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자인 QR코드 사용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이용환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3

        Transmission of information via QR codes beyond simple marketing and publicity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of the smartphone is now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tourism, TV shopping, mobile shopping and training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ICT). It asked 117 students at the university about identify the cognitive, attention,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in QR code. The preference of the QR code is 50.4% in the survey and Design QR Code is 33.3%. Hypothesis were satisfied that QR code most commonly encounter. Attention of Design QR code compare with barcodes and QR codes is 53.0%, 52.1%. The reason of scanning the QR code is curiosity or surfing to the events webpage, but satisfaction about information provided is low as 21.4%. So this improvement is required. The difference between series show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whether the design QR code, experience of QR code scanning, recognize about company through the QR code, QR code recognition compared to the barcode. Significance probability is less than 0.05, show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ries. For activation of Designed QR codes, it is required for providing continuous information of Design QR code the activation on the main exposure, creation of a Designed QR code with improved attention, improve of satisfaction of the provided information, marketing in various fields. QR코드를 통한 정보의 전달은 스마트폰 보급의 확대에 따라 단순한 홍보와 마케팅을 넘어 이제는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교육에도 사용되고 있고 관광, TV 홈쇼핑, 모바일 쇼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 QR코드를 중심으로 인지성, 주목성, 활용성, 만족도 등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을 작성하여 3개 계열의 대학생 117명에게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설문결과 QR코드의 선호도가 50.4%로 나왔고, 디자인 QR코드도 33.3%가 나왔다. QR코드를 가장 많이 접했을 것이라는 가설을 만족하였으며, 바코드와 QR코드 대비 디자인 QR코드의 주목성이 각각 53.0%, 52.1%로 나와 디자인 QR코드가 가장 주목될 것이라는 가설을 만족하였다. 아직은 QR코드를 스캔한 이유가 호기심이나 이벤트 때문으로 나타나고 제공된 정보의 만족도도 21.4%로 낮게 나오는 점은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다. 계열간의 차이는 디자인 QR코드 인지, QR코드 스캔 경험, QR코드를 통한 회사인식, 바코드에 비해 QR코드 인지 항목에서 유의확률이 각각 0.05보다 낮게 나와 집단(계열)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자인 QR코드의 활용 활성화 방향으로는 주요 노출지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제공, 좀 더 주목성을 높인 코드의 제작, 제공되는 정보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노력, 그리고 다양한 분야에의 적용을 들 수 있다.

      • KCI등재

        문화코드의 문화기호학적 고찰

        백승국(Baek, Seung-Guk),권지혁(Gwon, Ji-Hyeok),한창호(Han, Chang-Ho) 인문콘텐츠학회 2012 인문콘텐츠 Vol.0 No.24

        본 연구는 영상콘텐츠의 기획과 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문화코드를 추출하기 위한 학제적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호학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영상콘텐츠의 서사구조에서 문화코드를 도출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모티브와 플롯의 문화코드 도출 모델은 분석의 과정과 창작의 과정으로 구분하여 서사도식을 적용하였다. 분석의 과정에서는 영상콘텐츠의 내러티브를 계약?조종 → 능력 → 실행 → 평가의 4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 플롯과 모티브를 분석하여 문화코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창작의 과정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티브의 6가지 유형 중에 창작가가 하나의 모티브를 선택하고 소비자가 선호하는 플롯을 선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사도식의 각 단계에 적합한 이야기를 구성하며 서사도식의 각 단계에 따라 이야기를 배열하면 된다. 캐릭터의 문화코드 모델은 캐릭터의 기능과 이미지를 세분화하여 문화코드 도출 모델을 제시하였다. 캐릭터 기능의 문화코드는 그레마스의 행동자 모델을 변형하여 문화코드 도출 모델을 제시하였다. 캐릭터 이미지의 문화코드 도출 모델은 바르트의 5가지 코드와 장 마리 플로슈와 마틴 졸리의 기호학적 이미지 분석 방식인 4가지 요소에 주목하여 이미지 분석뿐 아니라 이미지 창조에 필요한 요소들로 구성된 캐릭터 이미지의 문화코드모델을 제시하였다.결국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문화코드 도출 모델은 영상콘텐츠의 기획과 제작에 있어 각국에 적합한 영상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범례를 보여준다. 즉 본고는 이런 연구과정을 통해 소비자가 선호하는 영상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할 수 있는 문화코드 도출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This paper purposes to propose an academic method to extract the culture codes to put into planning and producing video contents. For this, with Semiotic methodology, this paper showed a theoretical model to extract the culture codes derived from the motifs, plots and characters in video content. For the motifs and plots, the Extraction Model of Culture Code had two different processes of analysing and producing based on Greimasian Narrative Program. In analysing, the narrative in video content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stages: contractㆍmanipulation → competence → performance → sanction. The plots and motifs were examined in every stages of four to extract culture codes in them. In producing, this paper proposed six types of motifs that enabled producers to choose one of them, also the plots that can be preferred by consumers. And it led the producers to compose and organize the stories pertinently to each stages. For the characters, this paper proposed the Extraction Model of Culture Code by subdividing the functions and images of characters. In extracting culture codes from the functions of the characters, the model transformed the Actantial model by Greimas. From the images, this paper showed the model with factors both to examine and to produce, considering two semiotic theories: the five codes by Barthes and the four factors in the analysing method of images by Jean-Marie Floch and Martine Joly. In conclusion, the Extraction Model which is proposed in this paper gave an example in planning and producing work, to formulate an appropriate video content for each of local environment.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n extraction model of culture codes so that helped to plan and to produce video contents that consumers prefer.

      • KCI등재

        대만의 國語와 閩南語 코드전환 의도 연구 ―대만 시사토론 프로그램 중 코드전환 사례를 위주로

        염재웅 한국중국문화학회 2023 中國學論叢 Vol.- No.77

        In this study, through the data of code-switching between Mandarin and South Min diarect in a current affairs discussion program in Taiwan, we examined what intention the speaker uses code-switching in a situation where political positions are sharply divided. Among the 127 code-switching examples, excluding 7 cases with no particular code-switching intention, Therer are 120 code-switching examples that are divided three type, the first type is “speaker’s intention-centered code-switching” which the speaker tries to reinforce and persuade his argument, the second type is “listener’s intention-centered code- switching” which is carried out by the speaker for the purpose of stimulating or placating the listener, and the third type is the combined type of “speaker’s intention-centered code-switching” and “listener’s intention-centered code- switching”. “listener’s intention-centered code- switching” is used 86 times (72%), “speaker’s intention-centered code-switching” is used 28 times (23%), and “speaker’s intention-centered code-switching” and “listener intention-centered code-switching” type were used 6 times (5%). 본 연구에서는 대만의 시사토론 프로그램에서 발생되는 국어와 민남어의 코드전환 자료 통해 정치적 입장이 첨예하게 갈리는 상황에서 화자는 어떤 의도를 가지고 코드전환을 사용하는지 고찰해보았다. 127개의 코드전환 용례 가운데 특별한 코드전환의 의도가 없는 7개의 용례를 제외한 120개의 코드전환 용례를 화자가 자신의 주장을 강화하고 설득하려는 “화자의 의도가 중심이 되는 코드전환(화자 중심 의도)”과 화자가 청자를 자극하거나 회유할 목적으로 진행되는 “청자의 의도가 중심이 되는 코드전환(청자 중심 의도)”으로 분류하였는데, 상황에 따라서 “화자 중심 의도”와 “청자 중심 의도”가 결합된 용례도 발견할 수 있었다. 코드전환의 전체적인 사용 비율로 보면 “청자 중심 의도”는 86회(72%)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화자 중심 의도”는 28회(23%) 사용되었으며, “화자 중심 의도”와 “청자 중심 의도”이 복합적으로 사용된 경우는 6회(5%)로 가장 비중이 낮았다. 일반적으로 토론 형식의 발화라면 자신의 주장을 강조하는 것을 우선으로 삼을 것으로 예측할 것이다. 그러나 본고의 연구 대상은 친국민당 성향의 시사토론 프로그램에서의 발화 내용이다. 따라서 국어 코드를 주로 사용하는 친국민당 성향의 화자들의 숫자가 더 많은 이 프로그램에서 친민진당 성향의 청자를 자극하고 회유할 생각으로 상대방의 코드인 민남어 코드의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와 같은 이유로 “화자 중심 코드전환”보다 “청자 중심 코드전환”의 빈도가 3배 이상 높은 결과가 나온 것으로 유추해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바이트코드 분석을 이용한 자바 프로그램 표절검사기법 (pp.442-451)

        지정훈(Jeong-Hoon Ji),우균(Gyun Woo),조환규(Hwan-Gue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5 No.7

        대부분의 표절검사 시스템들은 소스코드를 이용해 유사도를 계산하고 표절 프로그램을 찾아낸다. 소스코드를 이용하여 표절검사를 수행할 경우, 소스코드 보안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목적 코드를 이용한 표절검사는 소스코드 보안문제에 대한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바 프로그램의 표절검사에 대하여 소스코드 없이 바이트코드를 이용해 표절검사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바이트코드를 이용한 표절검사는 크게 두 단계로 진행된다. 먼저, 자바 클래스 파일로부터 메소드의 코드영역을 분석해 토큰 시퀀스를 생성한 다음 적응적 지역정렬을 이용해 유사도를 계산한다. 실험 결과, 소스코드와 바이트코드의 유사도는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또한, 소스코드 쌍과 바이트코드 쌍의 유사도 상관관계가 충분히 높게 측정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바이트코드 표절검사 시스템은 소스코드를 이용해 직접 표절을 검사하기 전 단계에서 1차적인 검증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Most plagiarism detection systems evaluate the similarity of source codes and detect plagiarized program pairs. If we use the source codes in plagiarism detection, the source code security can be a significant problem. Plagiarism detection based on target code can be used for protecting the security of source cod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plagiarism detection technique for Java programs using bytecodes without referring their source codes. The plagiarism detection procedure using bytecode consists of two major steps. First, we generate the token sequences from the Java class file by analyzing the code area of methods. Then, we evaluate the similarity between token sequences using the adaptive local alignment.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we can find the distributions of similarities of the source codes and that of bytecodes are very similar.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milarities of source code pairs and those of bytecode pairs is high enough for typical test data. The plagiarism detection system using bytecode can be used as a preliminary verifying tool before detecting the plagiarism by source code comparison.

      • KCI등재

        Intel VT 기술을 이용한 Xen 기반 동적 악성코드 분석 시스템 구현 및 평가

        김태형(Taehyoung Kim),김인혁(Inhyuk Kim),엄영익(Young Ik Eom),김원호(Won Ho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7 No.5

        악성코드를 분석하기 위한 기법에는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기존의 악성코드 분석 기법으로는 악성코드들의 동작들을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분석 시스템들이 악성코드의 안티-디버깅 기술에 의해 감지되기 쉽고, 실행속도 등 여러 가지 한계점을 보임에 따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분석 기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 코드 분석을 위한 기본 요구사항인 명령어 단위 분석 및 메모리 접근 추적 기능을 제공하는 동적 코드 분석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그리고 DLL 로딩 추적을 통한 API 호출 정보를 추출하여, 다양한 실행 코드들을 분석 할 수 있는 기반 환경을 구축한다. 제안 시스템은 Intel의 VT 기술을 이용하여 Xen 기반으로 전가상화 환경을 구축하였으며, 게스트에서는 윈도우즈 XP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 시스템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악성코드들을 분석해 봄으로써 제안 시스템 각각의 기능들의 활용을 살펴보고, 제안 시스템이 악성코드들을 정확하게 분석및 탐지함을 보여준다. There are several methods for malware analys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tect malware exactly with existing detection methods. Especially, malware with strong anti-debugging facilities can detect analyzer and disturb their analyses. Furthermore, it takes too much time to analyze malware.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of current analyzers, more improved analysis scheme is required. This paper suggests a dynamic binary instrumentation which supports the instruction analysis and the memory access tracing. Addtionally, by supporting the API call tracing with the DLL loading analysis, our system establishes the foundation for analyzing various executable codes. Based on Xen, full-virtualization environment is built using Intel's VT technology. Windows XP can be used as a guest. We analyze representative malware using several functions of our system, and show the accuracy and efficiency enhancements in binary analyses capability of our system.

      • KCI우수등재

        문화코드의 조정과 우위

        이희정(Hee-Jeong Lee) 한국사회학회 2017 韓國社會學 Vol.51 No.3

        본 연구는 신용정보 논쟁을 분석함으로써 신용정보제도의 변화 동력과 원인이 무엇인지 탐색하고, 논쟁과정에서 한국 시민사회의 갈등과 긴장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갈등이 어떻게 조정되는지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신용정보법 제정과 신용불량자 등록제도 폐지 논쟁들에서 신용정보활용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이 채택된 반면에 신용정보 유출 논쟁에서는 신용정보 보호 강화라는 해결책이 채택된 이유를 탐색한다. 후기 뒤르케임주의 문화사회학적 분석틀에 입각하여 신용정보 논쟁을 분석한 결과 한국 시민사회의 문화코드가 신용정보제도를 형성 변화시키고 신용정보이용과 보호 중에 특정 방안을 채택하는 기본 동력임을 발견한다. 한국 시민사회에서 발전주의 코드와 민주 코드라는 복수 문화코드가 공존하고 있으며, 복수 문화코드의 공론장에서의 지위가 상징투쟁의 결과에 따라 지난 20여 년간 변화되고 있다. 신용정보법 제정시기에는 발전주의 코드가 지배적인 우위를 보였으나, 신용불량자 등록제도 폐지 논쟁에서는 발전주의 코드와 민주 코드가 모두 수용되는 문화코드의 조정을 보여주었다. 2014년 신용정보유출 논쟁에서는 민주 코드가 지배적 우위를 보이면서 신용정보제도 개선에 적극 활용되었다. 따라서, 한국 사회에서 특정 영역의 이슈가 사회문제화되는 경우 민주 코드가 적극적으로 동원되고 제도 개혁을 촉발하여 사회적 연대감이 확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복수 문화코드의 상호작용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복수 문화코드의 상호작용과 사회적 연대감의 관계에 대한 후기 뒤르케임주의 문화사회학적 논의의 정교화를 시도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roversies over credit information to investigate the fundamental dynamic forces and causes of changes in the credi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to examine what the conflict and tensions were in the process of disputes and how they were resolved in Korean civil society. More specifically, it attempts to explore reasons why the controversy over credit information breach led to the enhancement of credit information protection, while the debates on the enactment of the Credit Information Act and the abolition of the credit delinquents" registration system resulted in policy adjustment for the expansion of credit information use. The late-Durkheimian cultural sociological framework is applied to the three controversies above. It is found that cultural codes in Korean civil society is a fundamental driving force to formulate the credi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also to adopt specific measures to choose between the credit information use and the protection. In Korean civil society, there is the dual cultural code such as the developmental and democratic coexisting, of which the position in the public sphere has evolved over the last two decades as a result of symbolic struggles. While the developmental code was dominant in the enactment of the Credit Information Act, both developmental code and democratic code were equally accepted in the controversy over the abolition of the credit delinquents" registration system where the reconciliation of cultural code was detected. Moreover, in the debate on credit information breach in 2014, the democratic code was more dominant force promoting the reform of the credi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Hence, it is suggested that the democratic code is actively mobilized to trigger institutional reform and increase social sense of solidarity, when issues of specific spheres are problematized socially in Korea. This case study on the interaction of multiple cultural codes attempts to make a contribution to elaborate the cultural sociological discussion of the late-Durkheimian studie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raction of multiple cultural codes and social solidarity.

      • KCI등재

        한국 패션 브랜드 광고의 QR(Quick Response) 코드 활용에 관한 연구

        김용주(Yong Ju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4

        지난 몇 년간 기업이 직면한 기술 환경 변화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스마트폰의 개발과 확산이다. 스마트폰은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자체를 변화시켰으며 기업에는 소비자와 소통할 수 있는 새로운 채널을 제공함과 동시에 모바일 쇼핑이라는 유통채널을 가능하게 하여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게 하였다. QR(Quick Response) 코드는 이 두 가지 변화를 연결해주는 기업의 도구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패션 기업의 QR 코드 활용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효율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의 역할을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기업이 활용하는 코드 및 QR 코드 유형 및 활용도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10개 패션잡지 광고에 활용된 191건의 QR 코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패션잡지와 상품군에 따라 활용 빈도를 분석하였고 QR코드의 유형을 일반 코드와디자인 코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QR 코드로 링크된 정보 콘텐츠의 유형을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브랜드의 QR 코드의 활용도는 젊은 소비자를 목표로 하는 잡지와 화장품, 여성복, 캐주얼 의류의 상품 군에서 높게 나타나 이들 기업이 전략적으로 QR 코드를 소통 도구로 활용하고자 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일반QR 코드의 비중이 디자인 QR 코드 보다 월등히 높았으나 일반 코드도 내부는 침범하지 않으면서 주변에 상징, 브랜드명 또는 정보를 배치하여 마치 디자인QR 코드처럼 보이도록 하였다. 셋째, 링크되는 정보콘텐츠는 신상품 정보가 가장 많았고 그 외 정보(이벤트, 뉴스, 동영상, 쇼핑몰, 스토리, SNS 등)의 다양성과 빈도는 낮았다. 결론적으로 QR 코드가 패션 브랜드의 효율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도구가 되기 위해서는 인식률의 향상과 젊은 층에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QR 코드의 개발과 링크되는 정보 콘텐츠의 다양성과 유용성 그리고 지속적인 최신 정보의 갱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In the past few years, the most critical technological impact factors that the business have faced would be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the Smartphone. Smartphones have changed consumer’s lifestyles itself. Also the business can expand the retail to the mobile shopping channel due to the new communication tool. QR(Quick Response) code can be a connection tool to reflect two changes.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applications of QR codes by the fashion firms and proposed the way to improve efficiency of QR codes by investigating problems. As research methodology, previous studies about QR codes applications were reviewed, and then 191 QR codes in 10 Korean fashion magazine advertisement were collected. Collected QR codes were analyzed by the product types and magazines in terms of frequency. QR code types (general/design) were analyzed and information contents by scanning QR codes were analyzed in detail. Based on research findings, conclusions and marketing implications were proposed. Major research findings and conclusions are followings. First, fashion magazines whose readers are young generation and product types such as cosmetics, women’s wear and casual wear showed higher frequencies, which implies that these firms adopt QR codes advertising strategically. Second, general types of QR code shows outstandingly higher frequency than design QR code but they align symbols, brand names, or text information next to the square in order to invoke curiosity. Third, new product information linked to QR code scanning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but other information such as events, news, movies, etc. were commonly linked. In conclusion, QR codes itself should be attractive and the quality of scanning and the speed should be enough. More importantly, information linked should be diverse, useful and also it should be updated continuously in order to be a effective tool to communicate with consumers.

      • KCI등재

        Mem-Shot : 악성코드 난독화 분석을 위한 API-Trigger 기반의 메모리 덤프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최상훈,박기웅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16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12 No.4

        최근 유포되는 악성코드에는 악성코드 분석을 방해하기 한 코드삽입, 난독화, 문자열 암호화 등 다양한 악성코드 분석회피 기술이 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분석회피 기술이 용된 악성코드의 분석을 해, 가상머신 에 악성코드를 구동시킨 후 악성코드가 특정 API를 호출하면 정확한 시에 가상머신의 메모리 이미지를 빠르게 추 출 할 수 있는 악성코드 분석 시스템을 구하다. 악성코드에서 특정 API가 호출된 정확한 시에 메모리 덤 일을 얻을 수 있다면, 메모리분석을 통해 악성코드가 사용한 함수의 매개변수나 암호화 된 데이터 난독화가 해 제된 코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실험결과 악성코드가 API호출한 정확한 시에 메모리 덤를 할 수 있었고, 메모리 분석을 통해 분석회피 기술이 용된 악성코드로부터 숨겨진 문자열과 API 매개변수를 추출 할 수 있었다. As malware generation techniques have been advanced, malware authors utilize various malware analysis evasion techniques such as obfuscation, garbage code insertions and string encryption. To alleviate such problems,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malware analysis system which is specialized in dumping memory of a virtual machine. Malware analysis based on memory dump is a promising way to deep dive into the obfuscated malwares. Our system makes it possible to take a memory snapshot at a time of a certain API called. Furthermore, it accelerated the memory dump. Consequently, users can extract hidden information such as encrypted data and functional parameters from the malware in a user friendly manner. According to our experiments, our system can detect such hidden strings and API arguments even with analysis evasion techniques.

      • KCI등재

        악성코드 탐지 방법에 관한 연구

        김태경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2 보안공학연구논문지 Vol.9 No.5

        전 세계적으로 악성코드가 급속하게 증가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웹 사이트 를 통해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악성 코드를 효과적으로 탐지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악성 코드가 유 포되는 전 구간을 파악하고, 위험요소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악성 코드가 유포되 는 전 구간에 대해 위험요소를 정의하고 이를 이용한 악성코드 위험도 산정기법을 제시하였다. 제시 한 위험도 산정기법을 통하여 국지적으로 악성코드를 탐지하고 대응하는 기법에서 악성코드와 연관 된 전체 구간에 대해서 위험도를 산정함으로 좀 더 효과적으로 악성코드에 대한 위험도를 파악할 수 있다.

      • KCI등재

        컬러코드에 대한 사용자 인지도 분석

        이승영(Seung Young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4

        컬러코드는 한국 고유의 2차원 바코드 기술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일본의 QR코드와 비교해 인식속도나 디자인 확장성에서 한수 위의 기술로 평가 받고 있다. 특히 다양한 컬러와 감성적인 이미지로 디자인이 가능하여 시각적 효과가 매우 높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컬러코드의 새로운 마케팅의 대안으로써의 가치와 발전가능성을 파악해보고 현재 새롭게 떠오르는 컬러코드의 사용자 인지도를 조사 분석하여 효과적인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주된 방법과 범위는 인터넷 통계와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컬러코드에 대한사용자의 인지도 설문조사는 커뮤니케이션 측면과 비주얼 측면으로 구분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QR코드가 단순히 정보만 담고 있다면 컬러코드는 커뮤니케이션에서 디자인까지 만족시키는 감성코드임을 인지도 조사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컬러코드는 브랜드의 이해를 돕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은 수치로 브랜드에 친근감(호기심)을 나타내 브랜드의 선호도와 선택 가능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컬러코드는 브랜드의 정보전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쟁 브랜드 중에서 해당 브랜드를 구별해낼 수 있어 차별화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주얼 측면에서는 컬러코드의 디자인이 브랜드 이미지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컬러코드의 디자인은 인지도 향상과 주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컬러코드의 이미지는 해당 브랜드를 쉽게 기억해 낼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는 시각적인 요인이 크고 이를 얼마나 전략적으로 구현하느냐가 중요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컬러코드는 그림이나 아이콘과 비슷하여 사용자에게 코드로 인식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나, 인터렉티브, 리얼타임의 특성을 겸비한 온오프라인의 접점으로서 활발한 고객 커뮤니케이션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브랜드 앱의 활성화까지 기대할 수 있어 효과적인 모바일 마케팅 플랫폼으로 활용이 예상된다.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컬러코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크리에이티브한 디자인을 통해 아이덴티티의 차별화로 이미지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 앞으로 새롭게 떠오르는 컬러코드에 대한 관심과 활성화를 기대해본다. Color code refers to an original bar code technology developed in South Korea, and is recognized as a technology that takes better competitive edge in data recognition speed or design scalability than Japan`s QR code, a worldwide popularized code. Particularly, color code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useful in various applications owing to very high visual effect which is demonstrated by a fact that code design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colors and emotional im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value and developmental possibility of color code as an alternative way of new marketing, survey and analyze users` awareness about color code that emerges newly in these days, and propose effective ways to promote color code.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relied primarily on web statistics and questionnaire survey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and scope. And it used a questionnaire survey to investigate users` awareness about color code in two aspects, i.e. communication and visualit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QR code contains information simply, but color code is emotional code enough to satisfy both of two needs, that is, communication and design, as shown in the results of awareness survey. In the aspect of communication, it was found that color code was helpful to understand brands, and our users revealed high sense of affinity (curiosity) with brands. Thus, it is expected that color code will have influences on users` brand preference and choice. Moreover, it was found that color code has effects on information delivery of brands, and it is differentiated from QR code in that the former is effective in identifying any relevant brands among competitive ones. In visual aspect, it was found that color code design didn`t have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image. Notably, it was found that color code design had effects on improving brand awareness and attention. The images of color code were helpful for users to easily remember relevant brand, and the identity of a brand depends significantly on visual factors and how much strategically those factors are implemented. Color code is similar to figure or icon, so it is not easily recognized as a code by users. However, it is characterized by interactivity and real time as a point of contact between online and offline to create active customer communications and activate even brand apps. Thus, it is expected that color code will be very useful as effective mobile marketing platform. In order to promote color code in the aspect of design, it is important to develop creative designs and differentiate brand identity to enhance brand image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more and more interests in color code as emerging code, and it will be more popularized around th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