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탄생철학과 아렌트의 시작의 의미

        공병혜(Kong, Byunghye)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7 철학탐구 Vol.46 No.-

        인간의 탄생이란 인간 실존의 가장 근본적인 조건으로서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 미래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삶의 시작이며, 인류역사를 이어가게 하는 새로운 시작의 연속이기도 하다. 서양 철학은 플라톤 이래 탄생에 대한 사유보다는 오히려 죽을 운명으로서의 인간의 조건에 대한 사유에 주로 몰두해 왔다. 그러나 2000년대 초반부터 생명공학과 의료기술이 인간의 생명과 출생과정에 인위적으로 개입하고 인간탄생의 제작이 가능해지기 시작한 이래 인간 탄생과정에 대한 윤리적 이슈뿐만이 아니라, 인간의 탄생 그 자체에 대한 실존적 물음이 우리 시대의 사유로 요청받고 있다. 탄생철학은 이 세상에 시작한 탄생한자로서의 운명을 오히려 인간의 실존을 구성하는 근본 조건으로서 사유한다. 그러나 ‘탄생으로 되돌아감’의 사유는 탄생한 자의 존재물음과 관계된 실존적 사유뿐만이 아니라, 이미 누군가에 의해 시작된 탄생의 강제성에 대한 탐구를 필요로 한다. 탄생한자 스스로 동의하지 않은 탄생의 기원에 대한 질문은 새로운 시작으로서 자유 사이에서 사유의 긴장을 일으킨다. 탄생철학은 이 태어남의 강제성과 탄생한자 스스로 시작하는 자유사이의 긴장과 부모의 의무와 자식의 권리 그리고 새로운 시작과 역사의 지속이라는 문제의 지형을 지닌다. 이 글은 무엇보다도 탄생의 강제성보다는 칸트의 이성비판에서 논의된 스스로 시작함이라는 자유와 아우구스티누스의 새로운 시작으로서의 인간창조에 대한 실존 철학적 해석을 결합시킨 한나 아렌트의 탄생철학을 중심에 두고자 한다. 오늘날 생명공학과 출산기술에 의한 인간 탄생의 계획적 강제는 더욱 강화되어가고 삶의 도처에서 새롭게 시작하는 행위의 정신은 황폐화되어 가고 있다. 이 시점에서 이 논문은 인간 실존의 의미를 부여하는 인간 탄생성이 함축하고 있는 스스로 새롭게 시작함이라는 행위의 의미를 검토해봄으로써 우리 시대의 탄생에 대한 사유가 나아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Hannah Arendt의‘탄생성’의 교육학적 의미

        우정길(Woo, Jeonggil) 한독교육학회 2013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8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dagogical meaning of ‘Natality’ by Hannah Arendt, which is one of the key concepts of her works The Human Condition and ‘The Crisis of Education.’ In the first chapter we try to sketch how the Natality-research has developed itself in the last decade and where it stands at the moment focusing on the research topography in Korea. In the second chapter we will show how the Natality became a competing concept - mainly through the work by Arendt- with Mortality, which has been the main perspective for traditional philosophy as well as pedagogy. In the next chapter, we will suggest three characteristics of Natality (plurality, contingency and relationality), the empirical factuality and pedagogical meaning of which have been overlooked in the history of instrumental, subject-centered and rationality-based pedagogy. Drawing the border line between the traditional pedagogy and the new concept of pedagogy which can be called a Pedagogy of Natality, we will review and reconstruct the definition of education and pedagogical-anthropological concepts in the following chapter. And lastly we will also show the possibility and limit of this new pedagogical concept inspired by Arendt pointing out the paradoxical essence of ‘preserving newness’ as an educational mission suggested by her. 본고는 Hannah Arendt의 ‘탄생성’이 갖는 교육학적 의미 탐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우선 예비적 고찰이라 할 수 있는 제 I장에서는 근래 국내 교육학계에 고조되고 있는 Arendt 연구의 경향을 Arendt의 ‘탄생성’의 관점에서 스케치하고, 본 연구가 갖는 연구사적 위치와 의미를 확인한다. 제 II장에서는 인간실존의 근본조건으로서 탄생성이 Arendt를 통해 주목받게 된 배경을 고찰하되, 전통적 철학과 전통적 교육학의 주된 소재였던 ‘사멸성’과의 상대적 관련성이라는 관점에서 탄생성을 조명한다. 제 III장에서는 탄생성이 제공하는 교육학적 사유의 계기를 다원성, 우연성, 관계성 등으로 범주화하고, 그 의미를 탐색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 IV장에서는 탄생성이라는 새로운 관점의 교육학적 사유 또는 탄생성의 교육학적 계기들이 전통적 교육학의 사유방식과 나뉘고 갈등하는 임계점에 대한 성찰을 통해 전통적 교육학 및 이른바 탄생성의 교육학의 교육(인간)학적 성격을 더욱 분명히 함과 동시에, 이러한 차이와 갈등의 결정체라 할수 있는 ‘새로움의 보존’(Arendt)의 의미탐구를 통해 이른바 탄생성의 교육학의 한계와 가능성을 고찰한다.

      • KCI등재

        퇴계선생 탄생담을 통해본 문헌설화와 구비설화의 민중적 시각과 그 차이

        김종대(Kim, Jong-dae) 중앙어문학회 2013 語文論集 Vol.56 No.-

        퇴계선생과 관련한 설화 중에서 탄생담은 그다지 많이 전승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인물군과는 차별된 내용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러한 차별화된 전략의 이유는 무엇일까 하는 의문에서 본 논의를 시작한다. 먼저 퇴계의 탄생은 일반적인 인물 탄생과정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이물교혼적 특징은 사라지고, 단순한 풍수나 태몽을 이용해서 인물의 탄생을 설명하려는 시도를 보인다. 문제는 문헌설화와 구비설화의 전승내용이 차이를 보여주는 점에 있다. 특히 문헌설화에 집중적으로 수록되어 있는 음택풍수적인 내용이 구비설화로만 채록된 특징이 보인다. 문헌설화의 경우에는 적강소설과 같이 선녀와 관계를 맺은 조부에 의해서 퇴계가 탄생할 수 있게 되었음을 설명하고 있고 퇴계와 직접적인 관계에 놓인 내용이 아니다. 구비설화에 주로 나타나는 표현군은 음택풍수라는 점이며, 그 중에서도 조부가 남의 명당을 차지하여 퇴계가 탄생할 수 있음을 설명하려는 시도가 보인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이런 방식으로의 설명은 퇴계의 경우에도 일반적인 명당 빼앗기를 통해서 큰 인물이 될 수 있었다고 하는 민중적인 관념이 반영된 것이라고 하겠다. 그것은 민중의 입장에서 본다면 명당 빼앗기를 통해서 부자가 된 인물이나, 퇴계와 같은 대학자도 같은 탄생의 이유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다. 결국 퇴계가 학문 세계에서는 탁월한 역량을 보여준 학자이지만, 민중들의 시각에서는 다른 인물의 탄생과 별반 차이가 없다는 점을 보여준 것이라고 하겠다. 문제는 이런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채록본이 있어서 그런 사실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서는 퇴계설화 탄생담의 한계라는 점에서 현재적인 상황으로는 극복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중들의 관심거리로 자리잡지 못한 인물들의 탄생담이 문헌설화의 내용과 다르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서, 당대 민중들의 갖고 있던 인물의 관심방식을 살펴보는데 유효한 정보를 퇴계 탄생담은 제공한다는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While there are not many recorded tales about the birth of Toegye, the few that do exist clearly shows how the public identifies with Toegye. Additionally, is the stories are important evidence in understanding the people’s interest in Toegye. First, dreams play a prominent role in the birth tale of Toegye, which is typical to birth tales in this period rather than the imulgyohon (literally means a marriage with an alien body) characteristic that was popular earlier. The literature narratives about the birth of Toegye include a Taoist dream that represent the real world. However, according to this tale, Toegye’s grandfather had relationship with a Taoist fairy. This is important because it is the only relationship about his grandfather that has been written, but it also does not have direct connection with Toegye. Moreover, in Toegye’s birth tale, geomancy is also frequently found, which is typical in literature narratives. In general, unofficial historical works, such as ‘Cheongguyadam’, contain a number of geomancy stories. Perhaps these kinds of records might have influenced oral transmission. Nevertheless, geomancy, which is related to Toegye, appears in only oral tales. This is because there are not many records about Toegye. This fact may shows that there is little interest toward Toegye. Above this, several stories about making Toegye’s pen name, or precognitive dream of his birth, have also been collected. But stories about Toegye’s birth and his growth are very rare. This may be interpreted as Toegye’s literature did not have a big impact on ordinary people, which explains why Toegye’s birth tale has limited contents and why transmission is ra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aning and transmission of Toegye’s birth tale. But the development of varied discussions was limited because there is limited information and the narrative structure is not so rich. However, Toegye’s birth tale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about how people accept this outstanding figure and how they talk about him. The study results show areas to b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character tales that have not been actively transmitted, such as Toegye’s birth tale, as a way of expressing or showing the people’s interest.

      • KCI등재

        헝가리의 성탄극

        한경민(HAN, Kyeng Mi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2 외국문학연구 Vol.- No.47

        헝가리의 성탄극은 기독교 전례와 민중의 축제가 결합된 독특한 민속극으로 전해져 내려온다. 기독교의 가장 큰 축제인 성탄절에 마을 주민들이 함께 모여 공연하고 즐기던 행진과 공연은 헝가리 민중의 삶과 희망, 가치가 녹아있는 성탄극으로, 본문에서는 그 극의 갈래와 구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성탄극은 성 가정의 행진 - 낙원극 - 예수 탄생극 - 헤로데 극의 4 갈래로 분화되어 이어져 왔고, 각각 12월 15일에서 24일, 24일 오후, 24일 자정, 1월 6일에 공연되었다. 성탄극은 예수 탄생이라는 하나의 주제를 정점으로 모두 연결되어있다. 극은 사건의 전후 순서에 따라서 배열되며, 한 극은 한 사건에 집중되어 독립적 형태의 극으로 완결된다. 〈성 가정의 행진〉은 예수 탄생 전에 잠자리를 찾는 내용이기 때문에 가장 먼저 공연되었다. 다음으로 〈낙원극〉은 아담과 이브가 선악과를 따먹고 낙원에서 추방되어 슬픔에 빠지지만, 바로 그 순간 앞으로 구세주가 그들을 다시 낙원에 데리고 들어갈 것이라는 창조주의 구원 약속을 얻는다. 그 약속의 결과로 〈예수 탄생극〉에서 구세주 예수의 탄생이 구현된다. 천사가 목동에게 나타나 예수의 탄생을 알리자, 목동들이 아기 예수를 찾아 경배하기 때문에 이 극에는 목동이 중요한 등장인물이다. 마지막으로 구세주의 탄생이 별을 통해 알려지고, 동방의 세 왕이 예수를 찾아 경배하러 오자 헤로데 왕은 자신의 지배력을 빼앗길까 두려워 예수를 없애려고 하지만, 성공하지 못하는 〈헤로데 극〉이 대미를 장식한다. 헝가리에서 성탄은 새해를 맞는 전환점이며 한 해를 보내는 의미심장한 시기였다. 그래서 민간에서 행해오던 여러 풍속들이 종교와 함께 결합하여 특수한 형태로 유지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성탄극이 성경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헝가리만의 독특한 특징과 결합하여 발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성탄극은 예수 탄생의 기쁜 소식에서 출발하여, 헝가리의 전통 의상, 특별한 분장과 도구, 전통 음식과 악을 쫓는 민간의 의식까지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헝가리의 성탄극은 단순한 종교적인 극이 아니며, 헝가리 민중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민속극으로 독특한 특징과 가치를 지니고 있다. The Bethlehem play had been the most popular Christmas Tradition in Hungarian speaking areas. It was divided in four dramas : Saint family"s march, Paradise drama, Bethlehem drama and Herod drama. The first one is the requesting the lodging facilities. From December 15. man brought the holy family"s pictures and sculptures to their neighbours. Man prayed and sang together, and left those there until the next morning. In a village man made a 9 family community and played this game. The most popular folk dramas in Hungary are Paradise Play and Bethlehem Play. The one performed on every Christmas Eve. It began as a tragic story that the mankind lost the paradise, but later turned out to be a happy story that Jesus was borne and he would save all the mankind. The other did on the very Christmas Day. These two types of dramas are performed in many places up to now because these dramas have something in the performance to appeal people"s feeling, life and long traditions. In this article, I layed great emphasis on the Christmas drama to find the hungarian folk drama"s speciality. In the past, Christmas was not only religious holiday, but also the new year"s day. It is needless to say that in a new year"s day there were many special rules and taboos. The Bethlehem Play"s performance embraced traditional and national elements as well as the religious ones. In the Bethlehem play has a shepherds" dance was performed by the actors. The Shepherds play a circle dance with the mask and the clothes turned out. They hang on their sticks and tap at the ground. They usually put the pebbles into the downside of the sticks, so the sticks rattled in the bumped pebbles. The scholar insisted that the shepherd"s dance showed an old hungarian magical cult. The last Christmas drama is the Herod drama that was shown at the Epiphany. Herod asked the three orient kings to adore Jesus and report him where Jesus was borne. The first step of the drama is to carry out a large star that wad made of tree. All of the village"s inhabitant celebrated together. 헝가리의 성탄극은 기독교 전례와 민중의 축제가 결합된 독특한 민속극으로 전해져 내려온다. 기독교의 가장 큰 축제인 성탄절에 마을 주민들이 함께 모여 공연하고 즐기던 행진과 공연은 헝가리 민중의 삶과 희망, 가치가 녹아있는 성탄극으로, 본문에서는 그 극의 갈래와 구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성탄극은 성 가정의 행진 - 낙원극 - 예수 탄생극 - 헤로데 극의 4 갈래로 분화되어 이어져 왔고, 각각 12월 15일에서 24일, 24일 오후, 24일 자정, 1월 6일에 공연되었다. 성탄극은 예수 탄생이라는 하나의 주제를 정점으로 모두 연결되어있다. 극은 사건의 전후 순서에 따라서 배열되며, 한 극은 한 사건에 집중되어 독립적 형태의 극으로 완결된다. 〈성 가정의 행진〉은 예수 탄생 전에 잠자리를 찾는 내용이기 때문에 가장 먼저 공연되었다. 다음으로 〈낙원극〉은 아담과 이브가 선악과를 따먹고 낙원에서 추방되어 슬픔에 빠지지만, 바로 그 순간 앞으로 구세주가 그들을 다시 낙원에 데리고 들어갈 것이라는 창조주의 구원 약속을 얻는다. 그 약속의 결과로 〈예수 탄생극〉에서 구세주 예수의 탄생이 구현된다. 천사가 목동에게 나타나 예수의 탄생을 알리자, 목동들이 아기 예수를 찾아 경배하기 때문에 이 극에는 목동이 중요한 등장인물이다. 마지막으로 구세주의 탄생이 별을 통해 알려지고, 동방의 세 왕이 예수를 찾아 경배하러 오자 헤로데 왕은 자신의 지배력을 빼앗길까 두려워 예수를 없애려고 하지만, 성공하지 못하는 〈헤로데 극〉이 대미를 장식한다. 헝가리에서 성탄은 새해를 맞는 전환점이며 한 해를 보내는 의미심장한 시기였다. 그래서 민간에서 행해오던 여러 풍속들이 종교와 함께 결합하여 특수한 형태로 유지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성탄극이 성경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헝가리만의 독특한 특징과 결합하여 발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성탄극은 예수 탄생의 기쁜 소식에서 출발하여, 헝가리의 전통 의상, 특별한 분장과 도구, 전통 음식과 악을 쫓는 민간의 의식까지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헝가리의 성탄극은 단순한 종교적인 극이 아니며, 헝가리 민중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민속극으로 독특한 특징과 가치를 지니고 있다. The Bethlehem play had been the most popular Christmas Tradition in Hungarian speaking areas. It was divided in four dramas : Saint family"s march, Paradise drama, Bethlehem drama and Herod drama. The first one is the requesting the lodging facilities. From December 15. man brought the holy family"s pictures and sculptures to their neighbours. Man prayed and sang together, and left those there until the next morning. In a village man made a 9 family community and played this game. The most popular folk dramas in Hungary are Paradise Play and Bethlehem Play. The one performed on every Christmas Eve. It began as a tragic story that the mankind lost the paradise, but later turned out to be a happy story that Jesus was borne and he would save all the mankind. The other did on the very Christmas Day. These two types of dramas are performed in many places up to now because these dramas have something in the performance to appeal people"s feeling, life and long traditions. In this article, I layed great emphasis on the Christmas drama to find the hungarian folk drama"s speciality. In the past, Christmas was not only religious holiday, but also the new year"s day. It is needless to say that in a new year"s day there were many special rules and taboos. The Bethlehem Play"s performance embraced traditional and national elements as well as the religious ones. In the Bethlehem play has a shepherds" dance was performed by the actors. The Shepherds play a circle dance with the mask and the clothes turned out. They hang on their sticks and tap at the ground. They usually put the pebbles into the downside of the sticks, so the sticks rattled in the bumped pebbles. The scholar insisted that the shepherd"s dance showed an old hungarian magical cult. The last Christmas drama is the Herod drama that was shown at the Epiphany. Herod asked the three orient kings to adore Jesus and report him where Jesus was borne. The first step of the drama is to carry out a large star that wad made of tree. All of the village"s inhabitant celebrated together.

      • KCI등재

        칸트의 탄생철학과 부모의 의무

        공병혜 ( Kong Byung Hye ) 한국칸트학회 2019 칸트연구 Vol.43 No.-

        탄생철학은 이 세상에 비자의적으로 태어남이라는 탄생의 강제성과 또한 인격으로서 삶을 시작하는 자유와의 긴장 관계에서 발생하는 철학적 주제들을 다룬다. 이러한 탄생 철학의 문제의 지평 위에서 칸트는 인격으로 태어난 인간의 탄생에 대한 이성 비판을 전개시켰다. 칸트의 탄생철학은 탄생의 기원으로서 부모의 생식과 자유로운 인격으로 태어난 자식과의 관계를 다루며, 탄생의 강제성과 인격으로서의 자유의 요청으로부터 추론된 부모의 의무와 자식의 권리를 핵심주제로 삼는다. 칸트는 탄생한 아이의 첫울음을 인격인 자신의 동의도 없이 이 세상에 태어나게 한것에 대한 항의와 분노의 표현이며, 동시에 결핍된 인간 자유에 대한 요청이라고 이해한다. 그래서 인격으로서의 자녀를 이 세상에 태어나게 한 부모의 의무란 바로 자유의 사용에 미성숙한 자녀가 가능한 성숙한 이성사용을 통해 도덕적 상태에 이를 수 있도록 양육과 교육을 해야 하는 것에 있다. 그래서 이 논문은 우선 인간학적 관점에서 전개된 칸트의 인간 탄생의 사유방식을 검토해 보고, 실천적, 법적 관점에서 기술된 부모의 의무에 대한 도덕적 논의를 전개시켜 보도록 하겠다. 거기서 탄생의 강제성에서 비롯된 부모의 자식에 대한 의무란 결국 미성숙한 인격으로 탄생한 자녀가 성숙한 세계시민이 되는 도덕적 상태에 이르게 하는 부모의 양육과 교육에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Die Philosophie der Geburt geht davon aus, dass der Geborene in der Welt schon geworfen und mit dem Leben angefangen ist. Bei der Philosophie der Geburt handelt es sich um die Seinsfrage der Geburt und die Spannung zwischen der Determination der Geburt und der Freiheit des Geborenen als Person, die initiative mit dem Leben beginnt. Innerhalb der Horzont der Philosophie der Geburt hat Kant die generative Kritik der Vernunft uber die Freiheit der Person entwickelt, die als der Geborene von den Eltern unfreiwillig in die Welt gekommen ist. Dabei hat Kant die Beziehung zwischen der Elternpflicht und Kinderrecht und die Spannung zwischen Diktakt der Geburt des Kindes und der initiativen Freiheit der Person behandelt. Kant hat den ersten Schrei des Kindes als der Ausdruck von dem Mangel der Freiheit und den Wut uber die Ohnmacht seines körperlichen Zustandes verstanden, wobei das Kind gegen die unfreiwillige Geburt ohne seine Einwilligung einspricht. Aus diesen Grunden uber den Zwangcharakter der Geburt haben die Eltern eine Pflicht der Besorgung und der Erziehung gegenuber den Kindern, damit sie von den unmundigen Kindern bis zu den vernunftigen Weltburgern erwachen. Dabei mussen die Eltern die Kinder besorgen und erziehen, damit sie das Vermögen ihrer Vernunft gebrauchen und daher als ein moralicher Subjeckt bis zum moralischen Zustand erreichen können. Im meinen Aufsatz möchte ich zuerste aus der anthropologischen Perspektiv die kantische philosophie der Geburt entdecken und interpretieren und dann aus den praktisch-moralischen und rechtlichen Perspektiven die Diskussion uber die Elternpflicht und Kindrecht entwicklen.

      • KCI등재

        조선왕조시대 釋迦誕生圖像 연구

        鄭于澤(Chung Woothak) 한국미술사학회 2006 美術史學硏究 Vol.- No.250·251

        석가여래의 출처소생을 여덟 장면으로 압축 묘사한 釋迦八相圖는 유일 교주라는 성격 때문인지 시기, 국가, 민족 그리고 종파에 관계없이 신봉된 유일의 불교도상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우도 석가팔상도가 고려시대에도 제작되었을 것으로 짐작하지만 현재 남아 있는 작품으로 볼 때, 조선조 전기의 『釋譜神節』판화가 가장 오래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근년 일본에서 조선조 초기로 짐작되는 〈석가탄생도〉가 공개되어 적지 않은 관심을 끌었다. 本岳寺의 〈석가탄생도〉는 등장인물의 수, 모티프의 배치에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도상의 기본 구성과 본질은 『釋譜祥節』석가팔상판화의 하나로, 석가탄생을 묘사한 〈비람강생상〉과 같다. 이러한 동일성에 착안하여 살펴본 결과 本岳寺 〈석가탄생도〉는 『釋譜祥節』을底本으로하여 지었다는 『月印千江之曲』에 도상학적 근거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本岳寺 〈석가탄생도〉는 우선, 경전의 繪畵化 탐구에 더할 나위 없이 중요한 자료이다. 本岳寺 〈석가탄생도〉의 제작시기는 이중채색법, 구름의 묘사법 등 표현기법과 산수화를 비롯한 구성요소의 시기성 그리고 왕세자의 탄생과 같은 역사적 정황을 고려하여 볼때 조선조 초기,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成宗代 초반인 15세기 후반으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따라서 이 그림은 아주 귀한 조선조 초기 불화의 하나로 당시의 불화 양상을 짐작하는데, 나아가가 궁정화풍 불화의 일면을 고찰하는데 더없이 귀중한 자료로 생각한다. 『석보상절』 판화의 석가탄생도상은 약간의 변용은 있었지만 本岳寺本과 같은 채색 불화에 계승된 이래 16세기의 大德寺本을 거쳐 華光寺(1692), 龍門寺(1709) 등 조선조 후기의 불화에 계승되었다. 또한 이 탄생도상은 18세기 이후 석가팔상도가 적극적으로 그려질 때 송광사, 통도사 그리고 해인사 본에서 볼 수 있듯이 “비람강생상”의 구성요소의 일부로 수용되기도 하였다. 물론, 조선조후기의 불화들은 『석보상절』의 판화를 직접 참고하였다기보다는, 先行의 도상을 취사선택하였을 것으로 짐작하는데, 이들을 통하여 계승과 수용 과정에서 동일 도상이 어떻게 변용되는가를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本岳寺〈석가탄생도〉는 일본에 수용된 이후 小松寺本, 法然寺本 그리고 海岸寺本 등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版本이나 版本彩色 또는 肉筆畵로 재생산되어 상당 기간 넓은 지역에 유포, 신앙의 대상이 되었다. 특정 주제의 불화도상을 목판으로 만든다는 것은 그만한 수요가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곧 그에 부합하는 신앙이 존재하였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本岳寺의 〈석가탄생도〉는 한반도는 물론 중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서 일본에 전래된 불교도상 가운데 이 그림만큼 모사본이 많이 제작되고 넓게 유포된 도상은 없을 것이다. 따라서 한국불화가 일본 불화 및 불교의식에 미친 영향을 실물로 입증한 자료라는 점에서도 매우 중요한 그림이다. Seokgapalsangdo (釋迦八相圖), the condensed description of Buddha's life into eight scenes is the sole Buddhist iconography that has been cherished regardless of time, religion, nation and people, seemingly due to the monotheistic character of Buddhism.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Seokgapalsangdo was produ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in Korea but the oldest one remained is the Seokbosangjeol (『釋譜詳節』) print in metal typ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Under this circumstance, one painting of Buddha at Birth possibly dated to the early Joseon period has been recently open to the public and drawn a great attention. The painting of Buddha at Birth in Hongakuji (本岳寺) shows a littl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ersons and the display of motifs. But, the basic composition and essence of its iconography are the same as one of the Seokbosangjeol prints of the eight scenes from Buddha's life, which describes the birth of Buddha called Biramgangsaengsang (毘藍降生相). With these identical aspects it is safe to say that the Hongakuji's painting is based on the iconography of Wolincbeongangjigok (『月印千江之曲』) which took the Seokbosangjeol print as the original text. Therefore, the painting in Hongakuji is the most important material to research how a sutra was pictorially reproduced at that time. The dating of the Hongakuji's painting can be assumed to the early Joseon dynasty, more specifically, the latter part of the 15th century, the early period of the King Seongjong (成宗) because it shows the pictorial characteristics of the time such as double coloring, the delineation of clouds, and the constituent elements of landscape as well as a historical event of the birth of the Crown Prince. Accordingly, the Hongakuji's Buddha at Birth is a very unique and rare Buddhist painting of the early Joseon dynasty providing a model of Palace Style Buddhist paintings at that time. There were some modifications on the iconography of Buddha's birth from the Seokbosangjeol print. However, it was succeeded to the Buddhist paintings in colors like the Hongakuji's painting and to the 16th century Daitokuji's (大德寺) painting. Later the iconography continued to the one in Kekouji (華光寺) dated to 1692, Yongmunsa (龍門寺) dated to 1709 and many other Buddhist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 Buddha's birth iconography was partly used in the paintings of Biramgangsaengsang (毘藍降生相) such as the Songgwangsa (松廣寺), Tongdosa (通度寺). Haeinsa (海印寺) when the eight scenes of Buddha's life were actively painted after the 18th century. Needless to say, the Buddhist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period must have chosen their iconography from the earlier paintings rather than referring to the Seokbosangjeol print directly. Through examining the process of iconographical succession and accommodation on these paintings the modifications of an identical iconography have been firmly grasped. After the Hongakuji's Buddha at Birth was known to Japan, reproductions such as one in Komatzutera (小松寺), Honenji (法然寺), and Kaiganji (海岸寺) were profusely made in prints, pints in colors, or hand paintings they were spread in many regions for a considerably long period and cherished as a religious object of Buddhism. Making a woodblock print with a specific theme from the iconography of Buddhist paintings explicates that a correspondent religious demand was extant. There has been no other Buddhist iconography imported from Korea or China than the painting of Buddha's birth in Hongakuji, which was reproduced many times over broad areas in Japan. Therefore, it is the most valuable painting that proves the influence of Korean Buddhist paintings on Japanese Buddhist paintings and rituals.

      • KCI등재

        탄생철학에 기초해 본 자살의 문제

        공병혜 대동철학회 2015 大同哲學 Vol.71 No.-

        모든 인간은 누군가에 의해 이 세상에 태어나서, 이미 역사적, 문화적 관계 속에 주어진 구체적인 인간관계의 그물망 속에서 삶을 시작한다. 인간의 탄생을 기억한다는 것은 누구나가 그 이전에 없었던 새로운 자로서, 항상 새롭게 시작하는 자로서 이 세상에 온 것임을 기억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세상에 태어난 자의 자살행위란 무엇인가? 이것은 자신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자기 주도적인 행위이기에 이전에, 시작하는 자로서 자발적 행위능력을 포기하는 것이다. 오늘날 다양한 자살의 유형들은 다시 시작할 수 있는 행위의 자발성을 가로막는 우울로 치닫는 우리 시대의 삶의 실존적 조건들에 기인한다. 이에 대해 한나 아렌트의 탄생철학은 이 세상을 포기하고자 하는 자에게 자기 주권을 행사할 수 없는 인간의 무력함에도 불구하고 그 이전에 없었던 마치 기적처럼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행위 그 자체가 지닌 탄생성에 주목한다. 특히 공통감과 같은 실천적 지혜로서 판단력은 타자에게로 나아가 타자와 함께 세계를 공유하게 하는 확장된 사유방식이다. 이것은 바로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에게 과거의 행위의 짐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용서의 힘과 미래에 대한 계획과 희망을 줄 수 있는 약속의 능력을 회복시켜 줌으로써 새로 시작할 수 있는 행위의 자발성으로 나가갈 수 있게 할 수 있다. 탄생철학은 우울증과 자살에 대한 사고에 침몰에 있는 자에게 실천적인 치유책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인간이 죽기 위해서 이 세상에 온 것이 아니라, 스스로 시작하기 위해 이 세상에 매번 새로 태어날 수 있다는 탄생성의 사유는 세계에 대한 신뢰와 사랑을 회복하고 미래의 희망을 줄 수 있는 사유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탄생철학은 궁극적으로 공동체 내에서 상호간의 돌봄과 헌신을 다해야 함이 이 세상에 아이를 탄생시킨 부모와 우리 사회의 도덕적 책임임을 보여주어야 한다. Jeder Mensch kommt durch Geburt als etwas ganz Neues in die Welt, die schon in dem geschichtlich, kultuellen Zusammenhang gegeben ist. Jedem Menschen ist die Spontanität des Handelns als Natalität begabt. Seine Gabe des Handelns bezieht sich auf die Fähigkeit des Anfangens des Handelns als die intiative Freiheit, die nur in der Pluralität der Gewebe der menschlichen Beziehung geschehen ist. Aber was bedeutet denn der Selbstmord? Bei diesem Tun geht es nicht um eine Selbst-intiative Handlung an, die zum Tod des Selbst bringt. Sondern geht es eher um ein Aufgeben von der Fähigkeit der Spontanität des Handelns an, das jedem Menschen begabt ist. In der jetzigen Zeit gibt es die verschidenen Arten von ders Selbstmordes aus den verschiedenen Gründen, die auf den existenziellen Lebensbedingungen der kapitalistischen Konsumgesellschaft beruhen. Besonders drängt die Konsum-Leistungsgesellschaft das Individum zu der Depression und damit verhindert ihm die Spontanität des Handelns. Dafür konzentriert sich Philosphie der Geburt bei Hanna Arendt auf die Natalität des Handels Selbst, wie ein Mirakel. Besonders kann der Mensch durch die Urteilskraft als praktitische Weisheit frei von sich selbt zu den Anderen gehen und mit den Anderen die Welt mitteilen, obwohl er unfähig ist, eine Souveränität seiner Tat zu haben. Denn er kann durch die Urteilskraft die Fähigkiet der Verzeihung und des Versprechens ins Licht bringen. Der jenige, der sich mit dem Gedanken der Selbsttoetung beschätigt, wird also durch das Verzeihen von dem Getanen von der Vergangenheit befreit, und durch das des Versprechens für die Zukunft Hoffnung haben. Er kann dann dardurch die Spontanität des Handelns wiedergewinnen, in der Welt selbst mit dem Leben neu anzufangen. Fuer den jenigen, der sich auf den Gedanken des Selsttmordes konzentriert, kann die Philosophie der Geburt nicht den praktischen Heilsmittel sein. Aber sie kann doch einen Gedankenweg leiten, dass der Mensch nicht als das Sein zum Tod bestimmt ist, sondern er als ein Neuankoemmling zur Welt immer wieder selbst einen neuen Anfang machen kann. Dieser Gedankenweg kann dem Selbstmordversucher die Liebe und Vertraun zu der Welt wiederergeben, und die Hoffnung fuer die Zukunft ins Licht bringen. Die Philosophie der Geburt führt somit zu einem Perspektiv von dem Denken und Handlung, dass wir uns die Verantwortung und Pflicht zur Fürsorge und Erziehung fuer ihn mittragen müssen, um ihm selbst einen neuen Angang machen zu lassen.

      • KCI등재

        「교육의 위기」에 나타난 아렌트의 ‘탄생성’ 교육관에 대한 연구

        임정아 ( Lim Jeong-ah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81

        ‘탄생성’ 개념은 아렌트 철학의 중요 개념 가운데 하나이고 아렌트(H. Arendt)의 주요 저서인 『인간의 조건』과 「교육의 위기」의 핵심적인 공통분모이다. 아렌트는 『인간의 조건』에서 인간 삶의 실존적 조건으로서 탄생성을 말하고, 이것을 「교육의 위기」에서 적용하고 있다. 그런데 아렌트는 「교육의 위기」에서 탄생성의 보존을 말하면서 교육의 보존 역할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보존(혹은 보수)이라는 용어가 함의하는 것에 따르면 마치 교육과 관련된 것들을 행하는(결정) 주체가 있어서 그 결정에 의해 진행되고 통제되어야 한다는 것이고, 이런 의미에서 아렌트의 ‘교육의 보존’ 역할 주장은 국정교과서 결정과 같은 국가 통제를 지지하는 것처럼 여겨진다. 이처럼 탄생성 개념이 끊임없는 새로움과 변화를 담지하는 혁명성을 보이는 반면, 탄생성의 보존은 그 자체 모순적인 용어인 것처럼 느껴진다. 마스켈라인(J. Masschelein)은 근대 교육의 강제성을 비판하는 것으로 평가하여 아렌트의 탄생성 개념을 교육학적으로 수용하였다. 그러나 탄생성의 보존이라는 표현은 자체모순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해결의 관점을 찾아보고, 국가 중립성과 보편성에 근거한 통제를 주장하는 관점을 비판하기 위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글을 구성하였다. 제2절에서 우정길의 논의를 통해 전통 교육의 강제성을 비판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아렌트의 탄생성 교육을 제시하는 마스켈라인의 주장을 정리하겠다. 그리고 그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아렌트 교육의 보존(보수)성이 갖는 문제를 지적하는 우정길의 논의에 대해 그 근거를 중심으로 고찰하겠다. 다음 3절에서는 논란의 근거가 되는 아렌트의 「교육의 위기」의 내용을 정리하면서, 아렌트가 교육의 위기를 극복하는 대안으로서 제시하는 탄생성의 보존 주장과 권위의 의미를 탐색하겠다. 이를 바탕으로 마지막 4절에서는 2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에 대한 이해의 관점을 제시하면서, 아렌트의 탄생성 교육의 성격을 분명히 하고 새로움의 보존의 의의를 짚어보고자 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show that the pedagogical meaning of ‘natality’ by Hannah Arendt which is one of the key concepts of her theory and common concept of her works The Human Condition and “The Crisis of Education” is compatible with preserving of natality, the quality of natality seems to be incompatible with preservation though. According to Masschelein’s approach, thanks to pedagogical meaning of plurality and dialogical relationship as premises of human being’s plurality, which are ones of the features of natality, can be an alternative for traditional concepts of modern pedagogy by Kant who argues that “human being is made by education”. Considering that the meanings of education are at least two, the one is general and the other is specific, and the latter one which Arendt herself emphases for its separation from the polity in “The Crisis of Education”, is performed in school generally and is for new young generation, preserving of newness or natality is critical responsibility to educator because distinction between public sphere and private sphere is not exist any more in totalitarian society and because extinction of distinction between of them is the cause of the crisis of education. Through preserving of newness or natality by educator’s authority or responsibility the crisis of education can be overcome in totalitarianism, however preserving of it destroys neither pros of plurality nor pros of dialogical relationship of natality. Therefore we can say that the quality of natality can be compatible with preserving natality and Arendt’s pedagogical concept of natality can be an alternative for traditional concepts of modern pedagogy.

      • 독생녀 탄생의 원리적 기반

        주재완 참부모신학회 2023 참부모신학연구 Vol.1 No.-

        이 논문은 참부모님의 말씀을 종합하여 참어머님이 어떻게 원죄 없는 인간 시조 독생녀로 탄생했는지에 대한 설명을 시도한다. 하나님이 원죄가 없는 독생자와 독생녀를 창조할 수 있는 근본적인 기대는 복중복귀이다. 탄생섭리는 하나님이 그 기대 위에서 독생자와 독생녀를 창조 하는 행위이다. 하나님은 복중복귀의 기대 위에서 환경을 조성한 후 탄생섭리를 통해 독생자와 독생녀를 잉태, 탄생시킨다. 독생자 예수님은 복중복귀의 기대 위에서 유대교와 유대민족의 기반을 닦은 후 하늘편 남성이 사탄편 남성으로부터 여성을 되찾아 오는 것을 의미하는 탄생섭 리를 통해 잉태되고 탄생했다. 독생녀 참어머님은 복중복귀의 기대 위에서 기독교와 한민족의 기반을 닦은 후 영적 참어머니 성령을 실체화하는 의미의 3대 독녀를 통한 탄생섭리에 의해 잉태되고 탄생했다. 예수님처럼, 참어머님의 잉태는 하나님의 계시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그의 탄생을 전후하여 계시적 증거가 있었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how True Mother was born as the only begotten Daughter without original sin according to True Parents’ Words. The fundamental foundation on which God can create both the only-begotten Son and the only begotten Daughter is the providence of the restoration in the womb. Their birth providence is God’s creation of them grounded on such condition. God makes the external environments based on that conditional foundation, and then creates them through their birth providence. The only begotten Daughter was conceived and born by the birth providence of the 3 generations of women that implies the substantiating the Holy Spirit after laying the foundation of Christianity and Korea on the providential basis of the condition of the restoration in the womb. True Mother’s conception was accomplished according to God’s revelation, and there were revelatory evidences for Her before and after Her birth.

      • 하이데거의 죽음 개념 위에 피어난 아렌트의 탄생성

        정해국(Hae Guk Je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5 철학과 문화 Vol.31 No.-

        아렌트가 하이데거의 죽음 개념을 비판하면서 드러내고자 했던 것은 죽음의 결단 이후 드러나는 새로운 사건으로써의 탄생이다. 이는 단순하게 직선적 시간 속에 있는 탄생과 죽음 또는 시작과 끝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는 『인간의 조건』의 독일어판 제목인 『활동적 삶(Vita Activa)』에 나타나는 삶의 시작을 의미하는 탄생이다. 이러한 삶을 전제하지 않는 탄생은 아렌트에게 동물의 출생과 다를 바가 없다. 하지만 동물의 출생과는 다른 인간의 탄생은 수동적이지 않다. 인간의 출생을 포함한 동물적 출생은 자신이 그 출생의 여부를 결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수동적이다. 하지만 인간의 탄생은 죽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면서 그 탄생을 적극적으로 결단한다. 이것은 자신이 죽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아이를 선택하는 어머니의 결단과 버금간다. 따라서 필자가 주장하고자 하는 것은 아렌트의 탄생성이 단순하게 하이데거의 죽음 개념을 유아론이라고 비판하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제목에서도 드러나듯이 아렌트의 탄생성은 하이데거의 죽음 개념을 기반하지 않으면 온전히 드러날 수 없다. 그렇기에 아렌트의 탄생성은 하이데거의 죽음 개념 위에서만 그 꽃을 피울 수 있는 것이다 The point that Arendt had criticized Heidegger's concept of death is the Natality of a new case revealed by subsequent determination of death. This does not mean that the birth and the death, or the beginning and the end is in simple linear time. The birth mean the beginning of life revealed in title of active life(Vita Activa) of the German version of human condition. Natality that is the birth of human is not passive. The Natality determines the birth of human by recognizing the fact to die. Therefore I argue that Arendt does not criticized Heidegger's death by Solipsism. If the natality do not based on the concept of the death of Heidegger, the natality can not be fully revealed. So the natality can bloom only over the concept of the death of Heidegg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