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철강산업의 기술혁신패턴과 전개방향

        송성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9 정책연구 Vol.- No.-

        본 연구의 목적은 철강산업을 대상으로 산업별 기술혁신패턴의 변천 과정을 검토하고, 국내외 환경변화와 기술개발동향을 감안하여 기술혁신패턴의 전개방향을 전망하면서, 바람직한 기술혁신전략의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철강산업은 우리 나라 산업사의 대표적인 성공사례 중의 하나로서, 우리 나라는 1993년 이후에 생산규모에 있어서 세계 6위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며, 포항제철은 1998년에 세계 1위의 철강업체로 부상하였다. 동시에 우리 나라의 철강산업은 1990년대 후반을 계기로 성숙단계에 진입함에 따라 적정한 생산규모를 유지하면서 생산제품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더구나 1990년대에 들어와 철강산업은 철강기술혁명 이라 부를 수 있을 정도의 급격한 기술변화를 경험하고 있어서 철강산업 성장의 기반이 되는 기술시스템이 크게 변모할 예정이다. 포항제철을 중심으로 한 우리 나라 철강산업의 기술능력은 도입단계, 내재화단계, 창출단계를 통해 급속히 발전해 왔다. 우리 나라의 철강산업은 종합제철소 건설 사업이 몇 차례에 걸쳐 좌절된 후 1970년대에 일본의 기술협력을 바탕으로 포항제철이 일관제철소 공사에 착공함으로써 급속한 발전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포항제철소 건설 과정에서는 건설공기가 획기적으로 단축되어 공사비용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제철소 건설과 관련된 기술능력이 급속히 축적되었다. 또한, 기술연수를 통한 조업기술의 적극적 학습도 병행되어 정상조업도가 조기에 달성되었고 공장가동률은 100% 이상으로 유지되었다. 이처럼 1970년대에는 기술 도입을 바탕으로 건설 및 조업 기술의 흡수가 급속히 진척되어 기술용역계약의 범위가 크게 축소되었으나, 설비에 체화된 기술의 진수는 충분히 소화되지 못했다. 1985∼92년에 추진된 광양제철소 건설사업에서는 건설공기의 단축과 정상조업도의 조기 달성은 물론 최신예 설비의 도입, 효과적인 설비 배치, 생산공정의 전산화 등에 초점이 주어졌다. 1980년대를 통하여 포항제철은 기술도입의 내용을 선진화하는 것은 물론 기존 설비를 합리화하고 자체 기술개발 능력의 기반을 구축하는 데 주력하였다. 즉, 기술도입의 중점은 설비자동화, 품질개선, 고급강 제조에 주어졌고, 새로운 설비 및 기술을 변경 혹은 개선하거나 다른 영역에 적용하는 작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었으며, 포항공과대학과 산업과학기술연구소를 잇는 산학연협동체제가 구축되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포항제철의 기술능력은 제선, 제강, 압연의 전 부문에 걸쳐 선진기술을 내재화하는 수준으로 향상될 수 있었다. 포항제철은 1990년대 초반을 계기로 생산규모와 조업기술에 있어서 세계 일류의 기업으로 성장했으며, 몇몇 부분에서 세계적 수준의 기술 혁신을 창출하고 있다. 조업기술수준의 척도가 되는 노동생산성, 에너지원단위, 연속주조비율 등의 지표에 있어서 포항제철은 세계 최고의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포항제철은 차세대 혁신철강기술로 주목되고 있는 용융환원법과 박슬래브주조법의 도입 및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여 보다 혁신적인 공법을 창출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제품기술에 있어서는 고급강 생산비중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선진 철강업체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포항제철은 기술혁신을 중심으로 조직체제를 재구성하고 연구개발체제를 기능별로 전문화함으로써 21세기의 기술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비하고 있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에 들어와 우리 나라의 철강산업은 세계적인 철강경기의 침체와 외환위기 등을 배경으로 구조적인 위기에 봉착하고 있다. 국내적으로는 철강소비가 점차 둔화되면서 철강산업이 성숙단계에 진입하고 있는 가운데 설비과잉, 가동률 감소, 경영악화 등을 경험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는 철강산업의 저성장세가 지속되면서 철강업체의 구조개편이 진척되고 통상마찰과 환경규제가 강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국내외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그 동안 우리 나라의 철강업계가 추구해 온 최대생산과 최대판매에 입각한 양적인 성장전략이 적정생산과 최대이익 에 입각한 질적인 성장전략으로 변모되어야 한다. 특히, 세계 철강산업은 차세대 혁신기술, 공정개선기술, 신제품개발기술 등에 있어서 최대의 변혁기를 맞이하고 있다. 차세대 혁신철강기술로는 직접환원법 및 용융환원법을 비롯한 신제철기술과 박슬래브주조법 및 박판주조법을 비롯한 신주조기술이 있는데, 박슬래브주조법을 제외한 혁신공법은 대부분 상용화 단계를 밟고 있다. 제조공정별로는 미분탄취입비의 향상, 고로수명의 연장, 전로 일원처리, 정련설비의 자동화, 전자기 주조, 연연속 압연, 냉연공정의 통합 등을 위한 기술혁신활동이 적극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또한, 수요업계의 요구 충족을 위한 철강재의 기능 향상, 다른 소재에 대한 경쟁우위 확보 및 새로운 시장의 창출, 에너지 절약 및 환경친화적인 제품의 개발 등과 같은 방향의 신강재 개발도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점을 고려해 볼 때 향후 철강산업의 기술혁신패턴은 과거와는 현격히 달라진 새로운 경향을 보여줄 것으로 판단된다. 기술추세 측면에서 철강산업은 차세대 혁신기술로 인한 생산공정의 직결화와 미니밀의 지속적 성장이 예상되며, 혁신기술의 적절한 통합이 중요한 과제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혁신유발의 측면에서는 철강수요의 양적·질적 변화를 배경으로 생산체제가 전문화되는 가운데, 신강재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환경친화적 기술개발이 도모될 것이다. 혁신주체의 측면에서는 전통적인 영역 구분을 넘어선 복합적 경쟁구도가 조성되고, 새로운 차원의 기업간 협력관계가 전개되며, 수요업체 및 엔지니어링업체와의 공동연구개발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 나라의 철강산업이 지속적인 성장기반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보다 전략적인 차원에서 철강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혁신적인 기술개발을 바탕으로 철강산업의 질적 성장을 도모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요청되고 있다. 철강산업의 전략적 발전을 위해서는 구조조정을 통한 과잉설비의 해소, 실질적인 경쟁체제의 구축, 통상마찰에 대한 적극적 대응, 환경친화적 생산체제의 구축, 철강 소비구조의 고도화, 새로운 경영패러다임의 추구 등과 같은 여건이 조성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우리 나라의 철강산업이 기술을 중심으로 한 핵심역량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투자의 대폭 확대, 생산제품의 고부가가치화, 혁신철강기술의 개발 및 상용화, 긴밀한 공동연구개발체제의 구축, 종합적인 기술협력관계의 모색,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등이 도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국 철강산업의 정책추이 분석

        최정석(CHOI JUNG SEOK),최준환(Choi, Joon Hwan) 한국중국문화학회 2022 中國學論叢 Vol.- No.73

        2020년 시진핑 주석의 탄소중립 선언을 기점으로 탄소배출이 많은 석탄 및 철강산업은 모든 정책에서 우선순위로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20년을 기점으로 전후로 나누어 주요 철강산업정책을 문헌을 토대로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우선 2020년 이전의 철강산업정책의 주요흐름을 살펴보면, 중국 철강산업은 1996년 세계 조강생산량 1위를 차지한 이후, 양적으로는 급속한 성장을 이어오고 있지만, 기술수준은 국제 선진수준에 비해 질적으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향후 발전의 중점은 기술업그레이드와 구조조정에 둘 것을 강조하며 산업정책과 문건들을 반포하였다. 다만 고질적인 문제점들을 변화시키려고 했지만, 한계에 봉착하는 모습들을 보여 2015년 기존 수요측면에서의 구조조정이 아닌 공급측면에서의 구조조정인 공급측개혁을 실시한 것으로 보여진다. 다음으로 2020년 이후 발표된 철강산업정책 및 문건들을 보면, 지속적인 지방정부의 생산량 억제 및 노후된 생산시설 업그레이드, 친환경 등에 중점을 두고 시행하였다. 과거 중국정부가 제기한 철강산업의 구조조정 외에도 최근에는 스마트 철강 및 철강생산의 탄소배출감소 등 친환경 철강산업 발전을 위해 대내외적으로 강조하였다. 또한 철강제품의 고부가가치 상품생산을 통한 국제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각 지방정부에서 노후된 생산시설 폐쇄 및 업그레이드 정책들을 추진 중이다. 중국 철강산업은 과거 중국경제 양적성장을 대표하는 산업에서 2021년 중국정부의 철강산업정책의 패러다임 변화로 인해 향후 질적성장을 대표하는 산업이 될지는 지켜봐야 되겠지만, 확실한 부분은 과거 탄소배출을 중시하지 않으며 중국경제 성장을 이끌어왔던 모습에서 앞으로는 우선적으로 철강생산량 감축을 통해 친환경적인 부분에서부터 변화가 올 것으로 판단된다. After President Xi Jinping announced in 2020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the coal and steel industries with high carbon emissions began to receive policy attention. Therefore, this article takes around 2020 as the starting point, and based on the literature, sorts out and analyzes the main policies of the steel industry. First of al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ainstream of steel industry policy before 2020, China s steel industry has been ranking first in the world s crude steel output since 1996, and the number has continued to grow rapidly, but there is a qualitative gap between the technical level and the international advanced level.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It also formulated industrial policies and documents, emphasizing that the focus of future development should be on technological upgrading and structural adjustment. However, they are trying to change long-standing problems, but they have reached the limit, so it seems that in 2015, supply-side reforms, supply-side structural adjustment, rather than the existing demand-side structural adjustment, were implemented. Secondly, judging from the steel industry policies and documents announced after 2020, the focus of implementation is that local governments continue to suppress production, upgrade and transform outdated production facilities, and be eco-friendly. In addition to the structural adjustment of the steel industry proposed by the Chinese government in the past, the recent focus at home and abroad has been on the development of an eco-friendly steel industry such as smart steel and carbon reduction in steel production.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y producing high value-added products of steel products, local governments are promoting policies to close and upgrade outdated production facilities. As the Chinese government s steel industry policy in 2021 undergoes a paradigm shift from an industry that represented quantitative growth in China s economy in the past,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China s steel industry will become an industry that represents qualitative growth in the future. From the perspective of driving economic growth, the changes will first come from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part of the reduction in steel production. 2020年习近平主席宣布实现碳中和后,碳排放高的煤炭和钢铁行业开始受到政策的重视。 因此本文以2020年前后为切入点,以文献为基础,对钢铁行业的主要政策进行了梳理和分析。 首先,从2020年前钢铁产业政策的主流来看,中国钢铁工业自1996年位居世界粗钢产量第一以来,数量持续快速增长,但技术水平与国际先进水平有质的差距层面因此,出台了产业政策和文件,强调未来发展的重点应该放在技术升级和结构调整上。然而,他们试图改变长期存在的问题,但他们已经到了极限,所以似乎在2015年实施了供给侧改革,即供给侧结构调整,而不是现有的需求侧结构结构调整。 其次,从2020年以后公布的钢铁产业政策和文件来看,实施的重点是地方政府持续抑制生产、落后生产设施升级改造、生态友好。除了中国政府过去提出的钢铁行业结构调整外,近期国内外都将重点放在了智能钢铁和钢铁生产减碳等生态友好型钢铁行业的发展上。此外,为了通过生产钢铁产品的高附加值产品来提高国际竞争力,各地政府都在推动关闭和升级落后生产设施的政策。 由于2021年中国政府的&

      • KCI등재

        Hyperbolic Distance Function을 이용한 중국 철강산업의 에너지효율성 및 녹색생산성 분석

        진빈,언군,이기성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0 유라시아연구 Vol.17 No.1

        중국은 1979년 이후 지속적인 경제성장으로 2010년 세계 2대 경제대국으로 부상했지만, 그동 안 환경보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과 느슨한 환경규제로 심각한 오염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한편, 지속적인 산업고도화의 진전에 따라 중국의 철강산업은 국가 기간산업으로 급속하게 발전해왔다. 특히, 1996년 중국은 세계 최대 철강생산국으로 자리매김했지만, 화석연료 등의 과다소비로 인하여 각종 대량 의 환경오염물질 배출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현재 중국은 세계 최대 철강생산국이기도 하지만 세계 최대 철강소비국이기도 하다. 또한, 중국 철강산업의 에너지 소비구조는 석탄과 코크스가 에너지의 89% 이상 을 차지하기 때문에 CO2 배출은 심각한 환경오염을 더욱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중국은 철강산업의 에너지 절약과 CO2 배출 감축을 위하여 에너지효율성을 향상시키고, 경 쟁력을 유지하는 것은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철강산업의 지속가능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경제적 잠재감축량에 대한 목표설정 이외에는 에너지생산성 증가나 기술효율성 향상을 중심으로 추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확률변경 초월대수함수를 기반으로 쌍곡선 거리함수(hyperbolic distance function)를 이용하여 중국 철강산업의 에너지효율성을 측정하고, 이 모형에 기초하여 중국 29개 성(省) 과 지역별(동부・중부・서부) 에너지효율성을 비교하는 데 있다. 둘째, 다수의 산출요소를 반영하여 쌍곡 선 거리함수를 결합한 초월대수 확률변경함수(translog stochastic frontier function)를 사용하였다. 특히, 거리함수를 이용하여 녹색생산성을 분해하고 지역간 생산성을 비교하는 동시에 탄소배출 오염 여부를 고려하여 생산성 변화와 녹색생산성 변화를 측정・비교하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16년 까지 중국 29개 성의 철강산업을 대상으로 화석에너지 투입, 탄소배출량, 에너지효율성, 생산성을 연계하 여 에너지효율성, 탄소배출을 고려한 녹색생산성, 녹색기술효율성 그리고 기술혁신 변화 등을 측정하였 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온실가스 배출량은 철강산업 생산과 유의한 역 U자 형태를 가지며, 또한 자본스톡과 노동 그리고 화석에너지에 대한 사용량을 증가시키면 철강생산을 증가시키지만 효율적 프론 티어로부터 대상평가 성과와의 거리를 확대시키므로 에너지효율성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석대상 기간 중국 29개 성의 화석에너지효율성은 평균 0.483으로 나타났으며, 매년 화 석에너지효율성은 조금씩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철강산업의 녹색생산성을 3개 지역으로 분류하여 평가할 때 동부지역, 중부지역 그리고 서부지역의 녹색생산성은 2004년부터 2016년 기간 동안 평균이 각각 0.821, 0.938, 0.969를 기록하였으며, 모든 지역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녹색생산성의 향상은 주로 녹색기술효율성의 변화가 아닌 녹색기술의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철강산업은 많은 환경오염물질을 배 출하고 있는 산업이다. 특히, 철강산업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3.1%, 전체 산업의 15%에 이르고 있다. 최근에는 환경규제가 본격적으로 강화되고 있어서 환경친화적인 설비와 기술을 선택하고 개발하는 것이 철강산업의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제 중국의 철강산업 은 당면한 환경 문제를 극복하지 않고서는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 이에 중국 정부는 다른 산업 분야보다 환경규제에 대한 대응과 친환경기술개발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가 요구된다. China has emerged as the world’s second largest economy in 2010 according to continued economic growth since 1979, but has faced serious pollution problems due to lack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loose environmental regulations. On the other hand, China’s iron and steel industry has rapidly developed into a national infrastructure industry as the industrial advancement continues. In particular, in 1996, China was established as the world’s largest iron and steel producer, but caused excessive amounts of environmental pollutants due to excessive consumption of fossil fuels. At present, China is not only the world’s largest iron and steel producer but also the world’s largest iron and steel consumer. In addition, in the energy consumption structure of the Chinese iron and steel industry, since coal and coke account for more than 89% of the energy, the emission is bound to further increase the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Accordingly, it is a very important issue in the country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and maintain competitiveness to save energy and reduce emissions in the iron and steel industry. Therefore, the goal of the sustainable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in the steel industry is to focus on increasing energy productivity or improving technical efficiency other than setting targets for economic potential reduction. This paper extends recently developed parametric hyperbolic distance functions to the analysis of energy efficiency for a panel data of 29 provinces in China’s iron and steel industry from 2003-2016, and then decomposes the growth of green total factor productivity into two component measures, namely, energy efficiency change and energy technical change based on the estimated hyperbolic distance functions. We find that firstly, the increase of capital stock, labor and fossil fuel inputs makes industrial output increase significantly. Secondly, the energy efficiency of China’s iron and steel industry was 0.483 on average across the 29 provinces for 2004-2016, and there exists a great dispersion in energy efficiencies across provinces and regions. Thirdly, the growth of green total factor productivity is almost due to the environmental technical change rather than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change. Moreover, the energy productivity growth in China’s iron and steel industry may be underestimated if CO2 emissions is igno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The iron and steel industry is an industry that emits many environmental pollutants. In particular, carbon dioxide emissions from the iron and steel industry account for 3.1% of global carbon dioxide emissions and 15% of the total industry. In recent years, environmental regulations have been strengthened in earnest, so selecting and developing environmentally friendly facilities and technologies is emerging as an important task for the iron and steel industry. Chinese iron and steel industry is now forced to lag behind in global competition without overcoming its immediate environmental problems. Therefore, the Chinese government needs more intensive investment in developing environmentally friendly technologies and responding to environmental regulations than other industries.

      • KCI등재

        주요국 철강산업의 국제경쟁력 변천에 관한 연구

        홍정의(Jeong-Yee Hong),이동명(Dong-Myung Lee) 한국경영사학회 2022 經營史學 Vol.101 No.-

        자동차, 조선, 기계 등 주력 산업에 기초소재를 공급하는 철강산업은 역사적으로 혁신 기술의 등장, 급격한 수요 변화 등의 구조적 변화와 이에 대한 기업과 정부의 대응에 따 라 국가 간 경쟁우위의 이동이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왔다. 세계 철강산업의 국제경쟁우위는 영국, 미국, 일본 순으로 이동하였으며 한국은 철강산 업의 불모지에서 최단 기간내에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보유한 철강 선진국으로 부상 하였다. 본 연구는 세계 철강산업의 국제 경쟁우위가 이동하는 과정을 마이클 포터(1990) 의 국가경쟁력 분석 틀인 다이아몬드 모델과 산업의 주도권 이동에 관한 이론인 Lee & Malerba(2017)의 추격사이클 모델과 기회의 창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철강혁신기술의 등장, 수요구조의 변화, 그리고 이러한 변화에 철강기 업과 정부가 자국의 조건에 맞는 전략과 정책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철강산업의 국가 간 경쟁우위가 이동해 왔음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 후발국에서 선발국으로 부상하는데 성 공한 경우 철강기업은 과감하고 신속하게 혁신기술을 도입했으며, 정부는 직간접적으로 이를 지원하였다. 반면, 후발국의 추월을 허용한 선발국들은 혁신기술의 등장, 수요구조 의 변화 등에 둔감했으며 변화의 영향을 과소평가하는 선발자의 덫에 빠졌다는 사실을 공 통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최근 국내외 철강산업을 둘러싼 모든 변수들이 급변하고 있다. 이러한 극도의 불확실 성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친환경 혁신기술 개발에 적극 나서는 한편, 모든 변화 가능성에 대해 보다 유연한 자세와 함께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철강생태계의 상생과 혁신을 논 의하는 플랫폼의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steel industry, which supplies basic materials to major industries such as automobiles, shipbuilding, and construction, has historically been subject to periodic changes in industrial leadership between countries due to the emergence of innovative technologies, changes in demand structure, and strategic responses from companies and governments.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 advantage of the steel industry has shifted to UK, US, and Japan, and the Korean steel industry has emerged as an advanced steel industry with the world’s best competitiveness within the shortest period of time.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ept of Michael Porter’s diamond model and Lee & Malerba’s catch-up cycle model to examine the process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steel industry. In this study, we found that not only the emergence of innovative steel technology, but also changes in demand, and the fact that the steel industry and the government have appropriately adopted strategies and policies suitable for their own conditions, and the fact that the competitive advantage between countries in the steel industry has shifted. When a country succeeded in rising from a latecomer to a leading country, steel companies introduced innovative technologies boldly and quickly, and the government directly or indirectly supported them.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leading countries catched up by latecomers, there was common observation that they were insensitive to changes in technology and demand, and caught in the incumbent trap which makes them underestimate or ignore the impact of changes. In order to respond to the uncertainties surrounding the steel industry, we preemptively support and lead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innovative technologies, and build a platform in which steel experts from various levelsdiscuss the creative and innovative measures with a more flexible attitude toward all possible changes.

      • KCI등재

        근대 인도철강산업의 경제사적 고찰 : 신경제정책(1991년) 이전 시기를 중심으로

        공덕암 한국산업경제학회 2009 산업경제연구 Vol.22 No.4

        철강 산업은 경제개발과 산업화를 위한 기간산업으로서 중요한 요소이다. 선진국들의 산업화과정을 살펴보아도 기계, 도로, 항만, 공항, 전력, 건설, 및 사회간접자본 시설 등에 철강의 수요가 급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인도의 근대적 철강 산업은 내적 필요에 의해 육성되기보다는 영국의 식민지 경제정책의 목적에서 비롯되었다. 인도 근대 철강산업의 발전을 그 특정에 의해 구분해 보면, 제 1기는 식민시기의 근대철강산업 태동, 식민정책과 관련된 민족자본생성과 발전을, 제 2기는 독립이후부터 신경제정책까지의 철강산업의 발전과 그 성장 정체요언을, 제 3기는 신경제정책 이후의 구조조정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조치들을 그 특정으로 연구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도의 철강산업의 태동과 성장과정 및 그 특징과 정체요인등을 경제사적인 관점에서 고찰하고 평가해 본다. 연구 범위는 20C초 근대철강산업 태동기부터 신경제정책 이전의 시기로 제한하고 향후 연구에서 그 범위를 확장코자 한다. Steel industry is important substantial industry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industrialization. As it is obvious in the industrialization of developed countries that there are dramatic increases of steel consumption in equipment, road construction, sea-port, airport, building construction and social organizations. Modern steel industry in India has been developed not because of the internal needs but the economical object of British colony. As we divide the modern steel industry in India by its characteristics; The first period is the birth of recent steel industry of colony and national resource supply and development about the colony policy, the second is from independent to the new economical policy of development in steel industry and its factors that has affected, the third period is structure adjustment and the remedy that has been made for competitive forces after new economy policy can be studied. In this study, we see the birth, developmental process, characteristics and factors of congestion of steel industry of India in economical view. This study limits the area from the first of 20C, the birth of modern steel industry to new economic policy period and then intend to extend the area in future study.

      • KCI등재

        환율 및 유가변동의 철강산업에의 파급효과 분석

        김무형,임대봉 한국산업경제학회 2007 산업경제연구 Vol.20 No.2

        최근에 원화가치의 상승과 국제유가 상승 등 대외적인 환경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그 어느 때보다 증가하고 있어 철강산업을 둘러싼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환율과 유가상승 등 대외적인 환경변화가 우리나라 철강산업의 수출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먼저 환율변동은 철강재의 수출입에 유의한 파급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환율 하락은 철강제품의 수출증가세 둔화를 가져와 무역수지악화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철강산업은 환율변동에 따른 환리스크 헷지 수단의 적극적인 활용과 결제통화의 다변화 등을 통해 환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전략을 강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국제유가 변동으로 인한 철강산업의 파급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국제유가의 상승은 철강산업에서의 비용 상승요인으로 작용해, 국내 철강산업의 경쟁력 저하요인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철강산업은 한편으로는, 에너지효율개선을 통한 비용절감으로 국제경쟁력을 갖추어 나가는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환율변동과 고유가 등 대외적인 환경변화의 악화에 따른 국내 철강산업에 대한 부정적인 요인을 상쇄시키기 위해서는 경쟁국보다 차별화된 기술로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고급 철강재의 생산을 증대해 경쟁력을 보다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d how the rapidly changing world situation including the exchange rate and high oil prices has influence on the steel industry's imports and exports, and earnings. First, the fluctuations of the exchange rate have a bad influence on exports in the steel industry in case of a drop in the exchange rate, but have a slight influence on imports in the steel industry in the same case as above. Second, according to a drop in the exchange rate, the domestic steel industry imports total raw materials from others and places a great deal of weight on enterprises producing commodities for domestic markets, and the resul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profits in the steel industry. Third, the world economy by means of high oil prices will slow down and demand for steel materials will be reduced. Accordingly, because the steel industry has the propensity to consume much energy, we need to cut down expenses through an efficient energy policy, and have our own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 KCI등재

        韓中日 鐵鋼産業의 競爭力 推移와 韓日 協力 可能性

        한기조,정병무 한국일본근대학회 2011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4

        본고는 1995년에서 2009년까지 한중일 철강산업의 경쟁력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 철강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한일 협력에 대하여 검토하고 있다. 한국 철강산업은 중국에 대해 비교우위에서 열위로 전락했으며, 일본에 대해서는 여전히 비교열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상의 경쟁력 및 환경(기업, 고객, 경쟁자) 분석을 통해 도출할 수 있는 전략으로는 첫째, 국내 경영기반 강화, 둘째, 신흥시장 개척 및 글로벌 네트워크의 구축, 셋째, 원연료의 안정적 조달, 마지막으로 저탄소 녹새성장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는 전략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또한 이들 전략을 추진함에 있어서는 독자적으로 추진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겠지만 중국의 급격한 부상을 고려한다면 협력 가능한 분야에서의 한일 협력이 절실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analyses the competitiveness of the steel industry in China, Japan and Korea during a period of 1995-2009, and examines potentials for Korea-Japan co-operation as well as improvement of Korean steel industry. Our analysis of the industrial competitiveness reveals that not only Japan but also China turns to have oomparative advantage against Korea over the period. The present study also investigates environment surrounding the steel industry from three aspects - The customer, The competitor and the Korean and Japanese steel industry itself. And then the strategies for the Korean steel industry derived from these analyses are: (i) to reinforce domestic business fundamentals, (ii) to develop the emerging markets and to establish global networks, (iii) to secure raw materials and resources and (iv) to promote green growth.n inally, given China's emergence, our study suggests the Korea-Japan co-operation towards those strategies.

      • 세계 철강산업 구조변화와 향후 전망

        김정훈,공문기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2 신안보연구 Vol.- No.174

        유럽 재정위기의 확대로 세계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세계 철강산업의 성장이 크게 둔화되면서 많은 철강사들이 적자를 보이거나 파산 위험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세계 철강산업이 과거와 같은 장기 저성장 국면에 진입한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계속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철강산업의 수익성 악화가 경기변동적 측면을 넘어서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며 이 문제를 해소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주장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다. 세계 철강산업은 철강수요와 공급측면, 원료시장의 구조적 측면, 철강사들의 시장지배력 측면에서 저수익 구조가 고착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1980년대~1990년대의 저수익시기와 비교할 때 현재 철강산업의 수익구조가 더 악화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2008년 세계 경제위기 이전에 대두되었던 철강산업의 ‘슈퍼사이클’은 이미 종료되었으며 앞으로 상당기간 동안 철강사들의 수익성 개선이 어려울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한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2006년 전후에 세계 철강산업은 저수익 구조로 전환되었으며, 철강 중기사이클(평균 17년 주기)은 2007년을 정점으로 하락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As the European debt crisis spreads around the world and economic uncertainty rises over time, the growth of world steel demand has been largely sluggish in recent years, which forces many steel companies to face a deficit and financial trouble. There is a controversy about whether world steel industry enters into a long-term low growth phase, such as in the 1980s and 1990s. This paper shows evidences that deteriorating profitability in the steel industry stems from structural problems rather than a normal business cycle so that it will take a long time until these are resolved. The problems have been mainly caused by the severe excess capacity in steel industry,the oligopolistic structure of raw material markets and the weakened market power of steel firms, which seems even to be more deteriorated than in the 1980s and 1990s. We reach a conclusion that the steel ‘super-cycle’, fueled by China’s economic growth befor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has already been ended and profitability in the steel industry would be unlikely improved within a few years. Empirical results also show that the world steel industry turned into a low-profit structure in 2006 and entered into a contraction phase on the mid-term steel demand cycle after its peak in 2007.

      • KCI등재후보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지역간 산업연관효과 분석

        이춘근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7 대구경북연구 Vol.16 No.1

        This study is to analyze inter-regional and inter-industrial linkage effects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using the 2013 inter-regional input-output table. For the analysis, 16 regions were reclassified into five regions, Daegu, Gyeongbuk, Capital Metropolitan region, South-East region, and Other regions, and various industrial linkage effects were re-estimated.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was the second highest specialized sector following electronic industries among manufacturing industries in the region, and the portion of intermediate inputs and demands was very high.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s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average of the entire 30 industrial sectors, and far higher than those of the steel industry in South-East region, Capital Metropolitan region, and Daegu region. The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showing forward linkage effect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was 3 times higher than average of the entire industries, and impact factor showing backward linkage effect was higher than 1. Therefore,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is an intermediate-demanding and manufacturing industry. When the price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is rising 10%, its effects on other regions were highest in Daegu region, and then Capital Metropolitan region, South-East Region, and Gyeongbuk region followed in order. For the entire Korea, it affected higher price-rising pressure of 24.8%. The linkage effects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were more highly linked with Capital Metropolitan region or South-East region than Daegu region, it is necessary to seek more actively industrial collaboration with these regions. 본 연구는 한국은행에서 최근 발표한 2013년 지역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지역간, 산업간 연관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을 위해 16개 권역을 대구와 경북, 수도권, 동남권, 기타권 등 5개 권역으로 재분류한 후 여러 가지 산업연관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북지역 철강산업은 타 지역, 타 산업에 비하여 중간투입과 중간수요의 비율이 상당히 높고, 생산유발계수는 30개 부문 전체 산업 평균보다도 상당히 높으며, 동남권이나 수도권, 대구 등에 비해서도 훨씬 더 높았다.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감응도계수는 전체산업 평균보다 3배 정도 높았고, 영향력계수도 1보다 높아 상대적으로 전체산업 평균보다 높았다. 따라서 경북지역 철강산업은 중간수요적 제조업형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물가가 인상될 경우, 대구지역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 수도권, 동남권, 경북권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경북지역 철강산업이 타 지역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는 수도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 동남권, 경북권 등에 영향을 미쳤다. 산업별로는 철강제품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쳤고, 석탄 및 석유제품, 전력·가스 및 증기제품, 도·소매 서비스, 운송 서비스 등에 높은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주요국들의 기후변화 대응 탈탄소․탄소중립 정책과 규범이 국내 철강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

        심영규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國際去來와 法 Vol.- No.43

        인류생존을 위협할 치명적 요소로서 기후위기의 심각성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됨에 따라 미국과 유럽연합(European Unions: 이하 “EU”라 함) 등 주요 선진국들 중심으로 탄소누출(Carbon Leakage) 문제가 주요 글로벌 통상이슈로 제기되고 있다. 이들 국가는 지속가능하고 공정한 무역체제 구축을 명분으로 기후위기 대응 관련 그린 전환 정책과 탄소무역장벽 등을 속속 도입하고 있거나 도입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특히 대표적인 탄소 집약적ㆍ다배출 산업으로 분류되는 국내 철강산업에도 중대한 영향과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철강 및 알루미늄 등 탄소 집약적ㆍ다배출 산업 분야를 대상으로 ‘공정 및 생산방식’(Process and Production Methods: PPMs) 전 과정에서 친환경 탈탄소ㆍ탄소중립 기술ㆍ정책ㆍ법제도 등이 도입되는 경우 우리나라 역시 해당 산업 분야의 비용과 부담이 증가하고, 국제경쟁력도 약화하는 등 상당한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우려된다. 주요 선진국들이 속속 도입하고 있는 탈탄소ㆍ탄소중립 정책과 탄소무역장벽 등 기후위기 대응 통상정책이 철강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그에 대한 대응 방안을 다각도로 마련해야 하는 이유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미국과 EU 등 주요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기후변화 대응 통상정책 현황과 그러한 통상정책이 국내 철강산업에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영향을 검토ㆍ분석하고, 그에 대한 몇 가지 법적ㆍ제도적ㆍ정책적 대응 방안을 정리ㆍ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우리나라의 현대 산업화 과정에서 산업ㆍ경제의 근간이 되어 온 철강산업이 환경 파괴적인 탄소 집약적ㆍ다배출 산업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 향후 친환경 그린 전환 산업 분야로 성공적으로 재편되고, 대내외적 경쟁력을 더욱 제고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기후위기 시대를 맞아 국제사회의 탈탄소ㆍ탄소중립 정책과 탄소무역장벽의 시행은 이제 미래 실행 가능한 예측 시나리오 단계를 넘어 엄연한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우리 철강산업 분야도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경영 관행으로의 신속한 전환을 위한 산업계의 노력, 이를 법적ㆍ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정부의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지원ㆍ투자정책의 설계와 실행, 최적의 대안과 개선방안을 찾고 제시하기 위한 전문가그룹/학계의 집단 지성과 지혜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