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스타일로서의 공감하기-체계화하기

        김혜리(Hei-Rhee Ghim)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7 인간연구 Vol.0 No.33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결함을 보이며 특정 분야에 제한된 관심을 보이는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설명하기 위해 Baron-Cohen이 제안한 개념인 공감하기-체계화하기가 정보처리 방식에서의 개인 특성을 기술하는 인지스타일로서 개념화 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공감하기란 상대방의 감정과 생각을 이해하고 이에 공감적으로 반응하려는 동기이며, 체계화하기란 “if-then”과 같은 상관관계 법칙에 따라 작용하는 체계를 분석하고 탐색하려는 욕구이다. Baron-Cohen에 의하면 이 두 기능은 개인차가 있어서 공감하기가 더 발달된 “공감자”가 있는 반면에 체계화하기가 더 발달된 체계화가 있으며, 또 두 기능이 균형적인 “균형잡힌 자”도 있다. 관련 연구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에 의하면, “공감자”에는 다른 사람과 어울리면서 친밀한 관계를 잘 맺는 사람들, 예컨대, 여성, 인기있는 아동과 인문학 전공 대학생들이 포함되며, “체계화자”에는 친밀한 관계를 잘 형성하지 못하지만 체계 내에 작동하는 원리와 규칙을 찾아내는 일을 잘 하는 사람(남성, 자폐인, 천재 과학자, 이공학 전공 대학생)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Baron-Cohen의 “공감자”와 “체계화자” 개념은 능력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인지스타일과 다르지만,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에서의 개인차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인지스타일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또 “공감자”와 “체계화자”는 인간의 적응에 필요한 두 가지 영역의 기능, 즉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고 이에 공감적으로 반응하는 기능과 규칙에 의해 지배되는 다양한 체계를 이해하는 기능으로 개인차를 설명하므로, 다양한 집단의 사고와 행동 차이를 폭넓게 설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자폐장애와 같이 중증의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정상적인 사람들과 질적으로 다른 사람이 아님을 보여줌으로써 이들에 대한 편견을 감소시키는 데에도 기여한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empathizing and systemizing, developed by Baron-Cohen to explain autism spectrum disorders, could be thought of as cognitive styles. Empathizing is the drive to identify and respond to mental states with an appropriate emotion, and systemizing is the drive to analyze or construct law-governed systems. According to Baron-Cohen, some individuals are “empathizers,” for whom empathizing is stronger than systemizing. Some individuals are “systemizers,” for whom systemizing is stronger than empathizing. The rest of the population are “balancers” for whom systemizing and empathizing are operating equally. Many studies have typically categorized womens, popular students and humanities students as “empathizers” who tend to have close relationships with others. On the other hand, those who find it challenging to interact others, but who are proficient at determining the rules of the system are categorized as “systemizers.” This group might include men, individuals with autism, genius scientists, and science students. The “empathizer” and “systemizier” classifications are similar to the cognitive styles that describe an individual’s manner of cognitive functioning with respect to acquir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The “empathizer” and “systemizer” classifications are useful in that they explain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functions of the two domains necessary for human adaptation, namely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respond empathically to the other’s mind, and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various systems governed by rules. In addition, the “empathizer” and “systemizer” classifications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our prejudice by showing that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like autistic disorders are not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ypical person.

      • KCI등재

        대학생의 마음읽기 능력과 공감하기-체계화하기 성향의 성차와 전공차

        최현옥,김혜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3 No.1

        According to Baron-Cohen(2003),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and between science and humanities students could be explained by two psychological dimensions: empathizing and systemizing. Systemizing is the drive to analyse systems or construct systems, and held to be our most powerful way of understanding and predicting the law-governed inanimate universe. Empathizing is the drive to identify mental states and respond to these with an appropriate emotion, and held to be our most powerful way of understanding and predicting social world. In this study, sex and major differences of mindreading abilities, empathizing and systemizing were tested with Korean college students. 244 college students in the sciences major and the humanities major were given TOM tasks and self-report questionnaires assessing the systemizing and empathizing tendencies: SQ and EQ. There were significant sex and major differences on the mindreading scores but not on the empathizing quotient, and significant sex differences on the systemizing quotient. On TOM task, females and humanities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s and science students, but on the SQ, male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 students. In addition, more females and humanities students were categorized as the “empathizer” in whom empathizing is stronger than systemizing, but more males and science students were as the “systemizer” in whom systemizing is stronger than empathizing. the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males and the individuals in the sciences were more systemizing-driven than emapthizing-driven, whereas females and the individuals in humanities were emapthizing-driven than systemizing-driven. In addition, the systemizer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empatizer on the AQ, suggesting that people with high systemizing have higher levels of autistic features. 본 연구에서는 남녀 간에 나타나는 인지적, 행동적 차이는 공감하기와 체계화하기의 두 가지 심리적 차원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Baron-Cohen의 공감하기-체계화하기 이론(2003)을 검증하였다. 어문계열 및 이공계열을 전공하는 남녀 대학생 244명을 대상으로 마음읽기 과제, 공감지수(EQ) 척도, 체계화지수(SQ-R) 척도, 자폐스펙트럼지수(AQ)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여학생과 어문계열 전공생은 남학생과 이공계열 전공생보다 공감하기 능력을 측정하는 마음읽기 과제의 점수가 더 높았으나 공감하기 성향인 EQ 점수에서는 성차와 전공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반해 SQ-R 점수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더 높았으며, 전공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각 개인의 공감하기 수준과 체계화하기 수준의 상대적 차이는 성별에 따라 달라서, 여학생은 체계화하기에 비해 공감하기 수준이 더 높았으나 남학생은 공감하기에 비해 체계화하기 수준이 더 높았다. 또한 각 개인의 공감하기와 체계화하기의 상대적 수준에 따라 인지유형을 5가지로 나누었을 때 남학생과 이공계열 전공생은 공감하기보다 체계화하기 성향이 더 강한 S형과 극단적 S형에 많았고 여학생과 어문계열 전공생은 체계화하기보다 공감하기 성향이 더 강한 E형과 극단적 E형에 많았다. 또한 S형과 극단적 S형의 자폐스펙트럼 지수는 E형과 극단적 E형의 자폐스펙트럼 지수보다 높았다. 공감하기와 체계화하기 수준의 상대적 차이가 성차뿐만 아니라 자폐적 성향을 설명할 수 있다는 공감하기-체계화하기 이론이 지지되었다.

      • KCI등재

        초등 6학년 아동의 성별과 또래지위에 따른 공감하기 및 체계화하기 차이

        박찬옥,김혜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3 No.4

        According to Baron-Cohen (2003),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could be explained by two psychological dimensions: empathizing and systemizing. Systemizing is the drive to analyze systems or construct systems, and empathizing is the drive to identify mental states and respond to these with an appropriate emotion. Sex and peer status differences of mindreading abilities, empathizing and systemizing were tested with Korean 6th graders. Students were given TOM tasks and self-report questionnaires assessing the systemizing, empathizing and autistic tendencies: SQ-C, EQ-C and AQ-C. More females and popular students were categorized as the “empathizer” in whom empathizing is stronger than systemizing, but more males and rejected students were as the “systemizer” in whom systemizing is stronger than empathizing. In addition, the systemizer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empatizer on the AQ-C, suggesting that people with high systemizing have higher levels of autistic features. 남녀 간의 인지적, 행동적 차이는 공감하기와 체계화하기 차원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Baron-Cohen의 공감하기-체계화하기 이론을 검증하였다. 성별과 또래지위에 따라 공감하기와 체계화하기 수준이 다른지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공감능력을 측정하는 마음읽기 과제와 공감하기․체계화하기․자폐 성향을 측정하는 척도인 EQ-C, SQ-C, AQ-C 및 또래지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각 아동의 공감하기 수준과 체계화하기 수준의 상대적 차이는 성별과 또래지위에 따라 달라서, 여아와 인기 아동은 체계화하기에 비해 공감하기 수준이 더 높았고 남아와 거부 아동은 체계화하기 수준이 더 높았다. 또 각 아동의 공감하기와 체계화하기의 상대적 수준에 따라 인지유형을 나누었을 때, 남아와 거부 아동은 공감하기보다 체계화하기 성향이 더 강한 S형과 극단적 S형에 더 많았고 여아와 인기 아동은 공감하기 성향이 더 강한 E형과 극단적 E형에 더 많았다. 또한 자폐적 성향은 E형과 극단적 E형보다 S형과 극단적 S형에서 더 높았다. 공감하기와 체계화하기 수준의 상대적 차이가 성차뿐만 아니라 자폐적 성향을 설명할 수 있다는 공감하기-체계화하기 이론이 지지되었다.

      • KCI등재

        경영이념에 기반한 일관성 있는 디자인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조은환(Cho, Eun-Haun),유보현(Yoo, Bohyeon) 한국상품학회 2010 商品學硏究 Vol.28 No.1

        기업에서 경영활동의 목적을 성취하는 중요한 수단 중의 하나로 인정받고 있는 디자인전략(Design Strategy)의 핵심은 독창성과 차별성이며, 이와 함께 체계화된 경영이념을 통하여 정립된 경영목표가 명확하게 전달되는 일관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디자인 전략은 기업경영의 목표를 달성하는 수단으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기업의 경우 기업이념, 제품철학, 경영철학 등의 경영이념 체계화가 위계적으로 잘 정립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업 및 경영이념은 국가의 헌법과 법률 같은 역할을 하면서 소비자에게 기업의 존재 이유를 명확히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국내 중소기업의 경우, 경영이념의 체계성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대표적인 이유로는 최고경영자 중심의 경영이념으로 기업 경영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대기업은 소비자에게 다양하고 광범위한 기업경영 홍보를 하는 반면, 중소기업은 제품을 통한 이미지 관리 수준에 이르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국내 중소기업의 현실을 감안하여 경영이념과의 일관성 있는 디자인전략 수립에 필요한 최소한의 경영이념 체계화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러나 경영목표와 일관성 있는 디자인전략 수립을 위한 중소기업의 경영이념 체계화는 대기업의 그것과는 경영환경 및 주변의 여건에 있어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중소기업의 경영이념 체계화에 대한 조사를 위하여 대기업의 체계화 과정과 소비자의 의견 수렴이 기업의 체계화에 미치는 영향, 외국 전문기업의 특수한 기업이념 체계화 성공 사례에 대한 문헌 조사와 분석을 하였다. 또한, 국내 중소기업의 현황 및 사례제시를 위해 기업을 선정을 하여 실태 조사와 분석을 통한 경영목표와 일관성 있는 디자인전략 사례제시를하였다. 그 예로 미래를 내다보는 경영철학을 통하여 국내 중소기업 중에서 소수제품의 전문화와 소비자로 부터의 긍정적 제품이미지등을 통해 세계화에 성공한 (주)지엠피의 성공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는 중소기업의 특수성을 고려한 제품철학 중심의 기업이념 체계화를 통한 디자인 전략의 일관성 확립의 모범적인 사례 연구가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디자인전략 수립에 있어서 경영이념의 체계화에 대한 중요성, 국내 중소기업의 특수성을 고려한 기업이념체계에 대한 사례를 제안하였으며, 이와 함께 경영목표와 일관성있는 디자인 전략과 이에 따른 디자인개발 사례를 제시하였다. Many big companies have systemized their product identity. Based on their corporate identity, they have a training or education program on the organization and the product inside the company, and other supporting systems outside the company such as collecting consumers' opinions and offering them after-service (AS) support o promote the specialties of the product and manage the product quality. Domestic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except some exemplary foreign companies that have a systematic product identity, do not have any system for product identity. Among Korean companies, there is one international company in which the product is globally identified as special, but whose product identity is not systematically managed and whose product philosophy is manager-oriented. GMP Co. LTD manages the company with an ideology of "leaders in lamination technology." In general,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such as GMP have different situations compared to big companies that have a good product identity system. Consumers better know GMP's professional products (laminators and films) than the company's name. By examining the systematizing process of product identity of GMP, I believe this case study will be a good example for other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in similar circumstances to have a secure and long-term vision.

      • KCI등재

        [논단] 인지스타일로서의 공감하기-체계화하기

        김혜리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17 인간연구 Vol.0 No.33

        This paper examines whether empathizing and systemizing, developed by Baron-Cohen to explain autism spectrum disorders, could be thought of as cognitive styles. Empathizing is the drive to identify and respond to mental states with an appropriate emotion, and systemizing is the drive to analyze or construct law-governed systems. According to Baron-Cohen, some individuals are “empathizers,” for whom empathizing is stronger than systemizing. Some individuals are “systemizers,” for whom systemizing is stronger than empathizing. The rest of the population are “balancers” for whom systemizing and empathizing are operating equally. Many studies have typically categorized womens, popular students and humanities students as “empathizers” who tend to have close relationships with others. On the other hand, those who find it challenging to interact others, but who are proficient at determining the rules of the system are categorized as “systemizers.” This group might include men, individuals with autism, genius scientists, and science students. The “empathizer” and “systemizier” classifications are similar to the cognitive styles that describe an individual’s manner of cognitive functioning with respect to acquir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The “empathizer” and “systemizer” classifications are useful in that they explain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functions of the two domains necessary for human adaptation, namely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respond empathically to the other’s mind, and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various systems governed by rules. In addition, the “empathizer” and “systemizer” classifications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our prejudice by showing that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like autistic disorders are not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ypical person.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결함을 보이며 특정 분야에 제한된 관심을 보이는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설명하기 위해 Baron-Cohen이 제안한 개념인 공감하기-체계화하기가 정보처리 방식에서의 개인 특성을 기술하는 인지스타일로서 개념화 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공감하기란 상대방의 감정과 생각을 이해하고 이에 공감적으로 반응하려는 동기이며, 체계화하기란 “if-then”과 같은 상관관계 법칙에 따라 작용하는 체계를 분석하고 탐색하려는 욕구이다. Baron-Cohen에 의하면 이 두 기능은 개인차가 있어서 공감하기가 더 발달된 “공감자”가 있는 반면에 체계화하기가 더 발달된 체계화가 있으며, 또 두 기능이 균형적인 “균형잡힌 자”도 있다. 관련 연구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에 의하면, “공감자”에는 다른 사람과 어울리면서 친밀한 관계를 잘 맺는 사람들, 예컨대, 여성, 인기있는 아동과 인문학 전공 대학생들이 포함되며, “체계화자”에는 친밀한 관계를 잘 형성하지 못하지만 체계 내에 작동하는 원리와 규칙을 찾아내는 일을 잘 하는 사람(남성, 자폐인, 천재 과학자, 이공학 전공 대학생)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Baron-Cohen의 “공감자”와 “체계화자” 개념은 능력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인지스타일과 다르지만,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에서의 개인차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인지스타일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또 “공감자”와 “체계화자”는 인간의 적응에 필요한 두 가지 영역의 기능, 즉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고 이에 공감적으로 반응하는 기능과 규칙에 의해 지배되는 다양한 체계를 이해하는 기능으로 개인차를 설명하므로, 다양한 집단의 사고와 행동 차이를 폭넓게 설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자폐장애와 같이 중증의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정상적인 사람들과 질적으로 다른 사람이 아님을 보여줌으로써 이들에 대한 편견을 감소시키는 데에도 기여한다.

      • KCI등재

        동물 관련 법제의 체계화를 위한 시론적 고찰

        홍진희(Hong, Jin-Hee),김판기(Kim, Pan-Gi)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硏究 Vol.52 No.-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동물과 관련해 여러 가지 측면에서 관심이 증대되고 있고, 이러한 다양한 관심이나 지위만큼 여러 분야와 영역에서 관련 법률이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다양한 동물법들은 서로간의 조화나 체계를 고려하고 제⋅개정되기 보다는, 동물과 관련된 특정한 문제들이 제기되면 그것의 해결만을 고려하여 제⋅개정되어 왔던 것이 현실이다. 이제는 동물법을 미시적이고, 근시안적인 시각으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동물 전반에 걸친 거시적이고 근본적인 시각에서 바라보아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이에 따라 모든 동물에 적용될 일반법 또는 기본법과 개성있는 동물에 적용된 특별법을 나누는 이른바 동물법의 체계화 작업이 필요하고 생각한다. 동물법의 체계화를 통해야 동물과 관련된 다양한 법률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동물의 보호와 더불어 인간과의 상생의 길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물법의 체계화를 위해 기존의 강학상 법체계를 기준을 동물법을 재분류 해 보았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현행법의 재분류만으로는 동물법을 체계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필자들은 동물법의 체계화를 위해 각종 동물법의 상위법 내지 기본법으로서의 동물기본법의 제정을 주장한다. 동물기본법에는 동물의 개념, 동물의 분류, 동물의 복지, 동물의 보호 등에 관해서 규정해야 한다. 또한 동물기본법에는 동물관련 책임부서 또는 컨트롤타워 도입에 관한 내용도 반드시 포함시켜 동물과 관련된 분쟁의 예방과 효율적인 해결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animals in various aspects of our society. From a legal perspective of animals, the occurrence of various disputes arising from animals may be the subject of the discussion. Currently, animal laws are enacted in various fields and areas in Korea. Current animal laws have been enacted or amended solely by considering certain issues related to animals, rather than taking into account or being enacted and enacted, rather than established or amended. Now, it is time to look at the animal law in a holistic and fundamental perspective, not to approach a microscopic, shortsighted perspecti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law of animal that applies to all animals and the special laws that apply to animals. Through this systematic system of animal law, it is possible to solve various legal problems related to animals, and seek ways to find ways to coexist with human beings. In this thesis we hae current animal laws according to existing legal frameworks. 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extent to which the current law of the law is structured only by the reclassification of current laws. In order to codify the animal law, the authors insist on enacting Framework Act on Animal as the parent law or basic law. Framework Act on Animal should include animal concepts, animal classifications, animal welfare and protection of the animal. In addition, Framework Act on Animal should also include the introduction of controls on animal related divisions and control towers to prevent and efficiently resolve disputes related to animal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와 공과대학생간의 공감하기 및 체계화하기 능력의 비교 연구

        문태형 한국아동교육학회 2017 아동교육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izing and systemizing abilities and compare their abilities to those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321 university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college of engineering were given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ssessing the empathizing and systemizing tendencies, EQ and SQ, respectivel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χ2-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ajor differences on the empathizing quotient and systemizing quoti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showed higher than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on EQ. However, the reverse was true on SQ. Furthermore, based on the five categories of the cognitive style--Strong E, E, B, S, Strong S, the relation between major and cognitive style was analyzed using χ2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were classified in 'empathizer' category in which empathizing ability is stronger than the counterpart of systemizing ability. On the contrary,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were categorized as 'systemizer' in which the level of systemizing ability is higher than that of empathizing abilit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on the average,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group were more empathizing-driven than systemizing-driven, whereas students of the college of engineering as a group were more systemizing-driven than empathizing-driven.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공감하기 능력과 체계화하기 능력에 대한 일반적 경향성을 알아보고 공과대학생들과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예비유아교사와 공과대학생 321명이며, 연구도구로는 공감하기(EQ) 척도와 체계화하기(SQ)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기술통계, t-검증 및 χ2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공간에 EQ와 SQ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들은 EQ에서 공과대학생들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반대로 공과대학생들은 SQ에서 예비유아교사들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은 체계화점수보다 상대적으로 공감점수가 높은 공감자(empathizer)로 분류되는 비율이 높았으며, 반대로 공과대학생들은 공감점수보다 체계화점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체계자(systemizer)로 나타나는 비율이 높았다. 각 개인의 공감하기와 체계화하기 능력의 상대적 수준에 따라 다섯 가지의 인지유형으로 구분하여 전공과 인지유형간의 관련성에 대해 χ2 검증을 실시한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체계화하기보다 공감하기 성향이 강한 E형이 더 많았으며 공과대학생들은 공감하기보다 체계화능력이 높은 S형이 많았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공감하기-체계화하기 능력과 사회적 성숙도와의 관계

        문태형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empathizing abilities, systemizing abilities and social maturity. A total of 323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given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ssessing the empathizing and systemizing tendencies and social maturity. Descriptive statistics, F-test and χ2-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level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hasizing ability and social maturity were relatively high, but the level of systemizing ability was relatively low.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ajor differences on the levels of empathizing quotient and social maturity among grades. The relationship between grade and cognitive styles was analyzed using χ2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of five cognitive styles(Strong E, E, B, S, Strong S) was very similar among grades. The correlation between empathizing and systemizing abilities was significant. The correlations between empathizing abilities and social maturity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systemizing abilities and social matur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fluence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izing abilities and systemizing abilities on the sub-factors of the social maturity was significant. Especially, empathizing abilities has significant influences on all sub-factors of the social maturity. The explanatory power of empathizing abilities on the sub-factors of the social maturity is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systemizing ab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 323명을 대상으로 하여 공감하기-체계화하기 능력과 사회적 성숙도에 대한 일반적 경향성과 이들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도구로는 공감하기(EQ) 척도, 체계화하기(SQ) 척도 및 사회적 성숙도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서는 기술통계, F-검증 및 χ2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공감하기 능력과 사회적 성숙도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체계화하기 능력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공감하기 능력과 일부 사회적 성숙도 하위요인에서 학년간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과 5개 인지유형간의 관련성에 대해 χ2 검증을 실시한 결과, 학년간에는 인지유형의 분류형태가 거의 동일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의 사회적 성숙도와 공감하기 능력 및 체계화하기 능력간에는 높은 상관이 있으며, 공감하기 능력과 체계화하기 능력은 사회적 성숙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특히 공감하기 능력은 사회적 성숙도의 5개 하위요인 모두에서 영향력을 보였으며 체계화하기 능력보다 상대적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한문과(漢文科) 교수(敎授)-학습(學習) 방법(方法)의 체계화(體系化)의 방안(方案)

        김재영 ( Jae Young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7 한문교육논집 Vol.29 No.-

        본 논문의 목적은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樣相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체계화를 위한 基準을 설정하여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을 類型化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가 수준의 교육 과정에 제시된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을 검토했으며, 한문교육 관련 학회에 보고된 연구 논문도 검토하여, 그 동안의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육 현장의 한문과 교수-학습의 모습도 살펴봄으로써 기존 한문 관련 교수-학습 방법의 연구 성과를 통합하여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체계화의 기준은 ``교육 과정 영역``, ``교수-학습 형태`` 그리고 ``한문 텍스트``의 3가지 기준을 설정하여 기존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들을 유형화 하였다. 그러나 체계화한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이 때론 다른 방법과 엄격히 구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한 영역에만 적용되는 고유한 틀로 보기 어려운 것들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교수-학습 방법을 교실 현장에 실제 적용하고, 그 적용 과정을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어느 정도 해결되리라 본다. 중요한 것은 그러한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고, 그것이 교수-학습 이론으로 재투입되는 還流의 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서만이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體系化가 더욱 탄탄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Teaching-Learning in Classical Chinese, set the standards for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Classical Chinese`` for systemization and typology the methods. For this, Teaching-Learning methods provided in national-wide curriculums and articles reported to Classical Chinese related academic association were reviewed in order to understands the history and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specific subject education. We also try to systemize the study results related to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lassical Chinese by reviewing the Teaching-Learning cases of the subject in the field.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lassical Chinese were categorized for the systemization according to the three criteria of ``Curriculum Domain``, ``Teaching-Learning Types`` and ``Classical Chinese Text``. However, the systemized teaching-learning methods may not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methods in the rigorous point of view. Additionally, there may be some methods that cannot be considered as unique frames. These problems can be solved to some extent by applying teaching-learning methods to the actual field such as classroom, observing and analyzing the application process. The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study results should be accumulated, and fed back to teaching-learning theory. In other words, the cycle should be continuous. Only through this circulation cycle, the systemiz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lassical Chinese can be made.

      • KCI등재

        중등교과서의 고려시기 내용요소와 급간 체계화 방안

        추명엽 역사교육연구회 2019 역사교육 Vol.152 No.-

        This study tried to review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the learned circles of the Goryeo Dynasty history. It is to extract the central content elements that explain the time period, and to systematize them on the base of difference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s, fundamental aspects of history education. We have experienced that the possible options under current circumstances are limited. Because the issue of systematization has been raised repeatedly and negative views have been submitted to the discussion itself, despite the changes in the curriculum taking into account the systematization. If so, the most realistic approach at this time is to review the learning elements from the bottom up, to organize them around the core elements, and to apply them to 2015 school curriculum which was the most recent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it is believed that in the to long term,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ways to systematize content elements according to the times, which is the core of history. The long term method of systematization is to allow middle school students to discern the signs of the historical changes of more than 100 years. In the high school stage, through the descriptions of major topic history, the long term method is to explore also the changes of dynastic units, and to compare premodern history and modern history. 현재까지 계열화를 고려하여 여러 차례 교육과정을 변경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계열화 문제가 계속 제기되었고 계열화 논의 자체에 부정적인 견해도 제출되었다는 점에서 현재 상황에서 가능한 여러 방안들은 각각 한계가 있다는 것을 경험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계열화의 구성 요소가 되는 학습 내용 요소를 기초부터 검토하고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체계화하여 이를 기존의 가장 최근 교육과정인 2015 재개정 교육과정에 적용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장 현실적합적인 방안이 아닌가 여겨진다. 한편 중장기적으로는 역사학의 핵심인 시간성을 중심으로 내용 요소를 체계화하는 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이와 관련해 본고에서는 필자가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는 고려시기를 중심으로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를 검토하여 시대상을 설명하는 기본이 되는 중심 내용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역사교육의 원론적인 측면에 부합하는 중・고등학교 급간 범주 차이를 고려하여 체계화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내용 요소의 단기적인 체계화 방안으로서 중학교 단계는 연대사적 방법을 통해 당대 시기의 사실과 특징을 중심으로 서술하는 반면에 고등학교 단계는 역사학적 개념을 중심으로 다루어 시기별 비교 및 시계열적 발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역사학의 핵심인 시간성 중심의 중장기적인 체계화 방안은, 중학교 단계의 경우 100년이 넘는 단위의 시기별 역사상의 변화를 간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고 고등학교 단계의 경우 대주제사 서술을 통해 긴 시간인 왕조 단위의 변화 탐구 및 근현대와 전근대 역사 개념과 실제를 비교하여 탐구와 토론이 이어지면서 당대 역사상과 현대를 비교 음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