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축제 이미지가 방문객의 만족도, 재방문 및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현종협(Jong-Hyeop Hyun),김경범(Kyung-Bum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6

        본 연구는 지역축제에 참가한 방문객들이 느끼는 지역축제에 대한 이미지를 파악하고, 축제에 대한 이미지가 방문객의 만족도, 재방문 및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방문객의 만족도가 축제를 다시 찾고자 하는 재방문 및 추천의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축제 이미지 요인은 인지적 이미지, 정서적 이미지, 시설 이미지와 같이 3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3가지 요인 모두가 방문객이 느끼는 지역축제의 시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지만, 운영만족도에는 정서적 이미지만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축제의 재방문 및 추천의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지적이미지, 정서적 이미지, 시설 이미지 중에서도 축제장 접근성, 주변관광지와 축제장 연계, 축제장소의 적정성, 그리고 축제장과 주변환경의 조화 등과 같은 축제장에 대한 인지적 이미지, 즉 축제장의 입지요소가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방문객의 만족도와 재방문 및 추천의사를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우선적으로 인지적 이미지 향상에 노력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age of the feel of the local festival visitors participated in local festivals, the local festival image Impact on vistor’s satisfaction, revisit and intention of recommendation. In addition, empirically how the visitor’s satisfaction impact on their revisit and intention of recommendation. Analysis showed that local festival image factor is derived by three factors, such as cognitive image factor, emotional image factor, facility image factor. All three factors ware seen as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visitor’s facilities satisfaction, but only emotional image of the three images was a factor affecting the visitor’s operating satisfaction. Above all should be considered cognitive image Among the three images(cognitive images, emotional images, facilities Images) To enhance the visitor’s revisit and intention of recommendation.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hat the position of local festival be considered. Should try to raise the quality of cognitive images to improve the visitor’s satisfaction, revisit and intention of recommendation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충주세계무술축제의 축제이미지가 지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축제관여도의 조절효과

        조성균 ( Sung Kyun Cho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 구 한국스포츠행정경영학회 ) 2012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제13회 충주세계무술축제’ 관람자가 인식하는 축제이미지가 지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축제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으로는 2011년 충주세계무술축제를 방문한 20 세 이상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상관 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전적이미지가 지역수준 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해 방문욕구가 정(+)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수 준에 대한 인식은 축제이미지와 개인 특성의 결합에 의해 영향을 받게되며, 방문욕구가 축제이미지와 지역수준의 영향관계에 직·간접으로 관여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둘째, 정서적이미지가 지역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방문욕구가 정(+)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욕구는 지역호감에 대해 정서적이미지와의 결합을 통해 이를 보다 강화하거나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활력적이미지가 지역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축제관심이 정(+)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주세 계무술축제는 활력적이미지를 통한 지역호감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축제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이러한 관계를 강 화하는 역할을 한다는 측면에서 축제내부적으로 활력적이미지를 강화함과 동시에 외부적으로 다양한 잠재적 관람자와 접촉할 수 있는 채널을 다양화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넷째, 고전적이미지가 지역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축제관심이 정(+)의 조 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미지의 일치수준은 관람자의 축제관심에 의한 판단에 의존하게 되며, 충주세계무술 축제와 관련한 고전적이미지는 이러한 축제관심과의 결합에 의해 지역호감이 강화되거나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festival involvement about relationship between festival-image and regional image of ``2011 Chungju World Martial Arts Festival`` Spectator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subjects were chosen from ``2011 Chungju World Martial Arts Festival`` in Chungju city.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the subjects and the 398 questionnaires that were reliably answered were used for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al linear regressing using SPSS Windows V 13.0. Result revealed from these research methods and analyses of data areas follows: First, traveling desire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etween the traditional image and regional level. Second, traveling desire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etween the affectional image and regional likability. Third, Festival-concern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etween the vital image and regional likability. Forth, festival-concern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etween the traditional image and regional likability.

      • KCI등재후보

        지역축제 이미지와 관광목적지 이미지 간 관련성 연구

        류웅걸,강애양,오상운 동북아관광학회 2012 동북아관광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지역축제 이미지와 관광목적지 이미지를 파악하고 각 이미지 간 상호 관 련성을 파악하여 이미지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다. 설문조사는 서귀포 칠십리축제 방문객 중 중국관광객 2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 중 응답이 부실하거나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을 제외한 223부를 본 연구에서 이용하였다. 측정변수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타당성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결과 지역축제 이미지는 행사내용, 친절 및 편의시설, 행사체험, 주변관광 4개의 요인으로, 관광목적지 이미지는 관광매력, 친절 및 관광지, 편의성 및 체험, 지역기반시설 4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신뢰도 분석 결과 대부분의 요인에 대한 크론바하 알파계수가 0.8 이상으로 신뢰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지역축제 이미지와 관광목적지 이미지 요인들 간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축제 이미지 중에는 행사체험요인, 친절·편의시설요인, 주변관광요인이, 관광목적지 이미지 중에는 편의성 및 체험요인, 지역기반요인, 관광매력요인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결론적으로 지역축제 이미지와 관광목적지 이미지는 상호 관련성을 갖고 계속적으로 발전해야 하며, 각각의 이미지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는 프로모션 전략을 개발해야만 지역축제가 관광목적지 이미지를 개선하고 지역적 가치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축제이미지-자아이미지 일치성이 관광객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축제 관여도를 매개변수로-

        박양우 ( Yang Woo Park ),손원성 ( One Sung Sohn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0 觀光硏究 Vol.25 No.4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문화관광축제 관람객을 대상으로 지각되는 축제 이미지와 자아 이미지의 일치성이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또한 축제에 대한 관여도가 축제이미지-자아이미지 일치성과 관람객 만족 및 행동의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면서 이것이 매개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항목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위한 설문을 완성하여 축제 관람객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 관람객의 축제이미지-실제적 자아이미지 일치성 중 고전적 요인과 정서적 요인이 각각 정(+)과 부(-)의 방향으로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제이미지-이상적 자아이미지 일치성 중에서는 활력적 요인과 정서적 요인이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모두 부(-)의 방향으로, 고전적 요인이 행동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축제이미지-자아이미지의 일치성 요인과 관광객 만족도 및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서는 축제상품에 대한 개인적 관심 또는 심리상태로 설명되는 관여도가 완전매개효과를 가진다는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축제 관람객의 만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축제를 찾는 주체인 관광객의 이미지 일치성을 고려하여 그들의 관여를 높이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축제 기획자들이 축제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 세분화 및 포지셔닝 전략을 수립할 경우, 관람객 축제-자아 이미지 일치성과 관여도에 대해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congruences between festival-images and self-images perceived by the visitors of a cultural festival on thei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t is also discussed whether the involvement of the festival visitors affects thei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addition to its role as a mediator.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actual self-image congruences, the traditional factor positively affect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respectively and the affectional factor negatively affects them. The vital factor and the affectional factor among ideal self-image congruences negatively affect on both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traditional factor has been proved that it has partial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Second, this study shows that the involvement has a perfec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gruence factors of self-images and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visitors. Therefore, consideration of the image-congruency of visitors who plan cultural festivals, the rate of their involvement needs to be increased to maximize their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highly suggests that festival visitors` congruency between festival-image and self-image and their involvement rate need to be considered when festival planners set segmentation and positioning strategy in festival markets.

      • KCI등재

        축제 이미지와 만족의 유형에 따른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 연구: 제주들불축제를 중심으로

        최용석(Choi, Yong Seok),고정민(Ko, Jeongmin) 한국문화산업학회 2021 문화산업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축제 이미지와 만족의 유형에 따른 행동의도와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축제 이미지와 행동의도의 관계에서 축제 만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방문객이 축제 참여를 통해 인식한 사후 이미지가 행동의도에 직접 영향을 주는지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제23회 제주들불축제 방문객 306명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COVID-19 상황에서도 변화된 운영방식과 대응방안을 마련하여 2021년 문화관광축제 중 처음으로 개최된 축제로서의 의미가 있으며, 예약제라는 절차를 거쳐 참가한 방문객이 인식한 축제 이미지와 그로 인한 만족 및 행동의도에 대한 영향 파악은 시의적 의의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입증되고 있는 것처럼 축제 이미지는 만족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특히 정서적 이미지는 운영 만족에, 인지적 이미지는 프로그램 만족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인지적 이미지가 운영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축제 이미지와 만족의 모든 유형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제 이미지와 행동의도의 영향 관계에 축제 만족이 매개할 때는 인지적 이미지보다 정서적 이미지일 경우의 간접효과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제주들불축제 방문객의 행동의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만족 유형은 운영 만족이며, 운영 만족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은 정서적 이미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festival image and satisfaction types on the relationship toward the behavioral intentions of festival visitors, and also examines whether festival satisfaction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estival image and behavioral intention. This study particularly tried to examine whether the image perceived by visitors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festival directly affects their behavioral intention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established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conducted for visitors to the 23rd Jeju Fire Festival was analyzed. With the current COVID-19 epidemic, the changed festival operating method and counter-measures have been prepared, so it is meaningful as the first festival held among the cultural festivals in 2021. It is considered that it is meaningful to understand the image perceived by the visitors who participated through making a reservation. In this study, as evidenced previously, the festival im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in particular, emotional image significantly affected operational satisfaction and cognitive image significantly affected program satisfaction. Emotional image, operational image and operational satisfaction had an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but no significant effect of cognitive image was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festival satisfaction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estival image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mediation of festival satisfaction was more effective between emotional image and behavioral intention.

      • KCI등재

        지역축제 체험요소가 브랜드 가치와 축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계족산 맨발 축제를 중심으로

        남유신 ( Nam You-shin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9 Tourism Research Vol.44 No.2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체험요소가 브랜드 가치와 축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고자 가설을 설정하고, 각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축제 체험요소에 대한 요인분석결과 총3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각 요인의 특성을 중심으로 장소·일탈성, 놀이성, 가치몰입으로 명명하였다. 브랜드가치는 독특성, 기능성, 선호도, 내용성의 4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축제 이미지는 청결·다양성, 친절·편리성, 특이·신기성 총3개의 요인이 도출 되었다. 둘째, [가설1]검증결과 축제 체험의 가치몰입이 브랜드 가치의 선호도와 내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놀이성은 브랜드 가치의 독특성에만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장소일탈성은 브랜드 가치의 독특성, 기능성, 선호도 및 내용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가치와 축제 이미지지에 관한 [가설2] 검증결과 브랜드 가치의 독특성이 축제 이미지의 청결·다양성, 친절·편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성은 축제이미지의 모든 하위요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도와 내용성은 축제이미지의 특이·신기성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험요소와 축제이미지와의 관계 [가설3] 검증결과 지역축제 체험요소 중에서 축제 체험의 가치몰입은 축제의 청결하고 다양한 이미지, 친절하고 편리한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소의 일탈성은 축제이미지의 청결·다양성, 친절·편리성, 특이·신기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성은 축제이미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축제는 지역문화를 바탕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그 지역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축제에서의 체험은 축제 자체에 대한 브랜드 가치를 향상시켜 축제 이미지를 형성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에 대해 알릴 수 있는 중요한 기회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의 연구는 지역의 상품, 고객만족, 사후행동 또는 경영성과 측면에 집중되어 왔다.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체험 요소를 통하여 축제 브랜드 가치와 축제 이미지를 정책적으로 논의하는데 있어 학계와 운영 실무진들의 관광객 유치를 위한 마케팅 및 유용한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축제의 질적 성장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of the experience elements of a local festival on brand value and the image of the festival by establishing hypotheses and unraveling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three elements were drawn as the experience elements of a local festival and they were named place ·deviance, playfulness and value commitm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lement. The four elements of uniqueness, functionality, preference and contents were drawn in brand value and the three elements of cleanliness ·diversity, friendliness·convenience and peculiarity·novelty were drawn in the image of the festival. Second, the test results of [Hypothesis 1] showed that value commitment in festival experience had meaningful influence on the preference and contents of brand value and playfulness had meaningful results only in the uniqueness of brand value. Place ·deviance had meaningful influence on all the factors of the contents, functionality and uniqueness of brand value. Third, the test results of [Hypothesis 2] on brand image and the image of the festival showed that the uniqueness of brand value affects cleanliness ·diversity and friendliness·convenience of the image of the festival. Functionality had meaningful influence on all the sub-factors of the image of the festival. Preference and contents affected only peculiarity·novelty of the image of the festival. Fourth, the test results of [Hypothesis 3]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elements and the image of the festival showed that among the experience elements of the local festival, value commitment in festival experienc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lean, diverse, friendly and convenient image of the festival, and place deviance had meaningful affirmative(+) influence on cleanliness ·diversity, friendliness·convenience and peculiarity·novelty of the image of the festival. It was analyzed that place deviance does not affect playfulness of the image of the festival Though the experiences in local festivals can be a good opportun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local residents and publicize the region by forming an image of the festival through enhancement of the brand value of the festival itself, the researches up to now have tended to concentrate on the aspects of local products, customer satisfaction, post-behaviors or business performance. The experiences in local festivals can promote the region effectively by forming an image of the festival through enhancement of the brand value of the festival itself.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a useful basic data for marketing and academic researches when academic researchers and the working group discuss policies to improve the brand value and image of a festival for attraction of tourists by examining the experience elements of a local festiv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ncerned region.

      • KCI등재

        지역축제의 서비스품질이 축제 이미지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재홍(Jae-Hong Chun),김건휘(Geon-Whee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6

        본 연구는 세계3대 마임 축제 중 하나인 춘천국제마임축제를 대상으로 지역축제의 서비스 품질이 축제에 참석한 방문객들이 느끼는 축제 이미지와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2017년 춘천마임축제기간인 2017년 05월 21일부터 05월 28일까지 춘천마임축제를 방문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7일 동안 조사가 이루어 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축제 서비스 품질이 인지적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은 지역축제 서비스 품질의 5가지 변수 중 반응성, 신뢰성, 유형성, 확신성 4개 요인이 축제 이미지의 인지적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정서적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은 반응성, 신뢰성, 유형성, 공감성 4개 요인이 축제 이미지의 정서적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축제의 인지적 이미지가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재방문 의도, 구매 의도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고 또한 축제의 정서적 이미지가 행동 의도는 재방문 의도, 구매 의도에 모두 유의하게 나타나 축제의 정서적 이미지가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채택 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017 ‘Chuncheon’ International Mime Festival, one of the three major mime festivals in the world. It is an empirical analysis that analyzes how festival service quality affects festival image and behavioral intention.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ach other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local festival service quality on cognitive image was positively (+) on the cognitive image of festival image in four factors of reactivity, reliability, tangibility and confident among 5 variables. And The effect of regional festival service quality on emotional image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emotional image of festival image among 4 factors of responsiveness, reliability, tangibility and empathy among 5 variables of regional festival service quality . Second, the influence of the cognitive image of the festival on the behavior intention was analyzed as 21.9%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tention to revisit, and purchase intention were all significant, and the hypothesis that the cognitive image of the festival influenced the behavioral intention was adopted. And The effect of the festival "s emotional image on the behavioral intention was significant (38.8%). Therefore, the hypothesis that the emotional image of the festival influenced the behavioral intention was adopted.

      • KCI등재

        “Hello, Modern!” 군산시간여행축제 포스터를 매개로 나타나는 근대의 이미지와 의미

        양지영(Yang Ji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8

        현대는 이미지의 시대라고 부를 정도로 우리는 일상생활 안에서 많은 이미지를 소비하며 살아간다. 이미지의시대에 걸맞게 많은 도시들은 차별화된 이미지 전략을 가지고 도시를 상징화시키고 사람들을 불러들인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미지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으며, 근대문화도시로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는 군산의 이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일제강점기에 개항된 군산은 현재 남아있는 많은 근대건축물과 장소들을 이용해 근대문화도시로서의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다. 군산의 대표적 축제인 ‘군산시간여행축제’의 포스터는 근대문화 이미지를 활용하여 근대의 의미를 강화시키고 있다. 이미지가 하나의 소비 요소로 작동하고 소비자들은 사회, 문화적 환경에 의해 그 의미를 변화시키거나 확장해 받아들인다. 심층면담을 통해 분석된 ‘근대’는 일제강점기를 포함해 1960-1970년대 문화까지도 근대의 의미로 인식하고 수용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다양한 미디어에 의해 각인된 이미지와 ‘레트로 뉴트로’의 문화현상의 영향이 크다. 근대건축물과 같은 공간과 장소는 이국적 경관을 가진 장소와 공간으로 인식되면서, 역사적 고통과 수탈의 장소들이 시간여행축제를 통해 하나의 관광 상품으로 소비되고 있다, 이를 통해 ‘근대’의 의미가 식민지 역사에 대한고통과 수난의 시대로 인식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근대’라는 경험하지 못한 과거의 낯선 문화를 체험하는 ‘근대’로 인식하고 수용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축제의 포스터 이미지를 매개로 미디어와 사회, 문화적 변화에 따른 ‘근대’의 의미가 수용자들에게 인식되고 수용되는 변화에 주목하였다. We consume so many images in our daily lives and we call it as the age of images. As it is an age of images, many cities have differentiated image strategies to symbolize and attract people. This study began with interest in these images and tried to examine the image of Gunsan, which is construct an image as a modern cultural city. Gunsan, which opened in Japanese colonial era, constructs image as a modern cultural city using many of the remaining modern architectures and places. The poster of Gunsan Time Travel Festival, a representative festival in Gunsan, strengthens the meaning of modern times by utilizing modern cultural images. Images work as a consume element, and consumers ttake the meanings and change or expand by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Modern”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is recognized and accepted as modern meaning, including Japanese colonial era, and even culture in the 1960s and 1970s, which is largely influenced by images imprinted by various media and cultural phenomena of “retro newtro.” Places such as modern architecture were recognized as places and spaces with exotic scenery, and historically painful and deprived places were consumed as a tourism product through the Time Travel Festival. “Modern” is recognized as historically painful and deprived places of colonial history, but on the other hand, it is recognized and accepted as a “modern” that experiences a strange culture of the past that has not been experienced. Therefore, this study noted changes in the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the meaning of‘modern’ according to media, social and cultural changes as a medium for poster images of the festival.

      • KCI등재

        지역축제이미지가 관광객의 만족과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이재만(Jae-Man Lee),지진호(Jin-Ho Jee)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12

        본 연구는 영양군에서 개최되는 반딧불이 축제를 사례로 지역축제 이미지가 관광객의 만족과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영양반딧불이 축제는 현재 5회가 개최되었고 다른 지역의 축제와는 다르게 주간과 야간에 이루어지는 축제로 영양지역의 자연환경과 생태환경을 부각시키고 다른 지역 축제에서 볼 수 없는 살아있는 곤충은 가지고 진행한다는 특이한 점이있다. 야간 반딧불이 날리기 체험, 곤충 만들기 등 축제에 참여하는 관광객이 기대했던 다양한 볼거리와 체험행사로 구성되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축제이미지가 관광객의 만족과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지역축제 이미지에 대해 20개의 항목을 구성하여 축제에 참여하는 관광객의 다양한 요인을 분석하였고, 지역축제이미지에서 나타난 다양한 요인이 관광객의 만족으로 이루어지는 다양성, 체험, 편리성, 축제내용의 전달과 창의성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보면 지역축제 이미지와 만족이 축제를 체험하는 관광객에게 재방문의사를 밝히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이다. 지역축제 이미지와 관광객만족, 재방문 의사는 축제를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새로운 체험, 기대심리, 다양한 정보 전달이 중요하고 축제 내용에 맞게 친환경적이고 생태환경적인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고 일시적이 아닌 꾸준한 친환경적 축제로 발전되어져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the author ana lysed impact of image of regional festival on satisfaction of tourists and their intention for revisit through an example of firefly festival in Youngyang-kun. Current Firefly Festival of Youngyang is its fifth since its beginning. Unlike festivals in other areas it is held during daytime and nighttime respectively. In it natural environment and ecosystem in Youngyang area are highlighted and it is unique in the sense that such festival is performed with live insects. Festival is organized with various sights to see including experiencing flying fireflies in nighttime and making insects etc. In this study the author analysed impact of image of regional festival on satisfaction of tourists and their intention for revisit. In this connection this author chose 20 items in connection with image of regional festival. Then I carried out analysis on various factors in connection with tourists as appeared in regional festival. I performed analysis on diversity, experience, convenience, conveyance of content of festival and its creativity as factors constituting satisfaction of tourists in connection with image of regional festival. Result of analysis undertaken in this study revealed that image of regional festival and satisfaction of tourists who experienced festivals served to their expressing intention for revisiting. For inducing tourists intention for revisiting image of regional festival, conveyance of diverse information, diversity of program of the festival, new experience, sense of expectation are important. Therefore this is need for development of environment and ecosystem friendly programs and it should be developed as a consistent environment friendly festival rather on temporary touch - and- go event.

      • KCI등재

        지역축제의 브랜드가치, 브랜드이미지, 브랜드태도에 관한 연구

        서철현,안현영,김용철 대한관광경영학회 2009 觀光硏究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축제 브랜드에 대한 방문객의 인식을 조사하여 향후 축제의 방향을 설정하고 대안을 모색하고자 2008년 경북지역에서 개최된 H축제를 대상으로 자료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축제의 브랜드가치 요인 중에서 축제의 독특성, 사회적 혜택, 그리고 심리적 혜택의 3개 요인이 방문지향적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둘째, 축제 브랜드 가치 요인 중에서 사회적 혜택과 심리적 혜택이 미래지향적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태도에 관한 검증에서는 방문지향적 이미지와 미래지향적 이미지의 2개 요인이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축제브랜드의 체계적인 BI(Brand Identity)가 필요하며, 축제의 독특성과 방문객의 감성적인 요소가 중요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find the visitor's recognition about festival brand, and then decide on a direction of festival, and suggest the alternative plan for local festival. The sample for this study was 'H' festival in Gyeong-buk province in 2008. Principal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estival uniqueness, social and psychological benefits conceived by the brand value factor of the local festival have an influence on field-oriented brand image. Second, social and psychological benefits conceived by the festival brand's value factors have an influence on prospective brand image. Third, field-oriented brand image and prospective brand image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brand attitude from the testing about brand image and brand attitude. To conclude, this study offers the local festival need systematic BI(Brand Identity) of festival brand, and examines several important finding that festival uniqueness and visitor's sensibility el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