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칼빈의 개혁 신앙과 교회와 국가의 관계: 네덜란드의 코른헤르트(Dirck Coornhert: 1522-1590)와의 논쟁을 중심으로

        안인섭 ( Insub Ahn ) 한국개혁신학회 2017 한국개혁신학 Vol.55 No.-

        칼빈은 네덜란드의 인문주의자요 니고데모주의자(Nicodemite)였던 코른헤르트(Dirck Coornhert: 1522-1590)와 1560-1562년에 걸쳐 로마 가톨릭의 의식(Ceremony)에 대한 논쟁을 벌였다. 당시 네덜란드에서 영향력 있는 정치가요 신학자였던 코른헤르트는 1560년에 네덜란드어로 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한글로는 로마 가톨릭 우상숭배에 대한 변증)을 저술하여 칼빈을 비판했다. 이 책은 네덜란드의 칼빈주의자들에 의해서 번역되어 칼빈에게 전달되었다. 칼빈은 코른헤르트의 변증에 대해서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어느 네덜란드인에 대한 답변)을 저술하여 1562년에 출판하였으며 코른헤르트에게 전해졌다. 칼빈은 1537년 Epistolae duae(두 서신)부터 1562년 어느 네덜란드인에 대한 답변까지 25년을 한결같이 니고데모주의를 비판해 왔다. 칼빈의 이 소논문은 니고데모주의자들에 대한 역사적이고 신학적인 정황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코른헤르트는 기독교 신앙은 성령에 의한 신자들과 하나님 간의 내적이고 영적인 관계이기 때문에 로마 가톨릭의 의식에 외적으로 참석하는 것은 개인의 신앙에 저촉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독교인의 핵심적인 삶의 가치는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것이라면서 종교적인 의식이나 예전은 인간적인 기구들일 뿐이며 성경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코른헤르트는 당시 스페인의 지배로부터 네덜란드의 독립을 진행하는 오렌지공 윌리엄의 자문 역할을 담당했던 무게 있는 지도자였다. 또 종교적인 관용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던 인문주의자로서 네덜란드에서 그의 영향력은 막강했다. 따라서 코른헤르트의 주장은 네덜란드 칼빈주의 자들을 신학적으로 혼란하게 할 수 있었고 그들의 영향력을 현저하게 약화시킬 수 있었던 중대 사안이었다. 코른헤르트의 이런 주장은 지금까지 칼빈과 개혁파 신학자들이 종교개혁의 신학을 가졌다면 로마 가톨릭의 예전에 참석해서는 안되며 그로 인해서 야기될 수 있는 박해도 감수해야 하고 망명을 해서라도 신앙의 자유를 지키라고 했던 강조점을 정면으로 도전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코른헤르트의 공격에 대한 칼빈의 신학적 답변은 네덜란드 칼빈주의자들은 말할 것도 없고 유럽 전체의 칼빈주의가 직면한 도전에 대해서 교회의 진로를 모색할 수 있는 절대적으로 중대한 신학적 진술이었다. 칼빈은 코른헤르트에 대해서 영혼과 육체, 신앙과 삶은 분리될 수 없으며 따라서 로마 가톨릭의 의식에 참석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칼빈은 개혁주의 신학과 삶의 통전성이라는 핵심적인 가치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칼빈의 답변은 칼빈 자신이 네덜란드 칼빈주의 신학의 발전과 네덜란드의 독립에 얼마나 연관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가 된다. 칼빈이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는 영적이고도 육적인 삶의 예배, 그리고 개혁주의 신학과 삶의 일치라는 핵심적인 가치는 스페인과 가톨릭 교회로부터 가혹하게 박해를 받고 있던 네덜란드 칼빈주의자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실제로 칼빈은 네덜란드가 1560년대 이후 저항과 독립으로 나갈 수 있는 신학적이고 실질적인 동력을 제공해 주었으며, 조국을 떠나서라도 종교개혁 신앙에 따라 살수 있도록 강력한 신학적 동기를 부여했다. 네덜란드 칼빈주의자들은 결과적으로 유럽의 칼빈주의 강화와 국제화에 공헌자가 될 수 있었다. Calvin argued against Dutch humanist and Nicodemite, Dirck Coornhert(1522-1590) in the course of 1560-1562 regarding the Roman Catholic Ceremony. At that time, Coornhert was a politician and theologian influential in the Netherlands. He criticized Calvin in his work 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 which was published in Dutch, in 1560. The book was translated by Dutch Calvinist and delivered to Calvin. Calvin also published his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in 1562 and sent it Coornhert. For 25 years, Calvin had consistently criticized Nicodemianism through his 1537 work Epistolae duae and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1562). Coornhert argued that partaking in the outwardly, Catholic ceremony by believers is not conflicting to the inward spiritual relationship one has with God through the Holy Spirit. He insisted that Christianity`s core essence of loving God and loving one`s neighbor is only a religious rite and ceremony therefore unbiblical. During this time, Coornhert was a counselor to William of Orange who campaigned for Dutch independence from Spain. Also, as a humanist strongly supportive of religious tolerance, his prominence in the Netherlands was strong. Thus, Coornhert`s stance would not only bring theological confusion to the Dutch Calvinist but drastically weaken their influence. Coornhert`s contention was a direct challenge to Calvin, the Reformed theologians, and saints from the Reformation, who, up to this point, rejected the Catholic ceremony, endured persecution, and readily fled. Therefore, Calvin`s theological response to Coornhert`s attack was not a crucial theological writing devising a direction for the church of the Netherlands but for Europe as well. Calvin emphasized that man`s soul, body, and faith are inseparable so participating in the ceremony of the Roman Catholic unacceptable. The totality of the Reformed theology and faith is clearly presented. At the same time, Calvin`s Response is a prime historical record showing the relevance of Dutch Calvinistic theology to the progress of Dutch independence. Calvin`s view of spiritual and physical act of worship and Reformed theology, corresponding life and faith inspired the suffering Dutch Calvinist who were persecuted by the Spanish Catholic church. In effect, after 1560, it provided a theological motivation to continue the resistance and to live according to the faith of the Reformation. Consequently, Dutch Calvinist contributed to the strengthening and internationalization of Calvinism in Europe.

      • 실천적 칼빈주의와 성경적 상담

        정정숙 ( Chung Sook Chung ) 한국성경적상담학회 2013 성경과 상담 Vol.12 No.-

        칼빈주의는 기독교의 단순한 교리가 아니라 하나의 독특한 사상체계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칼빈주의는 역사적으로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발전되었는데 하나는 주관적 행동을 강조하는 것으로서 영국의 청교도와 독일의 경건주의 같은 신학이다. 다른 하나는 객관적 신학체계로서 기독교 스콜라주의 신학으로 발전하였다. 산국에 소개된 칼빈주의는 이 두가지 형태의 영향을 동시에 받았다. 칼빈주의 신학의 특성은 하나님 중심의 신학, 성경중심의 신학 그리고 교회중시의 신학이다. 이런 특성 속에서 실천적 칼빈주의가 논의되는데 이것은 아브라함 카이퍼(braham Kuyper)의 주장에서 구체화된다. 카이퍼는 칼빈주의를 삶의 체계라고 규정하였고, 일반은총론과 영역의 주권이론을 통해 실천적 칼빈주의를 구체화하였다. 실천적 칼빈주의의 원리는 하나님의 절대주권, 성경의 절대권위, 변혁주의적 문화사명이다. 이것은 칼빈주의의 핵심을 제시하고 믿음과 행함의 일치를 통하여 하나님의 주권을 확립하는 것이다. 성경적 상담과 실천적 칼빈주의라는 말은 성경적상담은 반드시 성경적이여야 하고 실천적이어야 하며 칼빈주의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칼빈주의의 근본원리가 하나님의 주권에 있는 것처럼 성경적 상담 역시 하나님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일반상담과 기독교상담 가운데서도 성경을 인간행동의 절대원리로 받아들이지 않는 입장에서는 옳은 것과 잘못된 것을 판단하는 기준이 심리학 중심주의, 자아중심주의, 반기독교적 사고들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성경을 바탕으로 한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를 강조하는 성경적 상담은 실천적 칼빈주의의 한 형태로 구체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고의 연구목적은 실천적 칼빈주의를 구체화하는 방안으로서 성경적 상담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히고. 그 근거를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는 칼빈주의와 성경적 상담의 근본원리와 목적의 동일성을 제시함으로 성경적 상담의 정체성을 논의하는데 있다. 실천적 칼빈주의를 논의하기 위해서 칼빈주의의 역사와 특성, 실천적 칼빈주의의 가능성과 실천적 칼빈주의의 원리를 살펴보고, 실천적 칼빈주의로서의 성경적 상담과 미래에 대한 전망을 제시했다. Calvinism is not simply a Christian doctrine but it has uniqu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Calvinism developed into two distinct forms throughout history. One, as in English Puritanism and German pietism, emphasizes subjective behaviors, whereas the other, in scholastic theology, emphasizes objective theological doctrines. The form of Calvinism introduced in Korea has influences from both branches of such theological development.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 of Calvinism centers around the concept of total and absolute sovereignty of God and the Church. Abram Kuyper (1837-1920), a Dutch theologian, defined the concept of practical Calvinism (also known as neo-Calvinism) as the fundamental way of life where God continually influences the life of believers. By elaborating on the concepts of common grace (also called efficacious grace) and the theories of sovereign grace, Kuyper advanced and gave content to Calvinism. The principles of practical Calvinism is a cultural mandate of God`s absolute sovereignty,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Bible, and transformation. This is to define and establish God`s sovereignty through the unity of faith and action. The term “Practical Calvinism and counseling” implies that biblical counseling must be rooted firmly in the Bible and the principles of practical Calvinism. Just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Calvinism lies in the absolute sovereignty of God, biblical counseling also must be God-centered. Among secular and Christian counseling practitioners, there are those who do not accept the Bible as the absolute principle of human behavior and rather base their practice on psychological egocentrism and anti-Christian beliefs. It is imperative, therefore, for biblical counseling to emphasize the absolute sovereignty of God through its biblical foundation. This monograph seeks to provide ways in which biblical counseling can further advance practical Calvinism. Calvinism and biblical counseling have a common goal of emphasizing the absolute sovereignty of God, and thus a discussion of Calvinism`s history and characteristics must take place. This volume will examine the principles of practical Calvinism and contemplates the future prospects of practical Calvinism and biblical counseling.

      • KCI등재

        개혁주의 유산으로서의 칼빈주의 개념 고찰: 벤자민 B. 워필드의 칼빈주의 이해를 중심으로

        류길선 ( Ryu Gil Sun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21 역사신학 논총 Vol.39 No.-

        워필드에게 칼빈주의는 넓은 의미에서 세 가지 용례로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칼빈주의는 칼빈이 직접 가르친 내용들, 즉 다양한 신학적, 교회론적, 정치적 문제들에 관한 관점들을 가리킨다. 둘째, 칼빈주의는 개혁주의 신학자들이 칼빈과 아우구스티누스주의로부터 물려받아 발전시킨 교리 체계이며, 따라서 루터파와 구분된다. 칼빈주의의 세 번째 용법은 가장 넓은 방법으로 사용되는데, 여기에서 칼빈주의는 신학, 윤리학, 철학, 사회학, 정치학, 그리고 교육학적인 관점들에 연관된다. 워필드는 두 번째 용법, 즉 개혁파 교회의 교리 체계로서의 칼빈주의를 선호하는 한편, 첫 번째와 세 번째 용법들을 간과하거나 외면하지 않는다. 이는 워필드가 취하는 칼빈주의의 용례들이 한결 같이 모두 개혁파 내에서의 칼빈주의를 내포하기 때문이다. 개혁주의 유산으로서의 칼빈주의에 대한 워필드의 관점은 네 가지 주요한 관점을 제공한다. 첫째, 그가 언급한 교리 체계는 예정론과 같은 특정교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칼빈의 신학적 사상의 영향 가운데 경건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발전한 교리 체계, 더 쉽게 말하면 경건의 체계를 의미한다. 둘째, 그동안 잘못 이해되어 왔던 칼빈주의에 대한 오해들, 예를 들어 칼빈주의를 메마르고 구세대적이라는 비판들을 일축한다. 셋째, 칼빈주의가 협소한 개념이 아니라 다양한 개신교 교파들과 연관성을 가지는 포괄적인 개념임을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워필드는 보다 직접적으로 칼빈의 사상에 한 걸음 밀착하여 칼빈의 신학 가운데 나타난 기독교 유신론의 형식적 원리를 제공하고, 신학과 실천의 관계에 있어서 개혁주의 유산이 남긴 탁월성을 돋보이게 함으로써, 현대의 만연한 무신론과 기독교 윤리 문제에 대한 올바른 대안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돕는다. Warfield believes that Calvinism could be used in the three usages. First, it means Calvin’s own theological position, indicating various theological, ecclesial, political issues. The second option is the system of doctrine taught by Calvin and the Augustinianism associated with the whole body of the Reformers, in distinction from the Lutheran Churches. The third use of the term Calvinism designates the most broad way in which Calvinism is involved to Christian Worldview in terms of the entire body of conceptions including theological, ethical, philosophical, social, polit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While Warfield prefers the second usage of the term, he does not neglect the first and third ones. Warfield chooses the second usage of calvinism, and provides the focal point of the calvinistic view, by exploring the life and works of Calvin, considering the Christian theism, and differentiating it from Lutheranism and Arminianism. Warfield’s perspective of calvinism as the Reformed heritage implies four significant points of view. First, calvinism as the system of doctrine taught by the Reformed churches does not indicates the certain doctrine such as predestination, but rather signifies religion which encourages the Christian life in relation to God. Second, it terminates a misconception that calvinism is the dry and outmoded philosophy. Third, calvinsim for Worfield is not narrow but includes comprehensive perspective which show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other Protestant groups. Finally, he provides a fundamental framework the Christian theism in Calvin’s theology, helping today’s Reformed theologions who need an alternative to the modern context which is pervaded with atheism.

      • KCI등재

        존 칼빈의 신학방법론으로서의 성경극중주의 : 양비론(兩非論)과 양시론(兩是論)을 오가는 ‘이중개념주의’와 ‘복잡성의 중도’ 사이에서

        전대경 ( Jun Dae Kyung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8 ACTS 신학저널 Vol.35 No.-

        본 연구는 복음주의 신학방법론과 그 맥을 같이 하는 칼빈의 신학방법론으로서 성경극중주의를 제시한다. 규명하려는 것은 칼빈의 신학방법은 성경극중주의라는 것이다. 먼저, 중도에 대한 정치학적 개념인 ‘이중개념주의’와 ‘복잡성의 중도’, 그리고 인지언어학적 개념인 ‘개념 혼성’에 대해서 살핀다. 다음으로, 칼빈의 성경극중주의 방법론을 다룬다. 그 다음으로, 문자적 해석과 은유적 해석 사이에 서 있는 칼빈의 이중개념주의적 극중주의 성경해석 방법을 다룬다. 마지막으로, 성령 은사에 대한 칼빈의 모호성과 복잡성의 중도적 해석을 다룬다. 이를 통해, 칼빈의 중도 신학방법론은 말씀에 뿌리를 내리고 그 중심을 잡는 변증법적 ‘개념 혼성’으로서의 성경극중주의라는 것을 논증할 것이다. 칼빈의 성경극중주의 신학방법론은 이중개념주의적 복잡성의 중도로 보일 소지가 다분하다. 칼빈은 성만찬, 국가론, 은사론 등에서 중도적 입장을 취한다. 칼빈의 이러한 극중주의 방법론은 때로는 중립에서 좌측과 더불어 우측에 대항해 격정적으로 싸웠고 때로는 중립에 있으면서 우측과 더불어 좌측에 대항해 격정적으로 싸우는 것을 말한다. 그러면서도 상대의 단점을 비판함과 동시에 장점을 흡수하고자 하는 비판적 수용의 자세도 보인다. 이러한 칼빈의 이중개념주의적 극중주의는 말씀에 중심을 두려고 했지 세상의 좌우 진영 가운데 서려고 하지는 않는다. 본 연구는 칼빈의 신학방법이 중도라는 주장을 단순히 부연하기 위함이 아니며, 그렇다고 그것을 부정하고자 함도 아니다. 오히려 이 둘을 뛰어 넘어 칼빈주의 신학이 중도주의라는 주장에 대한 옹호론과 비판론을 종합하고자 한다. 그래서 칼빈에게서 분명하게 발견되는, 하지만 다소 모호해 보일 수도 있는 그 중도주의적 신학방법을 더 구체화하여 표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치학적 용어인 극중주의라는 말을 차용하여 성경극중주의라는 새로운 개념(개념혼성, conceptual blending)으로 칼빈의 신학방법을 표현한다. 중도주의는 그 모호성으로 인하여 이중개념주의라고 비판을 받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중도에 대한 비판적 용어들을 성경극중주의의 장점을 더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데에 차용한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는 말씀에 그 중심을 두지 못하고 신학적 성향과 정치적 성향을 서로 혼동하여 이를 등치시켜 오용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본 연구가, 말씀에 뿌리를 깊이 내려 그 중심을 잡고, 때로는 우측에게 선지자적 사명으로 비판을 하며, 때로는 좌측에게 제사장적 비판을 하는 칼빈의 성경극중주의가 한국 개신교 교계와 신학계에 뿌리내리게 되는 마중물의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suggests Biblical-Radical Centrism as John Calvin’s theological method which falls in line with a stream of Evangelical theological method. It is to clarify that Calvin’s theological method is Biblical-Radical Centrism. First, political terms ‘biconceptualism,’ ‘complexity of via media,’ and the cognitive linguistic term, ‘conceptual blending’ are examined. Then, Calvin’s biconceptual Biblical Hermeneutical Radical Centristic method which is located in between literal and allegorical interpretation Lastly, Calvin’s moderate interpretation of ambiguity and complexity on Spiritual gifts is dealt. Thus, it is argued that Calvin’s via media theological method is Biblical-Radical Centrism, which firmly establishes its center of gravity as the word of God. It is obvious that Calvin’s Biblical-Radical Centrism can be possibly seen as a biconceptual complexity of via media. Calvin stands in the middle for his understandings on sacrament, government, Spiritual gifts, etc. Calvin, with his radical centrism method, whereas standing in the middle, sometimes fought with the left against right and other times with the right against left. In the meanwhile, as he was criticizing both, he was critically embracing the two. This Calvin’s biconceptual radical centrism was not just seeking to stand in the middle but to stand on the Word firmly. This paper’s research is neither just a reiteration that Calvin’s theological method is via media, nor to refute it. Rather, it is to embrace and synthesize both the optimism and the criticism of his via media and go beyond them. Henceforth, surely be found, but yet ambiguous via media theological method is to be explained with more. In order to do that, we could adopt the political term, radical centrism, creating a new concept by conceptual blending, Calvin’s theological method, Biblical-radical Centrism, is to be delineated. Via media is often criticized as biconceptualism for its ambiguity. In this article, adopting these somewhat critical concepts to shape up and reinforce the method of Biblical-radical centrism. Today, in Korea Society, it is quite often mistakenly regarded as a theological tendency as a political inclination.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attempts the prime water that Calvin’s Biblical-radical centrism would be firmly rooted down for the Christian and theological environment which then can prophetically criti cize the right while correcting.

      • KCI등재

        존 웨슬리가 본 칼빈주의

        김홍만 ( Hong Ma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2 No.-

        웨슬리는 온건한 칼빈주의를 인정하였으며, 알미니안주의와 함께 공존 할 수 있다고 하였다. 분명히 웨슬리는 원죄를 인정하였으며, 하나님의 섭리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웨슬리는 칭의 교리에 있어서 자신과 칼빈주의와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와의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말하였고, 더 나아가서 칼빈주의에 대해서 비판을 하였다. 웨슬리는 그 시대의 칼빈주의자들의 예정, 선택과 유기, 저항할 수 없는 은혜, 성도의 최종적 견인 교리에 대해서 비판하였다. 이러한 칼빈주의자들의 가르침은 도덕률폐기론 성향을 가지고 있어서 결국 성화를 무시하게 된다고 하였다. 웨슬리는 그 당시 칼빈주의 신학자인 존 길과의 논쟁에서 더욱 이러한 신학적 성향에 대해서 비판하였다. 그러나 웨슬리가 그 당시 이해하였던 칼빈주의는 하이퍼 칼빈주의이었다. 하이퍼 칼빈주의자들은 예정, 선택과 유기, 저항 할 수 없는 은혜, 성도의 최종적 견인 교리를 통하여 인간의 책임 부분을 완전히 제거해버렸다. 그러나 웨슬리는 이러한 하이퍼 칼빈주의를 칼빈주의로 오해하였던 것이다. 실제로 칼빈은 예정을 가르치면서 성화를 강조하였으며, 칭의와 성화가 불가분의 관계인 것과 성도의 견인에서 인간의 책임 부분이 있음을 말하였다. 따라서 웨슬리는 하이퍼 칼빈주의에 대한 비판을 한 것이다. 물론 하이퍼 칼빈주의는 잘못된 신학이며, 반드시 개혁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오늘날에도 웨슬리처럼 하이퍼 칼빈주의를 칼빈주의로 오해하고 성화를 무시하는 성향이 한국교회에 있다. 따라서 칼빈주의와 하이퍼 칼빈주의를 분명하게 구별하여 잘못된 가르침을 개혁해야 할 것이다. John Wesley acknowledged ``sober Calvinism`` which could be compatible with Arminianism. Wesley definitely admitted doctrine of original sin, and positively regard God`s providence. Even Wesley though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himself and Calvin i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However, Wesley sai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Calvinism and Arminianism. Moreover, Wesley criticized Calvinism, especially doctrines of predestination, election and reprobation, irresistible grace, and final perseverance. Wesley thought that these doctrines caused believers to ignore their sanctification. Wesley debated with John Gill in regarding to predestination, election, perseverance. In this point, Wesley equated Calvinism with Antinomianism. However, John Gill was not a Calvinist, but a hyper-Calvinist. Hyper Calvinism was a sort of Antinomianism. In another word, Wesley confused Calvinism with hyper-Calvinism. Calvinism is totally different from hyper-Calvinism. Calvin asserted the importance of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which he believed as its goal the sanctification of believers. Moreover, Calvin never said predestination as determinative doctrine. Calvin taught the relation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Calvinism is not Antinomianism. Even today, in churches, confusions between Calvinism and hyper-Calvinism still exist like Wesley`s. On the other hand, hyper-Calvinism in Korean churches has brought to ignore sanctification in the believers. Therefore, firstly, there should be clear distinction between Calvinism and hyper-Calvinism, secondly, there should be taught that hyper-Calvinism is error.

      • KCI등재후보

        존 웨슬리가 본 칼빈주의

        김홍만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2 No.-

        John Wesley acknowledged ‘sober Calvinism’ which could be compatible with Arminianism. Wesley definitely admitted doctrine of original sin, and positively regard God’s providence. Even Wesley though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himself and Calvin i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However, Wesley sai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Calvinism and Arminianism. Moreover, Wesley criticized Calvinism, especially doctrines of predestination, election and reprobation, irresistible grace, and final perseverance. Wesley thought that these doctrines caused believers to ignore their sanctification. Wesley debated with John Gill in regarding to predestination, election, perseverance. In this point, Wesley equated Calvinism with Antinomianism. However, John Gill was not a Calvinist, but a hyper-Calvinist. Hyper Calvinism was a sort of Antinomianism. In another word, Wesley confused Calvinism with hyper-Calvinism. Calvinism is totally different from hyper-Calvinism. Calvin asserted the importance of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which he believed as its goal the sanctification of believers. Moreover, Calvin never said predestination as determinative doctrine. Calvin taught the relation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Calvinism is not Antinomianism. Even today, in churches, confusions between Calvinism and hyper-Calvinism still exist like Wesley’s. On the other hand, hyper-Calvinism in Korean churches has brought to ignore sanctification in the believers. Therefore, firstly, there should be clear distinction between Calvinism and hyper-Calvinism, secondly, there should be taught that hyper-Calvinism is error. 웨슬리는 온건한 칼빈주의를 인정하였으며, 알미니안주의와 함께 공존할 수 있다고 하였다. 분명히 웨슬리는 원죄를 인정하였으며, 하나님의 섭리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웨슬리는 칭의 교리에 있어서 자신과 칼빈주의와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와의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말하였고, 더 나아가서 칼빈주의에 대해서 비판을 하였다. 웨슬리는 그 시대의 칼빈주의자들의 예정, 선택과 유기, 저항할 수 없는 은혜, 성도의 최종적 견인 교리에 대해서 비판하였다. 이러한 칼빈주의자들의 가르침은 도덕률폐기론 성향을 가지고 있어서 결국 성화를 무시하게 된다고 하였다. 웨슬리는 그 당시 칼빈주의 신학자인 존 길과의 논쟁에서 더욱 이러한 신학적 성향에 대해서 비판하였다. 그러나 웨슬리가 그 당시 이해하였던 칼빈주의는 하이퍼 칼빈주의이었다. 하이퍼 칼빈주의자들은 예정, 선택과 유기, 저항 할 수 없는 은혜, 성도의 최종적 견인 교리를 통하여 인간의 책임 부분을 완전히 제거 해버렸다. 그러나 웨슬리는 이러한 하이퍼 칼빈주의를 칼빈주의로 오해하였던 것이다. 실제로 칼빈은 예정을 가르치면서 성화를 강조하였으며, 칭의와 성화가 불가분의 관계인 것과 성도의 견인에서 인간의 책임 부분이 있음을 말하였다. 따라서 웨슬리는 하이퍼 칼빈주의에 대한 비판을 한 것이다. 물론 하이퍼 칼빈주의는 잘못된 신학이며, 반드시 개혁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오늘날에도 웨슬리처럼 하이퍼 칼빈주의를 칼빈주의로 오해하고 성화를 무시하는 성향이 한국교회에 있다. 따라서 칼빈주의와 하이퍼 칼빈주의를 분명하게 구별하여 잘못된 가르침을 개혁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의 신학적 분석과 평가

        양낙흥 ( Nak Heong Ya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3 성경과신학 Vol.66 No.-

        소명 사상이 칼빈파 신자들로 하여금 자기 직업에서의 근검절약하는 금욕적생활 태도를 낳았다는 베버의 지적은 충분한 개연성이 있는 추론으로 여겨진다. 시간의 허비를 극력 피하면서 근면하게 노동하고 불필요하거나 과도한 소비를 억제하고 절약하는 삶이 부의 축적을 가져온 것은 필연적이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가장 엄격한 경건을 실천했던 칼빈주의자들에게서 자본의 축적이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다는 베버의 주장은 설득력이 있다. 칼빈은 성화를 칭의의 보조적 증거로 보았다. 그러한 신학에 근거하여 경건한 칼빈주의자들이 자신의 중생을 확인하기 위해, 다른 말로 자신이 택자들 중에 속해 있음을 스스로 확인하기 위해 성화를 위해 노력했으리라는 것은 있을 수 있는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칼빈파가 소명에의 충성을 구원의 확신의 수단으론 사용했다기보다는 구원받은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직업을 포함한 삶의 모든 활동을 통해 하나님을 섬기는 것이 합당한 일이라는 의식에서 충성스럽게 소명에 임했다고 보는 것이 칼빈주의 신학에 더 부합하는 관찰일 것이다. 소명에의 충성을 통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해야 한다는 사명감과 돈벌이를 지고한 목적으로 인식하는 것은 별개이다. 많은 돈을 벌고자 하는 목적 의식에서 소명에 충성하는 칼빈주의는 있을 수 없다. 칼빈파의 삶의 목적은 소명에 헌신함으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이었지 그 결과로 큰 부를 획득하거나 이윤을 극대화하는 것은 아니었다. 칼빈파들에게는 “더 많은 돈을 버는것 그 자체가 목적”이었고 그것이 “최고선(summum bonum)”이었다거나 “삶의 목적이 이윤 획득”이었다는 베버의 명제는 잘못된 것이다. “돈벌이 그 자체가 윤리적 의무, 즉 소명”이라 가르치거나 믿은 칼빈주의자들은 아무도 없었다. 그런 의미에서 막스 베버의 논제가 사실을 “심각하게 왜곡”시켰다. 칼빈이나 중요한 칼빈주의 신학자 가운데 어느 누구도 단순한 부를 하나님의 “선택”의 증거로 보지는 않았다. 현세의 번영이 선택받은 자임을 확실히 증명한다는 사상을 칼빈은 명백히 그리고 단호히 거부했다. 칼빈은 가난이 은혜 안에 있지 못했다는 사실에 대한 경고나 구원에서 배제된 자라는 표지라고 주장한 적도 없다. 이상의 몇 가지 점들에서 성경과 칼빈주의 신학을 제대로 공부하지 않고서 종교적 이슈가 핵심을 이루는 주제를 다루는 사회학자 베버의 한계가 명백히 드러난다. It is probable that the idea of “calling” made the Calvinists to live an ascetic live in which they were faithful in their vocations with diligence, frugality and thrift. It is also highly probable that such ascetic life as restrain the overconsumption and waste of time produced the accumulation of wealth. In that sense Weber`s point is persuasive that the capital was the most effectively formed among the Calvinists who practised the sternest piety. Calvin took the sanctification as the supplementary evidence of the justification. That doctrine led the Calvinists to make efforts to make sure by sanctification that they were among the elect. Nevertheless, it would be nearer the truth that the Calvinists were faithful in their vocations not so much for the assurance of their salvation as for the grateful response to God for their salvation already given to them by God. It is one thing that Calvinist had the sense of responsibility to glorify God through being faithful in their vocations, and another that they thought the money-making the supreme goal of their lives. There has been no such Calvinism as being faithful in their vocations with the consciousness of purpose to make much money. Calvinists` goal of life was to glorify God by being faithful in their callings, not to accumulate a great possessions. Accordingly we can conclude that the Weber`s thesis is wrong in that he argued that the Calvinis`s goal of life was to make more money itself or that the maximization of the profit was summum bonum. No Calvinists have ever thought that the money-making itself was the ethical duty or calling. Neither Calvin nor any prominent Calvinist theologican ever taught that the mere wealth was the evidence of “election.” Calvin resolutely denied any idea that the prosperity in this world proves one`s election. He also denied that the poverty was the evidence of being among the non-elect. In this and other several asepects the limit of the Sociologist Weber is evident in dealing with the topic the main issue of which is religion and theology.

      • KCI등재

        사회적 칼빈주의와 한국교회의 사회적 공공성

        김동춘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5 기독교사회윤리 Vol.32 No.-

        This paper examines critically the theological character of Calvinism which is influential in Korean conservative Protestant theology as it concentrates on the publicity of Calvinism, and suggests an alternative theological aspect, called as social Calvinism. Although Calvinism was not only a legacy of the 'world-formative Christianity,' but also the product of the transformative Christianity that contributes to social progress, the development of politics, and economy in all sphere of life, Calvinism has been understood as an apologetic tool based on the five fundamental points such as total depravity, unconditional election, limited redemption, irresistable grace, perserence of saints in Korean Church. Therefore, in order to fulfill Korea church its public responsibility in society, this research paper delves into the heritage of cultural transformation of neo-Calvinism in the Netherlands Kuyperian tradition and the perspective of liberation theology that have been found in the Reformed Church and theology of South Africa, that is, newly rediscovered in today's church and social situation, and social Calvinism sought. 본 논문은 한국 보수 개신교에서 영향력있는 위치에 있는 칼빈주의의 신학적특징을 공공성의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그 대안으로서 사회적 칼빈주의를 제시한 것이다. 본래 칼빈주의는 ‘세계형성적 기독교’의 한 유산이었으며, 삶의 전영역에서 사회적 진보와 정치, 경제, 문화의 발전에 기여한 변혁적 기독교의 산물임에도 불구하고, 한국교회에서 칼빈주의는 주로 칼빈주의 5대 교리(전적타락, 무조건적 선택, 제한 속죄, 불가항력적 은총, 성도의 견인)로 대표되는 교리변증적 칼빈주의로 이해되었다. 그러므로 한국교회가 사회속에서 공적 책임을수행하기 위해서는 화란 카이퍼리안 전통에서 나타난 문화변혁적 신칼빈주의 신학의 유산과 남아공 개혁교회와 신학에서 발견되는 해방신학적 칼빈주의를 오늘의 교회와 사회적 상황에서 새롭게 재발견하여 사회적 칼빈주의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칼빈의 제자, 네덜란드의 종교개혁자 필립 마르닉스의 신학 연구

        안인섭(In-Sub Ahn) 개혁신학회 2020 개혁논총 Vol.54 No.-

        칼빈을 매개로 한 국제적 네트워크를 통해서 네덜란드에 칼빈의 종교개혁 신학이 뿌리를 내릴 수 있었는데, 그 중심에는 종교적 박해로 난민이 되어 제네바에서칼빈과 베자에게 직접 신학을 배웠던(1559-1561) 필립 마르닉스(Philip Marnix van St. Aldegonde: 1540-1598)의 공헌이 존재한다. 마르닉스는 스페인의 박해와 칼빈주의에 대한 가톨릭 신학자들의 공격으로 공포와 혼란이 극에 달했던 1560-70년대네덜란드 사람들을 위해서 『로마 교회의 벌집(Den Byencorf der H. Roomische Kercke: 1569)』을 출판했다. 그는 성경이 최고의 권위임을 밝혔고 가톨릭교회의 성찬론을 집중적으로 공격했다. 그에 의하면 로마 교회의 신학은 종교회의나 로마 교황의 법령에서 독이 든 꿀을 딴 꿀벌들이 만든 벌집과 같으며, 그것을 해독하는 길은순수한 만나인 하나님의 말씀을 먹는 것이다. 당시 네덜란드의 칼빈주의는 교육받은 고위층을 중심으로 남부 프랑스어권이 중심이었고, 북쪽의 네덜란드어권과 사회적 계층적 차이가 있었는데, 마르닉스는 『로마 교회의 벌집』을 네덜란드어로 출판함으로 양 지역과 계층을 개혁신앙으로 묶어주었고, 아직도 칼빈주의 신앙에 합류하기를 망설이는 자들을 격려했다. 마르닉스는 네덜란드 칼빈주의자들이 스페인에 대해 저항하는 것을 양심의 자유에 근거한 신앙적인 행위로 변호했으며, 칼빈주의적 국가론에 근거해서 오렌지공 윌리엄의 외교 자문으로 안트베르펜의 시장도 역임했고 국제적 공조를 이끌어 내려고 노력하기도 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가장 불안하고 불확실하던 16세기 중반 네덜란드에 칼빈의 신학이 어떻게 뿌리내리게 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역사적 사례가 될 것이다. Calvin’s theology of Reformation was able to take root in the Netherlands through an international network through Calvin. At the center of it, it is remarkable to mention the contribution of Philip Marnix, who became a refugee through religious persecution and learned theology directly from Calvin and Beza in Geneva(1559-1561). Marnix published Den Byencorf der H. Roomische Kercke(1569) for the Dutch in the 1560s and 70s, when horror and confusion struck by Spanish persecution and the attacks of Roman Catholic theologians on Calvinism. He revealed that the Bible is the highest authority and intensively attacked the Roman Church’s eucharist. According to him, the theology of the Roman church is like a beehive made by bees, picking poisonous honey in the Church Council or the Decree of the Pope, and the way to decode it is to eat the word of God, pure manna. With this book, Marnix tried to make a unity in the Reformed faith and encouraged those who still hesitate to join the Calvinist faith. Marnix defended the Dutch Calvinists’ resistance against Spain as a religious act based on freedom of conscience. Based on the Calvinist theory on Church and State, he served as a diplomatic advisor to William of Orange, the Father of the Netherlands, and as the mayor of Antwerp, and sought to lead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the freedom of the Netherlands.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a valuable historical example to understand how Calvin’s theology took root in the Netherlands in the mid-16th century, which was the most disturbing and uncertain.

      • KCI등재

        칼빈의 신앙론 분석: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과의 비교

        양낙흥(박사) ( Nak Heong Ya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0 성경과신학 Vol.53 No.-

        본고는 “구원 얻는 믿음”에 대한 칼빈 및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관점들을 분석 고찰하고 그것을 현대 복음주의의 그것과 비교하고자 한다. 구원얻는 신앙(saving faith)에 대한 칼빈의 논의는 주로 스콜라주의자들의 견해에 대한 반박으로 이루어진다. 첫째, “맹신”에 대한 가르침, 둘째, 신앙을“동의”(assent) 정도로 취급하여 “지식에서 나오는 단순한 동의”를 믿음과 동일시하고 “자신과 마음의 확신”을 믿음의 본질에 포함시키지 않는 입장, 셋째, 구원의 확신의 가능성을 부정하고 단지 “도덕적 추측”(moral conjecture)에 의해 구원의 여부를 판단하는 입장이 그것이다. 칼빈에 의하면, 믿음의 정의는,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선의에 대한 확고하고 확실한 지식으로, 그리스도 안에서 값없이 주어진 약속의 진리에 근거한 것이며, 성령에 의해 우리 정신에 계시되고 우리 마음에 인 쳐진 것”이다. 첫째, 칼빈은 스콜라주의자들이 “맹신”(implicit faith)이라는 것을 만들어 내었다고 비난한다. “맹신”은 구원의 진리에 대한 탐구 작업을 교회에 일임해 버리고 교회가 가르쳐 주는 것은 모두 진리로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다는 태도이다. 칼빈에 의하면, 믿음은 “지식”이다. 우리는 “하나님과 그리스도에 대한 지식,” 더 구체적으로, “그리스도께서 이루신 화해로 인해 하나님이 우리의 자비로우신 아버지”라는 지식이다. 칼빈은, 믿음과 관련하여 일차적으로 중요한 것은 “약속”이라고 주장한다. “믿음은 약속에서 출발하고 약속 안에 쉬고 약속으로 끝난다. 왜냐하면 믿음은 하나님 안에서 생명을 찾는데 그 생명은 자비의 약속, 즉 값없이 주어진 약속 안에서 발견되기 때문이다.”여기서 칼빈이 말하는 “지식”cognito은 단지 지성적 인식(notitia, scientia)이 아니다. 칼빈에게 있어 cognitio는 단지 notitia나 혹은 scientia, 혹은 “단순한 지성적 이해” 이상의 “전인”(the whole person)에 관계된 것이었다.cognitio로서의 믿음에 대한 칼빈의 개념은 지성과 의지를 망라하는 것이었다. 그에게 있어 “믿는다”는 것은, “단지 하나님과 그리스도에 관해 기록되고 말해진 모든 것들을 참되다고 간주하는 것만이 아니라, 모든 소망과 신뢰를 하나님과 그리스도에게 두는 것”이었다. 칼빈은 “동의”에 의해 성경이 제공하는 것을 받을 수 있으며 그 동의가 “믿음”이라는 스콜라적 개념을 부정했다. 칼빈에게 있어 믿음은 “머리”에의한 “이해”(comprehension)보다는 “마음”의 확신(assurance)에 더 가깝다. 마음, 즉 의지와 그 감정들(affections)이 그 진리를 신뢰 속에서 붙잡을 때그 진리는 구원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그 개인에 의해 사용된다. 칼빈이 볼때 “마음의 확신”이야말로 “믿음의 으뜸가는 부분”이었다. 그는 마음으로 믿는 것이 머리로 믿는 것보다 훨씬 어렵다고 보았다. 마음의 확신의 필요불가결성과 우월성에 대한 이러한 강조의 결과 칼빈은 구원의 확신이 없는자는 신자가 아니라고 선언한다. 칼빈에 의하면, 확신은 참 믿음의 본질적 요소였다. 게다가 그는 믿음에는 확신의 “느낌”이라는 감정적 요소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칼빈은 구원의 확신이 있는 신자 속에도 의심과 불안이 있다고 주장한다. 혹자는 원칙과 현실을 구분함으로써 그 외견상의 모순을 설명하려 한다. 원칙적으로 믿음은 확실하고 흔들림 없는 것이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모든 믿음에 의심과 불신이 섞여 있다는 것이다. 칼빈이 믿음의 “당위”(ought)와 “현실”(is)을 구분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칼빈에 대한 잘못된 해석이다. 신자는 자신을 향한 하나님의 자비에 대해 확실한 지식을 가지고 있으나 이따금 시험이 공격할 때, 즉 범죄하여 양심에 죄의식을 느끼거나, 고난을 당할 때 일시적으로 확신이 흔들리고 의심이나불신이 엄습한다. 자신에게 닥치는 환난이 자신의 범죄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칼빈은 성도 속에 있는 불신과 의심의보다 근본적 이유를 인간이 본성적으로 믿음을 가지기 어려운 반면 불신하기 쉬운 존재라는 것에서 찾는다. 칼빈은, 그러나, 이러한 시험에도 불구하고 믿음은 궁극적으로 승리한다고 주장한다.칼빈이 보기에 스콜라주의 신학이 단지 “도덕적 추측”(moral conjecture)에 의해 구원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아주 위험한 일이었다. 왜냐하면, 사람마다 “자신은 그것 [하나님의 은혜]를 받기에 부적합하지 않다고 여기기 때문”이었다. 또 누군가가 현재로서는 자신의 모습을 볼 때 자기가 은혜 안에있는 것처럼 생각될지 모르나 내일은 자신이 스스로에게 어떻게 보일지 알수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칼빈이 구원얻는 믿음의 존재에 대한 일차적증거로 도덕성을 제시하는 것에 반대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을 이차적 증거로 사용하는 것까지 그가 반대했던 것은 아니다. 칼빈은 때로 선행이 칭의의 이차적 증거가 된다는 점을 인정했다. 믿음과 확신의 관계에 대해 칼빈의 견해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사이에 공통점과 상이점이 공존한다. 양자 모두 믿음이 성장하는 것이라는 점을 인정한다. 단지 칼빈은 약한 믿음에서 강한 믿음으로, 웨스트민스터 고백은 그것과 함께 작은 믿음에서 큰 믿음으로, 그리고 믿음에서 확신으로의 성장을 말한다. 그러나 양자 사이의 차이도 있다. 칼빈은 확신없는 믿음은 믿음이 아니며 확신이 없는 신자는 참 신자가 아니라고 단정한다. 즉 확신은 믿음의 필수적이며 본질적 구성 요소이다. 그러나 후자는 확신이 신앙의 본질이 아니라고 선언한다. 즉 “진실한 신자”라도 확신을 얻기까지 “많은 어려움들”을 겪으면서 “오래 기다려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칼빈의 신앙론에 비추어 볼 때 현대 복음전도에는 몇 가지가 결여되어있다. 즉 현대 복음전도론은 믿음의 본질적 요소로 지적, 혹은 의지적 동의까지만을 강조한다. 이것은 칼빈 당시의 스콜라주의 신앙론에 더 가깝다. 즉 현대 복음전도론에는 회심과 관련하여 “마음”(heart)의 확신(assurance)이라는 요소에 대한 가르침, 혹은 참 믿음의 본질로서의 “신뢰”(fiducia)에 대한 강조가 결여되어 있다. 칼빈은 구원얻는 믿음을 가지게 되기 위한 전제로 인간의 마음에 “인치심”과 “조명”을 주시는 성령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러나 현대 복음전도론에는 그것에 대한 강조가 종종 누락된다. 인간의 역할과 책임만을 배타적으로 강조하여 “구원얻는 믿음”의 소유가 단지 자연인의 의지적 결단에 달려 있는 것처럼 가르친다는 것이다. This essay aims to analyze Calvin’s view of the saving faith and compare it with that of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and modern evangelicalism. Calvin’s discussion of faith is composed of his opposition to the three points of scholastic understanding of faith. Calvin’s definition of faith is “a firm and certain knowledge of God’s benevolence toward us, founded upon the truth of the freely given promise in Christ, both revealed to our minds and sealed upon our hearts through the Holy Spirit.” First, Calvin objects to the Scholastic concept of “implicit faith.” Implicit faith is, according to Calvin, the passive attitude to entrust all the work of searching for the truth of salvation to the church pronouncing himself to be ready uncritically to accept all the teachings of the church. In Calvin, the faith is knowledge that thanks to the reconciliation of Christ God is our merciful Father. With regard to faith, Calvin asserts, the thing of the primary importance is promises: faith finds the life in God and the life is found in the promise of mercy. The knowledge (cognitio) mentioned here by Calvinist is not just intellectual recognition (notitia, scientia) but includes the whole person. It not only admits to be true all that is said and recorded of God and Christ but place all hope and trust in God and Christ. Calvin opposed the scholastic teaching that by assent we can accept what the Scriptures offers and that this assent is the saving faith. The faith in Calvin is nearer to the assurance of the heart than to the comprehension of the head. When the heart, that is, the will and affections grasps the truths in trust, the truth is used by the individuals in a way to offer the salvation. In Calvin’s view the assurance of the heart was the chief part of faith. He saw that believing by the heart is much more difficult than believing by the brain. As a result of this stress on the superiority of the assurance of the heart, Calvin proclaims that he who does not have it is not a Christian. In other words, the assurance was the essence of true faith. Furthermore, he argues that there is an element of feeling in faith, feeling of full assurance. Nevertheless, Calvin maintains that there is doubt and anxiety in the believers who have the assurance. Some scholars such as Joel Beeke attempt to explain the apparent contradiction by distinguishing the ideal and the reality: in principle the faith ought to be certain and unwavering, but in reality doubt and distrust is mixed with the faith. This author finds that it is a mistaken interpretation. Believers really possesses the certain knowledge of God’s mercy. However, when he is assaulted by temptations, the assurance is shaken occasionally: when he feels guilty after committing some sins, or when he suffers from some tribulations, he feels that his trials have been caused by God’s judgement. Calvin finds, however, the more fundamental reasons of doubt and unbelief in the fact that by nature humans are beings that are hard to believe but easy to distrust. Calvin asserts, however, that notwithstanding this temptations faith ultimately triumphs: the faith is so deeply rooted in the saints that it can never be completely rooted out. In Calvin’s view, it was very dangerous for the scholastic theology to judge one’s salvation by moral conjecture. No one deems oneself unworthy of salvation. And one’s sense of oneself is changeable according to the time. It is true that Calvin opposed to regarding the morality as the primary evidence of saving faith. But he did not objected to using it as a supplementary means of judging one’s state of soul. In some occasions he admitted the good works to be the secondary evidence of justification.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assurance, there are both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Calvin and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Both recognize that faith grows: in the former, from the weak faith to the strong, in the latter, from the small to the bigger. The main divergency between the two is regarding whether the assurance is the essence of the faith: the former says “yes,” while the latter, “no.” “This infallible assurance doth not so belong to the essence of faith but that a true believer may wait long and conflict with many difficulties before he be partaker of it.” In the light of the Calvin’s doctrine of faith, we find that some aspects are missing in modern evangelism. Modern evangelists tend exclusively to emphasize the intellectual and voluntary assent as a condition for salvation. This seems to approach to the scholastic position of faith in Calvin’s time. In modern evangelism are lacking such elements of faith as the assurance or trust of heart. Calvin stressed as the prerequisite of the saving faith the role of the Holy Spirit who gives revelation and sealing on the heart. Modern evangelism underlines human responsibility and role so one-sidedly that the audiences may think that the “saving faith” entirely depends on one’s dec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