔널 전이의 역사가 얼마만큼 의미 있는 역사적 변형을 야기했는지는 답변되어야 할 질문으로 남아 있다. 그런 질문에 답하려면 트랜스내셔널 파시즘은 한편으로 그 자체의 트랜스내셔널 과정이 반영되어있는 민족적 관계와 맥락 속에서 분석되어야 하고, 다른 한편으로 광범위한 세계적·역사적 과정의 일부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Comparative fascist studies is a fertile field in which various interdisciplinar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particular, it is undeniable that Roger Griffin’s definition and theory based on ‘generic fascism’ had a pivotal role in such studies. This review article highlights recent outcomes that, especially, questioned, or demanded rethinking about, Griffin’s definition on the one hand, and demonstrated new directions and dimensions of fascist studies through the ‘transnational turn’ on the other hand. While recent main studies doubt the fixed ‘nature’ of fascism, paradoxically, many studies continue to refer to Griffin’s definition and theory. Under this circumstance, rather than fascism as the general concept, “fascism” as it was used in different senses by contemporaries merits closer attention. Meanwhile, recent studies in transnational fascism illuminated the shadowed aspects of the history of transfer, exchange, and interaction beyond borders among fascist and authoritarian movements and regimes. Thus, these studies stand out regarding entanglement and hybridity involved in transnational processes, extending our sights into transatlantic and global replications and appropriations. Whether such processes of transnational transfer generated significant historical transformations, however, remains to be seen. To answer this, transnational fascism must be analyzed in the national context which in itself reflected transnational processes on the one hand, and understood as a part of broader historical and worldwide processes in the other h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 msjang@snu.ac.k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