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에 관한 연구

        홍승완 안양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4 自然科學硏究 Vol.11 No.1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80년대부터 타이포그래피의 영역은 정적인 형태에서 역동적인 형태로 빠르게 전이되고 있다. 기존의 전통적인 인쇄매체와는 달리 멀티미디어 환경에서의 타이포그래피는 공간과 시간이라는 개념이 접목되어 화면에서 3차원적인 운동감이 부여되므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라고 지칭되고 있다. 특히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역동적인 움직임은 사이버 공간 안에서 사용자들의 흥미를 극대화한다는 점에서 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정보전달의 요소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스토리의 내용과 구조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움직이는 타이포그래피에 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분야에서의 문자다루기는 인쇄를 근간으로 했던 타이포그래피와 그 구현방법을 달리했음에도 불구하고 한동안 같은 맥락에서 해석하여 타이포그래피의 전통을 이으려는 경향이 있었다. 픽셀위에 구현되는 전자문자의 특성은 인쇄의 그것과는 확연히 다른 것이어서 얼마만큼 기존 타이포그래피의 질적 수준에 접근했는가는 이론의 여지가 많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들을 알아보고,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통한 보다 효과적인 정보전달을 위한 스토리의 함축적인 표현방법과 기능적인 표현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Given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since the 1980s typography has been quickly transforming itself from its static state to the more dynamic. Unlike that in the existing printing media, the typography in the multimedia environment is called 'kinetic typography' because it is moved in a three-dimensional screen and determined by spatial changes to which the time elements is added. Kinetic typography is also adopted as a mean to more easily and accurately interact among cyber literature lovers and functions as a factor to attract the user's attention. Following this came the need for solid research in moving typo as the best means of presenting story content and form. Designing types in the multimedia tendency to follow the tradition of typography despite of difference of both media. It is controversial matter how much electronic types reached the quality of types on print media. This thesis focu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kinetic typography for discovering story telling and functional expression method to maximize its effectiveness as the means of visual communication.

      • KCI등재

        영상이미지에서의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활용사례 연구- 영상매체 활용사례 중심 -

        최미임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08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7 No.-

        현재 시대적인 변화, 즉 컴퓨터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인한 디지털 미디어의 등장은 다양한 영상 매체의 발달을 가져와 우리사회의 정보전달 방법의 급속한 변화를 주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기존의 커뮤니케이션방식인 읽는 것(책, 신문, 잡지 등) 위주의 문자중심에서 보는 것(영화, TV, 인터넷 등) 위주로 대중의 시각, 청각 등에 감각적으로 다가가는 영상 중심문화로 변화시켜 영상매체의 대중화를 가져오고 있다. 영상매체와 함께 성장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kinetic typography)를 간단히 말하자면 움직이는 문자를 말한다. 이는 기존의 타이포그래피에 시간과 공간, 그리고 사운드 등의 다양한 인터렉티브(interactive)한 요소들이 미디어 내에서 움직임을 주어 메시지를 구체화 시키는 방법이라 하겠다. 본 논문은 먼저 그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다양화되는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대한 개념정의 및 시각적 표현원리 등을 연구하였으며 둘째로 영상이미지에서의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이 적용되고 있는 영화 오프닝 타이틀이나, 방송 프로그램, 뮤직비디오, 웹사이트 등을 조사하고 그 과정에서의 문제점과 발전 방향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Present changes in trend, that is the advent of digital media by computer technology development, brings to various development in the video medium and makes the rapid change in information delivery method in our society. This change makes the video-focused culture that makes shift from a reading (book, newspaper, magazine, etc.) which is the past communication method, to seeing (movie, TV, internet, etc.), approaches sensationally to peoples' visual and auditory and brings to popularization in a video medium. To short, the kinetic typography that has grown with video medium means the moving text. This is the method that makes the movement in various interactive elements, such as time, space and sound in the past typography and specifies the messages. This paper, the first of all, is to study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various extension the erea of kinetic typography the 2nd, this paper is to study the future direction of development and controversial point of kinetic typography that is apply to study on practical utilized case in the video Image of the opening title of movie, broadcasting program, music video, and web site.

      • KCI등재

        TV 예능 프로그램의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연구

        김현기(Kim, Hyun-Ki),방윤경(Bang, Yoon-Kyeo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3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3

        TV 방송 프로그램에서의 ‘타이포그래피’는 10여 년 전만해도 단순히 영상의 이해나 정보 전달을 위한 보조 역할에 불과했지만, ‘키네틱 타이포그래피(Kinetic Typography)’라는 새로운 형태의 타이포그래피 방식을 사용하여 방송제작에 중요한 구성요소로 자리 잡았다. 더 나아가 비주얼로서의 기능과 예술 표현의 수단이 되었으며, 특히 이러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는 TV 예능 프로그램에서 자주 접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TV 예능 프로그램 중에서도 시청률이 높게 나타난 <1박2일>, <런닝맨>, <무한도전> 세 프로그램을 전개방식, 위치, 자막의도, 표현기법, 색상, 서체 등 여섯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여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활용 요소와 디자인적 요소를 알아보고자 한다.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활용 요소인 전개방식에서는 Cut에서 시작해 Cut으로 끝나는 기법이 주를 이루지만, 그 외의 기법은 <무한도전>의 경우 Z축인 줌인(Zoom-In), 줌아웃(Zoom-Out), <1박2일>은 X축인 펜(Pan), <런닝맨>은 Y축인 틸트(Tilt)를 주로 사용하여 대화와 상황표현을 나타냈다. 타이포그래피의 디자인적 요소를 나타내는 표현기법, 색상, 서체에서는 큰 공통점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는 각 프로그램의 개성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토대로 도출되는 결과는 앞으로 TV 예능 프로그램의 발전과 방송매체 관계자들에게 앞으로 나아갈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활용방안을 제시해 본다. Up until about ten years ago, the use of typography played only an auxiliary role on broadcast television programs, primarily by transmitting information in order to facilitate a basic understanding of content. Recently, however, kinetic typography has become an important component in broadcast production. In fact, kinetic typography has developed into a visual language and a means of artistic expression, one that is increasingly used in the production of entertainment programs on television. This paper analyzes six aspects of kinetic typography: manner of development, location, intent, expressive techniques, color and font selection. Particular attention is placed on their use in three highly rated television entertainment programs: “2 Days & 1 Night”, “Running Man”, and “Infinite Challenge”. The development way consists of the technique : starts off with cut and ends with cut. While, other techniques show conversation and situation representation using Z axis : zoom-in, zoom-out in <Infinite Challenge>, X axis : pan in <2 Days & 1 Night>. and Y axis : tilt in <Running Man>. Typographic design elements, expression technique, color, font are shown up according to the feature of each program. The resulting analysis suggests new ways for motion arts designers and the broadcast media to use kinetic typography in the development of television programs.

      • KCI등재

        뮤직비디오 속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수용성에 관한 연구

        김재현,조민정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9 No.2

        오늘날은 일반적인 텍스트의 나열로만 많은 정보를 전달하려고 했던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방식과는 달리 움직이는 타이포그래피를 통해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멀티미디어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있어서 정보전달은 이미지와 텍스트, 시간과 공간, 소리를 적절히 이용하는 과학적인 방법으로 바뀌게 되었고, 이러한 전달방법은 새로운 것을 다양하게 창출하여 소비자들의 의식을 고양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시각적인 디자인 영역에서의 커뮤니케이션 개념이 시간과 공간 그리고 인터랙션 커뮤니케이션 개념으로 발전, 이해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는 과거에는 경험하지 못했던 시간과 공간, 그리고 인터렉티브라는 새로운 요소들이 미디어 내에서의 메시지를 구체화시키는 하나의 방법으로 자리 잡아 가게 되었고, 그 결과 커뮤니케이션 자체가 변화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역할에 따른 수용자의 심리적 인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 논의에서는 뮤직비디오 속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활용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가장 효과적인 표현방법을 연구한다. 논의를 전개하기 앞서 연구자의 연구 가설은, 첫째 같은 노래를 뮤직비디오로 본 그룹과 노래로만 들은 그룹은 가사를 기억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 둘째 같은 노래를 뮤직비디오로만 본 그룹과 노래로만 들은 그룹은 노래 자체의 리듬이나 속도감을 느끼는데 차이가 있을 것, 셋째 외국의 뮤직비디오와 한국의 뮤직비디오 중에서 한국 뮤직비디오의 한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가사를 더 많이 기억할 것 등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20~30대의 일반대학생들 60명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이 논의의 연구자가 정한 뮤직비디오와 노래 4가지를 따로 보여준 후 설문지에 응답하게 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들의 통계치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같은 노래를 뮤직비디오로 본 그룹과 노래로만 들은 그룹 중에서 뮤직비디오로 본 그룹이 가사를 기억하는 양이 많았다. 둘째, 같은 노래를 뮤직비디오로만 본 그룹과 노래로만 들은 그룹 중에서 뮤직비디오로만 본 그룹이 노래의 리듬이나 속도감이 더 빠르다고 느꼈다. 셋째 외국의 뮤직비디오와 한국의 뮤직비디오 중에서 외국의 뮤직비디오안의 중요 가사를 더 기억했다. 이 논의의 실험결과를 통해 볼 때 청각적 정보에서 시각적 정보가 청각적 정보의 내용을 기억함에 효과적이었고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효과가 노래 자체의 리듬감이나 속도감을 느끼는데 영향을 미쳤고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양이 한글처럼 빼곡히 많은 것이 오히려 노래의 내용이나 이미지를 기억하는 데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았다. Today, only a lot of information listed in plain text to pass, unlike the existing methods of communication through typography moving more quickly and accurately information can be passed. This multimedia age living in the modern people in the information, images and text, time and space, sound, properly using the scientific method of delivery to the change, and this delivery method, a lot of new things by creating consumer visual perception in, or consciously further elevate was instrumental. Kinetic typography in the past did not experience time and space, and a new interactive elements within the media as a way to refine the message store to hold position, resulting in communications has begun to change itself. In the areas of the visual design of the conventional concept of time and spac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develop communication concept, is understood. However, according to Kinetic Typography consumers' psychological perception of the role is insufficient for the study. In this paper, kinetic typography in music videos and analysis of the use cases represent the most effective methods were studied. Performed on the hypothesis that one of the researchers before. This group of songs such as music videos and song lyrics only remember the group will differ in the degre., 2. Only this group of songs such as songs and music videos only, or a group of fast-paced to the rhythm of the song itself I feel it will be different. 3. South Korea's Foreign music video of music videos and music video of Korea Hangul kinetic typographic will remember more of the lyrics. As seen in 3 major. Research methodology, 20-30 units regular colleg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60 patient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determined that four kinds of music videos and songs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 were then shown separately. Results of the statistical results of this are: 1. This group of songs such as music videos and songs from the music video with only the group to remember the lyrics of this group was the amount. 2. Only this group of songs such as music videos and songs only from their group music video of the song only this group felt the rhythm and a faster speed., 3. South Korea's Foreign music video and a music video of the importance of foreign lyrics in the music video was more memor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hen viewed through the visual information in auditory information, auditory memory of the information were effective as of the effective kinetic typography Tomography rhythm and speed of the song itself I feel it had influence on the amount of kinetic typography Tomography Hangul Rather, like many things packed songs to remember the information or images found that the bad influences.

      • KCI등재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인자로서 움직임이 갖는 내포적 의미에 대한 탐색연구 - 카일 쿠퍼의 영화 오프닝 타이틀을 중심으로 -

        우경훈 ( Woo Kyung-hoon ),김면 ( Kim Myou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2 No.-

        본 연구는 영화 오프닝 타이틀에 나타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움직임이 갖는 내포적 의미의 상징성에 관한 선행연구가 미흡하여 탐색적인 예비 조사의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움직임에 주목한 이유는 정적 매체가 동적 매체로 전환되는 최근의 매스미디어의 흐름 속에서 전통적인 타이포그래피와 분별되는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가 움직임이라는 인자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움직임을 유형화하는 분석 유목으로 진출과 후퇴(Z축), 좌우 이동(X축), 상승과 하강(Y축), 혼합의 4가지를 설정해 카일 쿠퍼의 영화 오프닝 타이틀 20편을 연구 대상 사례로 삼아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영화 오프닝 타이틀의 주제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움직임이 갖는 내포적 의미를 통해 어떻게 표출되어 나가는지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 분석 결과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움직임은 영화 오프닝 타이틀의 주제와 일정한 연관성을 갖고 특별한 상징적 의미를 담아 표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키네틱 타이포그래피가 제공하는 시각영상 속의 내포적 의미를 본 연구자의 개인적 경험세계의 넓이에 따라 추론하였다는 점에서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한 보완적 연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귀납추리의 방법을 통해 논리적 모순 없이 필연적 결론을 도출하기 위한 연역추리의 사전 단계로서 내용적 진리를 탐구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movement in kinetic typography in movie opening titles because such studies were not enough in the past. The reasons why the study focuses on the movement of kinetic typography is that movement is the most characteristic factor in the kinetic typography as media trend changes from static to dynamic. For the analysis of movement, the study categorized it into four: forward and backward (Z axis), left and right (X axis), upward and downward (Y axis), and combined. The study carried out frequency analysis on the 20 opening titles of movies by Kyle Cooper and tried to find out how the subject of opening titles are expressed by the implications that the movement of kinetic typography generates. And the result shows that the movement of kinetic typography has a relationship with the subject of opening titles and it expresses symbolic significance. The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such implications that kinetic typography generates are inferred by a researcher`s personal experiences. In that sense, it is lack of objectivity and need further complementary studies. But,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uses inductive reasoning and it provides a foundation for deductive reasoning study.

      • KCI등재

        독창적 한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위한 NUI 기반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신상기(Sang Ki Shin),김효용(Hyo Yong Kim)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애니메이션연구 Vol.11 No.1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커뮤니케이션은 단순한 정보의 텍스트를 주고받는 것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인간의 감성 전달 기능까지도 담당하게 되었다. 이에 커뮤니케이션 기능과 함께 인간의 감성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측면에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한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는 커뮤니케이션 언어이자 예술적 가치 측면에서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국한된 제작 방식과 표현 방법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독창적인 한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은 차별화된 제작 방식과 기술 그리고 플랫폼이 요구되며 인터페이스는 그 세 가지 요소의 접점이 되기에 한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연구는 인터페이스 개발과 함께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발전을 거듭하며 NUI 기반의 게임, 가상현실, 미디어아트를 차세대 콘텐츠로 성장시켰고, 새로운 플랫폼(미디어아트)에서 독창적인 한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견인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communication had not the responsibility exchange text of simple information but took charge conveying the emotion of human beings in social media environment. On this account, the kinetic typography was required for conveying the emotion of human beings and function of communication. Even though the Hangul kinetic typography had the endless possibilities in artistic value and communication language, it was in limited production and expression method. The new way to be the creative Hangul kinetic typography was different production method, technology and platform. Because of the interface was point of contact the study of kinetic typography was can be started with interface development. Interface was growing the game, virtual reality, and media art based on NUI as a next generation contents so we can expect that the interface can lead the creative Hangul kinetic typography at the new platform(media art).

      • KCI등재

        모바일 증강현실에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감정 전달 - 모바일 매체의 탐색 가능성, 조작 가능성을 중심으로 -

        강애진(Kang, Aejin),전수진(Jun, Sooj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1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는 기술 변화에 맞춰 발전하면서 그 영역을 계속 확장시키고 있다. 증강현실(AR)은 사용자의 실제 환경을 반영하고 직관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했을 때 더욱 효과적이며 몰입도 높은 메시지 전달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지닌다. 또한 모바일 환경에서의 증강현실은 AR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갖춘 스마트폰이 빠르게 보급되면서 대중들에게 다양한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는 발판이 되었다. 그러나 증강현실 환경에서의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연구는 주로 가독성과 기능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감성적 표현이나 감정 전달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모바일 증강현실로 접할 때, 영상 매체에서와 같이 의도된 감정 전달이 가능한지 알아보고, 모바일 증강현실의 매체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호작용 요소가 감정 전달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연구한다. 감정은 무드(Mood)와 에너지(Energy)라는 두 가지 차원을 통해 평가했으며, 미리 제작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효과를 AR필터에 적용하여 주변 환경에 증강시킨 영상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영상으로 실험 참가자들이 평가한 응답은 평균값을 내어 변인에 따른 감정 평가값을 비교하고 서술형 응답을 참고하여 실험 결과를 해석하였다. 실험 결과는 모바일 증강현실 환경에서도 무드와 에너지 차원에서 의도된 감정이 전달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탐색 가능성에 의해 장소와 조명이 변화할 때는 무드의 측면이, 조작 가능성에 의해 텍스트의 크기가 변화할 때는 에너지의 측면이 일정 수준안에서 더 큰 영향을 받았다. 긍정적이고 높은 에너지의 모션이 부정적이고 낮은 에너지의 모션보다 증강된 주변 환경 변화에 더 쉽게 영향을 받아 감소되기 쉬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증강현실 환경에서 활용할 때 제작자가 의도한 감정을 왜곡 없이 전달하기 위해서는 장소와 조명, 그리고 조작적 요소를 어느 정도 통제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Kinetic typography continues to expand its scope as it evolves with changes in technology. Augmented reality reflects the user’s actual environment and it is an intuitive interactive system, so it has the potential as a tool to deliver an effective and immersive message when using kinetic typography. In addition, augmented reality in mobile environment has become a stepping stone to provide a variety of content to the public with the rapid spread of smartphones with software and hardware that support it. However, research on kinetic typography in the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is mainly focused on readability and functionality, and research on emotional expressions or delivery of emotions is lacking.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whether intended emotion delivery is possible, as in movies or video, when kinetic typography effects is applied to a mobile augmented reality, and how the inevitable interaction factors in the mobile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can affect the emotion communication. Emotions were measured in two dimensions, Mood and Energy, and pre-produced kinetic typography effects were converted into AR filters to produce images augmented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produced video showed the average value of the responses evaluated by the participants, comparing the evaluation value of emotions according to variables, an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interpreted by referring to open-ended responses. The results of our experiments showed that even in the mobile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the intended emotions could be effectively communicated based on mood and energy dimensions. In addition, the mood aspect was more affected when the place and lighting change due to the possibility of exploration, and the energy aspect was more influenced by the change of the text size due to the possibility of manipulation. It was revealed that positive and high-energy motions are more easily affected by the changes in augmented environmental reality than negative and low-energy motions. This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control the locations, lighting, and other operational elements to some extent in an augmented mobile reality in order to convey the intended emotions to the users by using the kinetic typography effects.

      • KCI등재

        YouTube에서 어조와 목소리에 따른 한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시각적 특성

        신은혜,송지성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2

        Kinetic typography has developed into various information delivery methods with the rapid growth of New Media. The change has thus formed a new visual culture that has added temporal and spatial expressions to the delivery of merely legible information. On YouTube that has rapidly grown into a single-person media, the kinetic typography for Korean which is based on tone and voice has shifted its focus to entertainment at the hands of the editors of YouTube. The issues created by insufficient specialization due to absence of knowledge have to be analyzed with actual contents,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needs to be explored. Committed to such objectives, the study selects 3 to 6 items of the South Korean contents in 2019 that achieve quite much of the kinetic typography for Korean based on tone and voice, which are included in the 100 most influential items as chosen by subscribers and register minimum 3 points in rating. Then, the study analyzes the cases of the kinetic typography for Korean that shows in tone and voice by classifying them into the three attributes of type size, shape change, and tempo variation. As a result, type size greatly influences layout and interferes with readability. The study has seen that the arrangement of the layout has disregarded its general concept. The study has found out that while the shape change has rich meaning in terms of design, the resulting variation leads to the overuse of foreign words and the degeneration of Korean, potentially causing problems with communication. Tempo variation, which shows at once continuous motion and standstill form, represents movement and speed. While handling such typographic variables serve to elevate emotions, excessive speed is added to the anomalous combination of various attributes and Korean, thus hampering readability. Instead of settling for fun elements that go into YouTube, one needs to work to develop an upgraded kinetic typography for Kore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sure that the kinetic typography for Korean helps diverse-ranging viewers as a communication that reduces the cognitive confusion for them and promotes their understanding.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는 뉴 미디어의 급격한 성장과함께 우리 사회의 다양한 정보 전달 방법으로 발전되어왔다. 단순히 읽는 문자의 정보 전달 기능에서 시간, 공간적 표현이 추가된 새로운 시각 문화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성장으로 1인 미디어로 급성장한YouTube에서 어조와 목소리에 따른 한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표현이 YouTube 편집자들에 의해서 오락성에 치중되는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지식의 부재로 전문성이 미흡하여 생기는 문제점들을 콘텐츠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개선방향의 탐색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기반으로 어조와 목소리에 따른한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표현이 다분히 되어있는2019년 국내 YouTube 콘텐츠 항목에서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력이 있는 구독자 순위 100위 내의 평점 3점 이상인 3~6개의 콘텐츠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어조와 목소리에 따라 나타나는 한글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3가지 속성으로 타이포의 크기, 타이포의 변형, 타이포의 속도로 분류하여 사례를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타이포의 크기의변화는 레이아웃이 무시되며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있었다. 이는 시청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며 가독성을 방해한다. 둘째, 타이포의 변형은 디자인적 의미가풍부함으로 이에 따른 변형에서 나타나는 외국어 남용과 한글 파괴로 이어져 커뮤니케이션에 문제가 발생되었다. 셋째, 타이포의 속도는 연속되는 움직임과정지된 형태를 보여줌으로써 느리거나 빠른 속도를나타냈다. 이런 타이포그래피 변수의 취급은 감정을고조시키는 역할을 한 반면 여러 속성들과 한글의 변칙적 결합에 너무 빠른 속도감까지 더해져 가독성이낮았다. 단순히 YouTube에 넣는 재미요소라는 생각보다 좀 더 발전된 한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한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가 조금 더 다양한 시청자들에게 인지적 혼돈을 줄이고 이해를 돕는 커뮤니케이션으로써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KCI등재

        애니메이션 원리를 활용한 감성적 측면의 한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가능성

        신상기(Sang Ki Shin),김효용(Hyo Yong Kim)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3 애니메이션연구 Vol.9 No.1

        키네틱 타이포그래피(Kinetic Typography)는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예술성과 산업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콘텐츠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스마트미디어가 급성장하면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향후 이와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가 제작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에서도 이미 많은 부분 상업적으로 활용되고 있지만 디자이너의 감각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시각적 표현에 대한 접근이 대부분이었다. 타이포그래피 자체에 대한 연구가 오랫동안 폭넓게 진행되어 온 외국의 경우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연구가 대학 연구소등을 중심으로 심도 있게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영문의 경우 다양한 플랫폼상에서 기능적으로나 심미적으로 완성도 높은 콘텐츠로서 적용이 가능한 상태이지만 한글의 경우 아주 기본적인 연구 정도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향후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한글의 쓰임새가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한글의 독특한 구조를 바탕으로 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접근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Kinetic Typographic has been taking center stage as contents which have artistry and industry in multimedia environments at the same time. Especially various contents will be make by rapid growth of smart media and increased utilization of kinetic typography in the future. In Korea kinetic typography already been used commercially, but only had access only to rely solely on the designer’s sense of visual representation. In other countries research on typography was proceeded by university lab. In a result english is in environment to be a high expected contents which functionally and aesthetically be applied in multi platforms. However, research of Hangul is in start line. Because uses of Hangul will be more important in multimedia environment in the future, the approach of kinetic typography based on unique construction of Hangul will b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