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중년 여성 근로자의 모바일 앱을 활용한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 참여 경험
양혜경,Yang, Hye Kyung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문화기술의 융합 Vol.7 No.3
본 연구는 중년여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모바일 앱을 활용한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일대일 심층면담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를 실시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백화점에서 모바일 앱을 활용하여 심뇌혈관질환 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50세 이상의 여성 근로자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참여경험은 '알아가는 것에 대한 즐거움', '상호 우호적 관계의 활성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나를 관리하게 함', '익숙하지 않은 문화를 받아들임', '어디서나 상담을 받는 듯한 편리함'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모바일 앱이 건강행위 실천의지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바일 앱을 설치 시 낯선 프로그램에 대한 불안을 감소하기 위해 안전한 프로그램임을 보증할 수 있는 인증기준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소아에서 발생한 혈구탐식증후군의 예후인자로서 혈청 빌리루빈의 의의
양혜경,송귀정,전소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2014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Vol.31 No.2
Background: Hemophagocytic lymphohistiocytosis (HLH) is a life-threatening disease. Despite of proper treatment and improving treatment regimens, HLH patients still show a fatal prognosis. Therefore the evaluation of prognostic factor is important and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hyperbilirubinemia as a prognostic factor in HLH. So we studied the prognostic value of hyperbilirubinemia in HLH children.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about 33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HLH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Yangsan Pusan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00 to December 2012. We review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laboratory findings, and results of treatment to identify hyperbilirubinemia as a prognostic factor in HLH patients. Results: The median age of patients at diagnosis was 32 months. Most of patients presented with fever, pale appearance, abdominal pain and jaundice. Forty-eight point five percentage of patients showed normal serum bilirubiln level (<2.0 mg/dL) and 51.5% showed hyperbilirubinemia (≥2.0 mg/dL). In normal serum bilirubin group, 1 patient (6.3%) was relapsed and 1 patient (5.9%) was relapsed in hyperbilirubinemia group. In the hyperbilirubinemia group, the mortality was higher than the normal bilirubin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As a prognostic factor serum bilirubin at diagnosis in HLH pati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hyperbilirubinemia and poor outcome. But, our study has a limitation that the number of patients is too small and almost showed good prognosis.
양혜경 한국교정학회 2021 矯正硏究 Vol.31 No.1
노인범죄자는 수용시설에서 그들의 연령층에 적절한 재사회화 학습과정을 충분히 거치지 못한 채 사회로 복귀하게 된다. 다시 말해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현대 사회 의 새로운 규범이나 질서, 가치, 행동, 지식, 기술 등의 습득을 미처 학습하지 못한 채 사회로 진입하게 된다는 것이다. 근래 우리나라 노인범죄 재범률 증가는 노인범죄자의 출소 후 당면하는 생계 문제 와 사회적 환경에 대한 직간접적 불만의 요인과 관련이 있다고 보아야 한다. 즉 노인 출소자의 사회복귀 실패요인으로서 사회 내 편견으로 인한 심리적 위축, 경제활동 제 약, 건강 문제 등 복합적 문제가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노인출소자에게 절실한 노후문제 대책은 출소자 개인의 인권뿐만 아니라 우 리사회의 질서와 사회적 공존 확립이라는 가치를 이루는 데도 의미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출소자의 안정적인 사회생활을 위한 보호복지 대책을 모색하는 것에 의의를 두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노인범죄 출소자의 보호복지 대책으로서 노인수용자 및 노인출소자의 심리 정서적 문제와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의 보호복지사업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노인출소자의 재범 경로 과정 을 설명하였고, 특별처우 대상자 관점에서 공공체계와 민간체계의 연계 지원 체계를 제시하여 보호복지서비스의 필요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Elderly criminals tend to return to the society from prisons without receiving re-socialization learning process suitable to their ages. In other words, they enter the society without sufficiently learning new norms, order, values, behaviors, knowledge, and technique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Recently, the re-offending rate among old-age ex-prisoners has increased. The phenomenon may be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with their hard livelihood they face after being released from prison, and their dissatisfaction with their social conditions. That is, they fail to be normal citizens because of various reasons such as psychological shrinkage to social prejudice against them, limits in social activities, and health problems. Finding solutions on such problems of elderly ex-prisoners are not only important in the respect of their human rights, but are meaningful in the aspect of social order and social co-existence. This study examined psychological, emotional problems of old-age prisoners and ex-prisoners as welfare measures, and protective welfare projects of Korea Rehabilitation Agenc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protective welfare measures to elderly ex-prisoners to help them enjoy stable social lives. To fulfill the research aim, this study explained the re-offending path they tend to fall into, and suggested a supportive system to which the public system and the private system are linked in the respect of special treatment objec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welfare service. It is the way to prevent them from succumbing to repetition of cr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