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청각중복장애 학생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최상배,조성하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4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demands of deaf school teachers regarding deaf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employed as the research method. Six deaf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First, the ratio of deaf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continually increased over tim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educating deaf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due to the lack of methods for diagnostic evaluation and placement, large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lack of educational materials, and teachers' lack of knowledge related to the deaf with multiple disabilities. Second, to educate the deaf with multiple disabilities, deaf schools are making efforts to provide human and material support by operating classes separately, and they are providing specialized services to improve functional ability. Third, for the future-oriented education of the deaf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set the methods for the evaluation and placement of dea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train and place qualified teachers through teacher preparation and training courses. In addition, the curriculum modification and a collaborative approach between experts were suggested. In order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deaf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visual communication, use various communication modes, and teach functional communicatio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for deaf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in the future. [목적]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청각중복장애 학생의 교육 현황과 제공하고 있는 교육적 지원 그리고 개선방안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6명의 청각장애학생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청각중복장애 학생의 교육 현황을 살펴보면, 청각중복장애 학생의 출현율이 과거에 비해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청각중복장애 학생에 대한 진단평가 및 배치에 관한 기준의 부재, 학생 간 큰 개인차, 교육자료의 부족 및 공유 미흡, 교사의 청각중복장애 관련 지식의 부족으로 인해 청각중복장애 학생의 교육에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농학교에서는 청각중복장애 학생을 교육하기 위해 중복학급을 별도로 설치하여 인적․물적 지원을 제공하고, 기능적 학업능력 향상을 위한 특화된 서비스 제공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셋째, 발전적인 청각중복장애 학생의 교육을 위해서는 학생 평가 및 교육적 배치기준을 마련하고, 교사 준비교육과 연수 과정을 통해 자격을 갖춘 교사를 양성하고 배치하는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교육과정을 재구조화하고 전문가 간 협력적 접근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청각중복장애 학생의 교육에 있어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은 중요한 과제이며, 이를 위해서는 시각적 의사소통 강화, 다양한 의사소통 양식의 사용, 기능적 의사소통 지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결론] 이 연구는 향후 청각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중재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자폐 범주성 장애를 동반한 청각중복장애 아동 관련 연구 활성화를 위한 연구 동향 및 과제 : Trends and Issues in Research regarding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이현주,이소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5 특수교육 Vol.14 No.3

        연구목적: 자폐 범주성 장애의 출현율 상승과 더불어 자폐 범주성 장애(ASD)를 가진 청각중복장애 아동의 비율 증가도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청각중복장애 아동에 대한 연구는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ASD를 동반한 청각중복장애 아동에 대한 연구는 해외에서 이루어진 연구에 비해 국내의 경우 대상에 대한 관심이 극히 적어 관련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외 연구를 중심으로 ASD를 동반한 청각중복장애 아동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해당 분야의 연구 관심을 촉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1990년부터 2014년까지 이루어진 ASD 동반 청각중복장애 관련 연구를 조사한 결과 총 23개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ASD를 동반한 청각 중복장애 아동의 출현율이 급격히 증가됨에 따라 ASD와 청각장애의 중복이 나타내는 독특한 특성을 연구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으나, ASD를 동반한 청각장애의 드문 사례와 두 장애의 중복을 진단하고 처치할 수 있는 전문가의 부족이 조기 진단을 지연시켜 이후 청능 재활 및 행동과 교육적 지원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분석 결과를 근거로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관련 연구 활성화를 위한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Purpose: There are increasing numbers of studies reporting a rise in the prevalence rate of children with hearㄴing impairment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with a remarkable increase in the prevalence rate of children with ASD. However, a systematic study on children who have hearing impairment with ASD has not been conducted. Compared with the research being conducted abroad, there has not been much South Korean research on this subject because of the limited interest in the subjec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nd ASD in order to discuss the main issues and to call attention to the need for research in the field. Metho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 was an analysis of a total of 23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14. Results: The prevalence rate increase of the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nd ASD affects to the studies abou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ASD and deafness. However, redundant diagnostics and a lack of experts have resulted in a delay of auditory rehabilitation and behavioral or educational support. Conclusion: Based on the analysis and findings of the study, topics related to trends in the subject were discussed, as well a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research also discussed.

      • KCI등재

        청각장애학생 교육지원 요구와 지원방안에 대한 교사와 청각장애인 단체의 인식

        최상배(Choi, Sangbae),황윤재(Hwang, Yunjae),고은지(Ko, Eun-Ji)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4 No.1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생 교육지원 요구와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이를 위해교사, 농인 단체, 난청인 단체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학생 교육 지원 요구를 분석한 결과, 3개의 하위범주(개인 특성과 요구에 맞는 교육지원, 교사의 수업과 상담 역량 강화, 부모지원 강화)와 10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둘째, 청각장애학생 교육지원 방안을 분석한 결과, 3개의 하위범주(청각장애학교 재구조화, 청각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량 강화, 청각장애 교육지원의 질적 모색)와 14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면담 참가자들은 청각장애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서 청각장애학교는 재구조화와 교사의 전문성 신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청각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 활성화를 위해 전문가 배치와 협력, 교사의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청각장애교육의 질적 도약을 위해서는 청각장애교육 교사자격증 제도 운영, 동반입학, 통합교육 준비도 평가, 청각중복장애학생 지원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생 교육지원의 방향과 우선순위 설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dentified key issues recognizing educational needs and educational support plan for deaf and hard of hearing(DHH)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focus groups consisting teachers for the deaf, association of deaf, and association of hard of hearing. Focus groups indicated educational needs as three subcategories: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 enhancement of instruction and counseling capacity by teachers, family support. In addition, focus groups identified educational support plan as three subcategories: deaf school restructuring, enhancement of DHH education support center, and high quality of education support.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the most important issues to provide high quality of DHH education are considering deaf school restructuring and improving teacher professional growth and promoting utilization of DHH education support center. Also, participants emphasized to consider DHH teacher certificate, co-enrollment, evaluation for readiness of inclusion, supporting deaf plus for providing high quality of DHH education.

      • KCI등재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 연구- 드라마 「파친코」 한국어 및 영어 자막의 관련성, 중복성, 적절성을 중심으로

        윤미선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22 통번역학연구 Vol.26 No.4

        Watching image alone will not allow the Deaf and Hard of Hearing (DHoH) viewers to fully understand audiovisual texts. Deciding what is relevant (relevance) and which redundancy should be delivered (intersemiotic redundancy) and ultimately offering adequate contextual effects (adequacy) in SDH is a difficult task.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evance, intersemiotic redundancy and adequacy of Korean and English SDH in episode 4 of Pachinko (2022). The study shows that Korean SDH delivers more factual information such as paralinguistic elements and speaker identification, while English SDH focuses on offering narrative functions of music. The results imply that it is desirable to deliver relevant and adequate information while keeping the DHoH viewers away from unnecessary processing eff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