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료레크리에이션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류은석,전영숙 한국미술치료학회 2016 美術治療硏究 Vol.2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치료레크리에이션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D시 소재 S노인전문병원에 입원 중인 알츠하이머형 치매(AD)환자 24명으로, 실험집단 8명, 비교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치료레크리에이션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를, 비교집단에게는 집단미술치료를 매주 1회 약 60분씩 10회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 노인우울 척도, 대인관계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AS 9.1.3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집단간 동질성 검증을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검증하기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료레크리에이션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는 치매노인의 인지기능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치료레크리에이션을 병행한집단미술치료와 집단미술치료는 치매노인의 우울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치료레크리에이션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와 집단미술치료는 치매노인의 대인관계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combined with therapeutic recreation on the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f elderly dementia patients. The subjects were 24 patients with Alzheimer’s dementia admitted to S geriatric hospital in D city, and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ison group, or control group with eight patients each.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group art therapy combined with therapeutic recreation, and the comparison group received only group art therapy. Each had 10 sessions of a 60-minute program once a week for 10 weeks. The Korean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and an interpersonal scale were used as the study tools. The SAS 9.1.3 program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and two-way ANOVA with the test period as the repeated measure variable was perform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combined with therapeutic recreation improved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dementia patients.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combined with therapeutic recreation and the group art therapy alone both decreased the depression of the dementia patients. Third, the group art therapy combined with therapeutic recreation and the group art therapy alone improved the interpersonal relations of the dementia patients.

      • KCI등재

        노인 여가 복지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연구 동향 분석: 레크리에이션, 치료레크리에이션, 놀이치료

        노상은,전남희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18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0 No.26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발표된 노인여가 프로그램을 적용해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의 실태와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국회도서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의 자료 38편을 활용․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연도별 분포에서는 2010년을 기점으로 놀이치료가 꾸준히 증가세를 보였다. 둘째, 대상으로 레크리에이션은 정상적인 노인들이었고 치료레크리에이션과 놀이치료는 심․신의 기능이 저하된 노인, 경미한 치매를 포함한 치매노인과 특정 질환자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방법은 90%가 양적 연구였다. 넷째, 연구 기간은 짧은 연구로는 치료레크리에이션의 480분, 긴 연구는 레크리에이션의 6480분이었다. 다섯째, 기능적 요소로 놀이치료는 영역의 특징이 드러난 반면 레크리에이션과 치료레크리에이션은 혼용, 활용하고 있었다. 여섯째, 효과성 검증 요인은 레크리에이션은 정신적․육체적 측면의 유지․관리의 검증이었고치료레크리에이션과 놀이치료는 정신적인 측면의 검증을 주요 요인으로 취하고 있었다. 일곱째, 세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나온 제언으로 프로그램 개발, 전문가 양성,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하고 있다. 본동향 분석은 고령사회를 대비한 여가 프로그램의 개발,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개발을 촉진시킬 것이며, 후속연구에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일조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치료레크리에이션이 정신요양시설에 있는 만성정신질환자의 무력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춘이 ( Chun Yee Lee ),변은경 ( Eun Kyung Byun ),양미경 ( Mig Yeong Yang ),장경오 ( Koung Oh Chang ),김남희 ( Nam Hee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3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9 No.2

        본 연구는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이 정신요양시설에 있는 만성정신질환자의 무력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본 연구에서 치료레크리에이션의 효과를 측정한 결과 무력감에서는 치료레크리에이션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무력감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가 낮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치료레크리에이션이 무력감에 효과가 있는 선행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비교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나 무력감을 삶의 통제력을 잃고 스스로 무력하게 느끼는 것으로 정의한 측면에 따라 노인의 무력감의 결과를 비교해보면,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이 노인의 무력감이 낮추는데 효과가 나타난 결과(Kim & Kim, 2012)와 치료레크리에이션이 음악, 연극, 운동, 게임 등 여러 가지 다양한 활동을 통해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하게 되어 서로를 인식하게 됨으로써 소속감과 자신감을 주고, 무력감을 낮추어 우울을 감소시키며 생활의 만족도를 높인다는 결과(Woo, 2004)와는 차이를 나타냈다.무력감은 통제의 결여가 만성적으로 반복되고 지속되는 경우에는 어떤 사건이 자기의 행위와는 무관하게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학습하게 되어 발생하므로(Kim, Nam, Lee, Cheon, & Chung, 199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on the powerless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chronic mental disability. Method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There were 24 people in experimental group and 21 people in control group.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was carried out twice a week in a total of 8 sessions, 60 minutes for each session.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X2-test, and independent t-test with SPSS/WIN 18.0. Results: Life satisfa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t=2.48, p=.017).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owerlessness of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1.51, p=.138). Conclusion: Further studies were needed to be done to support the effectiveness of recreation therapy on the powerless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chronic mental disability. In addition,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s to improve helplessness and life satisfaction are in need.

      • KCI등재
      • KCI등재

        치료레크리에이션이 지적장애청소년의 정서적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도영,김동주,나운환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8 재활복지 Vol.12 No.2

        본 연구는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재활서비스를 받고 있는 지적장애청소년을 대상으로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의 적용 및 효과성을 검증하고 치료레크리에이션프로그램이 지적장애청소년들의 정서적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기간은 2007년 10월부터 2008년 1월까지 주1회, 총 15회기, 매 회기 당 40분간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사전·사후에 정서적행동점수를 측정한 결과 프로그램실시 후 지적장애청소년들의 정서적행동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각 정서적 행동요인별 결과도 우울반응과 사고의혼란 요인을 제외한 충동적반응, 불안반응, 사회화, 자아개념, 공격적반응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정서적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청소년들의 정서적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적장애청소년의 정서적행동 변화에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이 임상재활분야에서,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By conducting a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identify its effects on their emotional behavior, and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 that can be applied i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rapeutic recreation for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field of clinical social work.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14 weekly therapeutic recreation sessions of 40 minutes were conducted from December of 2005 to March of 2006. As subjects of the study, 8 adolescents receiving rehabilitation service at a protection center for the disabled located in the city of Jeju were selected and the study was progressed. For data analysis, statistics program SPSS 12.0 was used and Wilcoxon rank sum test was use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the Observational Emotional Inventory-Revised(OEI-R) was used prior to and following the evaluation of the test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fter conducting the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of the total of 7 factors of emotional behavior (impulsive reaction, anxiety reaction, depressive reaction, socialization, self concept, aggressive reaction, and mental confusion), with the exception of depressive reaction and mental confusion, the test group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improvement in the remaining 5 factors of emotional behavior. Conclusively,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emotional behaviors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pplication of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s as a means for improving emotional behavior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s possible in the field of clinical social work.

      • KCI등재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김진락(Jin Lak KIM),오영훈(Young Hun OH)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16 상담심리교육복지 Vol.3 No.1

        본 연구는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성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전시에 있는 ○○보건지소를 이용하시는 경증 치매 어르신 8명을 대상으로 2015. 10. 07.∼2015. 12. 07 주 1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개입 전·후의 인지 및 스트레스에 대한 비교는 t-검증으로 하였으며, 윈도우용 SPSS V.1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첫째,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척도는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개입 전 평균 22.75에서 개입 후 평균 24.88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05) 둘째, 치매노인의 스트레스에 치료레크리에이션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사전-사후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스트레스 반응척도의 사전점수 평균 11.5에서 중재 후 사후점수가 평균 8.13로 감소하여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치매노인에 대한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의 적용을 인지기능에 대한 향상이 있었으며, 스트레스에서도 감소되는 결과를 나타내어 치매노인의 인지 및 스트레스에 도움을 주었다고 제시할 수 있다. This study is effect of research and analysis on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to dementia aging people s stress and cognition functions, and for health care of dementia aging peoples and for activating adaptation of therapeutic recreation to enjoy there leisure. And next, This program is rising there quality of life, and purpose of proffering base data of development belonging to this part.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operation before/after verification of cognition and depression are t-Test, that handled SPSS V.11.0 for windows program. First, dementia old man s cognition scale result appeared before mean 22.75 to after mean 24.88 in intervention.(p<0.05) Second, dementia old man s stress scale result appeared before mean 11.5 to after mean 8.13 in intervention.(p<0.05) At result,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for dementia aging people is improvement at cognition function and decrease at depression. Be on this study,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was proved impotent meaning at dementia aging people, and than development more effective program for generalization of this study at use widely adaptation and continuance.

      • KCI등재

        장기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여가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준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2 재활복지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long-term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about leisure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of life with mental disorder.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drawn from C mental health center in Choong-Chung Nam Do province and P mental health center in Kyunggi Do. Each of subject number were 10.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se findings have provided implications as following. First, participation's leisure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significantly by long-term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than short-therm. Second, sub domain was higher significantly both psychological, educational, physical by long-term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Third, participation's satisfaction of life level, was not higher significantly by long-term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than short-therm. Based on this result, a proposal for the alternative to improve their leisure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of life is presented. 본 연구 목적은 장기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여가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 향상에 미친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얻기 위해 경기도 P 시 및 충청남도 C 시 소재 정신보건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정신 장애인 20 명(P 정신보건센터 10 명, C 정신보건센터 10 명)을 대상으로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프로그램 이전과 이후 평균 점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여가만족도 향상에 장기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은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신장애인의 여가만족도 하위 영역 중 심리적 여가만족도, 교육적 여가만족도, 신체적 여가만족도 영역에서 장기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은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에 장기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은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여가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치매노인 부양 가족기능 강화를 위한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문숙,김정동,한건수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9

        본 연구는 치매노인 부양가족을 대상으로 치료레크리에이션의 과정 절차에 맞춰서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사정, 기획, 실행, 평가의 체계적 과정을 통해 구성하였으며,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여가욕구를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프로그램 내용의 실현 가능성을 높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 낸 이론적, 실천적 의미로 제시할 수 있는 결론은 첫째, 가족지원서비스 철학과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치매노인 부양가족을 위한 가족지원서비스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치료레크리에이션의 이론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함으로써 치료레크리에이션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기여하였다. 셋째, 가족기능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목적과 목표에 따른 구체적인 개입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직접적인 실천에 적용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본 프로그램은 치매노인 부양가족을 대상으로 실제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검증하고 평가받음으로써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customized-service program for the family of dementia patients as an family-function reinforcement program.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the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for the family supporting senior with dementia. The therapeutic program consisted of assessment, planning, implementation, evaluation.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s. First,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of implication of the therapeutic recreation for the family supporting senior with dementia. Second, the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has a strong theoretical background. Third, the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has the clear goal, performing activity, intervention strategy. The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for the family supporting senior with dementia that this study provides would be valuable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후보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이 조현병 환자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맹세호(Maeng, Se-ho),박창우(Park, Chang-Woo)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2016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정신병동에 입원 중인 조현병 환자의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개입의 효과성을 대인관계변화와 의사소통능력, 자기표현능력, 대인중심의 여가활동능력 측면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정신과 폐쇄병동에 입원중인 조현병환자이다. 집단은 실험집단, 통제집단 각각 10명으로 구성하였으며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게만 개입 한 후 프로그램 개입 전과 개입 후의 결과를 비교하는 사전.사후검사설계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 검증은 대인관계변화척도와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관찰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동질성과 효과성을 분석 하였으며 모든 통계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대인관계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표현 능력이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중심의 여가활동능력 증진에도 효과성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조현병 환자를 비롯한 다양한 사회복지현장에 적용 가능한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a program for improv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 of schizophrenia patients hospitalized in psychiatric wards and verify the intervention effects through the changes of 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 ability, self-express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based leisure activity ability of the social interaction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schizophrenia patients in the closed wards of psychiatric clinics. The groups were composed of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of each 10 patients, and a pre-to-post test design that is to compare the results after the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is interven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established. An observation report for interpersonal relation change sale and social interaction was used for the effect verification. Homogeneity, effectiveness by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all statistical analysis was progressed by SPSS 18.0.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developed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was proved to be effective to the interpersonal relation improvement of the schizophrenia patient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the communication ability compared and self-expression ability compared and leisure activity ability based on interpersonal relation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is significantly important in that it systematically provided the theoretical foundations and program development process of therapeutic recreation as a research to satisfy the desire for the program development in diverse social welfare areas.

      • KCI등재

        유투브(You Tube)에 나타난 노인여가 프로그램의 영역별 대상과 기능적 요소 분석

        전남희(Namhee Jun),조원일(Wonil Cho)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018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4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eatures of functional factors and objects in recreation, therapeutic recreation, and play therapy in order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elderly leisure program in Youtube. For this purpose, 500 video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for the elderly recreation, elderly therapeutic recreation, and elderly play therapy.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gram were not shown. First is intentional publication for publicity. Second,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elderly leisure program of experts. Third, The autonomy of the search term tag when the video is displayed. As an expert in developing and leading an elderly leisure program, it should be preceded by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with a sense of calling. This is the mission of professionals who are responsible for the elderly leisure program in the coming age-old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