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폭력과 아버지상의 상관관계 연구

        이지현(Lee, Ji-Hyun) 한국아동문학학회 2015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9

        본고는 2000년 이후 발표된 한국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폭력 양상과 폭력이 청소년 주인공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서 청소년소설에 등장하는 폭력의 시작이 가정, 즉 아버지에게서 시작될 경우 주인공의 자아정체성과 성장에 밀접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청소년소설에 등장하는 폭력 양상을 가정과 학교라는 배경으로 단순화시켜보았다면, 본고에서는 배경이 문제가 아니라 폭력의 출발점을 가정으로 보고 가정의 중심인 아버지 존재가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형성에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음을 밝힌다. 또한 청소년소설에서 갈등의 주축으로 등장하는 ‘폭력’이 단순한 소재로서 사건을 극대화시키는 요소가 아니라, 청소년 독자에게 ‘긍정적인 성장’의 발판이 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2000년 이후 출간된 청소년문학상 수상 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폭력과 아버지상의 상관관계를 통해 청소년소설의 궁극적 목적인 ‘성장’이란 주제를 작품들이 어떻게 구사하고 있으며 청소년 주인공들은 어떤 변화를 통해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지 고찰한다. 특히 작품 속에 등장하는 아버지의 양상을 분류하여 주인공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적인 아버지상은 가정 폭력의 시작이 되는 존재로서 주로 물리적인 폭력의 주인공이 되는 경우이다. 둘째, 긍정적인 아버지상은 청소년 주인공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인물이다. 가정 내에 존재하는 경우와 그렇지 못한 경우로 나뉘는데 본고에서는 부재함에도 불구하고 청소년 주인공에게 정신적인 지주가 되는 존재를 예로 삼았다. 셋째, 부정적 →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아버지상이다. 청소년소설에서 가장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아버지상이라 할 수 있다. 이 경우는 미성년의 주인공과 성인으로 대표되는 아버지가 함께 갈등을 풀어나가면서 성장한다. 청소년소설에서 요구하는 가장 바람직한 주제 표출 방식이라고 할 수 있겠다. 살펴본 대다수의 청소년소설에서 주인공 청소년이 폭력의 상처를 이겨내고 스스로 치유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폭력이란 부정적인 소재의 한계가 청소년소설에 있어서 지양해야 할 요소가 아니라 아버지란 존재와 청소년 주인공과의 관계를 조망하면서 청소년들에게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는점을 환기한다. 또한 청소년소설에서 가정 폭력, 학교 폭력뿐만 아니라 다문화가정 폭력이나 장애인, 노인 폭력 등과 같은 사회적 폭력이 청소년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밝힌다. This studied about an effect of violence and aspects on main character under age in Korea young-adult novels after published in 2000. When the beginning of violence in young-adult novels is a family, in other words, father, it was revealed that identity of main character and growth were deeply affected from him. ‘Violence’ which is a main conflict of young-adult novels is not a simply material to maximize, affair, but it could be a steppingstone of ‘positive growth’ to adolescent readers. Mainly discussing about pieces of the award-winning novelists in young People’s Literature published after 2000, it studies how novels describe the ultimate goal of young-adult novels, ‘growth’ in correlation between violence and father and how adolescent characters build their identities. Especially effects of father on main character are as in the following after classifying aspects of fathers in the novels. First, negative father figure is the beginning of family violence and usually he usually uses physical violence. Second, positive father figure gives good effects on adolescent character. There are two cases that father is in the family or not, and this study gives an that father figure doesn’t exist but take a role of spiritual guide. Third, father figure changes from negative to positive. It is the most common in young-adult novels. In this case, adolescent character and father who represents adults have grown to solve conflicts. It is the most desirable way of representing theme in young-adult novels. Most young-adult novels describe the process adolescents characters try to overcome injuries of violence and heal by themselves. And it evokes that limitation of violence, negative material is not a fact to avoid but it takes a view of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adolescent character and provides opportunities for growing to adolescence. And there is a necessity to examine effects of social violence on lives of adolescence such as violence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disabled and violence against the elderly in young-adult novels which are published after 2000.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폭력 경험에 관한 연구

        임재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3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violence experiences out of school and compare and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violence of enrolled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OO-gu Adolescent Crisis Survey in Seoul. The analysis targeted 96 out-of-school adolescents in the jurisdiction. In the original data, the actual status and differences of experience of violence in out-of-school adolescents and predictors of violence and suicide experiences were analyzed through χ2 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out-of-school adolescents suffered the most from sexual violence and cyberviolence. In particular, female adolescents had a higher experience of violence and lower awareness of parental support than male adolescents. Compared to adolescents who did not experience an act of violence, adolescents who committed violence often had a violation experience before committing school violence (χ2 = 16.962, p < .000). In addition, adolescents who previously experienced school violence as victims had more experience related to suicide than adolescents who did not experience it (χ2 = 6.035, p < .05), and there were many instances of violation before school violence (χ2 = 4.739, p < .05). As a predictor of suicide, the previous experience of the school violence victim was significant. Adolescents with previous experience as victims were about five times more likely to experience suicide than adolescents without prior experience as victims. While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damage as a student did not lead to the experience of violence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it was related to suicide-related experien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tervention strategies and follow-up studies on the violence problem of adolescents out of school were proposed. 이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폭력 경험의 실태와 특징을 이해하고자 서울시 OO구 학교 밖 청소년의 위기 실태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2차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관내 학교 밖 청소년 96명이다. 원자료에서 폭력경험(학교를 그만둔 후 폭력피해 및 폭력가해, 이전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 자살 관련 경험, 보호자 지원에 대한 인식 등을 척도로 활용하여, χ2 검증, t-검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학교 밖 청소년의 폭력경험의 실태 및 차이, 폭력과 자살 경험의 예측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 밖 청소년은 성 관련 폭력 피해 및 사이버폭력 피해를 가장 많이 입었다. 특히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보다 폭력피해 경험은 높았고 보호자 지원에 대한 인식은 낮았다. 폭력가해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없는 청소년에 비해 이전 학교폭력 가해경험도 있는 경우가 많았다(χ2=16.962, p<.000). 또한 이전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없는 청소년보다 자살 관련 경험이 더 많았고(χ2=6.035, p<.05), 이전 학교폭력 가해경험도 많았다(χ2=4.739, p<.05). 자살의 예측 요인으로 이전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전피해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없는 청소년에 비해 자살 관련 경험의 가능성이 약 5배 정도 높았다. 재학생 때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학교를 그만둔 후 폭력피해 경험으로 연결되지는 않지만, 자살 관련 경험과 관련성이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폭력 문제에 대한 개입전략 및 후속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 KCI등재

        부부관계, 부부역동성 및 가정폭력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민병근,김헌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비행에 대한 부부관계, 부부역동성, 청소년 개인의 성격적 특성과 성별 및 가정폭력의 영향력정도 및 제변수간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조사연구로서 자료수집 방법은 설문지 조사법, 학생생활기록부, 소년원 생활기록부 참조와 필요시 면담 방법을 병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현재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까지 재학중인 학생청소년 1,236명과 소년원, 분류심사원에 재소중인 비행·범죄 청소년 70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연령범위는 12세에서 18세 사이에 있었다. 표본추출방법은 비례층화 표본 추출법을 적용하여 지역(서울-지방) 및 조사기관의 유형(중학교, 고등학교, 소년원, 분류심사원)을 함께 고려하여 조사대상집단을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총 표집 대상자 1,943명중 불충분한 응답을 한 80명을 제외한 1,86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연구자와 보조 연구원들이 면담, 설문지법, 학교생활기록부나 기타 소년원재원 기록에서 얻은 자료를 종합 검토하여 불충분한 자료는 제거한후 SAS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방법은 Chi-square검정, t검정, 상관관계 분석 및 경로 분석법 등이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부관계가 나쁠수록 가정폭력이 많아지고 청소년 자녀의 욕구 좌절이 높아져 비행행동을 많이 할 것이다. 부부관계가 가정폭력에 미치는 직접효과(0.403), 가정폭력이 청소년 욕구 좌절에 미치는 직접효과(0.096)와 욕구좌절이 비행에 미치는 직접효과(0.076)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이 가설은 지지되었다. 2) 부부관계가 나쁠수록 가정폭력이 많아지고 청소년 자녀의 반 사회적 성향이 높아져 비행행동을 많이 할 것이다. 부부관계가 가정폭력에 미치는 직접효과(0.403), 가정폭력이 청소년의 반사회적 성향에 미치는 직접효과(0.131)와 반사회적 성향이 비행에 미치는 직접효과(0.262)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이 가설은 지지되었다. 3) 부부관계가 나쁠수록 가정폭력이 많아지고 청소년자녀의 정신신체증상호소성향이 높아져 비행행동을 많이 할 것이다. 부부관계가 가정폭력에 미치는 직접효과(0.403)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으며, 가정폭력이 청소년 자녀의 정신신체증상호소성향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는 없었으나 간접효과(0.060)와 부부관계가 정신신체증상호소성향에 미치는 직접효과(0.084) 및 정신신체 증상이 비행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0.186)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이 가설은 지지되었다. 4) 부부역동성이 역기능적일수록 가정폭력이 많아지고 청소년 자녀의 욕구좌절이 높아져 비행행동을 많이 할 것이다. 부부역동성이 가정폭력에 미치는 직접효과(0.305), 가정폭력이 청소년 욕구좌절에 미치는 직접효과(0.096)와 욕구좌절이 비행에 미치는 직접효과(0.076)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이 가설은 지지되었다. 5) 부부역동성이 역기능적일수록 가정폭력이 많아지고 청소년 자녀의 반사회적 성향이 높아져 비행행동을 많이 할 것이다. 부부역동성이 가정폭력에 미치는 직접효과(0.305), 가정폭력이 청소년 자녀의 반사회적 성향에 미치는 직접효과(0.131)와 반사회적 성향이 비행에 미치는 직접효과(0.262)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이 가설은 지지되었다. 6) 부부역동성이 역기능적일수록 가정폭력이 많아지고 청소년 자녀의 정신신체증상호소성향이 높아져 비행행동을 많이 할 것이다. 부부역동성이 가정폭력에 미치는 직접효과(0.305)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으며, 가정폭력이 청소년 자녀의 정신신체증상호소성향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는 없으나 간접효과(0.060)와 부부역동성이 정신신체증상호소성향에 미치는 직접효과(0.105) 및 정신신체증상호소성향이 비행에 미치는 직접효과(0.186)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이 가설은 지지되었다. 7) 남성청소년이 여성청소년보다 욕구좌절, 반사회적 성향, 정신신체증상호소성향이 높아 비행행동을 많이 할 것이다. 성별차이가 반 사회적 성향(0.057)과 비행행동(0.336)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욕구좌절과 정신신체증상호소성향이나 반사회적 성향에는 직접적 영향을 주지 않았다. Object : The family is one of the major socialization agencies for children. Parent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models from whom the child and adolescent acquire a wide variety of behavior patterns, attitudes, values, and nor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mportant factors related to family conflicts on juvenile delinquency and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relationship, conjugal dynamics, family violence, character of adolescent and delinquent behavior. Methods :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1,943 adolescents including 707 juvenile delinquents and 1,236 adolescents students in Korea, chosen from Korean student population and adolescent delinquent population confined in juvenile corrective institutions, using proportional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A sample of 1,863 adolescents aged between 12 and 18 agreed to participate for this study, 80 refused to participate. The actual number of cases put into the analysis was 1,863 adolescents including 657 juvenile delinquents and 1,206 adolescents students. Data were analysed by IBM PC using SAS program. In this study, independent variables were marital relationship, conjugal dynamics, sex distinction of adolescent and intermediating variables were family violence and character of adolescent including need satisfaction/frustration, antisocial personality tendency, complaints of psychosomatic symptoms, and dependent variable was delinquent behavior.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were χ²test, t-test, simple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In this study, the two group(delinquent adolescents and student adolescents) of adolescents were seen as quite different with regard to the variables affecting the genesis and consolidation of juvenile delinquent behavior. The delinquent adolescents group were reared in the family environment that the significantly higher family violence and the more dysfunctional marital relationship and conjugal dynamics than student adolescents group. And the delinquent adolescent has the higher need frustration and antisocial personality tendency and the more complaints of psychosomatic symptoms than student adolescents. It was revealed that the negative marital relation, the dysfunctional conjugal dynamics raised family violence, as a outlet of intramatrimonial conflictivity. Afterwards the family violenc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formation of character of adolescent such as need frustration, antisocial tendency, complaints of psychosomatic symptom and consequently delinquent behavior. Especially, the most exerting influential variable on delinquent behavior in this path analysis were antisocial personality tendency(direct effect=0.262, indirect effect=0.103, total effect=0.365) and sex distinction(direct effect=0.336, indirect effect=-0.014, total effect=0.322). Family violence, character of adolescent including the extent of need frustration, complaints of psychosomatic symptoms were assumed a positive influence as direct and/or indirect paths on juvenile delinquent behavior. Marital relationship and conjugal dynamics have indirect influence on delinquent behavior among adolescents and have direct influence on family violence. Conclusions : The home environment including marital relationship and conjugal dynamics is the basis for genesis and aggravation of delinquent behavior. Maladaptive interactions within the family members and domestic violence will thus have negative consequences on a global scale including character of adolescent and delinquent behavior such as smoking, drinking, substance abuse, physical assaults etc. We suggested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familial factors and juvenile delinquency. However, we should mention that this interaction can occur in bi-directions. This implies that therapeutic intervention should deal with the various links in the chain(sociofamilial, personality traits, gender difference etc.) involved in the genesis and consolidation of juvenile delinquent behavior.

      • 청소년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유대이론과 사회학습이론 적용

        윤은정 한국지방정부학회 2021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1 No.8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허쉬(Hirsch)의 사회유대이론과 에이커스(Akers)의 사회학습이론을 이용하여 청소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청소년 폭력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국내연구 대부분은 이 두 이론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서 청소년 폭력행위에 영향력을 분석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초등학교 4학년) 6차 자료를 바탕으로 신체폭력, 언어폭력, 금품갈취(공갈), 강요, 따돌림, 성폭력, 사이버폭력에 해당하는 청소년 폭력행위를 청소년비행 문항에서 추출하였으며, 사회유대이론 중 관여는 학습의 성취가치와 학업시간 관리로 참여는 체험활동과 동아리활동 참여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사회학습이론은 차별적 접촉(폭력친구)으로 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 AMOS 2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사회유대요인인 관여와 참여는 청소년 폭력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유대요인의 관여와 참여는 사회학습요인인 차별적 접촉에 영향력이 있지 않았다. 이는 사회학습요인의 차별접촉은 사회유대요인의 관여와 참여 그리고 청소년 폭력간의 매개하는 영향력있는 요인은 아님으로 나타났다. 사회학습요인은 차별적 접촉을 청소년 폭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 폭력 문제에 유용한 기초자료와 청소년 폭력을 사전에 예방하고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안에 필요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 학교폭력 피해 영향요인

        김도원,문인수 한국범죄심리학회 2022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o examine the victims by organizing them into emotional and physical vulnerabilities and guardian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theory of daily activities As the social pattern of adolescents changes, our society should no longer turn a blind eye to the phenomenon of school violence against multicultural adolescents. However, as explained in the empirical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school violence damage by Bu Chan-ju (2018), studies on school violence damage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are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history of studies on factors influencing school violence in general adolescents. In other words, in Korea, there is a lot of research on the damage of school violence by general adolescents, but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e damage of school violence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damage of school violence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by analyzing a total of 2,246 people in the final analysi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second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 conducted in 2019.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vulnerability,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damage, and level of difficulty in school life were influenced by factors influencing school violence damag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emotional and physical vulnerability, the more experienced discrimination damage, and the more difficult it is for the entire school life, the more experienced school violence damage. Based on this, policy suggestions were presented to reduce the emotional vulnerabil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o prevent school violence and improve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이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대하여 살펴보고, 일상활동이론을 바탕으로 피해요인을 정서적· 신체적 취약성, 보호자 특성으로 구성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사회는 청소년의 사회적 양태가 변화됨에 따라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학교폭력 피해현상은 더 이상 외면하여서는 안된다. 하지만 부찬주(2018)의 다문화청소년 학교폭력피해 영향요인 실증연구에서도 설명되었듯이 일반 청소년의 학교폭력피해 영향요인 연구의 역사에 비해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학교폭력 피해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라고 하였다. 다시말해 우리나라는 일반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이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19년에 실시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2기에서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최종분석에 총 2,246명을 분석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다문화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의 영향요인으로 취약성, 차별피해 경험, 학교생활 어려움 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서적·신체적 취약성이 높을수록, 차별피해 경험이 있는 경우, 학교생활 전체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고 느낄수록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를 예방하기 정서적 취약성을 낮추고 학교생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가정폭력경험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 애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은하,권세원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perience of domestic abuse on juvenile delinquency (status offence, violence offence, property offence, and total offence) and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attachments (parents, teachers, friends, and community) to each delinquency. For this study, it is used the data of 2,967 second-grad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fifth-year Korea Youth Panel Survey. The first result is that status offence more occurred to more experience of domestic abuse, more male juvenile than female juvenile and poorer grades, and violence offence more occurred to more male juvenile than female juvenile and poorer grades. The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attachments is that status offence less occurred to more attached parents, violence offence less occurred to more attached teachers, status offence and violence offence more occurred to more attached friends. Also, friends attachment more increased that the impact of experience of domestic abuse on status offence and teachers attachment more increased that the impact of experience of domestic abuse on violence offence. The third, the result of total offence model is different from results of status offence, violence offence, and property offence. Throughout this study result, the ways of preventive interventions were proposed. 청소년의 비행이 점점 더 범죄의 수준으로 심각해지고 있으며 범죄의 원인, 행태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중학교 2학년 패널 5차년도의 자료를 활용해 가정폭력의 경험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지위비행, 폭력비행, 재산비행 등 비행 유형별로 살펴보고 양자의 관계에서 부모애착, 교사애착, 친구애착, 지역애착의 조절효과를 밝힘으로써 청소년 비행 예방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청소년비행에 대한 이전의 연구들이 청소년 비행의 형태를 구분하지 않고 분석하여 발생한 문제를 밝히고, 이를 수정함으로써 청소년 비행 예방에의 효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중학교 2학년 패널 5차년도의 자료를 활용 StataSE 10버전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지위비행의 경우 가정폭력경험이 많을수록, 여자청소년보다 남자청소년에게서, 성적이 나쁠수록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폭력비행의 경우 여자청소년보다 남자청소년에게서, 성적이 나쁠수록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폭력경험과 청소년비행의 관계에서 애착이 갖는 주효과 및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부모애착이 높을수록 지위비행은 낮아졌으며 교사애착이 높을수록 폭력비행이 낮아졌으나 친구애착이 높을수록 지위비행과 폭력비행이 높아졌다. 또한 친구애착은 가정폭력이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정적으로 높였으며 교사애착은 가정폭력이 폭력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정적으로 높이는 조절효과를 가졌다. 셋째, 지위비행, 폭력비행, 재산비행 등의 모든 비행행위를 총합한 모델을 분석한 결과 비행을 유형별로 구분했을 때와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시적, 거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 폭력행위 예측모델에 관한 연구 -여자청소년을 중심으로-

        조윤오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1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여자청소년의 폭력행위 실태를 살펴보고 그 폭력행위 예측요인으로써 가족관계와 가족구조, 교우관계, 학교관계가 여자청소년의 폭력행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6년 5월 8일부터 2006월 5월 30일까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약 한 달 동안 서울시내 25개구에서 총 22개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1,122명으로 조사한 데이터를 2차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 중 여자청소년은 550명으로 전체의 49%에 해당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비록 t-test에서는 여자청소년 폭력집단과 여자청소년 비폭력집단이 부모관계와 학교관계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차이를 보였으나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델에서는 가족형태와 가족관계 두 요인만 여자청소년 폭력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남자청소년의 폭력행위 예측모델을 분석하여 여자청소년 예측모델과 비교한 결과, 남자청소년에서는 가족구조 외에 교우관계와 학교관계가 폭력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로운 것은 남자청소년의 경우, 교우관계가 긍정적일수록 폭력행위가 증가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바 청소년 범죄의 학습 및 차별적 접촉이론이 남자청소년에게 어느 정도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보였다. 이하 본 연구에서 통계분석을 근거로 여자청소년폭력행위 예방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한다. The current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 on violent female juveniles. Although strong correlations have been shown between aversive family relationship and violence behavior, there is paucity of studies that focus on unique characteristics of violent female youth. It is unclear whether or not the impact of dysfuctional family relationship have more serious impact on young females than young males, and if so, to what extent. This study employs Korea Social Science Data (KOSSDA) in order to measure how aversive family relationships are associated with girls' violenc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young female's violence and score of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uses scores of relationship with juveniles' friends and school teachers. The sample population consists of 1,122 students who are in middle school or high school in Seoul. The survey was conducted in 2006 for approximately a year by using cluster sample techniques.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ly two factors were identified as a significant predictors: parentless family and aversive family relationship. When types of school, income, relationship with friends, relationship with school teachers were controlled, on average the odds of committing violence behaviors for girls who lived with biological father and mother are 49% times lower than for those who lived with one-parent family (Exp(B)=0.51, p<0.05). Furthermore, on average, and holding the other variables in the model constant, the odds of committing violent acts for girls are 6% times are decreased as one unit of relationship score with parents are increased. The crucial issues that have implications for further juvenile delinquency policy on gender-specific correction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을 위한 상호작용적 영화치료프로그램 개발

        김하강(Kim Ha-Ga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29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을 위한 상호작용적 영화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교폭력 가해 행동의 감소 및 예방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김창대(2002)의 프로그램 개발 모형 단계중 목표수립, 프로그램 구성, 예비연구 및 프로그램수정 단계를 거쳐 상호작용적 영화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목표수립은 학교폭력가해청소년의 가해 요인의 개념 도출을 위해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과 일반청소년 2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 13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로 이루어졌다. 설문조사 결과,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이 일반 청소년보다 자기효능감과 정서적 안정성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분노와 공격성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면접조사 결과,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의 신념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인으로는 자기효능감과 반사회성이, 신념체계로 인하여 영향을 받는 정서적 요인으로는 정서적 안정성과 분노가, 그리고 행동적 요인으로는 사회 기술과 공격성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설문조사와 면접조사 결과를 토대로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을 위한 영화치료프로그램의 목표를 수립하고,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예비연구와 프로그램 수정 단계를 거쳐 도입단계, 시작단계, 변화단계, 유지단계 및 종결단계의 5단계로 구성된 총 10회기의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을 위한 상호작용적 영화치료프로그램은 학교폭력의 폭력행동 감소 및 예방을 위한 청소년 정신간호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연구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interactive cinema therapy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school violence assault and to found it as the mental health nursing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which can prevent school violence and its recurrence by evaluating the effects of developed program. In the Study, the interactive cinema therapy program was developed via four stages of setting program goals, program structure, preparation test and improvement. setting program goals consisted of interviews with 228 adolescents with school violence assault and general adolescents. As a result, it was reported that adolescents with school violence assaul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elf-efficacy and emotional stability and significantly higher in anger and aggression than general adolescents.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self-efficacy and anti-sociality was drawn as rational factors influencing the belief system of adolescents with school violence assault; emotional stability and anger as emotional factors; and social skill and aggression, as behavioral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program goals were established, a program was structured, and finally the interactive cinema therapy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school violence assault was developed via preparation study and modification. The program consisted of introduction, initiation, change, maintenance, and conclusion to be conducted for 10 sessions. Based on this result, the interactive cinema therapy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and social skill and the control over anti-sociality and aggression.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this program will be founded very valuably to prevent school violence and decrease violence behaviors in the future.

      • KCI등재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이 학교폭력에 미치는영향에 대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

        신성철,백석기 한국치안행정학회 2014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1 No.1

        최근 들어 청소년의 학교폭력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교육부를 비롯한 법무 부, 복지부, 여성가족부 등 관련 부처들이 다양한 대처방안을 내놓았으며, 특히 청소년보호위원회를 신 설하여 학교폭력문제에 대처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학교폭력은 좀처럼 해결되지 못하고, 오히려 2013년을 기준으로 학교폭력의 실태를 살펴보면 비록 수치상으로는 약간의 감소를 보이고 있으나 폭력 의 정도가 점점 더 거칠어지고 심각해지는 것으로 나타나 가해자의 피해가 점점 더 심각해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가정폭력 경험이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적응유연성의조절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 연구결과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연구문제 1에서는 청소년들의 가정폭력 경험이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에 대해서 알 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들의 직․간접적인 가정폭력 경험이 학교폭력 피해 및가해에 영향을 주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정폭력 경험이 학교폭력 피해에 비해 가해에상대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여 가정에서의 폭력 경험이 학습효과가 되어 청소년들에게그대로 투사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연구문제2,에서는 청소년들의 가정폭력경험이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적응유연성이조절을 할 것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가정폭력경험이 학교폭력의 피해와 가해에 미치는 영향에 있 어 적응유연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조절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비록 가정폭력의 경 험이 있을 지라도 적응유연성이 높은 집단은 학교폭력피해와 가해정도가 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 은 적응유연성이 폭력에 노출된 청소년들이 폭력의 빈도를 줄이고 나아가 폭력행동을 제어 할 수 있는 기저라는 것을 미하는 것으로 향후 청소년들의 학교폭력행동의 예방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eenagers' school violence has been influential as social problems and, tosolve these problems, the Ministry of Justice, various governmental department such asthe Ministry of Welfare,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including the Ministryof Education proposed a variety of countermeasures. Especially, the government newlyestablished a teenager protection committee, coping with school violence problems. Inspite of these efforts, school violence seldom solves. Examining the real situation ofschool violence on the basis of 2013, it shows slight reduction numerically, but the degreeof school violence turned out to be more severe and serious, so that the sufferersexperienced more violence and pain. Accordingly, this study was intended to look into the regulation effects of resilience tothe effects of teenagers' home violence experiences on school violence, and the result of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study problem 1, an examination was made as to what the effects ofteenagers' home violence experiences on school violence are. As a result of theexamination, it turned out that direct & indirect home violence experience of teenagershas an effect on doing and suffering harm related to school violence. Especially, homeviolence experience had more effects on doing harm than suffering harm at the school, sothat it seems violence experience at home has learning effects on teenagers and leadthem to doing harm. Second, in study problem 2, an examination was made as to whether resilience canregulate them in the effects of their home violence experience on school violence. As aresult of the examination, it turned out that, in the effect of home violence experience onsuffering and doing school violence, resilience is significantly regulating themstatistically. This means even though teenagers had home violence, a group having high resilience is low in suffering and doing school violence. This means resilience can reducenumber of times of violence of teenagers who are exposed to violence and can controltheir violence. Resilience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on andtreatment of teenagers' school violence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유해매체물 이용이 폭력행위에 미치는 영향

        이윤호,정의롬 한국범죄심리학회 2012 한국범죄심리연구 Vol.8 No.3

        오늘날의 매체는 단순히 정보, 지식 전달자가 아니라 일상생활의 주요 환경으로서 한 사회의 가치나 문화체계를 창출하는 주체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더욱이 오늘날의 영상매체는 우리의 생활에 깊숙하게 파급되어 지식·태도·정서 등에 엄청난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매체에 가장 직접적이고 쉽게 영향을 받는 청소년들은 일상생활, 가치 및 문화체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향을 받고 있다. 실제 여러 연구들에서 음란물이나 폭력적 성향의 게임 등의 유해매체물이 청소년의 비행행위를 유발한다는 결과들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010년도에 실시한 「청소년 안전(보호)실태조사 2010」자료를 활용하여 이러한 유해매체물의 이용이 청소년의 폭력행위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들을 유해매체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해결책을 강구해 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청소년유해매체물 가운데 청소년들의 이용 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음란사이트, 사행성 게임, 폭력성 게임의 이용과 폭력행위 간의 관계를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이 연구에서 측정한 유해매체물 중 폭력성 게임을 자주 이용하는 청소년들이 폭력행위를 저지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유해매체를 이용하는 친구들을 의식적으로 기피하는 청소년일수록 폭력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에 폭력적 인터넷게임의 유해성에 대한 집중적 교육을 실시하고, 청소년들이 자주 접하는 인터넷 환경을 고려하여 폭력적 게임의 유해성을 지속적으로 홍보하는 등의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Today, the media is not a simple conveyer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but rather has a leading role in creating social values and cultural systems, which has become a significant part of our environment in everyday lives. Moreover, video media today has become a deep part of our way of life, and it is bringing enormous change to our knowledge, attitude and emotions. Especially juveniles, who are most directly and easily influenced by these media, are affected by various influences, such as everyday life, value and cultural system. In fact, results from relevant research indicate indecent media such as pornographic material and violent games cause juvenile delinquency. Therefore, this research examines Juvenile Safety Status Survey 2010, which was conducted in 2010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o see whether use of indecent media affects juvenile violenc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solutions to protect juveniles from indecent media.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decent media most frequently used by juveniles on violence. Most frequently used indecent media by juveniles are porn sites, gambling games, violent games, Results indicate juveniles who often play violent games are more likely to be violent, and juveniles who intentionally avoid peers who use indecent media are more likely to be violent. The study recommends emphasizing harmfulness of violent internet games in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Considering that juveniles access the Internet quite often, the study also recommends spending efforts to persistently promote harmfulness of violent ga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