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테크놀로지의 진화와 종교적 체험의 동역학 -근대시기 천도교와 개신교를 중심으로-

        김태연 ( Tae-yeon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17 신종교연구 Vol.36 No.-

        본 연구는 한국 근대사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천도교의 과학기술 수용양상과 그로 인한 종교경험의 변화에 대해 역사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그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근대 시기 천도교는 단지 종교로서의 한계 내에 머무르지 않고, 동학의 정신을 계승하여 사회적, 정치적으로도 매우 활발한 역할을 담당했다. 천도교에서는 인간을 개혁하는 것이 곧 종교의 개혁이자 사회개혁이요, 전 우주적 차원의 개혁과 진보라는 확신이 있었다. 또한 천도교 지식인들은 사회 진화론적 기반 위에서 천도교야말로 새로운 세상을 위한 `신종교`이자 종교의 진보 단계에서 `최후의 종교`라는 자기 정체성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천도교는 한국이 직면한 시대의 조류와 그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며 구시대의 종교들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천도교는 과거의 종교들처럼 우주와 자연만물을 추상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근대시기 세계관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과학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 구체적인 과학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인간관 우주관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제까지 천도교에 대한 연구는 한국 근대사와 관련하여 다각도로 활발하게 연구되어오고 있으며 그 연구 성과 또한 상당한 축적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의 경우 천도교를 정치적, 종교적, 사상적인 차원에서, 특히 민족자주정신의 차원에서 주요하게 다루고 있을 뿐, 천도교의 과학기술문명을 향한 관심에 대해서는 그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따라서 천도교에서 당대 최신 과학기술을 어떻게 종교적으로 수용, 체험되는 지에 대해 역사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먼저, 개신교의 경우와의 비교를 통해 각 종교집단의 과학기술에 대한 종교적 수용 방식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검토한다. 이어서 천도교에서 과학기술의 문제를 어떻게 종교적으로 해석하고 수용했는지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개신교와 천도교의 수용에서 드러난 원형적 측면들이 무엇이었고 그 의미는 무엇이었는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천도교의 사례를 통해 우리는 한국 근대의 맥락에서의 종교와 과학 담론 전개 양상의 일면을 고찰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tries to explore religious experiences in the acceptance of scientific-technology in Cheondoism, which was a major representative religion in the early modern period of Korea. In the modern times, Cheondoism did not stay within the limits of religion but played a very active role in socio-political areas. Radical intellectuals of Cheondoism were convinced that a reformation of humanity is a religious reform, which then reforms society. Finally reforming a human being and human society can move the whole universe. In addition, they had a religious self-identity based on belief in social darwinism that Cheondoism is a `new religion` for the new world and `the last religion` in the evolution of religions. Therefore, Cheondoism responded very sensitively to the tide of the tim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stablished `old` religions. Instead of abstractly approaching the universal and natural world of religions of the past, Cheondoism was interested in the scientific-technology that fundamentally changed the modern world-view. It also sought to propose a new vision for human beings on the base of concrete scientific knowledge. Until now, many researches and studies on Cheondoism have been significantly building up, however, they have been mainly dealing with political, religious, and ideological aspects of Cheondoism. It`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interest of Cheondoists in the times of scientific-technology. For this purpose, I am focusing on the newest technologies of that time like telegraph, telephone and radio in the magazines of Cheondoism. Especially these technologies stimulated religious associations and imaginations in terms of Cheondoists cosmology, world-view and thoughts on human being. I would like to show what the prototypes revealed in the process of adopting scientific technology in Cheondoism in comparison with Korean Protestantism their meaning. This study will provide us with an insight in order to understand one aspect of the development of religion-science discourses in the context of modern Korea.

      • KCI등재

        연구논문 : 일제하 진주지역 천도교(天道敎)의 문화운동

        김희주 ( Hee Ju Kim ) 동국사학회 2013 동국사학 Vol.55 No.-

        이 글은 진주지역에 천도교구가 성립되는 과정과 3.1운동 이후 교단이 추진하였던 문화운동의 내용을 살펴본 것이다. 천도교의 뿌리인 경남서부지역의 동학은 1880년대 중반 진주 서안에 위치한 덕산에서 먼저 세력을 형성하였다. 호남과 인접한 덕산은 동학의 수용과정에 전라좌도, 즉 남접의 영향을 직접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덕산의 동학은 진주로 전파되어 1890년 이후 이 지역에 접소가 설치되었다. 1894년 농민항쟁을 거친 진주의 동학은 20세기 초 민회운동에 참여하면서 전기를 맞게 된다. 1904년 9월부터 주로 통문을 통해 진보회의 취지를 전하고 결성을 시도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난다. 그리하여 대략 10월 초에 진보회 진주지회가 조직된 것으로 보이며 같은 달에 집회가 개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관의 지속적인 방해와 함께 일진회 세력이 대두되자 그 해 연말 회원 상당수가 일진회에 흡수되기에 이른다. 1906년 동학은 천도교로 개명하고 일진회 세력을 축출한 후 23개의 지역 대교구를 설립하였다. 이때 진주는 영남에서 유일하게 대교구가 설치되었다. 따라서 진주지역 천도교단이 공식적으로 성립된 시점도 이로부터 보아야 할 것이다. 교구의 구성원은 1894년 9월 기포에서 ‘고승당산 전투’, 민회운동까지 경험하였던 지역 동학의 1세대들이 주를 이루었고, 중심인물은 전희순이었다. 진주대교구는 1914년 7월에 와서 7개의 산하교구를 관할하는 거점교단으로 재편되었다. 여기에는 당시까지 진주가 도청소재지로 경남지역 행정, 문화의 중심지였다는 사실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1910년대 진주교구는 교단을 정비하고 교직을 확충하며 세력증대를 기하였으나 기대만큼의 결과를 이루지 못했다. 따라서 3.1운동에서 진주의 천도교는 세력화되는 모습을 보이지 못하였고 역할도 미미했다. 하지만 그로 인해 교단의 피해가 크지 않았다는 사실이 이후 이 지역 천도교가 약동할 수 있었던 조건이 되었다. 3.1운동 직후 중앙총부의 전략적 판단에 따라 진주에 천도교청년교리강연부가 조기 설치되었다. 1920년 4월 이를 개편, 발전시킨 진주천도교청년회가 성립되면서 지역 천도교의 문화계몽운동은 본격화되었다. 부인야학부를 시작으로 노동야학, 전교실, 강습소 건립 등 3.1운동 이전까지 볼 수 없었던 교육전도활동이 활기를 띠게 된다. 계몽운동의 전파수단이었던 강연회도 지역민의 관심 속에 성행하였다. 강연회는 초청인사뿐 아니라 진주교구의 간부들도 참여하여 호응을 받았다. 소년운동도 진주는 소년회를 전위로 한 천도교의 조직이 흐름을 좌우하였다. 천도교소년회를 제외한 일반 소년단체들은 진주지역에서 유명무실하였다. 지역사회에서의 존재감은 크지 않았으나 진주의 천도교는 대교구 설립 이후 단절 없이 교단의 기반을 유지하여 갔다. 그러한 토양위에 3.1운동 이후 박태홍, 김의진, 고경인 등 사회의식을 가진 일단의 ‘참여파’ 교인들이 가담하였다. 이들의 등장에 따라 진주지역 천도교의 대외인식과 활동지평도 한층 확장될 수 있었다. This study deal with establishing process and cultural movement of Chendo-gyo religious in Jinju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The Dong hak that origion of Chendo-gyo was formed in Dugksan to the west of Jinju. so it was known throughout Jinju and being organized after 1890. Dong hak hsa changed to Chendo-gyo and founded local diocese of twenty three in 1906. That time uniquely Jinju had establis archdioceses in Gyeongsangnam-do. The meaningful members of diocese was pioneer of Dong hak in Jinju and central figure was Chen Hee Soon. The archdioceses of Jinju has grown a base wich had 7 dioceses in Gyeongsangnam-do in 1914. They fail to align an organization and expand a base, even though they made a grate deal of effort to do these thing for the entire 1910`s. As a result, Chendo-gyo of Jinju didn`t perform an important role in the 3.1 movement. However, it helped Chendo-gyo to make even batter grouth in this region sinse the damage was not grate. When Jinju Cheondo-gyo youth group was formed, the cultural movement began to germinate. Starting from night schools, temples and schools of doctrine were built one after another. Academic lectures, which were means of the cultrual movement, were very popular in the interests of people. The movement of the youth were also led by Cheondo-gyo in Jinju. All the young groups had little activity, except for Cheondo-gyo young group. Although Cheondo-gyo didn`t have a big sense of existence in Jinju, they have kept their base without a break since their foundation. Based on the condition, some people with social consciousness took part in Cheondo-gyo.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Cheondo-gyo could make a progress more and more in Jinju.

      • KCI등재

        천도교를 중심으로 본 북한 김일성 개인숭배의 보편성과 특수성

        박세준 ( Park Seijoon ) 동양사회사상학회 2019 사회사상과 문화 Vol.22 No.2

        본 연구는 천도교를 중심으로 북한의 개인숭배 현상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밝히는 것에 목적이 있다. 북한에 대한 연구는 소위 “북한적 현상”이라는 것으로 특수함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김일성에 대한 개인숭배 현상 또한 마찬가지다. 그러나 개인숭배현상은 북한만의 특수성이 아닌 소련의 스탈린 시절부터 내려왔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역사주의 접근법과 비교사회주의 접근법을 사용했다. 역사주의 접근법은 북한의 독특함을 강조하는 것이고, 비교사회주의 접근법은 사회주의국가의 보편성을 밝힌다. 이러한 접근법에 따라 개인숭배현상은 저발전사회주의국가들이 사용하는 보편화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나 소련의 탈스탈린주의 명령에 탈소련화한 중국, 알바니아, 루마니아, 북한의 경우 그 경향이 심해졌음을 확인했다. 이들 국가는 항일 또는 대독 투쟁이라는 대외항쟁을 개인숭배에 활용한 공통점이 있고, 북한의 경우 이에 더해 천도교라는 민족주의 종교를 적극 활용한 특수성이 나타났다. 김일성은 천도교가 하늘이 아니라 사람을 중시한다는 점과 봉건사회제도를 반대한다는 점에서 진보종교로 봤다. 그는 항일무장투쟁에 있어서 천도교와 연대하여 큰 성공을 이루기도 했다. 일인독재를 확립하고 세습독재로 나아가는 데 활용한 주체사상에도 천도교 사상을 원용하기도 했다. 김일성은 천도교를 이용했을 뿐 아니라 천도교의 활동을 자신의 업적으로 왜곡하는 것도 서슴치 않았다. 반봉건과 반외세를 표방하는 천도교는 김일성의 주체사상을 이론화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고, 김일성 본인의 유년시절 경험과 해방 당시 북한지역의 천도교 교세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천도교의 이름을 빌려야 했다. 그 결과 북한에서 개인숭배의 특수성에 천도교가 이용된다. 북한에서 개인숭배의 특수성인 천도교 이용에 관해서는 더 엄밀한 연구가 필요한데, 현재 남한천도교측에서조차 북한의 자료를 구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통일이 되거나 자유로운 자료이용이 가능한 시점에 다시 연구를 하면 보다 풍부하고 자세한 연구 결과물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he personal worship of North Korea, Kim Ilsung and Kim’s Family. The study of North Korea tends to emphasize the speciality of the so-called “North Korean phenomenon ”. It is the true that the personal worship of Kim IlSung and Kim’ Family. However, the phenomenon of individual worship has not come from North Korea ’s special character but from the Soviet Stalin days. The historical approach and the comparative socialism approach were used as methodolog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historical approach emphasizes the uniqueness of North Korea, and the comparative socialism approach reveals the universality of the socialist state. According to this approach, we can confirm that the phenomenon of personal worship is a universal method used by the underdeveloped socialist countries. In particular, it confirmed that the tendency in China, Albania, Romania and North Korea, which had been de-Sovietized in the Soviet order of the Stalinist state, had increased. These countries share the common use of anti-Japanese and anti-Japanese struggle for personal worship. In addition, North Korea has developed a special characteristic of utilizing the religion of nationalism called Chondoism. Kim IlSung assessed the Chondoism as a progressive religion in that it values people rather than heaven and opposes feudal society. He has also achieved great success in his alliance with the Chondoism in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He also used the idea of Chondoism to establish a one-man dictatorship and move on to a hereditary dictatorship. Not only did Kim Ilsung use the Chondoism, but he also did not hesitate to distort the activities of the Chondoism as his work.

      • KCI등재

        1920년대 천도교 소년운동의 이론과 실천

        김정인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2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73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Children Support Movement of the Cheon’do-gyo Religious Order. It was a movement that pursued Democracy and Nationalism at the same time, in terms of its arguments, the structure of its organization and also its practices. The movement virtually led all the children support campaigns in the early half of the 1920s. The efforts of the Cheon’do-gyo order’s Children support movement of the 1920s led to some noticeable achievements, such as the formation of the Cheon’do-gyo order Youth Community in 1921, the proclamation of the Children’s day in 1922, and the publication of the magazine 『Children』 in 1923 for the first time. Leaders of the Cheon’do-gyo Child support movement argued that children should be raised as children in a free and equitable environment with a democratic culture which would also have respect for the children’s due rights inside families, schools and not to mention the society, so that they could grow up and lead the foundation of the new Korea. For the sake of the future of the Korean people, they argued that instead of a colonial education that oppressively demanded obedience and order, a free, equal and democratic culture was required for the education of the children. With the proclamation of the Children’s day and the publication of the 『Children』 magazine, the Cheon’do-gyo Child support movement earned the support and respect of the entire society and also the Nationalist movement. But after the mid-1920s, the Nationalist movement suffered internal schisms, diverged into many branches due to their own ideological differences, and the Cheon’do-gyo Child support movement suffered heavily in the wake of all that. And as a new branch inside the Cheon’do-gyo order pursued the promotion of the entire order into a new independent political force, the order withdrew from the Child support movement, and lost their influence in the matter. 본 연구의 목적은 천도교 소년운동이 이론ㆍ조직ㆍ실천의 세 측면에서 민족주의와 민주주의를 동시에 구현하고자 한 운동이었기에 1920년대 전반기 소년운동을 선도하며 전성기를 맞게 된 것임을 논증하는 데 있다. 1920년대 천도교 소년운동은 1921년 천도교소년회의 결성과 1922년 어린이날의 제정, 1923년 『어린이』 잡지의 창간 등으로 이어지면서 소년운동계를 선도적으로 이끌었다. 천도교 소년운동 지도자들은 가정, 학교, 사회에서의 아동 인권 존중의 민주주의적 문화를 뿌리 내려 자유롭고 평등한 환경 속에서 소년을 소년답게 키워 장차 신조선 건설에 앞장 설 든든한 동량으로 양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족의 미래를 위해서는 억압과 규율과 복종을 강요하는 식민교육의 공간이 아니라 자유롭고 평등한 민주주의 문화가 넘치는 소년운동이라는 공간 속에서 소년을 길러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천도교 소년운동의 이론이 어린이날 제정과 『어린이』 잡지 발간 등의 실천으로 이어지면서 천도교 소년운동은 사회와 민족운동 진영의 커다란 호응을 얻었다. 하지만, 1920년대 중반을 넘어서면서 민족운동 진영이 이념적 분화를 하며 합종연횡하는 시대를 맞아 천도교 소년운동도 차츰 주도권이 약화되는 길을 걷는 가운데, 천도교만의 독자정치세력화를 시도한 천도교 신파의 방향 전환에 따라 사실상 소년운동계에서 한발 물러나면서 영향력을 상실하고 말았다. 이러한 천도교 소년운동의 성과로는 첫째, 소년운동의 민족운동화를 들 수 있다. 1920년대 천도교가 민족 운동 진영의 주류로 활약했듯이, 천도교소년회는 소년운동을 농민운동, 노동운동, 청년운동, 여성운동 등과 함께 민족운동의 당당한 일원으로서 상당한 지분을 차지하는 데 결정적 기여를 했다. 조선총독부 당국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전국적으로 100만매의 전단이 뿌려지면서 50만 명이 당당하게 거리를 행진할 수 있도록 허용된 ‘민족적’ 행사는 오직 어린이날에만 가능한 일이었다는 사실만으로도 소년운동이 민족운동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짐작할 수 있다. 둘째, 식민 통치의 밖, 즉 민족이라는 자장 안에서 민주주의 문화를 확산하는 데 기여했다. 식민통치의 현실은 일본 제국주의 권력, 즉 조선총독부의 독재와 전제에 짓눌리며 살아야 하는 비극이었다. 하지만 민족과 민족 운동이라는 공간 안에서 조선인들은 늘 자유롭고 평등한 민주주의적 유토피아를 꿈꿨다. 그러므로, 민족의 자주독립은 민족의 자유와 평등을 실현하는 길이요, 그 길이 곧 개인의 자유와 평등을 실현하는 길이기도 했던 것이다. 즉 독립은 일본 제국주의가 빼앗아간 개인과 민족의 민주주의의 회복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천도교 소년운동은 천도교소년회의 조직과 운영, 『어린이』의 발간을 통해 자유롭고 평등한 민주주의 문화를 계몽하고 또한 직접 실천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민족 독립의 희망과 함께 민주주의 실현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일조했다.

      • KCI등재후보

        일제강점기 서울지역 천도교 여성단체의 조직과 활동

        조규태 서울역사편찬원 2007 서울과 역사 Vol.- No.70

        일제강점기에 서울지역에는 천도교 여성단체의 총괄 본부와 지부가 있었다. 천도교의 여성단체로는 천도교가 신ㆍ구파로 분립하기 전인 1924년에 설립된 내수단, 1927년 천도교 구파의 여성들이 별도로 조직한 천도교여성동맹, 1931년 천도교의 신파와 구파가 합동하여 조직한 천도교내성단 등이 있었다. 그러니까 천도교내수단ㆍ천도교여성동맹ㆍ천도교내성단 등의 본부와 그 서울지역 지부인 경성부ㆍ용산부가 서울에 위치하고 있었다. 1924년 朱鈺卿․孫廣嬅․金友卿 등 천도교 최고 간부의 부인들은 천도교내수단을 조직하였다. 내수단의 가입연령은 처음 15세 이상이었다가 곧 17세 이상으로 변경되었고, 1926년 천도교여자청년회가 조직된 이후 21세 이상으로 제한되었다. 한편 천도교가 淵源, 민족운동의 방략 등의 차이로 신ㆍ구파로 분화되자, 구파 간부의 부인인 한봉소ㆍ박정자, 사회주의계 여성인 김수월ㆍ박호진 등은 서울에서 1927년 천도교여성동맹을 조직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17세 이상 구파의 여성은 대체로 천도교여성동맹 서울지부에 속하여 활동하였다. 천도교 신파의 여성단체인 천도교내수단과 구파의 여성단체인 천도교여성동맹은 1931년 3월 16일 합하여 天道敎內誠團으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천도교내성단은 천도교 신파와 구파의 재분열에 따라 1932년 4월 각각 신파와 구파의 천도교내성단으로 분열되었다. 그러다가 1940년 합하여 天道敎內修會로 재편되었다. 천도교의 여성단체인 천도교내수단, 천도교여자청년회, 천도교여성동맹, 천도교내성단의 본부 임원과 서울 지부의 여성들은 강습과 자학, 청강, 토론 등을 통하여 교리와 일반상식을 함양하고, 포교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여성의 지식과 여권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여성을 노동을 줄여야 한다고 생각하고, ‘염색의 입기’, ‘머리 쪽 짓기’, ‘옷의 고름 폐지와 단추 달기’, ‘단발’ 등의 생활개선운동을 전개하였다. 더 나아가, 신파 천도교내성단 본부의 임원들은 1930년대 천도교청년당과 천도교 중앙종리원 내에서 여권을 신장하기 위한 운동을 벌였다. 그리하여 천도교내성단의 본부 임원인 李鶴得과 申南洪은 천도교청우당의 여성부위원, 朱鈺卿은 중앙종리원의 敬道觀正이 되어, 천도교 여성의 권익을 신장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천도교 신파의 여성단체가 문화운동에 주력하였다면, 천도교 구파의 여성단체인 천도교여성동맹 본부의 임원들은 민족운동단체와 사회운동단체에 참여하여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을 전개하였다. 천도교여성동맹은 1928년 4월 대회에서 근우회 지지를 천명하였고, 본부의 임원인 박호진․김숙․김수월은 근우회의 본회와 근우회 경성지회와 경동지회에서 집행위원 등으로 활동하였다. 또한 박호진은 조선공산당, 중앙청년동맹, 조선청년총동맹, ML파의 공산당 재조직사건 등에 간여하였다가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으며, 김숙과 김수월은 각기 신흥청년동맹과 중앙여자청년동맹의 집행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The main head and branches of Chondogyo women organizations were located in Seoul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Among the Chondogyo women organizations there were Chondogyo Naesoodan(天道敎內修團), Chondogyo Women Union(天道敎女性同盟), Chondogyo Naeseongdan(天道敎內成團), Chondogyo Naesoohoe(天道敎內修會). Therefore the each main head and Seoul Branch and Yongsan Branch of them were in existence in Seoul. Chondogyo Naesoodan was established in 1924 by Joo Ok Kyeong, Son Gwang Hwa, Kim Woo Kyung, and etc. Chondogyo Women Union was established in 1927 by Han Bong So, Park Jeong Ja, Kim Soo Weol, Park Ho Jin, and etc who were members of the old group departed from the Chondogyo in 1926. Chondogyo Naeseongdan was establised as the result of unification of Chondogyo Naesoodan and Chondogyo Women Union in 1931. To enter these organizations, women were demanded to be a believer of Chondogyo. And they had to be over 17 years old generally. By way of exception, women to wish to enter Chondogyo Naesoodan had to be more than 21 years old from 1926 to 1930. Women less than 20 years were demanded to enter Chondogyo Women Young Association(天道敎女子靑年會) in the period. Each Member of Chondogyo Naesoodan, Chondogyo Women Union, Chondogyo Naeseongdan, Chondogyo Naesoohoe studied doctrines of Chondogyo at an institute giving short courses or by mail test. And they propagated their religion. Also they did many activities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for example by cutting hair, dyeing clothes, attaching buttons, and etc. They made an effort to acquire women´s rights in their church and gained them. Members of Chondogyo Women Union did an independent movement. They made an effort to get comrades in Geunwoohoe(槿友會), the Joseon Communist Party, and other social group.

      • KCI등재

        천도교 통일운동과 전위단체

        임형진 동학학회 2004 동학학보 Vol.8 No.-

        천도교 통일운동의 전위단체로 결성된 것이 동학민족통일회이다. (이하 동민회) 동민회는 “동학이념의 사회적 구현과 민족의 자주, 민주, 통일을 실현”하는 목적으로 1991년 등장했다. 즉, 동민회는 천 도교의 정의 영역을 담당하고자 이 땅에 태어났다는 것이다. 동민회 는 과거 동학 천도교의 위대한 이상과 실천성을 계승하고 그들이 구상한 지상천국 이상사회를 구현해야 할 역사적 숙명을 지닌 천도 교 활동공간의 전위단체인 것이다. 천도교는 교정쌍전에 입각해 창도 이래로 오랜 기간을 한국 민족 주의 운동의 핵심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천도교 청우당으 로 대표되는 전위단체에 의해서 행해 졌는데 청우당은 후천개벽을 이 땅에 실현하고자 계몽운동, 문화운동 그리고 민족통일운동을 주 도했었다. 이 시대 천도교의 전위단체는 동민회이고 그 활동의 중심 에는 통일운동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통일운동이 가장 현실적인 곳 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종교의 통일운동은 민족의 삶의 이상을 제시하는 미래지향적이어야 한다. 종교의 통일운동은 다소 비현실적 이라도 원대한 이상과 목표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가장 큰 의의가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창도이래 민족운동에 가장 앞섰던 천도교의 통일운동을 그들이 제시하는 통일 이념과 원칙 그리고 기본 방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같은 전통을 바탕으로 천도교의 통일의 원칙과 기본방향 ①精神開闢(gai-byok)과 同歸 一體(Dong-gwi-il-che), ②自主와 中立, ③ 平和와 民主, ④自由와 平等이고 이들이 이상 하는 통일 조국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조국의 國號는 上古때부터 우리 조상들이 써오던 朝鮮 으로 하고 國旗는 역사상 처음으로 제정된 太極旗로 한다. 둘째. 우리의 통일조국은 道德文明 先進國이어야 할 것이다. 셋째. 우리의 統一祖國은 民族自主의 理想的 民主國家가 되어야 한다. 넷째. 우리의 통일조국은 人間을 지극히 尊重하는 나라가 되어야 한다. 다섯째. 우리의 統一祖國은 同歸一體의 정신에 맞는 새로운 경제 제도가 실현되어야 한다. 천도교 이념에 입각한 동민회의 통일운동은 많은 한계에도 불구 하고 계속되어야 한다. Donhak national unification society is made as the entity as the society for the national unification. "The Society(Dongminhoe) is made in 1991 for the purpose of "Realization of Donghak idea in society and realization of self-realization, democratization and unification". Dongminhoi is made up for the role of Chundogyo belief system. It is the forward group for the call of history and high good society. In order to realize its vision of Heaven-on earth, Donghak(Chondogyo) endlessly sought ways to combine religion with politics as its Gyo-jong-il-chi and Gyo-jong-ssang-jon ideas stipulated. A practical expression of Gyo-jong-il-chi appeared in Donghak's Hu-chon-gai-byok doctrine and a vanguard organization, the Chongwudang Party, was organized to put this political doctrine into practice. The political ideas of Chongwudang can indeed be considered as the modern expression of the political ideas of Donghak and the very embodiment of Hu-chon-gai-byok idea originally articulated by Suwun Choi Jai-wu, the founder of Donghak philosophy. This is particularly so because the fundamental aim of Chongwudang was to realize an ideal society on earth based on the In-nai-chon thesis. The principles and basic orientations for national reunifications is said suggested by Chondogyo. 1. Spiritual Innovation(gae-byok and Dong-gwi-il -che) 2. Self-reliance and Neutrality 3. Peace and Democracy 4. Liberty and Equality The vision of unified mother land idealized by Chondogyo 1. The Chosun is desirable because of historically rooted meaning and National flag is desirable for "Taekeukgi" 2. The our unified mother land must be civilization in morality. 3. Liberal democracy state of national independence 4. The state of being respect for individual identity 5. The state of economic institutions by Dong-gwi-ill- che spirit This movement should be continued in any difficulty and the high call of Chundogyo is realized.

      • KCI등재

        쿠바한인사회를 통해본 천도교와 민족운동

        성주현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8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5

        The Korean community in Cuba began to form from the 1920s. The community was formed when some of the Koreans who moved to Mexico from Jemulpo, Incheon in 1905 returned to Cuba. The initial migration to Mexico was illegal by a British emigration broker, Meyers, who had Mexican nationality. The Koreans spent four years on labor contracts, and were unable to return home and scattered throughout Mexico. About 300 people among them reinstated to Cuba in 1921 and helped to form the early Korean community. Koreans in Cuba were not better off than Mexico, but they depended on each other to live their lives. Lim cheon-taek, who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Korean community at that time, initially believed in Christianity, but entered the Cheondogyo because he sympathized with the main religious values of it, and established Jongriwon, a Cheondogyo organization, in Cuba and had been arousing national consciousness. Furthermore, although he did not directly experience Japanese colonial rule because he was abroad, he fought for his country’s independence. Cheondogyo believers in Cuba had been participating in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s local organization even before they became believers, and continued to participate after entering a faith. They have been chief officers at Cuba’s Cheondogyo Branch in the Matansas and the Kaldenas provinces, and have not been negligent in paying for donations, tax, and independence funds. The donations provided by them were used as funds for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addition, they established Korean language schools and academies for the young such as Minsung School and Jinsung School in the Matansas and the Kaldenas to promote national education. In addition, celebrations, such as March 1st and National Humiliation Day, and memorials of Yoon Bong-gil and Lee Bong-chang were also staged by them to promote national consciousness and wish for independence. The Cheondogyo believers in Cuba also participated in digest explanation of the March 1st Movement, reading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other lectures. They also actively involved in relief activities for Korean immigrants. In particular, the resolution of mutual assistance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Cuba Cheondogyo Jongriwon is a good example of the spirit of Cheondogyo. At the center of the Korean community in Cuba were Kim Se-won, Lee Se-chang, and Lim Cheon-taek, former heads of the Cuba Cheondogyo Jongriwon. They were faithful to not only the religions but also their role as central leaders of the Korean community in Cuba. Cuba’s Cheondogyo, sat a foot for the first time on April 1st, 1928 and was established on March 23th, have a limit of short activity for 10 years, however it is evaluated as important that the Cheondogyo affected to Korean community and had been active in Cuba. 쿠바한인사회는 1920년대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1905년 인천 제물포에서 멕시코로 이주하였던 한인 중 일부가 쿠바로 재이주하면서 한인사회가 형성되었다. 초기 멕시코로의 이주는 영국인이며 멕시코 국적을 가진 구제 이민 브로커 마이어스(Meyers)에 의해 불법적으로 이주하였다. 이들은 노동계약으로 4년을 보냈지만 고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멕시코 전역으로 흩어졌다. 이중 3백여 명이 1921년 쿠바로 재이주하였고, 초기 한인사회를 형성하는데 기여하였다. 쿠바로 재이주한 한인 역시 멕시코보다 나은 생활은 아니었지만 서로 의지하고 삶을 영위하였다. 당시 한인사회의 중심적 역할을 한 임천택은 처음에는 기독교를 신앙하였지만, 천도교의 인내천과 민족의시에 공감하고 천도교에 입교한 후 쿠바에 당시 천도교 조직인 종리원을 설립하고, 민족의식을 고취시켜 나갔다. 뿐만 아니라 비록 해외에서 일제 식민통치를 직접 겪지는 않았지만 조국의 독립을 위해 투쟁하였다. 쿠바의 천도교인들은 천도교인이 되기 이전부터 대한인국민회 지방조직에 참여하였으며, 천도교 입교 이후에도 꾸준히 참여하였다. 이들은 쿠바의 천도교인 마탄사스와 칼데나스 지방회에 주요 임원으로 있으면서, 의무금과 인구세, 그리고 독립의연금 등을 납부하는데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이들이 제공한 의무금 등 의연금은 대한인국민회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민족운동 단체의 활동자금으로 활용되었다. 이외에도 마탄사스와 칼데나스에 민성학교, 진성학교 등 국어학교와 청년학원 등을 설립하여 민족교육을 전개하였으며, 3ㆍ1절, 국치일 등 기념일과 윤봉길과 이봉창의사의 추모식을 통해 민족의식과 독립의 열기를 고취시켰다. 뿐만 아니라 이들 기념식과 추모식에는 쿠바 천도교인들은 3ㆍ1운동의 약사와 독립선언서 낭독, 각종 강연 등에 참여하였다. 한인동포를 위한 구제활동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특히 쿠바 천도교종리원을 설립하면서 상호부조의 결의를 한 것은 천도교의 유무상자 정신을 잘 실천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쿠바한인사회의 중심에는 쿠바 천도교종리원장으로 활동하였던 김세원, 이세창, 임천택 등이 있었다. 이들은 천도교뿐만 아니라 쿠바한인사회의 중심적 리더로서의 역할에도 충실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쿠바의 천도교는 1928년 4월 1일 처음으로 발을 내닫고, 1930년 3월 23일 설립되어 10여 년간 활동하였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쿠바한인사회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그리고 한국과 정반대의 이국인 쿠바에 천도교가 활발하게 활동하였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일제하 진주지역 天道敎의 문화운동

        金希柱 동국사학회 2013 동국사학 Vol.55 No.-

        이 글은 진주지역에 천도교구가 성립되는 과정과 3.1운동 이후 교단이 추진하였던 문화운동의 내용을 살펴본 것이다. 천도교의 뿌리인 경남서부지역의 동학은 1880년대 중반 진주 서안에 위치한 덕산에서 먼저 세력을 형성하였다. 호남과 인접한 덕산은 동학의 수용과정에 전라좌도, 즉 남접의 영향을 직접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덕산의 동학은 진주로 전파되어 1890년 이후 이 지역에 접소가 설치되었다. 1894년 농민항쟁을 거친 진주의 동학은 20세기 초 민회운동에 참여하면서 전기를 맞게 된다. 1904년 9월부터 주로 통문을 통해 진보회의 취지를 전하고 결성을 시도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난다. 그리하여 대략 10월 초에 진보회 진주지회가 조직된 것으로 보이며 같은 달에 집회가 개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관의 지속적인 방해와 함께 일진회 세력이 대두되자 그 해 연말 회원 상당수가 일진회에 흡수되기에 이른다. 1906년 동학은 천도교로 개명하고 일진회 세력을 축출한 후 23개의 지역 대교구를 설립하였다. 이때 진주는 영남에서 유일하게 대교구가 설치되었다. 따라서 진주지역 천도교단이 공식적으로 성립된 시점도 이로부터 보아야 할 것이다. 교구의 구성원은 1894년 9월 기포에서 ‘고승당산 전투’, 민회운동까지 경험하였던 지역 동학의 1세대들이 주를 이루었고, 중심인물은 전희순이었다. 진주대교구는 1914년 7월에 와서 7개의 산하교구를 관할하는 거점교단으로 재편되었다. 여기에는 당시까지 진주가 도청소재지로 경남지역 행정, 문화의 중심지였다는 사실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1910년대 진주교구는 교단을 정비하고 교직을 확충하며 세력증대를 기하였으나 기대만큼의 결과를 이루지 못했다. 따라서 3.1운동에서 진주의 천도교는 세력화되는 모습을 보이지 못하였고 역할도 미미했다. 하지만 그로 인해 교단의 피해가 크지 않았다는 사실이 이후 이 지역 천도교가 약동할 수 있었던 조건이 되었다. 3.1운동 직후 중앙총부의 전략적 판단에 따라 진주에 천도교청년교리 강연부가 조기 설치되었다. 1920년 4월 이를 개편, 발전시킨 진주천도교청년회가 성립되면서 지역 천도교의 문화계몽운동은 본격화되었다. 부인야학부를 시작으로 노동야학, 전교실, 강습소 건립 등 3.1운동 이전까지 볼 수 없었던 교육전도활동이 활기를 띠게 된다. 계몽운동의 전파수단이었던 강연회도 지역민의 관심 속에 성행하였다. 강연회는

      • KCI등재후보

        천도교의 성립과 동학의 근대화

        임형진 동학학회 2008 동학학보 Vol.12 No.1

        천도교는 1905년 12월 1일 [제국신문]에 천도교 대도주 손병희의 명의로 대고천하 하는 광고를 실음으로써 등장했다. 이것은 근대사의 커다란 족적을 남긴 동학이 천도교로 개칭되었음을 만천하 알리는 공고였다. 또한 종교성보다는 운동단체 성격이 강했던 동학이 천도교라는 종교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천도교는 동학시절부터 이미 근대화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꾸준한 변화를 모색하다가 천도교로 개칭되면서 본격적인 근대화의 길을 나서게 되었다. 천도교의 근대화 운동의 전개는 동학의 3대 교주인 의암 손병희의 의지와 방향설정에 의해 전개되었다. 의암은 1901년 일본으로 건너가 머물면서 개화개혁의 필요성을 절감했고 1906년 1월 귀국하면서 천도교의 근대화 운동을 본격화했다. 그는 천도교를 제도종교로 자리 잡게 했는데 중앙총부 설립과 교구제의 확립, 종학강습소 설립, 출판시설 운영과 만세보와 천도교 월보 등 종단의 기관지 발행은 물론 각종 교리관련 서적들의 출판 그리고 보성학교를 비롯한 학교 운영으로 인재 양성에도 주력했다. 1919년 3.1운동에서 민의가 폭발할 수 있었던 주요인 중 하나도 의암 손병희의 이러한 천도교 창립 초기의 활동을 이해함으로써 설명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의암을 중심으로 한 천도교의 창립은 곧 동학의 근대화 운동으로 이어졌고 그것들이 우리 민족운동사에 미친 영향은 지대하다고 할 수 있다. 천도교의 성립과 동학의 근대화 운동은 곧 동학 전통인 교정쌍전의 구체적이고도 제도적인 완비였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천도교는 동학의 전통을 계승하고 민족종교로서 정착하는데 성공했다고 할 수 있다. 그랬기에 천도교로의 전환은 곧 동학의 근대화였으며 우리 사회의 근대화 운동에 다름없었다.

      • KCI등재

        천도교청년회 지방조직의 설립과 운영

        성주현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0

        3ㆍ1운동 이후 천도교단의 세대교체와 신세계의 사조, 그리고 식민통치의 변화 등으로 인한 대내외적 요인에 의해 창립된 천도교청년교리강연부는 중앙조직을 강화에 이어 지방조직(지부)에도 적극적이었다. 이에 따라 삼등지부를 비롯하여 10여 개의 지부가 설립되었다. 그러나 천도교청년교리강연부는 창립된 지 불과 8개월만에 천도교청년회로 조직체를 변경하였다. 이에 따라 천도교청년교리강연부의 지방조직은 천도교청년회 지방조직으로 그대로 전환되었다. 천도교청년회는 1920년대 초 사회주의사상의 급격한 확산과 각지 청년단체의 조직에 따라 적극적으로 지방조직인 지회를 설립하였다. 우선 각 지방의 천도교회를 모태로 하여 청년들을 규합하여 지회를 조직하였는데, 전국적으로 120여 개에 달하였다. 이는 단일조직으로 가장 규모가 큰 조직이었다. 천도교청년회 지회의 조직은 중앙조직을 그대로 수용하였다. 즉 포덕부, 강연부, 편술부, 음악부, 체육부 등 5개 부서로 구성되었다. 이중 포덕부와 강연부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이들 기본 조직 외에도 지회는 지역 상황에 따라 교리연구회, 여자청년회, 연합친목회 등을 조직하여 천도교의 교세를 확장하는 한편 지회도 확장해 나갔다. 지회설립의 주요인물은 대부분 천도교 신앙을 하는 繼代敎人이었다. 뿐만 아니라 이들은 교사, 신문기자 등 지역유지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관계로 지역에서 활동하는 청년단체 또는 사회단체와도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한편 천도교청년회 지회의 재정 수입은 회원의 의무금과 찬조금으로 충당하였으며, 지출은 중앙조직에 상납, 도서구입비 등 지회 운영에 사용하였다. 또한 중앙조직은 지회를 효율적으로 관리 통제하기 위해 의무금 상납의 원칙을 철저히 지킬 것을 결의하는 등 관계형성을 일원화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천도교청년회의 조직체계는 중앙본부-지회라는 중앙집권적 요소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천도교청년회의 지방조직은 1920년대 중반 새롭게 조직되는 천도교청년당의 지방조직으로 그대로 이어졌으며, 청년당의 추구하였던 민족운동중심기관으로 성장하는 기반이 되었다. The Cheondo-kyo youth doctrine lecture department was established with Generation shift, change of the New World trend of thought and colonial occupation. The Cheondo-kyo youth doctrine lecture department after reinforcement of center organization was active even in fatty tissue. Including the third branch consequently and about 10 the mind branch was founded. The Cheondo-kyo youth doctrine lecture department is established but after 8 months like that was only converted with Cheondo-kyo young man’s association fatty tissue. The Cheondo-kyo young man’s association 1920’s according to the diffusion which beginning socialistic ideology is sudden and organization of the various places youth organization founded meeting is a fatty tissue actively. Cheondo-kyo each region first of all and meeting in the mother’s womb rallied organized the youths and meeting. About 120 accomplished to with national. This was the organization where the size is biggest with single unit organization. The Cheondo-kyo young man’s association meeting organization accommodated a center organization like that. Namely Poduk(Virtue boat width) department, lecture department, Pyun-sul(editing) department and music department, was composed with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etc. 5 stations. With Poduk department lecture addition most actively among these, was active. Meeting according to area situation the doctrine society for the study and the female young man’s association, organizes union social meeting etc. even on these basic organized outside and meeting to expand meantime expands year-old of Cheondo-kyo. The central figure water of founding was the believer who does a most Cheondo-kyo religious belief. And these people did teacher, is active with reporter etc. area maintenance. The youth organization which with like this relationship is active from the area or the social club came and the close relationship maintained. Meantime the Cheondo-kyo young man’s association meeting financial income supplied at the obligatory gold and donation of the member, the expenses in center organization used in the upper lead and the books purchase expenses etc. meeting operation. Also the center organization in order management to control meeting efficiently under unifying should have boiled the etc. relationship formation which resolves the fact that will keep the principle of the lead at the obligatory gold thoroughly. Not only the organized system of the Cheondo-kyo young man’s association was having the centralization element which is a center headquarters and meeting. Was joined together like that with the Cheondo-kyo youth party decision fatty tissue where the fatty tissue of the Cheondo-kyo young m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